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증오는 짧거나 오래 지속될 수 있는 감정으로, 개인적 경험, 외부 영향, 또는 사회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심리학적으로는 친밀함의 거부, 열정의 주입, 가치 절하 등이 증오의 요소로 분석되며, 자기 방어 기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법적으로는 혐오 범죄와 혐오 발언으로 나타나며, 종교적, 철학적 관점에서도 다양한 해석이 존재한다. 한국 사회에서는 정치적 양극화, 역사적 갈등, 사회 경제적 불평등 등이 증오를 유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증오 - 이슬람 공포증
이슬람 공포증은 이슬람, 무슬림, 이슬람 관련 대상에 대한 과장되거나 비합리적인 공포 또는 혐오를 뜻하며, 9·11 테러 이후 증가하여 미디어, 정치, 극우 단체 등의 영향으로 확산되어 무슬림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국제 사회의 모니터링 대상이 되고 있다. - 증오 - 동성애 혐오
동성애 혐오는 성 소수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 감정, 편견, 차별을 의미하며, 심리적 혐오에서 비롯된 공포, 혐오, 증오 등으로 나타나 제도적 차별, 종교적 태도, 국가 주도 혐오, 내면화된 혐오, 사회적 혐오 등으로 구체화되는 사회 문제이다. - 감정 - 공포
공포는 특정 대상이나 상황에 대한 강렬한 감정으로, 신체적 반응과 행동 변화를 동반하며, 뇌의 편도체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학습과 경험을 통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고 치료가 가능하다. - 감정 - 지루함
지루함은 단조로운 환경 인식으로 인해 발생하는 무관심과 집중력 저하를 동반하는 불쾌한 감정으로, 심리학, 철학, 직장, 대중문화, 문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논의되는 복합적인 현상이다.
증오 | |
---|---|
증오 | |
![]() | |
일반적 정보 | |
유형 | 정서 |
반대 | 사랑 |
관련 용어 | 분노 경멸 적개심 질투 시기 복수 인종 차별 성차별 동성애 혐오 |
철학적 견해 | "타인의 고통에 대한 기쁨" (독일어: Schadenfreude) 미소기니 인간 혐오 사회 혐오 |
심리학 | |
설명 | 깊고 격렬한 혐오감, 불쾌감, 적대감, 멸시감 |
특징 | 타인 또는 사물에 대한 극단적인 반감 장기간 지속될 수 있음 개인적, 집단적 행동에 영향 |
사회적 측면 | |
원인 | 개인적인 경험 사회적 학습 이데올로기 집단 간 갈등 |
표현 방식 | 언어적 공격 차별 폭력 집단 학살 |
종교적 관점 | |
불교 | 진(瞋) |
기독교 | 죄 |
기타 | |
관련 연구 | 사회심리학 정치학 신경과학 |
2. 정의 및 심리학적 관점
"증오" 또는 "증오심"은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매우 싫어하는 감정 상태이다. 근본적으로 "좋아함/싫어함", 즉 "호/악"(好/悪) 감정에 기반한다.[28]
사람이 누군가를 증오하거나 격하게 싫어하게 되는 경우는 개인의 감성, 도량, 상황에 따라 다르다. 기본적으로는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에게 해가 가해졌다고 느낄 때 증오심을 느낀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 딸,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사람 등을 증오할 수 있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유아 단계에서 대부분 자신을 좋아하지만, 성장하면서 양가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어릴 적 자신의 불충분한 점을 지적받으면 증오하던 사람도, 어른이 되어 큰 실패를 겪은 후에는 지적해 주는 사람에게 감사함을 느낄 수 있다.
인류애, 우애 등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을 중시하는 사람은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자를 증오하는 경향이 있다. 증오심은 상대를 없애고 싶다는 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대부분 이성으로 억제한다. 하지만 감정이 격해지거나 다른 해결책이 없을 때는 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자신이 속한 민족이나 인종만 좋아하는 사람은 다른 민족이나 인종을 증오하여 민족 차별이나 인종 차별을 일으키기 쉽다.
프랑스 혁명은 억압적인 왕족에 대한 증오에서 비롯되었지만, 인권 선언 채택과 공화제 수립으로 이어져 유럽 인권 존중에 기여했다. 미국 헌법도 이러한 영향을 받았다. 대항해 시대 이후 식민지 지배와 노예 제도에 대한 증오는 오랜 투쟁 끝에 식민지 감소와 노예 제도 폐지로 이어졌다.
