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오행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오행(五行)은 동양 철학의 핵심 개념으로, 우주 만물을 이루는 다섯 가지 기본 요소인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를 의미한다. 이 다섯 가지 요소는 상호 작용하며 변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연 현상, 인체의 생리, 정치 체제 등 다양한 분야를 설명한다. 오행 사상은 중국에서 발전하여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문화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쳤으며, 중의학, 풍수, 무술, 명리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대 원소 - 바유
    바유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모두 중요한 신으로, 힌두교에서는 바람을 상징하며 불교에서는 풍천으로 불리며 북서쪽을 수호하는 존재이다.
  • 고대 원소 - 아카샤
    아카샤는 산스크리트어로 에테르를 의미하며, 힌두교, 자이나교, 불교 등 인도 철학에서 물질 세계의 근본 원소, 공간, 무한한 공간 등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 한국 철학 - 삼균주의
    조소앙이 제창한 삼균주의는 개인, 민족, 국가 간 완전한 평등을 추구하며 정치, 경제, 교육의 균등을 통해 이상 사회를 건설하고자 하는 독립운동 이념으로, 손중산의 삼민주의, 서양 철학, 기독교적 평등주의의 영향을 받아 대한민국 임시정부 건국강령의 기반이 되었다.
  • 한국 철학 - 주체사상
    주체사상은 자주, 자립, 자위를 핵심 원칙으로 하는 북한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북한식 해석으로, 김일성-김정일주의로 이어지며 김씨 일가의 통치를 정당화하는 데 사용되지만, 이념적 성격과 적용에 대해서는 다양한 평가와 비판이 존재한다.
  • 사상사 - 마음
    마음은 의식, 사고, 지각, 감정, 동기, 행동, 기억, 학습 등을 포괄하는 심리적 현상과 능력의 총체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인간 삶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 사상사 - 운명
    운명은 개인이나 집단에 영향을 주는 사건의 속성을 결정하는 힘으로 이해되며, 숙명과는 달리 노력으로 바뀔 수 있고, 다양한 문화와 철학에서 논의되어 온 핵심 개념이다.
오행
오행 (五行)
개요중국의 우주론이자 철학적 개념
설명화, 수, 목, 금, 토의 다섯 가지 원소 또는 힘의 순환적 상호작용
다른 이름오원(五元), 오대(五大), 오재(五材), 오기(五氣), 오상(五常)
특징
생성 (相生)나무(木)는 불(火)을 생성, 불(火)은 흙(土)을 생성, 흙(土)은 금속(金)을 생성, 금속(金)은 물(水)을 생성, 물(水)은 나무(木)를 생성
극복 (相剋)나무(木)는 흙(土)을 극복, 흙(土)은 물(水)을 극복, 물(水)은 불(火)을 극복, 불(火)은 금속(金)을 극복, 금속(金)은 나무(木)를 극복
연관 분야
관련 학문음양오행설, 풍수지리, 사주명리학, 한의학
기타간지, 황도, 별자리, , , 소리, 숫자, 방향, 인체 기관, 계절 등 다양한 범주와 연결됨
유래
기원고대 중국
관련 문헌상서(書經),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철학적 의미
순환우주의 변화와 순환을 설명하는 핵심 원리
조화상생과 상극의 균형을 통해 조화로운 상태 유지
변화고정된 실체가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

2. 사상의 발전

''태극도'' 그림. 중앙에 ''오행''이 묘사되어 있다. (진몽뢰의 ''고금도서집성'')


오장과 오부.


오행(五行)에 대한 생각은 이미 《서경》(書經)의 '홍범(洪範)' 편에서 나타난다.[43] '홍범'은 은나라의 유민(遺民)인 기자주나라 무왕에게 전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라고 전해지지만, 이 전설을 그대로 믿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홍범'은 《금문상서》 29편 중 하나로, 오행 사상이 오래전부터 존재했음을 짐작하게 한다. 다만 '홍범'에서 언급된 오행은 수(水), 화(火), 목(木), 금(金), 토(土)라는 다섯 가지 요소를 나열하는 데 그쳤으며, 이들의 순환이나 변화에 대해서는 자세히 설명하지 않았다.[43][33] '홍범' 편에서는 오행과 오미(五味)를 관련지어 해석하기도 했다.[33]서경》의 또 다른 편인 "감서(甘誓)"에도 '오행'이라는 단어가 등장하지만, 이것이 다섯 원소를 의미하는지는 불분명하며 다섯 행성의 운행을 나타낸다는 설도 있다.[32]

전국시대에 이르러 오행은 상생설(相生說)과 상극설(相剋說)이라는 이론으로 발전했다. 이를 통해 우주나 인간 사회의 현상을 오행의 상생과 상극 관계로 이해하고 예측하려는 사고방식, 즉 오행사상(五行思想)이 생겨났다. '상생(相生)'은 목(木)이 화(火)를 낳고, 화(火)는 토(土)를, 토(土)는 금(金)을, 금(金)은 수(水)를, 수(水)는 다시 목(木)을 낳는 순환 관계를 의미한다. '상극(相剋)'은 수(水)가 화(火)를 이기고, 화(火)는 금(金)을, 금(金)은 목(木)을, 목(木)은 토(土)를, 토(土)는 다시 수(水)를 이기는 관계를 말한다.[43] 전국 시대에는 음양가추연이나 잡가의 『여씨춘추』 등에 의해, 오행설에 기초한 왕조 교체설(五德終始說|오덕종시설중국어)이 형성되기도 했다.[34]

이후 오행 사상은 음양 사상과 결합하여 더욱 복잡하고 신비화되었다. 맹자보다 조금 뒤 시대 사람인 제나라추연(鄒衍)은 이러한 관념적 논리를 발전시켜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을 제창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43] 본래 음양사상과 오행사상은 별개의 개념이었으나, 추연 이후, 특히 한대(漢代)에 들어서면서 두 사상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이 신비적인 유심론은 현상 예측이나 역사 해석에도 널리 이용되었으며,[43] 왕조 교체설 역시 위서 등에 계승되었다.[35]

오행(五行)이라는 명칭의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명이 있다. 원래 오행은 고대에 관측 가능했던 다섯 개의 주요 행성(목성, 토성, 수성, 화성, 금성)을 가리켰으며, 이들이 해와 달과 함께 지구의 생명력을 만드는 다섯 가지 힘으로 여겨졌다는 설이 있다. 이 때문에 '다섯'을 의미하는 五중국어와 '움직임' 또는 '행성'을 의미하는 行중국어(行星중국어, 움직이는 별)이 합쳐져 단어가 만들어졌다고 본다.[6] 기원전 168년 이전의 마왕퇴 백서 일부에서는 오행을 五德|오덕중국어, 즉 다섯 가지 덕목 및 오감과 연결하기도 한다.[7][8] 학자들은 오행 개념의 다양한 기원들이 한나라 시대에 여러 해석과 함께 하나의 체계로 통합되었다고 본다.[9]

오행 개념은 서양으로 소개될 때 "The Five Elements(5원소)"로 처음 번역되었는데, 이는 고대 그리스의 4원소설과의 유사성을 의도한 것이었다.[10][8] 이 번역은 전통 중국 의학, 특히 오행 침술 등에서 여전히 사용되지만,[11] 오해의 소지가 있다. 그리스의 4원소는 주로 물질의 형태나 양을 다루는 반면, 중국의 오행은 주로 과정, 변화, 성질과 관련이 깊다.[12] 예를 들어, 오행의 '목(木)'은 단순히 물질로서의 나무가 아니라 나무가 지닌 생명력이나 성장하는 기운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13] 이러한 이유로 중국학자 네이선 시빈은 1987년 "five phases(5상)"라는 번역을 제안했고,[14] 중국 의학사학자 만프레드 포케르트는 "Evolutive Phase(진화적 단계)"라는 용어를 제시했다.[15] 그러나 'phase(상)' 역시 오행의 모든 의미를 담기에는 부족하며, 어떤 맥락에서는 오행이 실제 물질을 지칭하기도 한다.[15] 현재 학계에서 비교적 널리 받아들여지는 번역은 마크 칼리노프스키가 제안한 "the five agents(5 기운 또는 5 동인)"이다.[16]

숫자 '오(五)'는 동서남북의 사방(四方)에 중앙(中央)을 더한 개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이는 중앙에 '오'를 배치한 『하도』와 『낙서』 그림에서 명확히 나타난다. 특히 『낙서』는 구궁도(九星図)의 형태를 띤다. 이 외에도 『좌전』에는 오교(五敎)·오절(五節, 음악)·오미(五味)·오색(五色)·오성(五聲)이, 『국어』에는 오미·오색·오성·오재(五材)·오관(五官) 등의 용어가 등장하여 오행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고대 중국 사회 전반에 걸쳐 활용되었음을 보여준다.[36]

3. 의미

역학(易學)에서 오행(五行)은 우주 만물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움직임 또는 단계를 의미한다. 한자 그대로 풀이하면 다섯 오(五) 자와 다닐 행(行) 자로, '다섯 가지 걸음걸이' 또는 '다섯 가지 움직임'을 뜻한다. 이는 만물이 변화하는 방향이나 상태의 양상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람이 배고픔, 졸음, 행복함 등을 느끼는 것을 각각의 상태로 나아가는 길을 걷는 것으로 비유할 수 있듯이, 우주 만물 역시 끊임없이 변화의 길을 걷는다고 보았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발견된 원리를 체계화한 것이 바로 오행이다.

