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탄의 지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탄의 지리는 인도와 중국 사이에 위치하며, 히말라야 산맥 남면에 자리 잡고 있다. 국토는 고도에 따라 툰드라, 몬순, 아열대 기후로 구분되며, 해발 100m에서 7,550m까지의 고도 차를 보인다. 부탄은 20개의 종카와 205개의 게워그로 행정 구역이 나뉘며, 다양한 지형과 기후로 인해 생물 다양성이 풍부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부탄의 지리
지리
위치아시아 남부, 중국인도 사이에 위치
좌표북위 27°30′, 동경 90°30′
면적38,394 km² (육지: 38,394 km², 수역: 0 km²)
국경총 1,136 km (중국 477 km, 인도 659 km)
해안선 길이0 km
가장 높은 지점강카르 푸엔숨 (7,570 m)
가장 낮은 지점드랑메 추 강 (97 m)
토지 이용경작지: 2.57%, 영구 작물: 0.34%, 기타: 97.09% (2011년 기준)
관개 면적319.1 km² (2009년)
기후
특징다양함; 남부 평야는 덥고 습한 아열대 기후, 중앙의 계곡은 시원한 겨울과 뜨거운 여름, 북부는 추운 겨울과 시원한 여름
지형
특징동쪽 히말라야 산맥의 험준한 산과 깊은 계곡; 남쪽의 평평한 평야
천연 자원
종류목재, 수력, 석고, 탄산칼슘
환경 문제
문제점토양 침식; 벌목; 산업 폐기물; 가정 폐기물
국제 협약
가입생물 다양성 협약, 기후 변화 협약, 사막화 방지 협약, 멸종 위기 야생 동식물 국제 거래 협약, 유해 폐기물 협약, 해양법 협약, 오존층 보호 협약, 습지 보호 협약
서명 및 비준교토 의정서

2. 지리

내륙국부탄은 남쪽으로는 인도, 북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티베트 자치구와 국경을 맞대고 있어 지정학적으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국토 대부분이 히말라야 산맥 남쪽 경사면에 자리 잡고 있으며, 남부의 해발 고도 약 100m 지대부터 북부의 7550m가 넘는 고산 지대까지 매우 큰 고도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극심한 고도 차이는 부탄의 기후를 매우 다양하게 만든다. 크게 세 가지 기후대로 나눌 수 있는데, 해발 3000m 이상의 북부 고산 지대는 툰드라 기후, 해발 1200m에서 3000m 사이의 중부 지역은 몬순의 영향을 받는 온대 기후, 그리고 해발 1200m 미만의 남부 평야 지대는 아열대성 기후가 나타난다. 국토 면적 비율로 보면 고산 지대가 약 44.6%, 중고도 지역이 약 40.3%, 저지대가 약 15.1%를 차지한다.

전반적으로 부탄의 지리는 험준한 산악 지형과 그 사이를 흐르는 강, 그리고 다양한 고도에 따른 기후 변화로 특징지을 수 있다. 자세한 지형, 기후, 생태계 등은 하위 문단에서 설명한다.

2. 1. 정치 지리

부탄은 20개의 종카 (행정 구역)로 나뉘며, 다시 205개의 게워그 (마을 블록)로 나뉜다. 게워그는 행정 편의를 위해 수많은 트롬데 (지방 자치 단체)로 다시 나뉜다.

2. 2. 자연 지리

내륙국부탄은 히말라야 산맥 남쪽 경사면에 위치하며, 북쪽으로는 중화인민공화국티베트 자치구와 약 470km, 남쪽, 동쪽, 서쪽으로는 인도와 약 605km의 국경을 접하고 있다. 두 강대국 사이에 위치한 지정학적으로 민감한 위치에 있으며, 특히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은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이어져 있어 일부 구간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다.

