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94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1394년은 명나라 홍무 27년, 일본 메이토쿠 5년/오에이 원년, 조선 태조 3년 등에 해당하며, 갑술년이다. 주요 사건으로는 왜구의 침입과 격퇴, 조선의 한양 천도, 정도전의 《조선경국전》 편찬 등이 있었다. 주요 인물로는 엔히크 왕자, 필리파 잉글랜드 공주, 아시카가 요시노리 등이 탄생했고, 공양왕, 보헤미아의 안나, 초케이 천황 등이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1394년 | |
---|---|
연도 정보 | |
기년법 | 단기 3727년 갑오년 불기 1938년 황기 2054년 |
주요 사건 | |
발생 | 고려에서 조선으로 왕조가 바뀜 (이성계가 태조로 즉위) 양촌 권근이 입학도설을 편찬함 |
탄생 | 조선 세조 조선 문종 |
사망 | 공양왕 이색 |
2. 연호
3. 기년
4. 주요 사건
- 2월 28일 - 영국 국왕 리처드 2세가 외교관이자 왕실 공사로서의 공로를 인정하여 제프리 초서에게 평생 연금 20GBP를 지급하도록 하였다.[1]
- 6월 11일 - 베네치아 공화국이 데스포트 테오도로스 1세 팔라이올로고스로부터 아르고스를 장악하였다.[2]
- 9월 17일 - 프랑스 국왕 샤를 6세가 프랑스 내 모든 유대인의 추방을 명령하였다.[3]
- 9월 28일 -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의 뒤를 이어 선출되었다.[4]
- 10월 10일 - 카라노바사 전투: 발라키아(현재 루마니아 남부)가 오스만 제국과 그 세르비아, 불가리아 속국들의 침략에 저항하였다.[5]
- 11월 29일 – 조선 왕조의 수도가 개경(현재 개성)에서 한성(현재 서울)으로 천도되었다.
- 12월 6일 - 슈트랄준트의 성 니콜라스 교회 천문시계가 완성되어 니콜라우스 릴리엔펠트가 서명하였다.
- 오스만 제국이 테살리아(현재 그리스 동부)를 정복하고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를 8년간 포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같은 해, 오스만 제국은 포위 공격 중 방어를 위해 아나돌루히사르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하였다.[6]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일본 쇼군직에서 은퇴하고 그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모치가 계승하였다.
- 델리 술탄국에서 마흐무드 2세 술탄의 사망 후 내전이 발발하여 국가가 동서로 분열되었다.
- 로스-믹-트리우인 전투: 아르트 막 아르트 맥머러-카바너 왕이 이끄는 레인스터 왕국이 리처드 2세와 로저 모티머 4세가 이끄는 잉글랜드 침략군을 물리쳤다.
- 슈테판 1세가 로만 1세의 뒤를 이어 몰다비아 공작(현재 몰도바와 루마니아 동부)이 되었다.
- 아부 자얀 2세가 그의 형제 아불 하자자 1세의 뒤를 이어 현재 알제리 동부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7]
- 압드 알-아지즈 2세가 아부 알-압바스 아흐마드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튀니지의 하프시드 왕조의 통치자가 되었다.[8]
- 알가이어 브라우하우스 양조장이 현재 독일에서 설립되었다.[9]
- 중국 명나라 홍무제가 공작부에 공고를 내려, 이가 제도의 각 가구 100호마다 뽕나무와 대추나무를 심기 위해 2무(1390m2)의 땅을 따로 마련하도록 하였다.
4. 1. 조선
- 음력 3월 17일, 수군 첨절제사(水軍僉節制使) 김빈길(金贇吉)과 만호(萬戶) 김윤검(金允劍)·김문발(金文發) 등이 왜적의 배 3척을 잡아서 다 죽였다는 보고가 조정에 올라왔다.[19]
- 음력 8월 15일, 왜구가 충청도 안성에 침입하였는데, 수군 만호 장용검(張龍劍)이 왜선 9척을 노획하였다.[20]
- 11월 18일(음력 10월 25일) - 조선의 도읍을 한양으로 천도하다.[21]
- 정도전이 《조선경국전》을 편찬하다.
