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말단 분화된 B 림프구의 통제되지 않는 단클론 증식이 특징인 희귀 혈액암이다. MYD88 및 CXCR4 유전자 돌연변이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자가면역 질환,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또한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증상으로는 무력감, 피로, 체중 감소, 코피, 림프절 비대 등이 나타나며, 진단은 혈액 검사, 골수 생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치료법으로는 이브루티닙과 같은 약물 치료, 혈장분반술, 조혈모세포 이식 등이 있으며, 무증상 시에는 경과 관찰을 하기도 한다. 예후는 국제 예후 점수 시스템(IPSSWM)을 통해 예측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를 통해 생존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혈액학적 신생물 - 혈액암
혈액암은 혈액이나 골수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림프종, 백혈병, 다발성 골수종 등이 있으며, 염색체 전좌가 원인일 수 있고, 질병 유형에 따라 다양한 치료법과 자가 관리가 필요하다. - 혈액학적 신생물 - 모구 형질세포양 수지상세포 종양
모구 형질세포양 수지상세포 종양은 형질세포양 수지상 세포에서 기원하는 희귀 혈액암으로, 피부 병변, 림프절 비대, 골수 침윤 등의 증상을 보이며, 유전자 이상, 특히 TET2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며, 화학 요법, 조혈모세포 이식 등으로 치료한다. - 림프종 - 림프절 변연부 B세포 림프종
제공된 텍스트는 위키백과 문서의 개요가 아니라 문서 작성 과정에 대한 설명이므로, 림프절 변연부 B세포 림프종에 대한 요약문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 림프종 - 성인 T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은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고위험성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으로, 고칼슘혈증, 피부 질환, 용해성 골병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급성형, 림프종형, 만성형, 연성형으로 분류된다. - 희귀암 - 중피종
중피종은 석면 노출이 주요 원인이며 20~50년의 잠복기를 거쳐 흉막, 복막 등에서 발생하는 악성 종양으로, 진단은 영상 검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수술, 항암 치료 등을 병행하며 예후는 좋지 않다. - 희귀암 - 성인 T세포 백혈병
성인 T세포 백혈병은 사람 T세포 림프친화 바이러스 1형에 의해 유발되는 고위험성 비호지킨 림프종의 일종으로, 고칼슘혈증, 피부 질환, 용해성 골병변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급성형, 림프종형, 만성형, 연성형으로 분류된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 |
---|---|
질병 정보 | |
이름 |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
동의어 | 림프형질세포 림프종 |
분야 | 혈액학 종양학 |
원인 | 알려지지 않음 |
증상 및 징후 | |
증상 | 증상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일부 환자는 무증상일 수 있음 |
일반적인 증상 | 피로 쇠약 체중 감소 발열 야간 발한 |
기타 증상 | 빈혈 혈소판감소증 림프절병증 간비대 신경병증 고점도혈증 |
합병증 | |
합병증 | 고점도혈증 증후군 한랭글로불린혈증 신경계 합병증 자가면역 질환 아밀로이드증 형질 전환 (더 공격적인 림프종으로의 전환) |
진단 | |
진단 방법 | 골수 검사 혈액 검사 영상 검사 |
진단 기준 | 골수에서 림프형질세포의 증식 혈청에서 IgM 단클론 단백질의 존재 다른 림프종의 배제 |
감별 진단 | |
감별 진단 | 다발골수종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여포 림프종 변연부 림프종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
치료 | |
치료 방법 | 무증상인 경우 경과 관찰 증상이 있는 경우 치료 시작 |
치료 옵션 | 화학 요법 생물학적 제제 (예: 리툭시맙) 자가 조혈모세포 이식 BTK 억제제 (예: 이브루티닙) 프로테아좀 억제제 (예: 보르테조밉) 알킬화제 (예: 사이클로포스파미드) |
약물 | 리툭시맙 이브루티닙 보르테조밉 사이클로포스파미드 |
예후 | |
예후 | 치료 반응 및 질병 진행에 따라 다름 |
생존 기간 | 치료 기술 발전으로 생존 기간 연장 |
빈도 | |
빈도 | 희귀 질환 |
외부 링크 |
2. 원인
자가면역 질환 병력이 있거나 자가항체가 있는 사람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위험이 2~3배 높으며, 특히 간염,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리케차병과 관련된 위험이 높다.[13] 농업, 살충제, 나무 먼지, 유기 용제 등 환경적 요인 노출도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15]
