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이난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난영은 일제강점기부터 한국 전쟁 이후까지 활동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1932년 가수로 데뷔하여, 한국 최초의 걸그룹인 저고리 시스터즈의 멤버로 활동했다. '목포의 눈물'을 포함한 수많은 히트곡을 발표하며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김해송과 결혼하여 김시스터즈를 포함한 7명의 자녀를 두었으며, 한국 전쟁 중 남편과 사별하고 자녀들과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기도 했다. 1965년 사망 후, 목포 삼학도에 이난영 공원이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일제강점기의 어린이 가수 - 황금심
    황금심은 1936년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1등으로 데뷔하여 〈알뜰한 당신〉, 〈울산 큰애기〉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활동하다가 1996년 파킨슨병으로 투병, 2001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일제강점기의 어린이 가수 - 남인수
    남인수는 일제강점기부터 활동하며 '애수의 소야곡', '낙화유수', '이별의 부산정거장' 등 수많은 히트곡으로 "가요 황제"라 불린 대한민국의 가수로, 넓은 음역과 풍부한 감정 표현으로 한국 대중가요의 전성기를 이끌었으며 친일 논란에도 불구하고 한국 가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반야월 (작사가)
    반야월(본명 박창오)은 일제 강점기와 대한민국 초기에 활동한 작사가이자 가수로, 진방남이라는 예명으로 가수 활동을 시작하여 <불효자는 웁니다>를 불러 인기를 얻었으며, 이후 작사가로 전향하여 서민들의 애환과 향토적인 정서를 담은 수많은 곡을 작사하며 한국 대중가요사에 큰 영향을 남겼다.
  • 일제강점기의 트로트 가수 - 황금심
    황금심은 1936년 오케레코드 전속가수 선발 1등으로 데뷔하여 〈알뜰한 당신〉, 〈울산 큰애기〉 등의 히트곡을 발표하며 활동하다가 1996년 파킨슨병으로 투병, 2001년 사망한 대한민국의 가수이다.
  • 목포시 출신 - 강준만
    강준만은 전북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로 재직한 대한민국의 대학교수이자 언론인이자 저술가이다.
  • 목포시 출신 - 김지하
    김지하는 대한민국의 시인이자 사회운동가로, 1970년 부패 권력 비판으로 필화 사건을 겪고, 1974년 민청학련 사건에 연루되어 사형을 선고받았다가 석방 후 생명 운동을 전개했으며, 1991년에는 분신 정국을 비판하여 변절 논란에 휩싸였다.
이난영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1935년 이난영
1935년 이난영
본명이옥례(李玉禮)
호적상 이름이옥순(李玉順)
일본식 이름오카 란코(岡 蘭子, Oka Ranko)
출생일1916년 6월 6일
출생지일제 강점기 전라남도 목포시
사망일1965년 4월 11일
사망지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장르트로트
직업가수, 前 연극배우
활동 시기1930년 ~ 1965년
종교천주교(세례명: 마리아)
배우자김해송
가족자녀는 4남 3녀
오빠이봉룡(가수 겸 작곡가)
조카딸이민자(가수)

2. 생애

이난영은 목포, 전라남도, 일본 제국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이옥순(李玉順)이었으나, 후에 이옥례(李玉禮)로 개명했다.[4] 아버지의 이름은 이남순(李南順)이었고, 작곡가인 오빠가 있었다.[5] 어려운 어린 시절을 보냈으며 학교를 졸업하지 못했다. 1930년에 배우가 되었고, 1932년 OK 레코드에서 이난영이라는 예명으로 가수로 데뷔했다. 한국 최초의 걸 그룹으로 여겨지는 저고리 시스터즈의 멤버였다.[6][7]

"목포의 눈물"은 한국 대중가요 역사상 히트곡 중 하나이다.[8]

1937년 가수이자 작곡가, 지휘자였던 金海松/김해송한국어과 결혼했다. 부부는 김시스터즈의 김숙자와 김애자를 포함하여 일곱 명의 자녀를 두었다.[1] 한국 전쟁 중, 가족은 폭격으로 집을 잃었고, 김해송은 북한군에게 체포되어 사망했다. 이난영은 돈을 벌기 위해 자녀들과 함께 미군 앞에서 노래를 불렀다. 나중에 큰딸 영자, 숙자와 함께 부산 나이트클럽에서 공연했다.[9]

