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고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배고픔은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가 '만성적 영양실조'로 정의하는 사회 문제로, 최소 식이 에너지 요구량 미만으로 칼로리를 섭취할 때 발생한다. 굶주림은 영양실조, 식량 불안정과 구별되며, 급성 굶주림은 기아와 유사한 의미로 사용된다. 2023년에는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가 약 7억 3,340만 명에 달했으며, 개발도상국에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굶주림은 자연재해, 분쟁, 빈곤,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며, 개인, 사회, 경제적 측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유엔을 비롯한 국제기구들은 식량 안보와 농업 개발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국가, 시민 사회 단체, 개인의 노력 또한 중요하다. 특히 여성과 노인은 굶주림에 더 취약하며, 성 불평등 해소와 노인 지원 프로그램 확대가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배고픔 - 세계 기아 지수
세계 기아 지수는 국제식량정책연구소 등에서 발표하는 전 세계 기아 상황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영양실조, 저신장아동 등을 포함한 4가지 지표를 기반으로 0점에서 100점까지 기아의 심각성을 나타낸다. - 배고픔 - 굶주림
굶주림은 음식 섭취 부족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변화와 면역 체계 약화 등을 동반하며, 식량 부족, 불평등, 전쟁, 자연재해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고, 국제 기구들이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전 세계적인 문제이다. - 변연계 - 시상하부
시상하부는 뇌의 항상성 유지에 필수적인 구조로, 체온, 호르몬, 수면, 정서, 생체리듬, 성적 행동 등 다양한 기능을 조절하며, 기능 이상은 여러 질병과 관련된다. - 변연계 - 영양실조
영양실조는 영양소 결핍이나 과잉으로 발생하는 건강 문제로, 세계보건기구는 급성 영양실조를 상완둘레 기준으로 경증과 중증으로 분류하며, 미량 영양소 결핍, 단백질-에너지 영양실조, 영양 과잉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 빈곤, 질병, 불균형한 식단 등 다양한 요인이 원인으로 작용하고 예방 및 치료를 위해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경제적 지원 등이 중요하다. - 신경심리학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신경심리학 - 식사장애
식사장애는 체중, 체형, 음식 섭취에 대한 과도한 집착과 비정상적인 식사 행동을 보이는 정신 질환으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 장애 등 다양한 유형이 있으며, 유전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고 심각한 합병증과 높은 사망률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 배고픔 | |
|---|---|
| 정의 및 분류 | |
| 정의 | 음식 섭취 부족으로 인한 지속적인 상태 |
| 관련 용어 | 영양실조 기아 가뭄 |
| 원인 | |
| 주요 원인 | 빈곤 불평등 식량 분배 문제 정치적, 경제적 불안정 |
| 결과 | |
| 신체적 영향 | 발달 지연 (어린이) 면역력 저하 질병에 취약 사망률 증가 |
| 사회적 영향 | 생산성 감소 경제적 손실 사회 불안정 |
| 해결 노력 | |
| 국제적 노력 | 세계 식량 계획(WFP)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기아 퇴치 기금(IFAD) |
| 해결책 | 식량 생산 증대 공정한 식량 분배 빈곤 감소 지속 가능한 농업 지원 |
| 현황 | |
| 전 세계적 문제 | 개발도상국에서 심각 기후 변화, 분쟁 등으로 악화 |
| 기타 | |
| 관련 정보 | 기아 (생리학) (신체적 감각) 기아 (사회적 문제) (사회적, 정치적 측면) |
2. 정의 및 관련 용어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굶주림을 사회 문제로 연구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의와 측정 방식을 제시한다. FAO는 굶주림, 영양실조, 식량 불안정을 구분한다.[3][4][5]
- 영양실조: 거대 영양소 및/또는 미량 영양소 섭취의 결핍, 과잉 또는 불균형으로 발생한다. 굶주린 사람은 모두 영양실조를 겪지만, 영양실조를 겪는다고 해서 반드시 굶주리는 것은 아니다.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해도 필수 미량 영양소가 부족하거나 과도한 섭취로 비만이 될 수 있다.[1][4]
- 식량 불안정: 사람들이 음식에 대한 선호를 충족할 수 없거나 걱정하는 경우이다. 굶주린 사람은 모두 식량 불안정 상태지만, 식량 불안정하다고 해서 모두 굶주리는 것은 아니다. FAO는 식량 불안정이 어린이의 성장 부진과 성인의 비만을 동시에 초래한다고 보고했다. IPC 단계가 식량 불안정 지표로 사용된다.[1][4]
- 급성 굶주림: 기아와 같은 심각한 굶주림을 의미하지만, 공식적인 정의는 없다. '급성 굶주림'을 겪는 사람들은 '만성적 굶주림'도 겪을 수 있다.[1]
모든 단체가 FAO의 정의를 따르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영양실조와 더 광범위하게 중첩되는 정의를 사용한다. 그러나 음식을 갈망하는 것은 부유한 사람도 경험하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사회 문제는 아니다.[6][1][4]
2006년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는 식량 가용성 지표와 굶주림의 생리적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매우 낮은 식량 공급을 "굶주림을 동반한 식량 불안정"으로 설명할 것을 권고했다.[7]
2. 1. 굶주림 (기아)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굶주림(기아)을 "칼로리 섭취가 최소 식이 에너지 요구량(MDER) 미만일 때"로 정의한다. MDER은 가벼운 활동을 하면서 해당 키에 맞는 최소한의 체중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 양이다.[2] FAO는 기후와 문화적 요인의 차이를 고려하여 국가별로 다른 MDER 기준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연간 총 칼로리 소비량과 최소 식이 에너지 요구량을 비교하는 "대차대조표" 방식이 사용된다. FAO의 정의는 굶주림을 영양실조 및 식량 불안정과 구별한다.[3][4][5]하지만 모든 굶주림 구호 단체가 FAO의 정의를 따르는 것은 아니다. 일부 단체는 영양실조와 더 광범위하게 겹치는 정의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대체 정의는 음식을 갈망하는 일반적인 굶주림의 의미를 넘어서는 경우가 많다. 음식을 갈망하는 것은 부유한 사람을 포함한 모든 인간이 자주 경험하는 것이며, 그 자체가 사회 문제는 아니다.[6][1][4][1]
2006년 미국 국립 통계 위원회는 식량 가용성 지표와 굶주림의 생리적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매우 낮은 식량 공급을 "굶주림을 동반한 식량 불안정"으로 설명할 것을 권고했다.[7] 식량 불안정은 가구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식량 섭취를 줄이고, 식량을 위한 돈과 기타 자원이 부족하여 식습관이 방해받는 경우를 의미한다.[7]
2. 2. 영양실조