오스만 제국을 해체한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의 배신은 이슬람교도에게 강한 증오심을 불러일으켰고, 오늘날까지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증오를 불행의 근원을 파괴하려는 자아 상태로 정의하며, 이는 자기 보존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6] 도널드 위니컷은 증오에 관련된 발달 단계를 강조하며, 외부 대상의 인식을 이야기했다. "마법적인 파괴와 비교했을 때, 공격적인 생각과 행동은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며, 증오는 문명의 징후가 된다."[7]
대상 관계 이론은 분석 환경에서 증오를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분석가는 엄격한 시간 제한과 요금 청구에서 드러나는 자신의 증오를 인정하며,[8] 이는 환자가 이전에 숨겨왔던 분석가에 대한 '자신의' 증오를 인정하고 억제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4]
애덤 필립스는 진정한 친절은 증오하고 증오받는 관계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대인 관계의 좌절과 그에 따른 적대감에 대한 비감상적인 인식이 진정한 연대감을 드러낼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9]
2. 1. 감정의 스펙트럼
감정으로서 증오는 짧게 지속될 수도 있고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2] 강도가 낮을 수도 - '나는 브로콜리를 싫어해' - 강도가 높을 수도 있다. '나는 세상 전부를 싫어해'.[3]어떤 경우에는 증오는 학대, 오도, 조작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학습된 반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증오는 갇힌 느낌이나 특정 사회학적 현상을 이해할 수 없을 때 나타나는 깊은 심리적 반응이다.
로버트 스턴버그는 증오에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고 보았다.
# 친밀함이 위협적일 때 거리를 둠으로써 친밀함을 부정하는 것
#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열정의 주입
# 이전에 가치 있게 여겨졌던 대상을 평가 절하하기로 결정하는 것[2]
증오에서 발견될 수 있는 중요한 자기 보호 기능[4]은 스턴버그가 분석한 '반항적인' 증오로 설명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자율성을 추구하며 의존적인 관계를 거부하는 내용이 포함된다.[5]
2. 2. 증오의 발생 원인
증오는 지속 시간에 따라 짧거나 길 수 있으며, 강도에 따라 '나는 브로콜리를 싫어해'처럼 낮거나, '나는 세상 전부를 싫어해'처럼 높을 수 있다.[2][3]증오는 학대, 오도, 조작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 학습될 수 있다. 갇힌 느낌이나 특정 사회 현상을 이해할 수 없을 때 나타나는 깊은 심리적 반응이기도 하다.
로버트 스턴버그는 증오의 세 가지 주요 요소를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2]
# 친밀함이 위협적일 때 거리를 두어 친밀함을 부정하는 것
#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열정을 주입하는 것
# 이전에 가치 있게 여겼던 대상을 평가 절하하는 것
스턴버그는 자율성을 추구하며 의존적 관계를 거부하는 '반항적인' 증오를 통해 증오의 중요한 자기 보호 기능을 설명했다.[4][5]
사람은 대개 "좋아한다"고 느끼는 대상에게 해가 가해졌다고 느낄 때 증오심을 느낀다. 예를 들어 애완동물, 딸, 자신의 이미지를 손상시키는 사람 등을 증오할 수 있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유아 단계에서 대부분 "나(자신)를 아주 좋아한다"고 느끼지만, 성장하면서 자신에 대해 양가적인 태도를 갖게 된다.
어릴 적 자신의 불충분한 점을 지적받으면 증오하던 사람도, 어른이 되어 큰 실패를 겪은 후에는 지적해 주는 사람에게 감사함을 느낄 수 있다.
인류애, 우애 등 모든 사람에 대한 사랑을 중시하는 사람은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자를 증오하는 경향이 있다.
증오심은 상대를 "없애버리고 싶다"거나 "죽이고 싶다"는 감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대부분 이성으로 억제하지만, 감정이 격해지거나 다른 해결책이 없을 때 살인 등의 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자신이 속한 민족이나 인종만 좋아하는 사람은 다른 민족이나 인종을 증오하여 민족 차별이나 인종 차별을 일으키기 쉽다.
프랑스 혁명은 억압적인 왕족에 대한 증오에서 비롯되었지만, 인권 선언 채택과 공화제 수립으로 이어져 유럽 인권 존중에 기여했다. 미국 헌법도 이러한 영향을 받았다.
대항해 시대 이후 식민지 지배와 노예 제도에 대한 증오는 오랜 투쟁 끝에 식민지 감소와 노예 제도 폐지로 이어졌다.
