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성한 (신라)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한은 신라 김씨 왕실의 시조로 여겨지는 인물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는 김알지를 시조로 기록하고 있으나, 문무왕릉비, 김인문 묘비문 등에서는 성한을 김씨의 시조이자 태조로 기록하고 있다. 성한은 문무왕의 15대조, 흥덕왕의 24대조로 기록되어 있으며, 묘비명 등에서는 '태조'로 칭송받았다. 성한의 정체에 대해서는 김알지, 김알지의 아들 세한(열한), 미추왕 등 다양한 가설이 존재하며, 흉노 출신 김일제와의 연관성을 주장하는 견해도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한국 신화의 사람 - 김알지
    김알지는 신라 탈해 이사금 9년에 시림에서 금색 궤짝 안에 발견된 인물로,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며, 김씨 성을 받고 계림에서 발견되어 신라 국호의 기원이 되었다.
  • 추존왕 - 기자오
    기자오는 고려 시대의 관리로, 딸이 원나라 혜종의 후궁이 되어 기황후가 되었으며 사후 영안왕에 추봉되었다.
  • 추존왕 - 이헌 (당)
    이헌은 당 예종의 아들이자 당 현종의 형으로, 본래 이성기였으나 황태자 자리를 양보하고 현종의 신임을 받아 사후 양황제로 추존된 당나라 황족이다.
  • 신라의 추존왕 - 김알지
    김알지는 신라 탈해 이사금 9년에 시림에서 금색 궤짝 안에 발견된 인물로,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며, 김씨 성을 받고 계림에서 발견되어 신라 국호의 기원이 되었다.
  • 신라의 추존왕 - 혜충태자
    혜충태자는 신라 원성왕의 아들로 왕태자에 책봉되었으나 요절하였고, 그의 아들 준옹이 소성왕으로 즉위하면서 그의 혈통이 신라 왕실의 주류가 되었지만, 그의 죽음은 신라 왕위 계승 분쟁의 원인이 되었다.
성한 (신라)
인물 정보
이름김성한, 김세한, 열한
한자 표기金星漢, 金勢漢, 熱漢
로마자 표기Gim Seonghan, Gim Sehan, Yeolhan
별칭태조 성한왕
한자 별칭太祖星漢王
로마자 별칭Taejo Seonghan wang
직업신라 귀족
활동 시기1세기

2. 사료

성한에 대한 기록은 주로 신라 시대 금석문에 나타나며, 고려 시대에 편찬된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삼국사기》에는 세한, 《삼국유사》에는 열한으로 나타난다. 경주 김씨나 신라 김씨의 족보 및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미추왕 관련 기록에는 세한 또는 성한의 최종 벼슬이 이찬이었다는 것만 간략하게 기록되어 있다.

미추 이사금이 아닌 그의 4대조인 성한에게 태조라는 묘호가 추존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대한민국학자들은 적석목곽분의 부장품흉노와의 유사성을 근거로 신라 왕가의 흉노 도래를 주장하기도 하며,[4][5][6][7][8][9] KBS에서 관련 다큐멘터리를 방영하기도 했다.[10][11][12]

2. 1. 신라 시대 금석문

신라 시대의 여러 금석문에는 성한이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이자 태조로 기록되어 있다. 939년에 건립된 진공대사 보법탑비에는 성한의 선조들이 어디선가 내려왔다는 뜻으로 '기선강자성한(其先降自聖韓)'이라 하였다.[14] 문무왕릉비, 김인문묘비명, 흥덕왕릉비,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등의 비석과 금석문에서는 성한을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로 보았으며, '태조'(太祖)라고 칭하기도 하였다.[15]

이는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서 김알지를 김씨의 시조로 서술하는 것과는 다른 기록이다. 신라 당대인들은 성한을 신라 김씨의 시조로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문무왕릉비에는 성한이 문무왕의 15대조,[15] 흥덕왕릉비에는 흥덕왕이 성한의 24대손이라 기록되어 있다.