영양실조는 거대 영양소 및/또는 미량 영양소 섭취의 결핍, 과잉 또는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상태를 포괄한다.[1] FAO의 정의에 따르면, 굶주린 사람은 모두 영양실조를 겪지만, 영양실조를 겪는다고 해서 반드시 굶주리는 것은 아니다. 굶주림을 피하기 위해 충분한 칼로리를 섭취할 수 있지만, 필수 미량 영양소가 부족하거나, 심지어 과도한 칼로리 섭취로 비만을 겪을 수도 있다.[1][4]2. 3. 식량 불안정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의 정의에 따르면, 식량 불안정은 사람들이 생 칼로리와 영양 가치를 포함하여 음식에 대한 선호를 충족할 수 없거나, 걱정하는 경우에 발생한다.[1] 굶주린 모든 사람은 식량 불안정 상태이지만, 식량 불안정 상태에 있는 모든 사람이 굶주린 것은 아니다(하지만 굶주림과 '심각한 식량 불안정' 사이에는 매우 강력한 중첩이 있다.).[1] FAO는 식량 불안정이 종종 어린이의 성장 부진과 성인의 비만을 동시에 초래한다고 보고했다.[1] 굶주림 구호 활동가들은 세계적 또는 지역적 차원에서 활동하며, 식량 불안정에 대한 점점 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표는 IPC 단계이다.[1]매우 낮은 식량 공급은 "굶주림을 동반한 식량 불안정"으로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설명 변경은 식량 가용성 지표와 굶주림의 생리적 상태를 구별하기 위해 2006년 미국 국립 연구 위원회의 권고에 따라 이루어졌다.[7] 식량 불안정은 가구 구성원 중 한 명 이상이 식량 섭취를 줄이고, 가구가 식량을 위한 돈과 기타 자원이 부족하여 연중 어느 시점에 식습관이 방해받는 경우이다.[7] 식량 안보 통계는 가구가 필요를 충족할 만큼 충분한 식량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한 항목에 대한 가구 응답을 기반으로 설문 조사 데이터를 사용하여 측정한다.[8]
2. 4. 급성 굶주림
'급성 굶주림'은 주로 기아와 같은 굶주림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지만, 널리 받아들여지는 공식적인 정의는 없다.[1] 굶주림 구호의 맥락에서 '급성 굶주림'을 겪는 사람들은 '만성적 굶주림'을 겪을 수도 있다. 이 단어는 주로 장기적인 기간이 아닌 심각성을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1]3. 세계 통계
국제 연합(UN)은 전 세계 식량 안보 및 영양 상태에 대한 연례 보고서를 발간한다.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가 주도하며, 세계 식량 계획(WFP),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세계 보건 기구(WHO), 유엔 아동 기금(UNICEF) 등 다른 UN 기구들이 공동 작성한다. FAO의 연례 보고서는 전 세계 기아 유병률에 대한 통계적 개요를 제공하며, 기아 추적의 주요 글로벌 참고 자료로 널리 간주된다.[128] 그러나 FAO의 기아 지표는 식단의 에너지 가용성 측면만 고려하고, 최소 활동 수준만을 벤치마크로 사용하며, 단기적인 영양 부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128]
세계 기아 지수(GHI)는 FAO의 측정 방식과 달리, 칼로리 섭취량뿐만 아니라 미량 영양소 섭취까지 고려하여 기아를 정의하는 다차원적 통계 도구이다.[14] GHI는 매년 업데이트되며, 2015년 보고서에 따르면 2000년 이후 기아 수준이 27% 감소했지만, 52개국이 여전히 심각하거나 경고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15] 2019년 GHI 보고서는 2015년 이후 기아가 증가한 것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며, 기후 변화에 취약한 지역일수록 기아 증가가 심각하다는 점을 지적했다.[16][17]
2024년 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1에 해당한다.[94] 2021년에는 약 23억 2,550명(인구의 약 28.9%)이 심각하거나 중간 정도의 식량 불안에 직면했다.[95][96][97][98] 2023년 영양실조 인구는 2014년 이후 약 1억 9,470만 명 증가했다.[94] FAO는 현재 생산되는 식량으로도 전 세계 인구의 1.5배인 120억 명에게 식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0]
| 연도 | 2005 | 2010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
| 영양 부족 인구 (백만 명)[13][128] | 810.7 | 636.8 | 615.1 | 619.6 | 615.0 | 633.4 | 650.3 | 768.0 | 708.7 | 723.8 | 733.4 |
| 영양 부족 인구 비율 (%)[13][128] | 12.4% | 9.2% | 8.3% | 8.3% | 8.1% | 8.3% | 8.4% | 9.9% | 9.0% | 9.1% | 9.1% |
2022년 기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의 약 20.4%(2억 9,840만 명)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으며, 특히 동아프리카(약 28.6%, 1억 3,850만 명)와 중앙 아프리카(약 30.8%, 6,220만 명)에서 높게 나타난다. 남아시아는 2억 8,090만 명(지역 내 영양실조 인구 비율: 약 13.9%)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가 전체의 약 78.3%를 차지한다.[107][108]
2030년에는 영양실조 인구가 약 5억 8,170만 명으로 예측되며, 아프리카 지역은 2019년 대비 약 1.33배 증가한 약 3억 810만 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109]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한 경제 악화와 유통 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러시아 해군의 흑해 해상 봉쇄에 따른 식량 공급 감소는 최빈국과 저소득국을 중심으로 2020~2021년 기아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쳤으며, 2022년에도 팬데믹 이전 수준(2019년: 약 6억 1,280만 명, 7.9%)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110][111][112][113]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량은 침공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지만, 홍해를 경유하는 수출 경로에서 예멘의 후티 반군 공격으로 인해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우려가 발생하고 있다.[114]
4. 대한민국 현황 및 노력
대한민국은 한국전쟁 이후 국제사회의 식량 원조를 받던 국가에서 경제 성장을 통해 공여국으로 전환된 대표적인 사례이다.
4. 1. 국내 현황
대한민국은 OECD 국가 중 높은 수준의 식량 자급률을 달성했지만, 여전히 취약 계층의 굶주림 문제는 존재한다.4. 1. 1. 취약 계층의 식량 문제
노년층은 배고픔의 위험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배고픔으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도 더 크게 받는다. 미국에서는 2001년과 2011년 사이에 배고픔을 경험하는 노인의 수가 88% 증가했다.[87] 이들은 심장 질환, 당뇨병, 호흡기 질환과 같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을 확률이 높으며, 배고픔은 이러한 질병을 악화시킨다.[88]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배고픔을 겪는 노인들은 그렇지 않은 노인들보다 우울증을 겪을 가능성이 60% 더 높고, 울혈성 심부전을 겪을 가능성이 40% 더 높다.[89]고정 수입, 의료비, 주거 비용 등으로 인해 노인들은 식료품 구매에 어려움을 겪는다. 특히 대중교통이나 장애인 지원 교통 수단이 부족한 지역에서는 이동의 제약으로 인해 식료품 구매가 더욱 어려워진다. 코로나19 대유행은 고령자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하여 식료품 구매를 위한 외출을 꺼리게 만들었다.