2. 1. 유전적 요인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말단 분화된 B 림프구의 통제되지 않는 단클론 증식이 특징이다. 30명의 환자에 대한 전체 게놈 시퀀싱 결과, 가장 흔하게 관련된 돌연변이는 MYD88의 체세포 돌연변이(90%)와 CXCR4의 체세포 돌연변이(27%)이다.[10] CXCR4 돌연변이는 질병의 특징인 증상성 고점도 증후군과 높은 골수 활성도를 유발한다.[11] 그러나 CXCR4 돌연변이는 비장 비대, 높은 혈소판 수치 또는 치료에 대한 다른 반응과 관련이 없으므로, 환자 치료에 있어 CXCR4의 관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11] 6번 염색체의 6p21.3 위치와의 연관성이 입증되었다.[12]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의 직계 가족은 질병 발생 위험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유전 질환과 관련된 요인이 있음을 시사한다.[14] MYD88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환자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다.[18]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는 세포 유전학 및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최소한의 변화만을 보이지만, miRNA 서명은 정상적인 대응물과 다르다. 따라서 후성 유전학적 변형이 이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9]
비교 유전체 혼성화는 6q23 및 13q14의 결실과 3q13-q28, 6p 및 18q의 증가와 같은 염색체 이상을 확인했다.[20] FGFR3가 과발현된다.[21]
관련된 신호 전달 경로는 다음과 같다.
- CD154/CD40[22]
- Akt[23]
- 유비퀴틴화, p53 활성화 및 사이토크롬 c 방출[24]
- NF-κB[25][26]
- Wnt/베타-카테닌[27]
- mTOR[28]
- ERK[25]
- MAPK[29]
- Bcl-2[30]
Src 티로신 키나아제 단백질은 대조군 B 세포에 비해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에서 과발현된다.[31]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빈혈증과 관련된 마이크로RNA는 다음과 같다.[32][33]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에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및 히스톤 변형 유전자가 탈조절된다.[41] 골수 종양 세포는 CD20 (98.3%), CD22 (88.3%), CD40 (83.3%), CD52 (77.4%), IgM (83.3%), MUC1 코어 단백질 (57.8%), 그리고 1D10 (50%) 등의 항원 표적을 발현한다.[42]
2. 2. 환경적 요인
농업, 살충제, 나무 먼지 및 유기 용제에 대한 노출과 같은 환경적 요인이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증거가 있다.[15]2. 3. 후성유전학적 요인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는 세포 유전학 및 유전자 발현 연구에서 최소한의 변화만을 보이지만, miRNA 서명은 정상적인 대응물과 다르다. 따라서 후성 유전학적 변형이 이 질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19]비교 유전체 혼성화는 6q23 및 13q14의 결실과 3q13-q28, 6p 및 18q의 증가와 같은 염색체 이상을 확인했다.[20] FGFR3가 과발현된다.[21]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빈혈증과 관련된 마이크로RNA는 다음과 같다:[32][33]
- miRNAs-363*,[34] -206,[35] -494,[36] -155,[37] -184,[38] -542–3p의 발현 증가.[39]
- miRNA-9*의 발현 감소.[40]
- 마이크로RNA-155는 MAPK/ERK, PI3/AKT, 및 NF-κB 경로를 억제하여 시험관 내 및 시험관 내에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의 증식 및 성장을 조절한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세포에서, 히스톤 탈아세틸화 효소 및 히스톤 변형 유전자가 탈조절된다.[41]
3. 병태생리
시야 흐림, 시력 상실, 두통, 드물게는 뇌졸중이나 혼수 증상은 IgM 단클론성 감마글로불린혈증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이는 자가면역 현상 또는 한랭글로불린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43][44][45][46]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다른 증상은 환자의 6–20%에서 나타나는 고점도 증후군 때문이다.[43][44][45][46] 이는 IgM 단클론 단백질 분자가 서로 응집체를 형성하고, 탄수화물 성분을 통해 물과 결합하며, 혈구와 상호 작용하여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47]
4. 증상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징후와 증상으로는 무력감, 피로, 체중 감소, 만성적인 코피 및 잇몸 출혈 등이 있다.[9] 환자의 10%에서 말초 신경병증이 발생한다. 림프절 비대, 비장 비대, 그리고/또는 간 비대는 사례의 30–40%에서 나타난다.[85] 다른 가능한 징후와 증상으로는 시야 흐림 또는 시력 상실, 두통, (드물게) 뇌졸중 또는 혼수가 있다.
