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바잉울기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바잉울기주는 몽골 최서단에 위치하며 러시아, 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카자흐스탄과도 인접해 있다. 몽골에서 가장 높은 지역으로 알타이 산맥에 속하며, 카자흐족이 다수를 차지한다. 매 사냥 문화가 유명하며, 매년 황금 매 축제가 열린다. 욀기 공항이 있으며, 13개의 솜과 1개의 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도는 올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몽골의 주 - 동드고비주
    동드고비주는 몽골 중남부에 위치한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으로, 초원과 사막 지형에 구리, 석탄, 철광석 등 풍부한 광물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목 생활을 하는 주민들은 게르에서 거주하며 샤머니즘과 텡그리즘 신앙을 가지고 있다.
  • 몽골의 주 - 아르항가이주
    아르항가이주는 몽골국 중앙부 항가이 산맥 북쪽에 위치하며 낙농업이 활발하고 농업과 축산업이 주요 경제이며 자야 게겐 사원과 타이하르 석 등의 관광지가 있다.
바잉울기주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올기
올기
바잉울기 주 깃발
깃발
바잉울기 주 문장
문장
현지어 이름, 바얀-욀гий 아ймаг}}
다른 표기로마자 표기: Bayan-Ölgiy


, ; , ; , باي- ٴولكە, ; }}
별칭(지정되지 않음)
모토(지정되지 않음)
국가몽골
설치일1939년
주도욀기
지리
면적45704.89 제곱킬로미터
해발고도1710 미터
행정
주지사예. 잔가르https://bayan-olgii.gov.mn/governor/
지역번호+976 (0)142
차량 번호판БӨ_
인구
총 인구 (2020년)108530명
인구 밀도자동 계산
경제
GDP (2022년)총액: MNT 6590억 (USD 0.2억)
1인당: MNT 603만 5천 (USD 1932)
GDP 참고자료https://www.1212.mn/en/statistic/statcate/573052/table-view/DT_NSO_0500_007V1
시간대
시간대UTC+7
기타
ISO 3166-1MN-071
우편 번호(지정되지 않음)
웹사이트www.bayan-olgii.gov.mn

2. 지리

바잉울기 아이막은 몽골 최서단에 위치하며, 러시아중국과 국경을 접하고 있다. 인접 국가와의 국경은 매우 짧아서, 약 40km 지점에서 카자흐스탄 동쪽 끝에서 끝난다. 몽골 내에서는 북동쪽으로 우브스, 남동쪽으로 코브드와 접해 있다.[22]

톨보 호수


바잉울기는 몽골에서 가장 높은 아이막이다. 대부분 몽골 알타이 산맥에 위치하며, 러시아 알타이로 넘어가는 경계 지점에 있다. 영토의 약 10%는 주로 시베리아 낙엽송으로 이루어진 숲으로 덮여 있다.

알타이 타반 보그드("다섯 성인의 산") 산괴의 나이람달 봉우리 (별칭: "우정 봉우리", 중국어: ''Youyi Feng'')는 세 인접 국가의 경계 지점을 표시한다. 몽골-중국 국경에서 남쪽으로 약 2.5km 더 가면 휘텐 봉우리가 해발 4374m로 몽골에서 가장 높은 지점이다. 산괴에는 19km 길이의 포타닌 빙하와 같은 여러 빙하가 있으며, 현지 안내를 받는 숙련된 등반가만 접근할 수 있다.

코브드 강 (서부 몽골 대호 분지에서 가장 긴 강)은 이 아이막에서 발원한다. "호톤", "후르간", "다얀"의 세 호수에서 물을 공급받으며, 코브드 아이막의 하르-우스 호수로 흘러든다. 톨보 호수는 아이막의 주도에서 남쪽으로 약 50km 떨어진 곳에 있는 큰 염호이다. 해발 2080m에 위치하며 맑고 차가운 물을 자랑한다.

바잉울기 주의 주도는 울기이다. 1940년 8월에 설립되었다.[22] 몽골 최서부에 위치하며,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와 접한다. 튀르크족 카자흐족이 인구의 93%를 차지한다.

3. 인구

바양울기주의 주민 대부분은 카자흐족(93%)이다.[3] 나머지 인구는 우랑하이, 도르보드,[4] 할하, 쳉겔 투바인, 코슈드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인구의 상당수는 카자흐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몽골어는 거의 사용하지 않거나, 사용하더라도 제2언어로 사용한다.