식품 지원 보충 프로그램(SNAP)은 저소득층 노인들에게 식량 안보를 지원하지만, 참여율은 매우 낮다. 자격이 있는 노인의 절반 미만이 혜택을 받고 있으며, 5명 중 3명은 자격이 있음에도 등록하지 않았다.[90]
밀스 온 휠스 아메리카 협회(MOWAAF)는 기아가 미국 노인들이 직면한 심각한 위협이며, 이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2008년 미국 상원 노령화 특별 위원회 청문회에서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 노인 500만 명 이상(전체 노인의 11.4%)이 식량 불안을 겪고 있으며, 이 중 약 250만 명이 기아 위험에, 약 75만 명이 경제적 이유로 기아에 시달리고 있다.[121]
기아의 위험은 특정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난다. 소득이 제한적인 노인, 70세 미만,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미혼자, 세입자, 미국 남부 거주 노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기아는 소득 수준과 관계없이 발생하며, 모든 인구 집단에서 나타날 수 있다. 혼자 사는 노인은 결혼한 노인에 비해 기아를 경험할 확률이 2배 높고, 손자녀와 함께 사는 노인 가구는 5가구 중 1가구가 기아 위험에 처해 있다. 비도시 지역 노인도 대도시권 노인만큼 식량 불안을 겪는다.[121]
2013년 11월, 기아와 싸우는 뉴욕시 연합(New York City Coalition Against Hunger) 보고서에 따르면, 뉴욕에서는 20%가 넘는 아이들이 충분한 음식을 섭취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허리케인 샌디로 인한 노숙자 증가, 예산 삭감, 미국 경제 침체 등이 원인으로 지목된다.[122]
4. 1. 2. 식품 폐기 문제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2025년까지 아프리카의 기아를 종식시키기 위해 아프리카 연합(AU)의 CAADP 프레임워크를 통해 활동하는 파트너십을 만들었다. 여기에는 식량 생산 개선 지원, 사회적 보호 강화, 식량에 대한 권리의 국가 법률 통합 등 다양한 개입이 포함된다.[77]4. 2. 국제 협력
대한민국은 국제사회의 책임 있는 일원으로서 굶주림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국제 협력에 참여하고 있다.전 세계적으로 기아 문제 해결을 위해 여러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영국의 트러스웰 트러스트, 인도의 날라보투 재단, 미국의 Feeding America[78]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푸드뱅크는 음식을 구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음식을 제공하는 비영리 단체이다.[79] 푸드뱅크는 나라마다 운영 방식이 다른데,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는 창고처럼 운영되어 다른 기관에 음식을 제공하고, 유럽 등에서는 굶주린 사람들에게 직접 음식을 나눠준다.[79] 개발도상국의 일부 농촌 지역에서는 수확 후 식량 가격이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푸드뱅크가 식량을 저렴하게 구매하여 나중에 저렴하게 판매하기도 한다.[80] 수프 키친(푸드 키친)은 무료 또는 저렴한 가격으로 음식을 제공하는 곳으로, 주로 자원 봉사 단체나 교회 등에서 운영한다.[81] 랑가르와 같이 종교 단체에서 음식을 제공하기도 한다.[81][82]
4. 2. 1. 공적개발원조(ODA)
이 섹션은 주어진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내용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이전 응답과 동일)4. 2. 2. 국제기구 협력
이전 출력은 주어진 원문 소스에 '국제기구 협력' 섹션에 해당하는 내용이 없어 섹션을 작성할 수 없음을 나타냅니다. 따라서 이전 출력을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이전 출력과 동일하게 유지합니다.제공된 원문 소스에는 '국제기구 협력' 섹션에 대한 내용이 없습니다. 원문 소스는 주로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기아 구호 단체의 예시를 다루고 있으며, 국제기구와의 협력 사업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주어진 원문 소스만으로는 해당 섹션을 작성할 수 없습니다.
5. 굶주림의 원인
2024년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분의 1에 해당한다.[94]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전 세계 인구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한 식량이 생산되고 있다고 주장한다.[100]
2022년 기준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 (약 20.4%, 2억 9,840만 명), 동아프리카 (약 28.6%, 1억 3,850만 명), 중앙 아프리카 (약 30.8%, 6,220만 명)에서 영양실조 문제가 심각하다. 남아시아는 2억 8,090만 명(약 13.9%)의 영양실조 인구를 기록하며,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가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의 약 78.3%를 차지한다.[107][108]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으로 인한 경제 악화와 유통 제한,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 따른 식량 공급 감소는 최빈국과 저소득국을 중심으로 영양실조 문제를 심화시켰다.[110][111][112][113]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량은 회복 추세이나, 홍해를 경유하는 수출 경로에서 후티의 공격으로 인해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우려가 존재한다.[114]
| 연도 | 1970 | 198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2022 |
|---|---|---|---|---|---|---|---|---|---|
| 개발 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101][102][103][104][105][94] | 37% | 28% | 19% | 17% | 16% | 11% | 10% | 10% | 11% |
2000년까지의 데이터는 중국 등 인구가 많은 국가들의 갱신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더 정확하게 검토되었기 때문에, 2000년 이후와 1999년 이전의 데이터는 차이가 있다.[106]
6. 굶주림의 영향
2024년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분의 1에 해당한다.[94] 이는 2014년의 5억 3,870만 명에서 약 1억 9,470만 명 증가한 수치이다.[94]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전 세계 인구(약 80억 명)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한 식량을 생산하고 있으며, 약 1.5배인 120억 명에게도 식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0]
개발 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은 다음과 같다.
| 연도 | 1970 | 198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2022 |
|---|---|---|---|---|---|---|---|---|---|
| 개발 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101][102][103][104][105][94] | 37% | 28% | 19% | 17% | 16% | 11% | 10% | 10% | 11% |
중국 등 인구가 많은 국가들의 데이터 갱신으로 인해 2000년 이전과 이후의 데이터는 차이가 있다.[106]
2022년 기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인구의 약 20.4%(2억 9,840만 명)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 특히 동아프리카(약 28.6%, 1억 3,850만 명)와 중앙 아프리카(약 30.8%, 6,220만 명)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남아시아는 2억 8,090만 명(지역 내 영양실조 인구 비율: 약 13.9%)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가 전체 영양실조 인구의 약 78.3%를 차지한다.[107][108]
2030년에는 영양실조 인구가 약 5억 8,17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아프리카 지역의 영양실조 인구는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약 1.33배 증가한 약 3억 810만 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109]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식량 공급 감소 및 곡물 가격 폭등은 최빈국과 저소득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20년부터 2021년 사이에 영양실조 인구가 증가했으며, 2022년에도 2019년 수준(약 6억 1,280만 명, 7.9%)으로 회복되지 못했다.[110][111][112][113]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량은 침공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지만, 홍해를 통한 수출에 후티의 공격으로 인한 위험이 존재한다.[114]
6. 1. 개인적 차원
2024년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분의 1에 해당한다.[94] 2021년에는 약 23억 2,550명(인구 비율 약 28.9%)이 심각하거나 중간 정도의 식량 불안을 겪었다.[95]영양 부족은 개인에게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평균적으로 영양 부족의 직·간접적인 결과로 3.6초마다 1명이 사망한다.[115][116][117] 특히, 매년 약 310만 명의 5세 미만 어린이가 영양 부족으로 사망하며, 이는 10.2초마다 1명에 해당한다.[118][119]
6. 2. 사회적 차원
2024년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분의 1에 해당한다.[94] 2021년에는 약 23억 2,550명(약 28.9%)이 심각하거나 중간 정도의 식량 불안에 직면했으며, 이 중 약 8억 6,410만 명(약 10.7%)은 심각한 수준이었다.[95][96][97][98]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현재 생산되는 식량으로도 전 세계 인구(약 80억 명)를 먹여 살리기에 충분하며, 약 1.5배인 120억 명에게도 식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0]2023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2014년의 5억 3,870만 명에서 약 1억 9,470만 명 증가했다.[94] 개발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은 아래 표와 같다.
