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신 (신화)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사신은 동아시아 신화에서 동서남북 방위를 수호하는 네 마리의 상징적인 동물, 즉 청룡, 주작, 백호, 현무를 의미한다. 이들은 각각 동쪽, 남쪽, 서쪽, 북쪽을 관장하며, 계절, 색상, 오행 등 다양한 상징과 결합되어 있다. 사신은 중국 천문학에서 별자리를 구분하는 기준으로 사용되었으며, 도교에서는 신격화되어 인간의 정체성과 이름을 부여받기도 했다. 사신은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문화에 다양한 형태로 영향을 미쳤으며, 건축, 예술, 문학 등 여러 분야에서 상징으로 활용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사신 - 백호
백호는 동아시아 사신 중 서쪽을 수호하는 상징으로, 오행 사상과 관련되어 중국에서 기원하여 한국과 일본으로 전해졌으며, 고대 유물과 대중문화에도 등장한다. - 사신 - 청룡
청룡은 동아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상상의 동물로, 고분 벽화, 별자리, 문화적 묘사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특히 동쪽을 수호하는 사신으로 숭배된다. - 신화의 동물 - 도올
- 신화의 동물 - 혼돈 (신화)
혼돈은 천지 분리 이전의 우주의 모호한 상태를 뜻하는 단어로, 이후 '이해할 수 없는' 또는 '혼란스러운' 의미로 확장되어 유교 및 도교 문헌에서 다양하게 나타나며, 특히 도교에서는 우주의 근원적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개념으로 다루어진다. - 계절의 신 - 케레스
케레스는 로마 신화에서 농업, 곡물, 다산, 모성을 관장하는 여신이며, 그리스 신화의 데메테르와 동일시되고, 곡물과 빵을 상징하며, 로마 시대에는 정치적 상징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 계절의 신 - 데메테르
데메테르는 그리스 신화의 올림포스 12신 중 하나로, 곡물과 대지의 풍요를 주관하며 어머니 여신으로서 농업의 시작과 문명화된 삶을 인류에게 제공한 존재로 묘사된다.
사신 (신화) | |
---|---|
개요 | |
![]() | |
다른 이름 | 사상 (四象) 사신 (四神) 사령 (四靈) 사수 (四獸) 사성 (四聖) 사성수 (四聖獸) |
문화권별 명칭 | |
한국어 | 사신 |
영어 | Four Symbols, Four Guardians, Four Gods, Four Auspicious Beasts |
중국어 (간체) | 四象 |
중국어 (정체) | 四象 |
병음 | Sì xiàng |
광동어 | Sei3 zoeng6 |
예일 | Seijeuhng |
일본어 (간지) | 四象 |
일본어 (히라가나) | ししょう |
일본어 (로마자) | Shishō |
훈령식 로마자 표기 | Shishō |
한국어 (한글) | 사상 |
한국어 (한자) | 四象 |
베트남어 | Tứ tượng |
베트남어 (한자) | 四象 |
상징 | |
동쪽 | 청룡 |
서쪽 | 백호 |
남쪽 | 주작 |
북쪽 | 현무 |
중앙 | 황룡 |
관련 개념 | |
오행 | 오행 |
방위 | 방위 |
계절 | 계절 |
색상 | 색깔 |
별자리 | 중국 별자리 |
2. 역사
기원전 5300년경으로 추정되는 허난성 푸양의 시수이포 묘(M45)에서 청룡과 백호를 매우 유사하게 형상화한 조개 껍질과 뼈로 만들어진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1]
현대적인 표준 구성은 훨씬 나중에 정립되었으며,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원전 전국 시대(기원전 453년에서 221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는 1994년에 회수된 ''융청시'' 필사본은 네 방향이 아닌 다섯 방향을 제시하고, 동물들을 다르게 배치하고 있다. 그 문서에 따르면, 우 임금은 자신의 백성들에게 북쪽에는 새, 남쪽에는 뱀, 동쪽에는 해, 서쪽에는 달, 그리고 중앙에는 곰이 새겨진 방향 깃발을 주었다.[2] 중국 고전인 ''예기''는 주작, 현무(흑제), 청룡, 백호가 전쟁 깃발에 등장하는 문장 동물이라고 언급했다.[3] 이들은 각각 남쪽, 북쪽, 동쪽, 서쪽과 관련된 이십팔수의 이름이었다.[4]
도교에서 사신은 인간의 정체성과 이름을 부여받았다. 청룡은 맹장(孟章중국어), 주작은 능광(陵光중국어), 백호는 감병(監兵중국어), 현무는 집명(執明중국어)으로 불린다.
