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삼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삼출액은 순환계에서 병변 또는 염증 부위로 여과되는 체액을 의미하며, 고름이나 맑은 액체 형태를 띨 수 있다. 삼출액은 염증으로 인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발생하며, 누출액과는 비중, 단백질 함량, LDH 등의 기준으로 구분된다. 삼출액의 종류로는 화농성, 섬유성, 카타르성, 장액성, 악성 삼출액 등이 있으며, 상처에서 나오는 삼출액은 장액성, 장액혈성, 혈성, 출혈성, 화농성 등으로 분류된다. 식물에서는 수액, 검, 라텍스, 수지 등이 삼출물로 나타나며, 뿌리 점액은 근권으로 다양한 화합물을 삼출하여 식물과 미생물에 이점을 제공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체액 - 구토
    구토는 다양한 원인으로 위장 내용물이 입을 통해 배출되는 반사 작용으로, 메스꺼움을 동반하거나 탈수와 같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토사물의 색깔과 성분은 원인 질환 진단에 중요한 단서가 된다.
  • 체액 - 정액
    정액은 남성의 생식 기관에서 생성되는 액체로, 정자와 정장으로 구성되며, 여성 생식 기관 내에서 정자에 영양을 공급하고 보호하며, 정액의 질은 수정 능력을 나타낸다.
  • 심장혈관생리학 - 심박수
    심박수는 1분 동안 심장이 뛰는 횟수를 나타내는 지표로, 신체의 산소 요구량, 자율신경계, 호르몬 등의 영향을 받아 변하며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 데 활용된다.
  • 심장혈관생리학 - 정맥
    정맥은 폐정맥을 통해 산소가 풍부한 혈액을 심장으로 운반하고, 전신 정맥을 통해 산소가 고갈된 혈액을 심장으로 되돌리는 혈관계이며, 정맥판을 가지고 혈액 역류를 방지하고, 심장 수축, 골격근 펌프, 호흡 펌프 작용으로 심장으로 혈액을 귀환시키며, 정맥 혈전증, 문맥 고혈압, 정맥염 등의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삼출
일반 정보
정의모공이나 상처를 통해 나오는 액체
어원라틴어 "exsūdāre"(밖으로 땀을 흘리다)에서 유래
"ex-"(밖으로) + "sūdāre"(땀을 흘리다)
의학적 분류
삼출액혈관에서 조직이나 체강으로 새는 고단백 액체. 염증이나 감염의 징후일 수 있음.
누출액혈관에서 조직이나 체강으로 새는 저단백 액체. 혈관 투과성 변화보다는 정수압 또는 삼투압의 변화로 인해 발생함.
삼출액의 종류
장액성맑고 묽은 액체
섬유소성섬유소를 다량 함유한 액체
화농성 (고름)백혈구, 세균, 세포 찌꺼기 등을 함유한 걸쭉한 액체
출혈성 (혈액성)혈액을 함유한 액체
삼출 과정
설명조직이나 혈관에서 액체가 스며 나오는 과정
관련 용어삼출 (渗出): 액체가 스며 나오는 현상
누출 (漏出): 액체가 새어 나오는 현상
식물
설명수액, 라텍스, 수지 등 식물에서 분비되는 다양한 액체
상처 치유, 보호 등의 역할 수행
예시아카시아 수지

2. 의학적 관점

의학적으로 '''삼출'''은 염증 반응의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이다. 병변이나 염증 부위에서는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장 성분과 세포(주로 백혈구)가 혈관 밖으로 이동하는데, 이렇게 생성된 체액을 '''삼출액'''이라 부른다.[5] 삼출액은 그 성상(맑거나 고름 형태 등)과 포함된 성분(혈청, 피브린 등)을 통해 염증의 종류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준다.

