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자라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하자라어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인 다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페르시아어의 동부 방언이다. 하자라어는 억양, 튀르크어 및 몽골어 차용어 사용 등에서 다리어와 차이를 보이지만, 상호 이해가 가능하다. 주로 아프가니스탄의 하자라자트 지역에서 사용되며, 이란, 파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지에서도 사용된다. 호주에서는 하자라어 사용을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문법 구조는 페르시아어의 카불 방언과 유사하며, 모음 및 자음 체계, 강세 등에서 특징을 보인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페르시아어 - 이란 페르시아어
이란의 공식 언어인 이란 페르시아어는 파르시 외에 서페르시아어 등으로도 불리며, 페르시아어라는 명칭이 역사적, 문화적 중요성을 지니고, 다리어, 타지크어와 관련 있으나 발음, 어휘, 문법 차이로 별개 언어로 취급된다. - 페르시아어 - 고대 페르시아어
고대 페르시아어는 기원전 6세기부터 4세기까지 아케메네스 제국에서 사용된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 언어로, 비문 등을 통해 전해지며 아케메네스 제국의 공식 언어였고, 독자적인 설형문자로 기록되었으며, 현대 페르시아어의 언어적 기원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동슬라브어군에 속하며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명사, 형용사, 동사의 복잡한 문법 체계를 가지며, 러시아 등 여러 국가에서 공용어로 사용되고 전 세계적으로 2억 5천만 명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이다. - 타지키스탄의 언어 - 우즈베크어
우즈베크어는 우즈베키스탄의 공용어이자 중앙아시아에서 쓰이는 튀르크어족 언어로, 다양한 문자 체계를 사용해 왔으며 차가타이어의 영향을 받아 카를루크 방언을 기반으로 표준화되었고 인접 국가와 이민 사회에서도 사용된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투르크멘어
투르크멘어는 투르크메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튀르크어족 오구즈어파에 속하는 언어로, 튀르키예어, 아제르바이잔어와 유사하며 모음 조화와 주어-목적어-동사 어순을 가진 교착어이고,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키릴 문자에서 라틴 문자 기반의 독자적인 문자 체계로 변화되었다. -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 파슈토어
파슈토어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주로 사용되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 언어로,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이자 파키스탄 일부 지역의 지방 공용어이며, 다양한 방언과 페르시아-아랍 문자 변형을 사용하고, 파슈툰 민족주의와 국가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며 풍부한 문학 전통을 가진다.
하자라어 | |
---|---|
개요 | |
언어 이름 | 하자라어 |
고유 이름 | |āzərgi}} |
다른 표기 | |həzārəgi}} |
화자 수 | 약 397만 2200명 (2017년) |
사용 민족 | 하자라족 |
사용 지역 | 하자리스탄 및 하자라족 거주 지역 |
사용 국가 | 아프가니스탄 |
언어학적 분류 | |
어족 | 인도유럽어족 |
어파 | 인도이란어파 |
어군 | 이란어군 |
하위 어군 | 서이란어군 |
세부 어군 | 서남이란어군 |
계통 | 페르시아어 |
문자 체계 | |
문자 | 페르시아-아랍 문자, 라틴 문자 |
언어 코드 | |
ISO 639-3 | haz |
Glottolog | haza1239 |
2. 분류
하자라기는 인도유럽어족 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페르시아어의 동부 방언으로 분류되며, 아프가니스탄의 공용어 중 하나인 다리어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6]
2. 1. 다리어와의 차이점
하자라기는 인도유럽어족의 이란어파에 속하는 언어이다. 이 언어는 페르시아어의 동부 방언으로 간주되며, 아프가니스탄의 언어 중 하나이자 두 공용어 중 하나인 다리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다리어와 하자라기의 주요 차이점은 억양[6]이며, 하자라기에는 튀르크어족 및 몽골어족 계열의 단어와 차용어가 더 많이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7][8][9][4] 이러한 차이점에도 불구하고, 두 방언은 서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10]
다이쿤디 (과거 우루즈간 주) 지역의 하자라기는 카를루크어를 통해 튀르크어족의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11]
3. 역사
페르시아어는 이슬람교의 확산과 함께 주요 언어로 자리 잡았으며, 이슬람교가 전파된 지역으로 퍼져나갔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페르시아어는 남아시아 전역에서 이슬람을 받아들인 사람들의 신앙과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16]
3. 1. 튀르크어 및 몽골어의 영향
