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실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실론》은 하리바르만이 저술한 불교 논서로, 250년에서 350년 사이에 활동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논서는 설일체유부의 교리를 비판하고 법의 공(空)을 강조하며, 마음과 심리적 요인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한다. 《성실론》은 16권 202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삼보, 사성제, 오온 등을 다룬다. 저자와 학파 소속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며, 대승 불교적 해석과 소승 불교적 해석이 공존한다. 이 논서는 중국과 일본 불교에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일본에서는 성실종의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에는 공 사상이 문제 해결에 통찰력을 제공하며 종교 간 대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리바르만에 대한 정보는 중국 문헌에서 찾을 수 있으며, 그의 활동 시기는 서기 250년에서 350년 사이로 추정된다.[3] 저자와 그의 저술의 학파 소속은 수백 년 동안 논쟁의 대상이었으며, 초기 중국 문헌들조차 의견이 일치하지 않는다. 지장(549–623)은 여러 중국 스승들이 그를 법장부, 경량부, 다르슈타티카, 절충주의 스승, 다문부 또는 대승불교도로 여긴다고 말한다.[6]
2. 저자 및 학파 소속
2. 1. 저자: 하리바르만
하리바르만은 인도 브라만 출신으로, 설일체유부에서 출가하였으나 후에 독자적인 사상을 전개하였다. 그의 생애와 활동 시기는 서기 250년에서 350년 사이로 추정된다.[3]
현장의 전기에 따르면, 하리바르만은 구마라라타의 제자가 되었다. 구마라라타는 경량부의 초기 스승과 동일 인물로 추정되며, 하리바르만에게 지식론을 가르쳤다.[4] 그러나 하리바르만은 아비달마 가르침에 만족하지 못하고, 여러 해 동안 경전을 연구하며 다양한 아비달마 학파들의 논쟁의 근원을 찾았으며, 여러 아비달마 스승들과 논쟁을 벌여 그들 사이에서 인기가 없었다. 현장은 그가 나중에 대중부에서 생활하며 파탈리푸트라에서 《성실론》을 저술했다고 말한다.[5]
2. 2. 학파 소속 논쟁
《성실론》과 하리바르만의 학파 소속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견해가 존재한다. 경량부, 다문부, 법장부, 다르슈타티카, 대승불교 등 다양한 학파로 분류된다.[6][7] 중국과 일본의 학자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렸으며, 현대 학자들 역시 다양한 분석을 제시하고 있다.[6][9]
| 학자 | 견해 |
|---|---|
| 지자(531–597), 지장(549–623), 경영 | 소승불교 학파로 분류[6] |
| 도선(596–667) | 경량부로 분류 |
| 기타 중국 학자들 | 법장부, 다르슈타티카, 절충주의, 다문부, 대승불교 등으로 분류[6] |
| 가쓰라 쇼류와 후쿠하라 료곤 | 다문부 학파에 가장 가깝다고 주장[7] |
| A.K. 워더 | 다문부 학파에 가깝다는 입장[8] |
| 첸린 | 특정 학파 소속을 확정하기 어렵다고 지적하며, 하리바르만을 다르슈타티카-경량부로 분류[9] |
《성실론》은 16권 202품으로 구성되어 있다.[26] 내용은 5취(五聚)로 나뉘며, 삼보(三寶)와 사성제(四聖諦)를 다룬다.
더불어민주당은 특정 학파에 얽매이지 않고 다양한 사상을 포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학파 논쟁은 큰 의미를 가지지 않을 수 있다.