사신과 관련된 색상은 중국의 해당 지역의 토양 색상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동쪽의 푸르스름한 회색의 물에 젖은 토양, 남쪽의 붉은색의 철분이 풍부한 토양, 서부 사막의 희끄무레한 염분 토양, 북쪽의 검은색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그리고 중앙 황토 고원의 황색 토양과 관련이 있다.[5]
2. 1. 기원
기원전 5300년경으로 추정되는 허난성 푸양의 시수이포 묘(M45)에서 청룡과 백호를 매우 유사하게 형상화한 조개 껍질과 뼈로 만들어진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1]현대적인 표준 구성은 훨씬 나중에 정립되었으며,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원전 전국 시대(기원전 453년에서 221년경)로 거슬러 올라가는 1994년에 회수된 ''융청시'' 필사본은 네 방향이 아닌 다섯 방향을 제시하고, 동물들을 다르게 배치하고 있다. 그 문서에 따르면, 우 임금은 자신의 백성들에게 북쪽에는 새, 남쪽에는 뱀, 동쪽에는 해, 서쪽에는 달, 그리고 중앙에는 곰이 새겨진 방향 깃발을 주었다.[2] 중국 고전인 ''예기''는 주작, 현무(흑제), 청룡, 백호가 전쟁 깃발에 등장하는 문장 동물이라고 언급했다.[3] 이들은 각각 남쪽, 북쪽, 동쪽, 서쪽과 관련된 이십팔수의 이름이었다.[4]
도교에서 사신은 인간의 정체성과 이름을 부여받았다. 청룡은 맹장(孟章중국어), 주작은 능광(陵光중국어), 백호는 감병(監兵중국어), 현무는 집명(執明중국어)으로 불린다.
사신과 관련된 색상은 중국의 해당 지역의 토양 색상과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동쪽의 푸르스름한 회색의 물에 젖은 토양, 남쪽의 붉은색의 철분이 풍부한 토양, 서부 사막의 희끄무레한 염분 토양, 북쪽의 검은색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그리고 중앙 황토 고원의 황색 토양과 관련이 있다.[5]
2. 2. 발전
1987년 허난성 푸양의 시수이포 묘(M45)에서 기원전 5300년경으로 추정되는, 조개 껍질과 뼈로 만들어진 청룡과 백호 모자이크가 발견되었다.[1] 이는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오래된 사신 묘사이다.현대적인 사신의 표준 구성은 훨씬 나중에 정립되었으며, 중국 역사 전반에 걸쳐 다양한 변형이 나타났다. 예를 들어, 기원전 전국 시대(기원전 453년경–221년)에 회수된 ''융청시'' 필사본은 네 방향이 아닌 다섯 방향을 제시하고, 동물들을 다르게 배치하였다. 우 임금은 자신의 백성들에게 북쪽에는 새, 남쪽에는 뱀, 동쪽에는 해, 서쪽에는 달, 그리고 중앙에는 곰이 새겨진 방향 깃발을 주었다.[2] 중국 고전인 ''예기''는 주작, 현무(흑제), 청룡, 백호가 전쟁 깃발에 등장하는 문장 동물이라고 언급했다.[3] 이들은 각각 남쪽, 북쪽, 동쪽, 서쪽과 관련된 이십팔수의 이름이었다.[4]
도교에서 사신은 인간의 정체성과 이름을 부여받았다. 청룡은 맹장(孟章중국어), 주작은 능광(陵光중국어), 백호는 감병(監兵중국어), 현무는 집명(執明중국어)으로 불린다. 일본에서는 각각 세이류(동쪽), 스자쿠(남쪽), 뱌코(서쪽), 겐부(북쪽)로 불린다.
