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가 유엔의 신탁 통치 하에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소말리아를 통치한 기간을 의미한다. 이탈리아는 1947년 평화 조약에 따라 아프리카 식민지에서 철수해야 했으나, 국제 연합 총회 결의에 따라 소말리아의 독립 준비를 돕는 조건으로 신탁 통치를 맡게 되었다. 이 기간 동안 이탈리아는 소말리아의 정치적 지도자 육성, 교육 시스템 구축, 경제 개발 등을 추진했지만, 이탈리아 관료들의 파시스트적 배경, 경제적 어려움, 소말리아 청년 연맹과의 갈등 등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와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는 독립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 이후 소말리아는 정치적 혼란과 분열을 겪었으며, 이탈리아 신탁통치령의 유산에 대한 다양한 평가가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말리아-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1889년부터 이탈리아의 소말리아 식민 지배 시기로, 19세기 후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가 소말리아 진출을 추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일부로 편입 후 유엔 신탁통치를 거쳐 독립했으나, 현재까지 영토 분쟁이 지속되고 소말리아의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빈곤에 영향을 미쳤다.
  • 소말리아-이탈리아 관계 -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는 1936년 이탈리아가 에티오피아를 점령한 후 에리트레아, 소말릴란드와 합쳐 선포한 식민지였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에 의해 해체되고 1947년 이탈리아가 주권을 포기했다.
  • 신탁통치령 - 남카메룬
    남카메룬은 베르사유 조약에 의해 영국이 통치한 카메룬 지역의 일부로, 1961년 카메룬 공화국에 편입되었으나, 영어 사용 인구는 차별 대우를 주장하며 독립 운동을 전개하고 있다.
  • 신탁통치령 - 영국령 카메룬
    영국령 카메룬은 아프리카 분할 이후 독일령 카메룬의 일부였다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분할 통치했으며, 1961년 국민투표를 통해 북부는 나이지리아에, 남부는 카메룬에 통합되었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이탈리아령 소말리아
    이탈리아령 소말리아는 1889년부터 이탈리아의 소말리아 식민 지배 시기로, 19세기 후반 아프리카 분할 경쟁 속에서 이탈리아가 소말리아 진출을 추진,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 일부로 편입 후 유엔 신탁통치를 거쳐 독립했으나, 현재까지 영토 분쟁이 지속되고 소말리아의 정치적 불안과 경제적 빈곤에 영향을 미쳤다.
  • 소말리아의 역사 - 소말릴란드국
    소말릴란드국은 1960년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하며 세워졌으나, 5일 후 소말릴란드 신탁통치령과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이 되었고, 통합 후 소외되어 현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기원이 되었다.
소말리아 신탁통치령 - [전쟁]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탈리아 국기
이탈리아 국기 (상단), 유엔기 (하단)
신탁통치령 소말리아의 문장
문장
일반 명칭이탈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
공식 명칭이탈리아어: Amministrazione fiduciaria italiana della Somalia
소말리어: Dhulka Soomaaliyeed oo hoos yimaada Maamulka Talyaaniga
아랍어: إقليم صوماليلاند تحت الوصاية للإدارة الإيطالية (Iiqlim sumaliland taht al-wisayat lil'iidarat al'iitalia)
지위국제 연합 신탁 통치령
수도모가디슈
공용어이탈리아어 (공식), 소말리어, 아랍어
종교이슬람교
통화소말로
역사
시대냉전
시작1950년 4월 1일
종료1960년 7월 1일
주요 사건독립
이전 국가영국 군정
계승 국가소말리아 공화국
정치
관리자조반니 포르나리 (1950–1953)
엔리코 마르티노 (1953–1957)
엔리코 안칠로티 (1957–1958)
마리오 디 스테파노 (1958–1960)
총리압둘라히 이사 (1949–1960)
기타
현재 국가소말리아
신탁통치령 소말리아 위치
신탁통치령 소말리아의 위치

