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일본국유철도 205계 전동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5계 전동차는 1980년대 초 일본국유철도(국철)가 103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이다. 103계보다 에너지 절약 성능을 높이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것을 목표로 스테인리스 차체와 계자첨가 여자제어 방식을 채택했다. 1985년 요코하마선과 무사시노선에 처음 투입되었으며, 이후 야마노테선, 주오·소부 완행선 등 수도권 주요 노선에 널리 사용되었다. JR 동일본, JR 서일본을 거쳐 현재는 난부 지선, 센세키 선, 쓰루미 선, 나라 선 등에서 운행 중이며, 인도네시아와 후지 급행에서도 운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700계 전동차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고속화를 위해 JR 도카이와 JR 서일본이 공동 개발한 신칸센 700계 전동차는 0계 및 100계 전동차를 대체하여 1999년부터 최고 속도 285km/h로 운행되었으며, 노조미, 히카리, 히카리 레일스타 등으로 운행된 다양한 모델이 있다.
  •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신칸센 500계 전동차
    신칸센 500계 전동차는 서일본여객철도가 개발한 최고 속도 300km/h의 신칸센 차량으로, 독특한 공기역학적 디자인과 원통형 차체가 특징이며, 현재는 코다마 등급으로 운행되거나 특별 테마 열차 및 박물관에 전시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
    일본국유철도 C51형 증기 기관차는 일본 최초의 퍼시픽형 축 배치를 채용한 여객용 증기 기관차로, 1919년부터 1928년까지 289량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본선 등에서 활약했으며, 일부는 중국으로 공출, 현재 4량이 철도 박물관 등에 보존되고 있다.
  • 일본국유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국철에서 노후화된 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회생 제동 시스템 등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국철 민영화 이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용되었고, JR 도카이에서는 315계 도입으로 퇴역 후 일부 차량이 산기 철도로 양도될 예정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
    동일본 여객철도 107계 전동차는 노후 급행형 전동차 대체용으로 JR 동일본에서 개발한 2량 편성 통근형 전동차로, 165계 전동차 폐차 부품을 재활용하여 제작되었으며, 0번대와 100번대 모델이 존재하고 일부는 조신 전철에 양도되어 700형으로 운행 중이다.
  •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 차량 -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
    일본국유철도 211계 전동차는 국철에서 노후화된 113계 및 115계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한 통근형 전동차로,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회생 제동 시스템 등을 채택하여 효율성을 높였으며, 국철 민영화 이후 JR 동일본, JR 도카이, JR 서일본에서 운용되었고, JR 도카이에서는 315계 도입으로 퇴역 후 일부 차량이 산기 철도로 양도될 예정이다.
일본국유철도 205계 전동차
개요
JR 서일본 205계, 덴노지 ~ 비쇼엔 구간, 한와선 운행
JR 서일본 205계, 덴노지 ~ 비쇼엔 구간, 한와선 운행
제조업체히타치
가와사키 중공업
긴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도큐 차량
JR 동일본 오후나 공장
일본
인도네시아
후속 차량E131계 전동차
209계 전동차
225계 전동차
321계 전동차
E231계 전동차
E233계 전동차
제작 기간1984년 ~ 1991년
1990년 ~ 1994년 (6문형 차량)
운행 기간1985년 3월 25일 ~ 현재
리모델링2002년 ~ 2013년
폐차 기간2002년 ~ 현재
제작 수량1,461량
운행 대수일본: 285량 (2020년 4월 기준)
인도네시아: 812량 (2020년 11월 기준)
보존 차량1량
폐차 대수일본: 350량
편성일본: 2, 3, 4, 6, 7, 8, 10, 11량 편성
KAI 코뮤터: 4, 6 (가끔), 8, 10, 12량 편성
운영 기관일본국유철도 (1985년~1987년)
JR 동일본, JR 서일본 (1987년~현재)
KAI 코뮤터 (2013년~현재)
후지 급행 (2011년~현재)
소속 기지미야기노, 나카하라, 게이요, 가와고에, 고즈, 가마쿠라, 히네노, 미야하라
부킷 두리, 데포크, 보고르, 솔로 발라판 (KAI 코뮤터)
차체스테인리스강
차량 길이20,000 mm
양쪽 4개
양쪽 6개 (사하 204)
최고 속도일반: 100 km/h
한와선 205-1000: 110 km/h
동력 장치저항 제어 + 계자 시스템 중첩 계자 제어
가변 주파수 제어 (IGBT) (205-5000계)
견인 전동기MT61 (저항 제어)
가속도일반: 1.7 km/h/s
5000번대: 3.2 km/h/s
감속도3.6 km/h/s
전기 시스템직류 1,500 V 가공 전차선
집전 방식팬터그래프
제동 장치회생 제동, 전기 공기 브레이크
안전 장치ATS-SN
ATS-SW
ATS-P
ATS-Ps
ATC
D-ATC
ATACS
연결기시바타식 자동 연결기 (인도네시아에서 AAR 재니 장착 차량과 연결 시 AAR 재니 어댑터 사용)
궤간1,067 mm
주요 특징
차체 재질스테인리스강
구동 방식중공축 평행 카르단 구동방식
제어 방식계자 첨가 여자 제어 (5000번대 제외)
차량 규격
전장기본 20,000 mm (선두차 개조차 20,100 mm)
전폭차체 기준 폭 2,800 mm (빗물받이 간 최대 폭 2,870 mm)
전고4,086 mm (팬터그래프 접힘 시 4,140 mm)
성능
설계 최고 속도100 km/h (일부 110, 120 km/h)
기동 가속도2.4 km/h/s (게이힌 도호쿠선 6M4T 편성 기준)
상용 감속도3.5 km/h/s
주전동기 출력120 kW × 4
기어비85:14 (6.07)
정격 속도전계자: 39.0 km/h
35% 약계자: 74.0 km/h (5000번대 제외)

2. 배경

1981년에 103계를 대체하는 에너지 절약형 통근 전동차로 양산이 시작된 201계는 에너지 절약 성능은 우수했지만, 핵심 부품인 초퍼 제어 장치의 제조 비용이 매우 비쌌다.[253] 당시 재정난에 시달리던 국철은 더 저렴한 비용으로 에너지 절약을 실현할 수 있는 차량을 필요로 했다.[253]

1984년, 국철은 1985년 3월 다이어 개정에 맞춰 요코하마선무사시노선의 수송력 증강을 계획했다. 이를 위해 야마노테선에서 운행하던 103계를 해당 노선으로 이동시키고, 야마노테선에는 새로운 차량을 투입해야 했다.[252]

당초 국철은 201계를 추가 투입하려 했으나, 1984년 6월 말, 차기 근교형 전동차(현재의 211계)에 적용될 예정이었던 계자첨가 여자제어 방식,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전기지령식 제동 등의 신기술을 적용한 새로운 통근형 전동차를 개발하기로 결정했다.[252]

새로운 전동차(205계)의 개발은 매우 촉박하게 진행되었다. 승무원 훈련 기간을 고려하여 1985년 1월 말까지 첫 번째 편성을 완성해야 했기 때문에, 불과 7개월 만에 설계와 제조가 이루어졌다.[252]

당초 국철은 수도권 전체의 전동차 교체 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며, 야마노테선에 이어 주오·소부 완행선에 205계를 집중 투입할 계획이었다.[254]

3. 구조

205계는 101계에서 이어져 온 20m급 4도어 전동차이지만, 차체가 기존 강철에서 스테인리스로 바뀌면서 크게 가벼워졌다. 도장 공정이 생략되어 유지보수 작업도 줄었다.[252] 스테인리스 차체 덕분에 201계보다 각 차량당 약 7t 가량 가벼워졌다.[256]

외관은 보강용 비드를 최소화한 외판에, 처음 제조된 차량을 제외하고는 큰 1단 하강 창을 갖추었다. 이 1단 하강 창은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2000형(현재 폐차)을 참고한 것이다. 당시 국철 차량 설계 책임자가 도큐 차량 제조 공장을 방문했을 때, 2000형을 보고 "1단 하강 창이 깔끔하다. 스테인리스 차체라면 부식 걱정도 없다"고 하여 이후 양산차는 1단 하강 창으로 제작되었다.[257]

국철은 과거 10계 객차 일부 침대차나 157계 전동차, 급행형 1등차 등 강철제 차량에 1단 하강 창을 채용한 적이 있었지만, 배수구 설치가 불충분하여 차체 부식으로 차량 수명이 단축되었다.[258] 그러나 205계는 스테인리스 차체이므로 부식 걱정이 없어 통근형 전동차로는 처음으로 1단 하강 창이 채택되었다. 차체 측면의 도어포켓 창과 연결면의 처면 창은 폐지되었다.[259] 스테인리스 차량은 외판이 강도 확보에 중요하여 창을 만들려면 뼈대로 보강해야 하지만, 창을 없애면 경량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차체 전면 도색 대신 창 상하에 노선색을 필름 띠로 나타내어 승객에게 상쾌한 인상을 준다.[256][260] 처음에는 1색이었지만,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 최대 3색까지 사용되었다. 전면은 201계처럼 도큐 차량의 디자인이 반영되어 창 주위가 흑색인 좌우 비대칭 디자인이지만, 전조등이 창 아래에 있어 온화한 인상이다.[252] 전조등 좌우에도 노선색 띠가 들어간다. JR 동일본이 제조한 차량은 전면 상부 우측에 종별 표시기가 추가되었지만, 요코하마 선과 게이요 선 외에는 노선명만 게시하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경우도 많다.

분할 민영화 이후 행선 표시기, 열차 번호 표시기, 미등, 측등이 LED화되었지만 전구인 차량도 있다. JR 서일본은 LED식 행선 표시기를 시험적으로 7량에 설치했지만, 단기간에 막식으로 복원했다.

국철 시대 제조 차량은 어린이가 도어 포켓에 손을 넣지 못하게 201계처럼 작은 창을 가진 출입문을 갖추었지만, 분할 민영화 이후 야마노테 선용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크기 창을 가진 출입문으로 변경되었다. JR 동일본이 요코하마 선용으로 제조한 사하 204형 100번대는 209계 차체와 대차(TR246E)를 기반으로 설계되었다.

국철에서 처음으로 채용한 볼스터리스 대차(사가미 선 205계의 DT50D형 대차)


계자첨가 여자제어장치(사가미 선 205계)


HS52형 여자 장치(계자 첨가 여자 장치)


이전의 201계와 203계에서 채용한 초퍼 제어 방식은 제조 비용이 매우 비쌌기 때문에, 205계는 국철 말기 재정난 속에서도 대량 투입을 위해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를 낼 수 있는 계자첨가 여자제어 방식을 국철 최초로 채택했다. 구조적으로는 저항 제어의 연장선에 있지만, 전기 브레이크에 회생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고, 가벼운 차체와 함께 201계보다 뛰어난 에너지 절약 차량이 되었다. 특히 제어 회로는 비싼 반도체 소자 대신 기존 차량에 널리 보급된 부품을 사용하여 기기 비용을 크게 줄였다.

도입 전 205계의 야마노테 선 주행 시뮬레이션 결과, 성능 향상과 차체 경량화로 201계보다 전력 소비량이 적고, 103계보다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56] CS57형 전동 캠축식 주제어기에는 가감 속도 빈도가 큰 경우 유용한 놋치 반환 기기도 탑재되었다. 역행 시 이용되는 저항 제어 회로의 단수는 직렬 13단·병렬 11단이다.