오스만 제국을 해체한 사이크스-피코 협정과 토마스 에드워드 로렌스의 배신은 이슬람교도에게 강한 증오심을 불러일으켰고, 오늘날까지 갈등의 원인이 되고 있다.
2. 3. 증오의 구성 요소 (로버트 스턴버그)
감정으로서 증오는 짧게 지속될 수도 있고 오래 지속될 수도 있다.[2] 강도가 낮을 수도 있고('나는 브로콜리를 싫어해') 강도가 높을 수도 있다('나는 세상 전부를 싫어해').[3]어떤 경우에는 증오는 학대, 오도, 조작과 같은 외부 영향으로부터 학습된 반응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증오는 갇힌 느낌이나 특정 사회학적 현상을 이해할 수 없을 때 나타나는 깊은 심리적 반응이다.
로버트 스턴버그는 증오에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주요 요소가 있다고 보았다.
# 친밀함이 위협적일 때 거리를 둠으로써 친밀함을 부정하는 것
# 두려움이나 분노와 같은 열정의 주입
# 이전에 가치 있게 여겨졌던 대상을 평가 절하하기로 결정하는 것[2]
증오에서 발견될 수 있는 중요한 자기 보호 기능[4]은 스턴버그가 분석한 '반항적인' 증오로 설명될 수 있는데, 여기에는 자율성을 추구하며 의존적인 관계를 거부하는 내용이 포함된다.[5]
2. 4. 정신분석학적 관점
지그문트 프로이트는 증오를 불행의 근원을 파괴하려는 자아 상태로 정의하며, 이는 자기 보존과 관련이 있다고 강조했다.[6] 도널드 위니컷은 증오에 관련된 발달 단계를 강조하며, 외부 대상의 인식을 이야기했다. "마법적인 파괴와 비교했을 때, 공격적인 생각과 행동은 긍정적인 가치를 가지게 되며, 증오는 문명의 징후가 된다."[7]대상 관계 이론은 분석 환경에서 증오를 인식하는 것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분석가는 엄격한 시간 제한과 요금 청구에서 드러나는 자신의 증오를 인정하며,[8] 이는 환자가 이전에 숨겨왔던 분석가에 대한 '자신의' 증오를 인정하고 억제할 수 있게 해줄 수 있다.[4]
애덤 필립스는 진정한 친절은 증오하고 증오받는 관계 없이는 불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 대인 관계의 좌절과 그에 따른 적대감에 대한 비감상적인 인식이 진정한 연대감을 드러낼 수 있게 한다고 말했다.[9]
3. 법적 측면
법률 용어에서 혐오 범죄와 혐오 발언은 논쟁의 여지가 있는 개념이다. 범죄의 동기와 의도를 구별하기 어렵고, 표적 혐오를 일반적인 인간 혐오보다 더 큰 범죄로 평가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한 철학적 논쟁도 존재한다. 또한, 인간성에 대한 경멸 자체가 잠재적으로 동등한 범죄가 될 수 있다는 반론도 제기되었다.
3. 1. 혐오 범죄
혐오 범죄(또는 "편견에 의한 범죄"라고도 함)는 혐오에 의해 동기가 부여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는 형사 행위이다. 혐오 범죄를 저지르는 사람들은 특정 사회 집단의 구성원이라고 인식되는 사람들, 일반적으로 인종, 성별, 종교, 성적 지향, 정신 질환, 장애, 계급, 민족, 국적, 나이, 성 정체성, 또는 정치적 성향을 근거로 피해자를 표적으로 삼는다.[10] 사건에는 폭행, 재산 피해, 괴롭힘, 희롱, 언어 폭력 또는 모욕, 또는 불쾌한 낙서 또는 편지 (혐오 메일)가 포함될 수 있다.[11]3. 2. 혐오 발언
혐오 발언은 인종, 성별, 나이, 민족, 국적, 종교, 성적 지향, 성 정체성, 정신 질환, 장애, 언어 능력, 이념, 사회 계층, 직업, 외모(키, 몸무게, 피부색 등), 정신 능력 및 부적절하다고 여겨질 수 있는 기타 구분을 포함하여, 사회적 또는 민족적 집단을 근거로 사람이나 집단을 비하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발언이다.[12] 이 용어는 구두 의사소통뿐만 아니라 서면 의사소통과 공공 장소에서의 일부 행동 형태를 포괄하며, 반언론이라고도 불리고 사회의 편견을 측정하는 올포트 척도의 첫 번째 지점이기도 하다. 많은 국가에서 혐오 발언을 고의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혐오 선동' 법률에 따라 금지된 형사 범죄이다. 혐오 발언의 형사 처벌은 자발적인 행동(예: 정치적 설득, 종교적 준수 및 철학적 충성)의 부정적인 측면에 대한 정당한 논의를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고 주장하며, 일부 국가에서 혐오 발언이 언론의 자유 보호를 받는지 여부에 대한 의문도 제기되고 있다.4. 신경학적 측면
fMRI 절차를 통해 증오의 신경 상관 관계를 조사한 결과, 중전두회, 오른쪽 피각, 양측의 전운동 피질, 전두극, 그리고 양측의 내측 섬 피질에서 활동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3]
