북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북사는 당나라 초기의 이연수가 편찬한 북조 시대의 역사서이다. 북위부터 수나라까지의 역사를 다루며, 본기, 열전, 외국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기에는 북위, 동위, 서위, 북제, 북주, 수나라의 황제 기록이, 열전에는 황후, 종실, 개국공신, 문인, 효행, 절의 등 다양한 인물들의 이야기가 수록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역사책 - 진서
진서는 당 태종의 명으로 방현령 등이 편찬한 사마의부터 동진 공제까지의 역사를 다룬 정사로, 오호십육국시대의 여러 국가들의 흥망성쇠가 기록되어 당시 사회의 복잡한 국제 관계와 민족 갈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 7세기 역사책 - 수서 (역사서)
수서는 당나라 초기에 위징, 장손무기 등이 편찬한 수나라의 역사를 단대기전체 형식으로 기록한 역사서로, 고구려를 포함한 동이 관련 기록이 있어 한국사 연구에 중요한 사료로 평가받는다. - 이십사사 - 삼국지
진수가 쓴 《삼국지》는 위, 촉, 오 삼국의 역사를 기록한 기전체 역사서로, 위지, 촉지, 오지로 구성되어 있으며, 후대에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주고 동아시아 역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쓰인다. - 이십사사 - 명사 (역사서)
명사(明史)는 청나라가 편찬한 명나라의 역사서로, 명나라 황제, 제도,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자료적 가치가 높지만 명나라에 대한 부정적 묘사 및 역사 왜곡 가능성도 제기된다. - 당나라의 문학 - 전기소설
전기소설은 당나라 시대 중국에서 발생한 소설 유형으로, 괴이하고 초자연적인 이야기부터 현실적인 이야기까지 다루며, 당나라 초기에 지괴소설에서 발전하여 중당 시대에 전성기를 맞았고 송대 이후 쇠퇴했으나 후대 문학에 큰 영향을 주었다. - 당나라의 문학 - 전당시
《전당시》는 강희제의 칙령으로 편찬된 당나라 시대 시가집으로, 다양한 계층의 시 4만 8천여 수를 수록하여 당시 사회상과 문학적 경향을 보여주지만, 편찬상의 한계와 비판적 검토 필요성이 존재하며, 에도 시대 일본과 조선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북사 | |
|---|---|
| 개요 | |
| 제목 | 북사 |
| 원제 | 北史 |
| 로마자 표기 | Běishǐ |
| 의미 | 북쪽 역사 |
| 저자 | 이연수 |
| 저술 시기 | 7세기 |
| 시대 | 남북조 시대 |
| 언어 | 한문 |
| 권수 | 100권 |
| 구성 | |
| 기전체 | 본기: 8권 열전: 92권 |
| 내용 | |
| 대상 시대 | 북위, 서위, 동위, 북주, 북제 |
| 주요 내용 | 남북조 시대 북조의 역사 기록 |
| 기타 | |
| 24사 포함 여부 | 24사에 포함됨 |
2. 본기(本紀)
위(魏)의 역대 황제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 권1 위 본기1 제1 : 태조 도무제와 태종 명원제의 기록으로, 220년부터 423년 11월까지, 즉 신원제(神元帝) 원년부터 태상(泰常) 8년까지를 다룬다.
- 권2 위 본기2 제2 : 세조 태무제, 공종 경목제, 고종 문성제, 현조 헌문제의 기록으로, 423년 11월부터 471년 8월까지, 즉 태상(泰常) 8년부터 황흥(皇興) 5년까지를 다룬다.
- 권3 위 본기3 제3 : 고조 효문제의 기록으로, 471년 8월부터 499년 4월까지, 즉 연흥(延興) 원년부터 태화(太和) 23년까지를 다룬다.
- 권4 위 본기4 제4 : 세종 선무제와 숙종 효명제의 기록으로, 499년 4월부터 528년 4월까지, 즉 태화(太和) 23년부터 무태(武泰) 원년까지를 다룬다.
- 권5 위 본기5 제5 : 경종 효장제, 절민제, 폐제, 효무제, 서위 문제(西魏 文帝), 서위 폐제(西魏 廢帝), 서위 공제(西魏 恭帝), 동위 효정제(東魏 孝靜帝)의 기록으로, 526년 8월부터 556년 12월까지, 즉 북위 효창(孝昌) 2년부터 서위 공제(恭帝) 3년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는 북위 건국 초기부터 분열까지의 시대로, 북위 왕조의 기틀을 다지고 발전시킨 황제들과, 왕조가 쇠퇴하여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기까지의 과정을 보여준다. 특히, 고조 효문제는 적극적인 한화 정책을 펼쳐 북위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황제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효문제 사후, 북위는 급격히 쇠퇴하여 결국 동위와 서위로 분열되고 말았다.
2. 1. 위(魏) 본기
위(魏)의 역대 황제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권1 위 본기1 제1 : 태조 도무제와 태종 명원제의 기록으로, 220년부터 423년 11월까지, 즉 신원제(神元帝) 원년부터 태상(泰常) 8년까지를 다룬다.
- 권2 위 본기2 제2 : 세조 태무제, 공종 경목제, 고종 문성제, 현조 헌문제의 기록으로, 423년 11월부터 471년 8월까지, 즉 태상(泰常) 8년부터 황흥(皇興) 5년까지를 다룬다.
- 권3 위 본기3 제3 : 고조 효문제의 기록으로, 471년 8월부터 499년 4월까지, 즉 연흥(延興) 원년부터 태화(太和) 23년까지를 다룬다.
이 시기는 북위 건국 초기부터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 이전까지의 시대로, 북위 왕조의 기틀을 다진 황제들의 통치를 보여준다.
2. 1. 1. 북위 도무제부터 효문제까지
북위 건국 초기부터 북위 효문제의 한화 정책 이전까지의 황제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2. 1. 2. 북위 효문제 이후
요약(summary)과 원본 소스(source)에 기반하여 내용을 작성해야 하나, 원본 소스(source)의 내용이 비어있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요약(summary)만을 가지고 내용을 구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원본 소스가 제공되어야만 위키텍스트 작성이 가능합니다.2. 2. 동위(東魏)와 서위(西魏) 본기
wikitext경종 효장제, 절민제, 폐제, 효무제, 서위 문제, 서위 폐제, 서위 공제, 동위 효정제의 기록이 북사 권5에 함께 있다. 이들은 526년 8월(북위 효창 2년)부터 556년 12월(서위 공제 3년)까지의 기간을 다룬다.
2. 2. 1. 서위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2. 2. 2. 동위
동위와 관련된 내용은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빈 문자열을 출력합니다.```text
2. 3. 제(齊) 본기
고조 신무제와 세종 문양제의 기록은 제 본기 上 제6에 525년 ~ 549년 8월(북위 효창 원년 ~ 동위 무정 7년)의 기록이 있다.현조 문선제, 폐제, 숙종 효소제의 기록은 제 본기中 제7에서 549년 8월 ~ 561년 11월(동위 무정(武定) 7년 ~ 황건 2년)의 기록이 있다.
2. 3. 1. 북제 신무제부터 문선제까지
북제 건국 초기 황제들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2. 3. 2. 북제 무성제 이후
북제 무성제 이후의 황제들의 기록은 거의 남아있지 않다.2. 4. 주(周) 본기
태조 문제는 534년 1월, 북위 영희 3년부터 재위에 있었다. 효민제는 태조 문제의 아들로, 557년 우문각이 서위 공제를 폐위시키고 북주를 건국하면서 즉위하였다. 그러나 실권은 사촌 형인 우문호가 쥐고 있었다. 효민제는 우문호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살해당했다.세종 명제는 태조 문제의 아들이자 효민제의 이복 형으로, 우문호에 의해 옹립되었다. 명제 역시 초기에는 우문호의 꼭두각시였으나, 560년 4월, 무성 2년에 우문호를 독살하고 친정을 시작했다.
2. 4. 1. 북주 문제부터 명제까지
북주는 557년 우문각이 서위 공제를 폐위시키고 건국하였다. 우문각은 곧 효민제로 즉위했으나, 실권은 그의 사촌 형 우문호가 쥐고 있었다. 효민제는 우문호를 제거하려다 오히려 살해당했다.우문호는 우문각의 이복 형 우문육을 옹립했는데, 이가 북주의 명제다. 명제 역시 우문호의 꼭두각시였지만, 560년 우문호를 독살하고 친정을 시작했다.
