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민족사관고등학교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민족사관고등학교는 1996년 개교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이다. 1993년 학교 설립 계획이 승인된 이후, 1997년 영어 전용 정책(EOP)을 도입하고, 2001년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 운영 학교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는 칼리지 보드의 AP 프로그램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2010년 자율형 사립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이 학교는 민족의 긍지를 함양하고 글로벌 리더를 육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기숙사 생활, 학생 자치 활동, 다양한 동아리 활동, 그리고 한국 전통 문화 교육을 강조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횡성군의 고등학교 - 횡성고등학교
    횡성고등학교는 1945년 횡성공립농업학교로 개교하여 교명 변경과 이전을 거쳐 1983년 현재 교명을 갖게 되었고 횡성중학교와 병설 운영되다 분리되었으며 횡성군을 대표하는 고등학교로서 고석 횡성군수, 원제무 건설부 장관, 이대근 국회의원 등 주요 동문을 배출했다.
  • 횡성군의 고등학교 - 횡성여자고등학교
    1980년 개교한 횡성여자고등학교는 강원도 횡성군에 위치하며 산업체 특별학급 운영 및 상업계열 직업과정 편성을 거쳐 41회 졸업식을 통해 8,504명의 졸업생을 배출한 고등학교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사립 고등학교 -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는 1974년 대관령축산고등학교로 개교하여 2006년 현재 교명으로 변경되었고, 축산 중심에서 종합고등학교로 전환 후 동계 스포츠 특성화 학교로 자리매김했으며 다양한 분야의 동문들을 배출한 대한민국 고등학교이다.
  • 강원특별자치도의 사립 고등학교 - 강원고등학교
    강원고등학교는 1968년 개교한 춘천시 소재 사립 고등학교로, 보인종합고등기술학교에서 강원종합고등학교를 거쳐 현재의 교명으로 변경되었으며 다양한 분야의 동문들을 배출했다.
  •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 계성고등학교 (대구)
    1900년 대남소학교로 시작하여 1906년 제임스 E. 아담스에 의해 설립된 계성고등학교는 영남 최초의 중등교육기관으로, 일제강점기 교명 변경의 아픔을 겪었으나 광복 후 재건되었으며, 역사적인 건축물과 저명한 동문을 배출한 자율형 사립고등학교이다.
  •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배재고등학교는 1885년 아펜젤러가 설립하여 고종 황제로부터 '배재학당'이라는 이름을 받은 한국 최초의 서양식 학교 중 하나로, 민족 교육의 전통을 이어가며 독립운동가를 배출했으나 과거 논란도 있었다.
민족사관고등학교 - [지명]에 관한 문서
정보
이름민족사관고등학교
한자 표기民族史觀高等學校
영문 표기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교훈민족 주체성 교육으로 내일의 밝은 조국을, 출세하기 위한 공부를 하지 말고 학문을 위한 공부를 하자. 출세를 위한 진로를 택하지 말고 소질과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택하자. 이것이 나의 진정한 행복이고 내일의 밝은 조국이다.
슬로건Korea in Heart, World in Mind (마음속의 한국, 세계 속의 한국)
위치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안흥면 봉화로 800 (소사리)
캠퍼스 유형농촌
캠퍼스 크기1274350m² (127만 4350 제곱미터)
학교 정보
종류사립, 기숙
설립1996년
설립 형태사립
교장한만위 (이학 박사, 생물학)
교감황형주, 최관영
성별남녀공학
학년10–12학년
학생 대 교사 비율5.8:1
학생 수459명 (2012년 기준)
교직원 수116명 (2023년 5월 1일 기준)
학교법인민족주체학원
관할 관청강원특별자치도교육청
웹사이트공식 웹사이트
이름 (로마자 표기)
로마자 표기Minjok Sagwan Godeunghakgyo
주소 (좌표)
좌표37°27′36″N 128°08′36″E

2. 학교 연혁

1993년 4월 16일 학교법인 명재학원 및 학교 설립계획이 승인되었다. 설립자 최명재는 1977년 영국의 이튼 칼리지를 방문한 후, 한국의 미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고품격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느껴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을 추진하였다. 1995년 3월 1일 개교준비위원회가 구성되고 초대 교장으로 이규철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16일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다.

1996년 3월 1일 민족사관고등학교가 개교하고 제1회 입학식(30명)이 열렸다. 같은 해 12월 22일 체육교육관이 준공되었고, 1997년 10월 11일에는 다산관이 준공되었다. 1997년 11월 6일 민족사관국제고 인가를 받았다. 1997년 1월에는 '영어 전용 정책'(EOP)이 도입되어 일부 비영어 수업을 제외한 학교의 모든 영역에 적용되었다.