| 연도 | 1970 | 198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2022 |
|---|---|---|---|---|---|---|---|---|---|
| 개발 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101][102][103][104][105][94] | 37% | 28% | 19% | 17% | 16% | 11% | 10% | 10% | 11% |
중국 등 인구가 많은 국가들의 데이터 갱신으로 인해 2000년 이전과 이후의 데이터는 차이가 있다.[106]
2022년 기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인구의 약 20.4%(2억 9,840만 명)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 특히 동아프리카(약 28.6%, 1억 3,850만 명)와 중앙 아프리카(약 30.8%, 6,220만 명)가 심각하다. 남아시아는 2억 8,090만 명(약 13.9%)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가 전체 영양실조 인구의 약 78.3%를 차지한다.[107][108]
2030년에는 영양실조 인구가 감소해도 약 5억 8,170만 명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아프리카는 2019년 대비 약 1.33배 증가한 약 3억 810만 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109]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식량 공급 감소 및 곡물 가격 폭등은 최빈국과 저소득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20년부터 2021년 사이에 영양실조 인구가 증가했으며, 2022년에도 2019년 수준(약 6억 1,280만 명, 7.9%)으로 회복되지 못했다.[110][111][112][113]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량은 침공 이전 수준으로 회복되고 있지만, 홍해를 통한 수출에 후티의 공격으로 인한 위험이 존재한다.[114]
6. 3. 경제적 차원
2024년 7월 보고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영양실조 인구는 약 7억 3,340만 명으로, 세계 인구의 약 11분의 1에 해당한다.[94] 이는 2014년의 5억 3,870만 명보다 약 1억 9,470만 명 증가한 수치이다.[94]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는 현재 식량 생산량이 전 세계 인구의 1.5배인 120억 명에게도 식량을 공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100]개발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 변화는 다음과 같다.[101][102][103][104][94]
| 연도 | 1970 | 1980 | 1990 | 2000 | 2005 | 2010 | 2015 | 2020 | 2022 |
|---|---|---|---|---|---|---|---|---|---|
| 개발 도상국의 영양실조 인구 비율 | 37% | 28% | 19% | 17% | 16% | 11% | 10% | 10% | 11% |
2000년까지의 데이터는 중국 등 인구가 많은 국가들의 데이터 갱신으로 인해 이전 데이터와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106]
2022년 기준,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는 인구의 약 20.4%(2억 9,840만 명)가 영양실조를 겪고 있다. 특히 동아프리카(약 28.6%, 1억 3,850만 명)와 중앙 아프리카(약 30.8%, 6,220만 명)에서 높은 비율을 보인다. 남아시아는 2억 8,090만 명(지역 내 영양실조 인구 비율: 약 13.9%)으로, 사하라 사막 이남 아프리카와 남아시아가 전체 영양실조 인구의 약 78.3%를 차지한다.[107][108]
2030년에는 영양실조 인구가 약 5억 8,170만 명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되지만, 아프리카 지역의 영양실조 인구는 코로나19 유행 이전인 2019년에 비해 약 1.33배 증가한 약 3억 810만 명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109]
2019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유행으로 인한 경제 악화와 유통 제한 및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식량 공급 감소는 최빈국과 저소득국에 큰 영향을 미쳤다.[110][111][112][113] 2023년 12월, 우크라이나의 곡물 수출량은 회복 추세에 있으나, 홍해를 통한 수출에 대한 후티의 공격으로 안정적인 공급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114]
7. 굶주림 해결을 위한 노력
역사적으로 기아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구제해야 할 필요성은 일반적으로 인정받았다. 시몬 베유는 자원이 있는 상황에서 배고픈 사람들을 먹이는 것은 모든 인간 도덕적 의무 중에서 가장 명백한 것이라고 썼다.[19] 칼 폴라니는 19세기에 시장이 세계 지배적인 경제 조직 형태가 되기 전에는 공동체가 음식을 공유했기 때문에 굶주림이 덜했다고 썼다.[20]
19세기 말과 20세기 초, 우드로 윌슨 미국 대통령과 같은 학자 및 정치인들은 세계 기아에 대한 대규모 개입을 요구했다. 미국 구호국과 같은 기관을 통해 제1차 세계 대전 중과 직후 수백만 톤의 식량 원조를 유럽 국가에 보냈다. 대공황 기간 동안 기아는 미국에서 학문적, 사회적 주제로 더욱 주목받게 되었다.[24][25][26][27][28][29]
푸드 퍼스트와 같은 기구는 식량 주권 문제를 제기하며, 자유 무역 경제 질서가 식량 공급을 방해한다고 주장했다.[31][26][32] 아마르티아 센은 기아가 식량 부족뿐 아니라 분배 문제와 정부 정책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밝혔다.[43][33][34]
2009년, 교황 베네딕토는 굶주림과의 싸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회칙인 진리 안의 사랑(Caritas in Veritate)을 발표했다.[37][38]
2013년 4월 더블린에서 열린 굶주림, 영양, 기후 정의 정상 회담에서 아일랜드의 히긴스 대통령은 현재의 굶주림은 "세계 시스템의 가장 큰 윤리적 실패"이자 "세계 공동체가 직면한 가장 큰 윤리적 과제"라고 말했다.[56]
2013년 6월 런던에서 열린 기아 정상 회담에서 41억 5천만 달러의 새로운 기아 퇴치 약속이 이루어졌다.[57][58]
2019년, FAO는 식량 손실과 폐기물이 식량 안보에 영향을 미친다고 밝혔다.[61]
노년층은 배고픔에 취약하며, 이로 인한 건강 문제도 심각하다. 2001년에서 2011년 사이에 미국에서 배고픔을 경험하는 노인의 수는 88% 증가했다.[87] 이들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88] 배고픔은 우울증, 울혈성 심부전 등의 위험을 높인다.[89] 식품 지원 보충 프로그램(SNAP)은 저소득층 노인에게 식량 지원을 제공하지만, 참여율은 매우 낮다.[90]
민간에서는 구황 식품을 수집하고, 저장 식품을 만들어 비축하기도 한다.
7. 1. 국제기구의 역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엔은 기아에 맞선 세계적인 싸움을 조정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유엔에는 식량 안보 및 농업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세 개의 기구가 있는데, 식량 농업 기구(FAO), 세계 식량 계획(WFP) 및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이다.[26][1]- '''식량 농업 기구(FAO)''': 세계의 농업 지식 기관으로, 개발도상국에 정책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특히 농촌 지역에서 식량 안보, 영양 및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을 촉진한다.
- '''세계 식량 계획(WFP)''': 긴급 상황 발생 시 개입하여 긴급 상황 이후 회복을 돕기 위해 식량을 사용하며, 기아에 대한 장기적인 접근 방식은 회복에서 개발로의 전환을 돕는다.
-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 농촌 빈곤에 대한 지식과 가난한 농촌 사람들에게만 초점을 맞춰, 사람들이 빈곤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자산, 서비스 및 기회에 접근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다.[26][1]
2012년 5월 코펜하겐 컨센서스는 굶주림과 영양실조 퇴치를 위한 노력이 원조 지출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는 정치인과 민간 부문 자선 사업가의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권고했다. 그들은 말라리아 및 AIDS 퇴치와 같은 다른 우선 순위보다 이것을 앞세웠다.[42]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나 국제 연합 세계 식량 계획(WFP) 등 국제 단체, 유니세프와 같은 자선 단체가 기아 지역에 식량 원조를 하고 있다.
더 타임스 고등 교육(Times Higher Education)은 Impact Rankings zero hunger (SDG 2)의 랭킹을 설정하여, 기아 연구에 공헌이 있는 대학을 평가하고 있다.
| 연도 | 1위 | 2위 | 3위 |
|---|---|---|---|
| 2020년 | 난징 농업 대학교 | 국립 대만 대학교 | 워털루 대학교 |
| 2021년 | 자치 메트로폴리타나 대학교 | 퀸즈 대학교 (캐나다) | 코임브라 대학교 |
| 2022년 | 홋카이도 대학 |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 교토 대학 |
7. 2. 국가 차원의 노력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엔을 중심으로 기아에 맞선 세계적인 노력이 시작되었다. 유엔 산하 식량 농업 기구(FAO), 세계 식량 계획(WFP),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은 식량 안보와 농업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26][1] WFP는 긴급 상황에 식량을 제공하고, 장기적으로 개발을 돕는다.[26][1]1960년대와 70년대 녹색 혁명으로 농업 기술이 발전해 전 세계 식량 생산량이 증가했다.[26][1] 그러나 1980년대 국제 통화 기금(IMF)과 세계 은행은 시장 기반 해결책을 장려하며 국가 정부에 공공 서비스 삭감을 요구하기도 했다.[43][33][34]
1998년 아마르티아 센은 기아가 식량 부족뿐 아니라 분배 문제와 정부 정책에서 비롯된다는 점을 밝혀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43][33][34] 2007~08년, 2010~11년 식량 가격 급등으로 세계 식량 위기가 발생했고, 여러 국가에서 식량 폭동이 일어났다.[39][36]
2009년 G8 정상회담에서 ''라퀼라 식량 안보 이니셔티브''가 시작되어 220억 달러가 투입되었다.[37][38] 2012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식량 안보 및 영양을 위한 새로운 동맹"을 시작했다.[43][1][44][45]
2007-2009년 금융 위기 이후 전 세계 굶주림이 감소했지만, 2019년까지 다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59][60][9] 2020년 COVID-19 팬데믹으로 세계 기아가 두 배로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62][63][64][65] 2022년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식량 가격 상승으로 기아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67]
전 세계적으로 수천 개의 기아 구호 단체가 활동하고 있으며, 지역 사회 지원부터 전 세계적인 조직까지 다양하다. 영국의 트러스웰 트러스트, 미국의 Feeding America 등이 대표적이다.[78]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와 국제 연합 세계 식량 계획(WFP) 등 국제 단체, 유니세프 같은 자선 단체가 기아 지역에 식량 원조를 제공한다. 국가는 식량 안보를 위해 비축 등의 노력을 한다.
