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박용철 (시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박용철은 대한민국의 시인으로, 시문학 동인으로 활동하며 순수 문학을 이끌었다. 1904년 광주광역시에서 출생하여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에서 유학했다. 김영랑과 교류하며 1930년 《시문학》을 창간했고, 《문예월간》, 《문학》 등을 창간하며 순수 문학 계열에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떠나가는 배〉가 있으며, 주로 해외 시와 희곡을 번역하는 활동을 했다. 1938년 결핵으로 사망했으며, 사후 《박용철 전집》이 간행되었다. 그는 1930년대 문단에서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하며 순수 문학의 흐름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오야마 가쿠인 중등부 및 고등부 동문 - 호시노 마리
    호시노 마리는 일본의 배우이자 가수로, 아역 배우로 데뷔하여 드라마 《3학년 B반 킨파치 선생님》으로 인기를 얻었으며, 2001년 "유리의 날개"로 CD 데뷔 후 배우로서도 인정받아 낭트 3대륙 영화제 여우주연상, 다카사키 영화제 최우수 조연 여우상 등을 수상했고, 에세이 및 그림책을 출판하는 등 다방면으로 활동하고 있다.
  • 충주 박씨 - 박선규
    박선규는 KBS 기자 출신으로 탈북자 관련 보도로 주목받고 이명박 정부에서 청와대 대변인과 문체부 차관을 역임하며 평창 동계 올림픽 유치에 기여했으며, 윤석열 정부에서 규제개혁위원회 민간위원과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있는 대한민국의 언론인 출신 정치인이자 공무원이다.
  • 충주 박씨 - 박찬호
    박찬호는 한국인 최초로 메이저 리그에 진출하여 아시아 출신 투수 최다승 기록을 세운 전직 야구 선수로, 메이저 리그와 KBO 리그에서 활약했으며 국가대표로도 금메달을 획득했다.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최남선
    최남선은 1890년에 태어나 1957년에 사망한 대한민국의 문인이자 독립운동가, 언론인, 역사학자이며, 《소년》을 창간하고 신체시 〈해에게서 소년에게〉를 발표하여 현대 한국 문학의 선구자로 평가받으며, 3·1 운동 독립선언서 기초, 친일 행적, 단군 연구, 《단군론》, 《불함문화론》 저술 등의 활동을 했다.
  • 일제강점기의 번역가 - 박헌영
    박헌영은 일제강점기 사회주의 운동가이자 독립운동가, 정치인으로, 조선공산당 창당에 참여하고 해방 후 조선공산당 재건에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했으나, 한국 전쟁 이후 김일성 정권에 의해 처형되어 그의 생애와 활동은 논란과 재평가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박용철 (시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박용철
본명박용철
한자 표기朴龍喆
로마자 표기Bak Yongcheol
용아(龍兒)
생애
출생일1904년 6월 21일
출생지광산구(광산)
사망일1938년 5월 12일
사망지서울
학력 및 경력
직업시인, 번역가
활동 기간1930년 ~ 1938년
작품 활동
장르, 평론, 번역

2. 생애

박용철은 전라남도 광산군(현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 태어나 배재고등보통학교를 거쳐 일본 도쿄 아오야마 학원과 연희전문에서 수학했다. 일본 유학 중 김영랑과 교류하며 1930년 《시문학》을 함께 창간해 등단했다. 1931년 《문예월간》, 1934년 《문학》등을 창간해 순수문학 계열로 활동했다. 대표작으로는 〈떠나가는 배〉가 있다. 〈떠나가는 배〉는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거냐/나 두 야 가련다"로 시작되는 초기작이다.

이후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해외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했다. 1938년 결핵으로 사망하여 자신의 작품집은 생전에 내보지 못했다. 사망 1년 후 《박용철 전집》이 시문학사에서 간행됐다. 전집에는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의 시 번역이 많았다.

그의 시는 김영랑이나 정지용과 비교해 시어가 맑거나 밝지는 않지만, 서정시의 바탕에 사상성이나 민족의식이 깔려 있어 그들의 시에서는 없는 특색이라는 평가를 받는다.[7] 그는 릴케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회의·모색·상징 등이 주된 특징을 이룬다.[8]

광주에 생가가 보존돼 있고 광주공원에는 〈떠나가는 배〉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9] 매년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는 용아예술제를 열고 있다.

다음은 연도별로 정리한 박용철의 생애이다.

