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속령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속령은 주권 국가에 법적으로 편입되지 않은 영토를 의미하며, 다양한 유형과 특징을 가진다. 영국은 왕실 속령, 해외 영토, 해외 기지, 남극 영유권 주장 등 다양한 형태의 속령을 보유하고 있으며, 뉴질랜드, 노르웨이, 프랑스, 미국 등도 각기 다른 유형의 속령을 가지고 있다. 속령은 자치 정도, 법적 지위, 주권 국가와의 관계 등에 따라 왕실 속령, 자유 연합국, 연방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포함되는 경우가 많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속령 - 보호령
    보호령은 강대국이 조약 등으로 특정 지역이나 국가의 외교권을 제한하고 보호하는 정치 형태로, 보호국은 국제적 지위를 유지하며 외교 정책에 독립성을 누리지만, 강대국의 패권주의적 성향을 반영한다는 비판을 받으며 일제강점기 대한제국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 속령 - 조차지
    조차지는 한 국가가 다른 국가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영토의 일부를 빌려 통치하는 지역으로, 할양과 유사하지만 계약 기간, 통치권 범위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과거 중국에 설정된 사례가 대표적이고 현재는 일부 지역에 남아있다.
속령
지도
기본 정보
유형영토
설명주권 국가가 아닌 지역으로, 외국의 행정, 사법, 군사적 통제를 받는 지역이다.
특징국가의 주권은 없지만, 자치 정부를 가지는 경우가 많다.
자치령과 유사하지만, 자치령보다는 자치권이 제한적인 경우가 많다.
과거 식민지에서 독립하는 과정에서 생겨나거나, 기존 국가에 속해 있던 영토가 특별한 이유로 인해 속령이 되는 경우가 있다.
속령의 형태는 다양하며, 군사 점령 지역, 식민지, 보호령, 위임통치령, 신탁통치령 등으로 나눌 수 있다.
국제법적으로 완전한 국가로 인정받지는 못하지만, 국제 관계에서 일정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다른 명칭종속 영토
속지
부속 영토
해외 영토
식민지
역사
형성 배경과거 식민주의 시대에 제국주의 국가들이 해외 영토를 확보하면서 많이 생겨났다.
전쟁의 결과로 승전국이 패전국의 영토를 점령하면서 속령이 되기도 했다.
자치령이 자치권을 획득하는 과정에서 속령의 지위를 갖기도 한다.
기존 국가에 속해 있던 영토가 특수한 사정으로 인해 속령이 되는 경우도 있다.
국제법적 지위
주권완전한 주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국제기구일부 국제기구에는 제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국제법국제법의 적용을 받지만, 그 적용 범위는 제한적이다.
자치권
정도속령마다 자치권의 정도는 다르다.
유형자치 정부를 가지는 경우
행정, 사법, 입법권을 부분적으로 행사하는 경우
외교, 국방권은 종주국이 행사하는 경우
속령의 예시
현재 (미국)
푸에르토리코 (미국)
버뮤다 (영국)
케이맨 제도 (영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
뉴칼레도니아 (프랑스)
퀴라소 (네덜란드)
아루바 (네덜란드)
페로 제도 (덴마크)
그린란드 (덴마크)
올란드 제도 (핀란드)
홍콩 (중국)
마카오 (중국)
과거필리핀 (미국, 1898–1946)
대한민국 (일본, 1910-1945)
관련 용어
유사 용어식민지
보호령
자치령
위임통치령
신탁통치령
관련 법률국제법
식민지배법
신탁통치법
기타
참고국가
영토
자치

2. 속령 목록

그린란드(덴마크의 자치령, 북아메리카)


이 목록에는 속령으로 간주되지만, 지배 국가에 법적으로 편입되지 않은 모든 영토가 포함되어 있으며, 유엔 비자치영토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여러 영토도 포함되어 있다.[3] 남극 대륙의 모든 영유권 주장은 ''이탤릭체''로 표시되어 있다.

이름인구 (2016)[37]면적 (km2)[38]면적 (mi2)[38]유엔 지역유엔 하위 지역주권 국가법적 지위[39]
15,70025498아시아서아시아해외 영토
(주권 기지 지역)
29,0131,580610유럽북유럽자치 지역
54,19419977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무편입 무조직 영토
15,1009135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영토
113,648178.9169.08아메리카카리브해구성국
70,53753.220.5아메리카북아메리카해외 영토
34,23215359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영토
57,268264101.9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영토
2,20513552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해외 영토
596145.4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해외 영토
18,10024093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자유연합
158,986444171아메리카카리브해구성국
2,93112,1734,700아메리카남아메리카해외 영토
49,1884,167540유럽북유럽자치령
285,7351,3991,609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해외 집합체
(해외국)
29,3286.52.5유럽남유럽해외 영토
56,4832,166,086836,330아메리카북아메리카자치령
162,742544210오세아니아미크로네시아무편입 조직 영토
63,0266525유럽북유럽크라운 의존지
7,374,0002,7551,064아시아동아시아특별행정구
88,195572221유럽북유럽크라운 의존지
98,069118.245.6유럽북유럽크라운 의존지
650,900115.344.5아시아동아시아특별행정구
5,26710139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영토
275,35518,5767,172오세아니아멜라네시아Sui generis 집합체
1,190261.46100.95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자유연합
2,21034.613.4오세아니아오스트레일리아와 뉴질랜드해외 영토
53,467464179오세아니아미크로네시아무편입 조직 영토
(연방)
574317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해외 영토
3,411,3079,1043,515아메리카카리브해무편입 조직 영토
(연방)
7,209259.7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집합체
5,633394152아프리카서아프리카해외 영토
31,94953.220.5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집합체
5,59524293아메리카북아메리카해외 집합체
41,4863714아메리카카리브해구성국
2,66761,02223,561유럽북유럽무편입 지역
1,499103.9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종속 영토
51,430430166아메리카카리브해해외 영토
102,951346.36133.73아메리카카리브해무편입 조직 영토
15,66414255오세아니아폴리네시아해외 집합체


2. 1. 뉴질랜드

뉴질랜드는 두 개의 자치 연합국(쿡 제도, 니우에), 하나의 종속 영토(토켈라우), 그리고 남극에 대한 영유권(로스 속령)을 가지고 있다.[4]