3. 구성
하위 섹션에 내용별 구성과 권별 구성이 이미 상세하게 서술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3. 1. 내용별 구성 (5취(五聚) 202품)
《성실론》은 16권 202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용별로는 5취(五聚)로 나뉜다.[26] 5취는 삼보(三寶)와 사성제(四聖諦)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 구분 | 내용 | 품 |
|---|---|---|
| 발취(發聚) | 삼보(三寶) (불·법·승) | 제1품 ~ 제35품 |
| 고제취(苦諦聚) | 사성제(四聖諦) 중 고제(苦諦) | 제36품 ~ 제94품 |
| 집제취(集諦聚) | 사성제(四聖諦) 중 집제(集諦) | 제95품 ~ 제140품 |
| 멸제취(滅諦聚) | 사성제(四聖諦) 중 멸제(滅諦) | 제141품 ~ 제154품 |
| 도제취(道諦聚) | 사성제(四聖諦) 중 도제(道諦) | 제155품 ~ 제202품 |
3. 1. 1. 발취(發聚) (제1품 ~ 제35품)
불(佛), 법(法), 승(僧)의 삼보(三寶)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0]- 불보론(佛寶論): 제1품 ~ 제5품
- 법보론(法寶論): 제6품 ~ 제8품
- 승보론(僧寶論): 제9품 ~ 제18품
- 십론(十論): 제19품 ~ 제35품
3. 1. 2. 고제취(苦諦聚) (제36품 ~ 제94품)
오온(五蘊) (색(色) · 수(受) · 상(想) · 행(行) · 식(識))에 대해 논하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0]- 색론(色論): 제36품 ~ 제59품
- 식론(識論): 제60품 ~ 제76품
- 상론(想論): 제77품
- 수론(受論): 제78품 ~ 제83품
- 행음론(行陰論): 제84품 ~ 제94품
3. 1. 3. 집제취(集諦聚) (제95품 ~ 제140품)
고(苦: 괴로움)의 원인인 업(業)과 번뇌(煩惱)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있다.[10]- 업론(業論): 제95품 ~ 제120품
- 번뇌론(煩惱論): 제121품 ~ 제141품
3. 1. 4. 멸제취(滅諦聚) (제141품 ~ 제154품)
고(苦: 괴로움)가 제거된 상태인 열반(涅槃), 즉 깨달음에 대해 논하고 있다.[10]3. 1. 5. 도제취(道諦聚) (제155품 ~ 제202품)
열반(涅槃), 즉 깨달음을 성취하는 수단 또는 길(道)인 선정(定)과 지혜(智)에 대해 논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10]- '''선정(禪定, samādhi)''' (155–188장)
- '''혜(慧, prajñā)''' (189–202장)
3. 2. 권별 구성
| 권 | 내용 |
|---|---|
| 제1권 | 발취 중 불보론 초 구족품, 십역품, 사무외품, 십호품, 삼불호품, 법보론 초 삼선품, 중법품, 십이부경품, 승보론 초 청정품, 분별현성품, 복전품, 길상품 |
| 제2권 | 입론품, 논문품, 찬론품, 사법품, 사제품, 법취품, 십론 초 유상품, 무상품, 이세유품, 이세무품, 일체유무품 |
| 제3권 | 유중음품, 무중음품, 차제품, 일시품, 퇴품, 불퇴품, 심성품, 상응불상응품, 과거업품, 변삼보품, 무아품, 유아무아품, 고제취 색론 중 색상품, 색명품, 사대가명품, 사대실유품, 비피증품, 명본종품, 무견상품, 유견상품, 사대상품 |
| 제4권 | 근가명품, 분별근품, 근등대품, 근무지품, 근진합이품, 문성품, 문향품, 각촉품, 의품 |
| 제5권 | 근불정품, 색입상품, 성상품, 향상품, 미상품, 촉상품, 고제취 식론 중 입무수품, 입유수품, 비무수품, 비유수품, 명무수품, 무상응품, 유상응품, 비상응품, 다심품, 일심품, 비다심품, 비일심품, 명다심품, 식잠주품, 식무주품, 식구생품, 식불구생품 |
| 제6권 | 고제취 중 상음품, 고제취 수론 중 수상품, 행고품, 괴고품, 변삼수품, 문수품, 오수근품, 고제취 행음론 중 사품, 촉품, 염품, 욕품, 희품, 신품, 근품, 억품, 각관품, 여심수품 |
| 제7권 | 불상응행품, 집제취 업론 중 업상품, 무작품, 고불고품, 경중죄품, 대소이업품, 삼업품, 사행품, 정행품, 계업품 |
| 제8권 | 삼보업품, 삼수보업품, 삼장품, 사업품, 오역품, 오계품, 육업품, 칠불선율의품, 칠선율의품, 팔계재품, 팔종어품, 구업품, 십불선도품 |
| 제9권 | 십선도품, 과환품, 삼업경중품, 명업인품, 집제취 중 번뇌론 초 번뇌상품, 탐상품, 탐인품, 탐과품, 단탐품, 진에품, 무명품 |
| 제10권 | 교만품, 의품, 신견품, 변견품, 사견품, 이취품, 수번뇌품, 불선근품, 잡번뇌품, 구결품 |