국토는 해발 고도 차이가 매우 커서 남부의 약 100m 지대부터 북부의 7550m가 넘는 고산 지대까지 다양하다. 이러한 고도 차이는 기후의 뚜렷한 다양성으로 이어진다. 부탄의 기후는 고도에 따라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으며, 전반적으로 몬순 기후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서부 부탄은 연 강우량의 60~90%가 몬순 시기에 집중된다.[27] 연평균 강수량은 남부 국경 지대가 3000mm~5000mm로 가장 많고, 내륙 중앙 협곡 지대는 500mm~1000mm, 4000m 이상의 고산 지대는 500mm 이하로 고도와 지형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인다.

고도별 기후 및 지형 구분
구분해발 고도기후주요 특징국토 비율
북부3000m 이상고산 · 툰드라 기후히말라야 산맥의 높은 봉우리, 만년설, 추운 날씨약 44.6%
중부1200m ~ 3000m온대 몬순 기후고지대 및 강이 흐르는 계곡, 주요 인구 밀집 지역(팀푸 위치), 조엽수림약 40.3%
남부1200m 미만아열대성 기후두아르스 평원과 작은 언덕, 덥고 습함, 히말라야 아열대 활엽수림, 주요 농경지()약 15.1%



남부의 저지대는 부탄의 주요 경작지이며, 전체 경작지의 약 2%가 이곳에 집중되어 있다. 과거 말라리아가 만연했던 열대 우림 지역이었으나, 현재는 주로 농사가 이루어진다. 중부의 계곡과 고지대는 부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으로, 수도 팀푸도 서부 고지대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여러 강이 흐르는 계곡과 국토의 약 70%를 차지하는 광활한 숲이 특징이다. 북부 고산 지대는 히말라야 산맥의 높은 봉우리들이 자리 잡고 있으며, 혹독한 날씨와 만년설이 특징이다.

부탄의 계곡들은 '라'라고 불리는 고개를 통해 연결되며, 이는 지역 간 이동과 전통적인 지리 구분에 영향을 미친다.

수 세기에 걸친 고립주의, 적은 인구, 그리고 험준한 지형 덕분에 부탄은 세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생태계 중 하나를 유지하고 있다. 단위 면적당 종 다양성 측면에서 세계 상위 10개국 안에 들 정도로 풍부한 생물 다양성을 자랑한다. 약 5,500종 이상의 식물(약 300종의 약용 식물 포함), 770종 이상의 조류, 165종 이상의 포유류가 서식하며, 이 중에는 레서 판다, 설표, 황금 원숭이와 같은 희귀 및 멸종 위기종도 포함되어 있다.

2. 2. 1. 산

부탄 우라 라에서 바라본 강카르 퓐쑴


히말라야 산맥에 속하는 부탄의 산들은 부탄 북부 지역의 지형을 특징짓는다. 이곳의 봉우리들은 해발 7000m를 쉽게 넘어서며, 부탄에서 가장 높은 지점은 강카르 퓐쑴이다. 강카르 퓐쑴은 해발 7570m로, 아직까지 아무도 등반하지 못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미등반 산으로 알려져 있다.[1]

산악 지역의 날씨는 매우 혹독하다. 높은 봉우리들은 만년설로 덮여 있으며, 그보다 낮은 산들과 가파른 협곡에는 일년 내내 강한 바람이 분다. 이로 인해 여름에는 황량한 갈색 풍경이 펼쳐지고, 겨울에는 얼어붙은 황무지로 변한다. 매년 겨울 북쪽에서 발생하는 눈보라는 종종 남쪽으로 이동하여 중앙 고지대까지 영향을 미친다.

가장 높은 봉우리들의 바위와 얼음 지대 아래에는 넓은 동히말라야 고산 관목 및 초원이 펼쳐져 있다. 이곳에는 초원뿐만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진달래와 초본 식물이 자생한다.

고지대는 부탄에서 인구가 가장 밀집된 지역으로, 수도인 팀푸 역시 서부 고지대에 위치한다. 이 지역은 인도의 브라마푸트라 강으로 흘러 들어가는 많은 강들과, 대부분의 인구가 거주하는 고립된 계곡들, 그리고 국토의 70%를 차지하는 광활한 숲으로 특징지어진다. 고지대는 높은 고도에서는 동히말라야 아고산 침엽수림이, 낮은 고도에서는 동히말라야 활엽수림이 나타난다. 겨울은 춥고 여름은 더우며, 우기에는 산사태가 자주 발생한다.

