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위일체 대축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위일체 대축일은 기독교의 축일로,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한다. 초기 교회에서는 특별한 기념일이 없었으나, 아리우스 이단에 대응하여 삼위일체를 위한 미사 경본이 준비되었다. 요한 22세 교황에 의해 오순절 다음 첫 번째 일요일에 전체 교회를 위한 축일로 제정되었고, 비오 10세 교황에 의해 1등급 주요 축일로 격상되었다. 서방 기독교에서는 로마 가톨릭, 성공회, 루터교, 감리교 등에서 기념하며,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오순절 주일 자체를 '성 삼위일체 주일'로 부른다. 삼위일체 대축일은 부활절로부터 8주 후인 오순절 다음 주 일요일에 지켜지며,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는 이 축일을 기념하는 칸타타를 작곡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독교 둘러보기 상자 - 성금요일
    성금요일은 예수 그리스도가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날을 기념하는 기독교의 날로, 부활절 전 금요일에 해당하며, 금식과 회개, 예수의 수난과 죽음을 묵상하는 날로 지켜진다.
  • 기독교 둘러보기 상자 - 복음사가 마르코
    복음사가 마르코는 마르코 복음서의 저자로 여겨지며 베드로의 제자이자 통역관으로 알려져 있고, 콥트 정교회에서는 알렉산드리아 교회의 설립자이자 초대 주교로 공경받지만, 현대 성서학계에서는 저자에 대한 이견이 있다.
  • 5월의 세시 -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은 가톨릭교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성체성사 제정을 기념하는 중요한 축일로, 줄리아나 드 코르니용의 노력과 교황 우르반 4세의 제정을 거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이 미사와 성체 행렬,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가 작곡한 찬미가 등을 통해 기념하며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 5월의 세시 - 소만
    소만은 만물이 성장하는 시기로, 음력 4월, 양력 5월 21일 또는 22일 무렵이며, 모내기 준비와 보리 수확 등 농사일이 바쁘게 진행되는 시기이다.
  • 6월의 세시 -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은 가톨릭교회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성체성사 제정을 기념하는 중요한 축일로, 줄리아나 드 코르니용의 노력과 교황 우르반 4세의 제정을 거쳐 전 세계 가톨릭 신자들이 미사와 성체 행렬,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가 작곡한 찬미가 등을 통해 기념하며 많은 국가에서 공휴일로 지정되었다.
  • 6월의 세시 - 하지
    하지는 북반구에서 낮이 가장 길고 밤이 가장 짧은 날로, 천문학적으로 중요한 절기이며 여름의 절정을 의미하고, 기온 상승과 장마 시작, 백야 현상과 함께 다양한 풍습과 음식 문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삼위일체 대축일
기본 정보
'축복받은 삼위일체와 왕관', 막스 퓌르스트(1846–1917) 유화 패널
종류기독교
준수자서방 기독교
날짜오순절 다음 주일
빈도매년
관련오순절
그리스도의 성체 성혈 대축일
날짜 (2023년)2023년 6월 4일 (서방)
2023년 6월 11일 (동방)
날짜 (2024년)2024년 5월 26일 (서방)
2024년 6월 23일 (동방)
날짜 (2025년)2025년 6월 15일 (서방)
2025년 6월 22일 (동방)
날짜 (2026년)2026년 5월 31일 (서방)
2026년 6월 7일 (동방)
추가 정보
라틴어Sanctissimae Trinitatis Sollemnitas
축일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대축일
다른 이름없음
일정없음
축제없음
행사미사
신학적 배경
설명기독교의 삼위일체 교리를 기념하는 날
참조http://www.bbc.co.uk/religion/religions/christianity/beliefs/trinity_1.shtml

2. 역사

초기 교회에는 삼위일체를 위한 특별한 미사 경본이나 기념일이 없었다. 아리우스 이단 확산 후 교부들은 미사 경본을 준비했고, 그레고리오 대교황 전례서에는 관련 기도문 등이 있었다. 중세, 특히 카롤링거 시대에는 삼위일체 신심이 중요했다.[7] 미크롤로지에는 리에주 주교 스테파누스가 작곡한 삼위일체 미사 경본이 언급된다. 알렉산데르 2세는 특별 축일 제정을 거절했지만, 프란치스코회의 존 펙햄이 새 미사 경본을 만들었다.