시야 흐림 또는 시력 상실, 두통, (드물게) 뇌졸중 또는 혼수를 포함한 증상은 IgM 단클론성 감마글로불린혈증의 영향으로 발생하며, 이는 자가면역 현상 또는 한랭글로불린혈증을 유발할 수 있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다른 증상은 환자의 6–20%에서 나타나는 고점도 증후군 때문이다.[43][44][45][46] 이는 IgM 단클론 단백질 분자가 서로 응집체를 형성하고, 탄수화물 성분을 통해 물과 결합하며, 혈구와 상호 작용하여 혈액의 점도를 증가시키기 때문이다.[47]
5. 진단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혈액 검사, 골수 생검,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의 영상 검사를 종합하여 진단한다.[48] 혈액 검사에서는 단클론 IgM 스파이크가 나타나며, 골수 생검에서는 질병과 일치하는 악성 세포를 확인할 수 있다.[49] CT 검사로는 흉부, 복부, 골반에서 림프절, 간, 비장의 부종을 평가하고, 골격 조사를 통해 다발성 골수종과의 감별 진단을 할 수 있다.[1]
5. 1. 혈액 검사
혈액 검사에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명확하게 나타난다. 혈액 검사는 혈액 내 IgM 수치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주요 징후인 단백질 또는 종양 표지자의 존재를 보여준다.[48] 빈혈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의 약 80%에서 발생한다. 혈액에서 낮은 백혈구 수치와 낮은 혈소판 수치가 관찰될 수 있다. 낮은 호중구 수치 (특정 유형의 백혈구)도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이 있는 일부 개인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1]화학 검사에는 젖산 탈수소 효소 (LDH) 수치, 요산 수치, 적혈구 침강 속도 (ESR), 신장 및 간 기능, 총 단백질 수치, 알부민 대 글로불린 비율이 포함된다. ESR 및 요산 수치는 상승할 수 있다. 크레아티닌은 때때로 상승하고 전해질은 때때로 비정상적이다. 높은 혈액 칼슘 수치는 환자의 약 4%에서 나타난다. LDH 수치는 자주 상승하며,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관련 조직 침범 정도를 나타낸다. 류마티스 인자, 한랭 글로불린,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 및 한랭 응집소 역가 검사 결과가 양성일 수 있다.[1]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및 C-반응 단백질 검사 결과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 특이적이지 않다.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은 종양 덩어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48]
응고 이상이 있을 수 있다. 프로트롬빈 시간,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트롬빈 시간 및 피브리노겐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혈소판 응집 연구는 선택 사항이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는 단클론 스파이크의 증거를 나타내지만 스파이크를 IgM으로 확정할 수 없다. 베타에서 감마 이동성을 보이는 M 성분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을 시사한다. 면역 전기영동 및 면역 고정 연구는 면역글로불린의 유형, 경쇄의 클론성, 파라프로테인의 단클론성과 정량화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클론 IgM 파라프로테인을 식별하고 특성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전기영동과 혈청 및 소변 면역 고정이 권장된다. 단클론 단백질의 경쇄는 일반적으로 카파 경쇄이다. 때때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는 둘 이상의 M 단백질을 나타낼 수 있다. 혈장 점도를 측정해야 한다.[48] 요중 면역글로불린의 특성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카파 유형인 경쇄 (벤스 존스 단백질)가 소변에서 발견됨을 나타낸다. 소변 수집은 농축되어야 한다. 벤스 존스 단백뇨는 약 40%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약 3%에서 1g/d을 초과한다. 말초 신경 병증 소견이 있는 환자는 신경 전도 검사와 항수초 연관 당단백질 혈청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진단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50]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외투 세포 림프종을 제외하는 IgM 단클론 감마병증.