연합국행정ISO 3166 국가 코드
|| 1965년부터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 관계에 있는 자치국가. 쿡 제도의 지위는 국제법적으로 독립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며, 내정과 외교에 대한 완전한 주권을 행사한다.[5] 그러나 자유 연합 협정에 따라 뉴질랜드는 쿡 제도의 외교 및 방위에 대한 일부 책임을 유지한다. 이러한 책임은 통제권을 부여하지 않으며 쿡 제도 정부의 요청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뉴질랜드 정부는 쿡 제도인의 뉴질랜드 시민권 사용 지속으로 인해 쿡 제도가 유엔에 별도의 자리를 갖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6] || CK
1974년부터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 관계에 있는 자치국가. 니우에의 지위는 국제법적으로 독립과 동등한 것으로 간주되며, 내정과 외교에 대한 완전한 주권을 행사한다.[5] 그러나 자유 연합 협정에 따라 뉴질랜드는 니우에의 외교 및 방위에 대한 일부 책임을 유지한다. 이러한 책임은 통제권을 부여하지 않으며 니우에 정부의 요청에 따라서만 행사된다. 뉴질랜드 정부는 니우에인의 뉴질랜드 시민권 사용 지속으로 인해 니우에가 유엔에 별도의 자리를 갖는 것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6]NU
종속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뉴질랜드의 영토. 자치에 대한 유엔 후원의 국민투표는 2006년 2월에 현행 정치 지위를 변경하는 데 필요한 3분의 2의 과반수를 얻지 못했다. 또 다른 투표는 2007년 10월에 실시되었으나 3분의 2의 과반수에 도달하지 못했다.[7] 유엔 비자치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TK
종속 영토
(무인,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이것은 뉴질랜드의 남극 영유권 주장이다. 토켈라우와 연합국(쿡 제도와 니우에)과는 달리, 로스 종속령은 뉴질랜드 정부에 따르면 헌법적으로 뉴질랜드의 일부이다.[8]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2. 1. 1. 쿡 제도



뉴질랜드의 속령이다.

2. 1. 2. 니우에



니우에는 뉴질랜드와 자유 연합 관계에 있는 태평양의 섬나라이다. 뉴질랜드는 니우에의 국방과 외교를 책임지지만, 니우에 주민들은 뉴질랜드 시민권을 가지며, 자치 정부를 운영한다.

니우에는 독자적인 외교 관계를 맺을 권한이 없지만, 뉴질랜드와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니우에는 뉴질랜드 달러를 공식 화폐로 사용하며, 뉴질랜드의 경제적 지원을 받고 있다.

니우에의 정치 체제는 뉴질랜드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만, 니우에만의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반영하여 발전해왔다. 니우에는 민주주의 제도를 채택하고 있으며, 주민들의 자유와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2. 1. 3. 토켈라우



토켈라우는 뉴질랜드의 속령이다. 2006년과 2007년에 뉴질랜드로부터의 독립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가 실시되었으나, 모두 부결되었다.

2. 1. 4. 로스 속령



로스 속령은 뉴질랜드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다.

2. 2. 노르웨이

(무인)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부베 섬오슬로의 법무경찰부 극지 담당부서에서 관리BV속령
(무인, 영유권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페테르 1세섬남극 조약 체제에 따라 오슬로의 법무경찰부 극지 담당부서에서 관리.고유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드론닝모드 란/Dronning Maud Landno



드론닝모드 란/Dronning Maud Landno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극의 지역이다. 면적은 약 27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한다. 1939년 1월 14일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선언했으며, 1957년 5월 2일 공식적으로 노르웨이의 속령으로 지정되었다.

2. 2. 1. 부베 섬

부베 섬은 노르웨이가 관리한다.

2. 2. 2. 페테르 1세 섬

페테르 1세섬

2. 2. 3. 퀸모드랜드

드론닝모드 란/Dronning Maud Landno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극의 지역이다. 면적은 약 270만 제곱킬로미터에 달한다. 1939년 1월 14일 노르웨이가 영유권을 선언했으며, 1957년 5월 2일 공식적으로 노르웨이의 속령으로 지정되었다.

2. 3. 영국

영국은 세 개의 "왕립령", 열세 개의 "해외 영토"(자치권을 가진 10곳, 주로 군사 기지로 사용되는 2곳, 무인도 1곳), 그리고 남극 대륙 영유권 주장 1곳을 가지고 있다.

왕립령행정ISO 3166 국가 코드
국방, 국제 대표 및 선정된 정부에 대한 책임은 영국에 있다.[9][10][11]GG
IM
{{flag|저지]] || JE



앵귈라, 버뮤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포클랜드 제도, 지브롤터, 몬트세랫, 핏케언 제도, 세인트헬레나, 어센션섬 및 트리스탄다쿠냐,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영국령 인도양 지역,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등은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디에고가르시아섬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에 속해 있으며,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사우스오크니 제도 또한 영국의 속령으로 간주된다. 이들 지역은 영국의 주권 하에 있지만, 자체적인 자치 정부를 가지고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포클랜드 제도는 아르헨티나와 영토 분쟁 중이며, 대한민국은 이 분쟁에서 영국의 입장을 지지한다.

해외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앵귈라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AI
버뮤다 의회가 내정을 담당하며, 영국은 이 지역을 자치 지역으로 규정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BM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VG
케이맨 제도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거의 완전한 내부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KY
포클랜드 제도 입법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FK
지브롤터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거의 완전한 내부 자치권을 가지고 있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GI
몬트세랫 입법평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MS
피트케언 제도 섬 의회가 일부 내정을 담당하지만, 결정은 피트케언 제도 총독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영국 외교·연방·개발청에 보고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PN
세인트헬레나 입법평의회, 어센션 섬 의회 및 트리스탄다쿠냐 섬 의회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SH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의회가 일부 내정을 담당한다. 유엔 비자치 영토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TC
해외 영토
(주권 기지 지역)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영국령 키프로스 주둔군 사령관이 단일 영국 해외 영토로 관리하며, 영국 국방부에 보고한다. 영국군 병력과 그 가족뿐만 아니라 키프로스인 주민도 상주하고 있다.고유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해외 영토
(무인도)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영국령 인도양 지역 총독이 관리하며, 영국 외교·연방·개발청에 보고한다. 차고시안 원주민은 1967년부터 1973년 사이에 이주당했다. 현재 이 지역은 주로 디에고 가르시아 환초에 있는 영국-미국 합동 해군 기지에 있는 군사 요원에게만 제한된다.IO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총독(포클랜드 제도 총독을 겸임)이 관리하며, 영국 외교·연방·개발청에 보고한다.GS
해외 영토
(무인도, 영유권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영국령 남극 지역 총독이 관리하며, 영국 외교·연방·개발청에 보고한다. 영국의 남극 영토 주장.고유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영국은 1908년에 그레이엄랜드,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사우스오크니 제도,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를 포함하는 남극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962년에는 이 지역을 별도의 속령인 영국령 남극 지역으로 지정했다.