부탄의 계곡들은 여러 고개(종카어로 "라")를 통해 연결된다. 하 계곡과 파로 계곡 사이에는 첼레 라(3780m)가 있으며, 이 고개는 부탄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가장 높은 지점이다. 팀푸에서 푸나카로 이어지는 측면 도로는 도추 라(3116m)를 넘는데, 이곳에는 아삼 게릴라 축출을 기념하여 세워진 108개의 초르텐이 있다. 왕두에 포드랑 동쪽에는 펠레 라(3390m)가 있다.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동쪽으로 더 가면 요탕 라, 셔탕 라, 왕탕 라, 트럼싱 라, 코리 라(2298m) 등의 다른 주요 고개들을 지나게 된다.

부탄 정부는 히말라야 산맥에 속한 여러 7,000m급 봉우리들에 대해 종교적인 이유로 등반을 허가하지 않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주요 봉우리들은 다음과 같다.

산 이름표고 (m)
강카르 퓬섬 (Gangkhar Puensum)7,561 (7,541) - 부탄 최고봉
조모라리 산 (Jhomolhari)7,326 (7,314)
제제캉푸강 (Jejekangphu Gang)7,184 (7,300)
테리강 (Teri Gang)7,127 (7,300)
종고푸강 (Zongophu Gang)7,094 (7,100)
지추 다케 (Jichu Drake)6,942 (6,989)


  • 쿨라강리 (Kulha Gangri, 7,554m)를 부탄 영토로 간주하기도 한다.
  • 표고는 '제8차 5개년 계획서 vol.I 지도 1.2'에서 인용하였으며, 괄호 안의 수치는 ''Lonely Planet Bhutan'' (1998) 자료를 따른다.

2. 2. 2. 빙하

부탄 북부의 빙하는 1980년대에 부탄 전체 면적의 약 10%를 차지했으며, 부탄 내 들의 중요한 재생 가능한 수원이다.[5] 이 빙하들은 매년 겨울 새로 내린 눈으로 채워지고 여름에 천천히 녹으면서, 부탄과 하류 지역에 막대한 양의 담수를 공급한다. 빙하가 녹는 물은 몬순 시기에 불어난 강 수량에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홍수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특히 빙하의 움직임으로 강물이 일시적으로 막힐 경우, 하류 지역은 ''요쿨라우프''라고도 불리는 빙하호 분출 홍수(GLOF)의 위험에 처하게 된다.[5]

하지만 부탄의 빙하는 현재 녹고 있는 심각한 문제에 직면해 있다. 2008년 유엔(UN) 보고서에 따르면, 기후 변화로 인한 기온 상승으로 부탄의 빙하가 매년 30m에서 40m의 속도로 후퇴하고 있으며, 많은 빙하호가 언제 터져 막대한 양의 홍수를 하류로 쏟아낼지 모르는 위험한 상태라고 지적했다.[10] 이러한 기후 변화 관련 문제의 심각성 때문에, 2007년 9월 팀푸에서는 동남아시아 지역 보건 비상 기금이 설립되기도 했다.[10] 또한 남아시아 지역 협력 연합(SAARC) 회원국들은 2010년 4월 정상 회담에서 기후 변화와 빙하 문제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한 협정을 채택했다.[6]

2008년 유엔 보고서는 히말라야 빙하가 25년 안에 사라질 수 있다고 예측했지만,[7] 부탄의 총리 지그메 틴레이는 2010년 3월 기자 회견에서 "우리 빙하는 매우 빠르게 후퇴하고 있으며, 2035년이 아니라 그보다 더 이른 시기에 사라질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고 말하며 더욱 심각한 상황을 경고했다.[8]