CS57형 주제어기에 부수한 HS52형 여자 장치가 탑재되었다(JR 동일본화 이후 증비차는 HS52A형으로 변경). 이 여자 장치는 약계자 제어와 회생 제동 사용 시 계자 제어를 하며, 사이리스터(1,600V-800A)와 다이오드(1,600V-250A)를 조합한 삼상 혼합 브리지와 바이패스 다이오드(1,600V-800A), 여자용 변압기,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부 등 무접점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전동기 제어는 전동 발전기(MG)로 3상 교류 440V를 바탕으로 삼상 혼합 브리지를 이용한 전파 정류(HS52형)/반파 정류(HS52A형)를 하고 주전동기의 제어를 한다.

3. 1. 형식

205계는 다양한 파생 형식을 가지고 있다. 주요 형식은 다음과 같다.

  • 205-0계: JR 서일본 도카이도 본선한와선에서 사용되는 6량, 7량, 8량 편성과 JR 동일본 주오-소부선, 게이힌-도호쿠선, 게이요선, 난부선, 무사시노선, 사이쿄선, 야마노테선, 요코하마선에서 사용되는 6량, 7량, 8량, 10량, 11량 편성이 있다.
  • 205-500계: 사가미선에서 사용되는 4량 편성이다.
  • 205-600계: 2013년 3월 16일부터 닛코선우쓰노미야선에서 사용되는 4량 편성이다.
  • 205-1000계: 한와선에서 운행했던 JR 서일본 소속 4량 편성이며 현재는 나라선에서 운행 중이다.
  • 205-1000계: 이전 205-0계 차량을 개조한 JR 동일본 소속 2량 편성으로, 난부 지선에서 사용된다.
  • 205-1100계: 이전 205-0계 차량을 개조한 3량 편성으로, 2004년 8월 25일부터 쓰루미선에 투입되었다.[7]
  • 205-1200계: 이전 205-0계 차량을 개조한 6량 편성으로, 난부선에서 사용되었다.
  • 205-3000계: 이전 205-0계 차량을 개조한 4량 편성으로, 가와고에선하치코선에서 사용되었다.
  • 205-3100계: 이전 205-0계 차량을 개조한 4량 편성으로, 센세키선에서 사용되었다.
  • 205-5000계: 2002년부터 2008년 사이에 새로운 IGBT-VVVF 제어 AC 모터로 개조된 이전 야마노테선 205-0계 차량으로, 무사시노선에서 사용되었다.


205계 전동차의 설계에는 많은 변형이 있었다.

1단 하강 창 채용을 결정한 요코하마시 교통국 2000형 전동차


101계에서 사용되던 20m급 편측 4도어 차체를 가지지만, 기존의 보통강에서 올 스테인리스 구조로 변경되었다.[43] 이로 인해 대폭적인 경량화와 도장 공정을 생략하여 보수 작업이 크게 경감되었다.[39] 스테인리스 차체로 변경함으로써, 차량 중량은 201계보다 각 차 약 7t의 경량화가 실현되었다.[44]

외관은 보강용 비드를 극히 줄인 외판에, 초회 제조분을 제외하고 밸런서를 갖춘 큰 1단 하강 창을 갖추었다. 1단 하강 창으로의 설계 변경은 요코하마시 교통국의 2000형이 힌트가 되었다. 양산 선행차 낙성 시, 국철의 차량 설계 책임자가 도큐 차량 제조 공장을 방문했을 때, 동시기에 제조 중이었던 요코하마시 2000형이 본 계열과 나란히 있었다. 1단 하강 창을 본 책임자는 "1단 하강 창이 더 깔끔하다. 스테인리스 차체라면 부식 걱정도 없으니 보수상의 문제도 없다"고 말했고, 이후의 양산차는 1단 하강 창으로 제조되었다.[45]

국철에서는 과거에 10계 객차 (일부 침대차)나 157계, 급행형 그린차 (153계 사로 152, 451계 사로 451, 키하 58계 키로 28/키로 58) 등의 강철제로 1단 하강 창을 채용한 전례가 있지만, 모두 차체 하부의 물 빼기 구멍 설치가 불충분하여, 안쪽에 고인 쇳가루나 흙이 수분을 유지하여 차체의 부식을 진행시켜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켰다.[46] 그 때문에, 당시의 국철에서는 하강 창 차는 금기시되었지만, 올 스테인리스 구조라면 부식 걱정도 없기 때문에, 전후의 통근형 차량으로서 처음으로 1단 하강 창이 채용되었다. 이 외에, 차체 측면의 차창과 연결면에 있는 처면 창이 폐지되었다.[47] 스테인리스 차량의 경우, 외판이 강도를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창을 설치할 경우에는 골조로 고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창을 없애면 그만큼 경량화나 비용 절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차체 전면 도장에서 창의 상하에 각 노선별 라인 컬러를 풀 부착 필름의 띠로 나타내는 방법을 채택하여, 이용자에게 산뜻한 인상을 주고 있다.[48][44] 당초에는 1색만 사용되었지만, JR화 이후에는 최대 3색까지 사용하게 되었다.

전면은 게이오 3000계에서 채용되었으나 그 후 한동안 채용 사례가 없었던 FRP 응용 기술을 채용하여, 스테인리스제 차체에 FRP제 부재를 접합하는 것으로 제작되었다.[49] 201계와 마찬가지로 설계에 참가한 도큐 차량의 컬러가 반영된, 전면의 창 주위를 흑색으로 통일한 좌우 비대칭의 디자인이 채용되었지만, 전조등의 위치가 창 아래로 변경되었다.[39] 이 위치 변화는 203계로부터의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39] 전면에도 라인 컬러 띠를 배치하고, 전조등은 컬러 띠 위에 배치되어 있다. JR 동일본이 증비한 차량 (야마노테선용을 제외)에서는 전면 상부 오른쪽에 종별 표시기가 추가되었지만, 실제로는 요코하마선게이힌선 이외에는 노선명만을 게재한 경우가 많았고, 2000년대 이후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쇼와 62년도 3차 예산 증비차 (야마노테선용 쿠하 205-49・쿠하 204-49 이후)부터는 선두차의 2위 측에 있던 승무원실 문 옆의 발판이 폐지되어, 이 발판에 의한 라인 컬러의 끊김도 없어 외관도 약간 변화했다.

행선 표시기는 자막식을 채용했지만, JR 서일본에서는 발족 직후 LED식 행선 표시기를 게이한신 완행선용 편성에 설치한 예가 있다. 이 편성은 나중에 막식으로 되돌려졌지만, 2000년대 이후는 개조로 LED식 행선 표시기를 설치한 차량이 많이 등장하게 되었다.

국철 시대에 제조된 차량은, 유아나 어린이가 차창에 손을 끌려 들어가지 않도록 201계와 마찬가지로 창을 작게 한 객용 도어를 갖추지만, 분할・민영화 이후는 야마노테선용 (4도어차)을 제외하고 일반적인 크기의 창을 가진 도어로 변경되었다.

이전의 201계와 203계에서 채용한 전기자 초퍼 제어의 제조 비용이 매우 고가였던 터라 본 계열에서는 국철 말기의 재정난 상황에서도 대량 투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비교적 간단한 기기 구성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계자첨가 여자제어를 국철에서 처음으로 채용하게 되었다. 기구적으로는 오랜 저항 제어의 연장상에 있지만, 전기 브레이크에 회생 브레이크를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경량인 차체와 맞물려 결과적으로 201계보다 뛰어난 에너지 절약 차량이 되었다. 특히 제어 회로는 전기자 초퍼 제어와 달리 비싼 반도체 소자를 사용하지 않고 종래의 차량에서 널리 보급되고 있는 부품을 사용하기 때문에 기기 비용은 크게 억제되었다.

도입 전 본 계열의 야마노테선 주행 시뮬레이션을 실시한 결과 성능 향상과 차체 경량화에 의해 201계보다도 전력 소비량은 적고, 해당 노선에서 운용되는 103계보다 큰 폭으로 전력 소비량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256] CS57형 전동 캠축식 주제어기에는 가감 속도의 빈도가 큰 경우에 유용한 놋치 반환 기기도 탑재되고 있다. 역행시에 이용되는 저항 제어 회로의 단수는 직렬 13단·병렬 11단이다.

CS57형 주제어기에 부수한 HS52형 여자 장치가 탑재되고 있다(다만 JR 동일본화 이후 증비차는 뒤에 서술하는 HS52A형으로 변경). 이 여자 장치는 약계자 제어와 회생 제동 사용시 계자 제어를 실시하는 것으로 장치는 사이리스터(1,600V-800A)와 다이오드(1,600V-250A)를 조합한 삼상 혼합 브리지와 바이패스 다이오드(1,600V-800A), 여자용 변압기나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부 등 무접점 제어 장치로 구성된다. 전동기 제어는 전동 발전기(MG)로 3상 교류 440V를 바탕으로 삼상 혼합 브리지를 이용한 전파 정류(HS52형)/반파 정류(HS52A형)를 하고 주전동기의 제어를 실시한다.

4. 번대 구분 및 전속

205계 전동차의 주전동기는 713계 전용으로 개발된 MT61형 직권정류자 전동기를 사용한다.[256] 1시간 정격출력은 기존의 표준 전동기인 MT54형과 동일한 120kW[261]이지만, 설계 개선을 통해 낮은 회전 속도에서의 토크를 향상시키고, 약계자율을 35%까지 확대하여 고속 성능을 확보했다.[262] 1시간 정격 속도는 39.0km/h, 1시간 정격 견인력은 1유닛 당 8870kg이다.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와 함께, 지하철 직통용 203계와 같은 기어비(6.07)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고정격 회전수 사양의 주전동기[263]를 탑재하고 기어비 5.60으로 고속 사양인 201계와 거의 동등한[264] 기동 가속도 및 고속 특성을 갖추고 있다. 205계 6M4T 편성(게이힌 도호쿠 선용)의 기동 가속도는 2.4km/h/s이다.[265]

MT61형 주전동기


1988년까지 투입된 차량은 201계와 비슷한 수준의 소음을 내는 외선형 전동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1989년경 사이쿄 선 전용으로 증비된 차량부터는 냉각팬 구조를 변경하여 고속 영역에서도 조용한 주행음을 실현한 내선형 전동기로 변경되었다. 이는 103계의 소음이 오미야-아카바네 구간을 주행하는 신칸센보다 컸던 점을 고려한 소음 대책의 일환이었다. 이후 게이요 선이나 무사시노 선 차량에도 내선형 전동기가 적용되었다. 차량 검사 시 외선형 전동기가 내선형으로 교체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지만, 양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호환성을 가진다.

205계는 여러 노선에서 운행되었으며, 노선별 특성에 맞춰 개조가 이루어졌다.