시간이 지나면서 튀르크어와 몽골어가 하자라족 사이에서 사용되면서 하자라어에 스며들었다. 그 결과 하자라어에는 많은 튀르크어 및 몽골어 어휘와 차용어가 포함되어 있다.[16][9]4. 사용 지역
하자라어는 주로 아프가니스탄 중부의 하자라자트(하자라족 거주 지역)를 포함한 아프가니스탄 내 여러 하자라족 거주 지역에서 사용된다.[13] 이 외에도 이란 북동부(특히 마슈하드), 파키스탄(특히 퀘타), 타지키스탄 북부, 동우즈베키스탄에서도 사용자를 찾을 수 있다.[12][13] 또한 아메리카, 유럽,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거주하는 하자라족 디아스포라 공동체에서도 사용된다.[13]
2021년 기준으로 아프가니스탄 내 하자라어 사용자 수는 약 39만 9천 명으로 추산된다.[14] 이란에서는 아프가니스탄으로부터의 난민 유입으로 인해 하자라어 사용 인구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14]
4. 1.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인정
최근 몇 년간 하자라족 난민 상당수가 오스트레일리아에 정착하면서, 오스트레일리아 이민 시민권부는 하자라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다.[15] 현재 오스트레일리아의 전국 번역 및 통역 인증 기관 (NAATI)은 하자라어를 별개의 언어로 간주하여 통역 시험을 실시하고 있다. NAATI의 시험 자료에 따르면, 하자라어는 방언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평균적인 화자가 이해할 수 있다면 어떤 방언이라도 통역 시험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지역 하자라어는 주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시험에서는 주변 언어에서 들어온 비하자라어 단어를 사용할 경우 감점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15]5. 문법 구조
하자라어[17][18][19]의 문법 구조는 실질적으로 페르시아어의 카불 방언과 동일하다.[20][21]
5. 1. 음운론
동부 페르시아어의 한 갈래로서, 보다 형식적이고 고전적인 페르시아어 변종으로 여겨지는 하자라어는 몇 가지 고전적인 음운 특징을 유지하고 있다.[4][23] 예를 들어, 서부 페르시아어에서는 합쳐진 일부 음소들이 하자라어에서는 여전히 구분되어 발음된다.[4]일반적인 음운 현상으로는 자음군 사이에 모음을 삽입하는 것(예: 페르시아어 ''pašm''이 하자라어에서는 ''póšum''("양모")가 됨)과 단어 끝의 자음이 무성음으로 변하는 최종 무성음화(예: ''ḵût''("자신, 소유"))가 있다.[4]
5. 1. 1. 모음
/a/는 [æ] 또는 [ɛ] 소리에 가깝게 발음될 수 있다.[22]
이중 모음에는 /aj/, /aw/, /ēw/가 있다.[4] 하자라어의 모음 체계는 일반적으로 동부 페르시아어의 특징을 가지며, 모음의 길고 짧음(장단) 구별이 사라지고 중모음이 유지되는 경향이 있다.[4]
5. 1. 2. 자음
colspan="2" | | 순음 | 치음 | 치경음 | 권설음 | 경구개- 치경음 | 연구개음 | 구개수음 | 성문음 | |
---|---|---|---|---|---|---|---|---|---|
비음 | m | n | |||||||
파열음/ 파찰음 | 무성음 | p | t̪ | ʈ | tʃ | k | q | ||
유성음 | b | d̪ | ɖ | dʒ | ɡ | ||||
탄음/전동음 | r | ||||||||
마찰음 | 무성음 | f | s | ʃ | x | (h) | |||
유성음 | z | ʒ | ɣ | ||||||
접근음 | w | l | j |
하자라어는 페르시아어의 고전적인 특징 일부를 유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성 마찰음 /ɣ/와 양순음 /w/ 발음이 유지된다.[4] 또한, 서부 페르시아어에서는 튀르크어족의 영향으로[23] 유성 구개수 파열음 /ɢ/ (ق)과 유성 연구개 마찰음 /ɣ/ (غ)이 하나의 소리로 합쳐졌지만, 하자라어에서는 이 두 소리가 여전히 구분된다.[4]
권설음 /ʈ/와 /ɖ/는 다른 언어에서 차용된 소리로 보이며, 예를 들어 '부츠'를 뜻하는 ''buṭ'' (/buʈ/)은 페르시아어의 ''but'' (/but/, '우상')과 구별된다.[4]
성문 마찰음 /h/는 드물게 나타나며, 주로 교육 수준이 높은 화자들에게서 발견된다.[22][4]
유음 /r/은 혀를 떨어 발음하는 전동음 [r]이나 혀끝을 치경에 한 번 부딪혀 내는 탄음 [ɾ]으로 실현될 수 있다.[22]
연구개 마찰음 /x, ɣ/는 때때로 목젖 근처에서 발음되는 구개수음 [χ, ʁ]에 가깝게 소리 나기도 한다.[22]
5. 1. 3. 강세
강세는 역동적이며 다리어[24] 및 타지크어의 페르시아어 변종[25]과 유사하며, 가변적이지 않다.[26] 일반적으로 파생 접미사 및 여러 형태소 표지를 포함하여 명사 형태의 마지막 음절에 강세가 온다.5. 2. 명사 형태론
가장 생산적인 파생 접미사는 ''-i''이다. 복수형 표지로는 무생물 명사에 ''-o''(예: ''kitab-o'' "책들", 페르시아어의 ''-hā''에 해당)가 사용되고, 생물 명사에는 ''-û''(예: ''birar-û'' "형제들", 페르시아어의 ''-ān''에 해당)가 사용된다. 하자라족이 명사의 복수형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이러한 굴절(u, o)은 아베스타어에서도 발견된다. 강조를 나타내는 호격 표지는 ''û'' 또는 ''-o''이다. 부정(不定)을 나타내는 표지는 ''-i''이며, 특정 목적어를 나타내는 표지는 ''-(r)a''이다. 비교급을 만드는 표지는 ''-tar''(예: ''kalû-tar'' "더 큰")이다.의존하는 형용사나 명사는 중심이 되는 명사 뒤에 오며, 이때 ''-i''로 연결된다(예: ''kitab-i mamud'' "마흐무드의 책"). 화제로 제시된 소유자는 재귀 인칭 접미사가 붙은 중심 명사 앞에 온다(예: ''Zulmay ayê-ši'', 직역하면 "Zulmay 그녀의 어머니").