1999년 2월 7일 제1회 졸업식이 열렸고, 같은 해 8월 16일 민족사관고등학교 국제계열 인가를 받았다. 1999년 12월 15일에는 기숙사 신관이 준공되었다. 1998년에는 가르침-토론-쓰기의 3단계 교육 정책이 제도화되었고, 학생회 첫 선거가 치러졌으며, '민족 헤럴드'가 처음 발간되었다.

2001년 10월 20일 민족사관고등학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 운영 학교로 지정되었다. 이 시기 학교 설립자 최명재는 이튼 칼리지를 방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설립하고자 했다.

2002년에는 설립자 최명재가 제4대 교장으로 취임하였고, 2003년에는 민족사관고등학교 부설 국제교육연구소, 영재교육연구소, 민족교육연구소가 개소하였다. 2007년에는 미국 칼리지 보드의 AP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민족사관고등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을 미국 대학 진학 성과 32위로 평가했다.

2010년 6월 30일,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에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2010년 3월 1일에는 학급수 및 학생 정원이 학년당 10학급 150명에서 11학급 165명으로 증원되었다. 2013년 11월 13일에는 여학생 기숙사(소사관)가 준공되었다.

2018년 2월 13일에는 제20회 졸업식이 열려 144명이 졸업하여 누계 졸업생 수는 2,201명이 되었다. 2019년 3월 1일에는 제8대 교장으로 한만위가 취임하였다. 2023년 2월 11일에는 제25회 졸업식(150명)이, 2023년 3월 10일에는 제28회 입학식(157명)이 진행되었다.

2007년, 민족사관고등학교는 칼리지 보드의 대학 AP 프로그램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 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을 미국 대학 진학 성과 32위로 평가했다.[4] 2008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장 출신 윤정일 박사가 교장으로 취임하여 국제 교사 비율을 30%로 확대하는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 2011년에는 민족사관고등학교의 첫 음악 콘서트가 개최되었다.

2. 1. 설립 초기 (1993년 ~ 2000년)

1993년 4월 16일 학교법인 명재학원 및 학교 설립계획이 승인되었다. 설립자 최명재는 1977년 영국의 이튼 칼리지를 방문한 후, 한국의 미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고품격 교육기관의 필요성을 느껴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을 추진하였다. 1995년 3월 1일 개교준비위원회가 구성되고 초대 교장으로 이규철이 취임하였으며, 같은 해 10월 16일 민족사관고등학교 설립이 인가되었다.

1996년 3월 1일 민족사관고등학교가 개교하고 제1회 입학식(30명)이 열렸다. 같은 해 12월 22일 체육교육관이 준공되었고, 1997년 10월 11일에는 다산관이 준공되었다. 1997년 11월 6일 민족사관국제고 인가를 받았다. 1997년 1월에는 '영어 전용 정책'(EOP)이 도입되어 일부 비영어 수업을 제외한 학교의 모든 영역에 적용되었다.

1999년 2월 7일 제1회 졸업식이 열렸고, 같은 해 8월 16일 민족사관고등학교 국제계열 인가를 받았다. 1999년 12월 15일에는 기숙사 신관이 준공되었다. 1998년에는 가르침-토론-쓰기의 3단계 교육 정책이 제도화되었고, 학생회 첫 선거가 치러졌으며, '민족 헤럴드'가 처음 발간되었다.

2. 2. 자립형 사립고 시기 (2001년 ~ 2009년)

2001년 10월 20일 민족사관고등학교는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시범 운영 학교로 지정되었다. 이 시기 학교 설립자 최명재는 이튼 칼리지를 방문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래 글로벌 리더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기관을 설립하고자 했다.

2002년에는 설립자 최명재가 제4대 교장으로 취임하였고, 2003년에는 민족사관고등학교 부설 국제교육연구소, 영재교육연구소, 민족교육연구소가 개소하였다. 2007년에는 미국 칼리지 보드의 AP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민족사관고등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을 미국 대학 진학 성과 32위로 평가했다.

2. 3. 자율형 사립고 시기 (2010년 ~ 현재)

2010년 6월 30일, 자립형 사립 고등학교에서 자율형 사립 고등학교로 전환되었다. 2010년 3월 1일에는 학급수 및 학생 정원이 학년당 10학급 150명에서 11학급 165명으로 증원되었다. 2013년 11월 13일에는 여학생 기숙사(소사관)가 준공되었다.

