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병석은 1858년 충청도에서 태어나 여흥 민씨 세력의 지원을 받아 관료가 된 인물이다. 1879년 과거에 급제하여 명성황후를 호위하며 신임을 얻었고, 대한제국 수립 후 헌병대 사령관, 각부 대신 등을 역임했다. 청일 전쟁 당시에는 청나라와 내통하려다 실패하여 유배되기도 했으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적극 협력하여 자작 작위를 받았다. 이후 친일 행적으로 인해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 포함되었고, 그의 재산은 국가에 귀속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성대훈장 수훈자 - 데라우치 마사타케
데라우치 마사타케는 메이지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까지 활동한 일본의 군인이자 정치가로서 육군대신, 한국통감, 조선총독, 내각총리대신을 역임하며 한국 병합을 주도하고 무단통치를 실시했으며, 시베리아 출병 등 외교 정책을 펼친 일본 제국주의 핵심 인물이다. - 서성대훈장 수훈자 - 소네 아라스케
소네 아라스케는 메이지 시대 일본의 정치인이자 외교관으로, 대한제국 통감으로서 한국 병합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나 한국의 국권 침탈이라는 비판적 평가를 받는다. - 조선자작 - 윤덕영
윤덕영은 조선 말기 문신이자 대한제국 관료, 일제 강점기 조선귀족으로, 한일 병합 조약에 적극 가담하고 순종의 일본 천황 알현을 강요했으며 고종 독살 의혹을 받았고, 친일파 명단에 포함되었다. - 조선자작 - 조민희 (조선귀족)
조민희는 조선 말 관료로 대한제국 시기 요직을 거쳐 한일 병합에 기여한 공으로 일본으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나, 도박으로 파산하여 작위가 정지된 친일반민족행위자이다.
민병석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이름 | 민병석 |
한자 표기 | 閔丙奭 |
출생일 | 1858년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회덕군 |
사망일 | 1940년 |
국적 | 조선 |
배우자 | 자작부인 청송 심씨 심경섭(沈卿燮) |
자녀 | 장남 민홍기 차남 민복기 |
관직 정보 | |
직업 | 관료 |
작위 | 자작 |
후임자 | 민홍기 |
훈장 정보 | |
상훈 | 대훈위 금척대수장 대훈위 서성대수장 대훈위 이화대수장 |
2. 생애
민병석은 1858년 충청도 회덕군(현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여흥 민씨이며, 1879년 (고종 16년) 식년시에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했다.
1884년 성균관 대사성과 도승지를 겸임했고, 갑신정변 때 일본으로 달아난 김옥균 암살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1] 1888년 예조참판에 임명된 후 다시 고위직을 맡았다.[1] 1889년부터 5년간 평안도 평안감사를 지내면서 백성들에게 악정을 펼쳐 조병세에게 탄핵받았다.[1]
1894년 청일 전쟁 때 청나라와 내통하여 일본을 몰아내려다 실패해 유배되었고, 삼국간섭 이후 풀려났다. 아관파천으로 친러파가 집권했을 때 이완용과의 친분으로 내각에 기용되었다.[1]
명성황후가 살해된 뒤에도 요직을 맡았으나, 일본 세력이 강성해지자 이완용과 함께 친일파로 전향했다. 1897년 대한제국 건국 후 궁내부 특진관, 헌병대 사령관, 각부 대신, 시종원경 등 고위직을 지냈고, 대한천일은행을 비롯한 직조회사와 농업회사 경영에 참여하는 등 산업계와 금융계에서도 활동했다. 1905년 이토 히로부미 초빙을 위해 일본에 다녀왔고, 1909년 안중근에게 저격당한 이토 히로부미 장례식에 조문 사절로 참석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적극 협력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다. 1911년 이왕직 장관이 되어 의민태자와 이방자의 정략결혼에 깊이 개입했다.[10] 1912년 의친왕 수행원으로 일본 메이지 일왕 장례식에 참석했다.[11]
1925년부터 1939년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을 5회 중임했고, 친일 애국금체회 발기인이었으며, 그의 아내는 그 간사였다.[11]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었다.[12][13]
2. 1. 생애 초기
1858년 충청도 회덕군(현 대전광역시)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여흥 민씨이며, 민관식(閔觀植)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민영위(閔泳緯)의 양자로 입적되었다.[9] 1879년 (고종 16년) 식년시에 병과(丙科)로 합격하여 관직에 진출했다.2. 2. 관료 생활
1884년 성균관 대사성과 도승지를 겸하는 요직에 임명되었고, 갑신정변 때 일본으로 달아난 김옥균 암살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1] 명성황후와 정적인 흥선대원군의 대결을 이용하려는 각국의 음모가 진행되는 동안 잠시 피해 있다가, 1888년 예조참판에 임명된 것을 시작으로 다시 고위직에 머물렀다.[1] 1889년부터 5년간 평안도 평안감사를 지내면서 백성들에게 악정을 펼쳐 조병세에게 탄핵을 받았다.[1]여흥 민씨 세력이 대부분 초기에는 반일파였기 때문에 민병석도 처음부터 일본과 가깝지는 않았다.[1] 1894년 청일 전쟁 때는 청나라와 내통하여 일본을 몰아내려다가 실패하여 유배되었고, 삼국간섭 이후 풀려났다가 아관파천으로 친러파가 집권했을 때 친러파의 거두였던 이완용과의 친분으로 내각에 기용되었다.[1]
2. 3. 대한제국 건국 이후
민씨 척족의 일원이었던 그는 명성황후가 살해된 뒤에도 계속 요직을 맡게 된다. 그러나 이후 일본의 세력이 강성해지자 이완용과 함께 친러파에서 친일파로 전향하였다.1897년 대한제국 건국 후 궁내부 특진관, 헌병대 사령관, 각부의 대신, 시종원경 등의 고위직을 지냈으며, 대한천일은행을 비롯하여 직조회사와 농업회사 경영에 참여하는 등 산업계와 금융계에서도 활동하였다. 1905년 이토 히로부미 초빙 작업을 위해 일본에 다녀오기도 했다. 1909년 자신과 가까웠던 이토 히로부미가 안중근에게 저격당하자 장례식에 박제빈 등과 함께 조문 사절로 다녀왔다.
