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샴발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샴발라는 힌두교와 불교에서 유래된 이상향, 즉 유토피아를 의미하며, 특히 칼라차크라 탄트라를 중심으로 한 불교 전설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힌두교에서는 미래의 칼키 아바타가 다스리는 나라로 묘사되며, 불교에서는 미륵이 통치하는 곳으로, 세상의 쇠퇴 후 나타나 어둠의 세력을 물리치고 황금 시대를 열 왕국으로 묘사된다. 17세기 서양에 처음 알려진 후, 신지학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고비 사막에 위치한다는 등의 해석이 더해져 서구 신화로 발전했다. 또한, 샴발라는 샹그릴라의 영감이 되기도 했으며, 중국 쓰촨성에는 샹바라 진이라는 지명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지학 - 신지학협회
    신지학협회는 1875년 뉴욕에서 설립되어 오컬트, 비교 종교 등을 연구하고 인류의 보편적 형제애를 추구하며, 만물의 지능적 진화를 주요 교리로 삼았다.
  • 신지학 - 마이트레야 (신지학)
    마이트레야는 신지학에서 여러 종교에서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 "다행히 되는 사람"을 의미하며, 아틀란티스 대륙, 고대 이집트, 크리슈나, 예수 등으로 화신하여 세계 교사로서 인류에게 자신과 영적 하이라키의 존재를 알릴 것이라고 신지학 텍스트에 묘사된다.
  • 신화의 나라 - 아르카디아 (이상향)
    아르카디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목축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스들과 아르카디아 동맹이 있었으며, 이상향, 목가적 낙원, 이상적 전원을 의미하는 유토피아의 대명사로 여겨진다.
  • 신화의 나라 - 스바르가
    스바르가는 힌두교 신화에서 의로운 삶을 산 자들이 쾌락을 누리는 천계로, 인드라와 인드라니가 통치하며 카마다누와 파리자타가 있고 데바와 아수라 간의 전쟁 배경이 되는 곳으로 묘사된다.
  • 불교 신화의 장소 - 수미산
    수미산은 불교, 힌두교 등 여러 종교에서 세계의 중심 또는 신성한 장소로 묘사되는 산으로, 종교에 따라 위치, 크기, 형태 등에 대한 묘사가 다르며 건축 및 창작물의 모티브로 활용되기도 한다.
  • 불교 신화의 장소 - 극락
    극락은 불교에서 깨달음을 통해 얻는 이상적인 정토 세계를 의미하며, 특히 아미타불의 서방극락정토는 고통과 차별이 없는 평안하고 청정한 세계로 묘사되어 정토사상의 근간이 되었다.
샴발라
개요
칼라차크라 만다라
칼라차크라 만다라
다른 이름향발라 (香巴拉, xiāng bā lā)
샹스그릴 (Shangs-gri-la)
유형신화 속 왕국
종교티베트 불교
위치아시아, 지구 내부 (일부 주장)
상세 정보
어원산스크리트어: 샴발라 (Śambhala, शम्भल)
티베트어: 뎨쥥 (Bde'byung, བདེ་འབྱུང)
특징칼라차크라 탄트라의 이상향
미래에 세상에 도움을 줄 군대를 일으킬 장소
문화적 중요성서양 문화에 '샹그릴라'로 알려짐
다양한 종교적, 철학적 해석 존재
관련 개념칼라차크라
탄트라
이상향
샹그릴라
역사적 맥락
기원힌두교 경전 마하바라타
불교 경전 칼라차크라 탄트라
위치에 대한 추정시베리아
몽골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북서쪽
신앙적 의미
불교적 관점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순수한 땅
세상의 혼란으로부터 피난처
미래의 역할세상에 도움을 줄 군대를 양성
악에 대항하여 정의를 실현
대중 문화 속 샴발라
관련 작품영화, 소설,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등장
이상향 또는 신비로운 장소로 묘사
의미 변화서구 문화에서 샹그릴라라는 이름으로 변형
세속적인 유토피아적 이미지 강조

2. 힌두교와 불교의 샴발라 전설

샴발라는 원래 인도 힌두교푸라나 문헌에 등장하는 이상향(유토피아)이었다. 힌두교 비슈누파석가모니비슈누 신의 화신 중 하나로 보지만, 석가모니의 카스트 제도 비판으로 흔들린 사회 질서를 바로잡기 위해 비슈누의 10번째 아바타라인 칼키가 출현한다고 보았다. 샴발라는 칼키가 다스리는 나라였다.[1][2]

『칼라차크라 탄트라』와 그 주석서인 『비말라프라바』(무구광)는 샴발라 왕 칼키가 인민을 불교로 교화하여 "금강의 카스트"라는 하나의 카스트로 통일하고, 카스트 제도를 해소한다고 설명한다. 이처럼 『칼라차크라 탄트라』는 힌두교의 칼키 설을 받아들였지만, 이를 비판하며 힌두교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르침을 전환했다.[21]