2. 4. 2. 북주 무제 이후
북주 무제 이후의 황제들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2. 5. 수(隋) 본기
수나라를 건국한 황제는 고조 문제 (양견)이다.2. 5. 1. 수 문제
수 문제는 수나라를 건국한 황제이다.2. 5. 2. 수 양제 이후
수나라 양제 이후의 황제들에 대한 기록은 없다.3. 열전(列傳)
북사의 열전은 황후, 후궁, 종실, 왕족, 신하, 외국, 민족 등 다양한 인물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 '''후비(后妃)'''
북위의 황후와 후궁들에 대한 기록이다.
| 시호 | 인물 | 비고 |
|---|---|---|
| 신원두황후(神元竇皇后) | 두씨 | |
| 문제봉황후(文帝封皇后) | 봉씨 | |
| 환제유황후(桓帝惟皇后) | 유황후 | |
| 평문왕황후(平文王皇后) | 왕황후 | |
| 소성모용황후(昭成慕容皇后) | 모용씨 | |
| 헌명하황후(獻明賀皇后) | 하씨 | |
| 도무모용황후(道武慕容皇后) | 모용씨 | |
| 도무선목유황후(道武宣穆劉皇后) | 유씨 | |
| 명원소애요황후(明元昭哀姚皇后) | 요씨 | |
| 명원밀두황후(明元密杜皇后) | 두씨 | |
| 태무혁련황후(太武赫連皇后) | 혁련씨 | |
| 태무경애하황후(太武敬哀賀皇后) | 하씨 | |
| 경목공욱구려황후(景穆恭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문성문명풍황후(文成文明馮皇后) | 풍씨 | |
| 문성원이황후(文成元李皇后) | 이씨 | |
| 헌문사이황후(獻文思李皇后) | 이씨 | |
| 효문정임황후(孝文貞林皇后) | 임씨 | |
| 효문폐풍황후(孝文廢馮皇后) | 풍씨 | |
| 효문유풍황후(孝文幽馮皇后) | 풍씨 | |
| 효문문소고황후(孝文文昭高皇后) | 고씨 | |
| 선무순우황후(宣武順于皇后) | 우씨 | |
| 선무고황후(宣武高皇后) | 고씨 | |
| 선무영호황후(宣武靈胡皇后) | 호씨 | |
| 효명호황후(孝明胡皇后) | 호씨 | |
| 효무고황후(孝武高皇后) | 고씨 | |
| 문을불황후(西魏文乙弗皇后) | 을불씨 | |
| 문도욱구려황후(西魏文悼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폐제우문황후(廢帝宇文皇后) | 우문씨 | |
| 공제약간황후(恭帝若干皇后) | 약간씨 | |
| 효정고황후(孝靜高皇后) | 고씨 |
- '''제(齊) 후비'''
북제의 후비는 다음과 같다.
- 누소군(婁昭君): 신무제의 황후이자, 문선제, 효소제, 무성제의 어머니이다.
- 욱구려씨(郁久閭氏): 연연공주(蠕蠕公主)로, 신무제의 황후이다.
- 원씨(元氏): 문양제의 황후이다.
- 원옥의(元玉儀): 낭야공주로, 문양제의 부인이다.
- 이조아(李祖娥): 문선제의 황후이다.
- 단소의(段昭儀): 문선제의 후궁이다.
- 원황후(元皇后): 효소제의 황후이다.
- 호황후(胡皇后): 무성제의 황후이다.
- 이부인(李夫人): 홍덕(弘德) 이부인으로, 무성제의 후궁이다.
- 곡률황후(斛律皇后): 후주의 황후이다.
- 호황후(胡皇后): 후주의 황후이다.
- 목야리(穆邪利): 후주의 황후이다.
- 풍소련(馮小憐): 후주의 좌황후(左皇后)이다.
- '''주(周) 후비'''
북주 문제원황후(文帝元皇后), 문선질노황후(文宣叱奴皇后), 효민황후 원호마(孝閔皇后 元胡摩), 명경독고황후(明敬獨孤皇后), 무성아사나황후(武成阿史那皇后), 무제황후 이아자(武帝皇后 李娥姿), 양여화(宣帝皇后 楊麗華), 주만월(宣帝皇后 硃滿月), 진월의(宣帝皇后 陳月儀), 원악상(宣帝皇后 元樂尙), 위지번치(宣帝皇后 尉遲繁熾), 정제황후 사마영희(靜帝皇后 司馬令姬)
- '''수(隋) 후비'''
독고가라는 문제의 황후로, 뛰어난 정치적 감각으로 국정을 보좌하여 문제와 함께 '이성(二聖)'으로 불렸다. 그러나 만년에는 질투심이 강해져 후궁을 두지 못하게 하였고, 양광(훗날 수 양제)이 진나라를 멸망시킨 후 진숙보의 후궁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하였다.
선화진부인은 남진 진선제의 딸이자 진숙보의 이복동생으로, 문제의 후궁이었다. 진나라 멸망 후 수나라에 들어와 수 문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양제 즉위 후에도 후궁으로 있었다.
용화채부인은 수 문제의 후궁으로, 양제 즉위 후에도 후궁으로 있었다.
양제의 황후 양민소황후는 양나라 소명태자의 손녀이자 서량 명제의 딸이다.
- '''위(魏) 종실'''
북위 황족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 인물 |
|---|
| 신원제 자손(神元帝 子孫) 상곡공 흘라, 건덕공 영문, 진정후 륙, 무릉후 인, 장락왕 수락, 망도공 퇴, 곡양후 소연, 순양공 욱, 의도왕 목진, 목제장자 육수, 길양남 비간, 강하공 여 |
| 평문제 자손(平文帝 子孫) 고량왕 고, 서하공 돈, 사도 석, 무위장군 위, 회릉후 대두, 하간공 제, 부풍공 처진, 문안공 니 |
| 소성제 자손(昭成帝 子孫) 탁발식군, 진명왕 한, 상산왕 준, 진류환왕 건, 비릉왕 순, 요서공 의열, 탁발굴돌 |
| 도무제 7왕(道武七王) 청하왕 소, 양평왕 희, 하남왕 요, 하간왕 수, 장락왕 처문, 광평왕 련, 경조왕 려 |
| 명원제 6왕(明元六王) 낙평여왕 비, 안정상왕 미, 낙안선왕 범, 영창장왕 건, 건녕왕 숭, 신흥왕 준 |
| 태무제 5왕(太武五王) 진왕 복라, 동평왕 한, 임회선왕 담, 광양간왕 건, 남안은왕 여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上 양평유왕 신성, 경도강왕 자추, 제음선왕 소신성, 여음영왕 천사, 낙랑여왕 만수, 광평상왕 낙후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下 임성강왕 운, 남안혜왕 정, 성양강왕 장수, 장무경왕 태락, 낙릉강왕 호아, 안정정왕 휴 |
| 문성제 5왕(文成五王) 안락여왕 장락, 광천장왕 략, 제군순왕 간, 하간효왕 약, 안풍광왕 맹 |
| 헌문제 6왕(獻文六王) 함양왕 희, 조군영왕 간, 광릉혜왕 우, 고양문목왕 옹, 팽성무선왕 협, 북해평왕 상 |
| 효문제 6왕(孝文六王) 폐태자 순, 경도왕 유, 청하문헌왕 역, 광평무목왕 회, 여남문선왕 열, 원조 |
3. 1. 후비(后妃) 열전
북위의 황후와 후궁들에 대한 기록이다.| 시호 | 인물 | 비고 |
|---|---|---|
| 신원두황후(神元竇皇后) | 두씨 | |
| 문제봉황후(文帝封皇后) | 봉씨 | |
| 환제유황후(桓帝惟皇后) | 유황후 | |
| 평문왕황후(平文王皇后) | 왕황후 | |
| 소성모용황후(昭成慕容皇后) | 모용씨 | |
| 헌명하황후(獻明賀皇后) | 하씨 | |
| 도무모용황후(道武慕容皇后) | 모용씨 | |
| 도무선목유황후(道武宣穆劉皇后) | 유씨 | |
| 명원소애요황후(明元昭哀姚皇后) | 요씨 | |
| 명원밀두황후(明元密杜皇后) | 두씨 | |
| 태무혁련황후(太武赫連皇后) | 혁련씨 | |
| 태무경애하황후(太武敬哀賀皇后) | 하씨 | |
| 경목공욱구려황후(景穆恭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문성문명풍황후(文成文明馮皇后) | 풍씨 | |
| 문성원이황후(文成元李皇后) | 이씨 | |
| 헌문사이황후(獻文思李皇后) | 이씨 | |
| 효문정임황후(孝文貞林皇后) | 임씨 | |
| 효문폐풍황후(孝文廢馮皇后) | 풍씨 | |
| 효문유풍황후(孝文幽馮皇后) | 풍씨 | |
| 효문문소고황후(孝文文昭高皇后) | 고씨 | |
| 선무순우황후(宣武順于皇后) | 우씨 | |
| 선무고황후(宣武高皇后) | 고씨 | |
| 선무영호황후(宣武靈胡皇后) | 호씨 | |
| 효명호황후(孝明胡皇后) | 호씨 | |
| 효무고황후(孝武高皇后) | 고씨 | |
| 문을불황후(西魏文乙弗皇后) | 을불씨 | |
| 문도욱구려황후(西魏文悼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폐제우문황후(廢帝宇文皇后) | 우문씨 | |
| 공제약간황후(恭帝若干皇后) | 약간씨 | |
| 효정고황후(孝靜高皇后) | 고씨 |
3. 1. 1. 위(魏) 후비
북위의 황후와 후궁들에 대한 기록이다.| 시호 | 인물 | 비고 |
|---|---|---|
| 신원두황후(神元竇皇后) | 두씨 | |
| 문제봉황후(文帝封皇后) | 봉씨 | |
| 환제유황후(桓帝惟皇后) | 유황후 | |
| 평문왕황후(平文王皇后) | 왕황후 | |
| 소성모용황후(昭成慕容皇后) | 모용씨 | |
| 헌명하황후(獻明賀皇后) | 하씨 | |
| 도무모용황후(道武慕容皇后) | 모용씨 | |
| 도무선목유황후(道武宣穆劉皇后) | 유씨 | |
| 명원소애요황후(明元昭哀姚皇后) | 요씨 | |
| 명원밀두황후(明元密杜皇后) | 두씨 | |
| 태무혁련황후(太武赫連皇后) | 혁련씨 | |
| 태무경애하황후(太武敬哀賀皇后) | 하씨 | |
| 경목공욱구려황후(景穆恭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문성문명풍황후(文成文明馮皇后) | 풍씨 | |
| 문성원이황후(文成元李皇后) | 이씨 | |
| 헌문사이황후(獻文思李皇后) | 이씨 | |
| 효문정임황후(孝文貞林皇后) | 임씨 | |
| 효문폐풍황후(孝文廢馮皇后) | 풍씨 | |
| 효문유풍황후(孝文幽馮皇后) | 풍씨 | |
| 효문문소고황후(孝文文昭高皇后) | 고씨 | |
| 선무순우황후(宣武順于皇后) | 우씨 | |
| 선무고황후(宣武高皇后) | 고씨 | |
| 선무영호황후(宣武靈胡皇后) | 호씨 | |
| 효명호황후(孝明胡皇后) | 호씨 | |
| 효무고황후(孝武高皇后) | 고씨 | |
| 문을불황후(西魏文乙弗皇后) | 을불씨 | |
| 문도욱구려황후(西魏文悼郁久閭皇后) | 욱구려씨 | |
| 폐제우문황후(廢帝宇文皇后) | 우문씨 | |
| 공제약간황후(恭帝若干皇后) | 약간씨 | |
| 효정고황후(孝靜高皇后) | 고씨 |
3. 1. 2. 제(齊) 후비
북제의 후비는 다음과 같다.
