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여효는 백제 의자왕의 아들이자 660년 당시 태자였다. 나당 연합군의 공격으로 사비성이 함락되자 의자왕과 함께 웅진으로 탈출했으나, 백제 멸망 후 당나라로 끌려갔다. 부여효가 태자였는지, 부여융이 태자였는지에 대한 기록의 차이로 인해 여러 설이 존재하며, 중국 기록은 부여융을 태자로, 《삼국사기》는 부여효를 태자로 기록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7세기 출생 - 신문왕
신문왕은 문무왕의 아들로 즉위하여 김흠돌의 난을 진압하고 왕권 강화, 국학 설립을 통한 유교 교육 강화, 관료전 지급 및 녹읍 폐지, 9주 5소경 체제 완성, 고구려 유민 포용 정책 등을 통해 신라의 통일 국가 기틀을 다진 신라의 제31대 왕이다. - 7세기 출생 - 보니파시오
보니파시오는 8세기 잉글랜드 출신 선교사로, 윈프리트라는 이름으로 태어나 게르마니아 지역에 기독교를 전파하고 교회를 정비했으며, 교황으로부터 '보니파시오'라는 이름을 받고 게르마니아 선교 주교로 임명되어 프랑크 왕국과 협력하여 선교하다 순교 후 성인으로 추앙받는다. - 백제의 왕족 - 소서노
소서노는 졸본 부여 또는 연타발의 딸로, 북부여 우태와 혼인하여 비류와 온조를 낳았으며, 고구려 동명성왕과 혼인하여 고구려 건국을 돕고 두 아들과 함께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 백제의 왕족 - 진이왕
진이왕은 백제 왕족으로, 일본 도요타 씨와 오우치 씨 가문의 족보에 등장하며, 일본 기록에는 법왕과 무왕 사이에 즉위한 국왕으로 기록되어 있다. - 몰년 미상 - 미와 와사부로
미와 와사부로는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경찰 관료로, 항일 운동가들을 탄압하여 "염라대왕"이라 불렸으며 조선어에 능통했고, 해방 이후 행적은 불분명하다. - 몰년 미상 - 이태준
이태준은 일제 강점기와 북한에서 활동한 소설가이자 문학평론가로, 섬세한 문체와 서정적인 분위기로 현실을 그린 단편소설들을 발표하여 주목받았으며, 특히 1930년대 〈달밤〉, 〈까마귀〉, 〈복덕방〉 등의 작품으로 한국 단편소설의 미학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지만, 월북 후 숙청되어 정확한 사망 시기와 장소는 알려져 있지 않다.
부여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이름 | 부여 효 |
원래 이름 | 부여 효 |
작위 | 왕태자 |
아버지 | 의자왕 |
친인척 | 부여태(아우) |
2. 생애
의자왕의 아들이며 660년에는 태자였다. 7월(음력) 나당연합군이 반격하여 수도 사비성이 포위되자 의자왕과 함께 웅진으로 탈출하였다. 그러나 사비성은 의자왕의 차남 부여태가 외람히 왕을 칭하는 내부 분열로 함락당했고, 웅진성도 예군(禰軍)과 예식(禰植) 형제가 신라의 편을 들어줌으로써 의자왕은 항복하고[2] 백제는 멸망하고 말았다. 그런데 중국의 기록에서는 의자왕과 같이 있던 태자를 한결같이 부여융이라고 하여[3] 무엇이 맞는지 명확히 알 수 없다. 어쨌든 9월(음력) 소정방이 귀국하며 의자왕, 왕족, 대신, 주민 1만여 명과 부여효도 당나라의 낙양(洛陽)으로[4] 데려갔다. 이후의 행적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중국 기록에는 부여융이 태자이자 맏아들이라고 일관되게 나타나지만, 《삼국사기》에는 부여효가 태자이자 맏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서로 상반된다. 이 때문에 크게 3가지 설이 대립하고 있다.