1954년 산시성에서 발견된 大唐故金氏夫人墓銘|대당고김씨부인묘명중국어과 신라 문무왕릉비 및 신라의 각종 금석문 등에서는 김성한(金星漢)이 김일제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4][5][6][7][8][9]

2. 1. 1.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 (568년)

태조의 기반을 우러러 받들어 왕위를 이었다.[4][5][6][7][8][9]

2. 1. 2. 문무왕릉비 (682년)

문무왕릉비에는 투후(秺侯) 제천지윤(祭天之胤)이 7대를 전하여 15대조 '''성한왕'''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 그 영혼이 선악(仙岳)에서 나왔다고 기록되어 있다.[9]

2. 1. 3. 김인문 묘비 (690년)

'''태조한왕(太祖漢王)'''은 천년의 ▨을 열고...[4][5][6][7][8][9]

2. 1. 4. 흥덕왕릉비 (836년)

'''태조 성한(太祖星漢)''' … 24대손[4][5][6][7][8][9]

흥덕왕은 성한의 24대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2. 1. 5. 광조사진철대사비 (937년)

김씨는 계림 사람으로, 그 국사를 상고하면 성한(星漢)의 후예라고 기록되어 있다.[13]

2. 1. 6.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 (939년)

대사의 휘(諱)는 ▨운(▨運)이고, 속성은 김씨이며, 계림 사람이다. 그의 선조는 '''성한(聖韓)'''에서 강등하여 나물에서 일어났고, 근본에서 지말(枝末)까지 약 백세(百世)동안 가유(嘉猷)를 끼쳤다.[14]

2. 2. 고려 시대 사서

고려 시대 편찬된 《삼국사기》, 《삼국유사》에는 김알지경주 김씨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4][5][6][7][8][9]

2. 2. 1. 삼국사기 신덕왕 7년 4월 (687년)

대신(大臣)이 조묘(祖廟)에 제사를 올리고 다음과 같이 고하였다. “왕 아무개는 머리를 조아려 두 번 절하고, 삼가 '''태조대왕'''(太祖大王)·진지대왕·문흥대왕·태종대왕·문무대왕의 영전(靈殿)에 아룁니다.... " 여기서 태조대왕은 성한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3. 생애

성한의 출생 및 사망 연대와 장소는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다. 939년에 건립된 진공대사 보법탑비에 따르면, 성한의 선조들은 어디선가 내려왔다는 뜻의 '기선강자성한(其先降自聖韓)'이라 하였다. 성한은 문무왕릉비, 김인문묘비명, 흥덕왕릉비,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등에 등장한다.

비석금석문에 따르면, 성한은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격으로 나타나며, '''태조'''(太祖)라고 칭송받기도 한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성한이 아닌 김알지를 김씨의 시조로 서술하고 있지만, 금석문 속에서는 김알지가 등장하지 않고 성한을 김씨 왕실의 시조로 지칭한다. 신라 당대인들은 성한을 신라 김씨의 시조로 보았던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등 문헌 사료에는 등장하지 않는데, 이들은 고려 이후에 편찬된 사료이기 때문이다. 《삼국사기》에는 세한, 《삼국유사》에는 열한으로 나타난다. 문무왕릉비문에는 성한을 태조(太祖)라 하고, 성한왕이 가계상 문무대왕의 15대조라 하며[15], 흥덕왕릉비문에도 성한을 태조라고 지칭하는 한편, 흥덕왕은 그의 24대손이라 하였다. 김인문의 묘비문에는 태조 한왕으로 나타난다.