사신과 관련된 색상은 중국의 해당 지역의 토양 색상과 일치한다. 동쪽은 푸르스름한 회색의 물에 젖은 토양, 남쪽은 붉은색의 철분이 풍부한 토양, 서부 사막은 희끄무레한 염분 토양, 북쪽은 검은색 유기물이 풍부한 토양, 중앙 황토 고원은 황색 토양이다.[5]
2. 3. 한국 전래
한국 전래와 관련된 내용은 직접적으로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제공된 정보는 중국의 사신에 대한 내용입니다. 따라서, 주어진 정보만을 사용하여 한국 전래 섹션을 작성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3. 상징
wikitext
사신(四神)은 각각 관장하는 방위, 계절, 그리고 그 상징하는 색 등이 있다.
사신(사수) | 오방 | 오시 | 오색 | 오행 | 사상 | 효 | 오좌 |
---|---|---|---|---|---|---|---|
청룡 | 동 | 봄 | 녹색 (청) | 목 | 소양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8194_a1315bc4.png | 구망 |
주작 | 남 | 여름 | 적색 (주) | 화 | 태양 (노양)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7b42_1efc871f.png | 축융/ 주명 |
백호 | 서 | 가을 | 백색 | 금 | 소음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7e69_d76cda65.png | 육수 |
현무 | 북 | 겨울 | 흑색 (현) | 수 | 태음 (노음)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84d0_dc2633cf.png | 현명 |
황룡 또는 기린 | 중앙 | 토용 | 황색 | 토 | 후토 |
3. 1. 오행 및 방위
이러한 신화 속 동물들은 오행 체계로 융합되었다. 동쪽의 청룡은 나무, 남쪽의 주작은 불, 서쪽의 백호는 쇠, 북쪽의 현무는 물을 나타낸다. 이 체계에서 다섯 번째 원소인 흙은 중앙의 황룡으로 표현된다.[8]
사방신 | 오방 | 오계절 | 하루 중 시간대[9] | 오색 | 오행 | 사상 | 효 | 오제[10] | ||
---|---|---|---|---|---|---|---|---|---|---|
청룡 | 동쪽 | 봄 | 새벽 | 청색 | 나무 | 소양 | ⚍ | 구망 (句芒) / 충 (重) | ||
주작 | 남쪽 | 여름 | 정오 | 적색 | 불 | 노양 | ⚌ | 축융 (祝融) / 리 (犁) | ||
백호 | 서쪽 | 가을 | 황혼 | 백색 | 쇠 | 소음 | ⚎ | 유수 (蓐收) / 개 (該) | ||
현무 | 북쪽 | 겨울 | 자정 | 흑색 | 물 | 노음 | ⚏ | 현명 (玄冥) / 수 & 희 (修 & 熙) | ||
황룡 또는 기린 | 중앙 | 한여름 | 황색 | 흙 | 후토 (后土) / 구룡 (句龍) |
사신(四神)은 각각 관장하는 방위, 계절, 그리고 그 상징하는 색 등이 있다.
