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재우 (1868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재우는 1868년에 태어나 1905년에 사망한 조선 후기의 인물이다. 그는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의 친정 종6대손이자 갑신정변의 주역 서재필의 동생이며, 충청도 면천군 군수를 역임했다. 갑신정변 당시 가족들이 희생되었으나, 어린 나이로 투옥되었다가 사면 복권되어 관직에 올랐다. 1904년에는 집포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했으며, 을사늑약 체결 직전 관직에서 물러난 후 금산에서 지내다 위장병으로 사망했다. 묘소는 금산군에 위치해 있으며, 배우 김찬우가 MBC 드라마 《대원군》에서 서재우 역을 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연좌제 - 계유정난
계유정난은 1453년 수양대군이 황보인, 김종서 등의 고명대신을 제거하고 정권을 장악한 사건으로, 수양대군이 권력을 장악하여 왕위에 오르고 훈구파의 권력 독점을 야기하며 조선의 정치 구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연좌제 - 배정자
배정자는 일제강점기에 첩보원, 관료로 활동하며 고종에게 접근하여 정보를 빼내고, 러일전쟁 직전 친러파의 평양 천도 계획을 좌절시키는 등 밀정으로 활동하다가 광복 후 반민족행위 혐의로 체포되었다. - 대구 서씨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대구 서씨 - 서주석
서주석은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은 대한민국의 정치학자이자 외교안보 전문가로, 한국국방연구원에서 근무하며 민주당계 정권에서 외교안보 정책 수립에 관여했고,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에서 각각 청와대 통일외교안보정책 수석비서관, 국방부 차관, 국가안보실 제1차장을 역임하며 남북 합의 도출에 기여했으나, 5.18 민주화운동 왜곡 활동에 참여했다는 비판도 받는다. - 서재필 - 서명원
서명원은 독립운동가 서재필의 종손으로, 교육학자이자 대학교수, 교육행정 관료로서 서울대학교 교수, 문교부 차관, 여러 대학교 총장을 역임하고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문교부 장관, 학술회 회원, 교육개혁심의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낸 인물이다. - 서재필 - 김홍집
김홍집은 조선 말기 온건 개화파 정치가로서 일본에 수신사로 다녀온 후 개화사상을 수용하고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주도했으나, 친일 정책과 단발령으로 민심을 잃고 아관파천 때 살해당하며 조선 근대화에 기여했으나 일본 간섭을 초래했다는 비판을 받는다.
서재우 (1868년)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서재우 |
원래 이름 | 徐載雨 |
출생일 | 1869년 9월 5일 |
출생지 | 조선 충청도 논산 |
사망일 | 1905년 1월 24일 |
사망지 | 일제 강점기 조선 전라도 금산 (위장병) |
종교 | 유교(성리학) |
부모 | 서광효(부) |
친인척 | 서재필(형) |
배우자 | 안동 권씨 부인 |
자녀 | 슬하 1남 2녀 |
정치 | |
정당 | 무소속 |
군주 | 대한제국 조선 고종 이형 |
섭정 | 윤용선(前), 이근명(前) |
임기 | 1899년 1월 31일 ~ 1904년 11월 1일 |
직책 | 대한제국 충청도 면천군 군수 |
직책 (한자) | 大韓帝國 忠淸道 沔川郡 郡守 |
2. 생애
본가인 충청도 논산에서 출생하였고 전라도 금산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으며 어머니의 친정인 전라도 보성에서 성장한 그는 영조정비 정성왕후의 친정 종6대손으로, 갑신정변 당시 정변군 지도자였던 서재필과 서재창의 친동생이며, 서광범에게는 13촌 조카가 된다. 본관은 대구(大邱)이며, 아명(兒名)은 '''서재효'''('''徐載涍''')·'''서재우'''('''徐載愚''')이고 자(字)는 효산(涍汕)이다.