2. 1. 힌두교의 샴발라

인도 힌두교푸라나 문헌에 등장하는 이상향(유토피아)이다.[1] 비슈누파에서는 석가모니비슈누 신의 화신 중 하나로 보지만, 석가모니가 카스트 제도를 비판하여 사회 질서가 흔들리자, 이를 바로잡고 카스트 제도를 재건하기 위해 비슈누의 10번째 아바타라인 칼키가 출현한다고 설명한다.[2] 샴발라는 칼키가 다스리는 나라이다.[2]

2. 2. 불교의 샴발라

《칼라차크라 탄트라》와 그 주석서인 《비말라프라바》(무구광)는 샴발라 왕 칼키가 인민을 불교로 교화하여 "금강의 카스트"라는 하나의 카스트로 통일하고, 카스트 제도를 해소한다고 설명한다. 《칼라차크라 탄트라》는 힌두교의 칼키 설을 받아들이면서도, 이를 비판하여 힌두교와는 다른 방향성을 가진 가르침으로 전환했다.[21]

18세기 겔룩파 학자인 론토르 라마의 《본초불 길상시륜의 유래와 명목》에 따르면, 샴발라에는 9억 6천만 개의 마을과 96개의 소왕국이 있다. 샴발라 왕은 왕궁 칼라파에 살고 있으며, 그곳에는 입체적인 시륜 만다라가 있다.[22] 샴발라 사람들은 관용적인 법 아래 건강하게 살아가며 선행에 힘쓴다고 한다.

2. 2. 1. 칼라차크라 탄트라의 샴발라 전설

칼라차크라

만주슈리키르티, 샴발라의 왕


샴발라는 미래의 부처인 미륵이 통치한다.[6][7] 샴발라 이야기는 무상 요가 탄트라 그룹의 텍스트인 ''칼라차크라 탄트라''에 나온다. 칼라차크라 불교는 아마도 11세기, 즉 티베트 칼라차크라 달력 시대에 티베트에 도입되었을 것이다. 칼라차크라의 가장 오래된 스승으로는 돌포파 셰랍 걀첸 (1361년 사망)과 부톤 린첸 드룹 (1364년 사망)이 있다.

이야기에 따르면, 만주슈리키르티 왕은 기원전 159년에 태어나 믈레차 종교를 따르는 300,510명의 추종자를 거느린 왕국을 다스렸으며, 그들 중 일부는 태양을 숭배했다. 그는 칼라차크라(시간의 수레바퀴) 불교로 개종하기보다는 수르야 사마디(태양 숭배)를 고수하는 20,000명의 사람들을 그의 영토에서 추방했다. 그는 이들이 그의 백성 중 가장 현명하고 훌륭한 사람들이며 그들이 자신에게 얼마나 필요한지 깨닫고 나중에 그들에게 돌아올 것을 요청했고, 일부가 돌아왔다. 돌아오지 않은 사람들은 샴발라 도시를 세웠다고 한다. 만주슈리키르티는 돌아와서 여전히 그의 지배를 받는 사람들을 개종시키기 위해 ''칼라차크라'' 가르침을 설교하기 시작했다. 기원전 59년에 그는 아들 푼다리카에게 왕위를 물려주고 곧 사망하여 삼보가야 부처의 경지에 들어갔다.[8][9]

알티 히말라야 샤먼의 초상. "퉁구시의 마녀" 1812–1813 상세 묘사 작성자: E. 카르네예프


칼라차크라 탄트라는 세상이 전쟁과 탐욕으로 쇠퇴하고 모든 것을 잃을 때, 25대 칼키 왕 미륵이 샴발라에서 나타나[6][7] 거대한 군대를 이끌고 어둠의 세력을 물리치고 전 세계적인 황금 시대를 열 것이라고 예언한다. 이 마지막 전투는 2424년 또는 2425년 (붓다의 죽음 이후 3304년)에 예언된다. 그 후, 불교는 1,800년을 더 지속될 것이다.[10]

3. 서구의 샴발라 신화

티베트티베트 불교는 20세기 초 이전에는 서구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11] 17세기에 스테방 카셀라라는 포르투갈 가톨릭 선교사가 샴발라(Xembala로 표기)에 대해 처음 언급했는데, 그는 샴발라를 카타이 또는 중국의 또 다른 이름이라고 생각했다. 카셀라는 1627년 판첸 라마의 거처인 타쉴룬포로 갔다가, 자신의 실수를 깨닫고 인도로 돌아갔다.[12]

샴발라는 근대에 서양의 신비주의자들의 관심을 끌면서 구미에서도 유명해졌다.