가장 최근의 조사인 "부탄 빙하 목록 2018"에 따르면, 부탄 북부 국경 지역에는 총 700개의 빙하가 있으며, 이 빙하들이 덮고 있는 총면적은 약 629.55km2이다. 이는 부탄 전체 국토 면적의 1.64%에 해당한다.[9]

2. 2. 3. 호수

부탄에는 최소 59개의 자연 산악 호수와 약 2,674개의 빙하호가 있다. 이 중 약 25개의 빙하호는 잠재적인 GLOF 위험을 안고 있다.[10][11]

부탄의 비빙하 호수는 총 4250ha를 차지한다. 대부분 해발 3500m 이상의 고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부분 근처에 영구적인 인간 정착지가 없지만, 많은 곳이 야크를 방목하는 데 사용되며 흩어져 있는 임시 정착지가 있을 수 있다.[12][13]

2. 2. 4. 강

이 이미지는 부탄-히말라야의 빙하의 말단을 보여준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이 지역의 파편으로 덮인 빙하 표면에 빙하호가 빠르게 형성되고 있다.


부탄에는 4개의 주요 강 시스템이 있다: 드랑메 추, 푸나 창 추(상코시라고도 불림), 왕 추, 그리고 아모 추이다. 이 강들은 모두 히말라야 산맥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러 두아르스 평원을 지나 인도에서 브라마푸트라 강과 합류한다. 브라마푸트라 강은 방글라데시로 흘러가 자무나라는 이름으로 갠지스 강(방글라데시에서는 파드마)과 만나 거대한 삼각주를 이루며 벵골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가장 큰 강 시스템인 드랑메 추는 인도의 아루나찰 프라데시 주에서 발원하여 남서쪽으로 흐른다. 주요 지류로는 망데 추와 붐탕 추가 있으며, 이 강들은 부탄 동부 대부분 지역과 통사, 붐탕 계곡의 물을 모아 드랑메 추 유역을 형성한다. 두아르스 지역에서 여러 지류가 합쳐진 드랑메 추는 마나스 추라고 불린다.

370km 길이에 달하는 푸나 창 추는 부탄 북서부의 모 추와 포 추에서 시작되는데, 이 두 강은 대히말라야 산맥의 눈 녹은 물을 수원으로 한다. 모 추와 포 추는 남쪽으로 흘러 푸나카에서 합류하여 푸나 창 추를 이루고, 계속 남쪽으로 흘러 인도의 서벵골 주로 들어간다.

320km 길이의 왕 추는 그 지류들이 티베트에서 발원한다. 왕 추는 부탄 서중부를 남동쪽으로 가로지르며 하, 파로, 팀푸 계곡의 물을 모아 두아르스로 흘러가며, 서벵골 주에서는 라이게 추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가장 작은 강 시스템인 토르사 추(북쪽에서는 아모 추로 불림)는 티베트의 춤비 계곡에서 발원하여 부탄 서부를 빠르게 통과한다. 푼초링 근처에서 강폭이 넓어진 후 인도 방향으로 흘러 들어간다.[14]

부탄의 강들은 해발 고도 차이가 큰 지형 때문에 대부분 급류를 이룬다. 이를 이용한 수력 발전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고산 지대의 빙하호가 갑자기 무너져 내려 피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

주요 하천의 이름과 흐름은 다음과 같다. '츄(Chu)'는 종카어로 "물" 또는 "강"을 의미한다.

주요 강주요 지류발원지 및 주요 경유지비고 (인도명 등)
아모 츄 / 토르사 추티베트 춤비 계곡 → 부탄 서부 (푼초링 부근) → 인도인도명: 토르사 강
왕 추파로 츄, 팀푸 츄티베트 → 부탄 서중부 (하, 파로, 팀푸 계곡) → 인도 서벵골인도명: 라이게 추
푸나 창 추포 츄, 모 츄히말라야 빙하 → 푸나카 (포/모 추 합류) → 인도 서벵골인도명: 상코시 강
드랑메 추 / 마나스 추망데 츄 (니카 츄 포함), 붐탕 추 (참카르 츄), 크리 츄, 담메 츄, 크론 츄, 감리 츄인도 아루나찰 프라데시 → 부탄 동부 (통사, 붐탕 계곡 등) → 인도 (두아르스에서 합류)인도명: 마나스 강