민주화 이후 많은 주민들이 더 나은 미래를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하여 역사적인 고향인 카자흐스탄으로 이주했다. 그 결과 1991~1993년에 약 8만 명이 카자흐스탄으로 귀환하면서 인구 감소가 두드러졌다. 이전 이민자들의 상당수가 다시 돌아오면서 인구가 다시 증가했다.

바양울기 아이막 인구[5][6][7][8][9][10][20]
1956년
인구 조사
1960년
추산
1963년
인구 조사
1969년
인구 조사
1975년
추산
1979년
인구 조사
1981년
추산
1985년
추산
1989년
인구 조사
1991년
추산
1993년
추산
1995년
추산
1998년
추산
2000년
인구 조사
2010년
인구 조사
2020년
인구 조사
38,80044,60047,80058,10066,60071,40074,50082,40090,900102,81775,04382,25987,34194,09488,056108,530


4. 문화

바양울기 아이막의 풍경


바양울기는 몽골 최서단에 위치한 변방 지역으로, 카자흐인 주민이 많아 문화적 다양성과 독자성을 보인다. 몽골의 다른 지역이 유목민적인 몽골 전통에 기반을 둔 반면, 바양울기는 카자흐 문화가 지배적이며, 독자적인 관습, 언어, 종교를 소중히 여긴다. 이 지역의 많은 카자흐인은 모국어인 카자흐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도이기 때문에 불교샤머니즘 전통이 깊이 뿌리내린 몽골의 다른 지역과 종교적으로 다르다.

바양울기 사람들은 가축 사육이나 전통적인 게르(유목민 텐트)에서의 생활 등 유목민의 관습을 따르며, 따뜻한 환대로 알려져 있다. 베슈바르마크(고기 요리)나 쿠미스(발효된 말젖) 등의 전통적인 카자흐 요리 또한 이 지역의 식문화의 일부이다. 바양울기는 변방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생생하게 지켜나가며, 카자흐와 몽골 전통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4. 1. 매 사냥

이 아이막은 전통적인 매 사냥으로 유명하다.[11][12][13][14][15] 사로잡힌 매들은 사냥 매와 유사한 방식으로 활동한다. 매는 세계 다른 지역, 특히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에서도 사냥에 사용되지만, 이 관습은 바양울기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 세계 매 사냥꾼의 약 80%가 이곳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바양울기 문화의 핵심 요소는 수 세기에 걸쳐 전해져 내려온 매 사냥 전통이다. 이 사냥 방식에서는 훈련된 황금독수리를 사용하여 여우나 토끼 등의 동물을 잡는다. 매 사냥은 중요한 수입원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유산으로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매 사육사, 즉 베르쿠치는 사회적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그들의 기술은 매년 개최되는 황금 매 축제에서 칭찬받는다. 이 축제는 울기에서 매년 10월에 열리며, 약 70명의 사냥꾼이 참여한다.[17][18] 이 축제는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며, 전 세계에서 사람들이 모여 장관을 이루는 사냥 쇼와 전통적인 경기를 관람한다.

4. 2. 기타 문화

카자흐족 다수가 거주하는 이곳의 문화는 이슬람 전통의 강한 영향을 받는다. 울기 사원에는 몽골 이슬람 센터도 자리 잡고 있다. 이 건물은 정확히 메카를 향하도록 지어졌기 때문에 도시 구조 내에서 특이한 각도로 배치되어 있다. 같은 장소에는 ''마드라사''(이슬람 학교)도 있다.

이 아이막은 전통적인 매 사냥으로 유명하다.[11][12][13][14][15] 사로잡힌 매들은 와 유사한 방식으로 활동한다. 매는 세계 다른 지역, 특히 카자흐스탄키르기스스탄에서도 사냥에 사용되지만, 이 관습은 바양울기에서 가장 흔하게 나타나며, 전 세계 매 사냥꾼의 약 80%가 이곳에 거주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매 사냥꾼들의 기량을 선보이기 위해 매년 10월 울기에서 황금 매 축제가 열리며, 매년 약 70명의 사냥꾼이 참여한다.[17][18]

바양울기는 몽골 최서단에 위치한 변방 지역으로, 그 문화적 다양성과 독자성은 주로 카자흐인 주민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몽골의 다른 지역이 유목민적인 몽골 전통에 근간을 두고 있는 데 반해, 바양울기에서는 카자흐 문화가 지배적이며, 그들은 독자적인 관습, 언어, 종교를 소중히 여긴다. 이 지역의 많은 카자흐인은 모국어인 카자흐어를 사용하며, 수니파 이슬람교도이기 때문에 불교샤머니즘 전통이 깊이 뿌리내린 몽골의 다른 지역과 종교적으로도 다르다.