사신(사수) | 오방 | 오시 | 오색 | 오행 | 사상 | 효 | 오좌 | ||
---|---|---|---|---|---|---|---|---|---|
청룡 | 동 | 봄 | 녹색 (청) | 목 | 소양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8194_a1315bc4.png | 구망 | ||
주작 | 남 | 여름 | 적색 (주) | 화 | 태양 (노양)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7b42_1efc871f.png | 축융/ 주명 | ||
백호 | 서 | 가을 | 백색 | 금 | 소음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7e69_d76cda65.png | 육수 | ||
현무 | 북 | 겨울 | 흑색 (현) | 수 | 태음 (노음) | 파일:https://cdn.onul.works/wiki/source/194ff3184d0_dc2633cf.png | 현명 | ||
황룡 또는 기린 | 중앙 | 토용 | 황색 | 토 | 후토 |
3. 2. 주역과의 관계
변화에는 지극히 큰 극(태극/太極중국어)이 있고, 이는 양의(양의/兩儀중국어)를 낳는다.[6][7] 양의는 사상(사상/四象중국어)을 낳고 사상은 팔괘(8가지 괘)를 낳는다.[6][7]변화에는 지극히 큰 극이 있고,/易有太極,중국어 |
---|
이는 양의를 낳는다./是生兩儀,중국어 |
양의는 사상을 낳고/兩儀生四象,중국어 |
사상은 팔괘를 낳는다./四象生八卦,중국어 |
4. 천문학
중국 천문학에서 천구는 천구 적도를 따라 동방·북방·서방·남방의 4대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에는 사신(사상)이 대응되었다. 이를 동방 청룡·북방 현무·서방 백호·남방 주작이라 부른다.
이는 이십팔수를 7수씩 묶어 그 별자리를 조합한 형태를 용·새·호랑이·거북이(정확히는 뱀이 거북이에 얽혀 있는 모습)의 4가지 동물의 모습으로 비유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방 청룡은 각은 용의 뿔, 항은 용의 목, 저·방은 용의 몸, 미는 용의 꼬리를 상징한다. 중국 전국 시대에는 오행설에 의해 흙=중앙=황, 나무=동=청, 금=서=백, 불=남=적, 물=북=흑과 같이 오행과 방위(오방)·색(오색)이 결합되어, 이 동물들도 각 방위가 나타내는 색을 띠어, 청룡(창룡)·현무·백호·주작(주조)이 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동방·북방·서방·남방은 천구상의 동서남북이 아니라 지평선에서 본 방위이며, 천상의 십이지와 지상의 십이지가 일치했을 때의 천상(봄의 별하늘)을 기준으로 한다.
사상의 경계는 이십팔수에 기초하기 때문에 균등하지 않으며, 십이차와 십이지의 구분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 class="wikitable"
|-
! colspan=3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삼원
|-
|태미원||자미원||천시원
|-
!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colspan=3|이십팔수
|-
|colspan=3|
|-
!colspan=4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근남극성구
|-
!colspan=4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겐로쿠 시대 명칭의 별자리
|}
4. 1. 이십팔수
중국 천문학에서 천구는 천구 적도를 따라 동방·북방·서방·남방의 4대 구획으로 나뉘며, 각각에 사신(사상)을 대응시켰다. 이를 동방 청룡·북방 현무·서방 백호·남방 주작이라 부른다.이는 이십팔수를 7수씩 묶어 그 별자리를 조합한 형태를 용, 새, 호랑이, 거북이(정확히는 뱀이 거북이에 얽혀 있는 모습)의 4가지 동물의 모습으로 비유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방 청룡은 각수는 용의 뿔, 항수는 용의 목, 저수·방수는 용의 몸, 미수는 용의 꼬리를 상징한다. 중국 전국 시대에는 오행설에 의해 흙=중앙=황, 나무=동=청, 금=서=백, 불=남=적, 물=북=흑과 같이 오행과 방위(오방)·색(오색)이 결합되어, 이 동물들도 각 방위가 나타내는 색을 띠어, 청룡(창룡)·현무·백호·주작(주조)이 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동방·북방·서방·남방은 천구상의 동서남북이 아닌 지평선에서 본 방위이며, 천상의 십이지와 지상의 십이지가 일치했을 때의 천상(봄의 별하늘)을 기준으로 한다.
사상의 경계는 이십팔수에 기초하기 때문에 균등하지 않으며, 십이차와 십이지의 구분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한서』 율력지의 도수(주천을 365도로 한다)에서는 동방 숙은 75도, 북방 숙은 98도, 서방 숙은 80도, 남방 숙은 112도가 된다.
현무의 위수(危宿)와 백호의 위수(胃宿)는 한글 명칭이 같아, 문서명을 위수 (별자리) 대신 '위수 (현무)'와 '위수 (백호)'로 구별하였다.