3. 미궁의 마지막 태자
《삼국사기》를 우선하는 설에서는 《삼국사기》가 신라사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중국 기록을 바탕으로 했음에도 태자를 융에서 효로 고치고, 부여문사가 사비성에서 이야기하는 상대도 부여융으로 설정했으며, 융의 항복 시기도 의자왕보다 앞서고, 〈김인문전〉에서도 태자를 효라고 언급하는[7] 등 꼼꼼하게 처리되어 있다고 본다. 이 설은 중국 기록이 태자가 누구인지 잘 몰랐거나 효를 태자로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융의 태자 책봉 기사에 대해서는 다시 두 가지 설로 나뉜다.
# 융의 태자 책봉 기사는 효의 오기로, 처음부터 끝까지 효가 태자였다.[8]
# 644년 융이 태자로 책봉되었으나, 의자왕 말년에 정국 변동으로 효로 교체되었다.[9]
3. 1. 융이 태자이며 맏아들설
중국 기록에는 부여융이 태자이자 맏아들이라고 일관되게 나타나지만, 《삼국사기》에는 부여효가 태자이자 맏아들이라고 기록되어 있어 서로 상반된다. 이 때문에 크게 세 가지 설이 대립하고 있다.
첫째는 중국의 각종 기록과 《삼국유사》[5]를 우선하는 설이다. 이 설은 〈대당평백제국비〉와 〈당유인원기공비〉가 당대의 기록이므로 신뢰성이 높다고 본다. 비록 승자의 기록이기는 하지만, 《삼국사기》 역시 승자의 기록을 바탕으로 했을 뿐만 아니라 시기적으로도 12세기로 더 늦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설은 《삼국사기》의 기록이 오류라고 주장한다. 부여융이 615년생이라는 점도 이 설을 뒷받침한다. 요약하면, 융이 644년에 태자로 책봉된 이후 그 지위가 바뀌지 않았다는 것이다.[6]
둘째는 효로의 태자 교체설을 기본으로 하면서도 융 태자설과 일부 부합하는 설이다. 이 설은 융이 맏아들이었기 때문에 644년에 태자로 책봉되었지만, 의자왕 말년에 효로 교체되었다고 주장한다.[10]
3. 2. 효가 태자이며 맏아들설
중국의 기록은 일관되게 부여융이 태자이며 맏아들이라고 했으나, 《삼국사기》에서는 부여효가 태자이며 맏아들이라고 하여 서로 상반된다. 그래서 크게 3가지 설이 대립하고 있다.
4. 가계
관계 | 이름 | 비고 |
---|---|---|
조부 | 무왕 | |
부왕 | 의자왕 | |
형 | 부여융 | 의자왕의 삼남일 수도 있다. |
조카 | 부여문사 | 의자왕의 맏손자는 확실한데 아버지가 융인지 효인지 분분하다. |
조카 | 부여덕장 | |
형 | 부여태 | 의자왕의 차남이 확실하며 나머지 형제들의 순서는 정확히 알 수 없다. |
동생 | 부여연 | |
동생 | 부여풍 | |
동생 | 부여용 | |
동생 | 부여충승(扶餘忠勝) | |
동생 | 부여충지 | |
관계를 알 수 없는 왕족 | 부여문선(扶餘文宣) | [11] |
5. 대중문화
참조
[1]
서적
Samguk Sagi
http://www.koreandb.[...]
2007-09-27
[2]
논문
백제 유민 예씨일족 묘지명에 대한 단상
한국사학회
2012
[3]
문서
대당평백제국비
http://gsm.nricp.go.[...]
[4]
서적
신당서 111권 열전 제36 소정방
[5]
서적
삼국유사 1권 제1기이 태종춘추공
[6]
간행물
백제 부여융 묘지명에 대한 검토
국사편찬위원회
1995
[7]
서적
삼국사기 44권 열전 제4 김인문
[8]
논문
백제왕위계승고
역사학회
1959
[9]
논문
해동증자 백제 의자왕
한국인물사연구소
2005
[10]
논문
백제 의자왕대의 정치 변동에 대한 검토
공주대 백제문화연구소
2004
[11]
논문
백제 의자왕 회손녀 태비 부여씨 묘지
백제학회
20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