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마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마늘은 산에서 나는 나물류 중 유일하게 마늘 맛과 향을 내는 식물이다. 울릉도에서는 명이나물이라고도 불리며, 장아찌, 쌈, 튀김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마늘보다 효능이 뛰어나 해독, 동맥경화, 피로 회복 등에 효과가 있으며, 최근에는 항균 효과, 비타민 B 흡수 촉진, 혈당 강하 효과가 밝혀져 기능성 건강식품으로도 주목받고 있다. 잎은 1년에 한 개씩만 자라 상품으로 수확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며, 꽃이 피기 전 이른 봄에 수확한다. 잎의 흙과 불순물을 깨끗하게 씻어 손질하며, 랩으로 싸서 냉장 보관하거나 장아찌로 만들어 보관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상 희귀식물 - 한란
한란은 동아시아에 분포하며 겨울에 꽃을 피우는 난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녹색 바탕에 붉은색 줄무늬가 있는 꽃이 피고 관상 가치가 높아 동양란으로 인정받지만, 한국에서는 멸종 위기에 처해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 수목원·정원의 조성 및 진흥에 관한 법률상 희귀식물 - 문주란
문주란은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로, 여름에 흰색 향기로운 꽃을 피우며, 동아시아와 남아시아 온난 지역에 분포하고, 독성이 있어 섭취 시 주의해야 한다. - 부추속 - 삼채
삼채(*Allium hookeri*)는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 등에서 재배되는 식용 식물로, 대한민국에서는 건강식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 - 부추속 - 차이브
차이브는 유라시아 원산의 여러해살이풀 초본 식물로, 얇고 속이 빈 잎과 연한 보라색 꽃을 가지며 마늘과 비슷한 향을 내어 유럽 요리에 샐러드, 수프, 소스 등으로 활용된다. - 한국의 식물상 - 백일홍
백일홍은 멕시코 원산의 국화과 한해살이풀로, 6~10월에 다양한 색깔의 꽃을 피우며 관상용으로 널리 재배되고 오랜 개화 기간과 다양한 품종을 가진다. - 한국의 식물상 - 패랭이꽃
패랭이꽃은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로, 관상용으로 재배되며 6~8월에 흰색, 분홍색, 붉은색 꽃을 피우고 구맥이라고도 불린다.
| 산마늘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Allium microdictyon |
| 명명자 | Prokh. |
| 속 | Allium |
| 아속 | Allium subg. Anguinum |
| 학문적 분류 | |
| 계 | 식물계 |
| 미분류 문 | 속씨식물군 |
| 미분류 강 | 외떡잎식물군 |
| 목 | 비짜루목 |
| 과 | 수선화과 |
| 아과 | 부추아과 |
2. 생태 및 특징
산마늘은 산에서 나는 나물 중 유일하게 마늘 맛과 향이 나는 식물로, 울릉도에서는 춘궁기에 목숨을 이어준다 하여 명이나물이라고도 불린다.[1] 울릉도에서는 해발 800m 이상 지역에서 자생하며, 1994년 울릉도에서 반출되어 강원도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다.[1] 최근에는 구이류와 함께 먹는 수요가 늘면서 경상도 및 전라도 등에서도 재배를 시작했다.[1]
산마늘은 마늘과 비슷한 맛과 향을 가지며, 다양한 효능과 영양 성분을 함유하여 건강 기능성 식품 및 의약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중국에서는 '각총'이라 불리며 자양강장제 중 최고로 여겨진다.[1] 해독, 동맥경화, 이뇨, 당뇨, 피로 회복, 감기, 건위, 소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최근에는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효과, 인체 내 비타민 B 흡수 촉진, 항혈전 작용, 혈당 강하 효과 등이 밝혀지기도 했다.[1]
산마늘은 주로 장아찌로 많이 이용하며, 쌈, 튀김, 초무침, 샐러드 등 다양하게 요리에 이용된다.[1] 육류, 특히 돼지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 산마늘은 섬유질이 많아 장운동을 도와준다.[1] 마늘과 마찬가지로 항암작용을 하며, 스트레스와 만성피로 해소, 자양강장 효과도 있다.[1]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신은 비타민 B1을 활성화하고 항균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1]
산마늘은 잎 사이사이에 흙과 불순물이 있으므로 깨끗한 물에 여러 번 씻고, 줄기 끝부분은 제거해야 한다.[3] 산마늘 잎은 상온에서 하루만 지나도 상품성이 떨어지므로 랩으로 싸서 냉장고에 보관하고, 최대한 빨리 먹는 것이 좋다.[3] 삶아서 물기를 꼭 짠 뒤 냉동하면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며, 장아찌를 담그면 오랫동안 두고 먹어도 괜찮다.[3]
[1]
간행물
Allium microdictyon Prokh.