2. 1. 정의

'''삼출액'''(Exudate영어)은 순환계에서 병변이나 염증 부위로 스며 나오는 모든 체액을 의미한다. 이 액체는 고름처럼 탁할 수도 있고, 맑을 수도 있다. 몸에 상처가 생겨 피부가 외부로 노출되면, 혈관에서 주변 조직으로 삼출액이 새어 나오게 된다. 이 체액은 주로 혈청, 피브린, 그리고 백혈구로 구성되어 있다.[5] 삼출액은 베인 상처 부위나 감염 또는 염증이 있는 부위에서 나올 수 있다.

삼출액과 누출액(Transudate) 사이에는 중요한 차이점이 있다. 누출액은 염증 때문이 아니라, 정수압이나 교질 삼투압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하며 염증에 의해 발생하지 않는다. 누출액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낮다. 삼출액과 누출액의 의학적 구분은 추출된 체액의 비중 측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비중은 체액의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비중이 높을수록 모세혈관 혈관 투과성 변화가 체강과 관련될 가능성이 더 크다. 예를 들어, 누출액의 비중은 일반적으로 1.012 미만이고 단백질 함량은 2 g/100 mL 미만이다. 리발타 검사는 누출액과 삼출액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삼출액 vs. 누출액
누출액삼출액
주요 원인↑ 정수압,
↓ 교질 삼투압
염증 - 증가된
혈관 투과성
외관맑음[5]흐림[5]
비중< 1.012> 1.020
단백질 함량< 2.5 g/dL> 2.9 g/dL[6]
체액 단백질/혈청 단백질< 0.5> 0.5[7]
SAAG =
혈청 알부민 - 삼출액 알부민
> 1.2 g/dL< 1.2 g/dL[8]
체액 LDH/혈청 LDH 상한치< 0.6 또는 < 2/3> 0.6[6] 또는 > 2/3[7]
콜레스테롤 함량< 45 mg/dL> 45 mg/dL
CT 스캔의 방사선 밀도2~15 HU[9]4~33 HU[9]



삼출액은 그 성상과 원인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눌 수 있다.


  • '''화농성(고름성) 삼출액''': 살아있거나 죽은 호중구, 피브리노겐, 그리고 괴사된 실질 세포가 포함된 혈장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종류의 삼출액은 더 심각한 감염 상태에서 나타나며, 흔히 고름이라고 불린다. 상처에서 나오는 배액이 노란색, 회색 또는 녹색을 띠며 악취가 나는 경우 화농성 배액으로, 감염의 징후이다.
  • '''섬유성 삼출액''': 주로 피브리노겐피브린으로 이루어져 있다. 류마티스 심장염의 특징적인 소견이지만, 연쇄상구균 인두염이나 세균성 폐렴과 같은 다른 심각한 부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섬유성 염증은 피브린이 차지했던 공간으로 혈관이 자라 들어가는 경우가 많아 치료가 어려울 수 있으며, 종종 많은 양의 항생제가 필요하다.
  • '''카타르성 삼출액''': 코와 목에서 주로 관찰되며, 점액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장액성 삼출액''': 일반적으로 단백질 함량이 비교적 낮은 경미한 염증에서 관찰된다.[10] 혈청과 비슷한 묽은 형태이며, 결핵과 같은 특정 질병 상태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상처에서 나오는 맑고 짚색을 띤 액체는 장액성 배액으로, 정상적인 치유 과정의 일부이다.
  • '''장액혈성 배액''': 장액성 삼출액에 소량의 혈액이 섞여 분홍색을 띤다. 장액성 배액에 적혈구가 섞인 것으로, 이 역시 정상적인 치유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 '''혈성 배액''': 혈관 손상으로 인해 붉은 피가 포함된 배액. 상처를 소독하거나 세척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정상적인 상태는 아니다.
  • '''출혈성 배액''': 혈관 누출로 인해 선명한 혈액이 나오는 경우. 출혈을 멈추기 위한 응급 처치가 필요하며, 비정상적인 상태이다.
  • '''악성(암성) 삼출액''': 암 세포가 포함된 삼출액을 말한다.[11] 흉막 삼출 등에서 발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삼출액으로 분류된다.