- 누소군(婁昭君): 신무제의 황후이자, 문선제, 효소제, 무성제의 어머니이다.
- 욱구려씨(郁久閭氏): 연연공주(蠕蠕公主)로, 신무제의 황후이다.
- 원씨(元氏): 문양제의 황후이다.
- 원옥의(元玉儀): 낭야공주로, 문양제의 부인이다.
- 이조아(李祖娥): 문선제의 황후이다.
- 단소의(段昭儀): 문선제의 후궁이다.
- 원황후(元皇后): 효소제의 황후이다.
- 호황후(胡皇后): 무성제의 황후이다.
- 이부인(李夫人): 홍덕(弘德) 이부인으로, 무성제의 후궁이다.
- 곡률황후(斛律皇后): 후주의 황후이다.
- 호황후(胡皇后): 후주의 황후이다.
- 목야리(穆邪利): 후주의 황후이다.
- 풍소련(馮小憐): 후주의 좌황후(左皇后)이다.
3. 1. 3. 주(周) 후비
북주 문제원황후(文帝元皇后), 문선질노황후(文宣叱奴皇后), 효민황후 원호마(孝閔皇后 元胡摩), 명경독고황후(明敬獨孤皇后), 무성아사나황후(武成阿史那皇后), 무제황후 이아자(武帝皇后 李娥姿), 양여화(宣帝皇后 楊麗華), 주만월(宣帝皇后 硃滿月), 진월의(宣帝皇后 陳月儀), 원악상(宣帝皇后 元樂尙), 위지번치(宣帝皇后 尉遲繁熾), 정제황후 사마영희(靜帝皇后 司馬令姬)3. 1. 4. 수(隋) 후비
독고가라는 문제의 황후로, 뛰어난 정치적 감각으로 국정을 보좌하여 문제와 함께 '이성(二聖)'으로 불렸다. 그러나 만년에는 질투심이 강해져 후궁을 두지 못하게 하였고, 양광(훗날 수 양제)이 진나라를 멸망시킨 후 진숙보의 후궁들을 모두 죽이라고 명하였다.선화진부인은 남진 진선제의 딸이자 진숙보의 이복동생으로, 문제의 후궁이었다. 진나라 멸망 후 수나라에 들어와 수 문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양제 즉위 후에도 후궁으로 있었다.
용화채부인은 수 문제의 후궁으로, 양제 즉위 후에도 후궁으로 있었다.
양제의 황후 양민소황후는 양나라 소명태자의 손녀이자 서량 명제의 딸이다.
3. 2. 위(魏) 열전
북위 황족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인물 |
|---|
| 신원제 자손(神元帝 子孫) 상곡공 흘라, 건덕공 영문, 진정후 륙, 무릉후 인, 장락왕 수락, 망도공 퇴, 곡양후 소연, 순양공 욱, 의도왕 목진, 목제장자 육수, 길양남 비간, 강하공 여 |
| 평문제 자손(平文帝 子孫) 고량왕 고, 서하공 돈, 사도 석, 무위장군 위, 회릉후 대두, 하간공 제, 부풍공 처진, 문안공 니 |
| 소성제 자손(昭成帝 子孫) 탁발식군, 진명왕 한, 상산왕 준, 진류환왕 건, 비릉왕 순, 요서공 의열, 탁발굴돌 |
| 도무제 7왕(道武七王) 청하왕 소, 양평왕 희, 하남왕 요, 하간왕 수, 장락왕 처문, 광평왕 련, 경조왕 려 |
| 명원제 6왕(明元六王) 낙평여왕 비, 안정상왕 미, 낙안선왕 범, 영창장왕 건, 건녕왕 숭, 신흥왕 준 |
| 태무제 5왕(太武五王) 진왕 복라, 동평왕 한, 임회선왕 담, 광양간왕 건, 남안은왕 여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上 양평유왕 신성, 경도강왕 자추, 제음선왕 소신성, 여음영왕 천사, 낙랑여왕 만수, 광평상왕 낙후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下 임성강왕 운, 남안혜왕 정, 성양강왕 장수, 장무경왕 태락, 낙릉강왕 호아, 안정정왕 휴 |
| 문성제 5왕(文成五王) 안락여왕 장락, 광천장왕 략, 제군순왕 간, 하간효왕 약, 안풍광왕 맹 |
| 헌문제 6왕(獻文六王) 함양왕 희, 조군영왕 간, 광릉혜왕 우, 고양문목왕 옹, 팽성무선왕 협, 북해평왕 상 |
| 효문제 6왕(孝文六王) 폐태자 순, 경도왕 유, 청하문헌왕 역, 광평무목왕 회, 여남문선왕 열, 원조 |
3. 2. 1. 위 종실(魏諸宗室)
북위 황족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 인물 |
|---|
| 신원제 자손(神元帝 子孫) 상곡공 흘라, 건덕공 영문, 진정후 륙, 무릉후 인, 장락왕 수락, 망도공 퇴, 곡양후 소연, 순양공 욱, 의도왕 목진, 목제장자 육수, 길양남 비간, 강하공 여 |
| 평문제 자손(平文帝 子孫) 고량왕 고, 서하공 돈, 사도 석, 무위장군 위, 회릉후 대두, 하간공 제, 부풍공 처진, 문안공 니 |
| 소성제 자손(昭成帝 子孫) 탁발식군, 진명왕 한, 상산왕 준, 진류환왕 건, 비릉왕 순, 요서공 의열, 탁발굴돌 |
| 도무제 7왕(道武七王) 청하왕 소, 양평왕 희, 하남왕 요, 하간왕 수, 장락왕 처문, 광평왕 련, 경조왕 려 |
| 명원제 6왕(明元六王) 낙평여왕 비, 안정상왕 미, 낙안선왕 범, 영창장왕 건, 건녕왕 숭, 신흥왕 준 |
| 태무제 5왕(太武五王) 진왕 복라, 동평왕 한, 임회선왕 담, 광양간왕 건, 남안은왕 여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上 양평유왕 신성, 경도강왕 자추, 제음선왕 소신성, 여음영왕 천사, 낙랑여왕 만수, 광평상왕 낙후 |
| 경목제 12왕(景穆十二王) 下 임성강왕 운, 남안혜왕 정, 성양강왕 장수, 장무경왕 태락, 낙릉강왕 호아, 안정정왕 휴 |
| 문성제 5왕(文成五王) 안락여왕 장락, 광천장왕 략, 제군순왕 간, 하간효왕 약, 안풍광왕 맹 |
| 헌문제 6왕(獻文六王) 함양왕 희, 조군영왕 간, 광릉혜왕 우, 고양문목왕 옹, 팽성무선왕 협, 북해평왕 상 |
| 효문제 6왕(孝文六王) 폐태자 순, 경도왕 유, 청하문헌왕 역, 광평무목왕 회, 여남문선왕 열, 원조 |
3. 2. 2. 북위 초기 신하
위조(衛操), 막함(莫含), 유고인(劉庫仁), 위고진(尉古眞), 목숭(穆崇), 해근(奚斤), 숙손건(叔孫建), 안동(安同), 유업연(庾業延), 왕건(王建), 나결(羅結), 누복련(樓伏連), 여대비(閭大肥), 해목(奚牧), 화발(和跋), 막제(莫題), 하적간(賀狄干), 이률(李栗), 해권(奚眷)이 초기에 북위를 섬긴 신하들이다.3. 2. 3. 북위 중기 신하
