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헤소케어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미헤소케어족은 멕시코 남부와 과테말라에 걸쳐 분포했던 언어 가족이다. 고대 올멕 문명에서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테오티와칸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미헤어족과 소케어족으로 분류되며, 언어학적 연구를 통해 음운론과 문법적 특징이 밝혀졌다. 미헤소케어족 언어는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을 가지며, 핵어표시 포합어의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헤소케어족 - 시에라 포폴루카어
시에라 포폴루카어는 멕시코에서 사용되며 나우아틀어, 스페인어와 같은 주변 언어의 영향을 받았고 SIL 국제와 AVELI에서 개발한 철자법이 사용되며 13개의 자음과 12개의 모음 음소를 가지고 교착어 및 포합어의 특징을 보이는 언어이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싱카어족
싱카어족은 중앙아메리카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여러 언어로 구성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으며, 마야어족 및 믹스-소케어족과의 언어적 접촉 흔적을 보였으나 현재는 모든 언어가 사멸되었다. - 메소아메리카의 언어 - 미수말파어족
미수말파어족은 미스키토어, 수말파어파, 마타갈파어군으로 구성되며, 니카라과와 온두라스 지역에서 사용되는 언어 어족이다. - 어족 - 파푸아 제어
파푸아 제어는 뉴기니섬과 주변 지역에 분포하며 여러 어족과 고립된 언어를 포함하는 언어 집단으로, SOV 어순을 주로 사용하며 트랜스뉴기니어족이 가장 큰 어족에 속한다. - 어족 - 대안다만어족
대안다만어족은 안다만 제도에서 사용되었던 언어 어족으로, 18세기 후반 대안다만족이 사용했으나 인구 감소와 혼합어 사용으로 멸망 위기에 처했으며, 신체 부위를 기반으로 한 독특한 명사 체계를 가진다.
| 미헤소케어족 | |
|---|---|
| 개요 | |
| 이름 | 미헤·소케어족 |
| 다른 이름 | 미헤-소케어 |
| 지역 | 메소아메리카: 멕시코 오아하카주, 치아파스주, 타바스코주, 베라크루스주 |
| 어족 | 토토소케어족(?) |
| 글롯토코드 | mixe1284 |
| 글롯토코드 참조 | Mixe–Zoque |
| 조어 | 미헤·소케조어 |
| 하위 어파 | 미헤어파 소케어파 |
![]() | |
2. 역사
미헤소케어족은 역사적으로 현재보다 넓은 지역에 분포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과테말라 태평양 연안의 소코누스코 지역까지 분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2] 전고전기 시대 카미날후유, 타칼릭 아바하, 이사파 유적에서 미헤어족 사용자가 존재했고, 지배 계급을 대표했을 것이라는 가설이 있다.[3] 후고전기 유카탄 지역 일부 귀족과 사제들이 사용했던 "Idioma de Zuyuá|lt=Zuyua 언어es"는 미헤어일 가능성이 있다.[6]
2. 1. 올멕 문명과의 관련성
테렌스 카우프만과 라일 캠벨은 다른 메소아메리카 언어들에 널리 퍼져 있는 여러 차용어를 근거로, 메소아메리카를 지배한 문화인 올멕이 미헤소케어족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 주장했다.[14] 테렌스 카우프만과 존 저스티슨은 라 모하라 스텔라 1에 새겨진 지협 문자가 고대 미헤소케어족 언어를 기록한 것이라는 가정 하에 그 텍스트를 상당 부분 해독했다고 주장하기도 했다.그러나 이 두 주장 모두 비판을 받았다. 마이클 D. 코와 데이비드 스튜어트는 현재 알려진 지협 문자 기록이 너무 적어 어떤 식으로든 해독을 주장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코프먼과 저스티슨의 해독 방법을 다른 지협 문자 자료에 적용해 보았지만 의미 있는 결과를 얻지 못했다. 비히만(Wichmann, 1995)은 미헤소케어족 차용어라고 주장된 몇몇 메소아메리카 언어 단어들이 실제로는 소케어파 차용어이며 미헤어파에는 속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만약 그렇다면 차용 시점은 올멕 문화의 전성기였던 미헤소케조어 시기보다 훨씬 나중이 된다. 그러나 이후 미헤어파와 소케어파의 분기 시점이 앞당겨짐에 따라 이 논거는 과거만큼 강력하지 않다.[15]
2. 2. 테오티와칸과의 관련성
테렌스 코프먼(Terrence Kaufman, Kaufman영어)은 2001년에 다른 메소아메리카 언어들에서 발견되는 미헤소케어족 계통의 차용어를 근거로 테오티와칸에서 미헤소케어족 언어가 사용되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메소아메리카 언어 지역을 특징짓는 여러 언어적 특징들이 미헤소케어족에서 기원했을 것이라고 보았다.[15]2. 3. 다른 어족과의 계통 관계
에드워드 사피어는 자신의 펜우티어족 가설의 “멕시코 펜우티” 분기군에 미헤소케어족을 포함시켰고[1], 노먼 매콘은 미헤소케어족, 마야어족, 토토낙어족을 확대 마야어족 가설로 한데 묶었다.[2] 20세기 말 라일 캠벨은 이러한 가설 대부분에 방법론적 결함이 있다며 격하했지만, 그 중 확대 마야어족 가설은 가장 가능성이 커 보인다고 평가했다.[3] 최근 발표된 두 논문은 미헤소케어족을 토토낙어족(“토토소케어족”)[4] 또는 마야어족[5]과 연결지을 근거를 제시한다.3. 분류
미헤소케어족의 하위 분류에 대해서는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위치만(Søren Wichmann)의 분류와 카우프만과 저스테슨(Kaufman & Justeson)의 분류가 대표적이다.[7]