205계 전동차의 번대 구분 및 전속 (JR 동일본)
노선번대편성운행 기간비고
주오-소부 래인010량1989년 ~ 2001년
하치코 선30004량 x 5편성2003년 ~ 2018년 7월 15일JR 동일본에서 교외선 운행을 위해 단축된 205-0계 전동차 개조, 승객 직접 조작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가와고에 선30004량 x 5편성2003년 ~ 2018년 7월 15일JR 동일본에서 205-0계 전동차 개조, 승객 직접 조작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가와고에 선010량1989년 7월 ~ 2016년 10월
게이힌 도호쿠 선010량1989년 ~ 1996년
게이요 선010량1990년 ~ 2011년
무사시노 선50008량 x 36편성2002년 ~ 2020년 10월
무사시노 선08량 x 6편성1991년 ~ 2019년 10월
난부 선06량 x 31편성1989년 ~ 2016년 1월 9일205-0계 중간차 개조 205-1200형 제어차 4개 편성 포함
닛코 선6004량 x 4편성2013년 3월[8][9] ~ 2022년 3월 11일화장실 설치
사가미 선5004량 x 13편성1991년 ~ 2022년 2월[10]
사이쿄 선010량1989년 7월 ~ 2016년 10월린카이 선 직결 운행
우쓰노미야 선6004량 x 8편성2013년 3월[8] ~ 2022년 3월 11일화장실 설치
야마노테 선011량1985년 ~ 2005년초기 10량 편성
요코하마 선08량 x 28편성1988년 ~ 2014년 8월 23일[11]초기 7량 편성



205계 전동차의 번대 구분 및 전속 (JR 서일본)
노선번대편성운행 기간비고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 완행선
(비와코 선, JR 교토 선, JR 고베 선, 후쿠치야마 선)
07량1986년 ~ 2006년
도카이도 본선 완행선
(JR 교토 선, JR 고베 선)
07량2011년 ~ 2013년 3월과거 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 6량 및 8량 편성 운행
한와 선10004량1988년 ~서일본 여객철도 제작
한와 선06량 및 8량2006년 ~ 2010년, 2013년 3월 ~ 2018년 3월 16일과거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산요 본선 완행선 7량 편성 운행
나라선10004량2018년 3월 18일 ~


4. 1. 신조 차량

대차는 국철이 신규로 개발한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용했다.[266] 액슬박스 지지 방식은 원추 적층고무 방식으로, 액슬 박스의 양쪽에 높이를 바꿔 설치되었다. 동력 대차는 DT50형, 부수 대차는 TR235형이라 칭한다.[266] 대차 프레임은 측면 대들보를 직선으로 하고 가로 보에는 심리스 파이프를 채용하는 등 구조를 대폭 간소화했다.[266] 또한 저널 박스 방식과 함께 구성 부품 수를 줄여 보수성을 향상시키고, 총 경량화와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266] 그 결과 종래의 대차보다 1대차의 무게는 약 1.5t 경량화되었다.[266] 제동 장치는 동력 대차는 편압식 답면 제동, 부수 대차는 편압식 답면 병용 디스크 제동 방식을 채용했다.[266]

이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는 이후 203계 100번대(DT50A형·TR235A형), 211계(DT50B형·TR235B형), 415계 1500번대(DT50C·TR235C형) 등 이 시기에 제조되었던 국철 차량에 속속 채용되었다.

DT50형 동력 대차


TR235형 부수 대차


개량형 DT50D형 동력 대차


개량형 TR235D형 부수 대차


1985년도 제1차 채무 도입(야마노테선 쿠하 205-32-쿠하 204-32 이후)에서는 베어링 형상을 편침식 밀봉 롤러 베어링에서 양침식 밀봉 롤러 베어링으로 변경하고, 동력 대차 구동 장치의 기어 윤활 방식을 변경하는 등 개선이 이루어져 형식은 DT50D형, TR235D형으로 변경되었다.

차내는 201계를 기반으로 내장재 색상은 크림색 계열, 바닥재는 옅은 갈색이다.[60] 천장은 평천장 구조로, 각 차량에는 보조 송풍기(라인데리아)가 4대 설치되어 있다.[60] 차문 옆 창과 차단부 창의 폐지로 인해 이들이 있던 자리에는 광고 틀이 설치되었다. 문 개폐를 위한 "도어 엔진(문 닫는 장치)"은 대부분 좌석 아래 수납식 "이경 복 실린더형 차동 랙식"을 사용한다.

차내는 롱 시트이며, 101계 이래의 국철 신성능 통근형 전철 표준 좌석 배치를 따랐다. 완성 초기 좌석 표지는 구분을 위해 양쪽 3인용 부분을 롬 브라운색(고동색), 중앙 1인분을 헤이즐넛색(엷은 오렌지색)으로 했다.[60] 좌석 표지는 JR화 이후 경년 열화로 인해 각 사의 표준품으로 교체되었다. 공조 장치는 집중식 AU75G형 (42,000kcal/h)을 탑재한다.[50] 짐 선반은 초기에는 알루미늄 금속망 방식이었지만, 후기형부터 스테인리스 파이프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냉방 송풍구도 알루미늄 재료에서 FRP품으로 변경되었다.

승무원실과 객실 칸막이 부분은 종래에 기기 설치 공간으로 하여 후면 창을 생략하거나 작은 것을 설치했다. 그러나 국철 말기에 제조된 본 계열에서는 여객 서비스 등을 고려하여 객실에서의 시야 확보를 위해 후면 창을 설치했다.[51] 이 창의 크기는 ATC 탑재 차량, ATC 미탑재 차량, 1000번대에서 차이가 있지만, 매수는 3장으로 통일되었다.

운전대 기기 배치, 치수 등은 201계에 준거했다.[60] 브레이크 전기 지령화에 따라 원 핸들 마스콘 채용도 검토되었지만, 취급 숙련성 등 여러 문제로 201계와 동일한 횡축식 마스콘, 종축식 브레이크 설정기 조합이 채택되었다.[52] 종축식 브레이크 설정기 채용으로 운전사 발밑 공간을 넓게 확보했다. 또한, 브레이크 핸들은 고정식으로(기존의 뽑기 방식이 아닌) 마스콘 키로 핸들 잠금 해제를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60]

승무원실 후면 칸막이 벽. 사진은 사이쿄선용 ATC 대응 차량으로, 칸막이 창이 작다

4. 1. 1. 0번대

1984년, 일본국유철도는 요코하마선무사시노선의 수송력 증강을 위해 야마노테선에서 103계 전동차를 이들 노선으로 이동시키기로 결정했다. 이를 위해 야마노테선에 투입할 새로운 통근형 전동차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당초에는 201계 전동차를 추가 투입하는 방안이 검토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새로운 형식의 차량을 투입하기로 결정되었다. 이 새로운 형식이 바로 205계 전동차이다.

205계 전동차는 1985년 1월에 첫 편성이 완성되어, 불과 7개월이라는 짧은 기간 동안 설계 및 제작이 이루어졌다. 이는 승무원 훈련 기간을 고려하여 다이아 개정 전에 차량을 완성해야 했기 때문이다.

205계 전동차는 101계 전동차부터 이어져 온 20m급 4도어 전동차의 전통을 따르면서도, 차체를 기존의 강철에서 스테인리스강으로 변경하여 경량화와 유지보수 비용 절감을 실현했다. 또한, 초기형을 제외한 대부분의 차량은 1단 하강식 창문을 채택하여 깔끔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2000형 전동차의 디자인을 참고한 것이다.[45]

205계 전동차는 국철의 재정난 속에서도 대량 투입이 가능하도록, 비교적 간단한 기기 구성으로 에너지 절약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계자첨가 여자제어 방식을 채택했다. 이는 고가의 전기자 초퍼 제어 방식 대신, 기존 차량에서 널리 사용되던 부품을 활용하여 제작 비용을 절감하면서도 회생 제동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대차는 국철이 새로 개발한 볼스터리스 대차를 채택하여, 기존 대차보다 무게를 줄이고 유지보수성을 향상시켰다.[60] 1985년 이후 제작된 차량은 베어링 형상과 구동 장치의 기어 윤활 방식을 개선한 DT50D형(동력 대차) 및 TR235D형(부수 대차)을 사용했다.

제동장치는 국철 최초로 전기지령식 제동을 채택하여 공기 배관을 줄이고 경량화를 실현했다. 다만, 운전 방식은 기존의 201계와 동일한 횡축식 마스콘과 종축식 제동기의 조합을 유지했다. 전기 제동은 첨가 여자 장치를 이용한 회생 제동을 실시하며, 속도에 따라 계자 전류와 주회로 전류를 조절하여 일정한 제동력을 확보한다.

공기 압축기는 MH3075-C2000M형을, 보조 전원 장치는 190kVA의 DM106형 전동 발전기를 M'차에 탑재했다.

205계 0번대는 1985년부터 2005년까지 야마노테선에서 운행되었으며, 초기에는 10량 편성으로 운행되다가 나중에 11량 편성으로 변경되었다. 이후 JR 동일본으로 이관된 후에는 다양한 노선으로 전속되었다.

차량 번호1234567891011
차량 형식TcM'MT'M'MTM'MT'Tc
비고6도어6도어


  • Tc: 제어차, M: 동력차, M': 동력차(보조 전원 장치 탑재), T: 부수차, T': 부수차(6도어)


MH3075-C2000M형 공기 압축기. 우측 제습 장치는 D20A형


왼쪽부터 전동 발전기 필터 장치, 보조 저항기


DM106형 전동 발전기 본체

4. 1. 2. 1000번대 (JR 서일본)

1988년 JR 서일본이 한와선 전용으로 설계하여 투입한 차량이다. 전 차량이 긴키 차량에서 제조되었다. 0번대와 비교하여 주행 기기, 전면창 레이아웃 변경, 옥상 통풍기 개수의 반감, 보조 전원 장치로 정지형 인버터 채용 등의 변경이 이루어졌다. 주행 성능의 차이로 0번대와의 병결 운행은 할 수 없다. 현재는 전면에 배장기(스커트)가 장착되어 있다.

4. 1. 3. 사하 204형

동일본 여객철도는 러시 아워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각 측면에 6개의 문이 있는 차량을 사용했다.[12] 1990년 긴키 차량에서 생산되었으며, 이 차량에는 서서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늘리기 위해 접이식 좌석이 있어 가장 붐비는 아침 시간에 정원을 늘렸다. 좌석은 열차 운전사가 자동으로 잠글 수 있다. 좌석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노선 구간에 따라 다른데, 야마노테선, 사이쿄선, 린카이선에서는 오전 10시에 잠금이 해제되고, 요코하마선에서는 오전 9시에 좌석이 잠금 해제된다. 같은 노선 지역에서는 차장이 같은 시간에 잠금을 해제한다. 잠금이 해제되면 좌석 끝에 설치된 램프가 켜지고, 승객은 수동으로 좌석을 당겨 사용할 수 있다(안전을 위해 수동 방식이다). 보관 시에는 승객 없이 차량 기지에 들어간 후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스프링과 가스 댐퍼 사용) 보관된다. 좌석을 해제 시간까지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스티커가 차량 내부에 부착되어 있다.

205계 6도어 차량


접이식 좌석


출입구 천장의 순환기(왼쪽 그릴)


사하 204형 TR241B형 객차 대차. 사진에 표시된 차량은 롤 고무 방식 대신 원뿔형 적층 고무 방식을 사용한다.


차체는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위해 긴키 차량이 개발한 패널 구조를 사용했다.[13] 이것은 딤플 보드라는 보강재로 만들어진 패널이다.[13] 각 출입구의 높이가 1800mm에서 1850mm로 증가했고, 문 사이에 수직 창이 하나 설치되었으며, 측면 창은 880mm에서 1050mm로 수직 치수가 증가했다. 이는 현대인의 체격 개선과 러시 아워 동안 차량 내의 압박감을 줄이기 위한 목적이었다. 패널형 구조 외에도 가스 댐퍼형 밸런서 기구 유닛형 하강식 창을 측면 창에 적용하고 허니컴 구조를 사용한 고객용 출입구는 긴키 차량 고유의 기술을 통합하려는 동기가 되었다.[13]

기존의 원뿔형 적층 고무 방식과 달리, 대차는 651계에 채택된 롤 고무형 차축 박스 지지 방식 TR241B를 사용한다.