연봉(燕鳳), 허겸(許謙), 최굉(崔宏), 장곤(張衮), 등언해(鄧彦海), 장손숭(長孫嵩), 장손도생(長孫道生), 장손비(長孫肥), 우율제(于栗磾), 최령(崔逞), 왕헌(王憲), 봉의(封懿), 고필(古弼), 장려(張黎), 유결(劉潔), 구퇴(丘堆), 아청(娥淸), 이후(伊珝), 을괴(乙瑰), 주기(周幾), 두대전(豆代田), 차이락(車伊洛), 왕낙아(王洛兒), 차노두(車路頭), 노노원(盧魯元), 진건(陳建), 내대간(來大干), 숙석(宿石), 만안국(萬安國), 주관(周觀), 위발(尉撥), 육진(陸眞), 여낙발(呂洛拔), 설표자(薛彪子), 위원(尉元), 모용백요(慕容白曜), 화기노(和其奴), 구퇴(苟頹), 우문복(宇文福), 송은(宋隱), 허언(許彦), 조옹(刁雍), 신소선(辛紹先), 위랑(韋閬), 두전(杜銓), 굴준(屈遵), 장포(張蒲), 곡혼(穀渾), 공손표(公孫表), 장제(張濟), 이선(李先), 가이(賈彝), 두근(竇瑾), 이흔(李訢), 한연지(韓延之), 원식(袁式), 모수지(毛修之), 당화(唐和), 구찬(寇贊), 역범(酈範), 한수(韓秀), 요훤(堯暄), 류숭(柳崇), 육사(陸俟), 원가(源賀), 유니(劉尼), 설제(薛提), 사마휴지(司馬休之), 사마초지(司馬楚之), 유창(劉昶), 소보인(蕭寶夤), 소정표(蕭正表), 소지(蕭祗), 소퇴(蕭退), 소태(蕭泰), 소휘(蕭撝), 소원숙(蕭圓肅), 소대원(蕭大圜), 노현(盧玄), 노유(盧柔), 노관(盧觀), 노동(盧同), 노탄(盧誕), 고윤(高允), 고우(高祐), 노조(盧曹), 최감(崔鑒), 최변(崔辯), 최정(崔挺), 이령(李靈), 이순(李順), 이효백(李孝伯), 이예(李裔), 이의심(李義深), 유아(游雅), 고려(高閭), 조일(趙逸), 호수(胡叟), 호방회(胡方回), 장담(張湛), 단승근(段承根), 함인(闞駰), 유정명(劉延明), 조유(趙柔), 색창(索敞), 송요(宋繇), 강식(江式), 왕혜룡(王慧龍), 정희(鄭羲), 설변(薛辯), 설치(薛寘), 설징(薛憕), 한무(韓茂), 피표자(皮豹子), 봉칙문(封敕文), 여나한(呂羅漢), 공백공(孔伯恭), 전익종(田益宗), 맹표(孟表), 해강생(奚康生), 양대안(楊大眼), 최연백(崔延伯), 이숙인(李叔仁), 배준(裴駿), 배연준(裴延雋), 배타(裴佗), 배과(裴果), 배관(裴寬), 배협(裴俠), 배문거(裴文擧), 배인기(裴仁基), 설안도(薛安都), 유휴빈(劉休賓), 방법수(房法壽), 필중경(畢眾敬), 양지(羊祉), 한기린(韓麒麟), 정준(程駿), 이표(李彪), 고도열(高道悅), 견침(甄琛), 장찬(張纂), 고총(高聰), 양파(楊播), 양부(楊敷), 왕숙(王肅), 유방(劉芳), 상상(常爽), 곽조(郭祚), 장이(張彝), 형만(邢巒), 이숭(李崇), 최광(崔光), 최량(崔亮), 배숙업(裴叔業), 하후도천(夏侯道遷), 이원호(李元護), 석법우(席法友), 왕세필(王世弼), 강열지(江悅之), 순우탄(淳于誕), 심문수(沈文秀), 장당(張讜), 이묘(李苗), 유조(劉藻), 부영(傅永), 부수안(傅竪眼), 장열(張烈), 이숙표(李叔彪), 노시경(路恃慶), 방량(房亮), 조세표(曹世表), 반영기(潘永基), 주원욱(朱元旭), 손소(孫紹), 장보혜(張普惠), 성엄(成淹), 범소(範紹), 유도부(劉桃符), 녹여(鹿悆), 장습(張熠), 유도빈(劉道斌), 동소(董紹), 풍원흥(馮元興), 원번(袁翻), 양니(陽尼), 가사백(賈思伯), 조형(祖瑩), 이주영(爾朱榮), 주서(朱瑞), 질렬연경(叱列延慶), 곡사춘(斛斯椿), 가현도(賈顯度), 번자곡(樊子鵠), 후심(侯深), 하발윤(賀拔允), 후막진열(侯莫陳悅), 염현(念賢), 양람(梁覽), 뇌소(雷紹), 모하(毛遐), 을불랑(乙弗朗), 신웅(辛雄), 양기(楊機), 고도목(高道穆), 기준(綦儁), 산위(山偉), 유인지(劉仁之), 우문충지(宇文忠之), 비목(費穆), 맹위(孟威)3. 2. 4. 북위 남조 출신 신하
사마휴지(司馬休之)와 사마초지(司馬楚之), 유창(劉昶), 소보인(蕭寶夤), 소정표(蕭正表), 소지(蕭祗), 소퇴(蕭退), 소태(蕭泰), 소휘(蕭撝), 소원숙(蕭圓肅), 소대원(蕭大圜)은 남조 출신으로 북위에 귀순한 신하들이다. 이들은 남조의 정치적 혼란과 북위의 강성함에 영향을 받아 북위로 망명하거나 귀순하였다. 특히, 소보인은 남제의 황족이었으나, 북위에 투항하여 높은 관직을 역임하고 북위 황실과 혼인하는 등 파격적인 대우를 받았다. 이는 북위가 남조 출신 인재들을 적극적으로 포용하여 체제 강화에 활용하려 한 정책의 일환으로 해석된다.3. 2. 5. 북위 후기 신하
- 연봉(燕鳳), 허겸(許謙), 최굉(崔宏), 장곤(張衮), 등언해(鄧彦海)
- 장손숭(長孫嵩), 장손도생(長孫道生), 장손비(長孫肥)
- 우율제(于栗磾)
- 최령(崔逞), 왕헌(王憲), 봉의(封懿)
- 고필(古弼), 장려(張黎), 유결(劉潔), 구퇴(丘堆), 아청(娥淸), 이후(伊珝), 을괴(乙瑰), 주기(周幾), 두대전(豆代田), 차이락(車伊洛), 왕낙아(王洛兒), 차노두(車路頭), 노노원(盧魯元), 진건(陳建), 내대간(來大干), 숙석(宿石), 만안국(萬安國), 주관(周觀), 위발(尉撥), 육진(陸眞), 여낙발(呂洛拔), 설표자(薛彪子), 위원(尉元), 모용백요(慕容白曜), 화기노(和其奴), 구퇴(苟頹), 우문복(宇文福)
- 송은(宋隱), 허언(許彦), 조옹(刁雍), 신소선(辛紹先), 위랑(韋閬), 두전(杜銓)
- 굴준(屈遵), 장포(張蒲), 곡혼(穀渾), 공손표(公孫表), 장제(張濟), 이선(李先), 가이(賈彝), 두근(竇瑾), 이흔(李訢), 한연지(韓延之), 원식(袁式), 모수지(毛修之), 당화(唐和), 구찬(寇贊), 역범(酈範), 한수(韓秀), 요훤(堯暄), 류숭(柳崇)
- 육사(陸俟), 원가(源賀), 유니(劉尼), 설제(薛提)
- 사마휴지(司馬休之), 사마초지(司馬楚之), 유창(劉昶), 소보인(蕭寶夤), 소정표(蕭正表), 소지(蕭祗), 소퇴(蕭退), 소태(蕭泰), 소휘(蕭撝), 소원숙(蕭圓肅), 소대원(蕭大圜)
- 노현(盧玄), 노유(盧柔), 노관(盧觀), 노동(盧同), 노탄(盧誕)
- 고윤(高允), 고우(高祐), 노조(盧曹)
- 최감(崔鑒), 최변(崔辯), 최정(崔挺)
- 이령(李靈), 이순(李順), 이효백(李孝伯), 이예(李裔), 이의심(李義深)
- 유아(游雅), 고려(高閭), 조일(趙逸), 호수(胡叟), 호방회(胡方回), 장담(張湛), 단승근(段承根), 함인(闞駰), 유정명(劉延明), 조유(趙柔), 색창(索敞), 송요(宋繇), 강식(江式)
- 왕혜룡(王慧龍), 정희(鄭羲)
- 설변(薛辯), 설치(薛寘), 설징(薛憕)
- 한무(韓茂), 피표자(皮豹子), 봉칙문(封敕文), 여나한(呂羅漢), 공백공(孔伯恭), 전익종(田益宗), 맹표(孟表), 해강생(奚康生), 양대안(楊大眼), 최연백(崔延伯), 이숙인(李叔仁)
