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바르가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바르가는 힌두 신화에서 메루산 위에 위치한 천계로, 경전을 지키며 의로운 삶을 산 사람들이 다음 생에 태어나기 전 쾌락을 누리는 곳이다. 데바의 건축가 트바슈타르가 건설했으며, 데바들의 왕 인드라가 그의 배우자 인드라니와 함께 다스린다. 수도는 아마라바티이며, 풍요의 소 카마데누와 소원 나무 파리자타가 존재한다. 힌두 신화에서 아수라와의 전쟁에서 주요 갈등의 대상이 되며, 비슈누가 개입하여 현상 유지를 시도한다. 베다, 푸라나, 서사시 등 다양한 문헌에서 스바르가에 대한 묘사가 나타나며, 문헌에 따라 스바르가는 윤회의 중간 단계, 선행을 쌓은 자들이 가는 곳, 또는 쾌락을 즐기는 곳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신화의 나라 - 아르카디아 (이상향)
    아르카디아는 펠로폰네소스반도 중부에 위치한 고대 지역으로, 목축을 기반으로 하는 폴리스들과 아르카디아 동맹이 있었으며, 이상향, 목가적 낙원, 이상적 전원을 의미하는 유토피아의 대명사로 여겨진다.
  • 신화의 나라 - 드바라카
    드바라카는 마하바라타와 바가바타 푸라나에 등장하는 전설적인 도시로 크리슈나와 야다브 일족이 거주했으며, 야다바 일족의 자멸 후 바닷속으로 가라앉았다는 전설이 있고, 현대의 드와르카는 신화 속 드바라카를 복원한 도시로서 고고학적 발굴을 통해 존재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 힌두교 우주론 - 로카
    로카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등 인도 종교에서 우주 또는 세계의 영역을 의미하며, 각 종교는 로카의 개념을 통해 고유한 우주론과 윤회 사상을 설명한다.
  • 힌두교 우주론 - 칼파
    칼파는 힌두교, 불교, 자이나교, 도교 등에서 사용되는 매우 긴 시간 단위로, 세계의 생성과 소멸, 변화를 나타내며, 힌두교에서는 브라흐마의 하루, 불교에서는 세계의 순환 주기, 자이나교에서는 세계의 변화, 도교에서는 오겁의 개념으로 사용된다.
스바르가
스바르가
비슈누는 스바르가에서 가루다를 타고 락슈미와 함께
비슈누는 스바르가에서 가루다를 타고 락슈미와 함께
개요
유형천상의 세계
종교힌두교
설명
위치메루 산 위에 위치
거주자신들 (데바)
영웅
덕이 있는 사람들
통치자인드라
특징일시적인 즐거움의 장소
관련 개념천국
니르바나
모크샤

2. 설명

스바르가는 힌두교 신화에 등장하는 천상의 세계 중 하나이다. 메루산 위에 위치하며, 경전을 지키며 의로운 삶을 산 영혼들이 다음 생을 받기 전에 잠시 머물며 즐거움을 누리는 곳으로 묘사된다.[35][8] 이곳은 신들의 건축가인 트바슈타르가 건설했다고 전해진다.[35][8] 스바르가는 데바들의 왕인 인드라가 다스리는 영역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신화 속에서 중요한 장소로 등장한다.[36][9]

2. 1. 지리적 특징 및 구조

스바르가는 메루산 위에 위치한 천계들의 집합체로,[8] 경전을 지키며 의로운 삶을 산 사람들이 다음 생을 맞이하기 전에 쾌락을 누리는 곳이다. 이곳은 데바들의 건축가 신인 트바슈타르가 지었다고 전해진다.[8]

아이라바타에 탄 스바르가의 통치자 인드라


데바들의 왕인 인드라가 그의 배우자 인다라니와 함께 스바르가를 다스린다.[9] 인드라의 궁전은 '바이자얀타'라고 불리며,[10] 이 안에는 모든 왕궁 중에서도 으뜸으로 꼽히는 '수드하르마'라는 유명한 홀이 있다. 스바르가의 수도는 아마라바티이며, 입구는 전설적인 코끼리 아이라바타가 지키고 있다.[11]