좌석 구조로 인해 과거와 같이 좌석 아래에 난방 장치를 설치할 수 없어, 철도 차량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바닥 난방이 채택되었다.[14][15] 또한, 좌석 아래에 이전과 같이 소형 외장형 히터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는 보조 장치이며, 히터는 좌석이 점유될 때만 작동한다.

에어컨은 문 개구부가 커서 기존 모델에 비해 용량이 약 20%인 AU717형(50,000kcal/h・58.0 kW)을 사용한다. 천장에는 보조 송풍기(라인 델리아)가 4개에서 6개로 추가되었고, 각 문 상단에 순환기가 설치되었다(12곳).

차량 내에서는 손잡이 수가 98개(확장 전 4도어 중간 차량)에서 150개로 대폭 증가했으며, 중앙 통로에 보호대가 감긴 5개의 지주가 있다. 설치 위치는 이전 출입구 광장의 중앙이 아니라 보관 좌석 앞(사이)에 있다. 좌석이 접이식이고 문 근처에 잡을 곳이 없었기 때문에 설치되었다. 차량에 6개의 문이 있기 때문에 좌석 수는 30개로, 일반 4도어 차량(54석)보다 적다. 그러나 1인당 좌석 너비는 450mm로 확장되었다.[14] 또한, 위의 기간 동안 사용할 수 없는 보조 좌석의 특수성으로 인해 205계에는 우선석이 없다. 반면에 차량 끝을 활용하여 여기에 휠체어 공간을 설치하여 배리어 프리에 호환된다.

각 문의 비상 문 열림 장치는 유리가 덮인 문 상단에 설치되어 있다.

야마노테선 차량에서는,[16] 차량 내 디스플레이 모니터를 이용한 정보 서비스가 시범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는 승객 서비스 개선을 고려하여 JR 동일본이 시의적절하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16]

차량 내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경우, 사하 204-901은 5인치 액정 디스플레이를 사용하고, 사하 204-902는 6인치 CRT형 얇은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며, 각 문 위에 위치해 있었다. 각 측면에 12개의 검사 덮개가 있었고, 총 24개가 설치되었다. 방송 내용은 뉴스, 일기 예보, 문자 방송에 의한 광고, JR 동일본의 PR 정보 및 스포츠 정보를 포함한 환경 비디오이다.

그 후, 동일한 노선 외에는 정보 제공 장비에 대한 지원 장비가 없었기 때문에 E231-500계가 도입되었을 때, 사이쿄선 또는 요코하마선에서는 액정 디스플레이와 수신 안테나가 제거되었다. 이 차량만 행선 표시기가 없었지만, 사이쿄선 환승 차량에는 일부 창이 개조되어 LED형이 설치되었다.

1990년 2월 27일, 새로운 6도어 시제 차량이 2량 제작되었다. 900번대(901/902)가 추가되어, 본 계열에서 유일한 시제 차량 계열로 구분되었다. 원래 야마테 전철구(현재 도쿄 종합 차량 센터)에 배치되어, 같은 해 3월 10일 시간표 개정 후 야테 42편성(쿠하 205-42보다 10량 적음)의 9호차와 2호차에 연결되어 영업 운전을 시작했다.[14] 혼잡 상황을 시험하기 위해 8호차와 9호차로 연결 위치를 변경하기도 했다.

차량 내부의 모니터 화면 크기는 양산차와 다르다. 또한 조용한 시간대에는 선택 개폐 기능(6개 문 모두 개방/6개 문 중 4개만 선택 개방)이 있으며, 마감 시에는 2개의 문(2번째와 5번째 문)을 개방한다. 이를 나타내는 램프가 차량 외부의 문 양쪽과 차량 내부 문 상단의 비상 문콕 옆에 설치되었다.[14] 또한 짐 선반의 형태는 100번대와 유사한 파이프 타입이며,[14] 양산차보다 약간 높다(높이 1950mm). 다른 설비는 양산차와 동일하다.

다양한 시험 후, 1990년 10월부터 11월까지 양산차가 완성되지 않은 시점에 양산 개조가 이루어졌으며, 차량 내부의 모니터 화면은 양산차와 동일한 9인치 액정 디스플레이로 변경되었다.

4. 2. 전속

205계 전동차의 주전동기는 713계 전용으로 개발된 MT61형 직권정류자 전동기를 사용한다.[256] 1시간 정격출력은 기존의 표준 전동기인 MT54형과 동일한 120kW[261]이지만, 설계 개선을 통해 낮은 회전 속도에서의 토크를 향상시키고, 약계자율을 35%까지 확대하여 고속 성능을 확보했다.[262] 1시간 정격 속도는 39.0km/h, 1시간 정격 견인력은 1유닛 당 8870kg이다.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와 함께, 지하철 직통용 203계와 같은 기어비(6.07)를 사용함에도 불구하고, 고정격 회전수 사양의 주전동기[263]를 탑재하고 기어비 5.60으로 고속 사양인 201계와 거의 동등한[264] 기동 가속도 및 고속 특성을 갖추고 있다. 205계 6M4T 편성(게이힌 도호쿠 선용)의 기동 가속도는 2.4km/h/s이다.[265]

1988년까지 투입된 차량은 201계와 비슷한 수준의 소음을 내는 외선형 전동기를 사용했다. 그러나 1989년경 사이쿄 선 전용으로 증비된 차량부터는 냉각팬 구조를 변경하여 고속 영역에서도 조용한 주행음을 실현한 내선형 전동기로 변경되었다. 이는 103계의 소음이 오미야-아카바네 구간을 주행하는 신칸센보다 컸던 점을 고려한 소음 대책의 일환이었다. 이후 게이요 선이나 무사시노 선 차량에도 내선형 전동기가 적용되었다. 차량 검사 시 외선형 전동기가 내선형으로 교체되거나, 그 반대의 경우도 있었지만, 양자는 기능적으로 동일하며 호환성을 가진다.

4. 2. 1. JR 동일본

2000년대 초, 야마노테선에 E231계 500번대가 투입되고, 주오·소부 완행선이 광폭 차량으로 통일되면서 대규모 전배속이 이루어졌다. 야마노테선에서 제외된 사하 204형은 요코하마선사이쿄선으로 전속되었다.[12] 전동차 부족을 보충하기 위해 VVVF 인버터 제어화 개조를 실시한 차량도 있다(무사시노선). 다양한 노선에서 운용되었으며, 노선별 특성에 맞춰 개조가 이루어졌다.

  • '''주오-소부 래인''':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부터 2001년까지)
  • '''하치코 선''': 4량 205-3000계 전동차 (x5 편성) (2003년부터 2018년 7월 15일까지) (과거 JR 동일본에서 교외선 운행을 위해 단축된 205-0계 전동차를 개조한 차량) (승객이 직접 조작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 '''가와고에 선''': 4량 205-3000계 전동차 (x5 편성) (2003년부터 2018년 7월 15일까지) (과거 205-0계 전동차를 JR 동일본에서 개조, 승객이 직접 조작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7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 '''게이힌-토호쿠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부터 1996년까지)
  • '''게이요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90년부터 2011년까지)
  • '''무사시노 선''': 8량 205-5000계 전동차 (x36 편성) 및 8량 205-0계 전동차 (x6 편성) (1991년부터 2019년 10월까지 (205-0계 전동차) 및 2002년부터 2020년 10월까지 (205-5000계 전동차))
  • '''난부 선''': 6량 205-0계 (x31 편성) (205-0계 중간차를 개조하여 205-1200형 제어차로 개조한 4개 편성 포함) (1989년부터 2016년 1월 9일까지)
  • '''닛코 선''': 화장실이 설치된 4량 205-600계 전동차 (x4 편성) (2013년 3월[8][9]부터 2022년 3월 11일까지)
  • '''사가미 선''': 4량 205-500계 전동차 (x13 편성) (1991년부터 2022년 2월까지)[10]
  • '''사이쿄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7월부터 2016년 10월까지) (린카이 선 직결 운행)
  • '''우쓰노미야 선''': 화장실이 설치된 4량 편성 (x8 편성) (2013년 3월부터 2022년 3월 11일까지)[8]
  • '''야마노테 선''': 11량 205-0계 전동차 (1985년부터 2005년까지) (초기에는 10량 편성)
  • '''요코하마 선''': 8량 205-0계 전동차 (x28 편성) (1988년부터 2014년 8월 23일까지, 초기에는 7량 편성)[11]


동일본 여객철도는 러시 아워 혼잡에 대응하기 위해 각 측면에 6개의 문이 있는 차량을 사용했다.[12] 1990년에 제작된 이 차량에는 서서 탑승할 수 있는 공간을 늘리기 위해 접이식 좌석이 있어 가장 붐비는 아침 시간에 정원을 늘렸다. 좌석은 열차 운전사가 자동으로 잠글 수 있었다. 좌석을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은 노선 구간에 따라 달랐다. 야마노테선, 사이쿄선, 린카이선에서는 오전 10시에 잠금이 해제되었다. 요코하마선에서는 오전 9시에 좌석이 잠금 해제되었다. 같은 노선 지역에서는 차장이 같은 시간에 잠금을 해제했다. 잠금이 해제되면 좌석 끝에 설치된 램프가 켜지고, 승객은 수동으로 좌석을 당겨 사용할 수 있었다. 보관의 경우 승객 없이 차량 기지에 들어간 후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보관되었다. 좌석을 해제 시간까지 사용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스티커가 차량 내부에 부착되어 있었다.

차체는 비용 절감과 성능 향상을 위해 긴키 차량이 개발한 패널 구조를 사용했다.[13] 각 출입구의 높이가 1800mm에서 1850mm로 증가했고, 문 사이에 수직 창이 하나 설치되었으며, 측면 창은 880mm에서 1050mm로 수직 치수가 증가했다.

좌석 구조로 인해 과거와 같이 좌석 아래에 난방 장치를 설치할 수 없어, 철도 차량에서 드물게 사용되는 바닥 난방이 채택되었다.[14][15] 또한, 좌석 아래에 이전과 같이 소형 외장형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에어컨은 문 개구부가 커서 기존 모델에 비해 용량이 약 20%인 AU717형(50,000kcal/h・58.0 kW)을 사용한다. 천장에는 보조 송풍기(라인 델리아)가 4개에서 6개로 추가되었고, 각 문 상단에 순환기가 설치되었다(12곳).