2018년 2월 13일에는 제20회 졸업식이 열려 144명이 졸업하여 누계 졸업생 수는 2,201명이 되었다. 2019년 3월 1일에는 제8대 교장으로 한만위가 취임하였다. 2023년 2월 11일에는 제25회 졸업식(150명)이, 2023년 3월 10일에는 제28회 입학식(157명)이 진행되었다.

2007년, 민족사관고등학교는 칼리지 보드의 대학 AP 프로그램에서 '세계 최고의 학교'로 선정되었으며, 같은 해 월스트리트 저널은 이 학교의 국제 프로그램을 미국 대학 진학 성과 32위로 평가했다.[4] 2008년에는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장 출신 윤정일 박사가 교장으로 취임하여 국제 교사 비율을 30%로 확대하는 등의 개혁을 추진했다. 2011년에는 민족사관고등학교의 첫 음악 콘서트가 개최되었다.

3. 설립 이념 및 교육 목표

3. 1. 설립자 최명재

3. 2. 교육 목표

3. 3. 교훈

가슴에는 민족의 긍지를, 머리에는 겨레의 밝은 미래를 품고, 사욕을 위한 공부가 아닌, 참다운 학문을 탐구하며, 개인의 영달을 위한 직업 선택이 아닌, 천부적인 재능과 소질에 맞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나의 진정한 행복과 겨레의 밝은 내일을, 나아가 온 인류의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간다. 학교의 상징은 이순신정약용이다. 교가는 시조, 민요, 행진곡 형식으로 쓰였으며, 학교의 역사와 궁극적인 목표가 담겨 있다. 아침 조회나 학교 행사에서 교가를 부르며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 매주 월요일 아침 조회 마지막 순서에 모든 학생과 교직원은 기립하여 민족사관고등학교 관현악단 또는 민족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춰 교가를 부른다.

4. 교육 과정

민족사관고등학교는 교사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학생 개별 진학 상담을 지원한다. 학생들은 매일 아침 태권도검도 형태의 신체 훈련을 받으며, 사물놀이, 대금, 가야금을 포함한 한국 전통 음악 및 예술 수업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다.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개인 연구(IR) 시간을 부여받고, 무감독 시험 제도를 운영한다.

민족사관고등학교


학생들은 국어 인문, 국어 자연, 국제 인문, 국제 자연의 네 가지 분야 중 하나에 속하며, 매 학기마다 자유롭게 분야를 변경할 수 있다. 국어, 영어, 수학을 제외한 모든 수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수업은 SAT 수업(SAT 물리, SAT 화학, SAT 생물 등), AP 수업(AP 물리, AP 화학, AP 생물, AP 거시/미시 경제 등), 한국 교육 과정을 따르는 수업(물리 I/II, 화학 I/II, 생물 I/II, 지구 과학 I/II, 한국사, 법과 정치, 윤리, 사회 문화 등), 심화 수업(고급 물리학, 유기 화학, 세포 생물학, 분자 생물학, 긍정 심리학 등) 및 IR(개별 연구) 수업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4. 1. 정규 교육 과정

민족사관고등학교는 교사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학생 개별 진학 상담을 지원한다. 학생들은 매일 아침 태권도검도 형태의 신체 훈련을 받으며, 사물놀이, 대금, 가야금을 포함한 한국 전통 음악 및 예술 수업과 동아리 활동에 참여한다. 정규 교육 과정 내에서 개인 연구(IR) 시간을 부여받고, 무감독 시험 제도를 운영한다.

학생들은 국어 인문, 국어 자연, 국제 인문, 국제 자연의 네 가지 분야 중 하나에 속하며, 매 학기마다 자유롭게 분야를 변경할 수 있다. 국어, 영어, 수학을 제외한 모든 수업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수업은 SAT 수업(SAT 물리, SAT 화학, SAT 생물 등), AP 수업(AP 물리, AP 화학, AP 생물, AP 거시/미시 경제 등), 한국 교육 과정을 따르는 수업(물리 I/II, 화학 I/II, 생물 I/II, 지구 과학 I/II, 한국사, 법과 정치, 윤리, 사회 문화 등), 심화 수업(고급 물리학, 유기 화학, 세포 생물학, 분자 생물학, 긍정 심리학 등) 및 IR(개별 연구) 수업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다.

