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손목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손목인은 일제강점기와 광복 이후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한 작곡가이다. 1913년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나, 도쿄 음악학교에서 피아노를 전공했으며, 1934년 '타향살이'를 발표하며 데뷔했다. '목포의 눈물', '카스바의 여인' 등 수많은 히트곡을 작곡했으나, 중일 전쟁 이후 친일 가요를 작곡하여 논란이 되었다.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초대 회장을 역임했으며, 1999년 도쿄에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기타 연주자 - 박시춘
    박시춘(본명 박순동)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하며 '애수의 소야곡', '신라의 달밤', '럭키 서울' 등 3000여 곡의 대중가요를 작곡하여 한국 대중가요의 틀을 잡은 대표적인 작곡가이지만, 친일 가요 작곡 활동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는 인물이다.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홍난파
    홍난파는 <봉선화>, <고향의 봄> 등 다수의 가곡과 동요를 작곡하고 한국 최초의 바이올린 독주회를 열었으며, 수양동우회 사건 연루와 친일 행적으로 인해 논란이 된 작곡가, 바이올리니스트, 소설가, 언론인이다.
  • 일제강점기의 피아노 연주자 - 이봉룡
    이봉룡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전쟁 이후까지 활동하며 '낙화유수' 등의 히트곡을 작곡한 한국의 작곡가로, 군국가요 작곡에 참여한 친일 논란이 있으며 한국 전쟁 중 부인 실종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작곡 활동을 이어갔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화관문화훈장 수훈자 - 제이홉
    1994년 광주에서 태어난 제이홉은 방탄소년단의 멤버이자 솔로 앨범 발매 및 롤라팔루자 헤드라이너로서 성공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는 가수, 래퍼, 댄서, 음악 프로듀서이다.
손목인
기본 정보
이름손목인
원어 이름孫牧人
본명손득렬
예명손안드레
양상포
임원
출생일1913년 4월 13일
출생지일제강점기 경상남도 진주부
사망일1999년 1월 9일
사망지일본 도쿄
국적대한민국
활동 시기1934년 ~ 1999년
종교개신교
배우자오정심
가족아버지 손세영(孫世永)
육촌형 문호월(文湖月)
학력
학교재동보통학교 졸업
경신고등보통학교 수료
중동고등보통학교 졸업
도쿄 고등음악학원 중퇴
도쿄 음악학교 중퇴
음악 활동
장르트로트
악기기타
피아노
직업가수
작곡가
기타 정보
별칭쿠가야마 아키라
관련 정보
뉴스 인용목포의 눈물 작곡가 손목인 선생 별세

2. 생애

손목인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의 대중음악 작곡가로, 한국과 일본에서 가요 1천여 곡, 뮤지컬 50여 곡, 영화음악 70여 편의 작품을 남겼다. 박시춘 시대 이전의 트로트 양식을 대표하며, 섬세하고 감각적인 박시춘의 선율과는 대조적으로 선이 굵고 안정적인, 남성적인 느낌의 음악을 구사했다. 재즈에도 능하여 후기작인 〈슈사인 보이〉나 〈아빠의 청춘〉에는 재즈풍 분위기가 나타난다.[7]

1950년대부터 1960년대까지 도쿄 구가야마에서 구가야마 메이(久我山明)라는 이름으로 일본에서 작곡 활동을 했다.

2. 1. 유년 시절과 음악 입문

경상남도 진주에서 태어났다. 아버지가 한의사인 집안에서 태어나 비교적 부유한 유년 시절을 보냈다. 〈노들강변〉의 작곡자 문호월은 손목인의 외사촌 형이다.

경성부 재동보통공립학교와 중동학교를 졸업했는데, 학창 시절 대한기독교청년회연맹 회원으로 활동하면서 서양음악을 접하게 되었다. 도쿄 음악학교에서 피아노 연주를 공부하던 중 오케레코드 사장인 이철의 눈에 띄었고, 첫 작품인 〈타향살이〉(원제 〈타향〉)가 크게 인기를 끌어 단숨에 주목받는 신예 작곡가로 떠올랐다.

2. 2. 작곡가 데뷔와 인기

1934년 오케레코드 사장 이철의 눈에 띄어 〈타향살이〉(원제 〈타향〉)를 작곡하면서 가요계에 데뷔하였다. 이 곡은 크게 인기를 얻어 손목인은 단숨에 주목받는 신예 작곡가로 떠올랐다.