스바르가에는 풍요를 상징하는 소 카마다누와 모든 소원을 들어주는 나무 '파리자타'가 있다고 묘사된다.[12] 또한, '난다나' 정원 중앙에는 전설적인 칼파브릭샤 나무가 자라는데, 이 나무는 바다를 휘젓는 사무드라 만타나 사건 이후 인드라가 이곳에 심었다고 한다. 이러한 위치 때문에 스바르가는 '트리디바', 즉 세 번째로 높은 천국이라고도 불린다.[13]

힌두 신화 속에서 스바르가는 종종 아수라와의 끊임없는 전쟁의 배경이 되며, 히라니야카시푸와 같은 아수라 왕에게 지배권을 빼앗기기도 한다. 이때 유지신 비슈누나라심하와 같은 화신으로 나타나 아수라를 물리치고 인드라와 데바들의 지위를 회복시키기도 한다.[14] 또한 스바르가는 각 프랄라야(대우주적 해체) 시기에 첫 세 개의 영역(불로카, 부바르로카, 스바르갈로카)과 함께 파괴된다. 현대 힌두교에서는 스바르가를 비슈누바이쿤타시바의 카일라샤보다는 낮은 단계의 천국으로 여기기도 한다.[15][16]

2. 2. 스바르가와 관련된 신화

스바르가는 메루산 위에 위치한 천상의 세계로, 경전을 지키며 의로운 삶을 산 사람들이 다음 생을 받기 전에 잠시 머물며 즐거움을 누리는 곳이다. 이곳은 데바들의 건축가 신인 트바슈타르가 지었다고 전해진다.[8]

데바들의 왕인 인드라는 그의 배우자 인다라니와 함께 스바르가를 다스리는 통치자이다.[9] 인드라의 궁전은 바이자얀타라고 불리며,[10] 이 궁전 안에는 다른 어떤 왕궁과도 비교할 수 없는 유명한 홀인 수드하르마가 있다. 스바르가의 수도는 아마라바티이며, 그 입구는 전설적인 코끼리 아이라바타가 지키고 있다.[11] 스바르가에는 풍요의 젖소인 카마다누와 모든 소원을 들어주는 나무인 파리자타가 있다고 묘사된다.[12] 또한, 전설적인 칼파브릭샤 나무가 난다나 정원 중앙에서 자라는데, 이 나무는 바다를 휘젓는 사무드라 만타나 과정에서 나왔으며 인드라가 이곳에 심었다고 한다. 이러한 위치 때문에 스바르가는 세 번째로 높은 하늘이라는 의미의 트리디바라고도 불린다.[13]

힌두 신화에서 스바르가의 지배권은 데바와 그들의 숙적인 아수라 사이의 영원한 전쟁에서 주요 쟁점이 된다. 히라니야카시푸와 같은 강력한 아수라 왕이 스바르가를 침탈하는 이야기가 흔하게 나타난다. 이때 유지신 비슈누는 종종 개입하여 질서를 회복시킨다. 예를 들어, 비슈누는 나라심하와 같은 아바타라로 화신하여 아수라 왕을 물리치고 인드라와 데바들을 다시 스바르가의 지배자로 복권시킨다.[14] 각 프랄라야(우주의 대소멸 주기)가 도래하면, 가장 낮은 세 개의 로카(세계)인 불로카(지상계), 부바르로카(중간계), 그리고 스바르가로카(천상계)는 파괴된다. 현대 힌두교에서는 스바르가가 종종 비슈누의 거처인 바이쿤타시바의 거처인 카일라샤보다 영적으로나 물리적으로 낮은 단계의 천국으로 여겨지기도 한다.[15][16]

3. 문학 속 스바르가

힌두교의 여러 문헌에서 스바르가는 중요한 내세의 영역으로 묘사된다. 베다, 푸라나, 그리고 라마야나마하바라타 같은 서사시들은 스바르가의 모습과 그곳에 도달하는 방법, 그리고 그곳에서의 삶에 대해 다양하게 설명한다.

초기 베다 문헌인 아타르바베다에서는 스바르가를 조상들의 영혼이 머무는 피트르로카와 연결하며, 올바른 제사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풍요로운 곳으로 그린다.[44][17] 이후 우파니샤드와 같은 문헌에서는 윤회 사상과 결부되어, 스바르가에서의 삶이 영원하지 않으며 쌓은 공덕(푸냐)이 다하면 다시 지상으로 돌아와야 한다고 설명하기도 한다.[45][18][46][19]

푸라나 문헌, 특히 바가바타 푸라나는 스바르가를 도덕적이고 헌신적인 삶을 산 이들이 도달하는 만족과 기쁨의 영역으로 묘사한다.[47][20] 이곳에서의 체류 기간은 생전에 쌓은 선행과 공덕에 따라 결정된다고 본다.

