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선양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선양역은 중화인민공화국 랴오닝성 선양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1899년 러시아가 건설한 펑톈역으로 시작되었으며, 러일 전쟁 이후 일본에 점령되어 봉천역으로 개명되었다. 만주국 시절에는 일본의 주요 철도 교통 중심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군의 폭격을 받았다. 1945년 해방 이후 선양 남역으로 개명되었다가 1950년 현재의 선양역으로 변경되었다. 현재는 고속철도 및 일반 열차 노선이 운행하며, 선양 지하철 1호선이 연결되어 있다. 역은 동역사, 서역사, 고가 대합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0면 18선의 승강장과 51개의 유인 매표 창구, 43대의 자동 발매기를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선양시의 철도역 - 훈허역
    훈허역은 19310m² 면적에 제정 러시아 시대 건축물과 일본식 건축물을 포함한 12개의 건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편의 시설과 여러 철도 노선이 위치한 역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베이징역
    베이징역은 1901년 개업하여 1959년 확장된 베이징의 철도역으로, 마오쩌둥이 역명을 썼으며, 베이징 지하철과 버스 노선이 연결되어 있고, 도쿄역, 우에노역, 서울역과 우호 관계를 맺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철도 노선 - 베이징 지하철 8호선
    베이징 지하철 8호선은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위해 건설되어 총 길이 49.5km에 35개 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연결하고 여러 노선과의 환승을 통해 베이징 시내 주요 지역을 잇는 중요한 교통 수단이다.
  • 1910년 개업한 철도역 - 주안역
    주안역은 인천 남구에 있는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의 환승역으로, 경인선 보통역으로 시작해 1호선, 2호선 개통을 거치며 성장했고, 다양한 시설 접근성이 좋으며 2024년 역명 변경 예정이다.
  • 1910년 개업한 철도역 - 이즈모시역
    이즈모시역은 시마네현 이즈모시에 위치한 철도역으로, JR 서일본의 산인 본선과 이치바타 전차의 기타마쓰에 선이 지나며, 두 회사의 역은 떨어져 있고, JR 서일본 역은 특급 열차의 시·종착역이며, 이치바타 전차 역은 특급 및 보통 열차가 정차한다.
선양역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선양역 서쪽 입구
선양역 서쪽 입구
원어 이름沈阳站
원어 이름 (언어)중국어 (간체)
위치랴오닝성 선양시 허핑구 성리난지에
운영 기관중국철로선양그룹
중국철로총공사
개업1899년
이전 이름펑톈역
선양 남역
연결 버스 터미널버스 터미널
TMIS 코드53876
전신 약호SYT
병음SYA
등급특등역
노선 정보
노선선다 철도
선단 철도
선산 철도
환구툰 철도
선푸 도시 간 철도
하얼빈-다롄 고속철도
베이징-선양 고속철도
플랫폼 수5

2. 역사

1899년 러시아에 의해 펑톈역(奉天驛)으로 개업했다.[1] 1910년 10월 1일 도쿄역을 설계한 다쓰노 킨고의 제자인 오타 다케시와 요시다 소타로가 설계한 새로운 역 건물이 건설되었다.[2][3]

1938년 펑톈역에 정차한 베이핑행 열차


1938년 펑톈역에서 출발한 아세아호(亚细亚号) 열차


펑톈역앞 난소통대가(浪速通大街)


1945년 중일 전쟁 이후 선양남역(瀋陽南站)으로,[2] 1950년 선양역으로 개칭되었다.[2] 과거 남만주철도(만철)의 주요 중심역이었으며, 현재 선대선, 선길선, 선단선, 선산선, 황고둔선, 선무 도시 간 철도, 하대고속철도가 운행되고 있다. 2010년부터 확장 공사를 시작하여 2012년 7월 30일 하대고속철도 운행과 동시에 서역사가 사용되기 시작했다.[4]

2. 1. 초기 역사 (1899년 ~ 1945년)

1891년, 제정 러시아는 중국 동북 지역을 침략하여 시베리아 철도 건설을 시작했다. 러시아 정부는 중국 동북지방 점령을 위해 시베리아 철도를 연장할 것을 요구했고, 1896년 러청 밀약을 통해 (清) 정부로부터 둥칭 철로(東清鐵路) 건설권을 얻어 1899년 선양까지 철도를 연장했다. 최초의 '''펑톈역'''(奉天站)은 현재 선양역 북쪽 1.2km 지점에 러시아식 벽돌 건물로 지어졌으며, 역 앞에 5개 선로가 설치되었다.[26]