- 11월 29일 – 조선 왕조의 수도가 개경(현재 개성)에서 한성(현재 서울)으로 천도된다.
- 경복궁과 종묘(서울)가 한성(현재 서울)에 건설된다.
4. 2. 명나라
중국 명나라 홍무제가 공작부에 공고를 내려, 이가 제도의 각 가구 100호마다 뽕나무와 대추나무를 심기 위해 2무 (1390m2)의 땅을 따로 마련하도록 했다.4. 3. 일본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일본 쇼군직에서 은퇴하고 그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모치가 계승한다.4. 4. 오스만 제국
오스만 제국이 테살리아(현재 그리스 동부)를 정복하고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를 8년간 포위 공격하기 시작했다. 같은 해, 오스만 제국은 포위 공격 중 방어를 위해 아나돌루히사르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한다.[6]4. 5. 서유럽
- 2월 28일 – 영국 국왕 리처드 2세가 외교관이자 왕실 공사(Clerk of The King's Works)로서의 공로를 인정하여 제프리 초서에게 평생 연금 20GBP를 지급하도록 한다.[1]
- 6월 11일 – 베네치아 공화국이 데스포트 테오도로스 1세 팔라이올로고스로부터 아르고스를 장악한다.[2]
- 9월 17일 – 프랑스 국왕 샤를 6세가 프랑스 내 모든 유대인의 추방을 명령한다.[3]
- 9월 28일 –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의 뒤를 이어 선출된다.[4]
- 12월 6일 – 슈트랄준트의 성 니콜라스 교회 천문시계가 완성되어 니콜라우스 릴리엔펠트가 서명한다.
- 로스-믹-트리우인 전투: 아르트 막 아르트 맥머러-카바너 왕이 이끄는 레인스터 왕국이 리처드 2세와 로저 모티머 4세가 이끄는 잉글랜드 침략군을 물리친다.
- 슈테판 1세가 로만 1세의 뒤를 이어 몰다비아 공작(현재 몰도바와 루마니아 동부)이 된다.
- 알가이어 브라우하우스 양조장이 현재 독일에서 설립된다.[9]
4. 6. 기타 지역
- 2월 28일 - 영국 국왕 리처드 2세가 외교관이자 왕실 공사(Clerk of The King's Works)로서의 공로를 인정하여 제프리 초서에게 평생 연금 20GBP를 지급하도록 한다.[1]
- 6월 11일 - 베네치아 공화국이 데스포트 테오도로스 1세 팔라이올로고스로부터 아르고스를 장악한다.[2]
- 9월 17일 - 프랑스 국왕 샤를 6세가 프랑스 내 모든 유대인의 추방을 명령한다.[3]
- 9월 28일 - 대립교황 베네딕토 13세가 대립교황 클레멘스 7세의 뒤를 이어 선출된다.[4]
- 10월 10일 - 카라노바사 전투: 발라키아(현재 루마니아 남부)가 오스만 제국과 그 세르비아, 불가리아 속국들의 침략에 저항한다.[5]
- 12월 6일 - 슈트랄준트의 성 니콜라스 교회 천문시계가 완성되어 니콜라우스 릴리엔펠트가 서명한다.
- 오스만 제국이 테살리아(현재 그리스 동부)를 정복하고 비잔티움 제국 콘스탄티노폴리스를 8년간 포위 공격하기 시작한다. 같은 해, 그들은 포위 공격 중 방어를 위해 아나돌루히사르 요새를 건설하기 시작한다.[6]
- 아시카가 요시미쓰가 일본 쇼군직에서 은퇴하고 그의 아들 아시카가 요시모치가 계승한다.
- 델리 술탄국에서 마흐무드 2세 술탄의 사망 후 내전이 발발하여 국가가 동서로 분열된다.