처음에는 자연에서 쉽게 얻을 수 있는 다섯 가지 재료(나무, 불, 흙, 쇠, 물)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점차 만물을 구성하는 근본적인 원소 또는 기운의 개념으로 발전했다. 초기 개념에서 목(木)은 뭉쳐 있지만 부드러운 것, 화(火)는 정밀하지만 양이 적은 것, 토(土)는 실하지만 흩어지기 쉬운 것, 금(金)은 단단하고 강한 것, 수(水)는 양은 많으나 형태가 없는 것을 의미했다. 오행 이론을 처음 체계적으로 제시한 인물은 춘추전국시대 음양가의 대표적인 학자 추연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의 저작은 전해지지 않는다. 오늘날 우리가 접하는 오행 이론은 이후 음양설, 장상학, 상한론 등과 결합하여 발전했으며, 특히 한의학의 오행배당표가 대표적이다.

"오행"이라는 단어가 문헌상 처음 등장한 것은 고대 중국의 경전인 『서경』의 "감서(甘誓)"편과 "홍범(洪範)"편이다.[32] 특히 홍범편에서는 명확하게 화(火), 수(水), 목(木), 금(金), 토(土)의 다섯 가지 원소를 지칭하며 그 성질과 함께 오미(五味)와의 관련성을 설명하고 있다.[33]

전국 시대에는 추연이나 『여씨춘추』 등에 의해 오행설에 기반한 왕조 교체 이론인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이 등장했다.[34]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오행설은 음양설과 결합하여 음양 오행설로 체계화되었고, 이는 동아시아 사상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35] 오행의 '오(五)'는 동서남북의 사방(四方)에 중앙(中央)을 더한 개념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이는 『하도』와 『낙서』 등의 그림에서도 나타난다. 고대 문헌에는 오행 외에도 오교(五敎), 오절(五節, 음악), 오미(五味), 오색(五色), 오성(五聲), 오재(五材), 오관(五官) 등 '다섯'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이 등장한다.[36]

오행은 자연 현상, 특히 사계절의 변화를 관찰하고 이를 추상화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정치, 점술,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의 성질, 주기, 상호 작용 등을 설명하는 틀로 사용된다. 단순히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넘어, 변화 속에서 나타나는 다섯 가지 상태, 운동, 과정을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둔다.


  • 목(木): "봄"의 상징. 나무가 자라나는 모습에서 유래했으며, 성장과 발육의 기운을 나타낸다.
  • 화(火): "여름"의 상징. 타오르는 불꽃에서 유래했으며, 뜨겁고 밝게 빛나는 성질을 나타낸다.
  • 토(土): 계절의 전환기, "토용(土用)"의 상징. 땅에서 싹이 트는 모습에서 유래했으며, 만물을 키우고 보호하는 성질을 나타낸다.
  • 금(金): "가을"의 상징. 땅속의 광물이나 금속에서 유래했으며, 단단하고 결실을 맺는 성질을 나타낸다.
  • 수(水): "겨울"의 상징. 샘솟아 흐르는 물에서 유래했으며, 만물의 근원이자 생명력, 차가움과 저장의 성질을 나타낸다.


고대 동아시아에서는 사계절의 변화가 오행의 순환에 따라 일어난다고 생각했으며, 방위, 색깔, 맛, 감정, 인체 장기 등 세상의 거의 모든 현상과 사물을 오행에 배속시켜 이해하고자 했다. 예를 들어, 사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색깔(청, 적, 백, 흑)과 계절을 합쳐 청춘(靑春, 봄), 주하(朱夏, 여름), 백추(白秋, 가을), 현동(玄冬, 겨울)과 같은 표현이 생겨났다.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아호는 백추에서 유래했다.

다음은 오행과 관련된 다양한 개념들을 표로 정리한 것이다.

오행 배당표
구분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오색청색(녹색)적색(주홍색, 홍색)황색백색흑색
오방동쪽남쪽중앙서쪽북쪽
오시(五時)여름토용(환절기)가을겨울
오기(五氣)바람(風)더위(熱)습기(濕)건조함(燥)추위(寒)
오성(五星)/오요(五曜)세성(歲星) (목성) / 목요일형혹(熒惑) (화성) / 화요일진성(鎮星) (토성) / 토요일태백(太白) (금성) / 금요일진성(辰星) (수성) / 수요일
구성삼벽(三碧)・사록(四綠)구자(九紫)이흑(二黑)・오황(五黃)・팔백(八白)육백(六白)・칠적(七赤)일백(一白)
오충(五蟲)린(鱗) (어류와 파충류)우(羽) (조류)나(裸) (인간)모(毛) (짐승)개(介) (거북, 갑각류와 조개류)
오서(五瑞) 또는 오령(五靈)청룡주작기린 또는 황룡백호현무
오룡(五龍)청룡(녹룡)적룡(홍룡)황룡(금룡)백룡(은룡)흑룡
오관(五官)[37] / 오감(五感) / 시각 / 촉각(또는 미각) / 미각 / 후각 / 청각
오음(五音) / 오성(五聲)각(角) / 호(呼, 부르짖음)치(徵) / 언(言, 말함) 또는 소(笑, 웃음)궁(宮) / 가(歌, 노래함)상(商) / 곡(哭, 곡함)우(羽) / 신(呻, 신음함)
오정(五情) / 오지(五志)노(怒, 노여움)희(喜, 기쁨)사(思, 생각함) 또는 려(慮, 염려함)비(悲, 슬픔) 또는 우(憂, 근심함)공(恐, 두려움) 또는 경(驚, 놀람)
오장(五臟) / 오부(五腑)간(肝) / 담(膽)심(心) / 소장(小腸)비(脾) / (胃)폐(肺) / 대장(大腸)신(腎) / 방광(膀胱)
오액(五液)눈물(淚)(汗)(涎)콧물(涕)타액(唾)
오미(五味) / 오미가 주관하는 것신맛(酸) / 근(筋)쓴맛(苦) / 골(骨)단맛(甘) / 육(肉) 또는 지(脂)매운맛(辛) / 기(氣)짠맛(鹹) / 혈(血) 또는 정(精)
오체(五體) / 오화(五華)힘줄(筋) / 손톱(爪)혈맥(血脈) / 얼굴빛(面)근육(肌肉) / 입술(唇)피부(皮毛) / 체모(毛)(骨) / 머리카락(髮)
오주관(五主官)(目)(舌)(口)(鼻)(耳)
오과(五果)자두(李)살구(杏)대추(棗)복숭아(桃)(栗)
오곡보리(麥) 또는 (小麦)수수(黍) 또는 기장(稷) 또는 (稻)(菽)
오채(五菜)부추(韭)염교(薤)아욱(葵) 또는 고추냉이(蔥)곽(藿, 잎)
오축(五畜)(雞)(羊)(牛)(馬)돼지(豬)
오상(五常) (오덕)(仁)(禮)(信)(義)(智)
십간 / 십이지갑(甲)・을(乙) / 인(寅)・묘(卯)병(丙)・정(丁) / 사(巳)・오(午)무(戊)・기(己) / 진(辰)・술(戌)・축(丑)・미(未)경(庚)・신(辛) / 신(申)・유(酉)임(壬)・계(癸) / 해(亥)・자(子)
팔괘진(震, ☳)・손(巽, ☴)리(離, ☲)곤(坤, ☷)・간(艮, ☶)건(乾, ☰)・태(兌, ☱)감(坎, ☵)


3. 1. 학문적 위치

일반적으로 오행을 동양철학의 일부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동양철학'이라는 용어는 유가, 도가, 불가, 음양가 등 매우 넓고 때로는 서로 다른 개념들을 함께 묶어 부르기 때문에, 오행의 위치를 정확히 설명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오행은 동양철학 중에서도 특히 음양가, 즉 역학(易學)에 속하는 이론으로 보는 것이 더 정확하다.

역학은 고대 동북아시아에서 발전한 학문으로, 음양의 질서를 통해 우주의 원리를 파악하고자 했다. 일부 사람들이 점술의 도구로 사용하기도 했지만, 전통적으로는 유교에서 우주론의 중요한 일부로 연구되었다. 오늘날 존경받는 많은 유학자들도 역학을 중요하게 여기고 주역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남겼다.