일제강점기 한국인의 떠돌이 정서를 잘 대변한 곡으로 꼽히는 고복수의 노래 〈타향살이〉 외에 이난영이 불러 높은 인기를 누린 〈목포의 눈물[3]과 고복수의 대표곡 〈짝사랑〉이 특히 유명하다. 그 외에도 〈해조곡〉, 〈청노새 탄식〉, 〈뗏목 이천리〉, 〈아빠의 청춘〉 등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했다. 이난영, 고복수, 남인수, 장세정, 김정구, 박단마 등이 손목인이 작곡한 노래를 불러 인기를 모았다.[7]

2. 3. 친일 행적 논란

일제 강점기에 일제군국주의 정책에 부합하는 친일 가요를 작곡하기 시작했다. 〈이천오백만 감격〉, 〈참사랑〉, 〈봄날의 화신〉, 〈그대와 나〉, 〈총후의 기원〉 등 전쟁터에서 장렬하게 죽는 것을 미화한 노래를 남겼다.[4]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가 선정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 음악인 부문에 포함되었으며, 시민단체가 기념사업 중지를 요구하기도 했다.[4]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는 손목인을 김해송과 함께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에 명시된 친일반민족행위 결정 심의 대상자 명단에 올렸지만, 작곡가가 갖고 있던 당시의 사회적 위상이 상대적으로 낮았다는 사실이 인정되어 기각했다.[5]

2. 4. 광복 이후 활동

광복 후에는 〈아내의 노래〉, 〈슈사인 보이〉 등을 히트시켰으며, 일본 영화 음악계에서 활동한 것을 시작으로 영화 음악 분야에서도 활동했다.[7] 〈아내의 노래〉는 1948년 금능인(김능인)이 작사하고 김백희가 〈안해의 노래〉라는 제목으로 발표하였고, 4년 뒤 유호가 가사를 고쳐 심연옥이 다시 불러 히트시켰다. 〈카스바의 여인(カスバの女일본어)〉은 일본에서 가장 큰 히트곡이며, 길옥윤1968년경에 가사를 고쳐 패티김의 노래로 발표되어 오랫동안 사랑받았다.[7]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7] 말년에는 미국으로 이민을 가 생활하였으며, 1987년 화관 문화훈장을 받았다. 1989년 한국가요작가협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7] 1999년 작곡한 노래의 저작권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도쿄를 방문하여 머무르던 중 사망했으며,[7] 잡지 《핫윈드》 발행인으로 재직할 당시 음란한 사진과 함께 퇴폐적인 내용의 기사를 게재한 탓에 1992년 1월 22일 불구속 입건됐다.[6]

2. 5. 말년과 사망

1964년 한국음악저작권협회 초대 회장을 지냈고, カスバの女일본어 등 일본에서 작곡가로 활동했다. 말년에는 미국으로 이민을 가 생활하였고, 1987년 화관 문화훈장을 수여받았다. 1989년 한국가요작가협회를 설립하고 초대 회장을 맡기도 했다. 1999년 작곡한 노래의 저작권 문제를 협의하기 위해 도쿄를 방문하여 머무르던 중 사망했으며[7], 잡지 <핫윈드> 발행인으로 재직할 당시 음란한 사진과 함께 퇴폐적인 내용의 기사를 게재한 탓인지[6] 1992년 1월 22일 불구속 입건됐다.

3. 대표 작품

4. 학력

참조

[1] 뉴스 政治利用された「親日派」叩き 国民的作曲家・歌手も標的に https://www.sankei.c[...] 産経ニュース 2021-04-18
[2] 뉴스인용 목포의 눈물 작곡가 손목인 선생 별세 http://www.kbsnews.c[...] 한국방송 1999-01-09
[3] 뉴스인용 나라 잃은 슬픔을 달래던 노래, "목포의 눈물" http://www.komca.or.[...] 한국음악저작권협회보 2003-08-01
[4] 뉴스인용 "친일 문화예술인 기념사업 중단해야" - 시민단체, 친일 1차명단 포함된 남인수 박시춘 장지연 등 사업중단 촉구 http://www.ohmynews.[...] 오마이뉴스 2005-08-29
[5] 서적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Ⅱ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2009
[6] 뉴스인용 음란출판물 발행인 28명 적발, 6명 구속 https://n.news.naver[...] 연합뉴스 1992-01-22
[7] 서적 한국사 이야기 22:빼앗긴 들에 부는 근대화 바람 한길사 2004-05-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