1965년 서울에서 사망했으며, 목포 삼학도에 있는 이난영 공원에 묻혔다.[10]

2. 1. 가수 데뷔 전

2. 1. 1. 출생 ~ 초등학교 (1916 ~ 1929)

1916년 6월 6일, 당시 주소지 상으로 목포부 양동 72번지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이남순(李南順)으로 철공업을 하고 있었고, 어머니의 이름은 박소아(朴小兒)였다. 또 두 살 터울의 오빠였던 이봉룡이 있었다. 가정 형편은 넉넉지 못하였으며, 아버지는 술주정뱅이에 집안에 관심이 없었던 것으로 알려진다. 대정(다이쇼) 12년인 1923년 4월 2일 현재의 북교초등학교인 목포공립보통학교의 여자부였던 목포공립여자보통학교에 입학하게 된다.

목포공립여자보통학교는 화재로 인해 합병폐교가 되었음에도, 학교 다닐 적의 학적부가 남아있던 이난영의 학적부에 기재되어 있던 이름은 널리 알려져 있던 이옥례(李玉禮)가 아니었으며, 이옥순(李玉順)으로 기재가 되어 있었다. 대부분의 교과목의 점수는 3점부터 8점까지 다양하였는데, 아마 가정 형편으로 인해 1학년과 3학년 때 휴학을 해 그다지 좋은 점수를 받지 못했다. 하지만 현재의 음악 과목인 창가(昌歌)의 3학년 점수만 유일하게 9점을 받아, 어릴 때부터 노래에 두각을 나타내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이난영은 4학년이 되어서 거주지 이전을 이유로 자퇴를 하게 된다. 자퇴원서의 보호자 란에 써있었던 이름은 아버지 이름인 이남순이었으나, 도장은 오빠인 이봉룡의 도장이 찍혀 있다. 이후 오빠 이봉룡과 함께 조선면화공장이라는 솜공장에 취직을 하여서 오빠의 일을 도와주었으나, 결국 어머니가 아버지와의 불화에 떠나간 제주도로 오빠와 함께 가게 된다.

2. 1. 2. 제주도 (1929 ~ 1932)

이난영은 약 2년간 제주도에서 생활했다. 제주도에는 아버지의 술과 불화를 참지 못해 먼저 목포에서 떠나 제주도에 온 어머니가 있었는데, 당시 어머니는 제주읍에서 극장을 하고 있던 한 일본인 가정집의 식모살이를 하고 있었다. 그 극장은 제주 최초의 극장으로 알려진 창심관이었다. 그곳에서 이난영이 허드렛일을 하며 부르던 노래를 듣고 집주인에게 발탁되어 막간가수로 활동을 하게 되며, 오빠인 이봉룡영사기사로 일을 했다고 한다. 창심관은 제주에 위치한 까닭에 갑작스럽게 배가 올 수 없어 영화의 필름이 도착하지 못했으면 그곳에서 유랑 극단이 펼쳐졌는데, 그 사이사이마다 이난영이 노래를 불렀던 것이다. 불의의 사고로 인하여 극장에 화재가 나, 더 이상 무대에 설 수 없던 이난영은, 극장 주인의 추천으로 삼천리가극당의 특별 단원이 되어 제주를 떠나게 된다. 후에 이난영의 딸이자 김시스터즈의 멤버였던 김숙자는 이난영이 제주에 있을 때 해녀를 한 적도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2. 2. 가수 생활