염증 초기 단계에서는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나가지 않는 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 혈액 성분들이 혈관 밖으로 유출된다. 이것이 삼출액의 단백질 농도가 높은 이유이다. 병적인 상태에서 부종이 관찰될 때,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에서 삼출액이 관찰될 수 있다.

식물에서 삼출액과 누출액의 차이점이 구분되는지 여부는 불분명하다.

2. 2. 종류

삼출액은 순환계에서 병변이나 염증 부위로 스며 나오는 모든 체액을 의미하며, 고름처럼 탁하거나 맑은 액체일 수 있다. 부상으로 피부가 손상되면 혈관에서 주변 조직으로 삼출액이 나오는데, 이 액체는 주로 혈청, 피브린, 백혈구로 구성된다. 절개 부위, 감염 부위, 염증 부위 등에서 삼출액이 나올 수 있다.

삼출액의 주요 종류는 다음과 같다.

  • '''화농성 삼출액'''(고름): 살아있거나 죽은 호중구, 피브리노겐, 괴사된 조직 세포가 포함된 혈장으로 이루어진다. 심각한 감염 시 나타나며 흔히 '고름'이라고 부른다.
  • '''섬유성 삼출액''': 주로 피브리노겐피브린으로 구성된다. 류마티스열로 인한 심장염의 특징적인 소견이지만, 연쇄상구균 인두염이나 세균성 폐렴과 같은 심각한 손상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섬유성 염증은 혈관이 삼출액으로 자라나 피브린이 있던 공간을 채우면서 해결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치료를 위해 많은 양의 항생제가 필요할 수 있다.
  • '''카타르성 삼출액''': 코나 목에서 관찰되며, 점액 함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 '''장액성 삼출액''': 비교적 단백질 함량이 적고 경미한 염증에서 주로 나타난다.[10] 혈청과 비슷한 묽은 형태이며, 결핵과 같은 특정 질병 상태에서 관찰될 수 있다.
  • '''악성 삼출액''': 암 세포가 포함된 삼출액으로, 주로 흉막 삼출 형태로 나타난다.[11] 일반적으로 삼출액으로 분류된다.


상처에서 관찰되는 배액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도 있다.

  • '''장액성 배액''': 맑고 옅은 노란색을 띠는 액체로, 정상적인 치유 과정에서 나타난다.
  • '''장액혈성 배액''': 소량의 혈액이 섞여 분홍색을 띠는 배액으로, 정상적인 치유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다.
  • '''혈성 배액''': 혈관 손상으로 인해 붉은 피가 포함된 배액으로, 상처 세척 중 발생할 수 있으며 비정상적인 소견이다.
  • '''출혈성 배액''': 혈관 누출로 인해 선명한 혈액이 나오는 상태로, 출혈을 멈추기 위한 응급 처치가 필요하며 비정상적인 소견이다.
  • '''화농성 배액''': 노란색, 회색, 녹색 등을 띠며 악취가 날 수 있다. 이는 감염의 징후이다.


삼출액 vs. 누출액
누출액삼출액
주요 원인↑ 정수압,
↓ 교질 삼투압
염증 - 증가된
혈관 투과성
외관맑음[5]흐림[5]
비중< 1.012> 1.020
단백질 함량< 2.5 g/dL> 2.9 g/dL[6]
체액 단백질/
혈청 단백질
< 0.5> 0.5[7]
SAAG =
혈청 알부민 - 체액 알부민
> 1.2 g/dL< 1.2 g/dL[8]
체액 LDH/
혈청 상한치
< 0.6 또는 < 2/3> 0.6[6] 또는 > 2/3[7]
콜레스테롤 함량< 45 mg/dL> 45 mg/dL
CT 스캔의 방사선 밀도2~15 HU[9]4~33 HU[9]