'오행'(五行)이라는 말은 본래 다섯 개의 주요 행성(목성, 토성, 수성, 화성, 금성)을 가리켰다. 이 다섯 행성은 해와 달과 함께 지구의 생명력을 만들어내는 다섯 가지 중요한 힘으로 여겨졌다. '오행'이라는 단어가 '다섯'을 뜻하는 한자 五|wǔzho와 '움직임'을 뜻하는 한자 行|xíngzho으로 이루어진 이유도 여기에 있다. 여기서 '움직임'(行)은 '행성'(行星)을 줄인 말인데, 중국어로 행성을 뜻하는 단어가 글자 그대로 '움직이는 별'(行星|xíngxīngzho)이기 때문이다.[6] 기원전 168년 이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일부 마왕퇴 백서에서는 '오행'을 '오덕'(五德|wǔdézho), 즉 다섯 가지 과 연결시키기도 한다.[7][8] 학자들은 오행 개념의 여러 기원들이 한나라 시대에 이르러 다양한 해석과 함께 하나의 체계적인 이론으로 통합되었다고 본다.[9]

'오행'은 서양에 처음 소개될 때 영어로 "The Five Elements(5원소)"로 번역되었다. 이는 고대 그리스의 4원소설과 유사점을 부각하려는 의도가 있었다.[10][8] 이러한 번역은 오늘날에도 전통 중국 의학 분야, 예를 들어 오행 침술과 같은 명칭에서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11] 하지만 이러한 비유는 오해를 낳을 수 있다. 그리스의 4원소는 주로 물질의 형태나 양에 초점을 맞추는 반면, 오행은 "주로 과정, 변화, 그리고 성질에 관련되어 있다".[12] 예를 들어, 오행의 '목(木)'은 단순히 물질로서의 나무 자체보다는 나무가 가진 생명력이나 성장하는 기운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13] 이러한 이유로 중국학자 네이선 시빈은 1987년에 "five phases(5상)"라는 대안적인 번역을 제안했다.[14] 그러나 'phase(상)'라는 번역 역시 오행이 담고 있는 모든 의미를 포괄하지는 못한다. 어떤 맥락에서는 오행이 실제 물리적인 물질을 가리키기도 하기 때문이다.[15] 중국 의학사학자 만프레드 포케르트는 다소 복잡하지만 "Evolutive Phase(진화적 단계)"라는 용어를 제안하기도 했다.[15] 아마도 현대 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번역은 마크 칼리노프스키가 제안한 "the five agents(5 기운)"일 것이다.[16]

4. 구성

오행의 상생과 상극 관계. 상극(안쪽 별) 순서대로 그려도 안쪽은 상생을 나타낸다.


오행은 다섯 가지 기본 요소와 이들 사이의 두 가지 주요 상관관계로 구성된다. 다섯 가지 요소는 목(木), 화(火), 토(土), 금(金), 수(水)이다. 두 가지 상관관계는 서로 돕고 생성하는 상생(相生)과 서로 제약하고 극복하는 상극(相剋)이다.

오행은 단순히 다섯 종류의 물질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자연 현상의 사계절 변화 관찰을 통해 추상화된 개념이다. 이는 자연 현상, 정치 체제, 점,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배경이 되는 성질, 주기, 상호 작용 등을 설명하는 틀로 사용된다. 또한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의 다섯 가지 상태, 운동, 과정을 파악하는 방식으로 이해되기도 한다.

4. 1. 다섯 가지 요소

을(乙)병(丙)
정(丁)무(戊)
기(己)경(庚)
신(辛)임(壬)
계(癸)연도 끝자리4, 56, 78, 90, 12, 3



오행은 각각 약 73일 주기로 순환하며, 주로 자연 현상의 변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오행은 단순히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넘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의 다섯 가지 상태, 운동, 주기를 파악하는 틀로 여겨진다. 각 요소는 다음과 같은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

사계절의 변화는 오행의 순환에 따른 것으로 여겨졌으며, 방위, 색깔 등 세상의 모든 현상에 오행이 배정되었다. 이러한 연관성에서 청춘, 주하, 백추, 현동과 같은 단어가 생겨났다.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아호 '백추'는 여기에서 유래했다.

오행은 다양한 개념들과 다음과 같이 연결된다.

오행과 관련된 개념들
구분목 (木)화 (火)토 (土)금 (金)수 (水)
오색청색(녹색)적색(주홍색, 홍색)황색백색흑색
오방동쪽남쪽중앙서쪽북쪽
오시(五時)여름토용(늦여름)가을겨울
오기(五氣)양(陽)・남성적양(陽)・남성적중성(中性)음(陰)・여성적음(陰)・여성적
오성(五星)/오요(五曜)세성(歲星)(목성)/목요일형혹(熒惑)(화성)/화요일진성(鎮星)(토성)/토요일태백(太白)(금성)/금요일진성(辰星)(수성)/수요일
구성(九星)삼벽(三碧)・사록(四綠)구자(九紫)이흑(二黑)・오황(五黃)・팔백(八白)육백(六白)・칠적(七赤)일백(一白)
오충(五蟲)린(鱗)(어류, 파충류)우(羽)(조류)나(裸)(인간)모(毛)(포유류)개(介)(갑각류, 조개류)
오수(五獸)청룡주작황룡 또는 기린백호현무
오룡(五龍)청룡(녹룡)적룡(홍룡)황룡(금룡)백룡(은룡)흑룡
오관(五官)[37]/오진(五塵)/색(시각)/촉(촉각)/미(미각)/향(후각)/성(청각)
오음(五音)/오성(五聲)아음(ㄱ, ㅋ, ㄲ)/각(角)/호(呼)설음(ㄴ, ㄷ, ㅌ, ㄸ)/치(徵)/언(言)순음(ㅁ, ㅂ, ㅍ, ㅃ)/궁(宮)/가(歌)치음(ㅅ, ㅆ, ㅈ, ㅊ, ㅉ)/상(商)/곡(哭)후음(ㅇ, ㅎ)/우(羽)/신(呻)
오정(五情)/오지(五志)노(怒)/혼(魂)희(喜)/신(神)사(思)・려(慮)/의(意)비(悲)・우(憂)/백(魄)공(恐)・경(驚)/지(志)
오장(五臟)/오부(五腑)간(肝)/담(膽)심(心) (심포)/소장(小腸) (삼초)비(脾)/(胃)폐(肺)/대장(大腸)신(腎)/방광(膀胱)
오미(五味)/오미의 작용 부위산(酸)/근(筋)고(苦)/골(骨)(甘)/육(肉)(辛)/기(氣)함(鹹)/혈(血)
오주(五主)근(筋)・손톱혈맥(血脈)기육(肌肉)・입술피부(皮膚)・털골수(骨髓)・머리카락
오상(五常) (오덕, 五德)(仁)(禮)(信)(義)(智)
오경(五經)(詩)(書)(易)(禮)춘추(春秋)



오행의 상호작용에는 상극 관계가 반대로 작용하는 역상극(逆相剋), 즉 모(侮) 관계도 있다. '모'는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본래 극(克)해야 할 요소가 오히려 극 당하는 요소에게 제압당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상극 관계가 정도를 넘어 과도하게 작용하는 것을 승(乘)이라고 한다. '승'은 능멸한다는 뜻이다.

4. 2. 두 가지 관계

오행에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두 가지 기본적인 관계가 있다. 중의학에서는 생리적 관계로서 상생(相生)과 상극(相剋), 병리적 관계로서 상생 관계의 이상과 상극 관계의 이상인 상승(相乘) 및 상모(相侮)를 설명하지만[38], 일반적으로 오행의 '두 가지 관계'라고 할 때는 정상적인 생리적 관계인 상생과 상극을 의미한다. 이 두 관계는 오행의 요소들이 서로 순환하며 균형을 이루도록 하는 핵심 원리이다.

=== 상생(相生) ===

상생(相生|xiāngshēng중국어)은 한 요소가 다음 순서의 요소를 낳고(生), 북돋아주며, 성장시키는 관계를 말한다. 이는 마치 '어머니가 자식을 낳는다'는 비유처럼 "모자(母子) 관계"라고도 불린다. 상생의 순환은 다음과 같다.

이와 반대로, 특정 요소가 과도하게 다른 요소를 소모시키는 관계를 '''역생'''(逆生, 相洩|xiāngxiè중국어) 또는 '''설기'''(洩氣)라고도 한다.

=== 상극(相剋) ===

상극(相剋|xiāngkè중국어)은 한 요소가 다른 요소를 제약하고 억제하는(剋) 관계를 말한다. 이는 마치 '할아버지가 손자를 억제한다'는 비유처럼 "조손(祖孫) 관계"라고도 불린다. 상극의 순환은 다음과 같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상생과 상극은 서로 균형을 이루며 다섯 요소가 서로 돕고 제어함으로써 만물의 동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 병리적 관계: 상승(相乘)과 상모(相侮) ===

상생과 상극의 균형이 깨지면 병리적인 관계로 나타날 수 있다.

중의학에서는 이러한 상생, 상극, 상승, 상모의 관계를 인체의 생리 및 병리 현상을 설명하고 진단과 치료에 응용한다. 예를 들어, 상생 관계에 이상이 생기거나(자식이 어머니의 병을 받거나, 어머니의 병이 자식에게 영향을 주는 등), 상극 관계의 균형이 깨져 상승이나 상모 현상이 나타나면 관련 장부(臟腑)에 병이 발생하거나 전이될 수 있다고 본다.