1961년에 발효된 남극 조약은 조약 당사국들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지도 부인하지도 않지만, 영국아르헨티나칠레의 영유권 주장과 중첩되는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2. 3. 1. 왕실령



2. 3. 2. 해외 영토

앵귈라, 버뮤다, 영국령 버진아일랜드, 케이맨 제도, 포클랜드 제도, 지브롤터, 몬트세랫, 핏케언 제도, 세인트헬레나, 어센션섬 및 트리스탄다쿠냐, 터크스 케이커스 제도, 영국령 인도양 지역,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등은 영국의 해외 영토이다. 디에고가르시아섬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에 속해 있으며, 사우스셰틀랜드 제도사우스오크니 제도 또한 영국의 속령으로 간주된다. 이들 지역은 영국의 주권 하에 있지만, 자체적인 자치 정부를 가지고 운영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포클랜드 제도는 아르헨티나와 영토 분쟁 중이며, 대한민국은 이 분쟁에서 영국의 입장을 지지한다.

2. 3. 3. 해외 기지




2. 3. 4. 영국령 남극 지역

영국은 1908년에 그레이엄랜드, 사우스셰틀랜드 제도, 사우스오크니 제도, 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를 포함하는 남극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했다. 1962년에는 이 지역을 별도의 속령인 영국령 남극 지역으로 지정했다.

1961년에 발효된 남극 조약은 조약 당사국들의 영유권 주장을 인정하지도 부인하지도 않지만, 영국아르헨티나칠레의 영유권 주장과 중첩되는 이 지역에 대한 영유권을 계속 주장하고 있다.

2. 4. 미국



미국은 자국 행정 하에 13개의 비합병 속령을 두고 있으며, 자국 통제권 밖에 2개의 영유권을 주장하는 지역이 있다.[12] 무인도인 팔미라 환초는 이러한 속령들과 유사하게 관리되며, 일반적으로 미국의 해외 영토 목록에 포함되지만, 미국 법률상 합병 영토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목록에서 제외된다.[13] 미국 헌법은 섬 지역에 완전히 적용되지 않는다.[14]

비합병 편입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미국의 비합병 편입 영토; 내무부의 섬 지역 담당청을 통해 정책 관계가 수행된다. 유엔의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GU 또는 US-GU
북마리아나 제도자치령 지위를 가진 미국의 비합병 편입 영토; 연방 자금은 내무부의 섬 지역 담당청에서 관리한다.MP 또는 US-MP
푸에르토리코자치령 지위를 가진 미국의 비합병 편입 영토; 정책 관계는 대통령 집무실을 통해 수행된다.PR 또는 US-PR
미국령 버진아일랜드미국의 비합병 편입 영토. 내무부의 섬 지역 담당청을 통해 정책 관계가 수행된다. 유엔의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VI 또는 US-VI
비합병 비편입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아메리칸사모아내무부의 섬 지역 담당청에서 관리하는 미국의 비합병 비편입 영토. 유엔의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되어 있다.AS 또는 US-AS
비합병 비편입 영토
(무인도)
행정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베이커섬내무부의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청이 관리하는 미국의 비합병 비편입 영토UM-81
하울랜드섬UM-84
자비스섬UM-86
존스턴 환초UM-67
킹맨 암초UM-89
미드웨이 환초UM-71
나바사섬내무부의 어류 및 야생동물 관리청이 푸에르토리코 카보로호의 카보로호 국립 야생동물 보호구역에서 관리하는 미국의 비합병 비편입 영토UM-76
{{llang내무부와의 협정에 따라 미국 공군이 관리하는 미국의 비합병 비편입 영토UM-79
비합병 비편입 영토
(무인도, 영유권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바호 누에보 뱅크콜롬비아가 관리한다. 미국(’구아노 제도법’에 따라)과 자메이카가 영유권을 주장한다. 니카라과의 주장은 2012년 국제사법재판소에 의해 콜롬비아에 유리하게 결정되었다(미국은 당사국이 아니며 재판소의 관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세라닐라 뱅크콜롬비아가 관리한다. 해군 주둔지가 있다. 미국(1879년 ’구아노 제도법’에 따라), 온두라스 및 자메이카가 영유권을 주장한다. 니카라과의 주장은 2012년 국제사법재판소에 의해 콜롬비아에 유리하게 결정되었다(미국은 당사국이 아니며 재판소의 관할권을 인정하지 않는다).


2. 4. 1. 편입 영토



분류:미국의 영토

분류:미국의 속령

분류:미국의 해외 영토

2. 4. 2. 비편입 영토

2. 4. 3. 영유권 주장 지역

미국은 바호누에보 뱅크와 세라닐라 뱅크에 대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 지역들은 콜롬비아, 자메이카, 온두라스 등 다른 국가들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분쟁 지역이다.