2. 2. 5. 계곡

부탄의 계곡은 강에 의해 히말라야 산맥에 깊게 파여 형성되었으며, 빙하가 녹은 물과 몬순 시기의 강우로 수량이 유지된다. 부탄 인구의 상당수는 험준한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 지류들로 인해 나뉘어진 계곡과 저지대에 집중되어 거주한다.[15][16][17][18][19][20] 국가 고속도로 시스템을 포함한 부탄의 교통 인프라가 현대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지형적 특성상 한 계곡에서 다른 계곡으로 이동하는 것은 여전히 쉽지 않다.[21]

서부의 계곡들은 블랙 마운틴이라는 산맥을 경계로 동쪽 지역과 구분된다. 이 산맥은 부탄의 주요 강인 모 추(상코시 강)와 드랑메 추의 분수령 역할을 한다. 중앙 계곡은 동가 산맥에 의해 동쪽 지역과 분리된다.[15][22][23] 이처럼 지리적으로 고립된 산악 계곡 환경은 여러 작고 독특한 문화 및 언어 집단이 고유성을 유지하며 발전하는 배경이 되었다.[24]

부탄의 계곡들은 '라'(ལ་|라dz종카어로 고개를 의미)라고 불리는 여러 고개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주요 고개는 다음과 같다.

부탄의 주요 고개 (라)
고개 이름높이연결 지역 및 특징
첼레 라3780m하 계곡과 파로 계곡 사이에 위치하며, 부탄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가장 높은 고개이다.
도추 라3116m팀푸에서 푸나카로 이어지는 측면 도로상에 위치한다. 아삼 게릴라 축출을 기념하여 세워진 108개의 초르텐이 있다.
펠레 라3390m왕두에 포드랑 동쪽에 위치한다.
기타 주요 고개-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동쪽으로 이동하면 요탕 라, 셔탕 라, 왕탕 라, 트럼싱 라, 코리 라(2298m) 등의 다른 주요 고개들을 지나게 된다.


2. 2. 6. 고개

부탄의 계곡은 여러 고개(ལ་|라dz)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부탄에서 고개는 중요한 지형 요소이며, 전통적인 지리 구분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대표적으로 펠레 라는 행정 구역과는 별개로 부탄을 동부와 서부로 나누는 기준으로 인식된다. 각 주요 도시 사이에는 대부분 고개가 존재하며, 이들 고개는 때때로 교통의 어려움이 있는 곳으로도 알려져 있다.

주요 고개는 다음과 같다.

고개 이름해발 고도연결 지역비고
첼레 라3780m파로 계곡 - 하 계곡부탄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가장 높은 고개
도추 라3150m팀푸 - 푸나카아삼 게릴라 축출을 기념하는 108개의 초르텐이 있음
펠레 라3360m왕두에 포드랑 - 통사전통적인 동부-서부 부탄 경계
요통 라3400m통사 - 자카르
트럼싱 라3740m자카르 - 몽가르국도 1호선 최고 지점
코리 라2400m몽가르 - 타시강
얌푸 라2100m타시강 - 삼드럽종카르



이 외에도 주요 고속도로를 따라 셔탕 라, 왕탕 라 등이 있다.

2. 3. 기후

부탄의 기후는 고도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인도처럼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특히 서부 부탄은 지역 강수량의 60~90%가 몬순 기간에 집중될 정도로 영향을 많이 받는다.[27][2] 기후는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남부 평야와 산기슭은 습한 아열대 기후, 남부 및 중부 지역의 내륙 히말라야 계곡은 온대 기후, 그리고 북부의 히말라야 주요 산봉우리가 있는 고산 지대는 연중 눈이 내리는 한랭 기후 또는 툰드라 기후를 보인다.[27][2] 구체적으로는 해발 1200m 미만의 남부 타라이 평원은 아열대성 기후, 해발 1200m에서 3000m 사이의 중부는 몬순 기후, 해발 3000m 이상의 북부 히말라야 산맥 지역은 고산/툰드라 기후에 해당한다. 국토 중 해발 3000m 이상의 고지는 44.6%, 1200m에서 3000m의 중고도 지역은 40.3%, 1200m 미만의 저지는 15.1%를 차지한다.