더 타임스 고등 교육(Times Higher Education)은 기아 연구에 공헌하는 대학을 평가하는 Impact Rankings zero hunger (SDG 2) 랭킹을 발표한다.
| 연도 | 1위 | 2위 | 3위 |
|---|---|---|---|
| 2020 | 난징 농업 대학교 | 국립 대만 대학교 | 워털루 대학교 |
| 2021 | 자치 메트로폴리타나 대학교 | 퀸즈 대학교 (캐나다) | 코임브라 대학교 |
| 2022 | 홋카이도 대학 | 웨스턴 온타리오 대학교 | 교토 대학 |
7. 3. 시민 사회의 역할
전 세계적으로 수천 개의 기아 구호 단체가 활동하고 있다. 이들은 독립적인 수프 키친부터 전 세계적인 조직까지 다양하며, 농업 기술 공유 등을 통해 기아에 시달리는 지역 사회를 돕는다.[78] Feeding America가 운영하는 푸드뱅크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식료품을 나눠주는 모습은 이러한 노력의 한 예시이다.
노년층은 배고픔에 취약하며, 이로 인한 건강 문제도 심각하다. 2001년에서 2011년 사이에 미국에서 배고픔을 경험하는 노인의 수는 88% 증가했다.[87] 이들은 만성 질환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88] 배고픔은 우울증, 울혈성 심부전 등의 위험을 높인다.[89] 식품 지원 보충 프로그램(SNAP)은 저소득층 노인에게 식량 지원을 제공하지만, 참여율은 매우 낮다.[90]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 국제 연합 세계 식량 계획(WFP) 등 국제 단체와 유니세프 같은 자선 단체가 기아 지역에 식량 원조를 제공하고 있다.
국가 차원에서는 식량 안보를 위해 비축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민간에서는 구황 식품 수집, 저장 식품 비축 등을 한다.
더 타임스 고등 교육(Times Higher Education)은 기아 연구에 공헌하는 대학을 평가하는 랭킹을 발표하기도 한다.
7. 3. 1. 기아 퇴치에 앞장선 단체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엔은 기아에 맞선 세계적인 싸움을 조정하는 데 선도적인 역할을 했다. 유엔에는 식량 안보 및 농업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노력하는 세 개의 기구가 있는데, 식량 농업 기구(FAO), 세계 식량 계획(WFP), 국제 농업 개발 기금(IFAD)이다. FAO는 세계의 농업 지식 기관으로, 개발도상국에 정책 및 기술 지원을 제공하여 특히 농촌 지역에서 식량 안보, 영양 및 지속 가능한 농업 생산을 촉진한다. WFP의 핵심 임무는 배고픈 빈곤층에게 식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기구는 긴급 상황 발생 시 개입하여 긴급 상황 이후 회복을 돕기 위해 식량을 사용한다. 기아에 대한 장기적인 접근 방식은 회복에서 개발로의 전환을 돕는다. IFAD는 농촌 빈곤에 대한 지식과 가난한 농촌 사람들에게만 초점을 맞춰, 사람들이 빈곤을 극복하는 데 필요한 자산, 서비스 및 기회에 접근하도록 돕는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다.[26][1]전 세계적으로 수천 개의 기아 구호 단체가 존재한다. 일부는 기아 퇴치에 전적으로 전념하지만, 모두가 그런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일 지역 사회에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독립적인 수프 키친에서부터 전 세계적인 조직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세계 및 지역 수준에서 활동하는 단체들은, 예를 들어 농업 기술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지역 사회가 더 나은 식량을 공급할 수 있도록 돕는 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경우가 많다.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 지역 수준에서만 활동하는 단체들은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에게 직접 식량을 제공하는 데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많은 단체들은 자원, 지식을 공유하고 노력을 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국가, 지역 및 세계 연합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기아 구호 단체의 예시로는 영국의 트러스웰 트러스트, 인도의 날라보투 재단, 미국의 Feeding America 등이 있다.[78]
기아 퇴치에 앞장선 주요 단체는 다음과 같다:
-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
- 국제 연합 세계 식량 계획(WFP)
- 처치 월드 서비스
- 피딩 아메리카
- 굿 셰퍼드 푸드뱅크
- 셰어 아워 스트렝스
- 스톱 헝거 나우
- 월드 비전
8. 굶주림과 젠더 문제

전 세계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굶주림에 더 취약하며, 이는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관련이 깊다. 역사적으로 기아 구호 활동에서 성별은 중요한 요인이었다. 제임스 버논은 저서 ''기아: 현대사''에서 20세기 이전 영국에서는 굶주리는 여성과 어린이만이 동정심을 얻었고, 가족을 부양하지 못한 남성은 경멸받았다고 설명한다.[1]
이러한 인식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했는데, 수많은 참전 용사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굶주림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한편, 제2차 보어 전쟁 당시 에밀리 호브하우스는 여성의 성별을 활용하여 굶주리는 사람들의 고통을 효과적으로 알리기도 했다.[1]
8. 1. 여성의 취약성
세계 은행의 연구에 따르면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의 약 60%가 여성이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더 큰 경제적 장벽에 직면하고 더 적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어 식량 안보에 더 큰 장애가 된다.[31][83][84]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먹이기 위해 때때로 음식을 먹지 않는데, 여성은 남성보다 이러한 희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오래된 자료는 이러한 현상이 더 큰 성 불평등으로 인해 개발 도상국에서만 나타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는 선진 경제에서도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영국 넷맘스가 2012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어머니 5명 중 1명이 자녀의 기아를 막기 위해 때때로 음식을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31][83][84]한부모 가구는 특히 식량 불안정에 취약하며, 이는 식량 안보에서 성 불평등을 강조한다. 미국에서는 편부 가정보다 편모 가정에서 식량 불안정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85] 유급 노동과 무급 노동 간의 시간 할당의 차이 또한 여성 가구에서 식량 불평등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데, 여성은 상대적으로 무급 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86]
또한 여러 시대와 지역에서 성별은 기아 피해자가 기아 구호 활동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적절한 예시가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제임스 버논은 그의 저서 ''기아: 현대사''에서 20세기 이전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여성과 어린이만이 동정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고 썼다.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지 못한 남성은 종종 경멸의 대상이 되었다.[1]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했는데, 전투에서 자신의 남성다움을 증명한 수천 명의 남성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여성의 성별은 기아 구호를 옹호하려는 사람들에게 유리할 수 있었는데, 버논은 여성이 에밀리 호브하우스가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고통을 더 넓은 세상에 알리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썼다.[1]
8. 2. 성 불평등 해소의 중요성
세계 은행의 연구에 따르면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의 약 60%가 여성이라고 한다. 전 세계적으로 여성은 일반적으로 남성에 비해 더 큰 경제적 장벽에 직면하고 더 적은 자원에 접근할 수 있어 식량 안보에 더 큰 장애가 된다.[31][83][84] 개발도상국과 선진국 모두에서 부모는 자녀에게 먹이기 위해 때때로 음식을 먹지 않는데, 여성은 남성보다 이러한 희생을 할 가능성이 더 높은 것으로 보인다. 과거 자료는 이러한 현상이 더 큰 성 불평등으로 인해 개발 도상국에서만 나타난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어머니는 선진 경제에서도 식사를 거르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영국 넷맘스가 2012년에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어머니 5명 중 1명이 자녀의 기아를 막기 위해 때때로 음식을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31][83][84]한부모 가구는 특히 식량 불안정에 취약하며, 이는 식량 안보에서 성 불평등을 강조한다. 미국에서는 편부 가정보다 편모 가정에서 식량 불안정을 겪을 가능성이 더 높다.[85] 유급 노동과 무급 노동 간의 시간 할당의 차이 또한 여성 가구에서 식량 불평등이 증가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는데, 여성은 상대적으로 무급 노동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86]
또한 여러 시대와 지역에서 성별은 기아 피해자가 기아 구호 활동에 대한 열정을 불러일으키는 적절한 예시가 될 수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제임스 버논은 그의 저서 ''기아: 현대사''에서 20세기 이전 영국에서는 일반적으로 기아에 시달리는 여성과 어린이만이 동정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었다고 썼다. 자신과 가족을 부양하지 못한 남성은 종종 경멸의 대상이 되었다.[1]
이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변화했는데, 전투에서 자신의 남성다움을 증명한 수천 명의 남성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게 되었다. 마찬가지로, 여성의 성별은 기아 구호를 옹호하려는 사람들에게 유리할 수 있었는데, 버논은 에밀리 호브하우스가 제2차 보어 전쟁 동안 기아에 시달리는 사람들의 고통을 더 넓은 세상에 알리는 데 여성이 도움이 되었다고 썼다.[1]
9. 굶주림과 연령 문제
굶주림은 노인과 아동에게 특히 더 큰 영향을 미친다. 이들은 신체적, 사회적, 경제적으로 취약한 위치에 있어 굶주림에 더 쉽게 노출되며, 굶주림으로 인한 건강 악화 및 발달 장애의 위험도 더 크다. 따라서 노인과 아동의 특수한 상황과 필요를 고려한 맞춤형 지원이 필요하다.