- 빈혈, 전신 증상, 과점도, 부은 림프절, 또는 기저 림프증식성 질환에 기인할 수 있는 간 및 비장의 비대의 증거.
5. 2. 골수 생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진단은 혈액 검사에서 명확하게 나타나는 단클론 IgM 스파이크와 골수 생검 샘플에서 질병과 일치하는 악성 세포를 보이는지에 달려있다.[48] 혈액 검사는 혈액 내 IgM 수치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주요 징후인 단백질 또는 종양 표지자의 존재를 보여준다. 골수 생검은 일반적으로 골반 뼈의 허리에서 채취한 골수 샘플을 제공한다. 샘플은 바늘을 통해 추출하여 현미경으로 검사한다. 병리학자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을 나타내는 특정 림프구를 식별한다.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여 림프구의 표면 또는 내부에 있는 표지자를 검사할 수 있다.[49]5. 3. 영상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 등의 검사를 통해 흉부, 복부, 골반 부위에서 림프절, 간, 비장의 부종을 평가할 수 있다. 골격 조사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과 다발성 골수종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1]5. 4. 기타 검사
컴퓨터 단층 촬영(CT)과 같은 추가 검사를 사용하여 흉부, 복부 및 골반, 특히 림프절, 간 및 비장의 부종을 평가할 수 있다. 골격 조사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과 다발성 골수종을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1] 빈혈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의 약 80%에서 발생한다. 혈액에서 낮은 백혈구 수치와 낮은 혈소판 수치가 관찰될 수 있다. 낮은 호중구 수치(특정 유형의 백혈구)도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이 있는 일부 개인에게서 발견될 수 있다.[1]화학 검사에는 젖산 탈수소 효소(LDH) 수치, 요산 수치, 적혈구 침강 속도(ESR), 신장 및 간 기능, 총 단백질 수치, 알부민 대 글로불린 비율이 포함된다. ESR 및 요산 수치는 상승할 수 있다. 크레아티닌은 때때로 상승하고 전해질은 때때로 비정상적이다. 높은 혈액 칼슘 수치는 환자의 약 4%에서 나타난다. LDH 수치는 자주 상승하며,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관련 조직 침범 정도를 나타낸다. 류마티스 인자, 한랭 글로불린, 직접 항글로불린 검사 및 한랭 응집소 역가 검사 결과가 양성일 수 있다.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 및 C-반응 단백질 검사 결과는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 특이적이지 않다. 베타-2 마이크로글로불린은 종양 덩어리에 비례하여 증가한다. 응고 이상이 있을 수 있다. 프로트롬빈 시간, 활성화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시간, 트롬빈 시간 및 피브리노겐 검사를 수행해야 한다. 혈소판 응집 연구는 선택 사항이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 결과는 단클론 스파이크의 증거를 나타내지만 스파이크를 IgM으로 확정할 수 없다. 베타에서 감마 이동성을 보이는 M 성분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을 시사한다. 면역 전기영동 및 면역 고정 연구는 면역글로불린의 유형, 경쇄의 클론성, 파라프로테인의 단클론성과 정량화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된다. 단클론 IgM 파라프로테인을 식별하고 특성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전기영동과 혈청 및 소변 면역 고정이 권장된다. 단클론 단백질의 경쇄는 일반적으로 카파 경쇄이다. 때때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는 둘 이상의 M 단백질을 나타낼 수 있다. 혈장 점도를 측정해야 한다. 요중 면역글로불린의 특성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카파 유형인 경쇄(벤스 존스 단백질)가 소변에서 발견됨을 나타낸다. 소변 수집은 농축되어야 한다. 벤스 존스 단백뇨는 약 40%의 환자에서 관찰되며 약 3%에서 1g/d을 초과한다. 말초 신경 병증 소견이 있는 환자는 신경 전도 검사와 항수초 연관 당단백질 혈청 검사를 받아야 한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진단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외투 세포 림프종을 제외하는 IgM 단클론 감마병증.