부탄의 쾨펜-가이거 기후 분류 지도


기온 역시 고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예를 들어, 부탄 서부 중앙에 위치하며 해발 2200m인 팀부의 경우, 6월부터 9월까지의 몬순 기간에는 기온이 약 15°C에서 26°C 사이를 오가지만, 1월에는 약 -4°C에서 16°C 사이로 떨어진다. 국가의 대부분 중앙 지역은 연중 시원하고 온화한 기후를 경험한다. 반면 남부 지역은 덥고 습한 기후로, 연중 기온이 15°C에서 30°C 사이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여름철 계곡에서는 기온이 때때로 40°C까지 오르기도 한다.[2]

연간 강수량은 지역별 편차가 매우 크다. 강수량 그림자 효과로 인해 짧은 거리에서도 강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 북부의 고산 기후 지역에서는 연간 강수량이 약 40mm에 불과하며 대부분 눈으로 내린다. 온대 기후인 중앙 지역에서는 연평균 약 1000mm의 강수량이 일반적이다. 반면, 습한 아열대 기후인 남부의 일부 지역에서는 연간 7800mm에 달하는 많은 비가 내려 울창한 열대 우림이나 사바나를 형성한다. 지역별 평균 강수량을 보면, 남부 국경 지대는 연간 3,000~5,000mm, 남부 히말라야 사면 지대는 1,200~2,000mm, 내륙 중앙 협곡 지대는 500~1,000mm, 해발 4000m 이상의 고산 지대는 500mm 이하이다. 수도인 팀푸는 겨울(12월~2월)이 건조하며 3월까지 강수가 거의 없다가, 이후 월평균 강수량이 20mm 정도로 증가하여 8월에 220mm로 최고조에 달하며, 연간 총 강수량은 약 650mm이다.[2] 대부분의 강수량은 우기인 몬순 시기(6월 중순~9월)에 집중된다.

부탄의 계절은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2]

  • 봄: 3월 초에 시작하여 4월 중순까지 이어지며, 일반적으로 건조하다.
  • 여름: 4월 중순에 시작되어 9월 말까지 지속된다. 4월 중순부터 6월 말까지는 몬순 전 강우가 나타나며, 6월 말부터 9월 말까지는 남서쪽에서 불어오는 여름 몬순의 영향을 받는다. 이 시기에는 히말라야 산맥에 막힌 습한 공기로 인해 많은 비, 높은 습도, 급류산사태, 그리고 잦은 안개와 흐린 날씨가 특징이다.
  • 가을: 9월 말 또는 10월 초부터 11월 말까지로, 우기가 끝난 후 맑고 화창한 날씨가 이어지며 고지대에는 이른 눈이 내리기도 한다.
  • 겨울: 11월 말부터 3월까지 지속된다. 나라 대부분 지역에 서리가 내리고, 해발 3000m 이상 지역에서는 눈이 흔하게 내린다. 겨울철 북동 몬순은 높은 산길을 통해 돌풍 수준의 강한 바람을 몰고 온다.

2. 4. 삼림

부탄의 산림 피복은 2020년 기준 총 토지 면적의 약 71%를 차지하며, 이는 272.5만ha의 산림 면적에 해당한다. 이는 1990년의 250.70000000000002만ha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2020년에는 자연적으로 갱신된 산림이 270.40000000000003만ha를 차지했고, 인공적으로 조성된 조림지는 2.082만ha를 차지했다. 자연 갱신 산림 중 15%는 인간 활동의 명확한 흔적이 없는 고유 수종으로 구성된 원시림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산림 면적의 약 41%가 보호 구역 내에 위치해 있다. 2015년 기준으로 산림 면적의 100%가 국유로 보고되었다.