요한 22세는 오순절 다음 첫 일요일에 전체 교회를 위한 삼위일체 대축일을 제정했고, 비오 10세는 1911년 7월 24일 1등급 주요 축일로 격상했다. 삼위일체 교리가 오순절 이후 선포되었기에, 축일은 오순절 다음에 이어진다.

2. 1. 초기 역사와 발전

초기 교회에서는 삼위일체를 위한 특별한 미사 경본이나 기념일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 아리우스 이단이 퍼져나가자 교부들은 일요일에 바칠 성가, 응답송, 서품 기도, 찬송가가 포함된 미사 경본을 준비했다. 그레고리오 대교황의 미사 전례서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기도와 서품 기도가 들어 있었다. 중세 시대, 특히 카롤링거 시대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신심이 사적인 신심의 중요한 특징이었으며 여러 전례적 표현에 영감을 주었다.[7] 일요일은 전통적으로 삼위일체께 봉헌된다.

미크롤로지는 그레고리오 7세 교황 재위 시절에 쓰여졌는데, 오순절 다음 일요일을 위한 특별한 미사 경본은 언급하지 않지만, 어떤 곳에서는 리에주 주교 스테파누스(903–920)가 작곡한 삼위일체 미사 경본을 바쳤다고 덧붙인다. 다른 곳에서는 대강절 전 일요일에 미사 경본을 바쳤다. 알렉산데르 2세(1061–1073) 교황은 그러한 축일이 매일 “영광송” 등을 통해 삼위일체를 공경하는 로마 교회의 관습에 없다는 이유로 특별 축일 청원을 거절했지만, 이미 존재하는 곳에서의 축일 거행은 금지하지 않았다. 프란치스코회의 존 펙햄이 새로운 미사 경본을 만들었다.

2. 2. 축일 제정

초기 교회에서는 삼위일체를 위한 특별한 미사 경본이나 기념일이 정해져 있지 않았다. 아리우스 이단이 퍼져나가자 교부들은 일요일에 바칠 성가, 응답송, 서품 기도, 찬송가가 포함된 미사 경본을 준비했다. 그레고리오 대교황의 미사 전례서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기도와 서품 기도가 들어 있다. 중세 시대, 특히 카롤링거 시대에는 삼위일체에 대한 신심이 사적인 신심의 중요한 특징이었으며 여러 전례적 표현에 영감을 주었다.[7] 일요일은 전통적으로 삼위일체께 봉헌된다.

미크롤로지는 그레고리오 7세 교황 재위 시절에 쓰여졌는데, 오순절 다음 일요일을 위한 특별한 미사 경본은 언급하지 않지만, 어떤 곳에서는 리에주 주교 스테파누스(903–920)가 작곡한 삼위일체 미사 경본을 바쳤다고 덧붙인다. 다른 곳에서는 대강절 전 일요일에 미사 경본을 바쳤다. 알렉산데르 2세(1061–1073) 교황은 그러한 축일이 매일 “영광송” 등을 통해 삼위일체를 공경하는 로마 교회의 관습에 없다는 이유로 특별 축일 청원을 거절했지만, 이미 존재하는 곳에서의 축일 거행은 금지하지 않았다. 프란치스코회의 존 펙햄이 새로운 미사 경본을 만들었다.

요한 22세(1316–1334) 교황은 오순절 다음 첫 번째 일요일에 전체 교회를 위한 축일을 명령하고 이를 2등급 중복 축일로 제정했다. 비오 10세 교황에 의해 1911년 7월 24일 1등급 주요 축일로 격상되었다. 삼위일체의 교리는 오순절 이후 첫 번째 큰 오순절 이후 세상에 선포되었기 때문에, 이 축일은 오순절 축일 다음에 이어지는 것이 적절하다.

3. 서방 기독교

루카 로세티 다 오르타의 프레스코화 ''성 삼위일체'', 1738~1739년 (이브레아의 산 가우덴치오 교회, 토리노)


성삼일 주일은 로마 가톨릭교회, 성공회,[2] 루터교,[3] 장로교,[4] 그리스도 연합 교회,[5] 감리교[6] 등 서방 전례 교회에서 기념하는 축일이다.