3. 1. 신지학

헬레나 블라바츠키를 비롯한 신지학자들은 샴발라가 고비 사막에 있었다고 말했다.[13] 앨리스 A. 베일리는 샴발라(그녀가 쓴 철자)가 아스트랄계의 초차원적 또는 영적인 현실이며, 지구의 지배 인 사나트 쿠마라가 지구의 행성 로고스의 가장 높은 아바타로 거주하는 영적 중심지이며, 신의 의지의 표현이라고 주장한다.[13]

3. 2. 샴발라 탐험

니콜라스 로에리히와 헬레나 로에리히는 1924년부터 1928년까지 샴발라를 목표로 원정대를 이끌었다. 그들은 알타이 산맥의 벨루하 산을 샴발라로 들어가는 입구라고 믿었는데, 이는 그 지역에서 흔한 믿음이었다.[14] 1934년에서 1935년 사이에는 몽골로 샴발라를 찾기 위한 두 번째 원정을 이끌었다.[15] 신지학 협회와 관계가 있었던 평화 운동가이자 화가인 니콜라스 로에리히는 티베트 국경에 이르는 몽골 원정 체험기에서 샴발라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발표하여, 구미의 샴발라 해석에 영향을 미쳤다.

글레브 보키이는 작가 친구 알렉산더 바르첸코와 함께 1920년대에 칼라차크라-탄트라와 공산주의 사상을 통합하려는 시도로 샴발라 탐구를 시작했다. 이들은 비밀 경찰과 관련된 비밀 연구소에서 완벽한 공산주의 인간을 만들기 위한 열쇠를 찾기 위해 불교 영적 기법을 실험했다.[16] 샴발라의 지혜를 얻기 위해 중앙 아시아 특별 원정을 고려했지만, 소비에트 정보국의 음모와 1924년 티베트로 자체 원정대를 파견한 소비에트 외무 인민 위원회의 경쟁적 노력으로 인해 계획은 무산되었다.

프랑스 불교도 알렉산드라 다비드-네엘은 샴발라를 현재의 아프가니스탄에 위치한 발흐와 연관시켰으며, 페르시아어 ''샴-이-발라''(높은 촛불)를 어원으로 제시했다.[17]

히틀러는 1930년대에 여러 원정대를 티베트로 보내 비밀 나치주의의 일부로 추정되는 "아가르타와 샴발라에 접촉"하려 했다.[19]

4. 대중문화 속 샴발라

샴발라는 영국의 작가 제임스 힐튼의 1933년 소설 ''잃어버린 지평선''에 등장하는 티베트 계곡에 숨겨진 지상 낙원인 샹그릴라의 영감이 되었을 수 있다.[20]

5. 실존 지명

중국 쓰촨성 간쯔 티베트족 자치주 샹청현에는 샹바라 진이라고 불리는 (행정구역)이 있다. 원래는 다른 이름이었지만, 2005년에 샹바라 진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3].

참조

[1] 문서 'Śambhala also Sambhala'
[2] 서적 Rethinking India's Oral and Classical Epics https://www.abundanc[...]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 문서 The Tantra Abhinav Publications
[4] 서적 The Bon Religion of Tibet Shambhala
[5] 서적 Shambhala: The Fascinating Truth Behind the Myth of Shangri-La https://books.google[...] Quest Books
[6] 서적 Arch. orient https://books.google[...] Nakl. Ceskoslovenské akademie věd. 2020-05-11
[7] 서적 Shambhala https://books.google[...] Vedams eBooks (P) Ltd 2020-05-11
[8] 간행물 Contributions to the Religion and History of Tibet Manjushri Publishing House
[9] 문서 'Edwin Bernbaum "The Way to Shambhala: A Search for the Mythical Kingdom Beyond the Himalayas"'
[10] 문서 Taking the Kalachakra Initiation
[11] 서적 'Prisoners of Shangri~La, Tibetan Buddhism and the Wes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2] 서적 The Way to Shambhala Jeremy P. Tarcher, Inc.
[13] 서적 A Treatise on Cosmic Fire Lucis Trust
[14] 서적 Roerich East & West Parkstone Press
[15] 논문 In Search of Shambhala? Nicholas Roerich's 1934–5 Inner Mongolian Expedition "[[Brill Publishers]]" 2012-01
[16] 문서 Znamenski 2011
[17] 문서 Les Nouvelles littéraires 1954
[18] 문서 Gurdjieff: Making a New World
[19] 서적 Lost Cities of China, Central Asia, and India: A Traveler's Guide https://books.google[...] Adventures Unlimited Press
[20] 뉴스 BBC – History – Ancient History in depth: Shangri-La https://www.bbc.co.u[...] 2018-02-28
[21] 이미지 "A classical painting of the Kingdom of Shambhala,with its capital, Kalapa, at the centre"
[22] 논문 シャンバラ国について https://doi.org/10.4[...] 日本印度学仏教学会 2020-03-27
[23] 웹사이트 “香巴拉”落户乡城 https://news.sohu.co[...] 搜狐 2019-03-04
[24] 문서 The Tantra Abhinav Publication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