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살타 (음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살타는 예멘에서 유래한 음식으로, 오스만 제국 지배 시기에 도입된 것으로 여겨진다. 고기 스튜인 마라끄에 매운 양념인 사하위끄, 쌀, 채소, 달걀 등을 넣고 끓인 후 훌바를 얹어 뚝배기와 비슷한 그릇에 뜨겁게 담아낸다. 얇은 빵인 물라와흐 또는 라슈시와 함께 먹으며, 뼈가 붙은 양고기나 쇠고기를 끓여 만든 마라크, 쌀로 지은 루즈, 토마토 페이스트인 사하위크, 헬바 페이스트 등이 주요 재료로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예멘 요리 - 쿠브즈
    쿠브즈는 중동 지역에서 널리 소비되는 납작빵의 일종으로, 지역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되어 랩, 샐러드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된다.
  • 예멘 요리 - 샤크슈카
    샤크슈카는 토마토, 고추, 양파 등으로 만든 소스에 달걀을 넣어 끓인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의 요리로, 16세기 콜럼버스의 교환 이후 토마토가 북아프리카에 소개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며, 다양한 향신료와 재료를 추가하여 여러 방식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특히 이스라엘에서는 국민 음식 중 하나로 여겨진다.
  • 스튜 - 할림
    할림은 10세기 바그다드에서 유래한 아랍 요리에서 발전하여 밀, 보리, 고기, 렌틸콩, 향신료를 오랜 시간 끓여 만든 음식으로, 특히 인도와 파키스탄에서 라마단과 무하람 기간에 인기가 있으며 지역별로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 스튜 - 페센잔
    페센잔은 호두, 다진 고기, 양파, 석류 페이스트 등으로 만들어지는 이란의 전통 스튜로, 고급 요리로 여겨지며 호두 품질에 따라 맛이 좌우된다.
  • 국민 음식 - 에마 다치
    에마 다치는 고추와 치즈를 주재료로 하는 부탄의 전통 요리로, 티베트 요리에서 유래하여 부탄에서 발전되었으며 다양한 종류가 있고 주로 붉은 쌀과 함께 제공되는 대표적인 음식이다.
  • 국민 음식 - 불고기
    불고기는 얇게 썬 쇠고기를 간장 양념에 재워 굽거나 끓여 먹는 한국의 대표 음식이며, 고구려 시대 맥적에서 유래되어 다양한 종류로 발전했다.
살타 (음식) - [음식]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살타 한 그릇
살타 한 그릇
종류스튜
주 재료마라끄, 훌바, 사하위끄(고추, 토마토, 마늘, 허브)
국가예멘
지역예멘, 인도네시아
영양 정보
열량알 수 없음

2. 역사

살타는 오스만 제국예멘을 지배하던 시기에 전래된 요리로 여겨진다. 당시 예멘은 오스만 제국의 통치 아래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음식 문화를 비롯한 여러 문화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다.

2. 1. 사회적 배경

예멘에서는 전통적으로 식사는 주로 가정에서 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여성이 밖에서 식사하는 것을 꺼리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 때문에, 뜨겁게 달군 돌 냄비에 담아 전문점에서 주로 제공되는 살타는 독신 남성이나 식사를 스스로 준비하기 어려운 남성들이 주로 찾는 음식이 되었다. 그러나 돌 냄비는 예멘 가정이라면 대개 갖추고 있어, 여성들도 가정에서 직접 살타를 만들어 맛볼 수 있다.

3. 조리법

살타는 고기 스튜마라끄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진다. 여기에 매운 양념인 사하위끄, 이나 감자, 채소, 달걀 등을 넣고 끓이다가, 마지막에 훌바를 얹어 완성한다.[1] 조리는 뚝배기와 비슷한 '마클라'라는 돌 냄비를 뜨겁게 달군 후, 준비된 재료들을 순서대로 넣어 끓이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2] 완성된 살타는 매우 뜨거운 상태로 제공되며, 물라와흐나 라슈시 같은 납작빵을 이용해 떠먹는 것이 일반적이다.[1]

3. 1. 재료

살타를 만드는 데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된다. 주요 재료는 다음과 같다.

살타는 보통 물라와흐나 라슈시라고 불리는 납작빵과 함께 먹는다.

3. 2. 만드는 방법

고기 스튜의 일종인 마라끄와 매운 양념인 사하위끄, 밥, 고기, 훌바 등을 준비하여 만든다.

'''재료 준비'''

  • '''헬바 페이스트''': 콩과 향신료인 헬바(fenugreek|페누그릭eng)의 씨앗을 물에 불려 페이스트 형태로 만든 훌바이다.
  • '''마라크''': 뼈가 붙은 양고기쇠고기를 끓여서 건더기가 없는 수프를 만든다. 이를 마라끄라고 부른다.
  • '''루즈''': 인디카 쌀에 물을 더해가며 끓이고 소금과 기름을 넣어 부드러운 밥을 짓는다. 이 밥을 '루즈'라고 부른다.
  • '''사하위크''': 토마토, 마늘, 소금, 향신료를 믹서에 갈아 토마토 페이스트를 만든다. 이를 사하위끄라고 부른다.


'''조리 과정'''

재료가 준비되면 마클라(돌 냄비)를 뜨겁게 달군다. 충분히 달궈진 돌 냄비에 마라크(수프)를 조금 붓고, 달걀을 깨서 넣어 섞는다. 그 위에 루즈(밥), 사하위크(토마토 페이스트), 고기를 차례로 올린다. 마지막으로 헬바 페이스트(훌바)를 뿌려 완성한다.

'''먹는 방법'''

살타는 뚝배기와 비슷한 그릇에 담아 매우 뜨거운 상태로 제공된다. 물라와흐나 라슈시라고 불리는 납작빵을 이용하여 뜨거운 살타를 손으로 떠먹는다.

4. 사진

참조

[1] 웹사이트 Saltah https://www.196flavo[...] 2015-11-22
[2] 뉴스 "[강주미의 살람, 중동] <13> 흙으로 빚은 ‘도시의 절정’ 사나" https://www.segye.co[...] 세계일보 2013-01-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