연도사건
1904년전라남도광산군 송정읍 소촌리에서 출생.
1916년광주공립보통학교 졸업.
1919년울산 김씨와 결혼.
1920년배재고등보통학교 자퇴.
1922년일본 도쿄 아오야마 학원 중학부 편입.
1923년관동 대지진으로 학업 중단.
1929년아내와 이혼.
1930년『시문학』 창간.
1931년『문예월간』 창간.
1932년임정희와 재혼.
1934년『문학』 창간.
1938년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자택에서 사망.


2. 1. 출생과 성장

龍兒중국어 박용철은 1904년 6월 21일 전라남도 광산군 송정읍 소촌리 36번지(현 광주광역시 광산구[5])에서 아버지 박하준과 어머니 고광고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충주이며, 박상의 15대손이다. 삼남 중 장남으로 성장했다.[7]

2. 2. 학창 시절과 일본 유학

1916년 광주공립보통학교를 졸업하고 휘문의숙에 입학했으나 곧 배재학당으로 전학했다.[5] 1920년 배재고등보통학교 졸업을 앞두고 자퇴한 후,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청산학원 중등부 4학년에 편입했다.[5] 청산학원에서 김영랑을 만나 깊은 우정을 나누었으며, 훗날 함께 시문학파를 이끌었다.[5] 1923년 관동 대지진으로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5] 연희전문에서 잠시 수학했으나 자퇴했다.[5]

2. 3. 결혼과 이혼

박용철은 15세 때 어머니가 장티푸스에 걸려 병상에 눕게 되자 집안일을 돕기 위해 14세의 울산 김씨 김효실과 결혼했다.[5] 그러나 신교육을 받지 못한 아내와의 갈등으로 1929년 이혼했다. 이후 1932년 여동생의 학우였던 임정희와 연애 끝에 재혼했다.

2. 4. 문학 활동

1930년 3월, 김영랑, 정지용 등과 함께 문예지 《시문학》을 창간하며 등단했다.[7] 1931년 11월, 《문예월간》을 창간하고 이하윤과 함께 편집을 맡아, 김영랑, 정지용 외 여러 필자를 모집하여, 더 대중적인 문예지로 발전시키려 노력했다. 그러나 이 잡지는 1932년 3월 4호로 중단되었다.[5] 1934년 1월, 《문학》을 창간했으나, 재정난과 건강 악화로 3호 만에 종간되었다.[5]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해외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했다.[7] 번역 희곡으로는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이 있다.[7]

임화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으로 대표되는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김기림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해 순수문학이라는 흐름을 이끌었다.[7] 김영랑, 정지용, 신석정, 이하윤 등이 같은 시문학파이다.[7]

2. 5. 질병과 죽음

1934년 무렵, 박용철은 건강이 심하게 나빠져 고향에서 요양해야 했다.[7] 1937년에는 잠시 건강을 회복하여 일본에 다녀오기도 했지만,[7] 1938년에는 다시 몸이 쇠약해져 의사 표현조차 어려울 정도가 되었다.[7] 대학병원, 성모병원, 세브란스병원 등을 전전하며 치료를 받았으나,[7] 결국 결핵이 악화되어 1938년 5월 12일 오후 5시,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자택에서 34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7] 유해는 고향 전라남도의 생가 근처에 안장되었다.[7]

3. 사후

1939년 시문학사에서 《박용철 전집》이 간행되었다.[7] 전집 전체 내용 중 번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여, 박용철의 번역 문학에 대한 관심을 알 수 있다.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의 시가 많았다.[7] 번역 희곡으로는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이 있다.[7] 광주공원에는 〈떠나가는 배〉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9] 광주광역시 광산구에서는 매년 용아예술제를 열고 있다.

4. 작품 세계

박용철은 1930년대 문단에서 임화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카프)으로 대표되는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김기림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하여 순수문학이라는 흐름을 이끌었다. 김영랑, 정지용, 신석정, 이하윤 등이 같은 시문학파였다.

1930년 김영랑과 함께 《시문학》을 창간하여 등단했으며, 1931년 《월간문학》, 1934년 《문학》 등을 창간하여 순수문학 계열에서 활동했다. 초기에는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거냐/나 두 야 가련다"로 시작되는 〈떠나가는 배〉와 같은 시를 썼으나, 이후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해외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하는 데 주력했다.[7]

4. 1. 순수 서정시

박용철은 김영랑, 정지용 등과 함께 시문학파를 결성하여 순수 서정시 운동을 주도했다. 그의 시는 김영랑이나 정지용의 시보다 시어가 맑거나 밝지는 않지만, 서정시를 바탕으로 사상성이나 민족의식이 깔려 있어 그들의 시에는 없는 특징이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7] 그는 릴케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회의, 모색, 상징 등이 주된 특징을 이룬다.[8] 대표작으로 〈떠나가는 배〉, 〈싸늘한 이마〉, 〈밤 기차에 그대를 보내고〉 등이 있다.