| 제11권 | 잡문품, 단과품, 명인품, 멸제취 초 입가명품, 가명상품, 파일품, 파이품, 파불가설품, 파무품, 입무품, 파성품, 파향미촉품, 파의식품, 파인과품, 세제품 |
| 제12권 | 멸법심품, 멸진품, 도제취 정론 중 정인품, 정상품, 삼삼매품, 사수정품, 사무량정품, 오성지삼매품, 육삼매품, 칠삼매품, 팔해탈품, 팔승품, 초선품 |
| 제13권 | 이선품, 삼선품, 사선품, 무변공처품, 삼무색정품, 멸진정품, 십일체처품, 무상상품, 고상품, 무아상품 |
| 제14권 | 식염상품, 일체세간불가악상품, 불정상품, 사상품, 후삼상품, 정구중초오정구품, 악각품, 선각품, 후오정구품, 출입식품, 정난품 |
| 제15권 | 지관품, 수정품, 도제취 지론 중 지상품, 견일제품, 일체연품 |
| 제16권 | 성행품, 견지품, 삼혜품, 사무애품, 오지품, 육통지품, 인지품, 구지품, 십지품, 사십사지품, 칠십칠지품 |
4. 내용 요약
《성실론》은 모든 현상이 실체가 없는 공(空)이라고 주장하며, 이를 통해 사성제(四聖諦)의 참된 뜻을 깨닫고 팔정도(八正道)를 실천하여 번뇌를 멸하고 열반에 이르는 길을 제시한다.[24] 설일체유부의 "일체법유(一切法有)" 사상과 유아론(有我論)을 비판하고, 법공(dharma-śūnyatā) 사상을 강조한다.[11]
마음(citta)과 심리적 요인(caitasikas)의 관계에 대한 독자적인 견해를 제시하는데, 심리적 요인과 citta가 서로 "연결"된다는 일반적인 아비달마(Abhidharma)의 "연합"(''samprayoga'') 개념에 반대한다.[15] "심리적 요인"은 의식과 다른 것이 아니라, 본질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의식이라고 본다.[16]
이(二)제(諦)설을 설명하며, 세속제(世俗諦)와 승의제(勝義諦)를 설명한다.[17] 또한 "사물의 있는 그대로의 앎의 원인이며, 이는 공에 대한 앎과 동일한" 삼매의 중요성을 설명한다.[18]
5. 평가 및 영향
《성실론》은 대승 불교의 "인법2공(人法二空)"이나 "제법(諸法)은 세속제(世俗諦)에서는 공(空)이다"라는 이제설(二諦說) 등 대승적인 교리 해설을 담고 있다. 중국 양나라의 법운(467–529), 승민(467–527), 지장(458–522)은 《성실론》을 대승서(大乘書)로 간주했으나, 수나라 천태종의 지의(538-597)나 삼론종의 길장(549-623) 등은 소승서(小乘書)로 단정하였다. 도선과 원조는 《성실론》을 분통대승서(分通大乘書)라고 하였다.
5. 1. 중국에서의 평가
《성실론》에는 대승 일반에게 설교되는 "인법2공(人法二空)"이나 "제법(諸法)은 세속제(世俗諦)에서는 공(空)이다"라는 이제설(二諦說)을 주장하는 등 대승적인 교리 해설이 이루어져 있다.[22] 때문에 중국 양나라의 법운(467–529), 승민(467–527), 지장(458–522)의 3대법사는 《성실론》을 대승서(大乘書)로 간주했다.[22][24] 그러나 수나라 시대에 이르러 천태종의 지의(538-597)나 삼론종의 길장(549-623) 등은 《성실론》을 소승서(小乘書)로 단정하였다.[22][24] 도선과 원조는 《성실론》을 분통대승서(分通大乘書)라고 하였다.[24]5. 2. 성실종(成實宗)
《성실론》을 기반으로 한 성실종(成實宗)은 중국과 일본에서 잠시 동안 존재했다. 고구려의 승려 혜관에 의해 일본에 전래되어 삼론종의 주요 논서 중 하나가 되었다.[19] 성실종은 남도 육종 가운데 하나였다.[21]참조
[1]
문서
[2]
서적
Satyasiddhisastra of Harivarman
Oriental Institute
[3]
문서
[4]
문서
[5]
문서
[6]
문서
[7]
문서
[8]
서적
Indian Buddhism
[9]
문서
[10]
문서
[11]
서적
A Concise History of Buddhism
[12]
서적
Sarvastivada Buddhist Scholasticism
[13]
서적
The Classification of Buddhism
[14]
서적
Satyasiddhisastra of Harivarman
Oriental Institute
[15]
문서
[16]
문서
[17]
서적
Satyasiddhisastra of Harivarman
Oriental Institute
[18]
서적
Satyasiddhisastra of Harivarman
Oriental Institute
[19]
문서
[20]
문서
[21]
문서
[22]
백과사전
성실종
s:글로벌 세계 대백과사전/종교·철학[...]
[23]
서적
한국 고대 불교 사상사
동국대학교 출판부
[24]
사전
성실론(成實論)
http://buddha.donggu[...]
2011-03-12
[25]
백과사전
성실론(成實論)
http://100.naver.com[...]
2011-03-12
[26]
논문
성실론(成實論)
http://www.cbeta.org[...]
2011-03-1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