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VVVF 전동차로, 1호선 운행을 위해 제작되었다. 1998년부터 2002년까지 1차 및 2차 도입분이 운행 중이며, 2027년부터 3차 도입분(16편성)이 예정되어 있다. 3호선 3000호대, 4호선 4000호대 전동차와 외형이 유사하며, LED 행선 안내 게시기를 갖추고 있다. 10량 1편성으로 구성되며, 경원선, 경부선, 경인선 등 수도권 전철 1호선 계통에서 운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도권 전철 1호선 - 한강철교
    한강철교는 경부선 등 주요 철도 노선을 잇는 서울 한강의 철교로, A, B, C, D선의 4개 교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국 철도 역사와 전쟁의 역사, 그리고 산업 발전의 상징으로 평가받고 있다.
  • 수도권 전철 1호선 - 병점기지선
    병점기지선은 경기도 화성시 병점역과 오산시 서동탄역을 잇는 2.2km의 한국철도공사 노선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되며, 향후 동탄인덕원선 및 수도권고속철도와의 연결이 추진 중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우진산전
    우진산전은 1974년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시스템 및 전기차 부품 제조 기업으로, 도시철도 차량, 경전철, 전기버스 등의 기술 개발과 국내외 사업 참여를 통해 성장해왔으며, VVVF 장치, 아폴로 전기버스 등을 생산하고 ISO 인증을 획득하여 품질 및 환경 관리 시스템을 갖추었다.
  • 대한민국의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 철도 차량 -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서울특별시 은평구에서 중랑구까지 이어지는 총 36.4km의 지하철 노선으로, 2000년 개통 이후 2019년 신내역까지 연장되었으며, 현재 39개의 역을 운영하고 다른 노선들과 환승이 가능하다.
  • 철도 차량 - KTX-이음
    KTX-이음은 현대로템이 제작한 대한민국 최초의 상용 고속전동차로, 동력분산식 시스템과 친환경 공조시스템을 갖춘 6량 편성의 열차이며, 현재 중앙선, 강릉선, 영동선, 중부내륙선 등에서 운행되고 우즈베키스탄에 기술 수출에도 성공했다.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기본 정보
1000계 전동차
1000계 전동차
차량 이름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회사 색상#b33648
열차 편성량10량
량수10량
사용 용도통근형 전동차
성능
기동 가속도3.0
영업 최고 속도110
설계 최고 속도110
감속도 (상용)3.5
감속도 (비상)4.5
차량 제원
전체 길이20,000
전장19,500
전체 폭3,200
전폭3,120
전체 높이4,500
전고3,750
편성 길이195,000
차체 재질스테인리스 (초대 1000계로부터 편입된 차량은 보통강)
차량 무게Tc: 33.1 t, M: 41.2 t, T1: 26.5 t, T2: 32.0
편성 무게357,2t
궤간1,435
차량 정원선두차 148, 객차 160
편성 정원1,576
전력 및 구동 장치
전기 방식교직류겸용 ADV, 교류 25,000V 60Hz, 직류 1,500V 가공가선방식
주전동기 형식미쓰비시 MB-5052-A 유도전동기, 정격출력 200 kW, 단자전압 1,100 V, 전류 130 A, 회전수 1,945 rpm
전동기 출력200
편성 출력4,000
기어비16:101
제어 장치미쓰비시 MAP-204-A25V41
구동 장치WN 드라이브
제어 방식VVVF-GTO (1C4M 제어)
주전동기삼상 교류 가고식 유도 전동기 미쓰비시 MB-5052-A
1시간 정격출력230 kW
1시간 정격 편성 출력4600 kW
전동기 출력 (마력)5800-6000 마력
MT비5M 5T
제동 및 안전 장치
제동 방식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보안 장치ATS
자동 열차 정지 장치ATS [수동 운전]
제작 정보
제작사현대정공 (→현대로템)
로템 (→현대로템)
현대로템
제작 연도1998년 10월~1999년 3월: 1차분, 2002년 3월~5월: 2차분, 2027년~2029년: 3차분
생산량10개 편성 252량
운영
운영 회사서울교통공사
기타