삼출액과 누출액은 발생 원인과 성분에서 중요한 차이가 있다. 누출액은 정수압 증가나 교질 삼투압 감소 등 압력 변화에 의해 발생하며 염증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 반면 삼출액은 염증 반응으로 인해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이 때문에 삼출액은 누출액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다. 의학적으로는 채취된 체액의 비중을 측정하여 둘을 구분하는데, 비중이 높을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고 염증성 변화일 가능성이 크다. 예를 들어, 누출액의 비중은 보통 1.012 미만이고 단백질 함량은 2 g/100 mL 미만이다. 리발타 검사도 누출액과 삼출액을 구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염증 초기에는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증가한다. 이로 인해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 혈액 성분들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것이 삼출액의 단백질 농도가 높은 이유이다.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 병적인 상태에서 부종과 함께 삼출액이 관찰될 수 있다.

식물에서도 삼출액과 누출액의 구분이 명확한지는 불분명하다.

2. 3. 누출액과의 감별

삼출액과 누출액은 발생 원인과 성상에서 중요한 차이를 보인다.[7] 삼출액은 주로 염증 반응으로 인해 모세 혈관의 혈관 투과성이 증가하여 혈관 내 성분, 특히 단백질과 세포가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생성된다.[6][7] 반면, 누출액은 염증과는 무관하게 정수압의 증가나 교질 삼투압의 감소와 같은 물리적인 압력 변화로 인해 체액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와 만들어진다.[5]

염증 초기에는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높아져,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비교적 큰 분자의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 혈액 성분이 혈관 밖으로 유출된다. 이 때문에 삼출액은 누출액에 비해 단백질 농도가 높고 세포 성분도 더 많이 포함하는 경향이 있다.

이 둘을 의학적으로 감별하는 것은 중요하며, 주로 채취된 체액의 성상과 여러 생화학적 지표를 통해 이루어진다. 대표적으로 체액의 비중 측정이 사용되는데, 이는 단백질 함량을 간접적으로 반영한다. 비중이 높을수록 단백질 함량이 높음을 의미하며, 이는 모세혈관 투과성 변화와 관련될 가능성이 크다. 일반적으로 삼출액의 비중은 1.020 이상, 누출액은 1.012 미만이다. 단백질 농도 자체도 중요한 지표로, 삼출액은 보통 2.9 g/dL 이상, 누출액은 2.5 g/dL 미만이다.[6] 리발타 검사 역시 누출액과 삼출액을 감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삼출액과 누출액의 주요 감별점은 아래 표와 같다.

삼출액 vs. 누출액
삼출액누출액
주요 원인염증 - 증가된
혈관 투과성
↑ 정수압
↓ 교질 삼투압
외관흐림[5]맑음[5]
비중> 1.020< 1.012
단백질 함량> 2.9 g/dL[6]< 2.5 g/dL
체액 단백질/
혈청 단백질
> 0.5[7]< 0.5
SAAG =
혈청 [알부민] - 체액 [알부민]
< 1.2 g/dL[8]> 1.2 g/dL[8]
체액 LDH /
혈청 LDH 상한치
> 0.6[6] 또는 > [7]< 0.6 또는 <
콜레스테롤 함량> 45 mg/dL< 45 mg/dL
CT 스캔의 방사선 밀도4~33 HU[9]2~15 HU[9]



병적인 상태에서 부종이 관찰될 때,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에서는 삼출액이 관찰되는 경우가 많다.

3. 발생 기전

염증 초기 단계에서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증가하면서 삼출액이 발생한다.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잘 빠져나가지 않는 혈장 단백질(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 등)을 포함한 혈액 성분들이 혈관 밖 조직으로 유출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삼출액은 단백질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이다.

삼출액은 순환계에서 병변이나 염증 부위로 스며 나오는 모든 체액을 의미하며, 상처 부위나 감염 부위에서 관찰될 수 있다. 그 성분은 주로 혈청, 피브린, 백혈구로 이루어져 있으며, 맑거나 고름처럼 탁한 형태를 띨 수 있다. 병적인 상태에서 부종이 나타나는 경우,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에서 삼출액이 관찰되기도 한다.