3. 유사 속령

오스트레일리아는 6개의 외곽 영토를 관할하고 있으며 남극 대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구성 주들이 연방을 형성할 당시(산호해 제도는 퀸즐랜드주의 일부였던 것을 제외하고) 외곽 영토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외곽 영토가 오스트레일리아의 불가분의 일부인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남아 있다.[15] 노퍽 섬은 1979년부터 2016년까지 자치령이었다.[16] 외곽 영토는 통계 목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와 별도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외곽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크리스마스섬캔버라의 인프라, 교통, 지역 개발, 통신 및 예술부에서 관리[17]CX
코코스 제도(키링 제도)CC
노퍽 섬NF
외곽 영토
(무인도)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애쉬모어 및 카르티에 제도캔버라의 인프라, 교통, 지역 개발, 통신 및 예술부에서 관리[17]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산호해 제도
허드 섬
및 맥도널드 제도
농업, 수자원 및 환경부에서 관리[17]HM
외곽 영토
(무인도, 영유권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캔버라의 농업, 수자원 및 환경부에서 관리[17]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중국의 특별행정구

중화인민공화국에는 헌법과 각각의 기본법에 따라 통치되는 두 개의 특별행정구(SAR)가 있다. SAR은 행정, 경제, 입법 및 사법(통화, 좌측 통행 대 우측 통행, 공용어 및 이민 통제 포함) 측면에서 중국 본토와 크게 다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중화민국이 통치)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사실상 지배권을 행사하지 않으므로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별행정구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전 영국 식민지. 중영 공동선언(유엔에 등록된 국제 조약)에 따라 1997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홍콩 기본법은 중국 중앙 정부 하의 "일국양제" 모델에 따라 영토가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중국 본토의 일부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체 불가분의 영토로 간주된다.[18][19][20]HK 또는 CN-HK
전 포르투갈 식민지. 중포 공동선언(유엔에 등록된 국제 조약)에 따라 199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마카오 기본법은 중국 중앙 정부 하의 "일국양제" 모델에 따라 영토가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중국 본토의 일부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체 불가분의 영토로 간주된다.MO 또는 CN-MO



덴마크 왕국은 자치 정부와 입법부를 가지고 있으며, 외교 문제에도 의견을 개진하는 두 개의 자치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21]

자치령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페로 제도1948년부터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21] 덴마크 왕국의 구성국이지만, 유럽 연합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수도권 덴마크의 일부는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덴마크 왕국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간주됩니다.FO
그린란드1979년부터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21] 덴마크 왕국의 구성국이지만, 1985년 유럽 경제 공동체에서 탈퇴했습니다. 수도권 덴마크의 일부는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덴마크 왕국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간주됩니다.GL



핀란드에는 국제 조약의 적용을 받는 하나의 자치 지역이 있다.

자치 지역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올란드는 올란드 자치법 및 국제 조약에 따라 통치된다. 이 법률들은 핀란드에 대한 최종 주권과 비무장화 지위를 보장하면서 섬들의 자치권을 보장한다.AX 또는 FI-01



프랑스는 6개의 자치 해외 공동체와 2개의 무인 영토(그중 하나는 남극 영유권을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프랑스령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마요트, 레위니옹과 같은 "표준" 해외 지역(해외 도서 지역이기도 함)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 지역들도 해외에 위치하지만, 프랑스 본토 지역과 동일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모든 해외 영토는 프랑스 공화국의 불가분의 일부로 간주된다.

해외 공동체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 2004년부터 해외 국가.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PF 또는
생바르텔레미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해외 공동체가 됨BL 또는
생마르탱 깃발
생마르탱
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해외 공동체가 됨. 유럽 연합에 완전히 속한 유일한 해외 공동체임.MF 또는
생피에르 미클롱 깃발
생피에르 미클롱
1985년부터 영토 공동체. 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PM 또는
왈리스 푸투나 깃발
왈리스 푸투나
1961년부터 해외 영토. 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WF 또는
특수 공동체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누벨칼레도니1998년부터 "특수" 공동체[22][23].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NC 또는
해외 국가 사유지
(무인)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클리퍼턴섬프랑스 정부의 직접적인 권한 하에 프랑스 해외 담당 장관에 의해 관리됨[24]FR-CP
해외 영토
(무인)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프랑스령 남방·남극 지역Terres australes et antartiques françaises프랑스어 (TAAF)는 1955년부터 해외 영토이며, 파리의 최고 행정관에 의해 관리됨. 이 영토에는 아델리랜드[25]의 남극 영유권과 인도양의 여러 섬, 크로제 제도, 케르귈렌 제도, 생폴 아망드 제도, 산재된 섬 등이 포함됨TF 또는



네덜란드 왕국은 카리브해에 있는 세 개의 자치 "구성국"(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과 유럽에 대부분의 영토가 있지만 세 개의 카리브해 해외 시정구(보네르섬, 신트외스타티위스섬, 사바섬)를 포함하는 네덜란드라는 하나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개의 카리브해 시정구는 네덜란드 정부가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외된다.[27] 네덜란드 왕국의 모든 시민은 동일한 국적을 공유하며 따라서 유럽 연합 시민이지만, 왕국의 유럽 지역만이 연합의 영토, 관세 동맹 및 유로존의 일부이며 다른 지역은 해외 국가 및 영토 지위를 갖는다.

구성국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아루바《네덜란드 왕국 헌장》(네덜란드 왕국 법령)에 따라 왕국 내 "국가"("land")로 정의된 아루바는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로부터 분리될 때 내정에 대한 완전한 자치권을 얻었다. 유럽에 있지 않지만 왕국에 속하는 아루바의 시민권은 유럽 연합 시민의 지위를 포함한다(왕국 정부는 네덜란드 정부와 거의 일치하며 국방, 외교 및 국적법을 담당한다).AW 또는
퀴라소《네덜란드 왕국 헌장》(네덜란드 왕국 법령)에 따라 왕국 내 "국가"("land")로 정의된 퀴라소와 신트마르텐은 2010년 10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될 때까지 그 일부였다. 유럽에 있지 않지만 왕국에 속하는 이들의 시민권은 유럽 연합 시민의 지위를 포함한다(왕국 정부는 네덜란드 정부와 거의 일치하며 국방, 외교 및 국적법을 담당한다).CW 또는
신트마르턴SX 또는



노르웨이는 북극에 위치하며, 노르웨이의 주권에 제한이 있는 유일한 유인 군도인 스발바르 제도를 속령으로 두고 있다.[28][29] 부베섬과 같은 다른 속령이나 남극 영유권 주장과는 달리,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 왕국의 일부이다.[30]

이 북극 군도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상주 민간 정착지이다. 스발바르 제도는 어떤 주에도 통합되지 않고 노르웨이 정부가 임명한 총독이 관리한다. 2002년 이후, 주요 정착지인 롱이어뷔엔은 지방 정부를 선출했다. 다른 정착지로는 러시아 광산 지역 사회인 바렌츠부르크, 연구 기지인 뉘올레순, 광산 전초 기지인 스베아그루바가 있다.