3. 1. 로마 가톨릭 교회

천주교에서는 공식적으로 “성삼위일체 대축일”로 알려져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개혁 이전에는 이 날이 3주간의 기간의 끝을 알리는 날이었는데, 이 기간 동안에는 교회 결혼식이 금지되었다. 이 기간은 로가티오 주일(부활절 이후 다섯 번째 주일)에 시작되었다. 규정된 전례색은 흰색이다.[8]

전통적인 성무일도에서는 이 날 프리마 기도 시간에 아타나시우스 신경(''Quicumque vult'')을 봉독한다. 1960년 이전에는 주현절과 오순절 이후 팔일 축제 기간에 해당되지 않거나 이중 등급 이상의 축일이 거행되거나 기념되지 않는 모든 주일에 봉독되었고, 삼위일체 주일에도 봉독되었다. 1960년 개혁 이후로는 이 주일에만 1년에 한 번 봉독하도록 축소되었다.

1962년 미사전례서에서는 오순절 후 첫 번째 주일 미사는 주일에 봉헌하거나 기념하지 않는다 (삼위일체 주일 때문에 영구적으로 방해를 받음). 하지만 평일 미사가 봉헌될 경우 주중에 사용된다.[8]

삼위일체 주일 다음 목요일은 성체 성혈 축일로 지낸다. 미국[8], 캐나다, 스페인을 포함한 일부 국가에서는 신자들이 미사에 참례하고 축일을 기념할 가능성이 더 높은 다음 주일에 축일을 기념하기도 한다.

3. 2. 성공회

토마스 베케트는 오순절 다음 주일에 캔터베리 대주교로 서임되었다. 그의 순교는 영국에서 이 축일의 인기를 높이는 데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이 관습은 캔터베리에서 서구 기독교 세계 전체로 퍼져나갔다.[10]

아타나시우스 신경은 자주 사용되지는 않지만, 특히 고교파 성향의 특정 성공회 교회에서 낭송된다. 영국 성공회의 1662년 공동기도서는 특정 주일에 조례 (성삼일 주일 포함)에서 아타나시우스 신경을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많은 현대 성공회 기도서에도 실려 있다.[11] 1979년 미국 성공회 공동기도서의 역사적 문서 섹션에도 있지만, 그 사용이 기도서 예문에 특별히 규정되어 있지는 않다.

앵글로-가톨릭 교회 성향을 가진 교구들은 교회력을 따르는데, 성체 성혈 축일이 그 다음 목요일 또는 어떤 경우에는 그 다음 주일에 지켜진다.[12]

3. 3. 루터교

루터교 예배에서 특징적인 부분은 삼위일체 주일에 아타나시우스 신경을 아침기도 중에 낭송하는 것이다.[9] 미사 중에는 니케아 신경을 대신하기도 한다.[9] 이 내용은 루터교 예배서, 루터교 예배에 명시되어 있다.[9]

3. 4. 감리교

전통적인 감리교에서 사용하는 교회와 가정을 위한 예배서(1965)는 성삼위일체 주일에 다음과 같은 기도문을 제공한다.[13]

: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나님, 참된 믿음을 고백함으로써 우리 종들에게 은혜를 주시고, 영원하신 삼위일체의 영광을 인정하며, 신성한 위엄의 능력으로써 하나됨을 경배하게 하셨나이다. 저희를 이 믿음에 굳게 지키시고, 영원히 모든 역경으로부터 저희를 보호하시옵소서. 한 분 하나님으로서 살아 계시고 통치하시는 주님, 영원 무궁하옵소서. '''아멘.'''[13]

: 전능하시고 영원하신 하나님,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으로 당신 자신을 계시하시고, 완전한 사랑의 하나됨으로 영원히 살아 계시고 통치하시는 하나님이시여. 저희가 이 믿음을 항상 굳건히 기쁘게 붙잡고, 당신의 신성한 위엄을 찬양하며 살아가게 하시고, 마침내 당신 안에서 하나 되게 하옵소서. 한 분 하나님이신 세 위격으로 영원 무궁하옵소서. '''아멘.'''[13]