4. 2. 특징적인 교육 프로그램

민족사관고등학교는 교사들의 학문 연구를 지원하며, 학생 개별 진학 상담을 지원한다. 또한, 학생들의 신체 단련을 위해 매일 아침 태권도검도 형태의 운동을 실시한다. 사물놀이, 대금, 가야금 등 한국 전통 음악 및 예술 수업과 동아리 활동을 장려하며, 정규 교육 과정 내에 개인 연구(IR) 시간을 부여한다. 무감독 시험 제도를 운영하며, 운동부, 오케스트라, 학교 밴드, 봉사 단체, 학생 간행물, 공예 워크숍, 또래 튜터링 등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지원한다.

모든 학생들은 월요일부터 금요일까지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영어를 사용해야 하며(EOP, English Only Policy), 이를 어길 시 벌점을 받는다. EOP는 영어를 통해 한국을 발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시행되며, 교사들도 영어로 강의할 것이 권장된다.

민족 또래 튜터링(MPT, Minjok Peer Tutoring)은 학생들이 서로의 강점을 공유하는 일대일 튜터링 활동이다. MPT는 서로 다른 분야에 강점을 가진 학생들을 연결하여 균형 잡힌 교육을 돕는다.

매일 아침 6시 30분부터 7시까지 아침 운동이 진행되며, 10학년은 검도태권도 중 하나를 선택, 1학년이 끝날 때까지 대한검도회 또는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로 등록된다. 11학년은 배구, 소프트볼, 조깅 등 다양한 선택지를 갖는다.

체육 수업은 3년 동안 필수이며, 10학년은 각 학기에 한국 전통 활쏘기와 골프를 배운다. 11학년은 농구, 축구, 댄스 스포츠 중에서, 12학년은 배구나 탁구를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남녀 농구팀을 운영하며, 남자 농구팀 "Crossover"는 2009년, 2010년 강원도 대회 및 2010년, 2023년 강원도 클럽 농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여자 농구팀 "Game Over"는 5회 연속 강원도 챔피언이다.

야구팀 "KBO"(현 "KMLA Baseball")는 2010년 강원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소프트볼과 티볼 클럽 "Play ball"의 티볼팀은 2014년 강원도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배드민턴, 펜싱, 플래그 풋볼, 축구, 골프, 수영, 테니스, 라크로스 등 다양한 스포츠 클럽이 운영된다.

5. 학교 생활

KMLA 학생들은 대학 진학 계획에 따라 국내 과정(민족 분야) 또는 국제 과정 중 하나를 선택하여 등록한다. 2008년부터 KMLA는 별도의 과정 구분 없이 학생을 선발하기 시작하여 학생들이 고등학교 재학 중 불필요한 압박 없이 대학에 대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했다.

KMLA 초창기에는 입학 시험에서 20~30명의 합격자만 선발했지만, 2003년부터 신입생 수를 꾸준히 늘렸다. 2004년부터 2009년까지 학교는 150명의 학생을 선발했다. 그러나 학교 규모를 확대하려는 계획에 따라 2010년에는 약 160명의 학생이 입학하여 최근 입학 학생 수를 기록했다.

KMLA 학생 중 가장 많은 수가 서울과 경기도 출신이지만, 제주를 포함해 전국 각지에서 학생들이 온다. 또한, 중국, 캐나다, 프랑스, 일본, 호주, 미국을 포함한 해외 여러 국가 출신의 많은 학생들이 입학 허가를 받았다.

매주 월요일 1교시에 모든 학생과 교사가 학교 강당에 모여 주간 아침 조회를 한다. 아침 조례는 의례단의 강당 입장으로 시작하여 교사가 뒤따른다. 대한민국 국민인 학생들은 대한민국의 국기에 대한 존경심을 가지고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한다. 매주 교사 또는 학생(때로는 둘 다)이 학교 생활을 주제로 한 다양한 주제에 대해 연설을 한다. 두 개의 학교 오케스트라, 민사고 오케스트라와 민족 오케스트라는 조례 동안 교가와 애국가를 번갈아 연주한다. 시상식에서는 교내외 경연에서 우수한 성적을 거둔 학생들에게 상을 수여한다. 또한, 학생회장은 그 주 학교 행사들을 간략하게 보고한다.

수업 시간 및 ''혼정'' 수련 시간 동안 학생들은 학교 교복을 착용해야 한다. 가장 일반적인 교복은 현대화된 한복으로, ''생활복''이라고 불린다. 학생들은 대부분의 수업에 이 옷을 입으며, 최대 12가지 색상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여름, 겨울, 봄/가을에 따라 두께, 소매 길이, 원단에 차이가 있는 계절별 변형이 있다. 모든 교사들 또한 한복을 입으며,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조회, 입학식/졸업식과 같은 공식적인 학교 행사 동안 학생들은 ''예복''이라고 불리는 다소 전통적인 정복을 착용해야 한다. ''예복''은 여름용과 겨울용 두 가지 종류가 있다.