5. 오행과 중국 문화

5행(五行)에 대한 생각은 중국 고대 문헌인 《서경》(書經)의 '홍범(洪範)' 편에서 이미 나타난다. '홍범'은 은나라의 유민(遺民)인 기자주나라 무왕에게 전한 내용을 기록한 것이라고 전해진다. 이 전설의 역사적 사실 여부를 떠나, '홍범'이 《금문상서》 29편 중 하나라는 점에서 5행 사상이 매우 오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다만 '홍범'에서의 5행은 수(水)·화(火)·목(木)·금(金)·토(土)라는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나열하는 데 그쳤으며, 이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운행의 원리까지 설명하지는 않았다[43][32][33]. '감서(甘誓)' 편에도 '오행'이라는 단어가 등장하나, 이는 다섯 행성의 운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기도 하여 다섯 원소를 가리키는지는 불분명하다[32]. 홍범편에서는 오행과 오미(五味)를 관련지어 해석하기도 했다[33].

전국시대에 이르러 우주 만물과 인간 사회의 현상을 설명하는 방식으로 5행의 상생설(相生說)과 상극설(相剋說)이 등장했다. 이것이 일반적으로 알려진 5행사상(五行思想)이다. '상생(相生)'은 목(木)이 화(火)를 낳고, 화(火)는 토(土)를, 토(土)는 금(金)을, 금(金)은 수(水)를, 수(水)는 다시 목(木)을 낳는 순환 관계를 의미한다. 반면 '상극(相剋)'은 수(水)가 화(火)를 이기고, 화(火)는 금(金)을, 금(金)은 목(木)을, 목(木)은 토(土)를, 토(土)는 다시 수(水)를 이기는 관계를 말한다. 이러한 관념적 논리는 이후 음양(陰陽) 사상과 결합하면서 더욱 복잡하고 신비화되었다. 이렇게 형성된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은 중국 특유의 사고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43].

음양사상과 5행사상을 결합하여 음양오행설을 체계화한 인물로는 맹자보다 조금 후대 사람인 제나라추연(鄒衍)이 꼽힌다. 본래 별개의 사상이었던 음양설과 오행설은 추연 이후, 특히 한대(漢代)에 이르러 결합되는 경향이 일반화되었다. 이 신비적인 사상은 현상 예측이나 역사 해석에도 폭넓게 이용되었다[43][35]. 추연과 잡가의 『여씨춘추』 등은 오행설에 기반한 왕조 교체설인 오덕종시설을 형성했다[34].

자연 현상의 사계절 변화를 관찰하여 추상화된 오행은 자연 현상, 정치 체제, 점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성질, 주기, 상호 작용 등을 설명하는 5가지 기본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이는 단순히 5가지 기본 원소뿐만 아니라, 변화 속의 5가지 상태, 운동, 과정을 파악하는 틀로도 이해된다.



중국 문화에서 '''오행'''은 방위, , 신수(神獸) 등 다양한 요소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44]. 오행과 관련된 대표적인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분류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오재(五材)나무
오색(五色)청색(靑)/녹색적색(赤)/주홍색황색(黃)백색(白)흑색(黑)
오방(五方)(東)(南)(中)(西)(北)
오계(五季)/오시(五時)(春)/오전(平旦)여름(夏)/한낮(日中)토용(土用)/오후(日西)가을(秋)/저녁(日入)겨울(冬)/(夜半)
오기(五氣, 음양)양(陽)·남성적양(陽)·남성적토용(土用)·중성음(陰)·여성적음(陰)·여성적
오성(五星)/오요(五曜)목성(歲星)/목요일화성(熒惑)/화요일토성(鎮星)/토요일금성(太白)/금요일수성(辰星)/수요일
오음(五音)/오성(五聲)(角)/아음(, , )/부름(呼)(徵)/설음(, , , )/웃음(笑)·말(言)(宮)/순음(, , , )/가창(歌)(商)/치음(, , , , )/울음(哭)(羽)/후음(, )/읊조림(呻)
오장(五臟)/오부(五腑)(肝)/쓸개(膽)심장(心)/소장(小腸)비장(脾)/(胃)허파(肺)/대장(大腸)콩팥(腎)/방광(膀胱)
오체(五體)/오주(五主)힘줄(筋)/손톱경맥(脈)/혈맥근육(肉)/입술피부(皮)/털(骨)/머리카락
오지(五志, 감정)/오정(五情)노여움(怒)기쁨(喜)/즐거움(樂)생각(思)/염려(慮)슬픔(悲)/근심(憂)공포(恐)/놀람(驚)
오관(五官)/오각(五覺)(目)/시각(色)(舌)/촉각(觸)(口)/미각(味)(鼻)/후각(香)(耳)/청각(聲)
오액(五液)눈물(泣)(汗)(涎)콧물(涕)타액(唾)
오미(五味)신맛(酸)쓴맛(苦)단맛(甘)매운맛(辛)짠맛(鹹)
오취(五臭)누린내(膻)탄내(焦)향기(香)비린내(腥)구린내(朽)
오수(五獸, 신수)/오룡(五龍)청룡(靑龍)주작(朱雀)/적룡(赤龍)황룡(黃龍)/기린(麒麟)백호(白虎)/백룡(白龍)현무(玄武)/흑룡(黑龍)
오축(五畜, 가축)(鷄)(羊)(牛)(馬)돼지(猪)
오충(五蟲, 동물 분류)인충(鱗蟲): 물고기, 곤충, 파충류우충(羽蟲): 나충(裸蟲): 사람모충(毛蟲): 포유류개충(介蟲): 거북, 갑각류, 양서류
오곡(五穀)(麻)/참깨보리(麥)/기장(黍)(稻)기장(黍)/옥수수(粟)콩(菽)
오과(五果, 과일)자두(李)살구(杏)대추(枣)복숭아(桃)(栗)
오채(五菜, 채소)부추(韭)염교(薤)해바라기(葵)/고추냉이파(葱)콩잎(藿)
오상(五常, 유교 덕목)(仁)(禮)(信)(義)(智)
오경(五經, 유교 경전)《시경》(詩)/《악경》(樂)《의례》(禮)/《서경》(書)《춘추》(春秋)/《시경》(詩)《서경》(書)/《예기》(禮)《역경》(易)
십간(十干)(甲), (乙)(丙), (丁)(戊), (己)(庚), (辛)(壬), (癸)
십이지(十二支)(寅), (卯), (辰)(巳), (午), (未)(각 계절 끝)(申), (酉), (戌)(亥), (子), (丑)
팔괘(八卦)(震, 뇌), (巽, 풍)(離, 화)(艮, 산), (坤, 지)(乾, 천), (兌, 택)(坎, 수)



오행 사이에는 서로 돕는 '''상생(相生)''' 관계와 서로 억제하는 '''상극(相剋)''' 관계가 기본이며, 이 외에도 '''비화(比和)''', '''상승(相乘)''', '''상모(相侮)''' 등의 복합적인 관계가 존재한다[38].

'''상생(相生)'''은 한 요소가 다른 요소의 생성을 돕는 순환 관계이다.



'''상극(相剋)'''은 한 요소가 다른 요소를 제압하거나 억제하는 관계이다.

'''비화(比和)'''는 같은 오행의 기운이 만나 서로의 성질을 강화하는 관계이다. 긍정적인 측면은 더욱 강화되고, 부정적인 측면도 마찬가지로 강해진다.

'''상승(相乘)'''은 상극 관계가 지나치게 강해져 특정 오행이 다른 오행을 과도하게 억누르는 불균형 상태를 의미한다. '승(乘)'은 능멸한다는 뜻이다. 예를 들어, 목(木)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여 토(土)를 극(克)하는 정도가 지나쳐 토의 형성이 부족하게 되는 '목승토(木乗土)' 현상이 나타난다. 반대로 토(土) 자체가 약해서 목극토(木克土)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해져 토가 더욱 약해지는 것을 '토허목승(土虛木乗)'이라 한다.

'''상모(相侮)'''는 상극 관계가 역전되는 현상이다. '모(侮)'는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본래 극(剋)을 받아야 할 오행이 오히려 너무 강하여 극하는 오행을 되받아치는 것을 말한다(반극, 反剋). 예를 들어, 토(土)가 너무 강하면 목(木)의 극함을 받지 않고 오히려 나무를 업신여기는 '토모목(土侮木)' 현상이 발생한다. 반대로 나무가 약해서 흙의 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는 것을 '목허토모(木虛土侮)'라고 한다.

이러한 오행의 상생과 상극 관계는 서로 균형을 이루며 우주 만물의 순환과 변화를 설명하는 기본 원리로 여겨졌다. 상극 관계 속에서도 흙이 나무의 뿌리를 지탱하고(토생목의 간접적 측면), 불이 금속을 제련하여 도구를 만드는(화극금의 긍정적 활용) 등 상호 보완적인 측면이 있으며, 상생 관계 속에서도 지나치면 해가 되는(예: 물이 너무 많으면 나무가 썩는 수다목부(水多木腐)) 상극적 측면이 공존한다고 보았다.