2. 역사적 배경

1941년,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는 제2차 세계 대전동아프리카 전역의 일환으로 영국군과 남아프리카 공화국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다. 영국은 1950년 4월 1일까지 이 지역을 계속 통치했다. 그날, 옛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는 1949년 11월 21일 유엔 총회 결의안 289호에 규정된 바에 따라 신탁통치령이 되었다.[3]

1947년에 이탈리아와의 평화 조약이 조인되어, 이탈리아는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모든 식민지에서 철수해야 했다. 하지만 연합국 간에 이 지역의 처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1949년 11월 문제는 국제 연합 총회에 회부되었고, 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국제 연합의 신탁 통치 하에 두는 계획이 채택되었다.

이 계획은 이탈리아가 10년의 기한으로 이 지역 (영국 통치령이 된 에티오피아 지역 제외)을 지배하도록 허용하고, 그 사이에 소말리족의 정치적 지도자 육성 등 독립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1950년 4월 1일을 기해, 이탈리아가 영국 군정으로부터 통치권을 위임받아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가 성립되었다.

독립을 다음 해에 앞둔 1959년,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민족주의 조직 소말리 청년 동맹이 승리하여 같은 소말리족 지역인 영국령 소말릴란드와의 통합을 주장했다.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민족주의자들이 이에 호응하여 소말릴란드 민족 연맹을 결성했다. 양 조직이 각 지역의 최대 세력이 되면서 양 지역의 통합이 사실상 결정되었다. 1960년 6월 26일, 먼저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했다. 이어서 같은 해 7월 1일에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도 독립하여, 양자는 통합되어 소말리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1991년 6월,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가 이끄는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정권의 북부 차별에 반발한 이삭 씨족 중심의 '''소말리 국민 운동'''이, 구 영국령 소말릴란드 지역을 분리하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까지 소말리아는 사실상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 놓여 있다.

2. 1. 이탈리아의 통치 복귀

소말리아 청년 연맹(독립을 추진하는 국내의 주요 세력)은 소말리아가 이탈리아의 통제 하로 다시 넘어가는 것을 강력히 반대했으며, 영국이 이탈리아를 달래기 위해 이 나라를 흥정하고 있다고 비난했다.[4] 이탈리아가 신탁통치령 하에서 자국의 옛 식민지를 관리해 달라고 요구한 것 중에서는 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만이 받아들여졌다.[4] 이는 또한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배한 국가에 신탁통치령이 할당된 유일한 사례였다.[5]

미국 정부를 대신하여 신탁통치를 옹호한 미국 대사 필립 제섭은 소말리아인들이 대체로 목축 생활을 하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이 사람들이 스스로 자치독립을 달성하는 데 가장 좋은 수단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기 어렵다..."라고 주장했다. 유엔의 다양한 탈식민지화를 지지하는 회원국들은 계획된 10년의 신탁통치 기간에 반대하여, 폴란드는 3년으로 단축할 것을 제안했고, 에티오피아는 신탁통치에 완전히 반대하는 투표를 했다.

소말리아를 과거 식민 지배자의 통제 하에 다시 두기로 한 결정은 매우 논란이 많았는데, 소말리아인들은 신탁통치령이 이탈리아의 이익을 위해 설립되었다고 널리 느꼈기 때문이다.[6]

2. 1. 1. 소말리아 청년 연맹의 반응

이탈리아가 소말리아로 돌아오기 전, 소말리아 청년 연맹은 신탁통치 정부에 대한 공통 정책과 통일된 태도를 수립하기 위해 주요 회담을 열었다. 처음에는 무장 저항을 시작하기로 결정했지만, 심각한 심의 끝에 연맹은 소말리아 시민에게 더 온건한 노선이 더 좋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회담이 끝난 후 SYL은 이탈리아 최고 행정관에게 자신들의 입장을 설명하는 문서를 전달했다. 연맹은 행정부에 독립을 위해 계속 활동할 것이며, 새 정부가 SYL의 노력을 저항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조직이 신탁통치 당국이 호응한다면 협력할 의향이 있음을 분명히 했다. 연맹은 아랍어공용어로 지정할 것을 요구했고, 이탈리아어 대신 이탈리아 정부가 파시스트 시대의 관리를 데려오지 말 것을 요청했다.