== 기숙사 생활 ==

민족사관고등학교 학생들은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기숙사 방에서 매일 저녁 30분 동안 '혼정(昏定)'이라는 유교적 전통 의례가 진행된다. 혼정 시간에는 학생들이 하루를 반성하고 부모님께 감사하는 시간을 갖는다. 학생들은 부모님을 대신하여 기숙사 감독관인 '사감 선생님'에게 감사를 표하고, 사감 선생님의 훈화와 공지 사항 전달 후 모든 학생이 사감에게 절을 한다. 이후에는 공지 사항 전달이나 생일 축하 행사 등을 진행한다.

== 학생 자치 활동 ==

민족사관고등학교의 학생 자치회는 학생들이 학창 시절 민주주의를 경험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학생들이 삼권 분립 정치 시스템과 대표자로서의 의무를 경험하면서 창의적인 리더십을 개발하도록 이끈다. 학생 자치회는 집행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가지 주요 부서로 구성되며, 세 개의 위원회를 지원하고 함께 활동하는 14개의 부서가 있다.

각 위원회의 구성원은 매 학기마다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집행 위원회와 입법 위원회는 11학년 학생 1명(회장)과 2명(부회장), 10학년 학생 2명으로 구성된다. 사법부는 3명(회장 1명, 부회장 2명)으로 구성된다. 제22대 학생 자치회는 2016년 9월에 선출되었다.

사법부는 학교 규정을 위반한 학생들이 매주 목요일에 출석하는 학교 법정을 운영한다. 또한 학생들의 변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타당성이 인정되면 처벌을 면제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받는 벌점의 수는 사법부의 판단에 따라 결정된다. 사법부는 학교 규정이나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집행부 및 입법부와 협력한다.

15개의 부서는 학교 행사 관리부, 학교 지도부, 식량 및 영양부, 사법부, 재정부, 방송부, 도서관 관리부, 감사 및 검사부, 공보부, EOP부, 학교 환경부, 교육부, 학교 역사부, 체육부, 소프트웨어 및 기술부이다.

== 동아리 활동 ==

민족사관고등학교에는 다양한 과외 활동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다.[8] 음악 및 연극 동아리로는 60명 이상의 학생으로 구성된 민사고 오케스트라, 한국 전통 음악을 연주하며 주요 학교 행사 및 공식 행사 시작 시 공연하는 대취타가 있다. 뮤지컬은 Stars on the Stage(2020년 폐지)와 The Scene에서 공연하며, 각각 연례 학교 음악 콘서트에서 짧은 공연과 장편 뮤지컬을 공연한다. 이외에도 민족 관현악단, 발라드 공연 그룹 뉴에이지 오브 발라드와 시너지, 록 음악 동아리 FITM과 PLZ, 힙합 동아리 라임 팩토리, 사물놀이 동아리 사무침, 연극 동아리 Life is Drama 등이 있다.

예술 및 글쓰기 분야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전시회를 개최하는 사진 동아리 Through the Lens, 영어 학교 신문 '''민족 헤럴드'''와 한국어 학교 신문 '''불휘'''가 있다. '''민족 헤럴드'''는 분기별로 발행되며 전미 학교 신문 협회 회원이다.[8]

학술 경연 대회 참여도 활발하다. 모의 재판 동아리는 2010년 한동국제법률대학원에서 개최한 모의 재판 글로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제2회 한-호주 모의 재판 친선 경기에서 호주 팀을 꺾었다. 영어 토론 동아리는 2009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개최된 유럽 학교 토론 선수권 대회(ESDC)에서 우승했다. 2011년에는 전국 학교 토론 선수권 대회(NSDC) 및 광주 청소년 토론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여 한국에서 열린 여러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이 밖에도 또래 상담 동아리 삭삭임, 국제앰네스티의 학교 지부, 경제 동아리 ECORUM, 천문 동아리 애플 파이, 환경 인식 동아리 ENsiders 등이 있다.

체육 활동으로는 매일 아침 6시 30분부터 7시까지 아침 운동이 진행된다. 10학년은 검도태권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1학년이 끝날 때까지 대한검도회 또는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로 공식 등록된다. 11학년은 배구, 소프트볼, 조깅 등 다양한 선택지를 갖는다. 3년 동안 체육 수업은 필수이며, 10학년은 각 학기에 한국 전통 활쏘기(각궁)와 골프를 배우고, 11학년은 농구, 축구, 댄스 스포츠 중에서, 12학년은 배구나 탁구를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남녀 농구팀을 모두 운영한다. 남자 농구팀 "Crossover"는 2009년, 2010년 강원도 대회를 우승했으며, 2010년과 2023년 강원도 클럽 농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여자 농구팀 "Game Over"는 5회 연속 강원도 챔피언이다.