오행 사상은 중국 역사 해석에도 적용되었다. 전국 시대 말기의 저서 『여씨춘추』는 오행의 상극설을 이용하여 왕조의 교체를 설명하는 오덕종시설(五德終始說)을 제시했다[34]. 각 왕조는 오행 중 하나의 덕(德)을 부여받고, 그 덕에 해당하는 색(정색, 正色)을 숭상했다. 새로운 왕조는 이전 왕조의 덕을 이기는(상극) 덕을 내세워 정통성을 확보했다. 예를 들어, 주나라는 불(火)의 덕(적색)으로 상나라의 쇠(金)의 덕(백색)을 이겼다고 보았다. 이는 추연의 오덕설에서 비롯된 사상으로, 관자 유관편에서 색을 배정한 것에서 유래했다고도 한다[39]. 또한 오덕에 따라 왕조마다 한 해의 시작(정월)을 바꾸기도 했다[40]. 후한 이후에는 상극설 대신 상생설에 기반하여 왕조 교체를 설명하기도 했는데, 예를 들어 수나라(화덕)가 당나라(토덕)를 낳았다고 해석하는 식이었다.

오행 사상은 계절의 변화를 설명하는 데도 사용되었다. 사계절에 중앙을 상징하는 토(土)를 더하여 오계절(五季節)로 나누고, 각 계절에 오행을 배속시키는 시령(時令) 사상이 발전했다. 이는 『관자』, 『여씨춘추』, 『예기』 월령편 등에 나타나며, 이후 『회남자』, 『사기』, 『한서』 등에서 계승, 발전되었다. 사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색을 결합하여 청춘(靑春, 봄), 주하(朱夏, 여름), 백추(白秋, 가을), 현동(玄冬, 겨울)과 같은 표현이 생겨났다.

6. 오행과 한국 문화

오행(五行)은 자연 현상, 정치 체제, 점, 의료 등 다양한 분야의 배경이 되는 성질, 주기, 상호 작용 등을 설명하는 5가지 개념이다. 단순히 5가지 기본 요소를 넘어, 변화 속에서의 5가지 상태, 운동, 과정을 파악하는 틀로도 여겨진다. 오행은 각기 약 73일로 구성되며, 주로 자연의 고정된 상태보다는 변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오행의 상생과 상극 관계를 보여주는 그림


풍수는 오행 사상을 기반으로 하며, 팔괘와 더불어 우주의 구조가 오행을 반영한다고 본다. 각 오행은 자연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색상, 계절, 방위 등은 오행의 순환 원리에 따라 상호 작용한다.[17] 풍수에서는 이러한 오행의 상생(相生, 서로 돕는 관계)과 상극(相剋, 서로 억제하는 관계)의 에너지 흐름을 이해하고 조절하여 이로운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운동금(金)화(火)목(木)수(水)토(土)
한자zhozhozhozhozhozhozhozho
괘 병음qiánduìzhènxùnkǎngènkūn
팔괘
주역하늘우레바람
행성(천체)금성화성목성수성토성
색상흰색빨간색녹색검은색노란색
요일금요일화요일목요일수요일토요일
계절가을여름겨울중간 (환절기)
방위서쪽남쪽동쪽북쪽중앙



사계절의 변화는 오행의 추이에 따라 일어난다고 여겨졌으며, 방위, 색 등 세상의 모든 요소에 오행이 배당되었다. 이러한 관념은 문화적 표현에도 영향을 미쳐, 사계절에 해당하는 오행의 색을 결합한 청춘(봄), 주하(여름), 백추(가을), 현동(겨울)과 같은 단어가 생겨났다. 시인 기타하라 하쿠슈의 아호는 가을의 백추에서 유래한 것이다.

오행의 상세 대응 관계
오행목(木)화(火)토(土)금(金)수(水)
오색푸른색(녹색)붉은색(주홍색, 홍색)노란색흰색검은색
오방동쪽남쪽중앙서쪽북쪽
오시(五時, 계절)여름토용(환절기)가을겨울
오기(五氣, 음양)양(陽)・남성적양(陽)・남성적토용・중성음(陰)・여성적음(陰)・여성적
오성(五星, 행성)/오일(五日, 요일)세성(歲星)(목성)/목요일형혹(熒惑)(화성)/화요일진성(鎮星)(토성)/토요일태백(太白)(금성)/금요일진성(辰星)(수성)/수요일
구성(九星)삼벽(三碧)・사록(四綠)구자(九紫)이흑(二黑)・오황(五黃)・팔백(八白)육백(六白)・칠적(七赤)일백(一白)
오충(五蟲, 동물 분류)린(鱗)(어류와 파충류)우(羽)(조류)나(裸)(인간)모(毛)(짐승)개(介)(거북, 갑각류와 조개류)
오린(五麟, 상상 속 동물)솟고(聳孤)염구(炎駒)기린색명(索冥)각단(角端)
오수(五獸, 사신)청룡주작황룡이나 기린백호현무
오룡(五龍, 용의 종류)청룡(녹룡)적룡(홍룡)황룡(금룡)백룡(은룡)흑룡
오해(五海, 바다)청해홍해황해백해흑해
오관(五官, 감각기관)[37]/오진(五塵, 감각)/색(시각)/촉(촉각)(한의학적 관점)/미(미각)/향(후각)/성(청각)
오음(五音, 발음)/오성(五聲, 소리)아음(, , ), 각(角)/호(呼, 부르짖음)설음(, , , ), 치(徵)/언(言, 말함)순음(, , , ), 궁(宮)/가(歌, 노래함)치음(, , , , ), 상(商)/곡(哭, 욺)후음(, ), 우(羽)/신(呻, 신음함)
오정(五情, 감정)/오지(五志, 의지)노(怒, 노여움)희(喜, 기쁨)사(思, 생각함)・려(慮, 염려함)비(悲, 슬픔)・우(憂, 근심함)공(恐, 두려움)・경(驚, 놀람)
오장(五臟)(육장)/오부(五腑)(육부간(肝)/담(膽)심(心)(심포)/소장(小腸)(삼초비(脾)/(胃)폐(肺)/대장(大腸)신(腎)/방광(膀胱)
오지(五指, 손가락)약지가운데 손가락검지엄지새끼 손가락
오액(五液, 체액)눈물콧물타액(침)
오미(五味, 맛)/오미의 작용 부위산(酸, 신맛)/근(筋, 힘줄)고(苦, 쓴맛)/골(骨, 뼈)감(甘, 단맛)/육(肉, 살)・지(脂, 기름)신(辛, 매운맛)/기(氣, 기운)함(鹹, 짠맛)/혈(血, 피)・정(精, 정기)
오주(五主, 주관 부위)근(筋, 힘줄)・손톱혈맥(血脈)기육(肌肉, 살)・입술피부(皮膚)・모(毛, 털)골수(骨髓)・발(髮, 머리카락)
오사(五事, 행위)모(貌, 용모)시(視, 봄)사(思, 생각함)언(言, 말함)청(聽, 들음)
오과(五果, 과일)자두살구대추복숭아
오곡참깨보리기장
오채(五菜, 채소)부추염교아욱(원문 葵)곽(藿, 잎)
오축(五畜, 가축)돼지
오상(五常, 유교의 덕목)(仁)(禮)(信)(義)(智)
오경악(樂)(書)(詩)(禮)(易)
오변(五變, 변화)악(握, 쥠)우(憂, 근심함)왈(噦, 딸꾹질)해(欬, 기침)율(慄, 떨림)
오신(五神, 정신)혼(魂)신(神)의(意)백(魄)지(志)
십간/십이지갑(甲)・을(乙)/인(寅)・묘(卯)・진(辰)병(丙)・정(丁)/사(巳)・오(午)・미(未)무(戊)・기(己)경(庚)・신(辛)/신(申)・유(酉)・술(戌)임(壬)・계(癸)/해(亥)・자(子)・축(丑)
팔괘뇌(雷)・풍(風)화(火)산(山)・지(地)천(天)・택(澤)수(水)



오행 사이에는 서로 돕는 상생(相生) 관계와 서로 억제하는 상극(相剋) 관계가 존재한다. 같은 기운이 겹치면 그 기운은 더욱 강해져, 좋은 결과는 더 좋아지고 나쁜 결과는 더 나빠질 수 있다.

상극 관계 속에서도 상생의 측면이 있다. 예를 들어, 흙(土)은 나무(木)의 뿌리가 뻗어나가는 것을 막지만(土剋木의 반대), 동시에 토양 유실을 막고 양분을 공급하여 나무를 자라게 한다(土生木의 간접적 도움). 물(水)은 흙(土)의 흐름을 막아 강이나 계곡의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土剋水), 흙은 물을 머금어 가뭄을 막는다(土生水의 간접적 도움). 쇠(金)는 불(火)에 녹아 도구로 만들어지며(火剋金), 나무(木)는 쇠로 만든 도구에 의해 가공되어 유용한 물건이 된다(金剋木). 불(火)은 물(水)에 의해 꺼지면서 모든 것을 태워버리는 것을 막는다(水剋火).

