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루치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발루치어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발루치족이 사용하며 북서부 이란어군에 속한다. 주요 사용 지역은 이란,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의 발루치스탄 지역이며, 이란에는 약 150만 명, 파키스탄에는 약 500만 명, 아프가니스탄에는 약 80만 명의 화자가 있다. 발루치어는 여러 방언이 존재하며, 표준 알파벳은 발루치 아카데미 사르바즈에서 고안한 페르시아-아랍 문자를 기반으로 한다. 19세기 이전에는 문자로 기록되지 않았으며, 현재까지도 표준어가 확립되지 않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발루치인 - 발루치스탄 분쟁
발루치스탄 분쟁은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에 걸쳐 있는 발루치스탄 지역에서 역사적 배경, 경제적 불평등, 정치적 소외, 외부 세력의 개입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며, 분리주의 운동과 무력 충돌이 지속되고 있다. - 서북이란어군 - 쿠르드어
쿠르드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며 쿠르드족이 사용하는 언어로,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남부 쿠르드어 등의 방언이 있고 터키, 이라크, 이란, 시리아 등지에 분포하며 다양한 문자로 표기된다. - 서북이란어군 - 고라니어
고라니어는 인도이란어족에 속하며, 아르달란 독립 통치 시기에 문학 발달의 수단으로 사용되었고, 다양한 방언을 가지며 특히 하우라미어는 이란과 이라크 산악 지역에서 사용된다. - 발루치스탄 - 발루치스탄주
발루치스탄주는 파키스탄 남서부에 위치한 가장 넓은 주로, 다양한 민족과 언어가 공존하며 풍부한 천연자원을 보유하고 있지만 경제 발전은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 -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
시스탄오발루체스탄주는 이란 남동부에 위치하며 아프가니스탄, 파키스탄과 국경을 접하고, 역사적으로 다양한 왕조의 지배를 받았으며, 현재 이란에서 가장 넓고 가난한 주 중 하나이다.
발루치어 | |
---|---|
언어 정보 | |
언어 이름 | 발루치어 |
로마자 표기 | Balòci |
사용 국가 | 파키스탄, 이란, 아프가니스탄 |
사용 지역 | 발루치스탄 |
사용자 수 | 878만 명 (2017–2020년) |
언어 계통 | 인도유럽어족 - 인도이란어파 - 이란어군 - 서이란어 - 북서이란어 |
공용어 지정 국가 | 파키스탄(발루치스탄 주) 이란(시스탄오발루체스탄 주) |
언어 관리 기관 | 발루치 아카데미, 퀘타, 발루치스탄, 파키스탄 발루치 아카데미 사르바즈, 사르바즈, 이란 |
ISO 639-2 | bal |
ISO 639-3 | bal |
ISO 639-3 (세분화) | bgp (동부 발루치어) bgn (서부 발루치어) bcc (남부 발루치어) |
Linguasphere | 58-AAB-a > 58-AAB-aa (동부 발루치어) 58-AAB-ab (서부 발루치어) 58-AAB-ac (남부 발루치어) 58-AAB-ad (바슈카르디) |
Glottolog | balo1260 |
Glottolog 참조 이름 | Balochic |
지도 | |
![]() | |
문자 체계 | |
문자 | 발루치 표준 알파벳 |
2. 분류
인도유럽어족의 인도이란어파에 속하며, 이란어군 중에서는 북서이란어군으로 분류된다. 파르티아어와 유사하며, 아베스타어와도 가까운 관계를 갖는다.[7][8][9][10][11] 사용 지역은 이란의 남동부이지만, 언어학적 특성을 고려하면 페르시아어, 쿠르드어와 같은 서이란어군으로 분류된다.
Glottolog는 코로시 방언, 남부 발루치어, 서부 발루치어("남서부 발루치어" 그룹), 동부 발루치어 등 네 가지 변종을 "발루치어" 그룹으로 분류한다.[6] ISO 639-3는 남부, 동부, 서부 발루치어를 발루치어 거대언어로 묶고, 코로시 방언은 별도로 분류한다.
음운 구조는 통시적 관점에서 볼 때 매우 보수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2. 1. 방언
주요 방언은 북부 만드와니(Mandwani) 부족의 방언과 남부 돔키(Domki) 부족의 방언, 이렇게 두 가지가 있다.[12] 방언 간 차이는 그리 크지 않다.[12] 한 가지 차이점은 북부 방언의 문법적 어미가 남부 부족의 어미보다 덜 명확하다는 것이다.[12] 파스 주(Fars Province)의 카슈카이(Qashqai) 부족 연맹에서 사용되는 코로시(Koroshi) 방언은 geïsoleerde 방언으로, 문법과 어휘에서 다른 발루치 방언들과 차별화된다.[13]발루치 아카데미 사르바즈(Balochi Academy Sarbaz)는 발루치어 표준 알파벳을 고안했다.[14] 발루치어 방언은 매우 다양하지만, 크게 동부와 서부 두 방언군으로 나눌 수 있다.
- '''동부 발루치어'''(방언군) - 술레이마니어(Sulaymani)라고도 하며, 북부 발루치어라고도 불린다.
- '''서부 발루치어'''(방언군) - 마크라니어(Makrani)라고도 하며, 남부 발루치어라고도 불린다.
각각은 더 많은 방언군으로 세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