바양울기 문화의 핵심 요소는 수 세기에 걸쳐 전해져 내려온 매 사냥 전통이다. 이 사냥 방식에서는 훈련된 황금독수리를 사용하여 여우토끼 등의 동물을 잡는다. 매 사냥은 중요한 수입원일 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유산으로서도 큰 의미를 지닌다. 매 사육사(베르쿠치)는 사회적으로 높이 평가받으며, 그들의 기술은 매년 개최되는 골든 이글 페스티벌에서 칭찬받는다. 이 축제는 국제적으로도 유명하며, 전 세계에서 사람들이 모여 장관을 이루는 사냥 쇼와 전통적인 경기를 관람한다.

매 사냥 외에도, 바양울기 사람들의 일상생활에서는 가축 사육이나 전통적인 게르(유목민 텐트)에서의 생활 등, 다른 유목민의 관습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카자흐인은 그들의 따뜻한 환대로 알려져 있으며, 베슈바르마크(고기 요리)나 쿠미스(발효된 말젖) 등의 전통적인 카자흐 요리 또한 이 지역의 식문화의 일부이다. 바양울기가 변방임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자신들의 문화를 생생하게 지켜나가며, 카자흐와 몽골 전통의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5. 교통

욀기 공항(ULG/ZMUL)은 활주로 1개를 가지고 있으며, 2011년까지 비포장 상태였다. 몽골의 울란바토르, 울랑곰, 머런과 카자흐스탄알마티로 정기 항공편과 부정기 항공편을 운항한다.[1]

차강누르에서 러시아로 연결되는 도로가 시작된다.[1]

중국과의 국경은 여름에만 잠시 개방된다.[1]

6. 국립공원

알타이 타반 보그드 국립공원은 6362km2 면적으로 몽골에서 가장 높은 산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이곳에는 ''호톤'', ''후르간'', ''다얀'' 호수가 있다. 이 보호 구역은 아르갈리 양, 아이벡스, 붉은사슴, 너구리, 말코손바닥사슴, 설산닭, 황금독수리와 같은 많은 고산 동물의 서식지를 제공한다.[1]

''크흐흐 세르킨 누루 보호 구역''(659km2)과 ''실케미인 누루 국립공원''(1428km2)은 비슷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1]

''데벨린 아랄 자연 보호구역''(103km2)은 ''Lsan Khooloi'' 강과 ''Khovd'' 강이 합류하는 지점의 ''데벨린 섬'' 주변에 조성되었다. 2000년부터 이곳은 , 멧돼지, 비버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와 동물들을 보호하고 있다.[1]

참바가라브 울 국립공원은 호브드 아이마그 인근의 빙하 주변 1115km2의 토지를 포함하며, 그곳에 서식하는 설표 등을 보호한다.[1]

7. 행정 구역

(1985)솜 인구
(1994)[19]솜 인구
(2005)[6]솜 인구
(2008)[10]솜 인구
(2009)[20]솜 중심지
인구
(2009)[20]면적
(km²)[21]인구 밀도
(/km²)올기 시에서
거리(km)알타이Алтайmn3,4003,2373,9143,6593,8119733163.56km21.20112알탄초그츠Алтанцөгцmn3,3003,0383,0383,1143,0808261786.1km21.7243바얀누르Баяннуурmn4,8004,5075,3205,0125,0331,7842339.5km22.15126부갓Бугатmn3,3002,7773,6043,7413,6421,1612049.1km21.786불간Булганmn5,0005,1155,9015,8275,5289444977.33km21.11294부얀트Буянтmn2,3002,5463,0022,6832,5146531845.67km21.3672델룬Дэлүүнmn6,6006,7828,1837,0787,1331,6425594.99km21.27158노곤누르Ногооннуурmn7,500 *6,3316,5396,5666,3752,1655221.94km2 *1.22 *92올기Өлгийmn24,00021,56928,24828,49628,44828,448100.92km2281.890삭사이Сагсайmn4,1003,7465,1855,1745,0891,3753139.99km21.6227톨보Толбоmn4,1003,7464,2604,0764,1361,0672974.69km21.3976차간누르Цагааннуурmn-1,8781,5281,4521,4731,473--69첸겔Цэнгэлmn6,7006,5398,3648,3058,3482,0286463.17km21.2979울란후스Улаанхусmn7,3006,8078,6728,7488,4071,4806047.93km21.3946