3. 1. 비히만(Wichmann, 1995)의 분류
비히만(Søren Wichmann, 1995)은 미헤소케어족을 크게 미헤어파와 소케어파로 나누고, 각 어파를 다시 하위 그룹으로 분류했다.[1]
- '''원시 미헤소케어족'''
- *원시 미헤어
- **타파출텍어
- **사유라 포폴루카어(사유르텍어)
- **올루타 포폴루카어(올루텍어)
- **원시 오악사카 미헤어
북부 고지 미헤어
남부 고지 미헤어
중부 저지 미헤어, 저지 미헤어
- *원시 조케어어
- **만 조케어어
- **치말라파 조케어어
- **치아파스 조케어어
3. 2. 코프먼 & 저스티슨(Kaufman & Justeson, 2000)의 분류
코프먼과 저스티슨은 비히만의 분류를 일부 수정하여, 미헤어파를 타파출텍어, 올루텍어, 핵심 미헤어군으로, 소케어파를 멕시코만 소케어군과 소케어군으로 분류했다.[16][7][13];미헤소케어족
- 미헤어파
- * 타파출텍어
- * 올루텍어
- * 핵심 미헤어군
- ** 사율텍어
- ** (분기군)
저지 미헤어
고지 미헤어
- 소케어파
- * 멕시코만 소케어군
- ** 소테아판 소케어(시에라 포폴루카어)
- ** (분기군)
테히스테펙 소케어
아야파 소케어
- * 소케어군
- ** 치아파스 소케어
- ** 오아하카 소케어
4. 음운론
비히만(Wichmann, 1995)이 비교 재구한 미헤소케조어의 음운 체계는 비교적 단순하지만, 후손 언어들에서는 다양한 음운 변화가 일어났다. 어떤 언어들은 모음 수가 많아졌고, 어떤 언어들은 파열음 계열에서 평음과 격음의 대립이 생겼다. 몇몇 언어의 일부 단어에는 설측음 음소 이 나타나지만, 아마도 의성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4. 1. 모음
Wichmann(1995)이 비교 재구한 미헤소케조어의 모음은 다음과 같다.| 전설 | 중설 | 후설 | |
|---|---|---|---|
| 고모음 | *i|*iund *iː|*iːund | *ɨ|*ɨund *ɨː|*ɨːund | *u|*uund *uː|*uːund |
| 중모음 | *e|*eund *eː|*eːund | *o|*ound *oː|*oːund | |
| 저모음 | *a|*aund *aː|*aːund |
- ɨ|*ɨund *ɨː|*ɨːund 대신 *ə|*əund *əː|*əːund를 재구하기도 한다.
4. 2. 자음
Wichmann (1995)이 비교 재구한 미헤소케조어의 자음 목록은 다음과 같다.
어떤 언어의 일부 단어에는 설측음 음소 이 나타나지만, 아마도 의성어에서 기원했을 것이다.
4. 3. 음절 구조
미헤소케조어는 단모음, 장모음, 성문 파열음, 등이 결합된 복잡한 음절핵을 가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여러 후손 언어들에서 나타나는 복잡한 음절말 자음군 또한 미헤소케조어에서 재구된다.미헤소케조어의 음절핵 구조는 다음과 같다.
- V: 단모음
- V': 단모음과 성문 파열음
- VV: 장모음
- V'V: 중간에 성문 파열음이 오는 장모음
- VV': 끝에 성문 파열음이 오는 장모음
- Vh: 단모음과 h
5. 문법적 특징
미헤소케어족 언어들은 핵어표시 포합어이며 복잡한 동사 형태론과 단순한 명사 형태론을 지녔다. 주어와 목적어가 동사에 표시된다. 능격-절대격 정렬이 흔하며, 생물성과 주제성에 영향을 받는 직류-역류 언어도 찾아볼 수 있다. 미헤소케어 동사 형태론은 절을 독립절과 종속절의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며, 절의 유형에 따라 다른 상 접사와 인칭 접사가 쓰인다. 두 유형 모두 미완료상, 완료상, 비현실상의 3가지 상을 구분한다.[1]
참조
[1]
사전
Zoque-Mixe
OED
[2]
서적
The linguistics of Southeast Chiapas, Mexico
New World Archaeological Found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1988
[3]
논문
Differential Mixean and Zoquean Interaction with the Greater Lowland Mayan Languages and the Late Preclassic Origins of Classic Mayan Scribal Practices
[4]
논문
1976
[5]
논문
2008-09
[6]
서적
the language of Zuyua
University of Texas, Austin
1983-02
[7]
논문
Inversion and other topics in the grammar of Olutec (Mixe)
University of Oregon
2000
[8]
논문
A Decipherment of Epi-Olmec Hieroglyphic Writing
Science
1993-03-19
[9]
논문
A Newly Discovered Column in the Hieroglyphic Text on La Mojarra Stela 1: a Test of the Epi-Olmec Decipherment
http://www.sciencema[...]
Science
1997-07-11
[10]
논문
Epi-Olmec Hieroglyphic Writing and Texts
http://www.albany.ed[...]
[11]
논문
1976
[12]
논문
2008-09
[13]
논문
Inversion and other topics in the grammar of Olutec (Mixe)
University of Oregon
2000
[14]
논문
1976
[15]
논문
2008
[16]
논문
Inversion and other topics in the grammar of Olutec (Mixe)
University of Oregon
200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