갑신정변 당시 아버지 서광효, 이복형 서재형 등은 연좌제에 의해 살해되었고 첫째형 서재춘은 투옥되었다가 자살하였으며, 셋째형 서재창은 참형되었고 어머니 성주 이씨 부인과 둘째형수(서재필의 부인) 광산 김씨 부인 역시 음독 자살하였다. 당시 서재우도 처형될 위기에 놓였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사형은 모면하고 대신 투옥되었다. 한편 친형 서재춘의 아들들 중 서영석은 유모가 빼돌려서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했다 한다. 후일 갑신정변 관련자들이 복권되면서 그도 같이 사면 복권되어,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충청도 면천군 군수에 이르렀다.[1]
1904년 4월 4일에는 호서 지역과 호남 지역에 출몰하는 도적떼를 잡을 때, 당시 의정부 참정(議政府 參政)이었던 조병식의 건의에 따라 집포관(戢捕官)의 일원으로 특별 임명되었다.[1] 그해 5월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의 주산 줄기 아래 산 사태가 난 곳을 보충하여 쌓을 때 공사에 참여하였다.[2]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직전에 완전히 관직 일선 자체에서 물러나 이후 전라도 금산 초야에서 농사 등으로 소일하며 지내다가 1905년 1월 24일에 일제 강점기 조선 전라도 금산에서 위장병으로 인하여 향년 37세로 병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심천리 산 남쪽 언덕 경좌에 안장되었으며, 후에 부인 안동 권씨와 합장되었다.
2. 1. 가문 배경과 갑신정변
서재우는 충청도 논산에서 출생하여 전라도 금산과 전라도 보성에서 성장했다. 그의 가문은 영조의 정비 정성왕후의 친정 가문으로, 갑신정변의 지도자 서재필, 서재창과 친형제였다.[1] 본관은 대구이며, 아명(兒名)은 '''서재효'''('''徐載涍''')·'''서재우'''('''徐載愚''')이고 자(字)는 효산(涍汕)이다.1884년 갑신정변 당시, 아버지 서광효와 이복형 서재형은 연좌제로 처형되었고, 첫째 형 서재춘은 투옥 후 자살, 셋째 형 서재창은 참형되었다.[1] 어머니 성주 이씨와 둘째 형수 광산 김씨 역시 음독 자살하는 등 가족 대부분이 몰살당하는 비극을 겪었다.[1] 서재우는 당시 어린 나이 덕분에 처형을 면하고 투옥되었으며, 친형 서재춘의 아들 서영석은 유모에 의해 목숨을 구했다.
2. 2. 관직 생활과 사망
갑신정변 당시 아버지 서광효, 이복형 서재형 등은 연좌제에 의해 살해되었고, 셋째형 서재창은 참형되었으며, 어머니 성주 이씨 부인과 둘째 형수(서재필의 부인) 광산 김씨 부인 역시 음독 자살하였다. 당시 서재우도 처형될 위기에 놓였으나 나이가 어리다는 이유로 사형은 모면하고 대신 투옥되었다. 친형 서재춘의 아들들 중 서영석은 유모가 빼돌려서 기적적으로 목숨을 구했다 한다. 후일 갑신정변 관련자들이 복권되면서 그도 같이 사면 복권되어, 이후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에 올라 충청도 면천군 군수에 이르렀다.[1]1904년 4월 4일에는 호서 지역과 호남 지역에 출몰하는 도적떼를 잡을 때, 당시 의정부 참정이었던 조병식의 건의에 적용되어 집포관의 일원으로 특별 임명되었다.[1] 그해 5월 영릉(英陵)과 영릉(寧陵)의 주산 줄기 아래 산 사태가 난 곳을 보충하여 쌓을 때 공사에 참여하였다.[2]
1905년 을사늑약 체결 직전에 완전히 관직 일선 자체에서 물러나 이후 전라도 금산 초야에서 농사 등으로 소일하며 지내다가 1905년 1월 24일에 일제 강점기 조선 전라도 금산에서 위장병으로 인하여 향년 37세로 병사하였다.
묘소는 충청남도 금산군 남이면 심천리 산 남쪽 언덕 경좌에 안장되었으며, 후에 부인 안동 권씨와 합장되었다.
3. 가족 관계
- 아버지 : 서광효(徐光孝, 1800년 8월 22일 ~ 1884년 12월 19일(음 11월 2일)), 자는 성규(聖規), 아명(兒名)은 서광언(徐光彦)
- 어머니(전모): 안동 권씨 부인(安東 權氏 夫人, 1807년 ~ 1840년)
- * 이복 누나 : 대구 서씨 부인(大邱 徐氏 夫人, 1824년 ~ 1877년) - 갑신정변 이전에 이미 결혼하였으므로 연좌제를 면할 수 있었다.