전치사로는 표준 페르시아어에서 사용되는 것 외에 ''ḵun(i)''("~와 함께, ~를 사용하여")와 ''da''("~안에", 페르시아어의 ''dar''에 해당)가 있다. ''da''는 여격(~에게)의 기능을 하는 ''ba''를 대신하여 사용되기도 한다. 차용된 후치사로는 공통격을 나타내는 ''-qati''("~와 함께")와 ''(az) -worî''("~처럼")가 있다. 의문사는 일반적으로 부정어(不定語)의 역할도 한다(예: ''kudam'' "어느, 누군가").[4]
5. 2. 1. 대명사
wikitext
5. 3. 조사, 접속사, 조동사 및 부사
하자라어의 주요 조사, 접속사, 조동사 및 부사는 다음과 같다.[4]- '''atê/arê''': 예
- '''amma''', '''wali''': 하지만
- '''balki''': 그러나
- '''šaydi''': 아마도
- '''ale''': 지금
- '''wuḵt-a''': 그러면
이 단어들은 첫 음절에 강세가 있다는 특징이 있다.[4]
하자라어 | 페르시아어/다리어 | 의미 |
---|---|---|
amyale | aknun | 지금 (now) |
dalil'dera | dalil darad | 아마도 (maybe) |
5. 4. 동사 형태론
미완료 표시자는 mi-이다(변이형: m-, mu-, m-, mê-). 예를 들어, "나는 때렸다, 나는 때리고 있다"는 mi-zan-um으로 표현한다. 가정법 및 명령형 표시자는 bi-이며, 유사한 동화 작용이 일어난다. 부정은 na-를 사용하여 나타낸다(예: na-mi-zad-um, "나는 때리지 않았다"). 이들 표시자는 대개 강세를 받는다.[4]5. 5. 시제
하자라어의 시제, 법, 상 체계는 일반적으로 서부 페르시아어와는 상당히 다르다. 기본적인 시제 체계는 세 가지로, 현재-미래, 과거, 그리고 원격(과거 완료) 시제가 있다. 또한 가정법 외에 새로운 법 조동사도 발전했다.- 결과-상태 완료형에서 유래한 미지각/경이형(예: ''zad-ēm''; 페르시아어 ''zada(e) am'' 참고), 이는 법 조동사적 용법을 대부분 잃었다.
- 가능성, 또는 추정형, 이는 불변하는 ''ḵot''( 페르시아어 ''xāh-ad'' 또는 ''xād'', "그것은 원한다, 의도한다" 참고)가 직설법과 가정법 형태와 결합하여 표시된다.