3. 지정학적 위치

인도중국 사이에 위치한 부탄은 잠재적인 중국-인도 분쟁 지역이다. 현재 인도가 부탄에 더 많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데, 이는 몇 가지 요인에 기인한다. 첫째, 영국이 남아시아 지역에서 철수한 후, 부탄은 보호령 지위를 유지하며 인도의 직접적인 행정 통제를 받지 않았지만, 1949년 체결된 조약에 따라 외교 정책은 인도의 영향을 받게 되었다. 인도 육군은 부탄의 국경을 순찰하며 국가의 도로 인프라 개발에도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또한, 인도 정부는 부탄 정부 재정의 약 60%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두 번째 요인은 1949년부터 1959년까지 이어진 중국의 티베트 침략이다. 티베트인들은 부탄과 문화적, 역사적, 종교적으로 깊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어, 이 사건은 부탄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부탄은 히말라야 산맥을 통과하는 여러 전략적 산길을 통제하고 있으며, 이 길들은 티베트와 아삼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통로이다. 이 산길들은 외부 세력이 부탄 왕국으로 들어가는 유일한 경로이기도 했으며, 수세기 동안 이어진 고립주의 정책과 함께 부탄을 "신의 산성"으로 불리게 만들었다. 실제로 부탄의 중심부는 성공적으로 침략당한 역사가 없다. 과거 영국은 부탄을 보호령으로 삼으면서, 고지대 아래 저지대에 군사적 영향력을 행사한 바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Bhutan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011-03-22
[2] 간행물 1991-09
[3] 웹사이트 Climate Data Book of Bhutan, 2018 https://www.nchm.gov[...] National Center for Hydrology and Meteorology
[4] 웹사이트 Climate Data Book of Bhutan, 2018 https://www.nchm.gov[...] National Center for Hydrology and Meteorology
[5] 간행물 1991-09
[6] 웹사이트 Summit declaration ready for adoption http://www.bhutanobs[...] Bhutan Observer online 2010-04-10
[7] 웹사이트 Himalayan glaciers not retreating, says new report http://www.bhutanobs[...] Bhutan Observer online 2011-01-29
[8] 웹사이트 Looking beyond hydropower http://www.bhutanobs[...] Bhutan Observer online 2010-04-02
[9] 웹사이트 National Center for Hydrology and Meteorology http://www.nchm.gov.[...] 2019-07-28
[10] 웹사이트 Managing health disaster http://www.bhutanobs[...] Bhutan Observer online 2008-01-19
[11] 웹사이트 Thorthormi water level brought down 43 cm http://www.bhutanobs[...] Bhutan Observer online 2010-09-03
[12]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Himalayas https://books.google[...] Mittal Publications 2008-01
[13] 웹사이트 Survey of the Waters of Bhutan – Physiography and Fisheries Potential http://www.fao.org/d[...] United Nations 1978-12
[14] 간행물 1991-09
[15] 간행물 1991
[16] 간행물 1991
[17] 서적 Sikhim & Bhutan: Twenty-One Years on the North-East Frontier, 1887-1908 https://archive.org/[...] E. Arnold
[18] 서적 Bhutan: Ways of Knowing https://books.google[...] IAP
[19] 서적 Bhutan Foreign Policy and Government Guide https://books.google[...] International Business Publications
[20] 서적 Bhutan https://books.google[...] Lonely Planet
[21] 간행물 1991
[22] 간행물 1991
[23] 서적 Encyclopaedia of Women in South Asia: Bhutan https://books.google[...] Gyan
[24] 서적 Bhutan http://www.lonelypla[...] Lonely Planet
[25] 서적 Terms and Definitions FRA 2025 Forest Resources Assessment, Working Paper 194 https://openknowledg[...]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6] 웹사이트 Global Forest Resources Assessment 2020, Bhutan https://fra-data.fao[...]
[27] 간행물 1991-0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