9. 1. 노인의 굶주림
밀스 온 휠스 아메리카 협회(MOWAAF)는 기아가 미국의 수백만 명의 노인이 직면한 심각한 위협이며, 이 문제를 이해하는 것이 구제책을 개발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라고 밝혔다.2007년에 MOWAAF는 할라스 재단의 비용 부담 하에, "미국 노인의 기아의 원인, 결과 및 전망"이라는 제목의 조사 연구를 위탁했다.[120] 이 보고서는 2008년 5월 워싱턴 D.C.에서 미국 상원 노령화 특별 위원회 청문회에서 공표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노인 500만 명 이상(전체 노인의 11.4%에 해당)이 어떤 형태로든 식량 불안을 겪고 있으며, 다시 말해 식량이 약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약 250만 명이 기아의 위험에 처해 있으며, 약 75만 명이 경제적인 이유로 기아에 시달리고 있다. 기아의 위기에 더 취약한 노인도 있다. 노인 인구 전체 대표에 비해, 소득이 제한적인 사람, 70세 미만인 사람,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 미혼자, 세입자, 및 미국 남부에 거주하는 노인 등은 모두 기아의 위험성이 비교적 높다. 특정 노인은 기아의 위험이 더 높은 반면, 기아는 소득의 정도와 상관없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아의 위험이 있는 전체 노인의 절반 이상이 빈곤선을 상회하는 소득을 얻고 있다. 마찬가지로, 그러한 일은 모든 인구 집단에도 해당된다. 예를 들어, 기아의 위험이 있는 노인 중 백인이 3분의 2를 넘는다. 기아의 위험에는 가족 구성, 특히 혼자 살거나 손자녀와 함께 생활하는 노인의 경우, 현저한 차이점이 있다. 혼자 사는 경우, 결혼한 노인에 비해 2배나 기아를 경험하기 쉽다. 기아의 위험에 처한 것이, 현재 손자녀와 동거하지 않는 가구에서는 약 20가구 중 1가구인 데 비해, 손자녀와 함께 사는 (하지만 성인 자녀는 없는) 노인 가구에서는 5가구 중 1가구이다. 비도시 지역에 사는 노인도 대도시권에 사는 노인만큼 식량 불안을 경험하기 쉽다. 이는 식량 불안이 도시와 지방 모두에서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121]
10. 결론
굶주림은 단순히 식량 부족만이 아닌 복잡하고 다층적인 문제이다. 이는 빈곤, 불평등, 분쟁,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 사회의 지속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요하며, 대한민국을 포함한 각국 정부, 국제기구, 비정부기구(NGO) 등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
특히, 한국은 경제 성장과 함께 식량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게 되었다. 따라서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굶주림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지속 가능한 식량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 및 경험 공유에 힘써야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Famine Prevention
https://www.wfp.org/[...]
World Food Programme
2021-05-06
[2]
웹사이트
FAO Statistical Yearbook 2012: Part 2 Hunger dimensions
http://www.fao.org/d[...]
FAO
2012
[3]
간행물
Hunger and malnutrition in the 21st century
[4]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18)
http://www.fao.org/3[...]
FAO
2018-09-11
[5]
웹사이트
An Introduction to the Basic Concepts of Food Security
http://www.fao.org/d[...]
FAO
2008
[6]
문서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Hunger and Its Relationship to Food Insecurity
2005
[7]
웹사이트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in 2018
https://www.ers.usda[...]
2019-12-06
[8]
웹사이트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in 2018
https://www.ers.usda[...]
2019-12-06
[9]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19)
http://www.fao.org/3[...]
FAO
2019-07-15
[10]
서적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0
http://www.fao.org/p[...]
FAO
2020-07-07
[11]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1
http://www.fao.org/3[...]
FAO
2021
[12]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3
https://www.fao.org/[...]
FAO
2023
[13]
웹사이트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3
https://www.who.int/[...]
FAO
2024
[14]
뉴스
Global hunger worsening, warns UN
http://news.bbc.co.u[...]
BBC (Europe)
2009-10-14
[15]
뉴스
2015 Global Hunger Index - Armed Conflict and the Challenge of Hunger
http://www.ifpri.org[...]
K. von Grebmer, J. Bernstein, A. de Waal, N. Prasai, S. Yin, Y. Yohannes
2015-10
[16]
뉴스
Higher temperatures driving 'alarming' levels of hunger – report
https://www.theguard[...]
2019-10-15
[17]
뉴스
2019 Global Hunger Index: The Challenge of Hunger and Climate Change
https://admin.concer[...]
K. von Grebmer, J. Bernstein, R. Mukerji, F. Patterson, M. Wiemers, R. Ní Chéilleachair, C. Foley, S. Gitter, K. Ekstrom, and H. Fritschel
2019
[18]
문서
Food stamp debate brings out the haters
http://www.star-tele[...]
Star Telegram
[19]
서적
The Need for Roots
Routledge
[20]
서적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21]
웹사이트
Genesis 41
http://www.biblegate[...]
[22]
문서
Hunger in the United Kingdom#Attitudes towards hunger relief
[23]
문서
There were many exceptions. For example, in ''Hunger: A Modern History'' (2007), James Vernon describes dozens of 18th and 19th century campaigners who spoke in favor of hunger relief.
[24]
문서
As many individuals struggled for food, the same agricultural industries were suddenly producing large surpluses as means of increased production to counter the drop in demand from the European markets. This increased output was meant to ease the growing debt levels, however domestic demand could not keep up with prices. Instead, what is often called "the paradox of want amid plenty," agricultural surpluses and large demand simply did not fit together, causing the Hoover administration to buy large amounts of product, such as grain, to stabilize prices. Initially refusing to further compromise the distressed price levels, political pressure from starving families across the country forced Congress to reconsider. With large deposits of grain already wasting away in government possession, the only political move left was to begin a process of donations to the hungry from the Farm Board, a federal oversight created in 1929 to promote the sale and stabiliza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Instead of hunger being a reason for the allocation of large grain surpluses, waste became the eventual driving force.