야구, 소프트볼, 티볼도 진행된다. 학교 야구팀 "KBO"는 2010년 강원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KMLA Basebal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소프트볼과 티볼 클럽 "Play ball" 중 티볼팀은 2014년 강원도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배드민턴, 펜싱, 플래그 풋볼, 축구, 테니스, 라크로스 등의 스포츠 클럽이 운영된다.

== 학교 상징 및 교가 ==

이순신정약용은 학교의 상징이다. 교가는 시조, 민요, 행진곡 형식으로 쓰였으며, 학교의 역사와 궁극적인 목표가 담겨 있다. 아침 조회나 학교 행사에서 교가를 부르며,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 매주 월요일 아침 조회 마지막 순서에 모든 학생과 교직원은 기립하여 민족사관고등학교 관현악단 또는 민족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춰 교가를 부른다.

교훈은 다음과 같다.

> 가슴에는 민족의 긍지를, 머리에는 겨레의 밝은 미래를 품고, 사욕을 위한 공부가 아닌, 참다운 학문을 탐구하며, 개인의 영달을 위한 직업 선택이 아닌, 천부적인 재능과 소질에 맞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나의 진정한 행복과 겨레의 밝은 내일을, 나아가 온 인류의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간다.

5. 1. 기숙사 생활

민족사관고등학교 학생들은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기숙사 방에서 매일 저녁 30분 동안 '혼정(昏定)'이라는 유교적 전통 의례가 진행된다. 혼정 시간에는 학생들이 하루를 반성하고 부모님께 감사하는 시간을 갖는다. 학생들은 부모님을 대신하여 기숙사 감독관인 '사감 선생님'에게 감사를 표하고, 사감 선생님의 훈화와 공지 사항 전달 후 모든 학생이 사감에게 절을 한다. 이후에는 공지 사항 전달이나 생일 축하 행사 등을 진행한다.

5. 2. 학생 자치 활동

민족사관고등학교의 학생 자치회는 학생들이 학창 시절 민주주의를 경험하고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학생들이 삼권 분립 정치 시스템과 대표자로서의 의무를 경험하면서 창의적인 리더십을 개발하도록 이끈다. 학생 자치회는 집행부, 입법부, 사법부의 세 가지 주요 부서로 구성되며, 세 개의 위원회를 지원하고 함께 활동하는 14개의 부서가 있다.

각 위원회의 구성원은 매 학기마다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집행 위원회와 입법 위원회는 11학년 학생 1명(회장)과 2명(부회장), 10학년 학생 2명으로 구성된다. 사법부는 3명(회장 1명, 부회장 2명)으로 구성된다. 제22대 학생 자치회는 2016년 9월에 선출되었다.

사법부는 학교 규정을 위반한 학생들이 매주 목요일에 출석하는 학교 법정을 운영한다. 또한 학생들의 변론의 타당성을 평가하여 타당성이 인정되면 처벌을 면제할 수 있으며, 학생들이 받는 벌점의 수는 사법부의 판단에 따라 결정된다. 사법부는 학교 규정이나 시스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집행부 및 입법부와 협력한다.

15개의 부서는 학교 행사 관리부, 학교 지도부, 식량 및 영양부, 사법부, 재정부, 방송부, 도서관 관리부, 감사 및 검사부, 공보부, EOP부, 학교 환경부, 교육부, 학교 역사부, 체육부, 소프트웨어 및 기술부이다.

5. 3. 동아리 활동

민족사관고등학교에는 다양한 과외 활동 동아리가 운영되고 있다.[8] 음악 및 연극 동아리로는 60명 이상의 학생으로 구성된 민사고 오케스트라, 한국 전통 음악을 연주하며 주요 학교 행사 및 공식 행사 시작 시 공연하는 대취타가 있다. 뮤지컬은 Stars on the Stage(2020년 폐지)와 The Scene에서 공연하며, 각각 연례 학교 음악 콘서트에서 짧은 공연과 장편 뮤지컬을 공연한다. 이외에도 민족 관현악단, 발라드 공연 그룹 뉴에이지 오브 발라드와 시너지, 록 음악 동아리 FITM과 PLZ, 힙합 동아리 라임 팩토리, 사물놀이 동아리 사무침, 연극 동아리 Life is Drama 등이 있다.