1920년의 스발바르 조약은 노르웨이의 주권(1925년부터 노르웨이 왕국의 주권적인 일부로 관리됨)을 인정하지만, 스발바르 제도를 자유무역지대[28]이자 비무장지대로 규정했다.

3. 1.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는 6개의 외곽 영토를 관할하고 있으며 남극 대륙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1901년 오스트레일리아의 구성 주들이 연방을 형성할 당시(산호해 제도는 퀸즐랜드주의 일부였던 것을 제외하고) 외곽 영토가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가 아니었기 때문에, 외곽 영토가 오스트레일리아의 불가분의 일부인지에 대한 논쟁이 여전히 남아 있다.[15] 노퍽 섬은 1979년부터 2016년까지 자치령이었다.[16] 외곽 영토는 통계 목적으로 오스트레일리아 본토와 별도로 분류되는 경우가 많다.

외곽 영토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크리스마스섬캔버라의 인프라, 교통, 지역 개발, 통신 및 예술부에서 관리[17]CX
코코스 제도(키링 제도)CC
노퍽 섬NF
외곽 영토
(무인도)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애쉬모어 및 카르티에 제도캔버라의 인프라, 교통, 지역 개발, 통신 및 예술부에서 관리[17]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산호해 제도
허드 섬
및 맥도널드 제도
농업, 수자원 및 환경부에서 관리[17]HM
외곽 영토
(무인도, 영유권 주장)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캔버라의 농업, 수자원 및 환경부에서 관리[17]고유한 ISO 3166 국가 코드 없음


3. 1. 1. 크리스마스 섬

오스트레일리아의 속령이다.

3. 1. 2. 코코스 제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속령이다. 코코스 제도는 인도양에 위치한 오스트레일리아의 외부 영토이다.

3. 1. 3. 노퍽 섬

3. 1. 4.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속령 중 하나인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오스트레일리아 연방 정부가 직접 관리하며, 별도의 자치 정부는 존재하지 않는다.

3. 1. 5. 산호해 제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속령 중 하나이다.

3. 1. 6. 허드 맥도널드 제도

오스트레일리아의 속령에는 노퍽섬,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산호해 제도, 코코스 제도, 크리스마스섬, 허드 맥도널드 제도가 있다.

3. 1. 7.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

오스트레일리아령 남극 지역은 오스트레일리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남극 지역이다.

3. 2. 중국

중국의 특별행정구

중화인민공화국에는 헌법과 각각의 기본법에 따라 통치되는 두 개의 특별행정구(SAR)가 있다. SAR은 행정, 경제, 입법 및 사법(통화, 좌측 통행 대 우측 통행, 공용어 및 이민 통제 포함) 측면에서 중국 본토와 크게 다르다. 중화인민공화국은 타이완( 중화민국이 통치)에 대한 주권을 주장하지만, 중화인민공화국 정부가 사실상 지배권을 행사하지 않으므로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특별행정구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전 영국 식민지. 중영 공동선언(유엔에 등록된 국제 조약)에 따라 1997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홍콩 기본법은 중국 중앙 정부 하의 "일국양제" 모델에 따라 영토가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중국 본토의 일부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체 불가분의 영토로 간주된다.[18][19][20]HK 또는 CN-HK
전 포르투갈 식민지. 중포 공동선언(유엔에 등록된 국제 조약)에 따라 1999년부터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마카오 기본법은 중국 중앙 정부 하의 "일국양제" 모델에 따라 영토가 높은 수준의 자치를 누리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 지역은 중국 본토의 일부가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중화인민공화국의 일체 불가분의 영토로 간주된다.MO 또는 CN-MO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1997년 영국으로부터 주권이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법적 지위는 홍콩 기본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중국 중앙 정부는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홍콩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정치적 간섭이 강화되면서 홍콩의 민주주의와 자치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이후 중국 정부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홍콩 내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마카오는 포르투갈로부터 반환된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로서,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3. 2. 1. 홍콩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이다. 1997년 영국으로부터 주권이 반환된 후,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이러한 법적 지위는 홍콩 기본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중국 중앙 정부는 국방과 외교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홍콩의 자율성을 보장해야 한다. 그러나 최근 중국의 정치적 간섭이 강화되면서 홍콩의 민주주의와 자치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이후 중국 정부는 홍콩 국가보안법을 제정하여 홍콩 내 반체제 인사를 탄압하고 있으며, 이는 국제 사회의 비판을 받고 있다.

3. 2. 2. 마카오

마카오는 포르투갈로부터 반환된 이후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행정구로서, 일국양제 원칙에 따라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3. 3. 덴마크

덴마크 왕국은 자치 정부와 입법부를 가지고 있으며, 외교 문제에도 의견을 개진하는 두 개의 자치령을 포함하고 있습니다.[21]

자치령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페로 제도1948년부터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21] 덴마크 왕국의 구성국이지만, 유럽 연합에는 속하지 않습니다. 수도권 덴마크의 일부는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덴마크 왕국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간주됩니다.FO
그린란드1979년부터 자치권을 행사하고 있습니다.[21] 덴마크 왕국의 구성국이지만, 1985년 유럽 경제 공동체에서 탈퇴했습니다. 수도권 덴마크의 일부는 아니지만, 공식적으로 덴마크 왕국의 일체적인 부분으로 간주됩니다.GL


3. 3. 1. 페로 제도



페로 제도는 1948년부터 덴마크 왕국의 자치령으로, 외교를 제외한 모든 분야에서 자치권을 행사한다. 덴마크와 페로 제도는 유럽 연합에 가입하지 않았다.

3. 3. 2. 그린란드



3. 4. 핀란드

핀란드에는 국제 조약의 적용을 받는 하나의 자치 지역이 있다.