만주국 시기의 펑톈역


1904년 러일 전쟁으로 펑톈역이 일본에 점령되면서 일본식 명칭인 '''奉天駅일본어'''(봉천역, 호텐에키)으로 개명되었다. 1907년 당시 선양시 인구는 30만 명이었으나, 연간 여객 수가 50만 명에 달했다.[26] 늘어나는 승객을 감당하기 어려워 펑톈역 벽돌집 밖에 4개의 임시 목조건물이 세워졌으나 역부족이었다. 이에 남만주철도회사는 안봉선(安奉線일본어)과 남만본선(南满本線일본어) 상에 새로운 역을 건설하기 시작했다.[26][27] 새롭게 건설된 선양역은 당시 남만주철도 5대 역 중 가장 컸다.[28]

1910년 10월 1일, 역 이전식이 열리고 현재 위치에 선양역이 자리 잡게 되었다. 펑톈역 완공 후, 일본은 “신시가(新市街일본어)” 건설을 가속화하고 펑톈역을 중심으로 동쪽에 많은 거리가 방사형으로 퍼져나갔다. 도로는 남북으로 “'''정'''(町일본어, 마치)” 또는 동서로 “'''통'''(通일본어, 쓰)”으로 불렸다.[29] 만주국 시절, 펑톈역은 일본의 대륙 침략을 위한 주요 거점 역할을 수행했다. 동북 지방에서 탈취한 전략 물자는 다롄을 거쳐 일본으로 운송되었다. 펑톈역은 1926년1934년 두 차례 증축되어 4개의 대합실이 연속 건설되었고, 건축 면적은 6555m2로 당시 중국 동북지방에서 가장 중요한 여객 수송국이었다.[35] 1944년 12월부터 1945년 1월까지 미군은 펑톈역의 화물 창고 5개를 폭파했다.[26]

2. 2. 현대 역사 (1945년 ~ 현재)

1945년 해방 이후, 펑톈역은 선양 남역(瀋陽南站)으로 개명되었다. 1950년 5월 1일, 선양역(瀋陽站)으로 최종 개칭되었고 특등역으로 지정되었다.[2] 한국 전쟁 당시, 선양역은 최전선 수송 물자의 유통지 역할을 했다.[31] 이후 여러 차례 증축 및 개보수가 이루어졌으며, 양식과 비율, 색채 등의 면에서 여전히 원래의 건축 양식을 유지하고 있다.[35] 2012년에는 서역사가 신축되었다.[38]

2006년, 선양 지하철 1호선 건설로 인해 역 광장에 있던 소련군 기념비가 이전되었다가,[26] 2010년 새로운 기념물로 복원되었다.[46]

3. 역 구조

선양역은 크게 동역사, 서역사, 고가 대합실, 동광장, 서광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선양역 동역사. 남만주철도에서 건설했으며 당시 '''펑톈역'''으로 명명되었다.


2012년 7월 30일에 개업한 서역사


선양역 자동발매기. 43대로 선양 북역의 38대를 초과했다.


선양역 승강장 배치[42]
승강장 번호노선주행 방향
1~10하다 고속철도하얼빈, 장춘, 다롄, 다롄 방면
11~18선다 철로(하다 철로), 선지 철로, 선단 철로, 선산 철로, 황구툰 철로, 선푸 교외철도하얼빈, 다롄, 지린, 단둥, 평양, 푸순, 베이징 방면



선양역에는 유인 매표 창구 51개와 자동 발매기 43대가 설치되어 있다.[42]

3. 1. 동역사 및 동광장



'''동역사'''(东站房|둥잔팡중국어)는 붉은 벽돌 건물로, 일본 도쿄역대한민국의 옛 서울역과 매우 유사한 외관을 가지고 있다.[34] 이 건물은 일본인 건축가 오타 다케시(太田毅)와 요시다 소타로(吉田宗太郎)가 설계하였으며, 다쓰노 긴고의 제자였기 때문에 전형적인 다쓰노식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35] 2층 높이의 벽돌 건물로 붉은 누각과 회색-녹색 돔으로 되어 있으며,[35] 1층은 대합실, 2층은 과거 야마토 호텔 객실로 사용되었다.[35] 건물 중앙과 양쪽에는 각각 크기가 다른 녹색 금속 돔 3개가 설치되어 있고, 그 위에 둥근 채광창이 있다.[35]