- 로스-믹-트리우인 전투: 아르트 막 아르트 맥머러-카바너 왕이 이끄는 레인스터 왕국이 리처드 2세와 로저 모티머 4세가 이끄는 잉글랜드 침략군을 물리친다.
- 슈테판 1세가 로만 1세의 뒤를 이어 몰다비아 공작(현재 몰도바와 루마니아 동부)이 된다.
- 아부 자얀 2세가 그의 형제 아불 하자자 1세의 뒤를 이어 현재 알제리 동부의 압달와디드 왕조의 통치자가 된다.[7]
- 압드 알-아지즈 2세가 아부 알-압바스 아흐마드 2세의 뒤를 이어 현재 튀니지의 하프시드 왕조의 통치자가 된다.[8]
- 알가이어 브라우하우스 양조장이 현재 독일에서 설립된다.[9]
- 중국 명나라 홍무제가 공작부에 공고를 내려, 이가 제도의 각 가구 100호마다 뽕나무와 대추나무를 심기 위해 2무(1390m2)의 땅을 따로 마련하도록 한다.
5. 탄생
- 3월 4일 - 엔히크(엔리케) 왕자, 포르투갈 왕자. [10]
- 6월 4일 - 필리파 잉글랜드 공주,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비. [11]
- 7월 12일 - 아시카가 요시노리, 일본의 쇼군.[12]
- 7월 25일 - 제임스 1세, 스코틀랜드 왕.[12]
- 11월 24일 - 샤를 드 오를레앙 공작, 프랑스 시인.[13]
- 울루그 베그 - 티무르 제국 통치자이자 천문학자.
- 익큐 - 일본 선종 승려이자 시인.
- 마이클 드 라 폴, 서퍽 백작 3세 - 잉글랜드 귀족.[14]
- 마조프셰의 킴부르기스 - 오스트리아 여공작 (추정).
- 헨리 퍼시 - 잉글랜드 귀족, 노섬벌랜드 백작.
- 존 포티스큐 - 영국의 법학자, 정치가.
5. 1. 조선
- 남우량
- 양녕대군
- 이전지
5. 2. 포르투갈
3월 4일 - 포르투갈의 엔히크(엔리케) 왕자가 태어났다. 그는 포르투갈 탐험을 후원하였다.[10]5. 3. 잉글랜드
5. 4. 일본
- 一休宗純|일휴종준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임제종 승려이자 시인 (1481년 사망)
- 足利 義教|아시카가 요시노리일본어, 무로마치 막부 제6대 쇼군 (1441년 사망)
- 大内 持世|다이나이 모치요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슈고 다이묘, 다이나이 씨의 제12대 당주 (1441년 사망)
- 足利 義嗣|아시카가 요시쓰구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418년 사망)
- 大内 持盛|다이나이 모치모리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나가토 국 슈고직 (1433년 사망)
- 九条 満家|쿠죠 미츠이에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공경, 관백 (1449년 사망)
- 湖山 建珍|호산 건진일본어, 무로마치 시대의 승려 (1422년 사망)
5. 5. 프랑스
11월 24일 - 샤를 드 발루아, 프랑스 왕국의 왕족, 오를레앙 공작 (+ 1465년)5. 6. 스코틀랜드
5. 7. 티무르 제국
3월 22일 - 울루크 베크, 티무르 제국의 제4대 군주 (1449년 사망)5. 8. 기타
월일 | 인물 | 설명 |
---|---|---|
3월 4일 | 엔히크(엔리케) 왕자 | 포르투갈의 왕자, 탐험 후원[10] |
6월 4일 | 필리파 잉글랜드 공주 |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왕비[11] |
7월 12일 | 아시카가 요시노리 | 일본의 쇼군(shōgun)[12] |
7월 25일 | 제임스 1세 | 스코틀랜드 왕[12] |
11월 24일 | 샤를 드 오를레앙 공작 | 프랑스 시인[13] |
날짜 불명 | 울루그 베그 | 티무르 제국 통치자, 천문학자 |
날짜 불명 | 익큐 | 일본 선종 승려, 시인 |
날짜 불명 | 마이클 드 라 폴, 서퍽 백작 3세 | [14] |
날짜 불명 | 마조프셰의 킴부르기스 | 오스트리아 여공작 (추정) |
2월 1일 | 일휴종준 | 무로마치 시대 임제종 승려 |
2월 3일 | 헨리 퍼시 | 노섬벌랜드 백작 |
3월 22일 | 울루크 베크 | 티무르 제국 군주 |
3월 23일 | 다이나이 모치요 | 슈고 다이묘 |
7월 | 제임스 1세 | 스코틀랜드 왕 |
날짜 불명 | 아시카가 요시쓰구 | 무로마치 시대 무장 |
날짜 불명 | 다이나이 모치모리 | 나가토 국 슈고직 |