- 배준(裴駿), 배연준(裴延雋), 배타(裴佗), 배과(裴果), 배관(裴寬), 배협(裴俠), 배문거(裴文擧), 배인기(裴仁基)
- 설안도(薛安都), 유휴빈(劉休賓), 방법수(房法壽), 필중경(畢眾敬), 양지(羊祉)
- 한기린(韓麒麟), 정준(程駿), 이표(李彪), 고도열(高道悅), 견침(甄琛), 장찬(張纂), 고총(高聰)
- 양파(楊播), 양부(楊敷)
- 왕숙(王肅), 유방(劉芳), 상상(常爽)
- 곽조(郭祚), 장이(張彝), 형만(邢巒), 이숭(李崇)
- 최광(崔光), 최량(崔亮)
- 배숙업(裴叔業), 하후도천(夏侯道遷), 이원호(李元護), 석법우(席法友), 왕세필(王世弼), 강열지(江悅之), 순우탄(淳于誕), 심문수(沈文秀), 장당(張讜), 이묘(李苗), 유조(劉藻), 부영(傅永), 부수안(傅竪眼), 장열(張烈), 이숙표(李叔彪), 노시경(路恃慶), 방량(房亮), 조세표(曹世表), 반영기(潘永基), 주원욱(朱元旭)
- 손소(孫紹), 장보혜(張普惠), 성엄(成淹), 범소(範紹), 유도부(劉桃符), 녹여(鹿悆), 장습(張熠), 유도빈(劉道斌), 동소(董紹), 풍원흥(馮元興)
- 원번(袁翻), 양니(陽尼), 가사백(賈思伯), 조형(祖瑩)
- 이주영(爾朱榮)
- 주서(朱瑞), 질렬연경(叱列延慶), 곡사춘(斛斯椿), 가현도(賈顯度), 번자곡(樊子鵠), 후심(侯深), 하발윤(賀拔允), 후막진열(侯莫陳悅), 염현(念賢), 양람(梁覽), 뇌소(雷紹), 모하(毛遐), 을불랑(乙弗朗)
- 신웅(辛雄), 양기(楊機), 고도목(高道穆), 기준(綦儁), 산위(山偉), 유인지(劉仁之), 우문충지(宇文忠之), 비목(費穆), 맹위(孟威)
3. 2. 6. 북위 말기 신하
이주영(爾朱榮)은 북위 말기의 뛰어난 군사 지도자이자 권신이었다. 그는 뛰어난 군사적 재능과 과감한 결단력으로 북위의 혼란을 수습하고 권력을 장악했다.주서(朱瑞), 질렬연경(叱列延慶), 곡사춘(斛斯椿), 가현도(賈顯度), 번자곡(樊子鵠), 후심(侯深), 하발윤(賀拔允), 후막진열(侯莫陳悅), 염현(念賢), 양람(梁覽), 뇌소(雷紹), 모하(毛遐), 을불랑(乙弗朗) 등은 이주영의 휘하에서 활약한 인물들이다.
신웅(辛雄), 양기(楊機), 고도목(高道穆), 기준(綦儁), 산위(山偉), 유인지(劉仁之), 우문충지(宇文忠之), 비목(費穆), 맹위(孟威) 등도 북위 말기에 활동한 주요 신하들이었다.
3. 3. 제(齊) 열전
'''종실(宗室)'''조군정소왕 침(趙郡貞昭王 琛), 청하왕 악(淸河王 岳), 광평공 성(廣平公 盛), 양주공 영락(陽州公 永樂), 양락왕 현국(襄樂王 顯國), 상락왕 사종(上洛王 思宗), 평진왕 귀언(平秦王 歸彦), 장락태수 영산(長樂太守 靈山)
'''신무제 제자(神武帝 諸子)'''
영안간평왕 준(永安簡平王 浚), 평양정익왕 엄(平陽靖翼王 淹), 팽성경사왕 유(彭城景思王 浟), 상당강숙왕 환(上党剛肅王 渙), 양성경왕 육(襄城景王 淯), 임성왕 개(任城王 湝), 고양강목왕 식(高陽康穆王 湜), 박릉간문왕 제(博陵文簡王 濟), 화산왕 응(華山王 凝), 풍익왕 윤(馮翊王 潤), 한양경회왕 흡(漢陽敬懷王 洽)
3. 3. 1. 제 종실 제왕(齊宗室 諸王) (상)
wikitext'''종실(宗室)'''
조군정소왕 침(趙郡貞昭王 琛), 청하왕 악(淸河王 岳), 광평공 성(廣平公 盛), 양주공 영락(陽州公 永樂), 양락왕 현국(襄樂王 顯國), 상락왕 사종(上洛王 思宗), 평진왕 귀언(平秦王 歸彦), 장락태수 영산(長樂太守 靈山)
<'''신무제 제자(神武帝 諸子)'''>
영안간평왕 준(永安簡平王 浚), 평양정익왕 엄(平陽靖翼王 淹), 팽성경사왕 유(彭城景思王 浟), 상당강숙왕 환(上党剛肅王 渙), 양성경왕 육(襄城景王 淯), 임성왕 개(任城王 湝), 고양강목왕 식(高陽康穆王 湜), 박릉간문왕 제(博陵文簡王 濟), 화산왕 응(華山王 凝), 풍익왕 윤(馮翊王 潤), 한양경회왕 흡(漢陽敬懷王 洽)
3. 3. 2. 제 종실 제왕(齊宗室 諸王) (하)
다음은 북제 (북제) 황족들의 기록이다.- '''문양제 제자(文襄帝 諸子)'''
- * 하남강서왕 효유(河南康舒王 孝瑜)
- * 광녕왕 효형(廣寧王 孝珩)
- * 하간왕 효완(河間王 孝琬)
- * 난릉충무왕 효관(蘭陵忠武王 孝瓘)
- * 안덕왕 연종(安德王 延宗)
- * 어양왕 소신(漁陽王 紹信)
- '''문선제 제자(文宣帝 諸子)'''
- * 태원왕 소덕(太原王 紹德)
- * 범양왕 소의(范陽王 紹義)
- * 서하왕 소인(西河王 紹仁)
- * 농서왕 소렴(隴西王 紹廉)
- '''효소제 제자(孝昭帝 諸子)'''
- * 낙평왕 백년(樂陵王 百年)
- * 여남왕 언리(汝南王 彦理)
- * 시평왕 언덕(始平王 彦德)
- * 성양왕 언기(城陽王 彦基)
- * 정양왕 언강(定陽王 彦康)
- * 여양왕 언충(汝陽王 彦忠)
- '''무성제 제자(武成帝 諸子)'''
- * 남양왕 작(南陽王 綽)
- * 낭야왕 엄(琅邪王 儼)
- * 제안왕 곽(齊安王 廓)
- * 북평왕 정(北平王 貞)
- * 고평왕 인영(高平王 仁英)
- * 회남왕 인광(淮南王 仁光)
- * 서하왕 인기(西河王 仁幾)
- * 낙평왕 인옹(樂平王 仁邕)
- * 영천왕 인검(潁川王 仁儉)
- * 낙안왕 인아(安樂王 仁雅)
- * 단양왕 인직(丹陽王 仁直)
- * 동해왕 인겸(東海王 仁謙)
- '''후주 제자(後主 諸子)'''
- * 동평왕 각(東平王 恪)
- * 고선덕(高善德)
- * 고매덕(高買德)
- * 고질전(高質錢)
3. 3. 3. 북제 개국공신
- 북사/권53, 열전41: 만사보(萬俟普), 가주혼원(可朱渾元), 유풍(劉豊), 파륙한상(破六韓常), 김조(金祚), 유귀(劉貴), 채준(蔡儁), 위장명(尉長命), 왕회(王懷), 임상(任祥), 막다루대문(莫多婁貸文), 사적회락(厙狄迴洛), 사적성(厙狄盛), 장보락(張保洛), 후막진상(侯莫陳相), 설고연(薛孤延), 곡률강(斛律羌), 장경(張瓊), 송현(宋顯), 왕칙(王則), 모용소종(慕容紹宗), 질렬평(叱列平), 보대한살(步大汗薩), 설수의(薛脩義), 모용엄(慕容儼), 반락(潘樂), 팽락(彭樂), 폭현(暴顯), 피경화(皮景和), 기련맹(綦連猛), 원경안(元景安), 독고영업(獨孤永業), 선우세영(鮮于世榮), 부복(傅伏)
- 북사/권54, 열전42: 손등(孫騰), 고융지(高隆之), 사마자여(司馬子如), 두태(竇泰), 위경(尉景), 누소(婁昭), 사적간(厙狄干), 한궤(韓軌), 단영(段榮), 곡률금(斛律金)