차량 내에서는 손잡이 수가 98개(확장 전 4도어 중간 차량)에서 150개로 대폭 증가했으며, 중앙 통로에 보호대가 감긴 5개의 지주가 있다. 좌석 수는 30개로, 일반 4도어 차량(54석)보다 적다. 그러나 1인당 좌석 너비는 450mm로 확장되었다.[14]

2021년 11월 사가미 선 205-500계 전동차


205-500계 4량 편성 차량은 1991년 사가미 선이 완전 전철화되면서 JR 동일본에 의해 운행이 시작되었다. 이 차량들은 승객이 조작 가능한 출입문과 개량된 전면 디자인 등 기존의 205계와 비교하여 여러 디자인 변경이 이루어졌다.[17] 이후 새로운 E131-500계 전동차의 도입에 따라 2022년 2월까지 모든 차량의 운행이 종료되었다.[10]

Y1부터 Y12까지 번호가 매겨진 4량 편성으로, 2량의 전동차(M)와 2량의 무동력 부수차(T)로 구성되었다.[18][20]

차량 번호1234
차량 형식Tc'M'MTc
차량 번호KuHa 204-600MoHa 204-600MoHa 205-600KuHa 205-600
자중 (t)25.334.533.126.4
정원 (총/좌석)136/48144/54139/42


  • MoHa 205-600형 차량에는 2개의 PS33F 싱글 암 팬터그래프가 장착되어 있다.[20]
  • KuHa 205-600형 차량에는 휠체어 이용이 가능한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20]

편성 번호배색/노선 색상차량 번호이전 편성 번호이전 차량 번호
Y1우츠노미야KuHa 204-601MoHa 204-601MoHa 205-601KuHa 205-601게이요 2KuHa 204-109MoHa 204-295MoHa 205-295KuHa 205-109
Y2닛코KuHa 204-602MoHa 204-602MoHa 205-602KuHa 205-602게이요 1KuHa 204-108MoHa 204-292MoHa 205-292KuHa 205-108
Y3이로하KuHa 204-603MoHa 204-603MoHa 205-603KuHa 205-603게이요 4KuHa 204-111MoHa 204-301MoHa 205-301KuHa 205-111
Y4우츠노미야KuHa 204-604MoHa 204-604MoHa 205-604KuHa 205-604게이요 3KuHa 204-110MoHa 204-298MoHa 205-298KuHa 205-110
Y5KuHa 204-605MoHa 204-605MoHa 205-605KuHa 205-605게이요 6KuHa 204-113MoHa 204-307MoHa 205-307KuHa 205-113
Y6닛코KuHa 204-606MoHa 204-606MoHa 205-606KuHa 205-606게이요 5KuHa 204-112MoHa 204-304MoHa 205-304KuHa 205-112
Y7우츠노미야KuHa 204-607MoHa 204-607MoHa 205-607KuHa 205-607게이요 8KuHa 204-115MoHa 204-313MoHa 205-313KuHa 205-115
Y8KuHa 204-608MoHa 204-608MoHa 205-608KuHa 205-608게이요 7KuHa 204-114MoHa 204-310MoHa 205-310KuHa 205-114
Y9KuHa 204-609MoHa 204-609MoHa 205-609KuHa 205-609게이요 10KuHa 204-117MoHa 204-319MoHa 205-319KuHa 205-117
Y10닛코KuHa 204-610MoHa 204-610MoHa 205-610KuHa 205-610게이요 9KuHa 204-116MoHa 204-316MoHa 205-316KuHa 205-116
Y11우츠노미야KuHa 204-611MoHa 204-611MoHa 205-611KuHa 205-611가와고에 (HaE) 16KuHa 204-125MoHa 204-341MoHa 205-341KuHa 205-125
Y12KuHa 204-612MoHa 204-612MoHa 205-612KuHa 205-612가와고에 (HaE) 17KuHa 204-124MoHa 204-338MoHa 205-338KuHa 205-124



2023년 5월 난부선 205-1000계 전동차


JR 동일본의 205-1000계는 2002년부터 난부선에서 사용된 일부 구 205-0계 차량을 2량 편성으로 개조하여 운행하며, 2003년까지 노후된 101계 열차를 대체하였다.

4. 2. 2. JR 서일본

게이한신 완행선에서 운용되던 0번대가 한와선으로 전속되었다. 이후 도카이도 본선(JR 교토선, JR 고베 선)에서 운용되다가, 2013년 다이아 개정으로 다시 한와선으로 전속되었다.[256][261][262][263][264][265]

2016년 6월, 한와선에서 운행중인 JR 서일본 205-1000계


JR 서일본 205-1000계는 1988년에 4량 편성으로 제작되었으며, 1988년 3월부터 2018년 3월까지 한와선에서 운행하다가 2018년 3월 18일부터 나라선으로 이관되어 통근 열차로 운행하고 있다. 기존의 205-0계와 혼동을 피하기 위해 앞 유리의 패널 디자인이 다르게 적용되었는데, 당시 205-0계는 동일한 파란색 줄무늬로 도카이도 본선의 보통 열차로 운행했다.

차내는 201계를 기반으로 내장재 색상은 크림색 계열이며, 바닥재는 옅은 갈색이다.[60] 천장은 평천장 구조로, 각 차량에는 보조 송풍기(라인데리아)가 4대 설치되어 있다.[60] 차문 옆 창과 차단부 창은 폐지되었고, 이 자리에는 광고 틀이 설치되어 있다. 문 개폐를 위한 "도어 엔진(문 닫는 장치)"은 대부분 좌석 아래 수납식 "이경 복 실린더형 차동 랙식"을 사용한다.

차내는 롱 시트이며, 101계 이래의 국철 신성능 통근형 전철 표준의 좌석 배치이다. 완성 초기 좌석 표지는 구분을 위해 양쪽 3인용 부분을 롬 브라운색(고동색), 중앙 1인분을 헤이즐넛색(엷은 오렌지색)으로 했다.[60] 좌석 표지는 JR화 이후 경년 열화로 인해 각 사의 표준품으로 교체되었다. 공조 장치는 집중식 AU75G형 (42000kcal/h)을 탑재한다.[50]

짐 선반은 초기에는 알루미늄 금속망 방식이었지만, 후기형부터 스테인리스 파이프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냉방 송풍구도 알루미늄 재료에서 FRP품으로 변경되었다.

승무원실과 객실의 칸막이 부분은 종래에는 기기 설치 공간으로 하여 후면 창을 생략하거나 작은 것을 설치했다. 그러나 국철 말기에 제조된 본 계열에서는 여객 서비스 등을 배려, 객실에서의 시야를 고려하여 후면 창을 설치했다.[51] 이 창의 크기는 ATC 탑재 차량, ATC 미탑재 차량, 1000번대에서 차이가 있지만, 3장으로 통일되었다.

운전대의 기기 배치, 치수 등은 201계에 준거한 것이다.[60] 브레이크의 전기 지령화에 따라 원 핸들 마스콘 채용도 검토되었지만, 취급 숙련성 등의 문제로 201계와 동일한 횡축식 마스콘, 종축식 브레이크 설정기 조합이 되었다.[52] 종축식 브레이크 설정기 채용으로 운전사 발밑 공간을 넓게 확보하고 있다. 브레이크 핸들은 고정식으로 (기존의 뽑기 방식이 아닌) 마스콘 키로 핸들 잠금 해제를 하는 방식으로 변경되었다.[60]

5. 운용

205계는 국철 시대부터 JR 시대에 걸쳐 수도권과 간사이 지역의 주요 통근 노선에서 운용되었다.
과거 운용 노선


  • 주오·소부 완행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 2001년)
  • 하치코 선: 4량 205-3000계 전동차 (5개 편성) (2003년 ~ 2018년 7월 15일, 과거 JR 동일본에서 교외선 운행을 위해 단축된 205-0계 전동차를 개조한 차량, 승객이 직접 조작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 한와 선: 4량 205-1000계 (서일본 여객철도 제작) 전동차 (1988년 ~ ), 6량 및 8량 205-0계 전동차 (2006년 ~ 2010년, 2013년 3월 ~ 2018년 3월 16일, 과거 서일본 여객철도 도카이도-산요 완행선에서 7량 편성으로 운행)
  • 가와고에 선: 4량 205-3000계 전동차 (5개 편성) (2003년 ~ 2018년 7월 15일, 과거 205-0계 전동차를 JR 동일본에서 개조, 승객이 직접 조작하는 출입문 제어 장치 탑재) /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7월 ~ 2016년 10월)
  • 게이힌 도호쿠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 1996년)
  • 게이요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90년 ~ 2011년)
  • 무사시노 선: 8량 205-5000계 전동차 (36개 편성) 및 8량 205-0계 전동차 (6개 편성) (1991년 ~ 2019년 10월 (205-0계 전동차), 2002년 ~ 2020년 10월 (205-5000계 전동차))
  • 난부 선: 6량 205-0계 (31개 편성) (205-0계 중간차를 개조하여 205-1200형 제어차로 개조한 4개 편성 포함) (1989년 ~ 2016년 1월 9일)
  • 닛코 선: 화장실이 설치된 4량 205-600계 전동차 (4개 편성) (2013년 3월[8][9] ~ 2022년 3월 11일)
  • 사가미 선: 4량 205-500계 전동차 (13개 편성) (1991년 ~ 2022년 2월)[10]
  • 사이쿄 선: 10량 205-0계 전동차 (1989년 7월 ~ 2016년 10월) (린카이 선 직결 운행)
  • 도카이도-산요 완행선 (비와코 선, JR 교토 선, JR 고베 선, 후쿠치야마 선): 7량 205-0계 전동차 (1986년 ~ 2006년)
  • 도카이도 본선 완행선 (JR 교토 선, JR 고베 선): 7량 205-0계 전동차 (2011년 ~ 2013년 3월, 과거 서일본 여객철도 한와 선에서 6량 및 8량 편성으로 운행)
  • 야마노테 선: 11량 205-0계 전동차 (1985년 ~ 2005년, 초기에는 10량 편성)
  • 요코하마 선: 8량 205-0계 전동차 (28개 편성) (1988년 ~ 2014년 8월 23일, 초기에는 7량 편성)[11]

현재 운용 노선

  • 게이힌 도호쿠 선: 8, 10, 12량(2022년 5월 27일까지) 205계 전동차
  • 요그야카르타 선: 4/8량 (2021년부터 2022년까지) 205계 전동차
  • 쓰루미 선: JR 동일본의 205-1100계는 2004년 8월부터 쓰루미 선에서 노후화된 103계 전동차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되어 2006년 퇴역할 때까지 운행했던, 205-0계 전동차를 3량 편성으로 개조한 차량이다.[7]

6. 보존

(현재 보존에 대한 언급이 소스에 없으므로, 섹션에 맞는 내용이 없음)

7. 평가 및 영향

205계는 스테인리스 차체, 볼스터리스 대차, 전기지령식 제동 등 당시로서는 혁신적인 기술을 채택하여, 이후 일본 통근형 전동차의 표준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39] 특히, 국철에서 처음으로 채택한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와 경량 스테인리스 구조, 전기 지령식 제동은 이후 국철 말기부터 JR 초기까지 등장한 신형 차량에도 다수 채용되었다.

1981년부터 103계를 대체하기 위해 양산된 201계는 에너지 절약형 전동차였지만, 전기자 초퍼 제어 방식의 높은 제조 비용이 문제였다.[39] 당시 재정난을 겪고 있던 국철은 더 저렴한 차량이 필요했고, 205계는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되었다. 205계는 1984년 요코하마선무사시노선의 수송력 증강을 위해 야마노테선에서 103계를 이동시키면서 처음 도입이 결정되었으며,[39] 1985년 첫 편성이 완성되기까지 불과 7개월 만에 설계 및 제조가 이루어졌다.