2. 2. 신탁통치 행정부 구성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탈리아 경제가 대폭 붕괴되면서, 이탈리아는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재정적 자원이 부족했다. 마셜 플랜으로부터 지원을 받고 있었고, 그 결과 부족한 예산으로 신탁통치 행정부를 구성했다.[4]

행정부 운영을 위해 선발된 대부분의 이탈리아 관료는 구 식민부 소속이었으며, 이는 소말리아와 이웃 국가인 에티오피아에서 불만을 일으켰다. 특히, 전 파시스트 총독이었던 코파소(Copasso)를 식민 시대와 동일한 상부 주바(Upper Jubba)의 지위로 재임명한 것은 많은 사람들에게 큰 우려를 낳았다. 신탁통치령은 이탈리아에서 전후 박해를 피해 도망온 파시스트들의 은신처로 널리 여겨졌다.[7][4]

소말리아의 우려를 완화하기 위해, 이집트인, 콜롬비아인, 필리핀인 대표로 구성된 자문위원회가 설립되었으며, 이들은 유엔 신탁통치 이사회에 해당 영토의 상황을 보고하게 되었다. 그러나 많은 소말리아인들은 콜롬비아와 필리핀 대표가 이탈리아의 이익에 동조하거나, 노골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믿었다. 반면 이집트 대표는 신탁통치의 행위에 대해 동료들과 충돌했기 때문에 긍정적으로 평가받았다.

2. 2. 1. 통화

소말리는 소말리아 신탁통치령의 통화였다. 소말리아 통화 유통 기금을 위해 이탈리아 은행에서 주조되었다. 소말리는 1962년에 소말리아 실링으로 대체되었다.

2. 2. 2. 언어

이탈리아어가 신탁통치 기간 동안 주요 공용어로 선택되었으며, 소말리아어 또한 공용어였다. 아랍어도 널리 사용되었다. 소말리아어는 1972년까지 라틴 문자를 채택하지 않고 아랍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되었다.

3. 역사

1947년 이탈리아와의 평화 조약이 조인되어, 이탈리아는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포함한 아프리카의 모든 식민지에서 철수해야 했다. 하지만 연합국 간에 이 지역의 처우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1949년 11월 문제는 국제 연합 총회에 회부되었고, 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국제 연합의 신탁 통치 하에 두는 계획이 채택되었다.[4]

이 계획은 이탈리아가 10년의 기한으로 이 지역 (영국 통치령이 된 에티오피아 지역 제외)을 지배하도록 허용하고, 그 사이에 소말리족의 정치적 지도자 육성 등 독립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1950년 4월 1일을 기해, 이탈리아가 영국 군정으로부터 통치권을 위임받아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가 성립되었다.[4]

1950년 4월 1일, ''소말리아 이탈리아 신탁통치령'' (AFIS)이 통치를 시작했다.[7] 조반니 포르나리의 지휘 하에 AFIS의 설립을 돕기 위해 6,500명의 병력이 소말리아에 상륙했다. 포르나리의 3년 임기는 신탁통치의 가장 어려운 시기를 특징지을 것이다.[4] I.M. 루이스 교수는 소말리아인들에게, 위임 통치 시작 시점에 배치된 대규모 이탈리아 군대의 존재가 "...양도에 군사적 점령의 성격을 부여했다"고 주장했다.

독립을 다음 해에 앞둔 1959년,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민족주의 조직 소말리 청년 동맹이 승리하여 같은 소말리족 지역인 영국령 소말릴란드와의 통합을 주장했다. 영국령 소말릴란드의 민족주의자들이 이에 호응하여 소말릴란드 민족 연맹을 결성했다. 양 조직이 각 지역의 최대 세력이 되면서 양 지역의 통합이 사실상 결정되었다. 1960년 6월 26일, 먼저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했다. 이어서 같은 해 7월 1일에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도 독립하여, 양자는 통합되어 소말리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4]

1991년 6월,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가 이끄는 소말리아 사회주의 혁명당 정권의 북부 차별에 반발한 이삭 씨족 중심의 '''소말리 국민 운동'''이, 구 영국령 소말릴란드 지역을 분리하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현재까지 소말리아는 사실상 남북으로 분단된 상황에 놓여 있다.