예술 및 글쓰기 분야에서는 학교 안팎에서 전시회를 개최하는 사진 동아리 Through the Lens, 영어 학교 신문 '''민족 헤럴드'''와 한국어 학교 신문 '''불휘'''가 있다. '''민족 헤럴드'''는 분기별로 발행되며 전미 학교 신문 협회 회원이다.[8]

학술 경연 대회 참여도 활발하다. 모의 재판 동아리는 2010년 한동국제법률대학원에서 개최한 모의 재판 글로벌 대회에서 우승했으며, 제2회 한-호주 모의 재판 친선 경기에서 호주 팀을 꺾었다. 영어 토론 동아리는 2009년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개최된 유럽 학교 토론 선수권 대회(ESDC)에서 우승했다. 2011년에는 전국 학교 토론 선수권 대회(NSDC) 및 광주 청소년 토론 선수권 대회를 포함하여 한국에서 열린 여러 토너먼트에서 우승했다.

이 밖에도 또래 상담 동아리 삭삭임, 국제앰네스티의 학교 지부, 경제 동아리 ECORUM, 천문 동아리 애플 파이, 환경 인식 동아리 ENsiders 등이 있다.

체육 활동으로는 매일 아침 6시 30분부터 7시까지 아침 운동이 진행된다. 10학년은 검도태권도 중 하나를 선택하여 1학년이 끝날 때까지 대한검도회 또는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로 공식 등록된다. 11학년은 배구, 소프트볼, 조깅 등 다양한 선택지를 갖는다. 3년 동안 체육 수업은 필수이며, 10학년은 각 학기에 한국 전통 활쏘기(각궁)와 골프를 배우고, 11학년은 농구, 축구, 댄스 스포츠 중에서, 12학년은 배구나 탁구를 선택할 수 있다.

학교는 남녀 농구팀을 모두 운영한다. 남자 농구팀 "Crossover"는 2009년, 2010년 강원도 대회를 우승했으며, 2010년과 2023년 강원도 클럽 농구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여자 농구팀 "Game Over"는 5회 연속 강원도 챔피언이다.

야구, 소프트볼, 티볼도 진행된다. 학교 야구팀 "KBO"는 2010년 강원도 야구 선수권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후 "KMLA Baseball"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소프트볼과 티볼 클럽 "Play ball" 중 티볼팀은 2014년 강원도에서 2위를 차지했다.

이 외에도 배드민턴, 펜싱, 플래그 풋볼, 축구, 테니스, 라크로스 등의 스포츠 클럽이 운영된다.

5. 4. 학교 상징 및 교가

이순신정약용은 학교의 상징이다. 교가는 시조, 민요, 행진곡 형식으로 쓰였으며, 학교의 역사와 궁극적인 목표가 담겨 있다. 아침 조회나 학교 행사에서 교가를 부르며,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긍심과 공동체 의식을 높인다. 매주 월요일 아침 조회 마지막 순서에 모든 학생과 교직원은 기립하여 민족사관고등학교 관현악단 또는 민족 오케스트라의 반주에 맞춰 교가를 부른다.

교훈은 다음과 같다.

> 가슴에는 민족의 긍지를, 머리에는 겨레의 밝은 미래를 품고, 사욕을 위한 공부가 아닌, 참다운 학문을 탐구하며, 개인의 영달을 위한 직업 선택이 아닌, 천부적인 재능과 소질에 맞는 직업을 선택함으로써, 나의 진정한 행복과 겨레의 밝은 내일을, 나아가 온 인류의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 나간다.

6. 학교 시설


  • 기숙사: 12층 건물로 학생 숙소, 열람실, 식당, 빵집 등이 있다. 3명의 학생이 개인 침대와 책상이 있는 방을 함께 사용하며, 객실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공용 욕실을 사용한다.
  • 민족 문화관: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 대금, 가야금, 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을 배울 수 있다. 민족 문화관에서는 학생들이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돕는다.

  • 교육관: 충무관과 다산관 두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 실험실,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녹음실 및 연습실, 무용실과 더불어 대부분의 교사 개인 연구실이 있다.
  • 체육관: 지하에 체조실이 있는 실내 스포츠 건물이다. 농구, 탁구, 태권도, 검도, 배구 등을 즐길 수 있다.
  • 국궁장: 한국 전통 스포츠인 국궁을 연습할 수 있는 공간으로, 학생들은 건강한 몸과 마음, 그리고 조국에 대한 자긍심을 키운다.
  • 영어 교육관: 영어 교육에 전념하는 건물로, 여러 명의 원어민을 포함한 영어 교사들이 연구실을 가지고 있다.
  • 운동장: 국제 2급 육상 경기를 치를 수 있는 400m 트랙이 있다. 트랙 안쪽에는 잔디 축구장이 있고, 테니스 코트와 농구 코트가 트랙 옆에 있다.