[25]
서적
Hunger: A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Harvard University Press
[26]
간행물
The historiography of hunger: changing views on the world food problem 1945–1980
[27]
서적
History of Epidemics in Britai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서적
Food and Famine in the 21st Century: Vol 1, Topics and Issues
ABC-CLIO
[29]
서적
Eating Agendas
https://archive.org/[...]
Aldine Transaction
[30]
서적
Hunger: The Biology and Politics of Starvation
Dartmouth College
[31]
웹사이트
Food Price Volatility a Growing Concern, World Bank Stands Ready to Respond
http://www.worldbank[...]
World Bank
2012-03-30
[32]
웹사이트
The IMF's change of heart
http://english.aljaz[...]
Aljazeera
2011-05-07
[33]
간행물
Twenty-First-Century Land Grabs - Accumulation by Agricultural Dispossession
https://monthlyrevie[...]
Harry Magdoff
2013-11-01
[34]
간행물
For Whom Do the FAO and Its Director-General Work?
http://mrzine.monthl[...]
Monthly Review Magazine
2012-12-04
[35]
서적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University Press
[36]
뉴스
Food crisis: how do the Brics fare?
http://blogs.ft.com/[...]
Financial Times
2012-07-31
[37]
뉴스
G8 to commit $20bn for food security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9-11-15
[38]
뉴스
Pope condemns capitalism's 'failure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09-07-07
[39]
뉴스
Food prices: Leaders seek a long-term solution to hunger pain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2-07-31
[40]
뉴스
2012 G8 summit – private sector to the rescue of the world's poorest?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2-08-03
[41]
웹사이트
FAO Food Price Index
http://www.fao.org/w[...]
FAO
2013-08-30
[42]
웹사이트
Outcome - Copenhagen Consensus Center
http://www.copenhage[...]
2012-08-03
[43]
웹사이트
UK 'aid' is financing a corporate scramble for Africa
http://www.theecolog[...]
The Ecologist
2022-12-12
[44]
웹사이트
G8 Action on Food Security and Nutrition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21-10-18
[45]
웹사이트
Remarks by President concerning the launch of the ''new alliance for food security and nutrition''
https://obamawhiteho[...]
2021-02-28
[46]
서적
Sweet Charity?: Emergency Food and the End of Entitlement
Penguine
[47]
뉴스
Britain's hidden hunger
http://www.bbc.co.uk[...]
BBC
2012-11-04
[48]
웹사이트
A million hungry children in the UK
http://uk.lifestyle.[...]
Yahoo!
2012-07-31
[49]
뉴스
Look back in hunger: Britain's silent, scandalous epidemic
https://www.independ[...]
The Guardian
2012-04-16
[50]
간행물
The rise and rise of the food bank
http://www.newstates[...]
2012-07-31
[51]
웹사이트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GLOBAL NORTH: CHALLENGES AND RESPONSIBILITIES REPORT OF WARWICK CONFERENCE
http://www.warwick.a[...]
Warwick University
2012-08-28
[52]
뉴스
US drought: Stuck on dry land: Heatwave threatens new global food crisi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2-07-31
[53]
뉴스
G20 plans response to rising food price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2-08-15
[54]
뉴스
Bumper grain crop to weigh on price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3-08-24
[55]
뉴스
Commodities: Cereal excess
http://www.ft.com/cm[...]
Financial Times
2014-10-14
[56]
Youtube
20130415 Hunger • Nutrition • Climate Justice - Michael D Higgins Speech
http://www.eu2013.ie[...]
European Union
2013-04-15
[57]
웹사이트
Africa: Children's Investment Fund Foundation (CIFF) Leads Transformation of Global Nutrition Agenda with $787 million Investment
http://allafrica.com[...]
AllAfrica.com
2013-06-09
[58]
뉴스
Hunger Summit secures £2.7bn as thousands rally at Hyde Park
http://metro.co.uk/2[...]
2013-06-09
[59]
뉴스
Global hunger levels rising due to extreme weather, UN warn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8-12-27
[60]
뉴스
Global hunger increasing, UN warns
https://www.bbc.co.u[...]
BBC
2018-12-27
[61]
서적
The State of Food and Agriculture 2019. Moving forward on food loss and waste reduction, In brief
http://www.fao.org/d[...]
FAO
2021-05-04
[62]
웹사이트
Coronavirus could double number of people going hungr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0-04-17
[63]
웹사이트
'Instead of Coronavirus, the Hunger Will Kill Us.' A Global Food Crisis Looms.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20-05-05
[64]
웹사이트
"I'm starving now": World faces unprecdented hunger crisis amid coronavirus pandemic
https://www.cbsnews.[...]
CBS News
2020-05-05
[65]
웹사이트
2020GLOBAL REPORT ON FOOD CRISES
https://www.fsinplat[...]
Food Security Information Network
2020-05-05
[66]
서적
World Food and Agriculture – Statistical Yearbook 2023
http://www.fao.org/d[...]
FAO
2023-11-29
[67]
뉴스
Apocalypse now? The alarming effects of the global food crisi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22-05-21
[68]
웹사이트
Organizing for action
http://www.fao.org/3[...]
FAO
2018-12-27
[69]
웹사이트
Hunger and food security -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https://www.un.org/s[...]
2017-06-28
[70]
웹사이트
Pope Francis denounces 'global scandal' of hunger
http://www.caritas.o[...]
FAO
2015-10-17
[71]
웹사이트
Leadership Council
http://www.compact20[...]
2015-10-17
[72]
웹사이트
Compact2025: Ending hunger and undernutrition - IFPRI
https://www.ifpri.or[...]
2015-10-17
[73]
간행물
EU launches new partnership to combat Undernutrition with Bill & Melinda Gates Foundation
http://europa.eu/rap[...]
European Commission
2015-06
[74]
웹사이트
Goal 2: End hunger, achieve food security and improved nutrition and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https://unstats.un.o[...]
2020-09-23
[75]
간행물
An ambitious development goal: Ending hunger and undernutrition by 2025
http://ebrary.ifpri.[...]
2014
[76]
웹사이트
101 Global Food Organizations to Watch in 2015
https://foodtank.com[...]
Food Tank
2018-12-27
[77]
간행물
Africa's Renewed Partnership to End Hunger by 2025
http://www.fao.org/a[...]
2015
[78]
웹사이트
7 Top Hunger Organizations
https://foodandnutri[...]
Food & Nutrition Magazine
2018-12-27
[79]
서적
Food Banks and the Welfare Crisis
https://books.google[...]
James Lorimer Limited, Publishers
2018-12-19
[80]
웹사이트
"''The hunger project'', overview for Malawi"
http://www.thp.org/w[...]
Thp.org
2013-10-25
[81]
서적
Food, Feasts, and Faith: An Encyclopedia of Food Culture in World Religions
ABC-CLIO
[82]
웹사이트
From the temple to the street: how Sikh kitchens are becoming the new food banks
https://theconversat[...]
The Conversation
2019-01-03
[83]
웹사이트
555 million women go hungry worldwide
http://www.wdm.org.u[...]
World Development Movement
2012-07-31
[84]
뉴스
Mums missing meals to feed kids
https://www.telegrap[...]
2012-07-31
[85]
논문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in 2022
https://search.nal.u[...]
2023
[86]
논문
Revisiting food insecurity gender disparity
2023-08-15
[87]
웹사이트
Who Experiences Hunger
https://www.bread.or[...]
2021-10-26
[88]
웹사이트
The National Council on Aging
https://www.ncoa.org[...]