3. 1. 포르나리 행정부 (1950–1953)

안젤로 델 보카가 코리에레 델라 세라에 기고한 기사에 따르면, 이탈리아가 AFIS를 통치하기 위해 선택한 관리들은 거의 모두 "식민 파시스트" 배경 출신이었다고 한다. 모가디슈의 기독교 민주당 지역 사무총장인 자코모 보나는 로마에 있는 당 본부에 신탁 통치령이 수립된 후 소말리아에서 파시즘이 크게 부활했다고 경고했다. 소말리아 청년 연맹(SYL)은 공개적으로 신탁 통치 정부를 "파시스트로 가득하다"고 비난했으며, AFIS가 전후 박해를 피해 도망치는 사람들에게 정당성의 외피를 제공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새로 임명된 코파소 총독은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의 전 파시스트 행정관으로, 이탈리아 통치를 10년에서 30년으로 연장하기 위해 소말리아 청년 연맹의 정당성을 훼손하고 불신하려 적극적으로 노력했다.[6] AFIS에 파시스트가 많이 있었기 때문에 정부는 대중적으로 ''Ancora Fascisti Italiani in Somalia'' (소말리아의 아직 이탈리아 파시스트)로 불렸다.[8]

AFIS의 10년간의 통치 전반부는 이탈리아 당국과 소말리아 청년 연맹 간의 적대감과 갈등으로 특징지어질 것이다. 영국 군정 시대에 중요한 지위를 얻었던 수많은 SYL 관계자들이 이탈리아 관리들에 의해 강등되거나, 직위에서 해임되거나, 투옥되었다. 이러한 연맹 소외 시도는 전국적인 시위로 이어졌고, 당시 SYL의 계획에 협력하거나 양보하지 않기로 결정한 정부에 의해 강력하게 진압되었다. 압디라자크 하지 후세인은 1950년 이탈리아 당국에 의해 심하게 구타당하고 체포되었다. AFIS의 강압적이고 군사적인 행동으로 인해 SYL은 널리 이 기구를 점령군으로 간주하게 되었다. 소말리아 청년 연맹 회원인 압둘라히 이사는 소말리아의 이전 식민 통치자의 존재가 민주적이고 평화로운 발전의 주요 장애물 중 하나라고 주장할 것이다.[4]

이미 자금 부족에 시달리던 AFIS 예산은 1951년에 25% 삭감되었다. AFIS의 수장인 조반니 포르나리는 로마에 항의하여 예산 삭감이 AFIS의 기능을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재정적 압박으로 인해 1951년과 1952년 소말리아에 배치된 이탈리아 군 병력 규모가 빠르게 축소되었다.[4] 이탈리아 정치인이자 언론인인 에르네스토 로시에 따르면 신탁 통치 행정부의 파시스트 직원들에게 제공된 급여와 특혜가 지나치게 높았으며, 결과적으로 연간 예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8]

3. 2. 마르티노 행정부로의 전환 (1953)

1953년 초, 조반니 포르나리가 사임하고 엔리코 마르티노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 마르티노는 외무부로부터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지침을 받았다.[4]

# 소말리아 청년 연맹과 AFIS의 협력을 이끌어낼 정책을 수립하여 독립을 준비할 것. 이 조직이 국가에서 가장 인기 있고 소외시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제 SYL이 가장 유력한 미래 정부가 되면서, 이 당과의 심각한 마찰은 독립 이후의 이탈리아-소말리아 관계를 위협할 것이었다.