- 북사/권55, 열전43: 손건(孫搴), 진원강(陳元康), 두필(杜弼), 방모(房謨), 장찬(張纂), 장량(張亮), 장요(張耀), 왕준(王峻), 왕굉(王紘), 경현준(敬顯儁), 평감(平鑒), 당옹(唐邕), 백건(白建), 원문요(元文遙), 조언심(趙彦深), 혁련자열(赫連子悅), 풍자종(馮子琮), 낭기(郎基)
3. 3. 4. 북제 문인
wikitext- 위수(魏收)
- 위장현(魏長賢)
- 위계경(魏季景)
- 위난근(魏蘭根)
3. 4. 주(周) 열전
소혜공 호(邵惠公 顥), 기간공 연(杞簡公 連), 거장공 낙생(莒莊公 洛生), 우국공 중(虞國公 仲), 광천정공 측(廣川靖公 測), 동평공 신거(東平公 神擧) 등이 기록되어 있다.3. 4. 1. 주 종실(周宗室)
소혜공 호(邵惠公 顥), 기간공 연(杞簡公 連), 거장공 낙생(莒莊公 洛生), 우국공 중(虞國公 仲), 광천정공 측(廣川靖公 測), 동평공 신거(東平公 神擧) 등이 기록되어 있다.3. 4. 2. 주실 제왕(周室諸王)
북주 문제 10자(文帝 十子)로는 송헌공 진(宋獻公 震), 위랄왕 직(衞剌王 直), 제양왕 헌(齊煬王 憲), 조참왕 초(趙僭王 招), 초효왕 검(譙孝王 儉), 진혹왕 순(陳惑王 純), 조야왕 성(越野王 盛), 대비왕 달(代奰王 達), 기강공 통(冀康公 通), 등문왕 유(滕聞王 逌)가 있다.효민제 제자(孝閔帝 諸子) 및 명제 3자(明帝 三子)로는 기여왕 강(紀厲王 康), 필랄왕 현(畢剌王 賢), 풍왕 정(鄷王 貞), 송왕 식(宋王 寔)이 있다.
무제 6자(武帝 六子)로는 한왕 찬(漢王 贊), 진왕 지(秦王 贄), 조왕 윤(曹王 允), 도왕 충(道王 充), 채왕 태(蔡王 兌), 형왕 원(荊王 元)이 있다.
선제 2자(宣帝 二子)로는 업왕 간(鄴王 衎), 영왕 술(郢王 術)이 있다.
3. 4. 3. 북주 개국공신
wikitext- 권59 - 구낙(寇洛), 조귀(趙貴), 이현(李賢), 양어(梁禦)
- 권60 - 이필(李弼), 우문귀(宇文貴), 후막진숭(侯莫陳崇), 왕웅(王雄)
- 권61 - 왕맹(王盟), 독고신(獨孤信), 두치(竇熾), 하란상(賀蘭祥), 질렬복구(叱列伏龜), 염경(閻慶), 사녕(史寧), 권경선(權景宣)
- 권62 - 왕비(王羆), 왕사정(王思政), 위지형(尉遲迥), 왕궤(王軌)
- 권63 - 주혜달(周惠達), 풍경(馮景), 소작(蘇綽)
- 권64 - 위효관(韋孝寬), 위전(韋瑱), 류규(柳虯)
- 권65 - 달해무(達奚武), 약간혜(若干惠), 이봉(怡峯), 유량(劉亮), 왕덕(王德), 혁련달(赫連達), 한과(韓果), 채우(蔡祐), 상선(常善), 신위(辛威), 사적창(厙狄昌), 양춘(梁椿), 양대(梁臺), 전홍(田弘)
- 권66 - 왕걸(王傑), 왕용(王勇), 우문규(宇文虯), 경호(耿豪), 고림(高琳), 이화(李和), 이루목(伊婁穆), 달해식(達奚寔), 유웅(劉雄), 후식(侯植), 이연손(李延孫), 위우(韋祐), 진흔(陳忻), 위현(魏玄), 천기(泉企), 이천철(李遷哲), 양건운(楊乾運), 부맹(扶猛), 양웅(陽雄), 석고(席固), 임과(任果)
- 권67 - 최언목(崔彦穆), 양찬(楊纂), 단영(段永), 영호정(令狐整), 당영(唐永), 류민(柳敏), 왕사량(王士良)
- 권68 - 두로녕(豆盧寧), 양소(楊紹), 왕아(王雅), 한웅(韓雄), 하약돈(賀若敦)
- 권69 - 신휘(申徽), 육통(陸通), 사적치(厙狄峙), 양천(楊荐), 왕경(王慶), 조강(趙剛), 조창(趙昶), 왕열(王悅), 조문표(趙文表), 원정(元定), 양표(楊摽)
- 권70 - 한포(韓褒), 조숙(趙肅), 장궤(張軌), 이언(李彦), 곽언(郭彦), 양흔(梁昕), 황보번(皇甫璠), 신경지(辛慶之), 왕자직(王子直), 두고(杜杲), 여사례(呂思禮), 서소(徐招), 단저(檀翥), 맹신(孟信), 종름(宗懍), 유번(劉璠), 류히(柳霞)
3. 4. 4. 북주 문인
wikitext3. 4. 5. 북주 충신
wikitext- 권61: 왕맹(王盟), 독고신(獨孤信), 두치(竇熾), 하란상(賀蘭祥), 질렬복구(叱列伏龜), 염경(閻慶), 사녕(史寧), 권경선(權景宣)
- 권62: 왕비(王羆), 왕사정(王思政), 위지형(尉遲迥), 왕궤(王軌)
- 권63: 주혜달(周惠達), 풍경(馮景), 소작(蘇綽)
- 권64: 위효관(韋孝寬), 위전(韋瑱), 류규(柳虯)
- 권65: 달해무(達奚武), 약간혜(若干惠), 이봉(怡峯), 유량(劉亮), 왕덕(王德), 혁련달(赫連達), 한과(韓果), 채우(蔡祐), 상선(常善), 신위(辛威), 사적창(厙狄昌), 양춘(梁椿), 양대(梁臺), 전홍(田弘)
- 권66: 왕걸(王傑), 왕용(王勇), 우문규(宇文虯), 경호(耿豪), 고림(高琳), 이화(李和), 이루목(伊婁穆), 달해식(達奚寔), 유웅(劉雄), 후식(侯植), 이연손(李延孫), 위우(韋祐), 진흔(陳忻), 위현(魏玄), 천기(泉企), 이천철(李遷哲), 양건운(楊乾運), 부맹(扶猛), 양웅(陽雄), 석고(席固), 임과(任果)
- 권67: 최언목(崔彦穆), 양찬(楊纂), 단영(段永), 영호정(令狐整), 당영(唐永), 류민(柳敏), 왕사량(王士良)
- 권68: 두로녕(豆盧寧), 양소(楊紹), 왕아(王雅), 한웅(韓雄), 하약돈(賀若敦)
- 권69: 신휘(申徽), 육통(陸通), 사적치(厙狄峙), 양천(楊荐), 왕경(王慶), 조강(趙剛), 조창(趙昶), 왕열(王悅), 조문표(趙文表), 원정(元定), 양표(楊摽)
- 권70: 한포(韓褒), 조숙(趙肅), 장궤(張軌), 이언(李彦), 곽언(郭彦), 양흔(梁昕), 황보번(皇甫璠), 신경지(辛慶之), 왕자직(王子直), 두고(杜杲), 여사례(呂思禮), 서소(徐招), 단저(檀翥), 맹신(孟信), 종름(宗懍), 유번(劉璠), 유히(柳霞)
3. 5. 수(隋) 열전
'''종실(宗室)'''- 채경왕 정(蔡景王 整), 등목왕 찬(滕穆王 瓚), 도선왕 숭(道宣王 嵩), 위소왕 상(衞昭王 爽), 하간왕 홍(河間王 弘), 의성공공 처강(義城恭公 處綱), 양자숭(楊子崇)
'''문제 4자(文帝 四子)'''
- 방릉왕 용(房陵王 勇), 진효왕 준(秦孝王 俊), 서인 수(庶人 秀) , 서인 량(庶人 諒)
'''양제 3자(煬帝 三子)'''
- 원덕태자 소(元德太子 昭), 제왕 간(齊王 暕), 조왕 고(趙王 杲)
3. 5. 1. 수 종실 제왕(隋宗室 諸王)
'''종실(宗室)'''- 채경왕 정(蔡景王 整), 등목왕 찬(滕穆王 瓚), 도선왕 숭(道宣王 嵩), 위소왕 상(衞昭王 爽), 하간왕 홍(河間王 弘), 의성공공 처강(義城恭公 處綱), 양자숭(楊子崇)
'''문제 4자(文帝 四子)'''