4. 2. 번역 문학

박용철은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들의 시를 주로 번역하여 한국 문학에 소개했다.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과 같은 희곡 번역에도 힘썼는데, 이는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번역한 작품들이다.[7]

사망 1년 후 시문학사에서 간행된 《박용철 전집》에는 그의 번역 작품이 수록되어 있으며, 전체 내용 중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번역 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7]

5. 평가

박용철은 1930년대 문단에서 임화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으로 대표되는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김기림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해 순수문학이라는 흐름을 이끌었다. 김영랑, 정지용, 신석정, 이하윤 등이 같은 시문학파였다.[7] 박용철의 시는 김영랑이나 정지용과 비교해 시어가 맑거나 밝지는 않은 대신, 서정시의 바탕에 사상성이나 민족의식이 깔려 그들의 시에서는 없는 특색이라는 평가가 있다.[7] 그는 릴케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회의·모색·상징 등이 주조를 이룬다.[8]

6. 작품 목록

=== 시 ===


  • 떠나가는 배


: 광주공원에는 〈떠나가는 배〉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9]

=== 번역 ===

1938년 결핵으로 사망하여 생전에 자신의 작품집을 내지 못했다. 사망 1년 후 시문학사에서 《박용철 전집》이 간행되었는데, 전집 내용 중 번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번역 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의 시 번역이 많았으며,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 희곡도 번역했다.

6. 1. 시

김영랑과 교류하며 1930년 《시문학》을 함께 창간해 등단했다. 1931년 《월간문학》, 1934년 《문학》등을 창간해 순수문학 계열로 활동했다.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거냐/나 두 야 가련다"로 시작되는 대표작 〈떠나가는 배〉는 초기작이고, 이후로는 주로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해외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했다.[7]

1930년대 문단에서 임화조선프롤레타리아예술가동맹으로 대표되는 경향파 리얼리즘 문학, 김기림으로 대표되는 모더니즘 문학과 대립해 순수문학이라는 흐름을 이끌었다. 김영랑, 정지용, 신석정, 이하윤 등이 시문학파에 속한다. 박용철의 시는 김영랑이나 정지용과 비교해 시어가 맑거나 밝지는 않지만, 서정시의 바탕에 사상성이나 민족의식이 깔려 있어 그들의 시에서는 없는 특색이라는 평가를 받는다.[8] 릴케와 키에르케고르의 영향을 받아 회의·모색·상징 등이 주를 이룬다.[8]

광주공원에는 〈떠나가는 배〉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9]

  • 떠나가는 배

6. 2. 번역

박용철은 일본 유학 중 시인 김영랑과 교류하며 1930년 《시문학》을 함께 창간해 등단했다. 1931년 《월간문학》, 1934년 《문학》등을 창간해 순수문학 계열로 활동했다. 초기에는 "나 두 야 간다/나의 이 젊은 나이를/눈물로야 보낼거냐/나 두 야 가련다"로 시작되는 대표작 〈떠나가는 배〉 등을 썼으나, 이후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해외 희곡을 번역하고 평론을 발표하는 데 주력했다.[7]

1938년 결핵으로 사망하여 생전에 자신의 작품집을 내지 못했다. 사망 1년 후 시문학사에서 《박용철 전집》이 간행되었는데, 전집 내용 중 번역이 절반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번역 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을 엿볼 수 있다. 괴테, 하이네, 릴케 등 독일 시인의 시 번역이 많았으며, 셰익스피어의 《베니스의 상인》, 입센의 《인형의 집》 등 희곡도 번역했다. 이들은 극예술연구회 회원으로 활동하며 번역한 작품들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on Gives a Meaning to Father's Literary Connections with Norway https://www.koreatim[...] 2024-01-05
[2] 서적 A History of the Korean People in Modern Times: 1800 To the Present 1993
[3] 간행물 Korea Journal 1989
[4] 간행물 Koreana International Cultural Society of Korea 1993
[5] 웹사이트 박용철(朴龍喆) https://encykorea.ak[...] 2022-08-20
[6] 웹사이트 박용철-브리태니커 백과사전 http://enc.daum.net/[...] 2009-09-21
[7] 논문 한국 현대시의 전개양상 연구 1979
[8] 백과사전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
[9] 웹사이트 용아생가 http://www.gedu.net/[...] 2016-03-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