반대로 상생 관계 속에도 상극의 측면이 존재한다. 나무(木)가 지나치게 많으면 불(火)은 결국 꺼지고(木生火 과다), 물(水)이 너무 많으면 나무는 썩어버리며(水生木 과다), 쇠(金)에 물이 너무 많이 맺히면 이 슬고(金生水 과다), 흙(土)에서 광물을 너무 많이 캐내면 흙이 줄어들며(土生金 과다), 불(火)이 타면서 생긴 재가 너무 많으면 흙(土)이 감당하지 못하게 된다(火生土 과다).

이처럼 오행 사이에는 상생과 상극의 양면성을 통해 균형을 이루며 순환하고, 이를 통해 우주의 질서와 영원성이 유지된다고 보았다. 상생상극 관계는 주체와 객체를 구분하여, 자신이 다른 것을 낳는 것을 '설(洩)', 자신이 다른 것에 의해 낳아지는 것을 '생(生)', 자신이 다른 것을 이기는 것을 '분(分)', 자신이 다른 것에 의해 이겨지는 것을 '극(剋)'으로 세분화하기도 한다.

사계절에 중앙의 "토(土)"를 더한 오계절 시령(五季時令) 개념은 『관자』 유관편, 사시편, 오행편 외에, 『여씨춘추』 12기, 『예기』 월령 등에서 나타난다. 『관자』 사시편에서는 십간을 배당하여 "토"를 여름과 가을 사이에 두었으며, 오행편에서는 각 계절을 72일로 나누었다. 이러한 오계절 시령은 『회남자』 천문훈, 『사기』 천관서, 『한서』 율력지 등으로 계승 및 발전되었다.

6. 1. 왕조 교체와 오행

전국 시대의 정치 철학자 추연(기원전 305년경 ~ 기원전 240년경)에 따르면, 오행 각각은 德|더zho이라는 인격화된 덕목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왕조의 예정된 運|윈zho을 나타낸다. 따라서 오행의 순환적인 상속은 왕조의 교체를 의미한다. 추연은 천명이 새로운 왕조의 오행(토, 목, 금, 화, 수)에 해당하는 의례적인 색상(황색, 청색, 백색, 적색, 흑색)으로 스스로 나타나는 상서로운 징조를 보내면서 왕조의 정통성을 승인한다고 주장했다. 진나라 이후 대부분의 중국 왕조는 통치를 정당화하기 위해 오행 이론을 사용했다.[26]

7. 현대적 응용

오행(五行)은 자연 현상뿐만 아니라 정치 체제, 점술, 의학 등 다양한 분야의 현상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틀로 적용된다. 이는 단순히 다섯 가지 기본 요소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만물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 나타나는 다섯 가지 상태, 운동, 상호 작용 방식을 파악하는 개념으로 여겨진다. 오행은 각 요소가 지닌 고유한 성질과 더불어, 요소들 간의 순환 및 제어 관계(상생과 상극)를 통해 복잡한 현상의 원리와 변화 양상을 설명하는 데 활용된다.

오행은 각 요소마다 특정 계절, 방위, 색깔 등과 연결되며, 이러한 대응 관계는 다양한 문화 현상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사계절에 오행의 색을 대응시켜 청춘(靑春, 봄), 주하(朱夏, 여름), 백추(白秋, 가을), 현동(玄冬, 겨울)과 같은 단어가 만들어지기도 했다.

구체적인 응용 분야는 아래와 같다.

7. 1. 중의학(中醫學)

중의학(中醫學)에서는 오행(五行)의 관계를 생리적 측면과 병리적 측면으로 나누어 설명한다. 생리적 관계에서는 상생(相生)과 상극(相剋)을, 병리적 관계에서는 상생 관계의 이상, 상승(相乘), 상모(相侮)를 다룬다. 일반적으로 오행의 관계라 함은 생리적 관계에서의 상생과 상극을 의미한다.
생리적 관계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는 상생과 상극이 균형을 이루어, 다섯 가지 요소가 서로 돕고 제어하며 동태적인 평형을 유지한다.
병리적 관계
오행 이론의 발전과 적용오행 사상은 자연에서 얻을 수 있는 기본적인 물질 개념에서 출발하여 만물을 구성하는 근본 원소, 나아가 만물의 변화와 관계를 설명하는 추상적인 틀로 발전했다. 중의학에서는 이를 장상론(藏象論)의 장부(臟腑) 이론과 결합하여 인체의 생리, 병리 현상을 설명하고 진단과 치료(예: 오행변증)에 활용한다.

오행은 각각 약 73일 주기로 순환하며 계절의 변화를 나타낸다고 보았다.

오행 - 일주기


인체 내 장부 네트워크의 상호 관계 역시 오행의 순환 원리로 설명된다.[18][19] 중의학에서는 오행 이론을 통해 장부의 기능, 생리 활동, 병리 반응 및 외부 환경 요인의 영향을 체계적으로 분석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특히 전통적인 오행 침술에서 중요하게 활용되며, 현대 팔강변증 중심의 중의학과 함께 인체를 이해하는 틀을 제공한다. 더 나아가 유전, 심리, 사회, 생태 등 다양한 요인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려는 시도도 이루어진다.[20][21][22]

구분
행성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
정신적 특성이상주의, 자발성, 호기심열정, 강렬함호감, 정직직관, 합리성, 마음박학다식, 임기응변, 재치
감정 (오지 - 五志)분노(怒)기쁨(喜)생각(思), 불안슬픔(悲), 연민공포(恐), 조심성
(오상 - 五常)인(仁)예(禮)신(信)의(義)지(智)
장(臟) (음 장기)간(肝)심(心)/심포(心包)비(脾)/췌장폐(肺)신(腎)
부(腑) (양 장기)담(膽)소장(小腸)/삼초위(胃)대장(大腸)방광(膀胱)
감각 기관 (오관 - 五官)(目)(舌)(口)(鼻)(耳)
신체 부위 (오체 - 五體)힘줄(筋)혈관(脈)근육(肉)피부(皮)와 (毛)(骨)
체액 (오액 - 五液)눈물(淚)(汗)(涎)콧물(涕)타액(唾)
손가락넷째 손가락가운데 손가락엄지손가락집게손가락새끼손가락
감각 (오진 - 五塵 관련)시각미각/촉각미각/촉각후각청각
(오미 - 五味)[23]신맛(酸)쓴맛(苦)단맛(甘)매운맛(辛), 감칠맛짠맛(鹹)
냄새누린내, 비린내탄내향기로운 냄새비린내, 썩은내고약한 냄새, 지린내
생명 주기유년기청년기성인기노년노년, 수태
동물 분류 (오충 - 五蟲)비늘 동물 (어류, 파충류)깃털 동물 (조류)벌거벗은 동물 (인간) 동물 (포유류)껍질 동물 (갑각류, 조개류)
시간 (하루)3–9시9–15시변화기15–21시21–3시
절기춘분하지계절 사이 (늦여름)추분동지
방위각 (360°)45–135°135–225°변화225–315°315–45°



자연 현상의 사계절 변화를 관찰하여 추상화된 오행은 자연 현상, 정치 체제, 점술, 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의 성질, 주기, 상호 작용 등을 설명하는 기본 틀로 사용된다. 이는 단순히 5가지 기본 요소를 넘어, 변화하는 과정 속에서의 5가지 상태나 운동 양상을 파악하는 개념으로 이해된다.



사계절의 변화는 오행의 순환에 따른다고 보았으며, 방위, 색깔 등 세상 만물에 오행을 배속시켰다. 이로부터 계절과 오행의 색을 결합한 청춘(靑春, 봄), 주하(朱夏, 여름), 백추(白秋, 가을), 현동(玄冬, 겨울)과 같은 표현이 생겨났다.