2. 특징

기존에 운행되었던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를 교체하기 위해 도입된 서울교통공사 소속의 VVVF 전동차로, 동묘앞역신설동역 사이에 군자차량사업소 입·출고용 연결 선로가 별도로 설치되었다. 기본적으로 3호선에서 운행 중인 한국철도공사 3000호대 전동차 1차분(371~386편성)과 4호선에서 운행 중인 서울교통공사 4000호대 VVVF 전동차와 외형, 내부는 동일하나, 1호선 지상 구간 운행을 목적으로 설계 최고 속도는 110km로 더 높게 적용되었다. 객차 외부의 행선 안내 게시기는 LED 전광판 형식을 기본 사양으로 하였다. 초기에는 LED 방식의 차내 전자 노선도를 도입하였으나, 잦은 오류 및 수도권 전철 1호선서동탄역, 당정역 신설과 노선 광역화로 인해 철거되었으며, 객실 LED 안내 게시기는 현재 시각이 표시되도록 개선되었다.

1세대 1000호대를 대체하기 위해 제작된 VVVF 인버터 제어 방식의 스테인리스 차량이다. 1차차와 2차차 모두 서울 지하철 4000호대와 같은 미쓰비시 전기제 GTO 소자 VVVF 인버터를 채용하고 있지만, 일부 차량은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한 차량이 있어 소리가 다르다.


  • 1차차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에 걸쳐 완성된 101~106편성이 해당하며, 현대정공(현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다. 이 전동차의 투입으로 1호선 개통 당시 도입된 일본제 60량이 교체되었다.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이후, 우진산전에서 차내 좌석을 모켓 마감에서 스테인리스로 변경하는 등의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 105·106편성에는 1세대 1000호대에서 개조 편입된 차량이 편성당 2량씩 포함되어 있다.

  • 2차차


2002년에 완성된 107~110편성이 해당하며, 로템(현 현대로템)에서 제작하였다. 이 전동차의 투입으로 1세대 1000호대 중 마지막까지 일본국철 301계 타입의 전면 형상을 가진 차량을 포함한 36량(대우중공업 제작)을 교체하였다. 도입 후, 로템에서 1차차와 동일한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 109·110편성에는 1세대 1000호대에서 개조 편입된 차량이 편성당 2량씩 포함되어 있다. 1차차와 달리, 출입문 창틀이 두꺼운 것으로 사양이 변경되었다.

  • 3차차


1차차·2차차와 1000호대 저항 제어 차량을 대체하기 위해 2027년부터 2029년에 걸쳐 16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3. 편성 구성

편성은 팬터그래프와 주변압기, 제어기기, 견인전동기가 탑재된 M차, 제어기기와 견인전동기만이 탑재된 M차, 그리고 보조전원장치와 공기압축기, 축전지, 제어실 등을 갖춘 Tc차와 제어실이 없는 T1, 그리고 아무런 기기도 탑재되지 않는 T차로 구성되었다. 서울교통공사는 팬터그래프가 설치된 차량도 M차로 본다. 서울교통공사의 편성 번호는 4자리 차량 번호 중 차량을 의미하는 백의 자리를 제외한 3자리로 표현한다. (예: 1호차가 1001인 편성 = 101편성)

객차번호설치된 전장품
10XX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11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2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3XXT(무동력객차)
14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5XXT1(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16XXT(무동력객차)
17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8XXM(팬터그래프, 주변압기, 주변환장치)
19XXTc(SIV, 공기압축기, 축전지)



style="background-color:#ccc; width:6em;"|colspan="10"|colspan="2" style="background-color:#ccc; width:6em;" |
호차12345678910제작년도차량 형태
형식1000형1100형1200형1300형1400형1500형1600형1700형1800형1900형
구분TcMMTMT1TMMTc
탑재기기SIV,CP,BTCI,MtrCI,MtrCI,MtrSIV,CP,BTCI,MtrCI,MtrSIV,CP,BT
차량번호10011101120113011401150116011701180119011998년1차차
1002110212021302140215021602170218021902
10031103120313031403150316031703180319031999년
1004110412041304140415041604170418041904
1005110512051305140515051605170518051905
1006110612061306140615061606170618061906
10071107120713071407150716071707180719072000년2차차
1008110812081308140815081608170818081908
1009110912091309140915091609170918091909
1010111012101310141015101610171018101910