라마야나마하바라타 같은 서사시에서는 스바르가를 얻기 위한 영웅들의 노력이나 신들의 개입에 대한 이야기가 풍부하게 나타난다. 트리샨쿠 왕이 현자 비슈바미트라의 도움으로 스바르가로 오르려 했으나 인드라 신의 반대로 중간에 머물게 된 이야기[49][22], 아르주나 왕자가 아버지 인드라의 초대로 스바르가를 방문하여 그곳의 장엄함과 신성한 존재들을 목격하는 이야기[50][23][51][24] 등이 대표적이다. 서사시는 또한 스바르가가 단일한 영역이 아니라 수르야, 쿠베라, 바루나 등 여러 신들이 다스리는 다양한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암시하며, 그곳에서는 질투 없이 모든 욕망이 충족된다고 묘사한다.[52][25] 자선, 정직, 비폭력(아힘사) 등이 스바르가에 이르는 길로 제시되기도 한다.[53][26]

그러나 바가바드 기타에서는 스바르가가 궁극적인 해탈의 경지가 아니며, 공덕을 쌓아 스바르가에 도달하더라도 그 공덕이 다하면 다시 필멸의 세계로 돌아와야 함을 강조한다.[54][27]

''바가바드 기타'' 9.21절
그들은 그 넓은 스바르가의 세계를 즐기고, 그들의 공덕(''푸냐'')이 다하면, 인간의 세계로 들어간다. 이렇게 삼위일체의 다르마를 따르며, 욕망(의 대상)을 갈망하며, 그들은 가고 돌아오는 상태에 도달한다.

3. 1. 베다

아타르바베다의 찬송가에서는 스바르가를 떠난 조상을 만나는 땅인 피트르로카로 개념화한다.[44][17] 이곳은 제사를 지내는 사람에게 보상으로 주어지는 거처로 여겨진다.[44][17] 사람이 행하는 제사는 곧바로 천국으로 향하며, 제사를 지낸 사람이 도착할 때까지 그곳에 보관된다고 한다.[44][17] 한 찬송가는 스바르가를 수련과 연꽃이 가득하고, 버터 호수와 꿀로 된 둑, 그리고 술, 우유, 응유, 물과 같은 여러 음식이 흐르는 개울이 있는 풍요로운 영역으로 묘사한다.[44][17] 손님에게 선물을 주는 것 또한 천국에 이르는 길이라고 언급된다.[44][17]

''베단타 수트라''는 스바르가에서 지상의 세계(브후로카)로 이어지는 윤회 개념을 설명한다.[45][18] 제사와 자선 행위를 통해 스바르가로 올라간 영혼(''지바'')은 그곳을 떠나 땅으로 돌아올 때 비구름이 되어 비로 내린다고 한다.[45][18] 사람이 비를 맞고 자란 음식을 먹으면 그 영혼이 정액 속으로 들어가고, 성교를 통해 여성에게 전해져 다시 태어난다는 것이다.[45][18] 이때 하늘로 올라갈 수 있게 하는 개념을 삼파타라고 설명한다.[45][18] 또한, 스바르가에서 좋은 행동을 한 사람은 브라만, 크샤트리야, 바이샤와 같은 상위 카스트로 태어나지만, 그렇지 못한 사람은 동물이나 사회적으로 배척받는 이들과 같은 낮은 존재로 태어난다고 서술한다.[45][18]

''문다카 우파니샤드''는 스바르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베다 의식을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확인한다.[46][19]

3. 2. 푸라나

바가바타 푸라나는 스바르가가 옳고 그름을 분별하고 다른 사람을 사랑하며 그들을 위해 선행을 하는 사람들의 영역이라고 설명한다. 선하고, 덕이 있으며, 헌신적인 사람들이 이곳에 도달할 수 있다고 묘사된다. 스바르가는 만족의 영역으로, 신성한 음악, 신성한 아름다움, 신성한 대상들을 감상할 수 있으며, 이 모든 것이 모든 이에게 충분하다고 한다. 이 로카에 머무는 기간은 쌓인 푸냐 (덕)에 따라 결정된다. 필요한 수준의 영성을 갖추지 못했다면, 높은 지성만으로는 이곳에 들어가기에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된다.[47][20]