오행과 만물의 배속
구분
오색청색(녹색)적색(주홍색, 홍색)황색백색흑색
오방동쪽남쪽중앙서쪽북쪽
오시(五時)여름토용(늦여름)가을겨울
오기(五氣) (음양)양(陽)양(陽)중(中)음(陰)음(陰)
오성(五星)/요일세성(歲星)(목성)/목요일형혹(熒惑)(화성)/화요일진성(鎮星)(토성)/토요일태백(太白)(금성)/금요일진성(辰星)(수성)/수요일
구성(九星)삼벽(三碧)・사록(四綠)구자(九紫)이흑(二黑)・오황(五黃)・팔백(八白)육백(六白)・칠적(七赤)일백(一白)
오충(五蟲)린(鱗) (어류, 파충류)우(羽) (조류)나(裸) (인간)모(毛) (포유류)개(介) (갑각류, 조개류)
오수(五獸) (사신)청룡주작황룡 또는 기린백호현무
오룡(五龍)청룡(녹룡)적룡(홍룡)황룡(금룡)백룡(은룡)흑룡
오관(五官)[37]/오진(五塵)(目)/색(色, 시각)(舌)/촉(觸, 촉각)(口)/미(味, 미각)(鼻)/향(香, 후각)(耳)/성(聲, 청각)
오음(五音)/오성(五聲)아음(牙音, ㄱㅋㄲ)/각(角)/호(呼)설음(舌音, ㄴㄷㅌㄸ)/치(徵)/언(言)순음(脣音, ㅁㅂㅍㅃ)/궁(宮)/가(歌)치음(齒音, ㅅㅆㅈㅊㅉ)/상(商)/곡(哭)후음(喉音, ㅇㅎ)/우(羽)/신(呻)
오지(五志)/오정(五情)노(怒)/희(喜)?희(喜)/락(樂)・웃음사(思)/원(怨)・려(慮)비(悲)・우(憂)/노(怒)?공(恐)・경(驚)/애(愛)?
오장(五臟)/오부(五腑)간(肝)/담(膽)심(心)(심포)/소장(小腸)(삼초)비(脾)/위(胃)폐(肺)/대장(大腸)신(腎)/방광(膀胱)
오지(五支, 손가락)넷째 손가락가운데 손가락집게손가락?엄지손가락?새끼 손가락
오액(五液)눈물(淚)(汗)(涎)콧물(涕)타액(唾)
오미(五味)/작용 부위산(酸)/근(筋)고(苦)/골(骨)감(甘)/육(肉)・지(脂)신(辛)/기(氣)함(鹹, 짠맛)/혈(血)・정(精)
오주(五主)근(筋)・손톱혈맥근육입술피부골수머리카락
오과(五果)자두살구대추복숭아
오곡 또는 참깨보리기장
오채(五菜)부추염교아욱
오축(五畜)돼지
오상(五常, )인(仁)예(禮)신(信)의(義)지(智)
오경악(樂)서(書)시(詩)예(禮)역(易)
오신(五神)혼(魂)신(神)의(意)백(魄)지(志)
십간/십이지갑(甲)・을(乙)/인(寅)・묘(卯)・진(辰)병(丙)・정(丁)/사(巳)・오(午)・미(未)무(戊)・기(己)/사계절 끝경(庚)・신(辛)/신(申)・유(酉)・술(戌)임(壬)・계(癸)/해(亥)・자(子)・축(丑)


7. 2. 한의학(韓醫學)

한의학에서는 오행(五行) 이론을 중요한 원리로 삼아 인체의 생리, 병리 현상을 설명하고 진단과 치료에 응용한다. 오행은 단순히 다섯 가지 물질(목, 화, 토, 금, 수)을 의미하는 것을 넘어, 만물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다섯 가지 기본적인 운동 방식 또는 속성을 나타낸다.
상생(相生)과 상극(相剋)한의학에서는 오행의 관계를 통해 인체 내부 장기들의 상호작용과 균형을 설명한다. 주요 관계는 상생(相生)상극(相剋)이다.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는 상생과 상극이 조화를 이루어 인체의 동적인 평형 상태를 유지한다.
병리적 관계: 상승(相乘)과 상모(相侮)오행의 상생 또는 상극 관계에 이상이 생기면 병리적인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상승(相乘)상모(相侮)라고 한다.

이 외에도 상생 관계의 이상으로 인해 병이 전변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목생화(木生火)가 원활하지 않으면 목(木)이나 화(火)에 병이 생길 수 있고, 목(木)의 병이 화(火)로 이어질 수 있다.
오행과 인체한의학에서는 장상론을 통해 인체의 장부를 오행에 배속시켜 생리 및 병리 현상을 설명한다.[18][19] 각 장부는 특정 오행의 속성을 가지며, 오행의 상생·상극 관계에 따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

예를 들어, 간은 목, 심장은 화, 비장은 토, 폐는 금, 신장은 수에 해당한다. 이러한 배속을 통해 장부 간의 생리적 협조 관계(예: 수생목 - 신장이 간을 도움)와 병리적 영향 관계(예: 목극토 - 간의 병이 비장에 영향)를 파악하고 진단과 치료에 활용한다.

오행 이론은 인체의 내적 요인, 생리 활동, 병리 반응뿐만 아니라 환경적 요인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까지 분류하고 설명하는 틀을 제공한다. 이는 전통적인 오행 침술에서 중요하게 사용되며, 현대 한의학의 팔강변증과 결합하여 유전, 심리, 사회,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데 활용되기도 한다.[20][21][22]

아래는 오행과 관련된 다양한 속성들을 정리한 표이다.

운동
행성목성화성토성금성수성
정신적 특성이상주의, 자발성, 호기심열정, 강렬함호감, 정직직관, 합리성, 마음박학다식, 임기응변, 재치
감정분노, 동기 부여격분, 기쁨불안, 계획슬픔, 연민공포, 조심성
인(仁)(禮)신(信)(義)지(智)
장 (음 장기)심장/심포비장/췌장신장
부 (양 장기)담낭소장/삼초대장방광
감각 기관
신체 부위힘줄혈관근육피부
체액눈물점액소변
손가락약지가운데 손가락엄지손가락검지새끼손가락
감각시각미각촉각후각청각
[23]신맛쓴맛단맛매운맛, 감칠맛짠맛
냄새쩐내탄내향기썩은내고약한 냄새
생명 주기유년기청년기성인기노년노년, 수정
시간 (하루)3–9시9–15시변화기15–21시21–3시
절기춘분하지계하(季夏, 늦여름)추분동지


7. 3. 풍수(風水)



풍수는 오행 사상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8괘뿐만 아니라 우주의 구조가 오행을 반영한다고 본다. 오행의 각 단계는 자연의 다양한 측면과 복잡하게 연결되어 있다. 색상, 계절, 모양 등은 모두 오행의 순환 주기에 따라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다.[17]

오행의 상호 작용, 즉 에너지의 흐름은 그것이 속한 순환 주기에 따라 확장적이거나, 파괴적이거나, 혹은 소모적일 수 있다. 풍수 전문가들은 이러한 에너지 흐름의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특정 공간의 에너지를 재배치하여 의뢰인에게 이로운 환경을 만들고자 한다.

오행과 팔괘 및 여러 요소들의 연관성은 다음 표와 같다.

운동
한자zhozhozhozhozhozhozhozho
괘 병음qiánduìzhènxùnkǎngènkūn
팔괘
주역하늘우레바람
행성(천체)금성화성목성수성토성
색상흰색빨간색녹색검은색노란색
요일금요일화요일목요일수요일토요일
계절가을여름겨울중간
방위서쪽남쪽동쪽북쪽중앙


7. 4. 무술(武術)

태극권은 오행을 사용하여 서로 다른 방향, 위치 또는 보법 패턴을 지정한다. 이는 전진, 후퇴, 좌, 우, 중앙, 또는 세 걸음 전진(공격)과 두 걸음 후퇴(후퇴)를 의미한다.[26]

오보(五步|오보중국어):

무술 형의권은 오행을 은유적으로 사용하여 다섯 가지 서로 다른 전투 상태를 나타낸다.

동작권법중국어병음설명
금(金)쪼개기劈|벽중국어도끼로 위에서 아래로 쪼개는 동작과 같음
수(水)드릴鑽|찬중국어 / 钻|찬중국어Zuān간헐천처럼 수평으로 전방을 찌르는 동작
목(木)붕괴崩|붕중국어Bēng건물 자체가 무너지는 것처럼 붕괴되는 동작
화(火)포(炮)炮|포중국어Pào방어하면서 대포처럼 밖으로 폭발하는 동작
토(土)횡(橫)橫|횡중국어 / 横|횡중국어Héng공격선을 가로질러 회전하면서 넘어가는 동작



''오행합기도''(五行合气道|오행합기도중국어, Wuxing heqidao), 고교 합기도유교, 도교불교 이론에 뿌리를 둔 생명 예술이다. 이것은 방어 또는 물리적 행동보다는 적용된 평화와 건강 연구에 중점을 둔다. 음양과 오행의 생리적 이론을 사용하여 마음, 몸, 환경의 통일을 강조한다. 그 움직임, 운동 및 가르침은 ''기''를 배양하고, 지시하고, 조화시킨다.[26]

7. 5. 명리학(命理學)

자미두수에서 '나음'(納音|납음zho)은 오행을 60개의 '명'(命|명zho), 즉 생명 질서로 세분화하며, 이는 간지를 기반으로 한다. 별자리와 유사하게, 이 '명'은 점술가들이 개인의 성격과 운명을 분석하는 데 사용된다.