# 빈혈, 전신 증상, 과점도, 부은 림프절, 또는 기저 림프증식성 질환에 기인할 수 있는 간 및 비장의 비대의 증거.[50]
6. 치료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단일 치료법이 아직 확립되지 않아, 환자마다 치료 결과에 큰 차이를 보인다.[51] 객관적인 반응률은 80% 이상으로 높지만, 완전 반응률은 0~15%로 낮다.[88]
트레온[55]과 mSMART[56] 등 다양한 치료 흐름도가 존재한다.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는 일반인보다 2차 암 발생 위험이 높지만, 치료가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는 불분명하다.[57] 치료는 형질 이상 단백 수치와 림프구 B세포를 모두 고려해야 한다.[60]
2002년 국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워크숍에서는 재발성 발열, 야간 발한, 빈혈로 인한 피로, 체중 감소, 진행성 증상성 림프절병증 또는 비장 비대, 골수 침윤으로 인한 빈혈 등 전신 증상이 있는 환자에게 치료를 시작할 것을 권장했다. 고점도 증후군, 증상성 감각 운동 말초 신경병증, 전신 아밀로이드증, 신부전, 증상성 한랭글로불린혈증 등도 치료 대상이다.[61]
6. 1. 대증 요법 (Watchful waiting)
증상이 없는 경우, 많은 임상의들은 환자를 단순히 관찰할 것을 권고하며,[58] 발덴스트롬(Waldenström) 본인 또한 그러한 환자에게 "괜찮은 상태를 유지하라"고 말했다. 이러한 무증상 사례는 이제 두 개의 연속적인 전암성 단계, IgM 단클론 감마병증(MGUS) 및 불안정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으로 분류된다.[5][6] 하지만 때때로 이 질환은 치명적일 수 있는데, 1974년 암 발견 6년 만에 재임 중 사망한 프랑스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가 그 예이다. 이란의 샤 모하마드 레자 팔라비 또한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을 앓았으며, 이는 1979년 치료를 위해 미국으로의 불운한 여행으로 이어져 이란 인질 사태를 초래했다.[59]6. 2. 약물 치료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 대한 단일 치료법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51] 이 질병의 분자적 기초에 대한 지식 부족으로 인해 임상 결과에 큰 차이가 있다. 객관적인 반응률은 높지만(80% 이상), 완전 반응률은 낮다(0~15%).[88]약물 이브루티닙은 MYD88 L265P 돌연변이로 유도된 부르톤 티로신 키나아제의 활성화를 표적으로 한다.[52] 이전에 치료를 받은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코호트 연구에서, 이브루티닙은 환자의 91%에서 반응을 유도했으며, 2년 후에는 69%의 환자에게서 질병 진행이 없었고 95%가 생존했다.[53] 이 연구를 바탕으로, 미국 식품의약국은 2015년에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치료에 이브루티닙 사용을 승인했다.[54]
치료에는 단클론 항체 리툭시맙이 포함되며, 때로는 클로람부실,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탈리도마이드와 같은 화학 요법제와 병용된다.[62]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프레드니손도 병용될 수 있다. 혈장분반술은 혈액에서 형질 이상 단백을 제거하여 고점도 증후군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질병을 치료하지는 않는다.[63] 이브루티닙과 리툭시맙의 병용 치료는 리툭시맙 단독 치료보다 질병 진행 없는 생존 기간이 유의하게 더 길었다.[64]
자가 골수 이식은 치료 옵션이다.[65]
또 다른 BTK 억제제인 자누브루티닙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이 있는 성인 환자의 치료에 적응증을 나타낸다.[69] 고점도 증후군을 경험하는 환자의 경우, 혈액 내 IgM 수치를 신속하게 감소시키기 위해 혈장분반술이 사용된다.[70] 약물 치료에 대한 1차 또는 2차 내성이 발생하는 경우, 구제 요법을 고려한다. 동종 줄기 세포 이식은 고강도 사전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지속적인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71]