날짜 불명 | 쿠죠 미츠이에 | 공경, 관백 |
날짜 불명 | 존 포티스큐 | 영국 법학자, 정치가 |
날짜 불명 | 호산 건진 | 무로마치 시대 승려 |
날짜 불명 | 남우량 | 조선 관리 |
날짜 불명 | 양녕대군 | 조선 왕족 |
날짜 불명 | 이전지 | 조선 관리 |
6. 사망
- 음력 1월 18일 - 고려의 밀직제학 권주
- 음력 3월 24일 - 조선의 판문하부사 안종원
- 음력 5월 17일 - 조선의 경기우도수군절제사 최칠석(崔七夕)
- 음력 6월 21일 - 조선의 지중추원사 황보림(皇甫琳)
- 음력 6월 25일 - 조선의 삼사우복야 윤사덕(尹師德)
- 음력 7월 3일 - 고려의 지밀직사사 안숙로(安叔老)
- 음력 8월 3일 - 조선의 지중추원사 황희석(黃希碩)
- 음력 12월 16일 - 조선의 검교시중 이숭(李崇)
- 6월 25일 – 도로테아 폰 몬타우, 독일의 은둔자[15]
- 3월 17일 – 루이 드 앵귈렘, 콘베르사노와 브리엔 백작
- 12월 28일 – 마리아 앤젤리나 두카이나 팔라이올로기나, 에피루스의 바실리사
- 쩐예종, 베트남 쩐 왕조의 제9대 황제
6. 1. 조선
음력 4월 17일 - 고려의 마지막 국왕 공양왕, 왕세자 정성군, 왕비 순비 노씨가 사망하였다.[18]6. 2. 잉글랜드
- 6월 4일 - 메리 드 보훈 , 헨리 4세의 첫 번째 왕비[16]
- 6월 7일 - 보헤미아의 안나, 리처드 2세의 첫 번째 왕비 (페스트) [17]
- 존 호크우드, 잉글랜드 출신의 콘도티에레[18]
6. 3. 기타 유럽
- 3월 24일 - 카스티야의 콘스탄스, 랭커스터 공의 두 번째 왕비(*1354년)
- 6월 4일 - 메리 드 부르봉, 잉글랜드 왕의 첫 번째 왕비(*1368년)
- 6월 7일 - 보헤미아의 앤, 잉글랜드 왕의 첫 번째 왕비(*1366년)
- 9월 16일 - 클레멘스 7세, 대립 교황(*1342년)
- 존 호크우드, 잉글랜드 출신의 콘도티에레(*1320년)
6. 4. 일본
- 8월 27일 (応永|오에이일본어 원년 8月|8월일본어 1日|1일일본어) - 초케이 천황, 남북조 시대의 제98대, 남조 제3대 천황 (*1343년)
- 2월 19일 (明徳|메이토쿠일본어 5년 1月|1월일본어 19日|19일일본어) - 소라 마에요리,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소라 씨 제7대 당주 (*생년 미상)
- 4월 7일 (메이토쿠 5년 3月|3월일본어 7日|7일일본어) - 호쿠고 히데히데,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호쿠고 씨 제3대 당주 (*생년 미상)
- 5월 18일 (오에이 원년 4月|4월일본어 18日|18일일본어) - 히다이, 가마쿠라 시대, 남북조 시대의 닛렌종 승려 (*1294년)
- 7월 11일 (오에이 원년 6月|6월일본어 13日|13일일본어) - 다케다 우지노부,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수호 다이묘, 아키 다케다 씨의 초대 당주 (*생년 미상)
- 8월 12일 (오에이 원년 7月|7월일본어 15日|15일일본어) - 미나모토 스케코, 스코텐노의 후궁 (*생년 미상)
- 11월 17일 (오에이 원년 10月|10월일본어 24日|24일일본어) - 우에스기 노리카타,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간토 관령 (*1335년)
- 우에스기 노리타카,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1366년)
- 다케다 노부나리, 남북조 시대,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 가이 다케다 씨의 제11대 당주 (*생년 미상)
6. 5. 페르시아
فضلالله استرآبادی|파즐랄라 아스타라바디fa는 페르시아의 신비주의 종파 후루피즘의 창시자로, 1394년에 처형되었다.[18]6. 6. 델리 술탄국
델리 술탄국의 마흐무드 2세(Nasir-ud-Din Mahmud Shah Tughluq)가 사망하였다.[18]참조
[1]
서적
The Poetical Works of Geoffrey Chaucer
https://archive.org/[...]
Bell and Daldy
[2]
서적
Manuel II Palaeologus: Funeral Oration on His Brother Theodore
https://books.google[...]