2. 4. 한일 병탄 이후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체결에 경술국적의 한 사람으로서 적극 협력하여 일본 정부로부터 자작 작위를 받았으며, 1911년에는 이왕직 장관이 되어 의민태자와 이방자의 정략결혼에 깊이 개입하였다.[10] 1912년 의친왕의 수행원으로 일본 메이지 일왕의 장례식에 참석하였다.[11] 이후 수시로 일본을 다녀왔으며, 영친왕과 이방자의 결혼식 때 한국 측 대표로 참석하였다.1925년부터 1939년까지 조선총독부 중추원 고문을 5회 중임하였고, 친일 애국금체회의 발기인이었으며, 그의 아내 심경섭(沈卿燮)은 그 간사였다.[11] 1935년 총독부가 편찬한 《조선공로자명감》에 조선인 공로자 353명 중 한 명으로 수록되어 있다.[12][13]
3. 사후
민병석의 묘소는 경기도 여주시 대신면 옥촌리 벌말부락 북쪽 언덕에 남서향으로 매장되었다. 묘 앞에는 혼유석, 상석, 고석, 향로석, 망주석, 석양 등의 각종 석물들이 있다.
2002년 발표된 친일파 708인 명단과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의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장남 민홍기, 차남 민복기와 함께 선정되었다. 2009년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가 발표한 친일반민족행위 705인 명단에도 포함되었다.
2007년 5월 대한민국 친일반민족행위자재산조사위원회는 민병석 소유의 재산을 국가로 환수하기로 결정[14] 했고, 11월 22일 제3차 재산환수 대상자를 선정하면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시행 이후 제3자에게 처분한 민병석의 재산도 국가에 귀속시킨다는 결정을 내렸다.[15] 민병석의 후손들은 민병석의 재산은 친일 행위의 대가로 취득한 것이 아니라며 불복 소송을 제기했다.[16]
4.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친조부 | 민영위 | |
친부 | 민관식 | |
양부 | 민경식 | |
부인 | 청송 심씨 | 심경섭의 딸, 심재민의 손녀, 심노동의 증손녀, 심현의 12대손, 심광언의 13대손 |
장남 | 민홍기 | 일제 자작 (아버지 사후 습작) |
차남 | 민복기 | 대법원장 역임 |
손자 | 민경성 | 기업인 |
손자 | 민경택 | 법조인 |
손자 | 민경삼 | 기업인 |
참조
[1]
서적
子爵斎藤実伝. 第2巻
https://dl.ndl.go.jp[...]
斎藤子爵記念会
1942
[2]
서적
친일정치 100년사
동풍
1995-07-01
[3]
서적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02-01
[4]
뉴스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4-16
[5]
뉴스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4-16
[6]
뉴스
재산 환수되는 친일파 9인은 누구? - 권중현·이완용 등 을사오적 중 일부 포함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5-22
[7]
뉴스
왕족 이해승 등 친일파 재산 410억 국가귀속 - 이해승ㆍ이지용ㆍ유정수ㆍ고희경ㆍ민영휘ㆍ민병석ㆍ송병준ㆍ한창수 등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22
[8]
뉴스
친일파 후손, 재산환수 불복 소송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27
[9]
웹사이트
민병석 [閔丙奭]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https://terms.naver.[...]
[10]
서적
친일정치 100년사
동풍
1995-07-01
[11]
서적
실록 친일파
돌베개
1991-02-01
[12]
뉴스
‘조선공로자명감’친일 조선인 3백53명 기록 - 현역 국회의원 2002년 발표한 친일명단 일치 상당수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4-16
[13]
뉴스
3백53명 중 2백56명 명단
http://www.ilyosisa.[...]
일요시사
2008-04-16
[14]
뉴스
재산 환수되는 친일파 9인은 누구? - 권중현·이완용 등 을사오적 중 일부 포함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8-05-22
[15]
뉴스
왕족 이해승 등 친일파 재산 410억 국가귀속 - 이해승ㆍ이지용ㆍ유정수ㆍ고희경ㆍ민영휘ㆍ민병석ㆍ송병준ㆍ한창수 등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22
[16]
뉴스
친일파 후손, 재산환수 불복 소송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07-11-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