6. 3. 혈장분반술
혈장분반술은 혈액에서 형질 이상 단백을 제거하여 고점도 증후군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근본적인 질병을 치료하지는 않는다.[63] 고점도 증후군을 겪는 환자의 경우, 혈액 내 IgM 수치를 빠르게 낮추기 위해 혈장분반술이 사용된다.[70]6. 4. 조혈모세포 이식
자가 골수 이식은 치료 옵션 중 하나이다.[65][66][67][68] 고강도 사전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는 동종 조혈모 세포 이식이 지속적인 관해를 유도할 수 있다.[71]7. 예후
현재 의학 기술 발전으로 일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 환자들의 생존 기간이 10년 이상으로 연장되고 있는데, 이는 조기 진단 및 치료 덕분이다. 고령에 진단 및 치료를 받을 경우, 보고된 중간 생존 기간은 진단 후 약 5년이었다.[4] 현재 중간 생존 기간은 6.5년이다.[75] 드물게 이 질환은 다발성 골수종으로 진행되기도 한다.[76]
7. 1. 국제 예후 점수 시스템 (IPSSWM)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 대한 국제 예후 점수 시스템(IPSSWM)은 장기적인 결과를 예측하는 모델이다.[77][78] 이 모델에 따르면, 생존 기간 감소를 예측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79]요인 |
---|
나이 > 65세 |
혈색소 ≤ 11.5g/dL |
혈소판 수 ≤ 100×109/L |
β2-마이크로글로불린 > 3 mg/L |
혈청 단클론 단백질 농도 > 70 g/L |
위험 범주는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위험 범주 | 조건 |
---|---|
낮음 | 나이를 제외한 ≤ 1개의 불리한 변수 |
중간 | 2개의 불리한 특성 또는 나이 > 65세 |
높음 | > 2개의 불리한 특성 |
각 위험 범주에 대한 5년 생존율은 각각 87%, 68%, 36%이다.[80] 이에 해당하는 중간 생존 기간은 각각 12년, 8년, 3.5년이다.[81]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에 대한 국제 예후 점수 시스템은 신뢰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82] 리툭시맙 기반 치료 요법을 받는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하다.[80] 추가적인 예측 인자는 혈청 젖산 탈수소 효소(LDH) 상승이다.[83]
8. 역학
림프구를 포함하는 암의 1%가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이다.[84] 이 질환은 드물게 발생하며, 미국에서 연간 1,500건 미만이 진단된다. 발병 중간 연령은 60세에서 65세 사이이며, 10대 후반에도 발병하는 경우가 있다. 이 질환으로 사망한 유명 인사로는 1980년 61세의 나이로 사망한 댄서이자 안무가인 거워 챔피언[4][85], 전 프랑스 대통령 조르주 퐁피두 등이 있다.
9. 역사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1944년 얀 G. 발덴스트롬에 의해 처음 기술되었다. 그는 코와 입에서 출혈이 있고, 빈혈, 혈액 내 피브리노젠 수치 감소(저피브리노젠혈증), 림프절 부종, 골수 내 신생 형질 세포, 그리고 혈액 점성 증가를 보이는 두 명의 환자를 발견했다. 이러한 증상은 거대글로불린이라고 불리는 무거운 단백질의 증가로 인한 것이었다.[86]
한동안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단클론 감마병증의 존재와 형질세포양 림프구의 골수 및 다른 장기 침윤 때문에 다발성 골수종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세계 보건 기구 분류에 따르면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은 림프형질세포성 림프종 범주에 속하며, 이는 다시 느린 진행(저등급) 비호지킨 림프종의 하위 범주이다.[87] 1990년대 이후 발덴스트롬 거대글로불린혈증의 이해와 치료에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88]
참조
[1]
웹사이트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https://dictionary.c[...]