민족사관고등학교의 일반적인 수업

6. 1. 교육 시설

민족사관고등학교의 교육 시설은 다음과 같다.

  • 기숙사: 12층 건물로 학생 숙소, 열람실, 식당, 빵집 등이 있다. 3명의 학생이 개인 침대와 책상이 있는 방을 함께 사용하며, 객실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공용 욕실을 사용한다.
  • 민족 문화관: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지로, 대금, 가야금, 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을 배울 수 있다.

  • 교육관: 충무관과 다산관 두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 실험실,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녹음실 및 연습실, 무용실과 더불어 대부분의 교사 개인 연구실이 있다.
  • 체육관: 지하에 체조실이 있는 실내 스포츠 건물이다. 농구, 탁구, 태권도, 검도, 배구 등을 즐길 수 있다.
  • 국궁장: 한국 전통 스포츠인 국궁을 연습할 수 있다.
  • 영어 교육관: 영어 교육에 전념하는 건물로, 여러 명의 원어민을 포함한 영어 교사들이 연구실을 가지고 있다.
  • 운동장: 국제 2급 육상 경기를 치를 수 있는 400m 트랙이 있다. 트랙 안쪽에는 잔디 축구장이 있고, 테니스 코트와 농구 코트가 트랙 옆에 있다.


6. 2. 생활 시설

기숙사는 학생 숙소, 열람실, 식당 및 빵집을 포함한 12층 건물이다. 3명의 학생이 개인 침대와 책상이 있는 방을 함께 사용하며, 객실은 복도로 연결되어 있고 공용 욕실을 사용한다.

민족 문화관은 한국 문화 교육의 중심지이다. 학생들은 대금, 가야금, 사물놀이 등 한국 전통을 배우면서 자랑스러운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한다.

교육관은 충무관과 다산관(두 건물은 한국 역사 속 두드러진 인물에게 헌정되어 이름 붙여짐)의 두 건물로 구성되어 있다. 과학 실험실, 도서관, 강당, 컴퓨터실, 녹음실 및 연습실, 무용실과 더불어 대부분의 교사 개인 연구실이 있다.

체육관은 지하에 체조실이 있는 실내 스포츠 건물이다. 이러한 시설을 통해 학생들은 민족사관고등학교의 고립된 위치에도 불구하고 농구, 탁구, 태권도, 검도, 배구 등 많은 스포츠를 즐길 수 있다.

국궁장에서는 한국 전통 스포츠인 국궁을 연습하면서 학생들은 건강한 몸과 마음, 그리고 조국에 대한 자긍심을 키운다.

영어 교육관은 오직 영어 사용 정책과 함께 영어 교육에 전념하고 있다. 여러 명의 원어민을 포함한 많은 영어 교사들이 이 건물에 연구실을 가지고 있다.

민족사관고등학교는 국제 2급 육상 경기를 치를 수 있는 400m 트랙을 갖춘 운동장이 있다. 트랙 안쪽에는 몇 개의 스프링클러가 있는 잔디 축구장이 있다. 테니스 코트와 농구 코트가 트랙 옆에 있다.

7. 학교 동문

wikitable

이름설명
홍길동민족사관고등학교 1회 졸업생, OO대학교 졸업
김철수민족사관고등학교 2회 졸업생, XX대학교 졸업


참조

[1] 웹사이트 KMLA Enrollment http://english.minjo[...]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013-07-26
[2] 웹사이트 민족 (民族) https://krdict.korea[...] 2024-02-14
[3] 뉴스 Elite Korean Schools, Forging Ivy League Skills https://www.nytimes.[...] 2013-09-19
[4] 뉴스 How the Schools Stack Up https://online.wsj.c[...] 2013-09-19
[5] 웹사이트 KMLA Admissions at Universities Abroad http://english.minjo[...]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013-07-25
[6] 웹사이트 KMLA Achievements http://english.minjo[...]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013-07-25
[7] 논문 Thinking Locally, Acting Globally: Redefining Traditions at the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http://muse.jhu.edu/[...]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13-09-19
[8] 웹사이트 Membership Status Search at NSPA homepage as of 10 December 2012. http://www.studentpr[...] 2012-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