- 방릉왕 용(房陵王 勇), 진효왕 준(秦孝王 俊), 서인 수(庶人 秀), 서인 량(庶人 諒)
'''양제 3자(煬帝 三子)'''
- 원덕태자 소(元德太子 昭), 제왕 간(齊王 暕), 조왕 고(趙王 杲)
3. 5. 2. 수나라 개국공신
wikitable| ### | 부제 | 인물 | 비고 | |
|---|---|---|---|---|
| 권72 | 열전60 | 고경, 우홍, 이덕림 | ||
| 권73 | 열전61 | 양사언, 원해, 우경칙, 원주, 달해장유, 하루자간, 사만세, 유방, 두언, 주요, 독고개, 걸복혜, 장위, 화홍, 음수, 양의신 | ||
| 권74 | 열전62 | 유방, 류구, 황보적, 곽연, 장형, 양왕, 배온, 원충, 이웅 | ||
| 권75 | 열전63 | 조경, 조분, 왕소, 원암, 우문필, 이누겸, 이원통, 곽영, 농황, 이안, 양상희, 장경, 소효자, 원수 | ||
| 권76 | 열전64 | 단문진, 내호아, 번자개, 주라후, 주법상, 위현, 유권, 이경, 설세웅 | ||
| 권77 | 열전65 | 배정, 이악, 포굉, 고구, 영비, 육지명, 양비, 류욱, 조작, 두정 | ||
| 권78 | 열전66 | 장정화, 장윤, 맥철장, 권무, 왕인공, 토만서, 동순, 어구라, 왕변, 진릉, 조재 | ||
| 권79 | 열전67 | 우문술, 왕세충, 단달 | ||
3. 5. 3. 수나라 문신
wikitext- 고경(高熲)
- 우홍(牛弘)
- 이덕림(李德林)
- 양사언(梁士彦)
- 원해(元諧)
- 우경칙(虞慶則)
- 원주(元胄)
- 달해장유(達奚長儒)
- 하루자간(賀婁子幹)
- 사만세(史萬歲)
- 유방(劉方)
- 두언(杜彦)
- 주요(周搖)
- 독고개(獨孤揩)
- 걸복혜(乞伏慧)
- 장위(張威)
- 화홍(和洪)
- 음수(陰壽)
- 양의신(楊義臣)
- 유방(劉昉)
- 류구(柳裘)
- 황보적(皇甫績)
- 곽연(郭衍)
- 장형(張衡)
- 양왕(楊汪)
- 배온(裴蘊)
- 원충(袁充)
- 이웅(李雄)
- 조경(趙煚)
- 조분(趙芬)
- 왕소(王韶)
- 원암(元巖)
- 우문필(宇文弼)
- 이누겸(伊婁謙)
- 이원통(李圓通)
- 곽영(郭榮)
- 농황(龎晃)
- 이안(李安)
- 양상희(楊尙希)
- 장경(張煚)
- 소효자(蘇孝慈)
- 원수(元壽)
- 단문진(段文振)
- 내호아(來護兒)
- 번자개(樊子蓋)
- 주라후(周羅睺)
- 주법상(周法尙)
- 위현(衞玄)
- 유권(劉權)
- 이경(李景)
- 설세웅(薛世雄)
- 배정(裴政)
- 이악(李諤)
- 포굉(鮑宏)
- 고구(高構)
- 영비(榮毗)
- 육지명(陸知命)
- 양비(梁毗)
- 류욱(柳彧)
- 조작(趙綽)
- 두정(杜整)
- 장정화(張定和)
- 장윤(張奫)
- 맥철장(麥鐵杖)
- 권무(權武)
- 왕인공(王仁恭)
- 토만서(吐萬緖)
- 동순(董純)
- 어구라(魚俱羅)
- 왕변(王辯)
- 진릉(陳稜)
- 조재(趙才)
- 우문술(宇文述)
- 왕세충(王世充)
- 단달(段達)
3. 5. 4. 수나라 무신
북사 권73, 권74, 권76, 권78, 권79에 등장하는 수나라의 무신들은 다음과 같다.- 권73: 양사언(梁士彦), 원해(元諧), 우경칙(虞慶則), 원주(元胄), 달해장유(達奚長儒), 하루자간(賀婁子幹), 사만세(史萬歲), 유방(劉方), 두언(杜彦), 주요(周搖), 독고개(獨孤揩), 걸복혜(乞伏慧), 장위(張威), 화홍(和洪), 음수(陰壽), 양의신(楊義臣)
- 권74: 유방(劉昉), 류구(柳裘), 황보적(皇甫績), 곽연(郭衍), 장형(張衡), 양왕(楊汪), 배온(裴蘊), 원충(袁充), 이웅(李雄)
- 권76: 단문진(段文振), 내호아(來護兒), 번자개(樊子蓋), 주라후(周羅睺), 주법상(周法尙), 위현(衞玄), 유권(劉權), 이경(李景), 설세웅(薛世雄)
- 권78: 장정화(張定和), 장윤(張奫), 맥철장(麥鐵杖), 권무(權武), 왕인공(王仁恭), 토만서(吐萬緖), 동순(董純), 어구라(魚俱羅), 왕변(王辯), 진릉(陳稜), 조재(趙才)
- 권79: 우문술(宇文述), 왕세충(王世充), 단달(段達)
3. 6. 기타 열전
북사/권80에는 역대 왕조의 외척(外戚)들의 기록이 담겨있다. 여기에는 하눌, 요황미, 두초, 하미, 여비, 풍희, 이혜, 고조, 호국진, 양등, 을불회, 조맹, 호장인 등이 포함된다.3. 6. 1. 외척(外戚)
북사/권80에는 역대 왕조의 외척(外戚)들의 기록이 담겨있다. 여기에는 하눌(賀訥), 요황미(姚黃眉), 두초(杜超), 하미(賀迷), 여비(閭毗), 풍희(馮熙), 이혜(李惠), 고조(高肇), 호국진(胡國珍), 양등(楊騰), 을불회(乙弗繪), 조맹(趙猛), 호장인(胡長仁) 등이 포함된다.3. 6. 2. 유림(儒林) (상)
북사 권81에 수록된 유림전(儒林傳) 상(上)에는 양월(梁越), 노추(盧醜), 장위(張偉), 양조(梁祚), 평항(平恆), 진기(陳奇), 유헌지(劉獻之), 장오귀(張吾貴), 유란(劉蘭), 손혜위(孫惠蔚), 마자결(馬子結), 석요(石曜), 영휘(靈暉), 서준명(徐遵明), 동징(董徵), 이현(李鉉), 풍위(馮偉), 장매노(張買奴), 유궤사(劉軌思), 포계상(鮑季詳), 형치(邢峙), 유주(劉晝), 마경덕(馬敬德), 장경인(張景仁), 권회(權會), 장사백(張思伯), 장조무(張雕武), 곽준(郭遵) 등 유학자들의 기록이 담겨있다.3. 6. 3. 유림(儒林) (하)
심중(沈重), 번심(樊深), 웅안생(熊安生), 악손(樂遜), 여경희(黎景熙), 기준(冀俊), 조문심(趙文深), 신언지(辛彦之), 하타(何妥), 소해(蕭該), 포개(包愷), 방휘원(房暉遠), 마광(馬光), 유작(劉焯), 유현(劉炫), 저휘(褚暉), 고표(顧彪), 노세달(魯世達), 장충(張沖), 왕효적(王孝籍)은 모두 유학에 조예가 깊었던 인물들이다.3. 6. 4. 문원(文苑)
온자승(溫子升), 순제(荀濟), 조홍훈(祖鴻勳), 이광(李廣), 번손(樊遜), 순사손(荀士遜), 왕포(王褒), 유신(庾信), 안지추(顔之推), 우세기(虞世基), 류변(柳䛒), 허선심(許善心), 이문박(李文博), 명극양(明克讓), 유진(劉臻), 제갈영(諸葛潁), 왕정(王貞), 우작(虞綽), 왕주(王胄), 유자직(庾自直), 반휘(潘徽), 상덕지(常德志), 윤식(尹式), 유선경(劉善經), 조군언(祖君彦), 공덕소(孔德紹), 유빈(劉斌) 등 여러 문학가들의 기록이 북사 권83, 열전71에 실려있다.3. 6. 5. 효행(孝行)