3. 3. 서사시

푸냐를 획득하고 선행을 행하는 것은 ''라마야나''에서 스바르가를 달성하기 위한 필수 조건으로 명시되어 있다.[21]

''라마야나''는 현자 비슈바미트라가 트리샨쿠 왕에게 스바르가에 갈 수 있도록 약속한 전설을 묘사한다. 비슈바미트라는 이 약속을 지키기 위해 홀로 야즈나(의식)를 거행했는데, 이는 바시슈타 현자의 지시에 따라 다른 현자들이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비슈바미트라의 의식의 힘으로 트리샨쿠 왕은 스바르가의 문까지 올라갔다. 그러나 데바들은 이 사실을 인드라에게 알렸고, 인드라는 트리샨쿠가 낮은 신분이라는 이유로 분노하여 그를 지상으로 떨어뜨렸다. 비슈바미트라는 떨어지는 트리샨쿠를 공중에서 멈추게 하여 그가 허공에 매달리게 만들었다. 이에 인드라는 타협안으로 트리샨쿠가 머물 수 있도록 자신의 스바르가 아래에 새로운 스바르가를 만들기로 했다. 하지만 비슈바미트라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새로운 인드라와 데바들을 창조하여 트리샨쿠 왕과 함께 새로운 천국을 차지하려 했다. 비슈바미트라의 강력한 힘에 두려움을 느낀 인드라는 결국 물러섰고, 트리샨쿠를 자신의 황금 비마나(하늘을 나는 탈것)에 태워 직접 진짜 스바르가로 데려갔다.[22]

서사시 ''마하바라타''에서는 영웅 아르주나 왕자가 그의 아버지인 인드라의 마부 마탈리의 안내를 받아 스바르가로 향하는 여정이 그려진다. 여행 중에 아르주나는 수천 대의 하늘을 나는 탈것인 비마나를 목격한다. 그는 스바르가가 해나 달 없이 스스로 빛을 내는 영역임을 알게 된다. 또한 스바르가에는 리시(현자), 전투에서 전사한 영웅들, 혹독한 고행을 실천한 이들, 간다르바(천상의 음악가), 구햐카(숨겨진 존재), 그리고 압사라(물의 요정) 등이 거주하고 있음을 관찰한다. 아르주나는 여러 천상의 지역을 차례로 지나 마침내 인드라의 수도인 아마라바티에 도착한다.[23]

아마라바티에서 아르주나는 압사라들이 즐겨 찾는다는 난다나 정원을 보게 된다. 그는 사계절 내내 신성한 나무와 꽃들이 만발한 모습을 관찰한다. 그는 아슈빈(쌍둥이 신), 마루트(폭풍의 신) 같은 신들, 딜리파 왕을 비롯한 왕족 출신 현자들, 그리고 고귀한 브라만(사제 계급) 등 다양한 존재들로부터 찬사를 받는다. 또한 최고의 간다르바인 툼부루가 연주하는 신성하고도 세속적인 음악을 듣고, 메나카, 람바, 우르바시와 같은 매혹적인 압사라들의 춤을 관람한다.[24]

''마하바라타''는 스바르가 내에도 수르야(태양신), 쿠베라(부의 신), 바루나(물의 신)와 같은 신들이 각각 다스리는 여러 영역이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인드라가 다스리는 영역에서는 거주민들의 모든 욕망이 충족된다고 언급된다. 남성과 여성은 아무런 제약 없이 서로의 즐거움을 누리며, 성별 간의 질투심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묘사된다.[25]

''마하바라타''에서 나후샤 왕은 유디슈티라에게 자선을 베풀고, 듣기 좋은 말을 하며, 정직하게 살고, 아힘사(비폭력)를 실천하면 천국(스바르가)에 도달할 수 있다고 말한다.[26]