'''동광장'''(东广场|둥광창중국어) 면적은 약 25,000㎡로, 7m 폭의 'n'자형 순환도로와 남북 두 곳의 자동차 주차장, 중앙광장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36] 아스팔트 포장 도로는 14,000㎡, 광장 화강암 포장 도로는 5,000㎡, 그린벨트는 2,000㎡이다.[36] 광장 남쪽과 북쪽에 있는 두 개의 대형 주차장은 동시에 133대의 자동차를 수용할 수 있다.[36]

3. 2. 서역사 및 서광장

'''서역사'''(西站房|서역사중국어)는 2012년에 신축된 현대식 건물로, 외관은 밤색이고 천장은 짙은 회색이다.[37] 건축면적은 약 5만m2이며, 상업층, 대기층, 승강장층, 출구층으로 나뉘어 있다.[38] 서역사는 지상 3층, 지하 1층의 총 4층 구조로 되어 있다.[39] 1층 출구를 통해 들어가면 바로 1층 로비가 나오며, 좌우 양쪽에 보안 검사기가 설치되어 있어 일반 승객들은 이곳에서 보안 검사를 받는다.[44] 보안 검사 후 에스컬레이터나 계단을 이용해 2층 고가 대합실로 올라갈 수 있다.[39] 자동차는 동서 복도를 통해 2층 구역으로 직접 진입하여 승객을 내려줄 수 있어, 승객들은 바로 고가 대합실로 들어갈 수 있다.[39]

'''서광장'''(西广场|서광장중국어)은 총 6만 m2의 부지에,[40] 지하에는 4만 m2 규모의 주차장과 부속 상업 시설이 있다.[40] 광장 중심에는 작은 광장이 있고, 그 중앙에는 1950년에 건설된 수탑(水塔)이 있다.[41] 이 수탑은 선양시에서 이전이 불가능한 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으며, 1950년 2월 15일에 설계하여 같은 해 12월 28일에 준공되었다.[41] 수탑의 지름은 10.6m, 상부 저수부 높이는 9.5m, 용적은 1200m3, 하부 높이는 30m이다.[41] 수탑 주변에는 11개의 가두 판매점이 있다.

3. 3. 고가 대합실

2002년 11월 1일부터 사용된 선양역 고가 대합실은 건축 면적 9375m2, 길이 108.75m이다.[35] 이 대합실은 4개로 나누어져 있는데, 첫 번째 대합실은 일등석 대합실이고, 나머지는 일반형 대합실이다.[35] 고가 대합실 완공으로 승차객을 분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승객이 탑승할 때 지하 통로를 거치지 않고 대합실에서 승강장으로 바로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35]

2012년 7월 30일 서역 고가 대합실(면적 16000m2)이 사용되기 시작했다.[44] 9미터 높이의 돔을 가진 이 대합실은 동역과 연결되어 있으며, 최대 수용 인원은 12,000명이다.[37] 각 승강장에는 대합실 양쪽에 해당 승강장 번호가 적힌 승차권 개찰구가 있다.[39] 승객은 열차를 기다리다 방송을 듣고 해당 개찰구에서 승차권을 확인한 후 승강장으로 내려간다.[39] 대합실 3층에는 슈퍼마켓, 책방, 신문 잡지점, 식품점 등이 있다.[39] 슈퍼마켓과 신문 잡지점 옆에는 휴대전화 충전소가 있다.[44] 고가 대합실과 지하 출입구 사이 승강장에는 직결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장애인이 쉽게 오갈 수 있다.[39] 대합실 중심에는 "멩메이리 서비스 데스크"가 있는데,[44] 랴오닝성의 전 모델이자 선양역 승객 승무원 모델인 멩메이리(孟美丽)의 이름을 따 명명되었으며, 승객 서비스, 질문 답변, 불만 접수 등을 담당한다.[44]