자치 지역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올란드는 올란드 자치법 및 국제 조약에 따라 통치된다. 이 법률들은 핀란드에 대한 최종 주권과 비무장화 지위를 보장하면서 섬들의 자치권을 보장한다.AX 또는 FI-01


3. 4. 1. 올란드 제도

올란드 제도에 대한 내용은 현재 주어진 자료(`source`)가 없습니다. 따라서 요약(`summary`)에 제시된 정보만을 바탕으로 내용을 구성해야 합니다.

올란드 제도는 핀란드의 자치령으로, 국제 조약에 의해 그 지위가 보장된다. 핀란드의 일부이지만, 고도의 자치권을 누리고 있다.

3. 5. 프랑스

프랑스는 6개의 자치 해외 공동체와 2개의 무인 영토(그중 하나는 남극 영유권을 포함)를 보유하고 있다. 여기에는 프랑스령 기아나, 과들루프, 마르티니크, 마요트, 레위니옹과 같은 "표준" 해외 지역(해외 도서 지역이기도 함)은 포함되지 않는다. 이 지역들도 해외에 위치하지만, 프랑스 본토 지역과 동일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의 모든 해외 영토는 프랑스 공화국의 불가분의 일부로 간주된다.

해외 공동체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 2004년부터 해외 국가.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PF 또는
생바르텔레미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해외 공동체가 됨BL 또는
생마르탱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해외 공동체가 됨. 유럽 연합에 완전히 속한 유일한 해외 공동체임.MF 또는
생피에르 미클롱1985년부터 영토 공동체. 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PM 또는
왈리스 푸투나1961년부터 해외 영토. 2003년부터 해외 공동체WF 또는
특수 공동체행정ISO 3166 국가 코드
누벨칼레도니1998년부터 "특수" 공동체[22][23].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에 등재NC 또는
해외 국가 사유지
(무인)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클리퍼턴섬프랑스 정부의 직접적인 권한 하에 프랑스 해외 담당 장관에 의해 관리됨[24]FR-CP
해외 영토
(무인)
행정ISO 3166 국가 코드
프랑스령 남방·남극 지역Terres australes et antartiques françaises프랑스어 (TAAF)는 1955년부터 해외 영토이며, 파리의 최고 행정관에 의해 관리됨. 이 영토에는 아델리랜드[25]의 남극 영유권과 인도양의 여러 섬, 크로제 제도, 케르귈렌 제도, 생폴 아망드 제도, 산재된 섬 등이 포함됨TF 또는


3. 5. 1. 해외 공동체

프랑스의 해외 공동체는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생바르텔레미, 생마르탱, 생피에르 미클롱, 왈리스 푸투나가 있다. 이들은 프랑스 공화국의 일부를 구성하며, 각기 다른 법적 지위를 가진다.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깃발
프랑스령 폴리네시아는 광범위한 자치권을 가진 해외 공동체이다.

생바르텔레미생마르탱은 2007년 과들루프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해외 공동체이다.

생피에르 미클롱은 북아메리카에 위치한 해외 공동체이다.

왈리스 푸투나는 남태평양에 위치한 해외 공동체로, 세 개의 왕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3. 5. 2. 특수 공동체

25x25픽셀
과들루프


25x25픽셀
누벨칼레도니 (뉴칼레도니아)


생마르탱


생바르텔레미


생피에르 미클롱


왈리스 푸투나


코르시카


클리퍼턴섬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스령 기아나


마르티니크


25x25픽셀
마요트


25x25픽셀
레위니옹


타히티


아델리랜드


생폴섬


암스테르담섬

3. 5. 3. 해외 국가 사유지

클리퍼턴섬은 프랑스 정부의 직접적인 권한 하에 있는 해외 국가 사유지이다.

3. 5. 4.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은 프랑스의 해외 속령이다. 이 지역은 1955년 8월 6일에 제정된 법률에 의해 특별한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 법률은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이 프랑스 공화국의 일부임을 명시하고 있다.

프랑스는 남극 조약에도 불구하고 아델리랜드에 대한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령 남부와 남극 지역의 기


3. 6. 네덜란드



네덜란드 왕국은 카리브해에 있는 세 개의 자치 "구성국"(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과 유럽에 대부분의 영토가 있지만 세 개의 카리브해 해외 시정구(보네르섬, 신트외스타티위스섬, 사바섬)를 포함하는 네덜란드라는 하나의 구성국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세 개의 카리브해 시정구는 네덜란드 정부가 직접 관리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외된다.[27] 네덜란드 왕국의 모든 시민은 동일한 국적을 공유하며 따라서 유럽 연합 시민이지만, 왕국의 유럽 지역만이 연합의 영토, 관세 동맹 및 유로존의 일부이며 다른 지역은 해외 국가 및 영토 지위를 갖는다.

구성국행정ISO 3166 국가 코드
아루바《네덜란드 왕국 헌장》(네덜란드 왕국 법령)에 따라 왕국 내 "국가"("land")로 정의된 아루바는 1986년 네덜란드령 안틸레스로부터 분리될 때 내정에 대한 완전한 자치권을 얻었다. 유럽에 있지 않지만 왕국에 속하는 아루바의 시민권은 유럽 연합 시민의 지위를 포함한다(왕국 정부는 네덜란드 정부와 거의 일치하며 국방, 외교 및 국적법을 담당한다).AW 또는
퀴라소《네덜란드 왕국 헌장》(네덜란드 왕국 법령)에 따라 왕국 내 "국가"("land")로 정의된 퀴라소와 신트마르텐은 2010년 10월 네덜란드령 안틸레스가 해체될 때까지 그 일부였다. 유럽에 있지 않지만 왕국에 속하는 이들의 시민권은 유럽 연합 시민의 지위를 포함한다(왕국 정부는 네덜란드 정부와 거의 일치하며 국방, 외교 및 국적법을 담당한다).CW 또는
신트마르턴SX 또는


3. 6. 1. 아루바

3. 6. 2. 퀴라소

는 카리브해에 위치한 네덜란드 왕국의 구성국이다. 퀴라소는 네덜란드 왕국 내에서 자치권을 가지지만, 국방과 외교는 네덜란드가 담당한다. 퀴라소는 유럽 연합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유럽 연합과 특별한 관계를 맺고 있다.