참조

[1] 서적 In Praise of the Goddess: The Devimahatmya and Its Meaning https://books.google[...] Nicolas-Hays, Inc. 2003-12-01
[2] 서적 After the War: The Last Books of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3] 서적 Shiv Purana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4]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A 2008-03-27
[5] 서적 The Upanisa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6] 서적 Rethinking the Mahabharata: A Reader's Guide to the Education of the Dharma K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10-30
[7]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Index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8
[8]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9] 서적 Ramaya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1-06-08
[10] 서적 Encyclopedia of Imaginary and Mythical Plac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3-04
[11] 서적 Indian mythology according to the Mahābhārata : in outline https://www.worldcat[...] Luzac 1903
[12]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10-01
[13] 서적 Hindu World: An Encyclopedic Survey of Hinduism. In Two Volumes. Volume II M-Z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4-09
[14] 서적 Asi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05-15
[15]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8-21
[16] 서적 A History of Civilization in Ancient India: Based on Sanscrit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hacker, Spink and Company 1890
[17] 서적 The Atharva-Veda Described: With a Classified Selection of Hymns, Explanatory Notes and Review https://books.google[...] Christian Literature Society for India 1897
[18] 서적 The Taittirīya-upanishad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C. T. A. Printing Works 1903
[19] 서적 The Method of the Vedanta: A Critical Account of the Advaita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97
[20] 서적 A Study of the Bhagavata Purana: Or, Esoteric Hinduism https://books.google[...] Freeman & Company, Limited 1901
[21] 서적 The Society of the Ramayana https://books.google[...] Saman Press 1960
[22] 웹사이트 Story of Triśaṅku https://www.wisdomli[...] 2019-01-28
[23]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Indralokagamana Parva: Section XLII https://www.sacred-t[...] 2022-10-25
[24] 웹사이트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Indralokagamana Parva: Section XLIII https://www.sacred-t[...] 2022-10-25
[25] 서적 Religious Doctrines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00
[26] 서적 Religious Doctrines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00
[27] 서적 The Bhagavadgita: with the commentary of Sri Sankaracharya https://www.worldcat[...] Samata Books 2013
[28] 서적 In Praise of the Goddess: The Devimahatmya and Its Meaning https://books.google[...] Nicolas-Hays, Inc. 2003-12-01
[29] 서적 After the War: The Last Books of the Mahabharat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
[30] 서적 Shiv Purana https://books.google[...] Diamond Pocket Books
[31] 서적 Handbook of Hindu Mythology https://books.google[...] OUP USA 2008-03-27
[32] 서적 The Upanisad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11-05
[33] 서적 Rethinking the Mahabharata: A Reader's Guide to the Education of the Dharma King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10-30
[34] 서적 Routledge Encyclopedia of Philosophy: Index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1998
[35] 서적 Encyclopedia of Ancient Deities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3-07-04
[36] 서적 Ramayana https://books.google[...] Univ of California Press 2021-06-08
[37] 서적 Encyclopedia of Imaginary and Mythical Places https://books.google[...] McFarland 2014-03-04
[38] 서적 Indian mythology according to the Mahābhārata : in outline https://www.worldcat[...] Luzac 1903
[39] 서적 A Concise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Simon and Schuster 2014-10-01
[40] 서적 Hindu World: An Encyclopedic Survey of Hinduism. In Two Volumes. Volume II M-Z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9-04-09
[41] 서적 Asian Mythologi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3-05-15
[42] 서적 Encyclopedia of Hinduism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2-08-21
[43] 서적 A History of Civilization in Ancient India: Based on Sanscrit Literature https://books.google[...] Thacker, Spink and Company 1890
[44] 서적 The Atharva-Veda Described: With a Classified Selection of Hymns, Explanatory Notes and Review https://books.google[...] Christian Literature Socity for India 1897
[45] 서적 The Taittirīya-upanishad https://books.google[...] Printed at the C. T. A. Printing Works 1903
[46] 서적 The Method of the Vedanta: A Critical Account of the Advaita Tradition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1997
[47] 서적 A Study of the Bhagavata Purana: Or, Esoteric Hinduism https://books.google[...] Freeman & Company, Limited 1901
[48] 서적 The Society of the Ramayana https://books.google[...] Saman Press 1960
[49] 웹인용 Story of Triśaṅku https://www.wisdomli[...] 2019-01-28
[50]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Indralokagamana Parva: Section XLII https://www.sacred-t[...] 2022-10-25
[51] 웹인용 The Mahabharata, Book 3: Vana Parva: Indralokagamana Parva: Section XLIII https://www.sacred-t[...] 2022-10-25
[52] 서적 Religious Doctrines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00
[53] 서적 Religious Doctrines in the Mahābhārata https://books.google[...] Motilal Banarsidass Publ. 2000
[54] 서적 The Bhagavadgita: with the commentary of Sri Sankaracharya https://www.worldcat[...] Samata Books 20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