3. 4. 승강장

선양역은 10면 18선 구조의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21] 1~10번 선로는 하다 고속철도 열차가 정차하며, 하얼빈, 장춘, 다롄, 다롄 방면으로 운행한다. 11~18번 선로는 선다 철로(하다 철로), 선지 철로, 선단 철로, 선산 철로, 황구툰 철로, 선푸 교외철도 등 일반 열차가 정차하며, 하얼빈, 다롄, 지린, 단둥, 평양, 푸순, 베이징 방면으로 운행한다.[42]

선양역 승강장 배치
승강장 번호노선주행 방향
1~10하다 고속철도하얼빈, 장춘, 다롄, 다롄 방면
11~18선다 철로(하다 철로), 선지 철로, 선단 철로, 선산 철로, 황구툰 철로, 선푸 교외철도하얼빈, 다롄, 지린, 단둥, 평양, 푸순, 베이징 방면


3. 5. 매표 창구

선양역에는 유인 매표 창구 51개와 자동 발매기 43대가 설치되어 있다.[42] 서역에는 자동 발매기 16대와 유인 매표 창구 32곳이 있는데, 1층에 20곳, 2층에 12곳이 있다.[38] 동역에는 자동 발매기 27대와 유인 매표 창구 19곳이 있으며, 이 중 최남단 창구는 장애인을 위한 작은 창구이다.[42]

4. 지하철 선양역

'''지하철 선양역'''(沈阳站站중국어)은 선양 지하철 1호선의 역이다. 중국철로총공사 선양역 동쪽 지하에 있다.

지하 1층은 대합실, 지하 2층은 섬식 승강장(1면 2선) 구조로 되어 있으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43]

역에는 여러 출구가 있으며, 각 출구별 인근 역세권은 다음과 같다.

출구번호출구 명칭인근 역세권
중화로 북
성리북가 동
선양 호텔, 지뎬 빌딩, 톈차오 중의원
철도역 발권사무소선양역 동광장, 선양역 발권사무소
성리북가 서선양역 대합실, 선양역 서광장
중화로 남
성리남가 동
SK여객역, 중국소식성, 싱가포르 안경성
중화로 남월마트 타이위안가점, 선양 인상도시, 타이위안가 완다 광장, 중싱(선양) 상업빌딩, 차오후이 쇼핑센터, 선양여행호텔, 타이위안가 보행자 거리, 지하쇼핑몰



B출구는 선양역 대합실과 연결되며, 국철 티켓 판매기가 설치되어 있다. D출구는 스상 지하 보행자 통로와 연결되어 타이위안가 보행자 거리로 갈 수 있다.

지하 선양역 C출구


지하 선양역 승강장


선양역(瀋陽站) 역 승강장 배치 (B2F)
승강장노선행선
북쪽1호선톄시 광장・장스・13호 거리 방면
남쪽1호선칭녠 다제・중제・리밍 광장 방면


5. 인접역

남만주철도(만철)의 주요 중심역 중 하나였으며, 현재 선다선, 선길선, 선단선, 선산선, 황고둔선, 선무 도시 간 철도, 하대고속철도가 지난다.

노선
구분노선명비고
중국철도총공사선다선선양 북역 - 선양역 - 훈허역
선산선선양역 - 람군툰역
심단선선양역 - 선양 남역
심길선선양역 - 선양 북역
황구툰선선양역 - 황구툰역
선무 도시간 철도선양역 - 유수대역
선양 지하철1호선윈펑베이 거리역 - 선양잔역 - 타이위안 거리역


5. 1. 중국철로총공사

하다 여객전용선, 선다 철로, 선지 철로, 선단 철로, 선산 철로, 황구툰 철로 등 여러 노선이 선양역에 연결된다.[42]

선양역 승강장 배치
승강장 번호노선주행 방향
1~10하다 고속철도하얼빈시, 장춘시, 다롄베이, 다롄 방면
11~18선다 철로(하다 철로)·선지 철로·선단 철로·선산 철로·황구툰 철로·선푸 교외철도하얼빈, 다롄, 지린, 단둥, 평양, 푸순베이, 베이징 방면


5. 2. 선양 지하철



'''지하철 선양역'''(沈阳站站중국어)은 선양 지하철 1호선의 지하철역이다. 윈펑베이제역과 타이위안제역 사이에 있다.