3. 6. 3. 신트마르턴

신트마르턴은 네덜란드 왕국의 4개 구성국 중 하나이다. 네덜란드 왕국 헌장에 따라 네덜란드 본토와 동등한 지위를 가지며, 자치 정부를 운영한다. 하지만 국방과 외교는 네덜란드 왕국 정부가 담당한다.

신트마르턴은 유럽 연합(EU)의 회원국은 아니지만, 특별 지역으로 분류된다. 신트마르턴 주민들은 네덜란드 왕국의 국민으로서 유럽 연합 시민권을 가지며, 유럽 의회 선거권도 갖는다.

3. 7. 노르웨이



노르웨이는 북극에 위치하며, 노르웨이의 주권에 제한이 있는 유일한 유인 군도인 스발바르 제도를 속령으로 두고 있다.[28][29] 부베섬과 같은 다른 속령이나 남극 영유권 주장과는 달리,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 왕국의 일부이다.[30]

이 북극 군도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상주 민간 정착지이다. 스발바르 제도는 어떤 주에도 통합되지 않고 노르웨이 정부가 임명한 총독이 관리한다. 2002년 이후, 주요 정착지인 롱이어뷔엔은 지방 정부를 선출했다. 다른 정착지로는 러시아 광산 지역 사회인 바렌츠부르크, 연구 기지인 뉘올레순, 광산 전초 기지인 스베아그루바가 있다.

1920년의 스발바르 조약은 노르웨이의 주권(1925년부터 노르웨이 왕국의 주권적인 일부로 관리됨)을 인정하지만, 스발바르 제도를 자유무역지대[28]이자 비무장지대로 규정했다.

3. 7. 1. 스발바르 제도



노르웨이는 북극에 위치하며, 노르웨이의 주권에 제한이 있는 유일한 유인 군도인 스발바르 제도를 속령으로 두고 있다.[28][29] 부베섬과 같은 다른 속령이나 남극 영유권 주장과는 달리, 스발바르 제도는 노르웨이 왕국의 일부이다.[30]

이 북극 군도는 세계에서 가장 북쪽에 위치한 상주 민간 정착지이다. 스발바르 제도는 어떤 주에도 통합되지 않고 노르웨이 정부가 임명한 총독이 관리한다. 2002년 이후, 주요 정착지인 롱이어뷔엔은 지방 정부를 선출했다. 다른 정착지로는 러시아 광산 지역 사회인 바렌츠부르크, 연구 기지인 뉘올레순, 광산 전초 기지인 스베아그루바가 있다.

1920년의 스발바르 조약은 노르웨이의 주권(1925년부터 노르웨이 왕국의 주권적인 일부로 관리됨)을 인정하지만, 스발바르 제도를 자유무역지대[28]이자 비무장지대로 규정했다.

4. 속령의 유형과 특징

영국과 특수한 관계를 맺고 있는 세 개의 왕실속령이 있다. 이들은 독자적으로 행정권을 행사하는 관할구역이지만, 영국 정부는 국방과 국제적 대표에 대한 단독 책임을 지니며, 양호한 정부 운영을 보장할 최종 책임을 갖고 있다. 이들은 독립국으로서의 외교적 인정을 받지 못하지만, 영국에 통합되어 있지도 않다. 영국 의회는 속령 의회의 동의 없이도 속령에 대한 법률 제정 권한을 유지한다. 어떤 왕실 속령도 영국 의회에 대표를 두고 있지 않다.

영국 해외 영토이기는 하지만, 버뮤다지브롤터는 왕실 속령과 유사한 관계를 영국과 맺고 있다. 영국이 공식적으로 국방과 국제적 대표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지만, 이들 관할구역은 자체 군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부 자치권 외에도 제한적인 외교 권한을 부여받았다.

뉴질랜드와 그 속령은 동일한 뉴질랜드 총독을 공유하며 하나의 군주국가인 뉴질랜드 왕국을 구성한다. 쿡 제도니우에는 공식적으로 자유 연합국으로 불린다.

푸에르토리코(1952년 이후)와 북마리아나 제도(1986년 이후)는 미국과 자유롭게 연합된 비독립 국가이다. 미국과의 정치적 연합 하에 북마리아나 제도 연방을 설립하기 위한 상호 협상된 협약은 1976년에 승인되었다. 이 협약은 1986년 11월 3일, 대통령 선포 제5564호에 따라 완전히 시행되었으며, 이를 통해 법적으로 자격을 갖춘 북마리아나 제도 주민들에게 미국 시민권이 부여되었다.[31] 푸에르토리코 헌법에 따라 푸에르토리코는 연방으로 묘사되며, 푸에르토리코인들은 미국 주 시민과 유사한 수준의 행정적 자치권을 갖고 있다. 푸에르토리코인들은 존스-샤프로스법에 따라 1917년에 집단적으로 미국 시민이 되었다.[32][33] 푸에르토리코 연방의 스페인어로 흔히 사용되는 명칭인 ''Estado Libre Asociado de Puerto Rico''는 문자 그대로 "푸에르토리코 자유 연합국"을 의미하며, 스페인어로 느슨하게 사용될 때 특히 "자유 연합"과 유사하게 들리기 때문에, 때때로 푸에르토리코와 미국의 관계가 자유 연합 협정에 근거한다는 잘못된 해석을 낳거나, 때로는 푸에르토리코와 미국의 관계가 주간 협약에 근거한다는 잘못된 해석을 낳는다. 이는 푸에르토리코와 미국의 정치적 관계를 정의하고, 이해하고, 설명하려고 할 때 끊임없이 모호함과 혼란을 야기하는 원인이다. 여러 가지 이유로 푸에르토리코의 정치적 지위는 미국과 자유 연합 협정을 체결한 태평양 섬들의 지위와 다르다. 이 섬들은 주권 국가로서 외교 관계를 수행할 완전한 권리를 가지고 있는 반면, 푸에르토리코 연방은 헌법의 영토 조항에 따라 "미국에 속한 영토…에 관하여 필요한 모든 규칙과 규정을 처분하고 제정할" 수 있는 미국의 의회 권한에 따른 영토 지위를 갖고 있다.[34] 푸에르토리코는 일방적으로 독립을 선언할 권리가 없으며, 마지막 주민투표(1998년)에서 근소한 차이로 "위의 어느 것도 아님"에 투표했는데, 이는 연방 지지자들이 "향상된 연방" 옵션에 대한 욕구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한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은 대안이었다.[34]

이러한 유형의 관계는 네덜란드 왕국에서도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연방이라고 불린다. 유럽의 본토는 단일 국가처럼 조직되어 있다. 그러나 카리브해에 있는 "구성국"(아루바, 퀴라소, 신트마르턴)의 지위는 속령[35][36]이나 "자유 연합 비독립 국가"와 유사하게 간주될 수 있다.