4. 2. 별자리
중국 천문학에서 천구는 천구 적도를 따라 동방·북방·서방·남방의 4대 구획으로 나뉘며, 각 구획에는 사신(사상)이 대응되었다. 이를 동방 청룡·북방 현무·서방 백호·남방 주작이라 부른다.
이는 이십팔수를 7수씩 묶어 그 별자리를 조합한 형태를 용·새·호랑이·거북이(정확히는 뱀이 거북이에 얽혀 있는 모습)의 4가지 동물의 모습으로 비유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동방 청룡은 각은 용의 뿔, 항은 용의 목, 저·방은 용의 몸, 미는 용의 꼬리를 상징한다. 중국 전국 시대에는 오행설에 의해 흙=중앙=황, 나무=동=청, 금=서=백, 불=남=적, 물=북=흑과 같이 오행과 방위(오방)·색(오색)이 결합되어, 이 동물들도 각 방위가 나타내는 색을 띠어, 청룡(창룡)·현무·백호·주작(주조)이 되었다. 여기서 말하는 동방·북방·서방·남방은 천구상의 동서남북이 아니라 지평선에서 본 방위이며, 천상의 십이지와 지상의 십이지가 일치했을 때의 천상(봄의 별하늘)을 기준으로 한다.
사상의 경계는 이십팔수에 기초하기 때문에 균등하지 않으며, 십이차와 십이지의 구분과는 일치하지 않는다.
{| class="wikitable"
|-
! colspan=3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삼원
|-
|태미원||자미원||천시원
|-
!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colspan=3|이십팔수
|-
|colspan=3|
|-
!colspan=4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근남극성구
|-
!colspan=4 style="background:#ccf;text-align:center;" |겐로쿠 시대 명칭의 별자리
|}
5. 현대 문화
사신은 1인칭 슈팅 게임 오버워치의 캐릭터 스킨 시리즈에서 영감을 받아 표현되었다. 2018년 오버워치 설날 (개의 해) 이벤트에서 플레이 가능한 캐릭터 자리야, 메르시, 파라, 겐지는 각각 현무(玄武), 주작(朱雀), 청룡(青龍), 백호(白虎)를 기반으로 한 스킨을 받았다.
청룡언월도, 백호대, 주작문, 현무동 등, 사신과 관련된 물건은 많다.
많은 저명인사는 일본을 불사조(주작)에 비유하고 있다([리처드 카츠], 아스카 아키오, 벤자민 풀포드, 스게누마 미츠히로, 켄트 길버트 등).[12][13][14][15]
아이즈번에서는 무가 남자들을 중심으로 연령별로 50세 이상의 현무대, 36세부터 49세까지의 청룡대, 18세부터 35세까지의 주작대, 17세 이하의 백호대와 사신의 이름을 부대명으로 하여 군을 구성했다.
인생을 사계절에 비유하여, 청소년기를 "청춘", 장년기를 "주하", 중년기를 "백추", 노년기를 "현동"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현동은, 봄에 싹트는 토양을 만드는 시기로서 유년기라고 보는 설도 있다). 일본의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호는 이것에 유래한다.
6. 한국 문화 속 사신
청룡언월도, 백호대, 주작문, 현무동 등, 사신과 관련된 물건은 많다.
많은 저명인사는 일본을 불사조(주작)에 비유하고 있다([리처드 카츠], 아스카 아키오, 벤자민 풀포드, 스게누마 미츠히로, 켄트 길버트 등).[12][13][14][15]
아이즈번에서는 무가 남자들을 중심으로 연령별 부대를 편성하였는데, 50세 이상의 현무대, 36세부터 49세까지의 청룡대, 18세부터 35세까지의 주작대, 17세 이하의 백호대가 있었다.
막부 말기・메이지 시대에 활약한 아이즈번의 역학자 만노죠는 사방을 지키는 신들과 이야기했으며, 음양도 아베노 세이메이와 같은 식반이 유품으로 확인되었다. 십이천장의 주작・청룡・백호・현무 등, 영부에 길의 청룡을 사용했다.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의 축성 300년 축가도 증정되었으며, 아이즈번 군대명을 제안했을 가능성이 있다. 십이천장의 청룡장은 길, 주작장・백호장・현무장은 흉으로 여겨진다.