4. 도입 역사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여러 차례에 걸쳐 도입되었다.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까지 1차 도입분(101~106편성)이 현대정공(현 현대 로템)에서 제작되어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 당시 도입된 일본제 전동차 60량을 교체하였다.[1]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이후 우진산전에서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1]

2002년에는 2차 도입분(107~110편성)이 로템에서 제작되어, 1세대 1000호대 중 일본국철 301계 타입의 전면 형상을 가진 대우중공업 제작 차량 36량을 교체하였다.[1] 2차 도입분은 1차 도입분에 비해 행선 안내 게시기와 실내 전광판, 지압 손잡이 등이 개선되었고, 출입문 바깥쪽 창틀이 두꺼운 쇠틀로 제작되었다.

3차 도입분(101~116편성)은 1000호대 VVVF 1~2차분 10개 편성과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저항 6개 편성을 대체하기 위해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다.[1]

4. 1. 1차 도입분

1차 도입분은 1998년 11월부터 1999년 4월에 걸쳐 완성된 101~106편성이 해당한다. 현대정공에서 제작하였다. 이 차량들의 도입으로 1호선 개통 당시 도입된 일본제 60량이 교체되었다.[1]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이후, 우진산전에서 차내 좌석을 모켓 마감에서 스테인리스로 변경하는 등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1] 105·106편성에는 1세대 1000호대에서 개조 편입된 차량이 편성당 2량씩 포함되어 있다.[1]

4. 2. 2차 도입분

2002년에 107~110편성이 도입되었다. 로템에서 제작했으며, 이 차량들의 도입으로 1세대 1000호대 중 마지막까지 일본국철 301계 타입의 전면 형상을 가진 차량을 포함한 36량(대우중공업 제작)이 교체되었다.[1]

1차 도입분(101~106편성)과 비교했을 때 다음과 같은 개선 사항이 있다.

  • 행선 안내 게시기와 실내 전광판 개선
  • 지압 손잡이 설치
  • 출입문 바깥쪽 창틀을 두꺼운 쇠틀로 제작


노약자석에 접이식 의자가 설치되었으나, 대구 지하철 화재 사고 이후 불연재 개조로 인해 사라졌다. 현재 시각을 표시하는 LED가 있다. 109·110편성에는 1세대 1000호대에서 개조 편입된 차량이 편성당 2량씩 포함되어 있다.[1]

4. 3. 3차 도입분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1~2차분 10개 편성과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개조저항 6개 편성을 대체할 목적으로 101~116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2027년부터 순차적으로 도입될 예정이며, 열차 디자인과 제작사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1]

5. 현황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는 현재 1~2차분 10개 편성이 운행 중이다. 101~106편성은 1998년에서 1999년 사이에, 107~110편성은 2002년에 도입되었다.

101~105편성은 선두칸에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고, 105, 106편성은 저항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도입되었다. 107~110편성은 지압손잡이가 설치되었으며, 109, 110편성은 저항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도입되었다. 110편성의 1610호는 접이식 의자 시범 차량으로 개조된 적이 있다.

3차분은 1989년, 1999년~2002년에 도입된 차량을 교체하는 것으로, 2027년~2029년 사이에 16개 편성이 도입될 예정이다.

5. 1. 1~2차분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101 편성1998년운행 중101~105편성은 선두칸에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105~106편성은 저항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반입되었다.
102 편성운행 중
103 편성운행 중
104 편성1999년운행 중
105 편성운행 중
106 편성운행 중
107 편성2002년운행 중107~110편성은 지압손잡이가 설치되었다.
109~110편성은 저항제어 전동차의 무동력 T칸을 개조하여 반입되었다.
110편성은 1610호가 접이식 의자 시범 차량으로 개조된 적이 있다.
108 편성운행 중
109 편성운행 중
110 편성운행 중


5. 2. 3차분

3차분은 1989년, 1999년~2002년에 도입된 차량의 교체분으로, 2027년~2029년 사이에 도입될 예정이다.