Cambridge University
2023-01-05
[2]
웹사이트
macroglobulinemia
2020-09-24
[3]
웹사이트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2020-09-24
[4]
서적
ACP Medicine
WebMD Professional Publishing
[5]
논문
Diagnosis, risk 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of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nd smoldering multiple myeloma
[6]
논문
New developments in the management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7]
웹사이트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https://rarediseases[...]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2018-04-17
[8]
문서
Living with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International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Foundation
[9]
서적
Internal Medicine
C.V.Mosby
[10]
논문
The genomic landscape of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is characterized by highly recurring MYD88 and WHIM-like CXCR4 mutations, and small somatic deletions associated with B-cell lymphomagenesis
[11]
논문
CXCR4 mutations affect presentation and outcomes in patients with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A systematic review
[12]
논문
6q deletion discriminates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from IgM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13]
논문
Chronic immune stimulation and subsequent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14]
논문
Risk of lymphoproliferative disorders among first-degree relatives of lymphoplasmacytic lymphoma/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patients: a population-based study in Sweden
[15]
논문
Differential characteristics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according to patterns of familial aggregation
[16]
논문
Familial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https://zenodo.org/r[...]
[17]
논문
Genomewide linkage screen for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susceptibility loci in high-risk families
[18]
논문
MYD88 L265P Somatic Mutation in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19]
논문
Epigenetic modifications as key regulators of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biology
[20]
논문
High-Resolution Genomic Analysis in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Identifies Disease-Specific and Common Abnormalities with Marginal Zone Lymphomas
[21]
논문
FGFR3 is overexpressed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and its inhibition by Dovitinib induces apoptosis, and overcomes stroma-induced proliferation
[22]
웹사이트
Meeting Library Redesign
http://www.asco.org/[...]
2017-05-26
[23]
논문
The Akt pathway regulates survival and homing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24]
논문
XK469, a topo IIbeta inhibitor, induces apoptosis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through multiple pathways
[25]
논문
Targeting NF-kappaB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26]
논문
Identification of copy number abnormalities and inactivating mutations in two negative regulators of nuclear factor-kappaB signaling pathways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27]
논문
Gene expression profiling of B lymphocytes and plasma cells from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comparison with expression patterns of the same cell counterparts from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multiple myeloma and normal individuals
[28]
논문
Targeted therapies in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29]
논문
Gene-expression profiling of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reveals a phenotype more similar to chronic lymphocytic leukemia than multiple myeloma
[30]
논문
Modulation of the activity of Bcl-2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using antisense oligonucleotides
[31]
논문
Src tyrosine kinase regulates adhesion and chemotaxis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32]
논문
MicroRNAs to know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33]
논문
MicroRNA expression in the biology, prognosis, and therapy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34]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0764
http://www.mirbase.o[...]
[35]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0490
http://www.mirbase.o[...]
[36]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3134
http://www.mirbase.o[...]
[37]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0681
http://www.mirbase.o[...]
[38]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0481
http://www.mirbase.o[...]
[39]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3686
http://www.mirbase.o[...]
[40]
웹사이트
MiRNA Entry for MI0000466
http://www.mirbase.o[...]
[41]
논문
microRNA-dependent modulation of histone acetylation in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42]
논문
Expression of serotherapy target antigens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therapeutic applications and considerations
[43]
논문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Development of diagnostic criteria and identification of prognostic factors
[44]
논문
Immunophenotypic analysis of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45]
논문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4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47]
서적
Hematology : basic principles and practic
http://www.expertcon[...]
Churchill Livingstone/Elsevier
2012-03-26
[48]
EMedicine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49]
웹사이트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Questions and Answers
http://www.cancer.go[...]