덴마크 왕국도 유사하게, 또 다른 연방과 유사하게 운영된다. 페로 제도그린란드는 왕국 내의 두 개의 자치 영토 또는 지역이다. 덴마크 본토와 이 두 영토 간의 관계는 반 공식적으로 ''Rigsfællesskabet''("왕국의 통일")이라고 불린다.

|thumb|보라보라 섬,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thumb|디에고가르시아 섬, 영국령 인도양 지역

4. 1. 왕실 속령

영국 왕실 속령은 영국에 속하지 않지만, 국방과 외교는 영국이 담당한다. 건지섬, 저지섬, 맨섬이 이에 해당한다.

4. 2. 자유 연합국

4. 3. 연방

5. 유엔 비자치 지역 목록

참조

[1] 웹사이트 International Trusteeship System and Trust Territories | The United Nations and Decolonization https://www.un.org/d[...]
[2] 웹사이트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15th Session – The Trusteeship System and Non-Self-Governing Territories (pages:509–510) http://unyearbook.un[...]
[3] 웹사이트 Trust and Non-Self-Governing Territories (1945-1999) https://www.un.org/e[...] 2023-01-20
[4] 서적 Island time : New Zealand's Pacific futures https://books.google[...] Bridget Williams Books 2017
[5] 웹사이트 Find a publication | New Zealand Ministry of Justice http://www.justice.g[...]
[6] 웹사이트 Pacific News Minute: Cook Islands Bid for UN Membership On Hold http://www.hpr2.org/[...] Hawai'i Public Radio 2015-08-11
[7] 서적 The case for non-sovereignty : lessons from sub-national island jurisdictions https://www.um.edu.m[...] Routledge 2009
[8] 웹사이트 New Zealand and Antarctica https://web.archive.[...] NZ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0
[9] 웹사이트 Guernsey at the CIA's page https://www.cia.gov/[...] CIA 2010-07-15
[10] 웹사이트 Jersey at the CIA's page https://www.cia.gov/[...] CIA 2010-07-15
[11] 웹사이트 The Isle of Man at the CIA's page https://www.cia.gov/[...] CIA 2010-07-15
[12] 웹사이트 U.S. Insular Areas Application of the U.S. Constitution https://www.gao.gov/[...]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1997-11
[13] 웹사이트 Definitions of Insular Area Political Organizations https://www.doi.gov/[...] U.S. Department of the Interior 2015-06-12
[14] 웹사이트 U.S. Insular Areas Applicability of Relevant Provisions of the U.S. Constitution https://www.gao.gov/[...] United States General Accounting Office 1991-06-20
[15] 서적 The constitutional systems of the Australian states and territories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 뉴스 The end of Norfolk Island's self-government https://www.abc.net.[...] 2016-06-23
[17] 웹사이트 Territories of Australia https://www.regional[...] The Department of Infrastructure, Transport, Regional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s 2020-02-28
[18] 웹사이트 广电总局批准31个境外频道在涉外宾馆等申请接收 http://www.gov.cn/gz[...] Gov.cn 2013-07-12
[19] 웹사이트 2010年第六次全国人口普查主要数据公报(第1号) http://www.stats.gov[...] Stats.gov.cn 2013-07-12
[20] 웹사이트 項懷誠:香港是社保基金境外投資的首選地之一 http://big5.huaxia.c[...] Big5.huaxia.com 2013-07-12
[21] 논문 Democratization of territorial constitution : current trends and the constitutional experience of Denmark https://www.um.edu.m[...] Eleftherios Thalassinos 2019
[22] 웹사이트 Nouvelle-Calédonie Présentation http://www.outre-mer[...] Ministre des Outre-mer
[23] 웹사이트 Field Listing :: Dependency Status https://www.cia.gov/[...] Central Intelligence Agency
[24] 웹사이트 Loi n° 55-1052 du 6 août 1955 portant statut des Terres australes et antarctiques françaises et de l'île de Clipperton https://www.legifran[...] Légifrance 1955-08-06
[25] 웹사이트 Antarctica :: French Southern and Antarctic Lands https://www.cia.gov/[...] CIA 2020-05-20
[26] 웹사이트 French Southern Territories https://www.iso.org/[...] ISO 2018-11-26
[27] 웹사이트 Dependencies and Areas of Special Sovereignty https://2009-2017.st[...] U.S. Department of State 2016-06-17
[28] 웹사이트 Spitsbergen Treaty https://en.wikisourc[...] Wikisource 1920-02-09
[29] 웹사이트 The Svalbard Treaty http://www.sysselman[...] Governor of Svalbard 2008-04-09
[30] 서적 Jan Mayen Island in Scientific Focus http://www.ogskagest[...] Springer Netherlands 2004
[31] 웹사이트 Northern Mariana Islands at the CIA's page https://www.cia.gov/[...] CIA 2010-07-15
[32] 서적 The Louisiana Purchase and American Expansion: 1803–1898 Rowman and Littlefield Publishers 2005
[33] 웹사이트 Puerto Rico at the CIA's page https://www.cia.gov/[...] CIA 2010-07-15
[34] 웹사이트 December 2005 report of the President's Task Force on Puerto Rico's Status http://www.prfaa.com[...]
[35] 웹사이트 Europe :: Netherlands https://www.cia.gov/[...] CIA 2020-06-10
[36] 웹사이트 Dependencies and Areas of Special Sovereignty https://www.state.go[...] United States Department of State 2017-03-07
[37] 웹사이트 Country Comparison :: Population https://www.cia.gov/[...] CIA 2016-07-01
[38] 웹사이트 Field Listing :: Area https://www.cia.gov/[...] CIA
[39] 웹사이트 Field Listing :: Dependency Status https://www.cia.gov/[...] C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