1932년 가을 무렵, 이난영은 태양극장에 가입해 막간가수로 서기 시작한다. 이때 태양극장의 극단장이었던 박승희가 이난영이라는 예명을 지어주었다. 오사카의 이마자토에서 공연을 하다가 불경기로 인해 극단이 해산되자, 어떤 흥업사에 발탁돼 연명했다. 오사카에서 이난영의 소문을 듣고 이난영을 찾고 있었던 오케레코드 사장 이철에게 스카웃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시 태평레코드 전속작곡가였던 김준영은 다른 주장을 한다. 김준영은 태평레코드에서 춘향전 전집을 취입하기 위해 오사카에서 공연 중이던 태양극장의 박승희에게 허락을 받고 이난영과 태평레코드가 계약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날 이봉룡이 나타나 오케레코드와 계약이 되었으니 이난영을 내놓으라고 했고, 이 문제로 언쟁이 일어났으나 미성년자와의 계약이라는 이유로 태평레코드와 해약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이난영의 데뷔곡은 태평레코드의 9월 신보로 발표되었던 〈시드는 청춘〉과 〈지나간 옛 꿈〉이었다. 오케레코드에서의 데뷔곡은 1933년 10월에 발표되었던 〈향수〉였다. 이난영의 아버지 이남순은 1933년 8월, 데뷔곡이 나오기 직전에 사망했다.

오케레코드와의 전속 계약이 체결된 후 1933년 11월 〈불사조〉로 첫 히트를 치게 되었고, 1934년 2월에 취입한 〈봄맞이〉까지 히트가 되며 슬슬 유명해지기 시작한다. 그해 가을에는 도쿄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렸던 전국 명가수 음악대회 유일한 한국인 가수로 혼자 출전하기까지 하였다. 1935년 초에는 오케레코드조선일보가 협업하여 제 1회 향토노래 현상(조선 10대도시경성, 평양, 개성, 부산, 대구, 목포, 군산, 원산, 함흥, 청진]찬가)을 모집해 3000대 1의 확률로 목포에 거주하고 있던 문일석(文一石)이라는 필명을 쓴 사람이 1등으로 당선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당선된 가사가 〈목포의 눈물〉과 〈부산 노래〉, 〈평양 행진곡〉이었고, 목포의 눈물의 당시 제목은 〈목포의 사랑〉이었으며, 후에 이철이 〈목포의 눈물〉로 이름을 고치게 된다. 여기에다 원래 고복수가 취입하려 작곡가 손목인이 만들어 놓았던 〈갈매기 우는 항구〉라는 멜로디에 〈목포의 눈물〉 가사를 넣게 되고, 손목인이 목포에 관한 노래이니 목포 출신 가수가 불러주었음 좋겠다 해서 가수가 이난영으로 바뀌게 된다. 〈목포의 눈물〉은 노래 녹음까지 순탄하게 흘러갔으나 2절의 첫 부분이었던 '삼백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라는 가사가 검열에 걸려서 '삼백련(三栢淵) 원안풍(願安風)은 노적봉 밑에'로 개사하고, 녹음은 개사 전 그대로 한체 1935년 9월 신보로 발표하게 된다. 목포의 눈물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노래를 발표한지 한달 정도 된 1935년 10월 「삼천리」에서 조사한 10대 가수에 3위로 이름을 올리고, 5만장에 판매고 기록과 일본에서까지도 큰 반응을 얻게 된다. 이난영은 "목포의 눈물"의 원곡 가수였다.[8]

이난영은 〈목포의 눈물〉을 부른 이후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 영화인 〈노래 조선〉을 촬영하였고, 1936년 4월에 개봉하게 된다. 그 사이에 같은 가수였던 김해송과의 로맨스에, 결혼도 하기전에 임신을 하게 되었다. 이철은 서둘러 둘의 결혼을 진행하게 되었고, 1936년 12월 24일 오후 네시에 경성의 요릿집이었던 식도원(食道園)에서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당시 주례는 연극인 이기세(李基世)였다. 이난영은 영화를 촬영하고 결혼을 준비하는 새에도 노래를 많이 취입하였는데, 1936년 초에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서 〈아버지는 어데로〉를 취입하였다. 아버지가 아프면서도 궁핍한 처지에 약 한 번 주지 못하고 떠나간 것을 괴로워하던 이난영은 고향인 목포유달산을 언급하여 그 뜻을 전했다. 한편 〈목포의 눈물〉의 여파로 이난영은 오카 란코(岡 蘭子)라는 이름으로 1938년까지 일본에서의 활동을 보였다. 일본에서 낸 작품은 〈別れの船歌(목포의 눈물)〉, 〈アリランの唄(아리랑)〉, 〈春の歡喜(봄맞이)〉, 〈海のふるさと(봄강)〉 등이 있다. 1937년에는 오빠인 이봉룡과 같이 〈고향은 부른다〉를 불렀는데, 남편인 김해송이 작곡을 하였다. 김해송은 처남인 이봉룡에게 작곡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또한 1937년 12월 즈음에 〈해조곡〉을 취입하여 다시 한 번 히트를 하게 된다. 1938년에는 오케레코드에서 〈이난영걸작집〉이 발매되기도 하였는데, 곡이 끝날 적마다 배우 심영이 노래의 해설을 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김해송의 사진