National Cancer Institute
2013-01-28
[50]
문서
Criteria for diagnosis of WM- IMWG 2009 guidelines
[51]
논문
Update on therapeutic options in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52]
논문
A mutation in MYD88 (L265P) supports the survival of lymphoplasmacytic cells by activation of Bruton tyrosine kinase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53]
논문
Ibrutinib in Previously Treated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54]
웹사이트
FDA expands approved use of Imbruvica for rare form of non-Hodgkin lymphoma
https://www.fda.gov/[...]
FDA
2015-01-29
[55]
논문
How I treat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56]
논문
Diagnosis and Management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Mayo Stratification of Macroglobulinemia and Risk-Adapted Therapy (mSMART) Guidelines
[57]
논문
Risk of second cancers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58]
EMedicine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59]
논문
To treat or not to treat, this is the real question
[60]
논문
Neurological manifestations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61]
논문
Prognostic markers and criteria to initiate therapy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consensus panel recommendations from the Second International Workshop o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62]
논문
Thalidomide and rituximab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63]
논문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a review of therapy
[64]
논문
Phase 3 Trial of Ibrutinib plus Rituximab in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2018-06-21
[65]
논문
Autologous peripheral blood stem cell transplantation for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66]
논문
Allogeneic bone marrow transplantation for advanced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67]
논문
High-dose chemotherapy followed by stem 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resistant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68]
논문
Transplantation i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the French experience
[69]
웹사이트
FDA approves zanubrutinib for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https://www.fda.gov/[...]
2021-09-01
[70]
웹사이트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https://my.cleveland[...]
2024-07-12
[71]
논문
Allogeneic Stem-Cell Transplantation in Patients with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Report from the Lymphoma Working Party of the European Group for Blood and Marrow Transplantation
[72]
논문
Review of clinical trials conducted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and recommendations for reporting clinical trial responses in these patients
[73]
웹사이트
Search of: Waldenstrom - List Results - ClinicalTrials.gov
https://www.clinical[...]
[74]
논문
Attainment of complete/very good partial response following rituximab-based therapy is an important determinant to progression-free survival, and is impacted by polymorphisms in FCGR3A in Waldenstrom macroglobulinaemia
[75]
EMedicine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76]
논문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with the AML/MDS-associated t(1;3)(p36;q21)
[77]
간행물
International Prognostic Scoring System for Waldenström's Macroglobulinemia. XIth International Myeloma Workshop & IVth International Workshop on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25 30 June 2007 Kos Island, Greece. ''Haematologica'' 2007;92(6 suppl 2):1–229
Haematologica
2007-06-25
[78]
논문
Validation of the International Prognostic Scoring System (IPSS) for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WM) and the importance of serum lactate dehydrogenase (LDH)
[79]
문서
N.B. The article refers to them as "adverse covariates".
[80]
논문
The International Prognostic Scoring System for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is applicable in patients treated with rituximab-based regimens
[81]
웹사이트
Survival Rates for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http://www.cancer.or[...]
[82]
논문
Prognostic value of the International Scoring System and response in patients with advanced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2011-03-10
[83]
논문
Long-term survival in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10-year follow-up of Southwest Oncology Group-directed intergroup trial S9003
[84]
서적
Clinical hematology: theory and procedures
https://archive.org/[...]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85]
서적
Holland-Frei Cancer Medicine
https://archive.org/[...]
B.C. Decker
[86]
논문
Incipient myelomatosis or "essential" hyperglobulinemia with fibrinognenopenia-a new syndrome?
[87]
논문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classification of neoplastic diseases of the haematopoietic and lymphoid tissues: Report of the Clinical Advisory Committee Meeting, Airlie House, Virginia, November 1997
[88]
논문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Recent advances in biology and therapy
[89]
서적
ACP Medicine
WebMD Professional Publishing
[90]
저널
Diagnosis, risk stratification and management of monoclonal gammopathy of undetermined significance and smoldering multiple myeloma
[91]
저널
New developments in the management of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92]
웹인용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https://rarediseases[...]
Genetic and Rare Diseases Information Center (GARD) – an NCATS Program
2018-04-17
[93]
문서
Living with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International Waldenstrom's Macroglobulinemia Foundati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