8. 결론

205계 전동차는 103계 및 201계를 대체하기 위해 1985년 일본국유철도(국철)가 도입한 에너지 절약형 통근형 전동차이다. 국철 말기에 등장하여 국철 분할 민영화 이후에도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이 계속 생산하여 총 1,461량이 제조되었다.[39]

205계는 차기 근교형 차량인 211계용으로 개발된 계자 첨가 여자 제어 방식[39], 경량 볼스터리스 대차, 경량 스테인리스 차체, 전기 지령식 제동을 국철 차량 최초로 채택하였다. 이러한 신기술은 국철 말기부터 JR 초기까지 등장한 신형 차량에도 많이 사용되었다.

당시 재정난을 겪던 국철은 201계보다 저렴한 차량이 필요했고, 1984년 야마노테 선에 투입할 신형 차량으로 205계 개발을 결정했다.[39] 1985년 1월에 첫 편성이 완성되어, 불과 7개월 만에 설계 및 제조가 이루어졌다.

205계는 야마노테 선을 시작으로 여러 노선에 투입되었으며, 초기에는 수도권 전체 노선 교체 계획도 있었다.[41][42]

JR 동일본과 JR 서일본에서 대부분 운행을 종료했지만, 일부 차량은 여전히 현역으로 운행 중이다.


  • '''난부 지선''': 2량 편성[7]
  • '''센세키 선''': 4량 편성
  • '''쓰루미 선''': 3량 편성[7]
  • '''나라 선''': 4량 편성


또한, 일부 차량은 후지큐코 선 및 인도네시아 KAI 통근 노선에 양도되어 운행되고 있다.

  • '''후지큐코 선''': 3량 후지큐 6000계 편성
  • '''두리-탕게랑 선'''
  • '''자카르타 코타-보고르 선'''
  • '''치카랑 루프 선'''
  • '''랑카스비퉁 선'''
  • '''탄중프리오크 선'''
  • '''요그야카르타 선''' (2021년부터 2022년까지)