1937년부터 2년간 콜럼비아레코드에 있었던 김해송은 1939년 다시 오케레코드로 복귀하면서 이난영을 위한 〈다방의 푸른 꿈〉을 작곡하였고, 〈다방의 푸른 꿈〉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블루스 곡이라 불리며 큰 인기를 얻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난영은 이봉룡이 작곡한 〈목포는 항구다〉를 42년에 불러서 히트를 했지만, 〈항구의 붉은 소매〉나 〈바다의 꿈〉 등 점점 미국의 창법(블루스, 재즈 등)을 사용한 노래가 많아질 때 즈음, 미국이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며 일본은 미국의 창법을 노래하는 것을 금지시켰을 뿐더러, SP 레코드를 만드는 주 재료인 셸락이 군수물자로 지정되어 이난영 뿐만 아니라 레코드 사 전체에 침체기가 오게 된다.[4] 그래서 대부분의 가수들은 노래를 취입하는 것보단 연극 등을 하며 순회를 하며 돈을 벌게 된다. 오케레코드는 당시 '오케그랜드쇼단'이라는 공연단이 있었는데 1939년 3월에 일본의 순회 공연을 체결케 되고, 이난영도 그곳에 오르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오케그랜드쇼단'이라는 이름도 '조선악극단'으로 변경이 되었다. 또한 순회 공연을 하면서도, 일본 영화인 『사려 깊은 부인(思いつき夫人)』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1943년 말부터 이난영은 김해송과 함께 약초(若草)가극단에 들어가 활동을 하게 되고, 광복 직전인 1945년 8월에는 만타 악극단에서 활동을 하기도 했다.[5]

광복이 되던 날, 박시춘은 그날 밤에 무료 공연을 하였고, 금지됐던 재즈를 연주하였다고 한다. 이때 김해송은 KPK 악극단을 조직하게 된다. 이철이 1944년 사망하면서 흐지부지된 '조선악극단'을 이어가게 되는 것이다. KPK의 이름 뜻은 김해송, 백은선, 김정환(김정항)의 이니셜을 따 만들어진 것으로, 미군들의 위문공연을 자처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주요 단원에는 이난영, 장세정, 심연옥, 신카나리아, 윤부길, 백설희, 계수남, 홍청자 등 유명인사들이 대거 출연하기도 했다. 대표 공연으로는 《로미오와 줄리엣》, 《칼멘 환상곡》, 《천리춘색》, 《천국과 지옥》 등이 있었다. 이 중 이난영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로미오 역을 맡았고, 그 역할을 수행키 위해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기까지 하였으며, 《칼멘 환상곡》에서는 돈 호세 역을 맡기도 하였다. 한편 1947년 이난영은 남인수, 심연옥, 노명애, 계수남과 함께 해방 이후 최초로 나온 음반으로 알려져 있는 〈흘러온 남매〉를 고려레코드롤 통하여 취입하게 된다. 이 노래를 취입한 인물들은 모두 KPK 소속으로 이 곡이 《남남북녀》 라는 KPK 악극단의 주제곡이 아닐까라는 말이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K.P.K 악극단이 《로미오와 줄리엣》과 《칼멘 환상곡》을 마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한국 전쟁이 터지게 된다. 이때 미처 남쪽으로 피난을 하지 못했던 김해송이 납북이 된다. KPK 소속의 한 후배가 좌파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미군의 위문 공연을 한 이유로 이를 바로 고발하였다. 이후 이난영은 서대문형무소에서 김해송을 만나기 위해 계속 빙빙 돌았으나, 결국 김해송을 만나지 못한 채 강제로 헤어지게 된다. 후에 북한에선 50년대 중반에 결핵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김해송을 만나지 못한 채 아이들을 데리고 부산으로 간 이난영은 미군의 위문공연을 다니면서 자녀들을 혹독하게 교육시키기 시작했다. KPK악극단은 이름을 이난영악단으로 바꾸었으나, 1년을 넘기지 못한 채 파산에 이르게 되었다.