* 차간누르 포함

8. 역대 주지사

바잉울기주의 역대 주지사 목록은 다음과 같다. 주지사는 제1 서기, 집행위원회 의장, 1991년 이후 집행위원회 의장으로 구분된다.

바잉울기주 역대 주지사
직위재임 기간이름비고
제1 서기1940–1942쉼시르울리 노가이 (Шымшырұлы Ноғайkk)
1942듀젤바이울리 제니샨 (Дүзелбайұлы Жеңісханkk)
1943샨칭후 아르슬란 (Ш. Ванчинхүү арсланmn)
1943–1952맬리쿨리 카슈킨바이 (Мәлікұлы Қашқынбайkk)
1952–1953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한 (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3–1954주앙간울리 림 (Жуанғанұлы Рымkk)
1954–1957맬리쿨리 카슈킨바이 (Мәлікұлы Қашқынбайkk)
1958–1962카마트잔울리 무사한 (Қаматжанұлы Мұсаханkk)
1962–1966B. 둘람락차 (Б. Дуламрагчааmn)
1966–1970B. 데지드 (Б.Дэжидmn)
1970–1976야 지그지드 (Я. Жигжидmn)
1976–1980L. 휘를레 (Л. Хүрлээmn)
1980–1999바이타자울리 쿠르메트베크 (Байтазаұлы Құрметбекkk)
집행위원회 의장1940년–1942년바지울리 카비 (Бәжіұлы Қабиkk)
1942년–1943년A. 베그자브 (А. Бэгзжавmn)
1943년–1950년듀젤바이울리 제니샨 (Дүзелбайұлы Жеңісханkk)
1950년–1952년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함 (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2년–1953년C. 샤그다르 (Ч. Шагдарmn)
1954년–1955년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함 (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5년–1958년샤비울리 카브딜 (Шәбіұлы Қабдылkk)
1959년–1970년주앙간울리 림 (Жуанғанұлы Рымkk)
1970년–1978년아스칸바이울리 사라 (Асқанбайұлы Сарайkk)
1978년–1989년쿠스베쿨리 키지르한 (Құсбекұлы Қызырханkk)
1991년 이후1990–1996쿤투간울리 미잠한
1996–2000카디룰리 메이람
2000–2004카브디실람울리 바델한
2004–2007오마룰리 가브사트타르
2007–2012세케이울리 카빌
2012–2016쿠즈케이울리 다르멘
2016–2020아이푸울리 귈름한
2020-2023다렐울리 바우르잔
2023-현재아흐메디울리 카멜리얏


8. 1. 제1 서기

재임 기간이름
1940–1942쉼시르울리 노가이(Шымшырұлы Ноғайkk)
1942듀젤바이울리 제니샨(Дүзелбайұлы Жеңісханkk)
1943샨칭후 아르슬란(Ш. Ванчинхүү арсланmn)
1943–1952맬리쿨리 카슈킨바이(Мәлікұлы Қашқынбайkk)
1952–1953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한(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3–1954주앙간울리 림(Жуанғанұлы Рымkk)
1954–1957맬리쿨리 카슈킨바이(Мәлікұлы Қашқынбайkk)
1958–1962카마트잔울리 무사한(Қаматжанұлы Мұсаханkk)
1962–1966B. 둘람락차(Б. Дуламрагчааmn)
1966–1970B. 데지드(Б.Дэжидmn)
1970–1976야 지그지드(Я. Жигжидmn)
1976–1980L. 휘를레(Л. Хүрлээmn)
1980–1999바이타자울리 쿠르메트베크(Байтазаұлы Құрметбекkk)