# 1960년이라는 위임 통치 기한을 존중한다는 것을 알고 통치할 것

# 이탈리아와 소말리아 공동체 간의 긴장을 완화할 것

# 소말리아의 경제 상황을 개선할 것

그 해, 마르티노는 인구 조사를 명령하여 최초의 민주적 선거를 준비하기 시작했다.[4]

1953년 이탈리아 외무부가 의뢰한 보고서는 AFIS가 바나나 수출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경제를 만들어 소말리아에 불안정한 상황을 조성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바나나에서 얻는 막대한 이익은 이탈리아 당국이 다른 작물의 개발을 막을 것이었다.[8]

1954년, 이탈리아 정부는 영토의 수도인 모가디슈에 법학, 경제학, 사회학 고등 교육 기관을 설립했다. 이 기관들은 모든 교육 자료, 교수진 및 행정부를 제공하는 로마 대학교의 위성 기관이었다.

UN이 설치한 자문 위원회는 이탈리아와 이집트 사이의 치열한 경쟁의 장이 되었다. 이집트는 역사적, 문화적, 지리적 관계 때문에 소말리아를 이탈리아보다 자국의 영향권에 더 가깝게 여겼으며, 이는 파루크 국왕에서 1952년 이집트 혁명으로 이어지는 극적인 변화 속에서도 변함없는 입장이었다. 위원회의 이집트 대표인 무하마드 카말 아딘 살라는 AFIS 정책을 날카롭게 비판하여 소말리아인들에게 널리 인기를 얻었다. 1957년, 그는 소말리아 총잡이에 의해 암살되었으며, 이 총잡이는 나중에 이탈리아 당국에 의해 치사 주사로 입막음되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3. 3. 최초의 선거와 데탕트 (1954)

1954년, 이 지역에서 최초의 시 의회 선거가 치러졌다. 소말리아 청년 연맹은 결정적인 승리를 거두며 전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정당임을 입증했다.[4] 선거 결과로 이탈리아 행정부와 SYL은 서로에 대한 태도를 바꾸게 되었다. AFIS는 통치를 위해 SYL의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완전히 인식하게 되었고, SYL은 자사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행정부와 좋은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했다.[4]

AFIS의 이탈리아 외교관인 피렌체 출신의 엔리코 안질로티는 독립을 준비하기 위해 이 시기에 SYL과 당국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안질로티는 이 시기에 많은 성공을 거두었지만, 특히 AFIS의 사무총장 피에로 프랑카를 비롯한 다른 이탈리아 관리들의 지속적인 반대에 직면했다. 소말리아 민족주의 운동이 평화적인 권력 이양을 제안받은 것은 처음이었으며, 안질로티의 새로운 접근 방식은 AFIS를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에 대한 연맹 내에서 치열한 논쟁을 시작하게 했다. 논쟁은 SYL의 "온건파"와 "급진파"를 중심으로 벌어졌다. 온건파는 독립까지 불과 5년밖에 남지 않은 상황에서 SYL이 신탁 통치 행정부와 협력하여 국가의 기반을 다지는 기회를 잡는 것이 더 합리적이라고 믿었다. 이에 반해 급진파는 이 아이디어를 지지하는 사람들을 이탈리아 협력자라고 비난하며 반대했다.[4] 안질로티는 1958년 소말리아를 떠나야 했지만, 그의 노력은 소말리아인들에게 평화롭고 민주적인 권력 이양에 필요한 조건을 만든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그는 1960년 독립 후 ''소말리아 별'' (국가 최고 훈장)을 수여받은 유일한 이탈리아 고위 인사였으며, 모가디슈에는 그의 이름을 딴 ''콰르티에르 안질로티''라는 지역이 생겼다.[4]

"온건파"의 수장이자 미래의 초대 소말리아 대통령인 아덴 압둘레 오스만은 1954년 SYL의 회장으로 선출되었다. 그의 지도력 아래 연맹과 이탈리아인 사이에 데탕트 분위기가 조성되었다. 처음으로 SYL과 행정부 사이에 직접적인 소통 채널이 구축되었다. 이 발전 이후 양측은 더욱 화해적인 태도를 보였다. 1950년대 중반까지 소말리아 청년 연맹과 이탈리아 당국 간의 관계는 상당히 개선되었지만, 그 이후 몇 년 동안 관계는 여전히 긴장된 상태로 유지되었다.[4]