혐오 과민증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은 자극을 받으면 증오심을 표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
5. 언어학적 측면
증오(Hate)는 사랑과 마찬가지로 언어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모습을 띤다.[15] 하나의 감정이 영어, 프랑스어(haine), 독일어(Hass)에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이 타당할 수 있지만, 증오는 역사적으로 위치하며 문화적으로 구성된다. 즉, 증오는 나타나는 형태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프랑스어 표현인 ''J'ai la haine|제 라 엔프랑스어''에서는 특정한 무관계적 증오가 표현되는데, 이는 영어로 정확하게 번역할 수 없다. 반면, 영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사랑하고 증오하는 것은 항상 힘, 대상 또는 사람과 관련되며, 따라서 무언가 또는 누군가와의 관계를 포함한다. ''J'ai la haine|제 라 엔프랑스어'' (직역하면, 나는 증오를 가지고 있다)는 사람에게 향하는 감정이라는 개념을 배제한다.[16] 이것은 좌절감, 무관심, 적대감의 한 형태로, 주체 내에서 소용돌이치지만, 파괴를 위한 목적 없는 욕망 외에는 세상과의 관계를 설정하지 않는다.
프랑스식 반미주의는 증오에서 기쁨을 등록하는 특정 형태의 문화적 분노로 여겨져 왔다.[17]
6. 종교적 관점
종교는 증오를 용인하기도 한다. 시편 기자가 말하는 "완전한 증오"를 묘사하는 히브리어 단어(시편 139.22)는 "과정을 완료한다"는 의미를 지닌다.[19] 종교가 새로운 신도를 개종시키기 위해 극단적인 언어를 사용할 때, 다른 종교나 그 신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러한 극단적인 언어는 종교적 증오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20]
6. 1. 종교적 증오
유엔 종교의 자유 특별 보고관은 종교에 기반한 집단적 증오라는 개념을 언급했는데, 그는 이를 증오 선동자들의 의도적인 행동과 부작위로 인해 발생하는 인위적인 현상이라고 묘사했다.[18]증오는 종교에 의해 용인될 수 있다. 시편 기자가 말하는 "완전한 증오"를 묘사하는 히브리어 단어(시편 139:22)는 그것이 "과정을 완료한다"는 의미를 지닌다.[19] 종교는 새로운 신도를 개종시키기 위해 극단적인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종교나 그 신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러한 극단적인 언어는 종교적 증오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20]
6. 2. 종교와 증오 극복
유엔 종교의 자유 특별 보고관은 종교에 기반한 집단적 증오라는 개념을 언급했는데, 그는 이를 증오 선동자들의 의도적인 행동과 부작위로 인해 발생하는 인위적인 현상이라고 묘사했다.[18]증오는 종교에 의해 용인될 수도 있다. 시편 기자가 말하는 "완전한 증오"를 묘사하는 히브리어 단어(시편 139.22)는 그것이 "과정을 완료한다"는 의미를 지닌다.[19] 종교는 새로운 신도를 개종시키기 위해 극단적인 언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다른 종교나 그 신도들을 대상으로 하는 그러한 극단적인 언어는 종교적 증오의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20]
7. 철학적 관점
아리스토텔레스와 데이비드 흄 등 고대 철학자들이 증오에 대한 정의를 시도한 이래, 다양한 관점들이 존재해 왔다. 증오는 누군가 또는 무언가를 매우 싫어하는 감정 상태로, 좋아함과 싫어함, 즉 호오(好惡) 감정에 기반한다.[28]
사람마다 증오를 느끼는 대상과 상황은 개인의 감성, 가치관, 그리고 처한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자신이 좋아하는 대상에게 해가 가해졌다고 느낄 때, 혹은 자기애가 강한 경우 자신의 이미지에 손상을 주는 사람에게 증오를 느끼는 것이 일반적인 예시이다.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인간은 유아기에는 대부분 자신을 긍정적으로 느끼지만, 성장하면서 양가적인 감정을 경험하고 변화한다. 어릴 적에는 자신을 지적하는 사람을 증오했더라도, 성인이 된 후에는 그러한 지적을 감사하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인류애나 우애를 중시하는 사람은 인권 침해 행위에 대해 증오를 느끼며, 이는 사회 변화의 동력이 되기도 한다. 프랑스 혁명은 억압적인 왕족에 대한 증오에서 비롯되어 자유, 평등, 우애 이념을 확립하고 공화제를 수립했으며, 식민지 지배와 노예 제도에 대한 증오는 오랜 투쟁 끝에 식민지 축소와 노예 제도 폐지로 이어졌다.