2023-04-03
산마늘은 주로 장아찌로 많이 이용하며, 쌈, 튀김, 초무침, 샐러드 등 다양하게 요리에 이용된다.[1] 중국에서는 '각총'이라 하여 자양강장제 중 최고로 치며, 해독, 동맥경화, 이뇨, 당뇨, 피로 회복, 감기, 건위, 소화 등에 약효가 있다.[1] 최근 식중독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인체 내 비타민 B 흡수 촉진 및 항혈전 작용, 혈당 강하 효과가 밝혀짐에 따라 기능성 건강식품 및 의약 원료로도 주목받고 있다.[1]
산마늘의 잎은 1년에 새순이 1개씩만 자라기 때문에 제대로 된 상품으로 수확하기 위해서는 4~5년은 기다려야 한다.[1] 또한 꽃이 필 경우 미량의 독성이 생기기 때문에 이른 봄, 꽃이 피기 전에 수확해야 한다.[1] 산마늘은 울릉도산과 강원도산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울릉도산은 잎이 넓고 둥근 반면 강원도산은 잎이 길고 좁은 것이 특징이다.[1]
산마늘은 섬유질이 많아 장운동을 도와주며, 돼지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다.[1] 마늘과 마찬가지로 항암 작용을 하며, 스트레스와 만성 피로 해소, 자양강장 효과도 있다.[1] 또한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신은 비타민 B1을 활성화하고 항균 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롤을 낮춰준다.[1]
산마늘의 비타민 E는 세포 노화를 방지하여 노화 예방에 효과가 있고, 비타민 A는 감기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며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고 시력을 보호한다.[1] 산마늘은 수확 후 하루 정도만 지나도 금방 시들기 때문에 산지를 제외하고는 생채로 만나기 힘들어, 대부분 장아찌로 가공, 유통된다.[1] 생채를 고를 때에는 잎이 수분감이 있고 짙은 녹색을 띤 것을 고른다.[1] 누렇게 변한 잎은 제거한다.[1]
최근 중국산 명이나물 장아찌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잎에 힘이 없고 길쭉하며 상처가 많고, 염도가 높으며 색이 녹색보다는 갈색빛을 띤다.[1] 반면 국산(울릉도산) 명이나물은 넓고 둥글며 두꺼운 잎을 가지고 있고, 색깔이 파릇하므로 구매 시 원산지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1]
3. 효능 및 영양
섬유질이 풍부하여 장운동을 돕고, 항암 작용, 스트레스 및 만성 피로 해소, 자양강장 효과가 있다.[1] 아미노산의 일종인 알리신은 비타민 B1을 활성화하고 항균 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을 준다.[1] 비타민 E는 세포 노화를 방지하여 노화 예방에 효과적이며, 비타민 A는 감기 저항력을 높이고 호흡기를 튼튼하게 하며 시력을 보호한다.[1]
특히, 산마늘은 육류, 그 중에서도 돼지고기와 궁합이 잘 맞는다고 알려져 있다.[1]
4. 활용
산마늘은 수확 후 하루 정도만 지나도 금방 시들기 때문에 산지를 제외하고는 생채로 만나기 힘든 식재이다.[1] 따라서 대부분 가공처리를 통하여 장아찌로 유통된다.[1] 생채를 고를 때에는 잎이 수분감이 있고, 짙은 녹색으로 된 것을 고른다.[1] 또한 누렇게 변한 이파리는 물러지고 맛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제거한다.[1]
최근 산나물의 높은 인기로 중국산 명이나물 장아찌가 많이 판매되고 있는데, 구매할 때 원산지를 꼼꼼히 따져보아야 한다.[1] 중국산 명이나물 장아찌는 잎에 힘이 없고, 길쭉한 모양새에 상처가 많다.[1] 또한 절임을 오래 보관하기 위해 염분을 많이 첨가하여 염도가 높고, 색이 녹색보다는 갈색빛을 띤다.[1] 국산(울릉도산) 명이나물은 넓고 둥글며 두꺼운 잎을 가지고 있고, 색깔이 파릇하다.[1]
5. 손질법
참조
[2]
논문
Molecular identification of Allium ochotense and Allium microdictyon using multiplex-PCR based on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3]
웹인용
산마늘
https://www.kogl.or.[...]
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20-04-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