1955년, 위임 통치의 절반이 지났지만 자치와 독립이라는 목표를 향해 의미 있는 진전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4]

3. 4. 의회 선거와 독립 준비 (1949 - 1959)

첫 번째 총선이 1956년에 실시되었고, 소말리아 청년 연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승리 이후, SYL은 정부를 구성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압둘라히 이사는 소말리아의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9] 소말리아 역사 교과서는 1956년을 이탈리아 관리들이 소말리아인들에게 통치를 넘겨주는 데 관심을 갖게 된 결정적인 해로 기록하고 있다. 그해 말까지 위임 통치령의 모든 구와 지방은 소말리아 행정관의 직접적인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다. 정규 교육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말리아 관리들은 특히 구 단위에서 높은 수준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1959년 모가디슈의 정부 청사로, 소말리아 국기, UN 국기, 이탈리아 국기 세 개가 걸려있다

3. 4. 1. 소말리아 정부 구성

1956년, 첫 번째 총선이 실시되었고, 소말리아 청년 연맹이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었다. 승리 이후, SYL은 정부를 구성하라는 요청을 받았다. 압둘라히 이사는 소말리아의 초대 총리로 선출되었다.[9] 소말리아 역사 교과서는 1956년을 이탈리아 관리들이 소말리아인들에게 통치를 넘겨주는 데 관심을 갖게 된 결정적인 해로 기록하고 있다. 그해 말까지 위임 통치령의 모든 구와 지방은 소말리아 행정관의 직접적인 관할 하에 놓이게 되었다. 정규 교육의 부족에도 불구하고, 많은 소말리아 관리들은 특히 구 단위에서 높은 수준의 능력을 보여주었다.

3. 5. 독립과 소말리아 공화국 형성 (1960)

1960년, 소말리아 신탁통치령(구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은 독립했으며, 5일 전에 독립한 잠시 존재했던 소말리아국(구 영국령 소말리아)의 뒤를 이었다. 1960년 6월 26일, 모하메드 하지 이브라힘 에갈이 총리였다.[10] 1960년 7월 1일, 두 영토는 계획대로 정치적 통합하여 소말리아 공화국을 형성했다.[11] 새로운 정부가 구성되었으며, 하지 바시르 이스마일 유수프가 초대 소말리아 국회 의장, 압둘라히 이사가 총리, 아덴 압둘라 오스만 다르가 대통령, 압디라시드 알리 셰르마르케가 총리가 되었다(후에 1967년부터 1969년까지 대통령을 역임).[12]

신탁통치는 구 이탈리아령 소말리아의 주민들에게 다른 아프리카 식민지에 비해 정치 교육과 자치 정부에 대한 더 많은 경험을 쌓을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여겨졌다. 이는 새로운 소말리아 국가에 통합될 영국령 소말리아가 가지지 못했던 장점이었다. 1950년대에 영국 식민지 관리들은 다양한 개발 노력을 통해 과거의 소홀함을 만회하려 했지만, 보호령은 침체되었다. 경제 발전과 정치적 경험에서 두 영토 간의 불균형은 두 부분을 통합할 때 심각한 어려움을 야기할 것이었다.[13]

1949년 11월 국제 연합 총회에 구 이탈리아령 소말릴란드를 국제 연합의 신탁 통치 하에 두는 계획이 채택되었다. 이 계획은 이탈리아가 10년의 기한으로 이 지역을 지배하도록 허용하고, 그 사이에 소말리족의 독립을 위한 준비를 진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1950년 4월 1일을 기해,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가 성립되었다.

독립을 다음 해에 앞둔 1959년, 의회 선거가 실시되어, 민족주의 조직 소말리 청년 동맹이 승리하여 영국령 소말릴란드와의 통합을 주장했다. 1960년 6월 26일, 먼저 영국령 소말릴란드가 독립했다. 이어서 같은 해 7월 1일에 이탈리아 신탁 통치령 소말리아도 독립하여, 양자는 통합되어 소말리아 공화국이 성립되었다.