Association for Byzantine Research
[3]
서적
Jews and the French Revolutions of 1789, 1830 and 1848
https://archive.org/[...]
KTAV Publishing House, Inc.
[4]
서적
A chronological dictionary or index to the genealogical chart, etc
https://books.google[...]
[5]
서적
Some Notes on Marko Kraljevic (Prince Marko)
https://books.google[...]
GRIN Verlag
2009-07-03
[6]
서적
Istanbul: City of Two Continents
https://books.google[...]
Editions Didier Millet
[7]
서적
Anuario de estudios medievales
https://books.google[...]
Instituto de Historia Medieval de España
[8]
서적
Storia del medioevo III: Il tempo delle crisi (1250–1520)
Giulio Einaudi editore
[9]
서적
Adressbuch ... 8960 Kempten, Allgäu: bearb. nach d. amtl. Unterlagen d. Stadtverwaltung u. eigenen Erhebungen d. Verl. 1986
https://books.google[...]
Bleicher
[10]
서적
The Discoveries of Prince Henry the Navigator, and Their Results; Being the Narrative of the Discovery by Sea, Within One Century, of More Than Half the World
https://archive.org/[...]
Sampson Low, Marston, Searle and Rivington
[11]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British Monarchy
https://books.google[...]
Scarecrow Press
2011
[12]
서적
Who's who in Scottish history
https://books.google[...]
Blackwell
[13]
서적
Chaucer and the Cult of Saint Valentine
https://books.google[...]
BRILL
[14]
서적
Inquisitions Post Mortem Relating to Yorkshire: Of the Reigns of Henry IV and Henry V.
https://books.google[...]
Society
[15]
서적
Encyclopedia of the Middle Ages: A-J
https://books.google[...]
Fitzroy Dearborn Publishers, Incorporated
[16]
서적
Plantagenet Ancestry: A Study In Colonial And Medieval Families, 2nd Edition, 2011
https://books.google[...]
Douglas Richardson
[17]
서적
The Palgrave Literary Dictionary of Chaucer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6
[18]
웹사이트
Clement (VII) antipope
https://www.britanni[...]
2019-03-18
[19]
간행물
태조실록 (1413) 5권, 태조 3년 3월 17일 병진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03-17
[20]
간행물
태조실록 (1413) 6권, 태조 3년 8월 15일 임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08-15
[21]
간행물
태조실록 (1413) 6권, 태조 3년 10월 25일 신묘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1413-10-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