2021-10-26
[89]
웹사이트
The Facts Behind Senior Hunger - Updated for 2021
https://aginginplace[...]
2021-10-26
[90]
웹사이트
The National Council on Aging
https://www.ncoa.org[...]
2021-10-26
[91]
문서
飢え
[92]
문서
『国語辞典』(第八版) 出版社:旺文社、p.102(飢えの項目)。102
[93]
웹사이트
飢餓(きが)の類語・言い換え - 類語辞書
https://dictionary.g[...]
2022-05-29
[94]
논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4>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FIGURE 1 Global hunger rose sharply from 2019 to 2021 and persisted at the same level to 2023(2023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図1 世界の飢餓は2019年から2021年にかけて急増し、2023年時点でも2021年と同じ水準で続いている。)
https://openknowledg[...]
2024-09-11
[95]
문서
중도의 식료 불안과 중증의 식료 불안
[96]
간행물
유니세프 등 신보고서 기아는 3년 연속으로 고가 2023년, 세계의 11명에게 1명이 기아에 직면 아프리카에서는 5명에게 1명
https://www.unicef.o[...]
일본유니세프협회
2024-09-11
[97]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4>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TABLE 3 Prevalence of food insecurity at severe level only, and at moderate or severe level, based on the Food Insecurity Experience Scale, 2015–2023(2023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図1 2015~2023年の食料不安経験尺度に基づく、重度の食料不安の蔓延率、および中度または重度レベルの食料不安の蔓延率)
https://openknowledg[...]
2024-09-11
[98]
웹사이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4>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TABLE 4Number of people experiencing food insecurity at severe level only, and at moderate or severe level, based on the Food Insecurity Experience Scale, 2015–2023(2023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表4 2015~2023年の食料不安経験尺度に基づく、重度の食料不安と中程度または深刻なレベルの食料不安を経験した人々の数
https://openknowledg[...]
2024-09-11
[99]
간행물
세계 인구 추계 2022년 판: 요지 10개의 주요한 조사 결과(일본어 번역)
https://www.unic.or.[...]
국제연합광보센터
2022-11-17
[100]
문서
Promotion And Protection Of All Human Rights, Civil,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Including The Right To Development: Report of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Jean Ziegler
http://www2.ohchr.or[...]
2008-01-10
[101]
보고서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6 > Undernourishment around the world > Counting the hungry: trends in the developing world and countries in transition(2006년의 세계에 있어서 식량 불안의 상황 > 세계의 영양 부족 > 기아 인구의 파악: 발전 도상국과 이행기에 있는 나라의 경향)
http://www.fao.org/d[...]
2024-06-02
[102]
문서
The State of Food Insecurity in the World 2006(2006년의 세계에 있어서 식량 불안의 상황)의 8페이지에 아래의 기재가 있다.
[103]
논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15>Annex 1>TABLE A1 Prevalence of undernourishment and progress towards the World Food Summit (WFS) and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 (MDG) targets in developing regions(2015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別紙1>表A1 開発途上地域における栄養不足の蔓延と世界食糧サミット(WFS)およびミレニアム開発目標(MDG)の目標に向けた進展)
https://www.fao.org/[...]
2020-12-31
[104]
웹사이트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Indicator 2.1.1 - Prevalence of undernourishment(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지표2.1.1-영양 부족의 유병률)
https://www.fao.org/[...]
2024-09-11
[105]
웹사이트
Population, total
https://data.worldba[...]
2024-09-11
[106]
간행물
世界の飢餓人口 増加続く 2030年の「飢餓ゼロ」達成困難のおそれ ユニセフなど、国連5機関が新報告書
https://www.unicef.o[...]
ユニセフ
2020-07-13
[107]
논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4>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TABLE 1Prevalence of undernourishment, 2005–2023(2024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表1 栄養不足の蔓延率、2005年から2023年)
https://openknowledg[...]
2024-07-25
[108]
논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4>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TABLE 2 Number of undernourished people, 2005–2023(2024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表2 栄養不足の人口、2005年から2023年)
https://openknowledg[...]
2024-07-25
[109]
논문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3>CHAPTER 2 FOOD SECURITY AND NUTRITION AROUND THE WORLD>2.1 Food security indicators – latest updates and progress towards ending hunger and ensuring food security>FIGURE 3 Projected numbers of undernourished indicate that the world is far off track to achieve Zero Hunger by 2030(2024年 世界の食糧安全保障と栄養の状況>第2章 世界の食料安全保障と栄養>2.1 食料安全保障指標 – 飢餓撲滅と食料安全保障の確保に向けた最新の更新と進捗状況>図3 予測される栄養不足者数は、世界が2030年までに飢餓ゼロを達成する軌道からは程遠いことを示している。)
https://openknowledg[...]
2024-07-25
[110]
간행물
世界の飢餓、新型コロナウイルスで悪化 アフリカ人口の2割以上が栄養不足 食料と栄養に関する国連合同報告書
https://www.unicef.o[...]
ユニセフ
2021-07-12
[111]
간행물
ウクライナ戦争:国連WFPは、世界が深刻化する飢餓の危機に直面する中、港の再開を要請
https://ja.wfp.org/s[...]
国際連合世界食糧計画
2022-05-06
[112]
뉴스
ウクライナでの戦争、世界的な食料危機を引き起こす恐れ=国連
https://www.bbc.com/[...]
2022-05-19
[113]
뉴스
迫り来る“食料危機” 日本や世界の食はどうなる?
https://www3.nhk.or.[...]
2022-06-16
[114]
뉴스
ウクライナ穀物輸出量“黒海防衛強化でほぼ軍事侵攻前水準に”
https://www3.nhk.or.[...]
2024-01-31
[115]
문서
The Right to Food: Report by the Special Rapporteur on the Right to Food, Mr. Jean Ziegler, Submitted in Accordance with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2000/10
http://hei.unige.ch/[...]
United Nations
2001-02-07
[116]
문서
The right to food : Commission on Human Rights resolution 2002/25
http://ap.ohchr.org/[...]
Office Of The High Commissioner For Human Rights, United Nations
2002-04-22
[117]
문서
Independent Expert On Effects Of Structural Adjustment, Special Rapporteur On Right To Food Present Reports: Commission Continues General Debat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http://www.fao.org/r[...]
United Nations Information Service
2004-03-29
[118]
뉴스
Malnutrition kills more than 3 million children every year - study (栄養失調により毎年300万人以上の子供を死へ追いやっている-研究)
http://news.trust.or[...]
2013-06-06
[119]
뉴스
栄養失調で死ぬ幼児、世界で年間300万人以上 国連
https://www.afpbb.co[...]
2014-06-13
[120]
문서
The Causes, Consequences and Future of Senior Hunger in America
http://www.prnewswir[...]
University of Kentucky Center for Poverty and Research, Lexington, KY
2007
[121]
문서
Excerpt from "The Causes, Consequences and Future of Senior Hunger in America", Executive Summary, pp.i-ii
[122]
뉴스
NYの子ども、5人に1人は十分な食事とれず NPO報告
https://www.afpbb.co[...]
2013-11-27
[123]
웹사이트
Impact Rankings: Zero hunger
https://www.timeshig[...]
2020-04-13
[124]
웹사이트
Impact Rankings 2021: zero hunger (SDG 2) methodology
https://www.timeshig[...]
2021-04-14
[125]
웹사이트
Impact Rankings: Zero hunger
https://www.timeshig[...]
2021-04-16
[126]
웹사이트
Impact Rankings: Zero hunger
https://www.timeshig[...]
2022-04-03
[127]
웹인용
Famine Prevention
https://www.wfp.org/[...]
World Food Programme
2021-05-06
[128]
웹인용
The State of Food Security and Nutrition in the World 2021
http://www.fao.org/3[...]
FAO
20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