경주 김씨나 신라 김씨의 족보 및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미추왕 편에는 세한 또는 성한의 최종 벼슬이 이찬이었다는 것만 간략하게 수록되어 있다. 미추 이사금이 아닌 그 4대조인 성한에게 태조라는 묘호를 추존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1954년 산시성에서 발견된 대당고김씨부인묘명|대당고김씨부인묘명한국어신라문무왕릉비 및 신라의 각종 금석문 등에서는 김성한(金星漢)이 김일제의 후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대한민국학자들은 적석목곽분의 부장품흉노와의 유사성을 근거로 신라 왕가의 흉노 도래를 지적하는 의견이 있다.[4][5][6][7][8][9]。이에 대해, 대한민국의 공영방송 KBS가 다큐멘터리를 보도하기도 했다.[10][11][12]

4. 정체

신라 김(金)씨 왕조의 시조로 여겨지는 성한의 정체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성한은 문무왕릉비, 김인문묘비명, 흥덕왕릉비,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등에 등장하는 인물이다. 비석금석문에 따르면, 성한은 신라 김씨 왕조의 시조 격으로 나타나며, '''태조'''(太祖)라고도 불린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김알지를 김씨의 시조로 서술하고 있지만, 금석문에는 김알지가 등장하지 않고 성한을 김씨 왕실의 시조로 지칭한다. 신라 당대인들은 성한을 신라 김씨의 시조로 보았던 것이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는 고려 이후에 편찬된 사료인데 《삼국사기》에는 세한, 《삼국유사》에는 열한으로 나타난다. 문무왕릉비문에는 성한을 태조(太祖)라 하고, 성한왕이 가계상 문무대왕의 15대조라 하며[15], 흥덕왕릉비문에도 성한을 태조라고 지칭하는 한편, 흥덕왕은 그의 24대손이라 하였다. 김인문의 묘비문에는 태조 한왕으로 나타난다.

경주 김씨나 신라 김씨의 족보 및 《삼국사기》, 《삼국유사》의 미추왕 편에는 세한 또는 성한의 최종 벼슬이 이찬이었다는 것만 간략하게 수록되어 있다. 미추 이사금이 아닌 그 4대조인 성한에게 태조라는 묘호를 추존한 이유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처럼 성한이라는 인물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를 비롯한 사서에 전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그 정체에 대해 다양한 가설이 제안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다.

4. 1. 김알지 동일인물설

성(星) = "김(金)", 한(漢) = "알<閼>", 왕(王) = "지<智>"로 해석하여 성한왕(星漢王)과 김알지(金閼智)를 동일인물로 보는 견해이다. 김정희 등이 이러한 견해를 취했다.[16]

4. 2. 김알지 아들 세한(열한) 동일인물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에는 김알지의 아들로 세한(勢漢) 혹은 열한(熱漢)이 등장하는데, 이들과 성한이 동일인물이라는 견해가 있다.[17] 이 견해는 음운의 유사성과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의 계보에서 문무왕의 15대조로 세한이 나타나는 점 등을 근거로 한다. 경주 김씨 세보는 이러한 주장을 취하여 세한(勢漢)으로 기록되어 있고, 다른 이름으로 열한(熱漢), 성한(星漢), 성한(聖漢) 등이 있다고 전해진다.

4. 3. 미추왕 동일인물설

성한은 김알지의 7세손이자 《삼국사기》 및 《삼국유사》에 따르면 김씨 중 최초로 왕위에 오른 미추왕과 동일인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18]

4. 4. 기타 학설

이 외에도 성한을 탈해왕으로 보는 견해[19], 박혁거세로 보는 견해 등이 있다.

4. 5. 흉노 김일제 연관설

문무왕릉비에 따르면, 성한은 흉노 출신 김일제와 연관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대당고김씨부인묘명|大唐故金氏夫人墓銘중국어 등을 근거로 "투후(秺侯) 제천지윤(祭天之胤)이 7대를 전하여", "15대조 성한왕(星漢王)은 그 바탕이 하늘에서 내리고"라는 두 구절을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것으로 해석하여 투후 김일제의 7대손을 성한이라 비정하기도 한다.[15]

일부 재야사학자들은 실제로 김일제의 후손들이 중국에서 패망하여 신라로 이주하였다고 주장한다.[20] 그러나 역사학계에서는 성한과 김일제를 관련시킨 기록은 신라 왕족의 관념적인 시조 의식의 소산으로 보고 있다. 전근대에는 가계를 신성시하기 위해 고대의 전설적인 제왕 또는 유명한 위인들을 시조로 간주하는 일이 많았으므로, 김일제 후손설은 사실로 보기 어렵다는 것이다.[21][22]