순서간지순서간지오행
1甲子|갑자zho海中金|해중금zho31甲午|갑오zho沙中金|사중금zho
2乙丑|을축zho32乙未|을미zho
3丙寅|병인zho爐中火|로중화zho33丙申|병신zho山下火|산하화zho
4丁卯|정묘zho34丁酉|정유zho
5戊辰|무진zho大林木|대림목zho35戊戌|무술zho平地木|평지목zho
6己巳|기사zho36己亥|기해zho
7庚午|경오zho路旁土|로방토zho37庚子|경자zho壁上土|벽상토zho
8辛未|신미zho38辛丑|신축zho
9壬申|임신zho劍鋒金|검봉금zho39壬寅|임인zho金箔金|금박금zho
10癸酉|계유zho40癸卯|계묘zho
11甲戌|갑술zho山頭火|산두화zho41甲辰|갑진zho覆燈火|복등화zho
12乙亥|을해zho42乙巳|을사zho
13丙子|병자zho澗下水|간하수zho43丙午|병오zho天河水|천하수zho
14丁丑|정축zho44丁未|정미zho
15戊寅|무인zho城頭土|성두토zho45戊申|무신zho大驛土|대역토zho
16己卯|기묘zho46己酉|기유zho
17庚辰|경진zho白鑞金|백랍금zho47庚戌|경술zho釵釧金|차천금zho
18辛巳|신사zho48辛亥|신해zho
19壬午|임오zho楊柳木|양류목zho49壬子|임자zho桑柘木|상석목zho
20癸未|계미zho50癸丑|계축zho
21甲申|갑신zho泉中水|천중수zho51甲寅|갑인zho大溪水|대계수zho
22乙酉|을유zho52乙卯|을묘zho
23丙戌|병술zho屋上土|옥상토zho53丙辰|병진zho沙中土|사중토zho
24丁亥|정해zho54丁巳|정사zho
25戊子|무자zho霹靂火|벽력화zho55戊午|무오zho天上火|천상화zho
26己丑|기축zho56己未|기미zho
27庚寅|경인zho松柏木|송백목zho57庚申|경신zho石榴木|석류목zho
28辛卯|신묘zho58辛酉|신유zho
29壬辰|임진zho長流水|장류수zho59壬戌|임술zho大海水|대해수zho
30癸巳|계사zho60癸亥|계해zho



명리학에서는 오행의 상호작용 원리 중 역상극(逆相剋) 관계도 중요하게 다룬다. 모(侮)는 업신여긴다는 뜻으로, 상극(相剋)의 반대이며, 반극(反剋)하는 관계를 의미한다.

; 목허토모(木虛土侮)

: 나무가 흙의 양분을 제대로 흡수하지 못하고 약해지면, 오히려 흙의 기운이 나무를 압도하는 상태.

:; 토모목(土侮木)

: 흙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나무의 극(克)을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로 흙이 나무를 업신여기는 상태.

; 화허금모(火虛金侮)

: 불의 힘이 약하여 쇠를 녹이지 못하고 오히려 불이 꺼지는 상태.

:; 금모화(金侮火)

: 쇠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불의 극을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로 쇠가 불을 업신여기는 상태.

; 토허수모(土虛水侮)

: 흙의 힘이 약하여 물을 막거나 흡수하지 못하고 오히려 물에 쓸려 내려가는 상태.

:; 수모토(水侮土)

: 물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흙의 극을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로 물이 흙을 업신여기는 상태.

; 금허목모(金虛木侮)

: 쇠의 힘이 약하여 나무를 자르지 못하고 오히려 쇠(도구)가 부러지는 상태.

:; 목모금(木侮金)

: 나무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쇠의 극을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로 나무가 쇠를 업신여기는 상태.

; 수허화모(水虛火侮)

: 물의 힘이 약하여 불을 끄지 못하고 오히려 물이 증발해 버리는 상태.

:; 화모수(火侮水)

: 불의 기운이 지나치게 강하면, 물의 극을 받아들이지 않고 반대로 불이 물을 업신여기는 상태.

7. 6. 일본의 오행

일본에서는 오행을 五行|고교일본어라고 부른다. 5세기와 6세기 고분 시대에 중국에서 온 승려와 의사를 통해 도교, 중국 불교, 유교 등 다양한 사상과 함께 일본에 전해졌다. 이는 인도티베트 불교를 통해 전래되어 형태에 기반을 둔 고다이(五大) 이론과는 차이가 있으며, 일본 고유의 ''음양도''(陰陽道) 시스템으로 발전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오행 사상은 음양도에 직접적으로 적용되었다. 오행 이론은 일본의 침술과 전통 한방 의학에서도 널리 활용되었다.

중국의 영향을 받아 사계절에 중앙의 '토(土)'를 더한 오계절 시령(五季時令) 개념도 받아들여졌다. 이는 『관자』의 유관편, 사시편, 오행편, 『여씨춘추』 12기, 『예기』 월령 등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자』 사시편에서는 십간을 배당하여 '토'를 여름과 가을 사이에 두었고, 오행편에서는 각 계절을 72일로 나누었다. 이러한 오계절 시령은 이후 『회남자』 천문훈, 『사기』 천관서, 『한서』 율력지 등에서 계승되고 발전하였다.

일본에서는 중세 이후, 고사기일본서기에 기록된 신화를 오행설로 해석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여러 해석 중 기타바타케 지카후사가 저술한 신황정통기의 설이 비교적 잘 알려져 있다. 이 책에서는 수(水)의 덕을 지닌 신으로 구니노토코타치노미코토, 화(火)의 덕을 지닌 신으로 도요쿠모노노미코토, 목(木)의 덕을 지닌 신으로 우히지니노 미코토와 스히지니노 미코토, 금(金)의 덕을 지닌 신으로 오토노지노 미코토와 오토노베노 미코토, 토(土)의 덕을 지닌 신으로 오모다루노 미코토와 아야카시코네노 미코토를 언급한다. 이러한 해석은 주로 수호학(朱子學) 등 유학자나 음양사들 사이에서 논의되었다.

참조

[1] 논문 Editors' Introduction: Onmyodo in Japanese History
[2] 웹사이트 Yin-Yang and Five Agents Theory, Correlative Thinking http://www.chinaknow[...] 2011
[3] 논문 五行阴阳的特征与新英译 http://www.cjim.cn/z[...] 2000
[4] 논문 Fresh Translator of Zang Xiang Fractal five System 1999
[5] 논문 TCM Fractal Sets 中医分形集 1999
[6] 서적 Taoism and Science: Cosmology, Evolution, Morality, Health and more https://books.google[...] Ultravisum 2015
[7] 서적 Traditional Medicine in Contemporary China
[8] 서적 Five Spirits: Alchemical Acupuncture for Psychological and Spiritual Healing Lantern Books
[9] 웹사이트 Wuxing (Wu-hsing) https://iep.utm.edu/[...] 2023-04-30
[10] 서적 Traditional Medicine in Contemporary China
[11] 서적 Five Element Constitutional Acupuncture https://books.google[...] Elsevier Health Sciences 2010
[12] 서적 Science and Medicine in Chinese History Variorum
[13] AV media Lecture Room, CCTV-10
[14] 서적 Traditional Medicine in Contemporary China Center for Chinese Studies, The University of Michigan
[15] 서적 The Monkey and the Inkpot: Natural History and Its Transformations in Early Modern China https://books.googl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9
[16] 서적 Huang Di Nei Jing Su Wen: Nature, Knowledge, and Imagery in an Ancient Chinese Medical Tex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3
[17] 웹사이트 Chinese Five Elements Chart http://www.northerns[...]
[18] 웹사이트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In Depth https://nccih.nih.go[...] 2017-03-20
[19] 웹사이트 The TCM Organ Systems (Zang Fu) https://www.takingch[...] 2017-04-05
[20] 웹사이트 Five Elements Theory (Wu Xing) https://www.chineseh[...] 2019-10-27
[21] 웹사이트 five element acupuncture https://www.cancer.g[...] 2020-12-27
[22] 서적 The Roots of Accordance On the Unity of Biological, Ecological, and Sociopolitical Systems in the Huangdi Neijing Rainbow Toad Publishing House 2020-10-05
[23] 논문 Chinese Regional Stereotyp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5-12
[24] 웹사이트 Grue and bleen: the blue-green distinction and its implications https://languagelog.[...] 2019-10-04
[25] 서적 Early Chinese Work in Natural Science: A Re-examination of the Physics of Motion, Acoustics, Astronomy and Scientific Thoughts
[26] 논문 Legitimation Discourse and the Theory of the Five Elements in Imperial China https://www.academia[...]
[27] 논문 Traditional Japanese Kampo Medicine: Clinical Research between Modernity and Traditional Medicine—The State of Research and Methodological Suggestions for the Future 2011
[28] 웹사이트 Origins of the Godai Myо̄о̄ https://www.buddhist[...] 2024-06-17
[29] 서적 National Integration and Contested Autonomy: The Caribbean Coast of Nicaragua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1-01-01
[30] 웹사이트 《赵城金藏》研究 https://m.liaotuo.co[...]
[31] 문서 《台日大辭典》、小川尚義
[32] 서적 道教概論 世界文庫刊行会
[33] 서적 古代中国陰陽五行の研究 翰林書房
[34] 서적 諸子百家の事典 大修館書店
[35] 웹사이트 2023-03-29
[36] 서적 古代中国陰陽五行の研究 翰林書房 1996-03-15
[37] 문서 黄帝内経による。
[38] 서적 中国医学の思想的風土 潮出版社
[39] 서적 五行思想と禮記月令の研究 汲古書院 1972-03
[40] 서적 五行思想と禮記月令の研究 汲古書院 1972-03
[41] 서적 古代中国陰陽五行の研究 翰林書房 1996-03-15
[42] 서적 오행은 뭘까? 세기
[43] 간행물 '5행의 사상' 글로벌 세계 대백과
[44] 웹인용 八字命理 http://www.kaifook.c[...] 啟福閣風水命相研究社 2008-01-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