지하 선양역 승강장 구조 (B2F)
승강장노선행선
북쪽 1호선톄시 광장・장스・스싼하오제 방면 (윈펑베이제)
남쪽 1호선칭녠다제・중제・리밍 광장 방면 (타이위안제)


5. 3. 명칭 변경 문제

1945년 일본 패전 후, 펑톈역(奉天驿)은 '선양 남역'(沈阳南站)으로 개명되었다. 1950년 이후 공식적으로 '선양역'(沈阳站)으로 개칭되었으나, 대중은 오랫동안 "선양역"을 "선양 남역" 또는 단순히 "남역"으로 불렀다. 이후 1998년에 "쑤자툰 기차역"(苏家屯火车站)이 "선양 남역"으로 개칭되면서(2010년 1월 기존 역명으로 환원) 혼란이 발생하기도 했다.[26]

5. 4. 역사 왜곡 논란



러일 전쟁 이후 펑톈역은 일본에 점령되어 일본식 명칭인 '''奉天駅일본어'''(봉천역, 호텐에키)으로 개명되었다.[26] 남만주철도회사는 안봉선(安奉線일본어)과 남만본선(南满本線일본어)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역을 짓기 시작했다.[26][27]

만주국 시절 펑톈역은 일본의 중요한 철도 교통 중심지로 운영되었다. 동북 지방에서 탈취한 전략 물자는 다롄을 거쳐 일본으로 옮겨졌다.[35] 1944년 12월부터 1945년 1월까지 대일 작전 중이던 미군은 펑톈역의 화물창고 5개를 완전히 폭파시켰다.[26]

이러한 내용은 일제강점기 펑톈역이 일본의 대륙 침략 거점으로 활용되었으며, 수많은 전략 물자가 이곳을 통해 일본으로 반출되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한국인의 관점에서, 펑톈역은 일제강점기 수탈과 억압의 상징적인 장소 중 하나로 인식될 수 있다.

5. 5. 소련군 기념비 이전 논란

소련 바이칼 전차 군인 기념비는 선양역 광장의 랜드마크였다. 이 기념비는 소련 국방부가 설계하고 투자했으며 1945년 10월에 옛 주화(古錢幣)를 원자재로 완성했다.[45] 1988년 선양역의 하루 승객 수가 19만 명으로 늘었을 때, 역과 대기실이 확장되지 않아 역전 광장의 전차 기념비가 두 번째 대기 장소 역할을 했다.[45]

2006년 선양 지하철 1호선 건설과 문화재 보호를 위해 소련 붉은 군대 육군 기념탑은 선양 북부의 소련 붉은 군대 순교자 묘지로 옮겨졌고, 특별 탑을 세우고 전차와 부조를 배치했다.[26][45] 이 기념탑은 선양역 앞 광장에 61년 동안 세워져 있었다.[45]

2010년 8월 23일, 선양은 전차 기념탑이 있던 자리에 새로운 기념물을 세웠다.[46] 비문은 원래 전차 기념물 패턴에 따라 남쪽에는 외국어, 북쪽에는 중국어로 새겨졌다. 비문에는 전차 역사와 이전 유래, 시간 및 위치가 기록되어 있다.[46]