4. 임상적 의의

삼출액은 순환계에서 병변이나 염증이 있는 부위로 스며 나오는 체액을 의미한다. 상처가 나거나 염증이 생기면 혈관에서 혈청, 피브린, 백혈구 등이 포함된 체액이 주변 조직으로 새어 나오는데, 이것이 삼출액이다. 염증 초기에는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높아져,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잘 나가지 않는 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 성분까지 혈관 밖으로 유출된다. 이 때문에 삼출액은 단백질 농도가 높은 특징을 가진다. 임상적으로 삼출액은 다양한 질병 상태를 나타내는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부종이 관찰될 때,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이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에서 삼출액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5. 식물 삼출물

식물 삼출물에는 수액, 검, 라텍스, 수지 등이 있다. 때로는 꽃꿀도 삼출물로 간주된다.[12] 식물 종자는 정자권에 다양한 분자를 삼출하며,[13] 뿌리 점액은 근권으로 삼출한다. 이러한 삼출물에는 산, 당, 다당류, 외생 효소 등이 포함되며, 총 뿌리 탄소의 40%를 차지한다.[14] 이러한 화합물의 삼출은 식물과 근권의 미생물에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15][16]

6. 한국에서의 삼출액 관련 질환

염증 초기 단계에서는 모세 혈관이 확장되고 혈관벽의 투과성이 높아진다. 이로 인해 평소에는 혈관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피브리노겐, 글로불린, 알부민과 같은 혈장 단백질을 포함한 혈액 성분들이 혈관 밖으로 빠져나오게 된다. 이렇게 유출된 액체는 삼출액이며, 혈장 단백질을 포함하여 단백질 농도가 높은 특징을 지닌다.

병적인 상태에서 부종이 나타날 때 삼출액이 관찰되며, 특히 복막염과 같은 염증성 질환, 감염증, 결핵, 악성 종양 등 다양한 질환에서 삼출액이 나타난다.

참조

[1] 웹사이트 exudate http://medical-dicti[...] 2014-08-05
[2] 웹사이트 "Exud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08-07-04
[3]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Etymology Chambers Harrap Publishers
[4] 웹사이트 Exudate https://www.nlm.nih.[...] MedlinePlus
[5] 웹사이트 Inflammation http://library.med.u[...] The University of Utah • Spencer S. Eccles Health Sciences Library > WebPath images
[6] 논문 Diagnostic value of tests that discriminate between exudative and transudative pleural effusions. Primary Study Investigators
[7] 논문 Pleural effusions: the diagnostic separation of transudates and exudates
[8] 논문 The serum-effusion albumin gradient in the evaluation of pleural effusions
[9] 논문 Efficacy of CT in diagnosis of transudates and exudates in patients with pleural effusion
[10] 문서 Robbins Basic Pathology 7th ed
[11] 웹사이트 About.com > Malignant Pleural Effusion http://lungcancer.ab[...] 2010-03-27
[12] 서적 The Evolution of Exudativory in Primates / Nutritional and Digestive Challenges to Being a Gum-feeding Primate https://books.google[...] Springer 2012-10-02
[13] 논문 A review: what is the spermosphere and how can it be studied? 2015-12
[14] 서적 Mineral Nutrition of Higher Plants
[15] 논문 Root Exudation and Rhizosphere Biology
[16] 논문 Impact of Seed Exudates on Growth and Biofilm Formation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ALB629 in Common Bean
[17] 웹인용 exudate http://medical-dicti[...] 2014-08-05
[18] 웹인용 "Exude" Merriam-Webster Online Dictionary http://www.merriam-w[...] Merriam Webster 2008-07-04
[19] 서적 Chambers Dictionary of Etymology Chambers Harrap Publisher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