8. 2. 집행위원회 의장

재임 기간이름비고
1940년–1942년바지울리 카비 (Бәжіұлы Қабиkk)
1942년–1943년A. 베그자브 (А. Бэгзжавmn)
1943년–1950년듀젤바이울리 제니샨 (Дүзелбайұлы Жеңісханkk)
1950년–1952년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함 (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2년–1953년C. 샤그다르 (Ч. Шагдарmn)
1954년–1955년무하메디울리 쿠르만함 (Мұхамәдиұлы Құрманханkk)
1955년–1958년샤비울리 카브딜 (Шәбіұлы Қабдылkk)
1959년–1970년주앙간울리 림 (Жуанғанұлы Рымkk)
1970년–1978년아스칸바이울리 사라 (Асқанбайұлы Сарайkk)
1978년–1989년쿠스베쿨리 키지르한 (Құсбекұлы Қызырханkk)
1989년–1990년T. 다바자브 (Т. Даваажавmn)


8. 3. 1991년 이후

1991년 이후 역대 집행위원회 의장


9. 시설

바양울기 주 박물관

10. 인물

참조

[1] 웹사이트 Аймгийн Засаг даргын тухай – Баян-Өлгий аймаг https://bayan-olgii.[...] 2024-12-11
[2] 웹사이트 GROSS DOMESTIC PRODUCT, by region, aimags and the Capital https://www.1212.mn/[...] Mongoli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23-12-06
[3] 웹사이트 Танилцуулга | Баян-Өлгий аймаг http://www.bayan-olg[...] 2016-01-20
[4] 웹사이트 Баян-Өлгий https://zasag.mn/m/b[...] 2023-04-09
[5] 웹사이트 Mongolia Provinces http://www.statoids.[...] 2021-05-18
[6] 웹사이트 Statistics office of Bayan-Ölgii aimag http://202.131.5.91/[...] 2007-03-30
[7] 웹사이트 МОНГОЛ УЛСЫН ҮНДЭСНИЙ СТАТИСТИКИЙН ХОРОО http://www.nso.mn/md[...] 2021-05-18
[8] 서적 National Economy of the Mongolian People's Republic (1921–1981) Ulaanbaatar 1981
[9] 웹사이트 None http://www.geohive.c[...] 2023-04-09
[10]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statis.mn[...] 2009-01-21
[11] 간행물 'Contemporary Falconry in Altai-Kazakh in Western Mongolia’''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7)''' http://www.ijih.org/[...] 2012
[12] 간행물 'The Art of Horse-Riding Falconry by Altai-Kazakh Falconers'. In ''HERITAGE 2012 (vol.2): Proceedings of the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eritage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orto: Green Line Institut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2012
[13] 간행물 'Horse-Riding Falconry in Altai-Kazakh Nomadic Society: Anthropological Researches in Summertime Activities of Falconers and Golden Eagle'. ''Japanese Journal of Human and Animal Relation 32''' 2012
[14] 간행물 'Hunting Arts of Eagle Falconers in the Altai-Kazakhs: Contemporary Operations of Horse-Riding Falconry in Sagsai County, Western Mongolia'. ''Japanese Journal of Human and Animal Relation 35''' 2013
[15] 간행물 'Ethnographic Study of Altaic Kazakh Falconers', ''Falco: The Newsletter of the Middle East Falcon Research Group 41''' https://web.archive.[...] 2013
[16] 웹사이트 Eagle Hunters https://discover-bay[...] 2012-12-28
[17] 웹사이트 Home Page http://www.touristin[...] 2021-05-18
[18] 간행물 'Altai Kazakh Falconry as Heritage Tourism: “The Golden Eagle Festival” of Western Mongolia',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Intangible Heritage vol. 9" http://www.ijih.org/[...] Seoul: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2014
[19]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eliefweb[...] 2022-06-30
[20] 문서 Bayan-Ölgii Aimag Statistical Office. Annual Report 2009 (prelim.) http://www.statis.mn[...] 2011-07-22
[21] 웹사이트 Bayan-Ölgii Aimag Annual Statistical Report 2008 http://www.statis.mn[...] 2023-04-09
[22] 논문 モンゴル西部バヤン・ウルギー県サグサイ村における移動牧畜の現状と課題 https://doi.org/10.4[...] 日本地理学会 201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