5. 가족 관계

其先降自聖韓중국어에 따르면, 성한의 선조들은 어디선가 내려왔다고 한다. 성한은 문무왕릉비, 김인문묘비명, 흥덕왕릉비, 진철대사탑비문(眞澈大師塔碑文), 원주 흥법사지 진공대사탑 및 석관(原州 興法寺址 眞空大師塔 및 石棺) 등에 등장하는 인물이다.[15] 문무왕은 신라 김씨 선원세계도나 《삼국사기》, 《삼국유사》 기록에는 그의 15세손이고 문무왕릉비문에도 15세손으로 나타난다. 신라 김씨 선원세계도에는 흥덕왕이 그의 21세손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흥덕왕릉 묘비문에는 성한의 24세손으로 기록되어 있다.


  • 부친 : 김알지
  • 모친 : 마정부인(摩貞夫人), 석강조(昔康造)의 딸
  • 아들 : 김아도(金阿道)
  • 손자 : 김수류(金首留)

참조

[1] 뉴스 '[김성회의 뿌리를 찾아서] <6> 김씨의 기원'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1-04-02
[2] 뉴스 왜 신라 왕족은 흉노의 후손이라 했을까 http://www.dailian.c[...] 데일리안 2009-04-23
[3] 뉴스 문무왕릉비 사실상 다 찾은 셈 https://www.khan.co.[...] 2009-09-03
[4] 서적 21세기에는 바꿔야 할 거짓말 Lie should be changed in the 21st century http://book.daum.net[...] ハンギョレ 2006
[5] 뉴스 흉노왕의 후손 김일제 유적을 찾아서 http://www.donga.com[...] 1999-08
[6] 뉴스 騎馬흉노국가 新羅 연구 趙甲濟(月刊朝鮮 편집장)의 심층취재 내 몸속을 흐르는 흉노의 피 http://monthly.chosu[...] 2004-03
[7] 뉴스 洗濯板として使われてきた新羅文武王陵碑の上部発見 https://japanese.joi[...] 2009-09-04
[8] 뉴스 김운회의 '대쥬신을 찾아서' <23> 금관의 나라, 신라” http://www.pressian.[...] 2005-08-30
[9] 뉴스 경주 사천왕사(寺)사천왕상(四天王像)왜 4개가 아니라 3개일까 http://news.chosun.c[...] 朝鮮日報 2009-02-27
[10] 뉴스 제1회: 2부작 문무왕릉비의 비밀 - 제1편: 신라 김씨왕족은 흉노(匈奴)의 후손인가? http://www.kbs.co.kr[...] 2008-11-22
[11] 뉴스 제2회: 2부작 문무왕비문의 비밀 - 제2편: 왜 흉노(匈奴)의 후예라고 밝혔나? http://www.kbs.co.kr[...] 2008-11-29
[12] 뉴스 채널돋보기 신라 김씨 왕족은 흉노의 후손일까? http://www.imaeil.co[...] 2008-11-21
[13] 웹인용 해주 광조사 진철대사 보월승공탑비(海州 廣照寺 眞澈大師 寶月乘空塔碑) https://portal.nrich[...]
[14] 웹인용 비로사진공대사보법탑비(毘盧寺眞空大師普法塔碑) https://portal.nrich[...]
[15] 뉴스 문무왕릉비 사실상 다 찾은 셈 http://news.khan.co.[...] 경향신문 2009-09-03
[16] 논문 〈新羅文武王陵碑に就きて〉 1933
[17] 논문 〈新羅の世次と其名につきて〉 1925
[18] 논문 〈신라 태조성한의 재검토〉 1983
[19] 문서 《흥덕왕릉비》 https://db.history.g[...]
[20] 서적 한국 7대 불가사의 역사의아침 2007
[21] 논문 〈문무왕릉비에 보이는 신라인의 조상인식 - 태조성한의 첨보 -〉 한국사연구회 1986
[22] 논문 〈신라건국설화의 연구〉 http://www.dibrary.n[...] 대구사학회 197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