게다가, 모든 과거와 원격 형태는 ''mi-''로 표시되는 불완료형을 발전시켰다. 덜 흔하게 발견되거나 기록된 형태, 특히 ''ḵot''을 포함하는 형태에 대해 몇 가지 의문이 있다.[27] 그러나 형태적 기능뿐만 아니라 의미적 기능에 따라 모든 형태를 체계적으로 배열하면 이러한 형태가 전체 패턴에 잘 들어맞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잠정적으로 나타낼 수 있다 (모든 형태는 1인칭 단수), ''zada ḵot mu-buda baš-um''과 같은 복합 형태는 제외한다.[4]
추정법에서는 현재 대 과거의 구분이 아니라 불확정 대 확정의 구분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모든 페르시아어 변종과 마찬가지로, ''mi-''의 불완료 형태와 ''mi-zad-um'' 및 ''zada bud-um''과 같은 과거 완료 형태는 비현실적인 조건절과 소망에서 사용된다. 예를 들어, ''kaški zimi qulba kadagi mu-but'', "그 밭이 경작되기만 한다면!" 법 조동사, 예를 들어 ''tan-''("할 수 있다")은 완료 분사와 함께 구성된다. 예를 들어, ''ma bû-r-um, da čaman rasid-a ḵot tanist-um'', "나는 갈 것이고, 차만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다". 분사 명사화는 전형적이며, 완료 분사(예: ''kad-a'', "(행해진) 하고")와 수동적 의미를 갖는 파생 분사(''kad-ag-i'', "행해진") 모두에 적용된다(예: ''zimin-i qulba kada-ya'', "그 밭은 경작되었다"; ''zamin-i qulba (na-)šuda-ra mi-ngar-um'', "나는 경작된/경작되지 않은 밭을 보고 있다"; ''imrûz \[u ḵondagi] tikrar mu-kun-a'', "오늘 그는 (읽은 것을) 반복한다"). 동명사(예: ''kad-an-i'', "행해지다") 역시 생산적이며, ''yag čiz, ki uftadani baš-a, ma u-ra qad-dist-ḵu girift-um, tulḡa kad-um'', "떨어지려던 어떤 물건, 나는 그것을 잡고 붙잡았다"와 같다. 후치사 ''-ku'' 또는 ''-ḵu''는 품사를, ''-di''는 술어를 주제화한다. 예를 들어 ''i-yši raft, ma-ḵu da ḵona mand-um'', "그는 갔지만, 나는 집에 머물렀다".[4]
참조
[1]
서적
Culture and Customs of Afghanistan
https://books.google[...]
[2]
웹사이트
Hazaragi language, alphabet and pronunciation
https://www.omniglot[...]
[3]
서적
Mai ve siyah: [milli] roman [Blue and Black : A national novel]
https://glottolog.or[...]
Hilmi Kitabevi
[4]
웹사이트
HAZĀRA iv. Hazāragi dialect
https://iranicaonlin[...]
2024-11-23
[5]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s Hazaragi
http://opensiuc.lib.[...]
2014-06-05
[6]
서적
The Mongols of Afghanistan: An Ethnography of the Moghôls and Related Peoples of Afghanistan
http://worldcat.org/[...]
Mouton
[7]
뉴스
Language of the "Mountain Tribe": A Closer Look at Hazaragi
https://www.language[...]
2011-12-12
[8]
웹사이트
A Sociological Study of Hazara Tribe in Balochistan (An Analysis of Socio-Cultural Change) University of Karachi, Pakistan July 1976 p.302
http://eprints.hec.g[...]
Eprints.hec.gov.pk
2013-12-08
[9]
백과사전
Hazāras
https://referencewor[...]
Brill
2021-10-08
[10]
웹사이트
Attitudes Towards Hazaragi
http://opensiuc.lib.[...]
2014-06-04
[11]
서적
تاریخ باستانی هزارهها
انتشارات امیری
[12]
서적
Area Handbook for Afghanistan
American University, Foreign Area Studies
[13]
서적
Encyclopedia of the Peoples of Asia and Oceania
Info base Publishing
[14]
웹사이트
Hazaragi
https://www.ethnolog[...]
Ethnologue
2023-10-05
[15]
간행물
Accreditation by Testing: Information booklet
http://www.naati.com[...]
NAATI
2010-08-01
[16]
웹사이트
A Sociological Study of Hazara Tribe in Balochistan (An Analysis of Socio-Cultural Change) University of Karachi, Pakistan July 1976
http://eprints.hec.g[...]
Eprints.hec.gov.pk
2013-12-08
[17]
서적
Yazyk afganskikh khazara: Yakavlangskii dialect
Moscow
[18]
서적
Khazara yazyk
Moscow
[19]
서적
The Hazaragi Dialect of Afghan Persian: A Preliminary Study
London
[20]
서적
Le persan parlé en Afghanistan: Grammaire du kâboli accompagnée d’un recuil de quatrains populaires de région de Kâbol
Paris
[21]
서적
The Spoken Dari of Afghanistan: A Grammar of Kāboli Dari (Persian), Compared to the Literary Language
Kabul
[22]
서적
Xazara
Moskva: Izdatel'stvo Firma Vostočnaya Literatura RAN
[23]
서적
Origins of the New and Middle Persian phonological systems
Cracow
[24]
서적
Le persan parlé en Afghanistan: Grammaire du kâboli accompagnée d’un recuil de quatrains populaires de région de Kâbol
Paris
[25]
서적
A Short Sketch of Tajik Grammar
Bloomington, Ind., and The Hague
[26]
서적
The Hazaragi Dialect of Afghan Persian: A Preliminary Study
London
[27]
서적
The Hazaragi Dialect of Afghan Persian: A Preliminary Study
Lond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