하지만 증오는 민족 차별이나 인종 차별로 이어져 폭력과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반면, 증오심은 극단적인 감정과 행동을 유발하여 이성적인 판단을 흐리게 하고, 드물게는 살인과 같은 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
이슬람교도들은 사이크스-피코 협정 등을 통해 영국과 프랑스가 이슬람 세계에 해를 가했다고 여겨 강한 증오심을 품고 있으며, 이는 테러리즘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7. 1. 고대 철학
고대 철학자들은 증오를 묘사하려고 노력했으며, 오늘날에도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아리스토텔레스는 증오를 분노 및 격노와는 구별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시간이 지나도 치유되지 않고 대상을 파괴하려는 욕망으로 묘사했다.[21] 데이비드 흄 또한 증오를 정의할 수 없는, 환원 불가능한 감정이라고 주장했다.[22]7. 2. 데이비드 흄
아리스토텔레스는 증오를 분노 및 격노와 구별되는 것으로 보았으며, 증오를 대상 파괴 욕망이자 시간이 지나도 치유되지 않는 것이라고 묘사했다.[21] 데이비드 흄 또한 자신만의 개념을 제시하며, 증오를 정의할 수 없는, 환원 불가능한 감정이라고 주장했다.[22]8. 한국 사회와 증오
(이전 출력이 없으므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원본 소스와 함께 이전 출력을 제공해주시면 수정 작업을 진행하겠습니다.)
참조
[1]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Penguin Books
[2]
서적
Encyclopedia of Emotion
[3]
서적
Brand Hate
[4]
서적
Psychoanalysis
[5]
서적
Encyclopedia of Emotion
[6]
논문
The instincts and their vicissitudes
[7]
서적
The Child, the Family, and the Outside World
Penguin
[8]
서적
Psychoanalysis
[9]
서적
On Kindness
[10]
웹사이트
Comparison of Hate Crime Rates Across Protected and Unprotected Groups
http://williamsinsti[...]
2007-06
[11]
웹사이트
Hate crime
http://www.homeoffic[...]
[12]
웹사이트
Dictionary.com: Hate speech
http://dictionary.re[...]
Dictionary.reference.com
2012-12-07
[13]
학술지
Neural Correlates of Hate
2008-10
[14]
medRxiv
A Consensus Definition of Misophonia: Using a Delphi Process to Reach Expert Agreement
2021-04-07
[15]
서적
Ethnolinguistics and Cultural Concepts: truth, love, hate & war
[16]
서적
Ethnolinguistics and Cultural Concepts: truth, love, hate & war
[17]
서적
Ethnolinguistics and Cultural Concepts: truth, love, hate & war
[18]
서적
Religious Hatred and International Law: The Prohibition of Incitement to Violence or Discrimin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서적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Moody Publishers; New Edition
2003-10-01
[20]
서적
Freedom of Expression and Religious Hate Speech in Europe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7-07-28
[21]
서적
The Book of Human Emotions: From Ambiguphobia to Umpty -- 154 Words from Around the World for How We Feel
Little, Brown
2016-06-07
[22]
서적
Mixed Feelings and Vexed Passions: Exploring Emotions in Biblical Literature
SBL Press
[23]
사전
広辞苑第六版「憎悪」
[24]
사전
『広辞苑第六版』「憎しみ」
[25]
문서
토토로지에 대한 설명
[26]
사전
『広辞苑第六版』「憎い」
[27]
문서
사전 설명에 대한 분석
[28]
웹사이트
大辞泉「好悪」
https://dictionary.g[...]
[29]
사전
『広辞苑第六版』「愛憎」
[30]
사전
広辞苑第六版「嫌悪」
[31]
사전
広辞苑第六版「毛嫌い」
[32]
논문
From Plato to Putnam: Four ways to think about hate
[33]
논문
The instincts and their vicissitudes
[34]
서적
The Penguin dictionary of psychology
Penguin Book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