- * 이복 자형 : 정해은(鄭海殷, 1826년 ~ 1873년, 본관은 연일)
- 어머니(생모) : 성주 이씨(星州 李氏, 1830년 ~ 1884년 12월 19일(음 11월 2일))
- * 첫째형 : 서재춘(徐載春, 1859년 3월 4일 ~ 1888년 9월 5일, 갑신정변으로 감옥에서 자살)
- * 첫째형수 : 은진 송씨(1860년 ~ 1916년 2월 14일)
- * 둘째형 : 서재필(徐載弼, 1864년 1월 4일 ~ 1951년 1월 5일)
- * 둘째형수 : 경주이씨(慶州李氏, 1860년 ~ 1880년(?))
- * 둘째형수 : 광산김씨(光山金氏, 1862년 ~ 1885년 1월 12일, 갑신정변으로 음독자살)
- * 둘째형수 : 뮤리엘 메리 암스트롱(Muriel Mary Armstrong, 다른 이름은 뮤리엘 조세피네 암스트롱(Muriel Josephine Armstrong), 1871년 ~ 1944년)
- * 셋째형 : 서재창(徐載昌, 1866년 ~ 1884년 12월 13일, 갑신정변으로 사형)
- * 셋째형수 : 안동 김씨
- 서모 : 이름 미상
- * 이복 형 : 서재형(徐載衡, 1851년 ~ 1884년 12월 13일, 갑신정변으로 처형)
- 본인 : '''서재우''' 前 충청도 면천군 군수(임기 : 1899년 1월 31일 ~ 1904년)
- 부인 : 안동 권씨(1866년 ~ 1920년 9월 19일)
- * 장남 : 서호석(徐灝錫, 1897년 10월 22일 ~ 1950년 9월 15일, 아명(兒名)은 서태석(徐台錫).)
- * 며느리 : 한산 이씨(1896년 ~ 1912년 5월 10일), 이용구(李用九)의 딸
- * 며느리 : 경주 김씨 학현(金學賢, 1900년 11월 11일 ~ 1924년 2월 29일), 김경식(金慶植)의 딸
- ** 손자 : 서중원(徐重源, 1920년 5월 25일 ~ 1950년 9월 15일)
- ** 손자며느리: 한산 이씨 행원(李行遠, 1922년 3월 7일 ~ 2006년 12월 18일)
증손녀 : 서동임(徐東姙, 1945년 7월 31일 ~ , 前대구서씨중앙종친회 이사)
증손녀사위 : 이철우(李哲雨, 1943년 4월 21일 ~ , 前롯데쇼핑(주) 대표이사 사장, 경영학 박사, 국민훈장 동백장, 前서강대 경영학과 초빙교수)
증손녀 : 서동숙(徐東淑, 1951년 6월 6일 ~ , 교육자, 前경기도 안양초등학교 교감)
증손녀사위 : 이상구(李相九, 1944년 3월 11일 ~ , 교육자, 前경기도 안양중학교 교장, 근정포장 수훈)
- * 장녀 : 서형석(徐亨錫)
- * 사위 : 권 온(權 溫, 안동 권씨)
- ** 외손자 : 권윤상(權㽙相)
- ** 외손자며느리 : 이계숙(李結淑)
외증손자 : 권희재
외증손자 : 권희철
외증손자 : 권희방
외증손녀 : 권희경
외증손녀 : 권희정
- * 차녀 : 서정석(徐貞錫, 1900년 ~ 2002년)
- * 사위 : 조용벽(趙容壁, 1991년 ~ 1946년, 임천 조씨)
- ** 외손녀 : 조순규(趙順圭, 1932년 ~, 의사)
- ** 외손녀사위 : 정용두(鄭鏞斗, 1928년 ~ 2015년, 전 장안대학교 교수, 신학박사)
증외손자 : 정준호(정준호, 1962년 ~ )
증외손녀 : 정은미(정은경, 1963년 ~ )
- ** 외손자 : 조천규(趙天圭, 1937년 ~ 2020년, 법조인)
- ** 외손자며느리 : 정태희(鄭太熙, 1941년 ~, 온양정씨)
증외손자 : 조진서(趙鎭緖, 1970년 ~, 연세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경제학박사)
증외손녀 : 조진희(趙鎭希, 1973년 ~)
4. 서재우를 다룬 작품
4. 1. TV 드라마
1990년 MBC 드라마 《대원군》에서 배우 김찬우가 서재우 역을 맡았다.참조
[1]
실록
윤영렬 등을 집포관으로 임명하여 호서와 호남의 도적을 체포하도록 하다
1904-04-04
[2]
실록
영릉의 주산 줄기 아래 사태진 곳을 쌓을 때의 감독관 이하에게 시상하다
1904-05-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