차호도입 시기운행 중단 시기비고
101 편성2027년 ~ 2029년 예정제작 예정
102 편성
103 편성
104 편성
105 편성
106 편성
107 편성
108 편성
109 편성
110 편성
111 편성
112 편성
113 편성
114 편성
115 편성
116 편성


6. 배속

전 차량이 군자차량사업소에 배속되어 있다.[4]

7. 운행 노선

수도권 전철 1호선에서 모든 차량이 완행으로만 운행된다. 한국철도공사 311000호대 • 312000호대 전동차, 한국철도공사 319000호대 전동차에 비해 운행 구간과 등급에 제한이 있는데, 이는 국토교통부와 한국철도공사의 협의 결과이다. 동일 회사 개조저항도 마찬가지이다.

7. 1. 현재 운행 노선

8. 특이 사항

이 전동차는 다음과 같은 특이 사항을 가지고 있다.


  • 차적 편입: 105~106, 109~110편성은 기존 초저항 전동차의 부수차를 개조하여 T칸(4·7호차)으로 사용하였다.
  • 자전거 전용칸: 2009년부터 101~105편성의 맨 앞 칸에 자전거 전용칸이 설치되었다.
  • 불연 내장재: 2003년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2005년에 모든 차량의 내장재가 불연재로 교체되었다. 우진산전(1차 차량)과 현대로템(2차 차량)에서 시행했으며, 바닥재는 노선색, 내장재는 흰색 계열,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가 사용되었다.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 연락 장치도 보강되었다.
  • 110편성 1610호 좌석: 일본국유철도 205계 전동차에 사용된 것과 유사한 수납형 좌석이 설치되었으나,[5] 2007년 12월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와 동일한 시트로 교체되었다.
  • 105편성 실내등: 2018년 12월경 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 205편성과 함께 LED 직관등으로 시범 교체되었다.
  • CCTV: 2023년에 1~2차분 전 편성에 설치되었다.

8. 1. 개조 후 차적 편입

105~106, 109~110편성은 기존 초저항 전동차의 부수차를 개조해 해당 편성 T칸(4·7호차)으로 반입되었다.

8. 2. [[자전거]] 전용칸 개조

2009년부터 자전거 승객들의 이동 편의를 위하여 101~105편성은 전동차 Tc(운전실이 있는 칸) 맨 앞에 자전거 전용칸 개조가 이루어졌다. 즉, 자전거는 주인이 직접 들고 다녀야 한다.

8. 3. 불연 내장재 교체 사업

2003년 2월 18일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를 계기로 철도 차량의 내연 기준이 강화되었다. 이에 따라 로윈로템에서 2005년에 모든 차량의 내장재를 불연재로 교체하였다. 바닥재는 노선색에 맞추었고, 내장재는 흰색 계열을 사용하였으며, 좌석은 무광택 스테인리스 시트를 채택하였다. 화재 경보기와 객실 비상용 연락 장치 등 화재 사고에 대비한 설비도 보강되었다.

대구 지하철 화재 참사 이후, 1차차는 우진산전에서 차내 좌석을 모켓 마감에서 스테인리스로 변경하는 등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 2차차는 도입 후 로템에서 1차차와 동일한 불연화 개조를 시행하였다.

8. 4. 110편성 1610호 좌석 개조

110편성의 1610호 객차일본국유철도 205계 전동차의 6문형 차량 등에서 사용되었던 것과 유사한 형태의 수납형 좌석이 설치되었으나[5] 2007년 12월서울교통공사 2000호대 VVVF 전동차의 것과 동일한 시트로 교체되었다.

8. 5. 105편성 실내등 [[발광 다이오드|LED]] 개조

2018년 12월 경에 105편성 실내등이 (비슷한 시기로 추정된) 205편성과 함께 기존 형광등에서 LED 직관등으로 시범 교체되었다.

8. 6. 객실 내 [[CCTV]] 설치

2023년에 1~2차분 전 편성에 CCTV가 설치되었다.

9. 사진

참조

[1] 기술문서 유도전동기
[2] 기술문서 정격출력
[3] 기술문서 정격출력
[4] 설명 입출고 운용 시 선로 이용
[5] 설명 좌석 접이 시범 운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