4. 동방 기독교

동방 정교회와 동방 가톨릭 교회에서는 오순절 주일 자체를 ''성 삼위일체 주일''이라고 부른다(오순절 다음 주일은 만 성도 주일이다). 오순절 다음 월요일은 ''성령 강림 월요일''이라고 부르며, 그 다음 날은 ''성 삼위일체 셋째 날''이라고 부른다. 동방 교회의 관례에서는 오순절과 그 사후 축제에 녹색을 사용한다.[14]

안드레이 루블료프의 ''성 삼위일체''. 아브라함의 환대를 주제로 삼았다. 세 천사는 상징적으로 삼위일체를 나타내는데, 비잔틴 미술에서는 삼위일체를 직접적으로 묘사하는 경우가 드물다.

5. 날짜

삼위일체 대축일은 오순절 다음 주 일요일이며, 부활절 일요일로부터 8주 후이다. 가장 빠른 날짜는 5월 17일(1818년과 2285년)이고, 가장 늦은 날짜는 6월 20일(1943년과 2038년)이다.

성삼위일체 대축일 날짜
연도서방 교회동방 교회
2017년6월 11일6월 4일
2018년5월 27일5월 27일
2019년6월 16일6월 16일
2020년6월 7일6월 7일
2021년5월 30일5월 30일
2022년6월 12일6월 12일
2023년6월 4일6월 4일
2024년5월 26일5월 26일
2025년6월 15일6월 15일
2026년5월 31일5월 31일
2027년5월 23일5월 23일
2028년6월 11일6월 11일
2029년5월 27일5월 27일
2030년6월 16일6월 16일
2031년6월 8일6월 8일


6.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의 칸타타

요한 제바스티안 바흐칸타타를 여러 편 작곡했는데, 그중 성삼위일천주일에 맞춰 작곡한 칸타타도 있다. 현재까지 전해지는 작품 중 세 편은 ''O heilges Geist- und Wasserbad'', BWV 165, ''Es ist ein trotzig und verzagt Ding'', BWV 176, ''Gelobet sei der Herr, mein Gott'', BWV 129이다. ''Höchsterwünschtes Freudenfest'', BWV 194 칸타타는 슈퇴름탈의 교회와 오르간 봉헌식을 위해 작곡되었으며, 성삼위일천주일을 기념하여 라이프치히에서 다시 연주되었다. 처음 연주된 것은 1724년 6월 4일이며, 1726년에는 단축된 버전이, 1731년에는 완전한 버전이 연주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Christianity: The Trinity http://www.bbc.co.uk[...] 2016-05-20
[2] 웹사이트 Trinity Sunday in the United Kingdom https://www.timeandd[...] 2019-11-30
[3] 웹사이트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rinity Sunday http://www.stpaulski[...]
[4] 웹사이트 Trinity Sunday {{!}} The Christian Year https://www.presbyte[...] 2019-11-30
[5] 웹사이트 Trinity Sunday http://www.ucc.org/w[...]
[6] 웹사이트 Trinity Sunday/First Sunday after Pentecost http://www.umcdiscip[...] United Methodist Church Discipleship Ministries 2016-03-17
[7] 웹사이트 Library : Directory on Popular Piety and the Liturgy: Principles and Guidelines http://www.catholicc[...] 2019-11-30
[8] 웹사이트 Liturgical Calendar http://www.usccb.org[...] 2019-11-30
[9] 서적 Introduction to Christian Liturgy Fortress Press 2012
[10] 웹사이트 Trinity Sunday https://www.episcopa[...]
[11] 서적 A Manual of Catholic Devotion: For Members of the Church of England https://books.google[...] Church Literature Association
[12] 웹사이트 The Day of Thanksgiving for the Institution of Holy Communion (Corpus Christi) https://www.churchof[...] Church of England
[13] 서적 The Book of Worship for Church and Home: With Orders of Worship, Services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Sacraments and Other Aids to Worship According to the Usages of the Methodist Church https://books.google[...] Methodist Publishing House 2017-03-25
[14] 웹사이트 Цвета церковных облачений https://foma.ru/tsve[...] Православный журнал «Фома» 2024-06-22
[15] 서적 Anniversaries and holiday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