장손려(長孫慮), 걸복보(乞伏保), 손익덕(孫益德), 동낙생(董洛生), 양인(楊引), 염원명(閻元明), 오실달(吳悉達), 왕속생(王續生), 이현달(李顯達), 창발(倉跋), 장승(張升), 왕숭(王崇), 곽문공(郭文恭), 형가(荊可), 진족(秦族), 황보하(皇甫遐), 장원(張元), 왕반(王頒), 제규(弟頍), 양경(楊慶), 전익(田翼), 뉴인(紐因), 유사준(劉仕俊), 적보림(翟普林), 화추(華秋), 서효숙(徐孝肅) 등의 효행이 기록되어 있다.3. 6. 6. 절의(節義)
북사 〈열전〉73에 실린 절의(節義)는 국가에 충성하고 의리를 지킨 인물들의 기록이다. 어십문(於什門), 단진(段進), 석문덕(石文德), 급고(汲固), 왕현위(王玄威), 누제(婁提), 유갈후(劉渴侯), 주장생(硃長生), 마팔룡(馬八龍), 문문애(門文愛), 조청(晁淸), 유후인(劉侯仁), 석조흥(石祖興), 소홍철(邵洪哲), 왕영세(王榮世), 호소표(胡小彪), 손도등(孫道登), 이기(李幾), 장안조(張安祖), 왕려(王閭), 곽염(郭琰), 답용초(遝龍超), 을속고불보(乙速孤佛保), 이당(李棠), 두숙비(杜叔毗), 유홍(劉弘), 유원(游元), 장수타(張須陀), 양선회(楊善會), 노초(盧楚), 유자익(劉子翊), 요군소(堯君素), 진효의(陳孝意), 장계순(張季珣), 두송윤(杜松贇), 곽세준(郭世俊), 낭방귀(郎方貴) 등이 기록되어 있다.3. 6. 7. 순리(循吏)
장응(張膺), 노옹(路邕), 염경윤(閻慶胤), 명량(明亮), 두찬(杜纂), 두원(竇瑗), 소숙(蘇淑), 장화원(張華原), 맹업(孟業), 소경(蘇瓊), 노거병(路去病), 양언광(梁彦光), 번숙략(樊叔略), 공손경무(公孫景茂), 신공의(辛公義), 류검(柳儉), 곽현경숙(郭絢敬肅), 유광(劉曠), 왕가(王伽), 위덕심(魏德深) 등의 덕이 있는 관리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3. 6. 8. 혹리(酷吏)
북사 〈권87〉은 우낙후(于洛侯), 호니(胡泥), 이홍지(李洪之), 장사제(張赦提), 조패(趙霸), 최섬(崔暹), 저진(邸珍), 전식(田式), 연영(燕榮), 원홍사(元弘嗣), 왕문동(王文同) 등 잔혹한 관리들의 기록을 담고 있다.3. 6. 9. 은일(隱逸)
wikitext북사 <은일(隱逸)>은 숨어사는 은자들에 대한 기록이다. 여기에는 휴과(眭誇), 풍량(馮亮), 정수(鄭修), 최곽(崔廓), 서칙(徐則), 장문후(張文詡) 등이 기록되어 있다.
3. 6. 10. 예술(藝術) (상)
권89에는 조숭(晁崇), 장심(張深), 승화(僧化), 은소(殷紹), 왕조(王早), 경현(耿玄), 유영조(劉靈助), 이순흥(李順興), 단특사(檀特師), 유오도영(由吾道榮), 안악두(顔惡頭), 왕춘(王春), 신도방(信都芳), 송경업(宋景業), 허준(許遵), 오준세(吳遵世), 조보화(趙輔和), 황보옥(皇甫玉), 해법선(解法選), 위녕(魏寧), 기모회문(綦母懷文), 장자신(張子信), 육법화(陸法和), 장승(蔣升), 강련(强練), 유계재(庾季才), 노태익(盧太翼), 경순(耿詢), 내화(來和), 소길(蕭吉), 양백추(楊伯醜), 임효공(臨孝恭), 유우(劉祐), 장주현(張胄玄) 등 점술가들의 기록이 있다.3. 6. 11. 예술(藝術) (하)
주담(周澹), 이수(李修), 서건(徐謇), 왕현(王顯), 마사명(馬嗣明), 요승원(姚僧垣), 저해(褚該), 허지장(許智藏), 만보상(萬寶常), 장소유(蔣少游), 하조(何稠) 등이 기록되어 있다.3. 6. 12. 열녀(列女)
북사/권91은 열녀(列女)에 대한 기록이다. 여기에는 위최람 처 봉씨(魏崔覽 妻 封氏), 봉탁 처 유씨(封卓 妻 劉氏), 위부 처 방씨(魏溥 妻 房氏), 호장명 처 장씨(胡長命 妻 張氏), 평원현여자 손씨(平原縣女子 孫氏), 방애친 처 최씨(房愛親 妻 崔氏), 경주정녀 아씨(涇州貞女 兒氏), 요씨 아내 양씨(姚氏 婦 楊氏), 장홍기 처 유씨(張洪祁 妻 劉氏), 동경기 처 장씨(董景起 妻 張氏), 양니 처 고씨(陽尼 妻 高氏), 사영주 처 경씨(史映周 妻 耿氏), 임성국태비 맹씨(任城國太妃 孟氏), 구금룡 처 유씨(苟金龍 妻 劉氏), 정효여종(貞孝女宗), 하동요씨 딸(河東姚氏 女), 조사준 처 노씨(刁思遵 妻 魯氏), 손도온 처 조씨(孫道溫 妻 趙氏), 맹신 처 진씨(孫神 妻 陳氏), 난릉공주(蘭陵公主), 남양공주(南陽公主), 양성왕각비(襄城王恪妃), 화양왕해비(華陽王楷妃), 초국부인 세씨(譙國夫人 洗氏), 정선과 모친 최씨(鄭善果 母 崔氏), 효녀 왕순(孝女 王舜), 한기 처 우씨(韓覬 妻 于氏), 육양 모친 풍씨(陸讓 母 馮氏), 유창 딸(劉昶 女), 종사웅 모친 장씨(鐘士雄 母 蔣氏), 효부 담씨(孝婦 覃氏), 원무광 모친 노씨(元務光 母 盧氏), 배륜 처 류씨(裴倫 妻 柳氏), 조원해 처 최씨(趙元楷 妻 崔氏) 등 모범적인 여성들의 이야기가 기록되어 있다.3. 6. 13. 은倖(은총받은 신하)
왕예(王睿), 왕중흥(王仲興), 구맹(寇猛), 조수(趙修), 여호(茹皓), 조옹(趙邕), 후강(侯剛), 서흘(徐紇), 종애(宗愛), 구낙제(仇洛齊), 단패(段霸), 왕거(王琚), 조묵(趙默), 손소(孫小), 장종지(張宗之), 극붕(劇鵬), 장우(張祐), 포의(抱嶷), 왕우(王遇), 부승조(苻承祖), 왕질(王質), 이견(李堅), 진송(秦松), 백정(白整), 유등(劉騰), 가찬(賈粲), 양범(楊范), 성궤(成軌), 왕온(王溫), 맹란(孟欒), 평계(平季), 봉진(封津), 유사일(劉思逸), 장경숭(張景嵩), 모창(毛暢), 곽수(郭秀), 화사개(和士開), 목제파(穆提婆), 고아나굉(高阿那肱), 한봉(韓鳳) 등이 은총받은 신하로 기록되어 있다.3. 6. 14. 참위부용(僭僞附庸)
하 혁련씨(赫連氏), 연 모용씨(慕容氏), 후진(後秦) 요씨(姚氏), 북연 풍씨(馮氏), 서진 걸복씨(乞伏氏), 북량 저거씨(沮渠氏), 양 소씨(蕭氏) 정권에 대한 기록이 담겨 있다.3. 6. 15. 외국전
wikitext고려(高麗), 백제(百濟), 신라(新羅), 물길(勿吉), 해(奚), 거란(契丹), 실위(室韋), 두막루(豆莫婁), 지두간(地豆干), 오락후(烏洛侯), 유구(流求), 왜(倭)
3. 6. 16. 서전(序傳)
북사는 당나라 초기의 역사가 이연수가 편찬한 북조의 정사(正史)이다. 북위(北魏)부터 수(隋)나라까지의 역사를 다루고 있으며, 총 10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서전(序傳)은 북사의 전체적인 내용을 소개하고 편찬 배경 등을 설명하는 서문 역할을 한다.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