1991년 6월,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가 이끄는 정권의 북부 차별에 반발한 이삭 씨족 중심의 '''소말리 국민 운동'''이, 구 영국령 소말릴란드 지역을 분리하여 소말릴란드 공화국의 독립을 선언했다.

4. 성과와 실패

4. 1. 교육

이탈리아령 동아프리카의 부왕은 소말리아인이 3학년 이상으로 진학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았고, 영국 군정은 교육 분야에 별다른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 1950년 신탁통치령이 시작될 당시, 전체 영토에서 학교에 다니는 소말리아인은 불과 2,000명이었다.

이탈리아 당국, 소말리아 청년 동맹, 유네스코 간의 협력은 식민지 시대의 선교 학교를 국립 공립 학교로 대체함으로써 교육 분야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다. 1957년까지 30,000명 이상의 소말리아인이 학교에 등록되었다. 이탈리아의 노력은 주로 초등 교육에 집중되었다. 이탈리아이집트 간의 교육 분야 경쟁이 이러한 성장을 크게 도왔다. 1950년부터 이집트는 교사를 파견하고 아랍어 학교 설립을 지원하면서 진지한 노력을 시작했다. 경쟁으로 인해 학교 시스템이 분열되어, 친이탈리아 성향의 가족과 씨족은 주로 공립 학교에 다니고, 소말리아 청년 동맹 지지자들은 아랍어 학교에 다녔다. 아랍어 교육에 대한 대중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이탈리아 당국은 리비아에서 교사를 수입했다.

4. 2. 통치 체제

역사학자 안젤로 델 보카는 이탈리아가 신탁통치령에 부과한 제도가 소말리아의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었고, 결국 이탈리아 시스템과 동일한 관료적 결함을 재현했다고 언급했다.

4. 3. 경제 개발

모하메드 시아드 바레 대통령은 권력을 잡은 직후 이탈리아 언론인들에게 이탈리아가 바나나 외에는 아무것도 개발하지 않았다고 한탄했다.

5. 조직

행정관은 직업 외교관 중에서 선출되었으며, 이탈리아 정부를 대표했다. 그는 이탈리아 대통령의 칙령에 따라 소말리아의 군대 사령관 직무도 겸임했는데, 군단과 경찰 부대로 구성된 아피스 보안 군단과 소말리아 헌병대가 그 대상이었다.

1956년에는 소말리아 육군과 소말리아 경찰군이 창설되면서 개편이 이루어졌고, 이탈리아와 함께 싸웠던 이전의 자프티에도 입대했다.

6. 국가, 국기 및 문장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소말리아의 국가는 이탈리아의 국가와 동일한 "Il Canto degli Italiani"("이탈리아인들의 노래")였다.[14]

1950년 4월 1일부터 1954년 10월 21일까지 신탁통치령은 이탈리아의 국기만을 사용했다. 10월 21일부터 독립 시기인 1960년 7월 1일까지는 이탈리아 국기와 함께 유엔의 국기가 사용되었다. 1960년 7월 1일, 소말리아 독립 기념일에, 이탈리아가 이 지역에 대한 통치를 종료함을 상징하기 위해 모가디슈의 총독 궁전에서 ''Il Canto degli Italiani''의 곡조에 맞춰 이탈리아 국기와 유엔 국기가 내려졌다.

이탈리아의 문장은 1954년 10월 21일까지 단독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이탈리아 문장과 소말리아 문장이 함께 사용되었다. 독립 후, 이탈리아 문장은 공식적인 지위를 잃었다.