참조

[1] 웹사이트 鼎言商旅网:沈阳站介紹 http://liaoning.d008[...]
[2] 웹사이트 火车查询网:沈阳火车站 https://web.archive.[...]
[3] 논문 大型铁路枢纽地区综合改造规划研究——以沈阳站地区为例 上海市交通工程学会 2011-01
[4] 뉴스 沈阳站西出口明年底建成 西广场建设规划已敲定 http://liaoning.ne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8-02
[5] 웹사이트 沈阳站 http://baike.sytlw.c[...] 沈阳铁路网 2013-05-23
[6] 뉴스 奉天驿日本守备队宿舍旧址成为日军侵华又一佐证 https://web.archive.[...]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8
[7] 논문 沈阳站主候车室整体改造施工技术 北京市建工集团 2013-07-30
[8] 뉴스 百年太原街空前大“整容” http://epaper.syd.co[...]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31
[9] 뉴스 饱经风霜的沈阳站今年100岁 https://web.archive.[...] 沈阳日报传媒集团 2022-09-23
[10] 웹사이트 沈阳老站轶事 纵横百年情怀 http://www.peoplerai[...] 2010-12-07
[11] 뉴스 沈阳站西货场挖出116枚炮弹 为建国后沈城之最 http://news.sina.com[...] 2013-07-27
[12] 뉴스 沈阳站西站房启用首日旅客量达11万 http://sy.focus.cn/n[...]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13] 뉴스 沈阳站老站房将沿袭原风格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5
[14] 뉴스 本周沈阳站东广场竣工 地面133个停车位 http://news.sina.com[...] 2013-07-25
[15] 뉴스 113岁沈阳站今起“走西口” https://web.archive.[...] 沈阳日报传媒集团 2022-09-23
[16] 뉴스 百年沈阳站年内开西大门 高架候车室可容1.2万人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9
[17] 뉴스 沈阳站西站房“掀盖头” http://news.sina.com[...] 2013-07-25
[18] 뉴스 沈阳站西站房启用首日旅客量达11万 http://sy.focus.cn/n[...]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19] 뉴스 沈阳站西出口广场明年8月扩至6万平方米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5
[20] 뉴스 沈阳站西"水塔广场"月底亮相 http://news.sy.soufu[...]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21] 뉴스 7月30日沈阳站东站房重启 进站还在大钟下 http://sy.focus.cn/n[...] 2013-07-25
[22] 문서 1階に20個、2階に12個の有人窓口がある
[23] 뉴스 沈阳地铁一号线车站概况及周边公交线路 http://liaoning.nen.[...] 2010-09-27
[24] 웹사이트 선양역 http://shenyangn.kr/
[25] 뉴스 沈阳站西出口明年底建成 西广场建设规划已敲定 http://liaoning.ne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8-02
[26] 웹인용 沈阳站 http://baike.sytlw.c[...] 沈阳铁路网 2013-05-23
[27] 뉴스 奉天驿日本守备队宿舍旧址成为日军侵华又一佐证 http://culture.peopl[...]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8
[28] 저널 沈阳站主候车室整体改造施工技术 北京市建工集团 2013-07-30
[29] 뉴스 百年太原街空前大“整容” http://epaper.syd.co[...]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31
[30] 뉴스 回眸百年沈阳站 http://news.sina.com[...] 2013-08-02
[31] 웹인용 沈阳老站轶事 纵横百年情怀 http://www.peoplerai[...] 2010-12-07
[32] 뉴스 沈阳站西货场挖出116枚炮弹 为建国后沈城之最 http://news.sina.com[...] 2013-07-27
[33] 뉴스 沈阳站老站房将沿袭原风格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5
[34] 저널 大型铁路枢纽地区综合改造规划研究——以沈阳站地区为例 上海市交通工程学会 2011-01
[35] 뉴스 饱经风霜的沈阳站今年100岁 http://epaper.syd.co[...]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4
[36] 뉴스 本周沈阳站东广场竣工 地面133个停车位 http://news.sina.com[...] 2013-07-25
[37] 뉴스 百年沈阳站年内开西大门 高架候车室可容1.2万人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9
[38] 뉴스 沈阳站西站房启用首日旅客量达11万 http://sy.focus.cn/n[...]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39] 뉴스 沈阳站西站房“掀盖头” http://news.sina.com[...] 2013-07-25
[40] 뉴스 沈阳站西出口广场明年8月扩至6万平方米 http://sy.focus.cn/n[...]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5
[41] 뉴스 沈阳站西"水塔广场"月底亮相 http://news.sy.soufu[...]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42] 뉴스 7月30日沈阳站东站房重启 进站还在大钟下 http://sy.focus.cn/n[...] 2013-07-25
[43] 뉴스 沈阳地铁一号线车站概况及周边公交线路 http://liaoning.nen.[...] 2010-09-27
[44] 뉴스 113岁沈阳站今起“走西口” http://news.syd.com.[...] 沈阳日报传媒集团 2013-07-29
[45] 저널 沈阳站“坦克纪念碑”轶事 辽宁省人民政府侨务办公室 2010-12
[46] 뉴스 沈阳站“坦克碑”原址立新纪念碑 http://epaper.lnd.co[...] 辽宁日报传媒集团 2013-07-2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