인생을 사계절에 비유하여, 청소년기를 "청춘", 장년기를 "주하", 중년기를 "백추", 노년기를 "현동"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현동은, 봄에 싹트는 토양을 만드는 시기로서 유년기라고 보는 설도 있다). 일본의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호는 이것에 유래한다.
6. 1. 풍수지리
6. 2. 민간 신앙
6. 3. 관련 유물 및 유적
청룡언월도, 백호대, 주작문, 현무동 등, 사신과 관련된 물건은 많다.
많은 저명인사는 일본을 불사조(주작)에 비유하고 있다([리처드 카츠], 아스카 아키오, 벤자민 풀포드, 스게누마 미츠히로, 켄트 길버트 등).[12][13][14][15]
아이즈번에서는 무가 남자들을 중심으로 연령별로 50세 이상의 현무대, 36세부터 49세까지의 청룡대, 18세부터 35세까지의 주작대, 17세 이하의 백호대와 같이 사신의 이름을 딴 부대명으로 군을 구성했다.
막부 말기・메이지 시대에 활약한 아이즈번의 역학자 만노죠는 사방을 지키는 신들과 이야기했다고 전해진다. 그의 유품에는 음양도 아베노 세이메이와 같은 식반이 확인되었고, 십이천장의 주작・청룡・백호・현무 등, 영부에 길의 청룡을 사용했다. 그의 자택에는 번사들이 출입했고, 단도, 메이지 시대에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의 축성 300년 축가도 증정되었으며, 아이즈번 군대명을 제안했을 가능성이 있다. 십이천장의 청룡장은 길, 주작장・백호장・현무장은 흉으로 여겨진다. 번의 정예 부대는 청룡대가 아닌, 연령순의 주작대였기에, 만노죠의 제안은 상층부에 전달되지 못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인생을 사계절에 비유하여 청소년기를 "청춘", 장년기를 "주하", 중년기를 "백추", 노년기를 "현동"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현동은, 봄에 싹트는 토양을 만드는 시기로서 유년기라고 보는 설도 있다). 일본의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호는 이것에 유래한다.
7. 같이 보기
참조
[1]
웹사이트
西水坡遺址里的圖案擺放,預示著古代某種神秘的星象
https://kknews.cc/hi[...]
2018-04-30
[2]
간행물
Political Mythology and Dynastic Legitimacy in the ''Rong Cheng Shi'' Manuscript
http://www.eacenter.[...]
2010
[3]
문서
Liji
https://ctext.org/di[...]
[4]
문서
Book of Rites: Annotated and Clarified
https://ctext.org/li[...]
[5]
서적
Elements of the Nature and Properties of Soil
[6]
서적
Book of Changes
https://ctext.org/di[...]
[7]
서적
The Original Meaning of the Yijing: Commentary on the Scripture of Change.
Columbia University Press
[8]
서적
A Brief History of Chinese and Japanese Civilizations
[9]
웹사이트
The Hidden or Implied Meaning of Chinese Charm Symbols – 諧音寓意 – Differences between Chinese Coins and Chinese Charms
http://primaltrek.co[...]
2016-11-16
[10]
문서
Zuozhuan
https://zh.wikisourc[...]
[11]
서적
幻想動物事典
新紀元社
[12]
서적
まんが 日本の歴史 不死鳥のように
大月書店
1988-05-01
[13]
서적
不死鳥の日本経済
東洋経済新報社
2002-12-01
[14]
서적
なぜ不死鳥のごとく蘇るのか 神国日本VS.ワンワールド支配者 バビロニア式独裁か日本式共生か/攻防正念場! (超☆はらはら)
ヒカルランド
2013-04-03
[15]
서적
不死鳥の国 ニッポン
日新報道
2013-11-01
[16]
백과사전
사신도
http://donation.enc.[...]
글로벌세계대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