7. 유산

7. 1. 소말리아

소말리아 외교관이자 역사가인 이스마일 알리 이스마일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

> "강력하고 안정적이며 능력 위주의 관료주의는 안정적인 정부의 근간이다. 그것은 국가가 정치적 폭풍을 헤쳐나가게 하는 것이며, 정치의 바다가 거칠 때 국가의 배가 침몰하는 것을 막아준다. 이탈리아 자체는 그러한 관료주의가 턱없이 부족했다. 그들의 공무원은 ''"과다한 인원, 낮은 급여, 비효율적이고 반항적인"'' 것으로 묘사되었다. 소말리아인들은 'Ninkaad kabo ka tolanaysid kabihiisaa la' eegaa'(신발 제작자에게 신발 한 켤레를 만들어 달라고 하기 전에 그의 신발을 보아라)라고 말한다. 분명히, 만약 그 시절, 아니 지금이라도 좋은 통치 또는 행정 시스템을 찾고 있었다면, 이탈리아로 가지 않았을 것이다. 이탈리아는 스스로 갖지 못한 것을 소말리아에 물려줄 수 없었다."

7. 2. 이탈리아

인드로 몬타넬리는 이탈리아 식민 통치를 옹호하며, 1990년대 후반에 이탈리아 신탁통치 10년이 소말리아의 "황금기"였다고 썼다.[15] 그는 인구가 거의 두 배로 증가했고, 문맹률이 60% 감소했으며, 농촌 지역의 영양실조가 사라졌고, 경제가 가장 발달한 아프리카 국가들과 같은 수준으로 치솟았으며, 소말리아의 모든 주민들 사이에서 종교적, 사회-정치적 문제에 대한 완전한 통합이 이루어졌다고 주장했다.[16]

에르네스토 로시는 1963년 기사에서 해체된 신탁통치 정부를 비판하며, "AFIS의 간부들은 파시스트 행정부의 핵심을 대표하는 공무원과 직원들로 채워졌다. 민주주의의 더 나쁜 교사를 찾을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썼다.[8]

참조

[1] 웹사이트 (IX). Question of the frontier between the Trust Territory of Somaliland under Italian administration and Ethiopia http://www.worldlii.[...] UN General Assembly 2014-12-24
[2] 웹사이트 Italian Mogadiscio https://dadfeatured.[...] 2018-05-19
[3] 웹사이트 Question of the liquidation of the former Italian colonies - Resolution 289 (IV), UNGA, 21 November 1949 https://it.m.wikisou[...]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2020-10-01
[4] 논문 Back to the Horn: Italian Administration and Somalia's Troubled Independence 1999
[5] 서적 Dovunque mi trovi, parte del mondo. Storia di Augusto, da Montecassino al Protettorato somalo con Vademecum della Somalia Edizioni Efesto 2016
[6] 서적 Somalis as Africa's first democrats: Premier Abdirazak H. Hussein and President Aden A. Osman http://worldcat.org/[...] 2002
[7] 서적 Governance : the scourge and hope of Somalia https://www.worldcat[...] Trafford Pub 2010
[8] 서적 L'Astrolabio 1963 n° 07 http://archive.org/d[...] 1963-06-25
[9] 서적 Buugga taariikhda ee dugsiyada hoose (History textbook for primary schools) https://arcadia.sba.[...] Somali Ministry of Education
[10] 백과사전 The New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ædia Britannica
[11] 서적 Britannica Concise Encyclopedia https://books.google[...] Clarendon Press
[12] 서적 The Illustrated Library of The World and Its Peoples: Africa, North and East Greystone Press
[13] 웹사이트 Trusteeship and Protectorate: The Road to Independence of Somalia http://countrystudie[...]
[14] 문서 Also called "Fratelli d'Italia" ("Brothers of Italy")
[15] 서적 Di pura razza italiana. L'Italia "ariana" di fronte alle leggi razziali Baldini & Castoldi 2013
[16] 문서 La Stanza di Montanelli ("Montanelli’s Room")
[17] 웹인용 (IX). Question of the frontier between the Trust Territory of Somaliland under Italian administration and Ethiopia http://www.worldlii.[...] UN General Assembly 2014-12-24
[18] 웹인용 Italian Mogadiscio https://dadfeatured.[...] 2018-05-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