205-0계 4도어 차량 내부


205-1000계 내부

참조

[1] 문서 Musashino Line, Sagami Line, Yamanote Line, and Yokohama Line
[2] 문서 Hanwa Line
[3] 문서 Senseki Line
[4] 문서 Keiyō Line, Yamanote Line, and Yokohama Line
[5] 문서 Yokohama Line
[6] 문서 Senseki Line
[7] 간행물 205-1100 series with modified end cars appear for Tsurumi Line Tetsudō Journal 2004-11
[8] 웹사이트 Refurbished 205 series to be introduced on Nikko and Utunomiya Line http://rail.hobidas.[...] Neko Publishing Co., Ltd. 2012-09-27
[9] 웹사이트 205-600 series for Nikko Line out-shopped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2-10-17
[10] 웹사이트 JR East 205 series to end operation on the Sagami Line https://news.mynavi.[...] Mynavi Corporation 2022-03-04
[11] 웹사이트 End of 205 series revenue operations on Yokohama Line http://railf.jp/news[...] Koyusha Co., Ltd. 2014-08-24
[12] 간행물 Railway fan July 2012 issue All vehicles are manufactured in Kinki Sharyo from [JR Vehicle File 2012; JR East Japan] p.37 Railway fan
[13] 문서 Kinki Vehicle "Kinki Vehicle Ayumi 70th Anniversary 93P・125P article.
[14] 문서 Rail Magazine May 1990 issue "Neko Publishing
[15] 문서 Since the number of seats in a 6-door car decreases, the number of heaters installed underneath it naturally decreases. In order to improve this, it is not possible to increase the capacity of each seat heater because the heat generation is too large and the passengers may be burned. For this reason floor heating was adopted.
[16] 문서 "Railway fan August 1990 issue" from Kyouyusha
[17] 간행물 Introducing the 205-500 series for the Sagami Line https://railf-librar[...] Koyusha Co., Ltd. 1991-03
[18] 간행물 205-600 series Koyusha Co., Ltd. 2013-07
[19] 웹사이트 205-600 series ends regular operation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22-03-13
[20] 서적 JR EMU Formations - Summer 2013 JRR 2013-05
[21] 서적 JR EMU Formations - Winter 2017 Kotsu Shimbunsha 2016-11-16
[22] 서적 Saitama Rural Railway Line Leisurely Trips Mikishobou 2013-07-31
[23] 서적 JR電車編成表 2018冬 交通新聞社 2017-11-15
[24] 서적 Nihyakugokei monogatari : saigo no kokutetsu tsūkingata densha sengohyakuryō no kiseki https://www.worldcat[...] Jētībīpaburisshingu 2015
[25] 웹사이트 JR East to donate Musahino Line 205 series trains to Indonesia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8-03-01
[26] 웹사이트 Fujikyu 6000 series debut! Former 205 series redesigned by Eiji Mitooka with snow & cold weather resistance http://news.mynavi.j[...] Mynavi USA Corporation 2012-03-01
[27] 간행물 JR rolling stock changes Kotsu Shimbun 2017-03
[28] 간행물 Indonesia's 205 series enter revenue service Koyusha Co., Ltd. 2014-06
[29] 웹사이트 KCJ Installs Commuter Information System Display in Trains and Stations http://metro.sindone[...] Seputar Indonesia 2014-10-16
[30] 웹사이트 Commuter Train Accident Occurred in Juanda Station http://www.beritasat[...] Berita Satu 2015-09-23
[31] 간행물 Jakarta's 205 series Koyusha Co., Ltd. 2014-11
[32] 간행물 Jakarta's 205 series Koyusha Co., Ltd. 2018-08
[33] 웹사이트 PT KAI Commuter Jabodetabek completes purchase of used Japanese trains http://www.investori[...] Suara Pembaruan 2014-12-05
[34] 웹사이트 Again, 24 Units of EMU from Japanese JR East Arrived in Port of Tanjung Priok http://www.infonitas[...] Infonitas 2015-08-05
[35] 웹사이트 JR East to donate Musahino Line 205 series trains to Indonesia https://railf.jp/new[...] Koyusha Co., Ltd. 2018-03-01
[36] 간행물 JR東日本209系・E231系 電気車研究会 2003-06
[37] 간행물 ホーム検知装置の開発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 2007
[38] 문서 5000番台を除く。
[39] 문서 鉄道ファン1985-04
[40] 문서 『鉄道ファン』1985年4月号
[41] 문서 これは当時の中央・総武緩行線運用車のうち中野電車区所属分では201系で統一されているが、津田沼電車区(その後[[習志野運輸区]])所属分では101系・103系が運用されていたため、これらの置き換えを目的としたものである。
[42] 간행물 特集「205系電車」 電気車研究会 2010-02
[43] 서적 電車を創る 交友社
[44] 문서 鉄道ファン1985-04
[45]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3-05
[46] 문서 延命が必要となった一部の急行用グリーン車は上段下降・下段上昇式の外はめ型ユニット窓への改造工事を強いられた。
[47] 문서 側面の戸袋窓の廃止は先に製造された地下鉄東京メトロ千代田線直通用国鉄203系電車において採用されているが、同車はコストダウンよりもむしろ地下鉄線走行に要求される性能を確保するための「軽量化」が主目的である。
[48] 문서 帯が採用されたのは先代の国鉄203系電車も同様であるが、これはむしろ使用系統の理由によるもので、国鉄301系電車でもアルミ地肌(後に塗装され灰色地)に帯という配色が採用されている。また、地下鉄直通用の103系1000・1200番台も車体を灰色に塗装して帯を配色している。
[49] 웹사이트 ステンレス車両技術の系譜 − Pioneer Zephyr から sustina まで − https://www.j-trec.c[...] 2022-09-12
[50] 간행물 最近の車両用空調装置と省エネルギー 三菱電機 1982-11
[51] 문서 『鉄道ファン 1992年1月号』交友社
[52] 간행물 特集「205系通勤形直流電車」 交友社 1992-01
[53] 간행물 205系電車の省エネルギー実績 レールウエー・システム・リサーチ 1986-03
[54] 간행물 国鉄205系通勤形直流電車 1985-05
[55] 문서 定格電圧375 V、定格電流 360 A、1時間定格出力 120 kW、定格回転数 1,540 rpm(全界磁)・3,080 rpm(35 % 界磁)。
[56] 문서 MT54形の弱め界磁率は最大 40 %。
[57] 문서 MT60形。端子電圧 375 V時、1時間定格出力 150 kW / 1,850 rpm。チョッパ制御による回生ブレーキ動作時の発生電圧過大による失効を抑制する目的などから、定格でMT54を 220 rpm 上回る高速モーターとして設計された。もっとも通勤形で必要とされる低速域のトルクが細く、それを補うために磁気容量を上乗せして1時間定格出力を 150 kW としている。
[58] 문서 MT比を同一として比較した場合。
[59] 간행물 JR東日本209系・E231系 電気車研究会 2003-06
[60] 문서 鉄道ファン1985-04
[61] 문서 1編成2台のうち、片方のMGが故障した際、もう片方の健全なMGから編成全体に三相交流電源を供給することで車両の冗長化を図る機器のこと。
[62] 간행물 JR東日本首都圏車両運用プロジェクト3 交友社 2004-07
[63] 문서 全821両を川崎重工に発注したと記載されているが、実際にはこの時点の205系の発注車両数は508両である。
[64] 서적 JRはなぜ変われたか 毎日新聞社
[65] 서적 未来へつづく100年の軌跡 兵庫工場100年史 川崎重工業車両カンパニー
[66] 문서 イカロス出版「形式205系」参照
[67] 웹사이트 205系1000番台、奈良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18-03-18
[68] 간행물 JR車両ファイル2012;JR東日本 交友社 2012-07
[69] 서적 近畿車輌のあゆみ 創業70周年記念 近畿車輌
[70] 간행물 通勤混雑対策としての6扉車両の試行 1991-02
[71] 간행물 205系通勤形直流電車 交友社『鉄道ファン』 1992-01
[72] 서적 レイルマガジン ネコ・パブリッシング 1990-05
[73] 문서
[74] 논문 軽量化 大出力空調装置 日本鉄道サイバネティクス協議会「鉄道サイバネ・シンポジウム論文集」第27回 1990-11
[75] 간행물 JR東日本山手線6扉車で車内情報サービス試行開始 交友社 1990-08
[76] 간행물 東芝『東芝レビュー』 1991-03
[77] 간행물 三菱電機『三菱電機技報』 1991-01
[78] 서적 JRグループ車両のデータバンク 2014
[79] 간행물 サハ204量産車 交友社『鉄道ファン』 1992-01
[80] 간행물 JR東日本205系サハ204形6扉車 電気車研究会『電気車の科学』 1991-11
[81] 간행물 サハ204形100番台 交友社『鉄道ファン』 1995-02
[82] 서적 電車要目表 205系通勤形直流電車(6扉車 100代) 日本鉄道車両工業会 1989-11
[83] 간행물 新車ガイド5「相模線用205系500番台登場」 交友社 1991-03
[84] 문서
[85] 간행물 JR東日本における車両情報システム 鉄道ジャーナル社 2004-09
[86] 문서
[87]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冬 交通新聞社
[88]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夏 交通新聞社
[89] 서적 JR電車編成表 2024冬 交通新聞社
[90] 문서
[91] 논문 複合材料製先頭構体の開発」 https://www.jreast.c[...] JR東日本『JR EAST Technical Review』 2002
[92] 문서
[93] 문서
[94] 웹사이트 詳細 https://www.jreast.c[...] 2023-05-23
[95] 서적 JR電車編成表 2018冬 交通新聞社 2017-11-15
[96] 간행물 首都圏を走るE231系の機器更新工事と転用改造工事を担当する JR東日本 青森改造センター 交友社 2017-12
[97] 간행물 JR東日本 車両基地 鉄道ジャーナル社 2018-03
[98] 뉴스 209系3500番台が営業運転開始 https://railf.jp/new[...] 2022-01-12
[99] 서적 編成表2018夏2018
[100] 서적 編成表2019冬 2018
[101] 뉴스 205系3000番台2本が長野へ https://railf.jp/new[...] 2022-01-12
[102] 간행물
[103] 간행물 武蔵野線205系5000代VVVF制御車が運転開始 鉄道ジャーナル社『鉄道ジャーナル』 2003-04
[104] 저널 交通用センサレス速度制御システム https://dl.ndl.go.jp[...] 2022-11-07
[105] 간행물 株式会社エリエイ「とれいん」 2008-07
[106] 서적 形式205系 イカロス出版
[107] 간행물 JR東日本モハ205・204形5000番台(VVVF化改造編成) 鉄道図書刊行会 2002-08
[108] 문서 M32編成のモハ205-5064 / モハ204-5064(改造元番号 モハ205-393・モハ204-392)とM35編成のモハ205-5069/モハ204-5069(旧番号・モハ205-392/モハ204-393)。転用改造の際にモハ204-393に電動発電機 (MG) を設置する必要があったが、設置する予定のMGの整備が間に合わなかったことから急遽とられた措置。
[109] 보도자료 インドネシアの鉄道事業者への車両譲渡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18-02-28
[110] 문서 「いろは」の最終運用は同年3月26日
[111] 문서 当初は[[京葉車両センター]]所属車の205系[[京葉線]]用新製投入車全編成を改造工事して落成する予定だった。
[112] 간행물 新車詳解「JR東日本日光線用205系600番台」 イカロス出版
[113] 뉴스 205系600番台Y12編成が出場 http://railf.jp/news[...] 2022-01-12
[114] 간행물 新車速報「JR東日本205系600番台」 交友社 2012-04
[115] 뉴스 日光線、宇都宮線に205系リニューアル車投入 https://rail.hobidas[...] 2022-01-12
[116] 웹사이트 日光線、宇都宮線に205系リニューアル車。 http://rail.hobidas.[...] 2012-10-06
[117] 서적 ネコ・パブリッシング「レイルマガジン」2012年4月号「日光線用205系600番台登場」記事。
[118] 간행물 JR東日本編成25年3月16日ダイヤ改正車両の動き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13-06
[119] 간행물 RAILWAY TOPICS「宇都宮 - 黒磯間に205系を投入」 鉄道ジャーナル社 2013-11
[120] 보도자료 観光のお客さまに快適にご利用いただける車両を日光線に投入します!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大宮支社 2017-11-16
[121] 보도자료 「在来線デジタル列車無線システム」導入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09
[122] 웹사이트 広報だより「トレナビ」 2012年5月25日 205系をリニューアルしています http://www.westjr.co[...] 2012-05-26
[123] 간행물 JR西日本の205系情報局 交友社 2012-10
[124] 뉴스 日根野支所205系HH404編成が運用復帰 https://rail.hobidas[...]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22-01-09
[125] 문서 日根野支所での管理上の観点から順次、日根野所属1000番台と同様の青色座席モケットに戻されている。
[126] 간행물 205系通勤形電車17年の軌跡と今後 ネコ・パブリッシング 2002-04
[127] 문서 この時6ドア車連結を表すヘッドマークを先頭車の前面に装着していた。
[128] 간행물 RAILWAY TOPICS「横浜線に205系電車を投入」 鉄道ジャーナル社 1988-11
[129] 문서 サハ204形(6扉車)連結編成
[130] 뉴스 205系もとケヨM66編成→クラH28編成、横浜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2022-01-09
[131] 간행물 特集「JRの少数派・希少車2013」 交友社 2013-01
[132] 문서 サハ204形(6扉車)無し編成
[133] 간행물 新車ガイド「JR東日本E233系6000番台」 交友社 2014-05
[134] 간행물 Topic Photos「JR東日本 横浜線の205系が引退」 鉄道図書刊行会 2014-11
[135] 서적 JRグループ車両のデータバンク
[136] 뉴스 もと横浜線用205系が南武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railf.jp/news[...] 2022-01-09
[137] 간행물 特集「南武・青梅・五日市線」 鉄道図書刊行会 1992-12
[138] 간행물 205系電車登場当時とその新製期間中の配置・転用状況 鉄道図書刊行会 2010-03
[139] 문서 ただし、1989年2月28日付の[[読売新聞]]の記事には「外国のサッカー選手が着用しているユニフォーム」をモチーフにしたと書かれている。
[140] 문서 読売新聞記事と同時期に発刊されたネコ・パブリッシング「レイルマガジン」1989年5月号「NEW COMER GUIDE 南武線用205系が営業開始」pp.45 - 46記事では、沿線利用者へのアンケートからこのカラーに決定したと記載されている。
[141] 문서 JR東日本209系電車#2200番台
[142] 간행물 新車速報「JR東日本E233系8000番台」 交友社 2014-12
[143]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15-05
[144] 서적 JR気動車客車編成表 90年版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90-08
[145] 문서 中央・総武緩行線への導入当初は幕板の黄帯に「総武中央線各駅停車」と誤乗防止ステッカーが貼られていた。
[146] 문서 当初はクハ205-95ほか10両にそのままハエ7編成を割り当てる予定が、同編成の中央・総武緩行線への転用で暫定的にクハ205-96ほか10両にハエ7編成(初代)を名乗らせていた。1990年にヤテ41編成が埼京線に転入した際、クハ205-96ほか10両を本来のハエ8編成に改番させた上で、欠番となったハエ7編成が元ヤテ41編成に割り当てられ、同編成がハエ7編成(2代目)となった。1996年にクハ205-95ほか10両が埼京線に転属した際、本来割り当てられる予定だったハエ7編成(3代目)となり、それまでハエ7編成(2代目)を名乗っていた元ヤテ41編成はハエ29編成に改番された。
[147] 간행물 RAILWAY TOPICS&NEWS「埼京線に205系電車を投入」 鉄道ジャーナル社 1989-09
[148] 간행물 埼京線における車内防犯カメラの試行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12
[149] 웹사이트 JR東が通勤電車内に防犯カメラ 痴漢対策、埼京線に http://www.47news.jp[...] 2009-12-15
[150] 간행물 埼京線における車内防犯カメラの設置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12
[151] 간행물 JR電車3月15日ダイヤ改正と2013年度の動向 交通新聞社 2014-05
[152] 간행물 首都圏205系電車のバラエティー 鉄道ジャーナル社 2014-08
[153] 뉴스 205系4両が長野へ http://railf.jp/news[...] 2022-01-12
[154] 뉴스 205系ハエ28編成の中間車6両が長野総合車両センターへ http://railf.jp/news[...] 2022-01-12
[155] 서적 JR電車編成表 2017夏 交通新聞社 2017
[156]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1996-04
[157] 문서 余談ではあるが、のちに播但線に投入された[[国鉄103系電車#播但線|103系3500番台]]は『播但色』と称したワインレッドメインの塗装を施している。
[158] 문서 『鉄道ファン』 2002年6月号、交友社{{Full citation needed |date=2024-07 }}
[159] 문서 理由は[[国鉄201系電車#京葉線|201系]]の項を参照。
[160] 문서 ネコ・パブリッシング「レイルマガジン」2012年1月号記事「さよなら「田窓」電車205系量産先行車」参照。
[161] 문서 これは長らく運用区間内に[[踏切]]が存在しなかったためだが、「[[むさしの号]]」などに充当された場合中央本線などで踏切を通っている。
[162] 문서 ツーハンドルマスコン車で運用されている路線に新たにワンハンドルマスコン車を導入する場合、新たに[[運転士]]の[[習熟運転|ハンドル訓練]]等が必要となり、手間がかかってしまう。しかし、南武線では元々ツーハンドル車とワンハンドル車が混在しているため、このような手間は不要である。
[163] 간행물 JR東日本・JR西日本205系通勤形直流電車の現状 電気車研究会 2016-09
[164] 문서 ナハ5編成は、中間のモハ4両、ナハ6編成は、クハ2両とモハ2両の4両。
[165] 문서 中間のモハ2両。
[166] 간행물 JR東日本・JR西日本205系通勤形直流電車の現状 電気車研究会 2016-09
[167] 간행물 JR東日本・JR西日本205系通勤形直流電車の現状 電気車研究会 2016-09
[168] 간행물 相模線E131 系営業運転開始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21-10-04
[169] 간행물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横浜支社 2022-01-12
[170]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21-11
[171] 간행물 2022年3月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s://www.jreast.c[...] 東日本旅客鉄道大宮支社 2022-01-12
[172] 문서 103系は2009年10月21日に運用終了。
[173] 간행물 205系電車登場当時とその新製期間中の配置・転用状況 (I) 電気車研究会 2010-02
[174] 간행물 JR車両のうごき 交通新聞社 2011-03
[175] 간행물 大阪中心部のJR線事情 交通新聞社 2011-05
[176]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07-06
[177] 간행물 平成25年春のダイヤ改正について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近畿統括本部 2022-01-12
[178] 뉴스 205系が東海道本線から撤退 http://railf.jp/news[...] 2022-01-12
[179] 뉴스 205系C4編成が日根野支所へ http://railf.jp/news[...] 2022-01-12
[180] 뉴스 205系HI602編成スカイブルーに https://rail.hobidas[...] 2022-01-12
[181] 서적 JR電車編成表 2016冬 交通新聞社
[182] 뉴스 205系1000番台,奈良線で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2022-01-12
[183] 간행물 2018年3月17日にダイヤ改正を行います http://www.westjr.co[...] 西日本旅客鉄道近畿統括本部 2022-01-12
[184] 문서 編成表2018夏, p=359
[185] 문서 JR西日本奈良線各駅で配布の「奈良線時刻表 2018年3月17日改正」(無料)。
[186] 문서 編成表2019冬, p=358
[187] 문서 編成表2019冬, p=359
[188] 문서 編成表2019夏, p=360
[189] 문서 編成表2019夏, p=358
[190] 논문 205系転用改造車 交友社 2002-06
[191] 논문 JR東日本モハ205・204形5000番台(VVVF化改造編成) 鉄道図書刊行会 2005-08
[192] 논문 JR車両ファイル2008 交友社 2008
[193] 서적 JR電車編成表 '08夏号 ジェー・アール・アール
[194]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07-11
[195] 뉴스 川越車両センターの205系,郡山へ http://railf.jp/news[...] 2022-01-12
[196] 논문 JR車両ファイル2010 交友社 2010-07
[197] 문서 交通新聞社「JR電車編成表2011冬」・「JR電車編成表2011夏」記事。
[198] 문서 交通新聞社「鉄道ダイヤ情報」2013年3月号127-128頁「JR車両のうごき」記事
[199] 문서 交通新聞社「鉄道ダイヤ情報」2013年1月号「首都圏の輸送を支える大宮総合車両センター」記事-3。
[200] 웹사이트 クハ205-1・モハ205-1が山手線仕様に復刻される https://railf.jp/new[...] 鉄道ファン 2024-11-23
[201] 논문 特集「JR車両ファイル2012」 交友社 2012-07
[202] 문서 後に残り6両も2015年1月に廃車。
[203] 문서 JRグループ車両のデータバンク, pp=39-40
[204] 문서 2018年1月1日に三菱重工業の交通システム製品の製造を継承。
[205] 문서 総合交通システム検証施設“MIHARA 試験センター”の設備の充実,拡張と活用について http://www.mhi.co.jp[...]
[206] 문서 脱線しにくい台車を開発しました 2016年8月29日時点でのアーカイブ。 https://web.archive.[...]
[207] 논문 鉄道車両年鑑2015年版 電気車研究会 2015-10
[208]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15-07
[209] 논문 鉄道車両年鑑2016年版 電気車研究会 2016-10
[210]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17-07
[211] 서적 編成表2019夏
[212] 서적 JR電車編成表 2020冬 交通新聞社
[213] 서적 JR電車編成表 2020夏 交通新聞社
[214] 서적 JR電車編成表 2021冬 交通新聞社
[215] 서적 編成表2021夏
[216] 서적 編成表2022夏
[217] 서적 JR電車編成表 2023夏 交通新聞社
[218] 뉴스 205系M7編成が総合車両製作所へ http://railf.jp/news[...] 2022-01-12
[219] 간행물 JR車両の動き 交通新聞社 2015-03
[220] 서적 日本鉄道旅行地図帳 新潮社
[221] 뉴스 津波で脱線し、押し流されたJR仙石線の列車 http://www.yomiuri.c[...] 2011-05-02
[222] 뉴스 運命の2時46分発 駅で交差した「生と死」 http://www.iza.ne.jp[...] 2011-05-02
[223] 문서 横浜地本管内で傷害(火傷)事故発生 http://www.jrrouso.c[...] JR労組横浜地本 2024-07-07
[224] 보고서 鉄道事故調査報告書 東日本旅客鉄道株式会社 川越線 指扇駅 - 日進駅間 列車火災事故(踏切障害に伴うもの) https://www.mlit.go.[...] 航空・鉄道事故調査委員会 2024-07-07
[225] 서적 鉄道ピクトリアル 電気車研究会 2007-08
[226] 서적 鉄道ファン 交友社 2011-08
[227] 뉴스 もと京葉車両センター所属の205系が富士急行へ http://railf.jp/news[...] 2022-01-12
[228] 뉴스 元JR東日本205系、富士急行6000系の開業90周年記念車両がデビュー https://news.mynavi.[...] 2022-01-12
[229] 보도자료 海外への鉄道車両譲渡と車両保守に関する技術支援の実施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12
[230] 간행물 REPORT 交友社 2014-06
[231] 보도자료 インドネシアの鉄道事業者との協力覚書締結及び車両の追加譲渡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12
[232] 간행물 車両基地 鉄道ジャーナル社 2014-12
[233] 보도자료 インドネシアの鉄道事業者への車両の追加譲渡と乗務員による支援の実施について http://www.jreast.co[...] 東日本旅客鉄道 2022-01-12
[234] 웹사이트 Pemasangan Kode Rangkaian KRL Meluas, Ini Foto-fotonya https://www.re-diges[...] 2018-02-06
[235] 문서 2003-12-26
[236] 문서 2004-10-19
[237] 문서 2004-10-19
[238] 문서 2004-10-26
[239] 문서 2005-02-22
[240] 문서 2005-01-13
[241] 문서 2008-12-05
[242] 문서
[243] 문서
[244] 문서
[245] 문서
[246] 문서
[247] 문서
[248] 뉴스 「南武線スマホ紛失」海外の発見者は人生激変 https://toyokeizai.n[...] 2022-01-05
[249] 뉴스 「南武線スマホ紛失」海外の発見者は人生激変(3) https://toyokeizai.n[...] 2022-01-05
[250] 뉴스 「南武線スマホ紛失」海外の発見者は人生激変(4) https://toyokeizai.n[...] 2022-01-05
[251] 간행물 No.21 Autumn2007【특집:궁극의 안전을 목표로 해】 http://www.jreast.co[...] JR 동일본:연구 개발>테크니컬 리뷰 2011-03-16
[252] 서적 205계 데뷔 교우사 '철도팬' 1985년 4월호
[253] 서적
[254] 서적
[255] 문서
[256] 서적 205계 데뷔 교우사 '철도팬' 1985년 4월호
[257] 서적 철도팬 1993년 5월호 교우사
[258] 문서
[259] 문서
[260] 문서
[261] 문서
[262] 문서
[263] 문서
[264] 문서
[265] 서적 JR 동일본 209계·E231계 전기차 연구회
[266] 서적 205계 데뷔 교우사 '철도팬' 1985년 4월호
[267] 서적 철도팬 1992년 1월호 교우사
[268] 서적 205계 통근형 직류 전동차 교우사
[269] 문서
[270] 문서
[271] 서적 형식 205계 이카로스 출판
[272] 서적 JR 차량 파일 2012; JR 동일본
[273] 뉴스 교통 신문 2013-10-01
[274] 뉴스 요코하마 선에 내년 2월 신형 차량 데뷔! 로고는 느티나무의 잎 모티프로 http://sankei.jp.msn[...] 산케이 신문 2013-10-09
[275] 간행물 아키타 신칸센용 차량과 사이쿄 선·요코하마 선 차량의 신조에 대해 http://www.jreast.co[...] 동일본 여객철도 2012-04-10
[276] 웹인용 JR 동일본 요코하마 지사 요코하마 선에 내년 봄 신형 차량 - 일간 공업 신문 2013년 4월9일 http://www.nikkan.co[...] 2014-07-05
[277] 서적 철도 화제 철도 서적 간행회
[278] 문서
[279] 뉴스 사이쿄 선에 205계 전동차를 투입 철도 저널사
[280] 뉴스 JR 동일본이 통근 전동차내에 방범 카메라 등 치한 대책, 사이쿄 선에 http://www.47news.jp[...] 47NEWS 2009-12-12
[281] 웹인용 사이쿄선에 있어서의 차내 방범 카메라의 시행에 대해 JR동일본 공식 프레스 릴리스 2009년 12월 21일 http://www.jreast.co[...] 2010-10-23
[282] 웹인용 사이쿄선의 차내 방범 카메라 설치에 대한 JR 동일본 공식 프레스 릴리스 2010년 4월 5일 http://www.jreast.co[...] 2010-11-28
[283] 웹인용 205계 하에 28편성 헤드마크 분리 운용 복귀(레일 호비다스·RM 뉴스) http://rail.hobidas.[...] 2014-07-18
[284] 기사 네코 퍼블리싱 '레일 매거진' 2012년 1월호 기사 '안녕 '田窓' 전동차 205계 양산 선행차'
[285] 문서
[286] 기사 '철도팬' 교우사 2002년 6월호 '205계 전용 개조 차량' 기사
[287] 기사 '철도 픽토리얼' 철도 도서 간행위원회 2005년 8월호 기사
[288] 문서
[289] 뉴스 205계 게요 M66편성→쿠라 H28편성, 요코하마선에서 영업 운행을 개시 http://railf.jp/news[...] '철도 팬' 교우사 railf.jp 철도 뉴스 2009-05-05
[290] 간행물 교우사 '철도팬' 2014년 7월호 부록 'JR 그룹 차량의 데이터 뱅크 2013/2014'(41페이지)
[291] 뉴스 원 요코하마 선용 205계가 난부 선에서 영업 운행 개시 http://railf.jp/news[...] '철도팬' 교우사 railf.jp 철도 뉴스 2014-03-11
[292] 간행물 '철도 픽토리얼 2007년 8월호' 전기차연구회 p82
[293] 문서
[294] 간행물 '철도 팬 2002년 6월호' 교우사
[295] 문서
[296] 문서
[297] 문서
[298] 뉴스 닛코 선, 우쓰노미야 선에 205계 리뉴얼차 투입 http://rail.hobidas.[...] 레일 호비다스 최신 철도 정보(네코 퍼블리싱) 2012-09-27
[299] 간행물 『철도 팬』 2007년 6월호, 교우사 2007년 p.102
[300] 간행물 『철도 운행 정보』 교통 신문사 2011년 3월호 'JR 차량의 움직임'
[301] 간행물 『철도 운행 정보』 교통 신문사 2011년 5월호 '오사카 중심부의 JR 선 사정' p.17
[302] 뉴스 미야하라 종합 운전소의 205계 7량이 구내 시운전 http://railf.jp/news[...] 『철도 팬』 교우사 railf.jp 철도 뉴스 2011-07-12
[303] 간행물 2013년 봄의 다이아 개정에 대해 http://www.westjr.co[...] 서일본 여객철도 긴키 통괄 본부 프레스 릴리스 2012-12-21
[304] 뉴스 205계가 본선에서 철수 http://railf.jp/news[...] railf.jp 교우사 2013-03-16
[305] 뉴스 205계 C4편성이 히네노 지소에 http://railf.jp/news[...] railf.jp 교우사 2013-03-19
[306] 뉴스 205계 HI602편성 스카이 블루에 http://rail.hobidas.[...] 레일 호비다스 최신 철도 정보 2013-12-13
[307] 웹인용 JR 동일본 프레스 릴리스 '재래선 디지털 열차 무선 시스템' 도입에 대해 http://www.jreast.co[...] 2011-01-17
[308] 기사 교우 사 '철도팬' 2012년 7월호 특집 'JR 차량 파일 2012' 기사
[309] 기사 교우사 '철도팬' 2013년 3월호 'JR 차량 그룹 차량의 데이터 뱅크 2012 상반기' 기사
[310] 간행물 교우사 '철도팬' 2014년 7월호 부록 'JR 그룹 차량의 데이터 뱅크 2013/2014' 39페이지 - 40페이지
[311] 간행물 참고:교우사 「철도 팬」2008년 8월호 특집:JR차량 파일 2008
[312] 간행물 참고:J·아르·아르 'JR 전동차 편성표' 08 여름호
[313] 간행물 참고:전기차연구회 「철도 픽토리얼」2007년 11월호 p.13
[314] 웹인용 철도 팬 http://railf.jp/news[...] 2011-01-19
[315] 간행물 『철도 팬 2010년 7월호』교우사 JR 차량 파일 2010
[316] 간행물 철도팬 2010년 7월호 교우사
[317] 뉴스 JR 전동차 편성표 2011 겨울·JR 전동차 편성표 2011 여름 기사 교통 신문사
[318] 서적 일본 철도 여행지도책 동일본 대지진의 기록
[319] 뉴스 철도 운행 정보 2013년 3월호 127-128페이지 'JR 차량의 움직임'기사 교통 신문사
[320] 뉴스 철도 운행 정보 2013년 1월호 '수도권의 수송을 지지하는 오미야 종합 차량센터' 기사-3 교통 신문사
[321] 간행물 철도팬 2011년 8월호(604호) 교우사
[322] 웹사이트 원 게이요 차량센터 소속의 205계는 후지 급행에 http://railf.jp/news[...] 2011-10-01
[323] 웹사이트 해외 철도 차량 양도 및 차량 유지 보수 기술 지원의 실시에 대해 http://www.jreast.co[...] 2013-11-06
[324] 간행물 철도팬 2014년 6월호 REPORT 기사 교우사
[325] 웹사이트 인도네시아 철도 사업자와의 협력 각서 체결 및 차량의 추가 양도에 대해 http://www.jreast.co[...] 2014-05-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