김시스터즈딘 마틴


김시스터즈의 데뷔 무대는 1953년 미 8군 부대에서 이루어졌다. 원래 멤버는 이난영의 세 자녀인 영자와 애자, 숙자로 결성되려 하였으나, 데뷔하는 과정에서 맏언니였던 영자가 빠지고 조카인 민자가 들어오게 된다. 그렇게 세 명은 1959년 미국에까지 진출하게 된다. 그렇게 미국에서 성공해 설리번 쇼에도 22번 출연하고, 라스베이거스에서 많은 돈을 벌면서 생활하는 김시스터즈에 이어, 1961년에는 맏아들 영조를 제외한 영일, 상호, 태성이 각각 영일, 영호, 영성이라는 예명으로 김보이즈라는 그룹으로 활동하게 되어 미국으로 가게 된다.[1]

이난영은 남편인 김해송을 잃었고, 자녀들도 미국으로 가 외로움과 쓸쓸함은 배가 된다. 그런 이난영은 명동에서 신카나리아가 운영하고 있었던 카나리아다방을 자주 가게 된다. 옛 동료들이 늘 있었기 때문인데, 그녀의 유일한 즐거움은 이곳에서 나왔다. 1957년에는 동료 가수였던 고복수의 은퇴 공연이 성대하게 치루어지면서 이난영도 그곳에서 목포의 눈물을 부르게 된다. 이난영은 그날 목포의 눈물 1절과 3절을 불렀는데, 3절에 와서는 그동안의 설움이 터지며 눈물을 흘리면서 노래를 하게 되고, 그 때 부른 목포의 눈물은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 중 최고의 절창으로 뽑히고 있다.

한편 이난영은 술과 아편 등에 절어 피폐한 삶을 보내는 와중에 남인수와 사랑이 싹트게 된다. 가끔씩 남인수의 병수발을 들러 오던 이난영이 눈에 맞게 된 것인데, 남인수와의 사랑은 남인수의 심각한 결핵으로 인해 오래 가지 못하였다. 비록 짧은 세월이었지만, 이난영과 남인수는 크게 사랑 하였고, 남인수는 병상에 있는 채로 〈눈 감아 드리오리〉를 취입하게 된다. 반야월 작사에 이봉룡 작곡으로, 둘의 사랑을 알고 있는 반야월과 이봉룡이 노래를 만들어 준 것이다. 결국 남인수는 이난영의 무릎을 벤 채로 사망하게 되며, 이난영은 더욱 심한 우울증으로 고생을 하게 된다.

남인수가 사망하고, 자녀들의 계속된 요청에 따라 1962년 12월 22일 서울을 떠났다. 이난영은 김시스터즈와 함께 미국 TV쇼에 출연하기도 하고, 하와이에서 목포의 눈물을 부르기도 하였으나, 미국의 음식에 적응하지 못한 김시스터즈를 위해 김밥을 만들어 주는 등 뒷바라지를 하다가 1963년 8월 24일에 다시 귀국했다. 그 후 이난영은 몇몇 행사에 참여했으나, 예전에 비해 활동이 크게 줄었고, 1965년 3.1절 기념 가요 40년제에 출연한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출연하지 않다가 1965년 4월 11일 새벽 6시 서울 회현동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심장마비 혹은 자살로 추정되며, 영결식은 4월 15일 한국 연예인협회장으로 치러졌다.[1] 영결식에는 수많은 가수들이 참석해 슬퍼하였고, 한 달이 지난 5월에는 광복 후에 북으로 건너갔던 가수 왕수복판문점을 찾았고, 이난영을 자신과 같은 또래인데 작고하였다니 안타깝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때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즈는 공연이 잡혀있기도 했고, 한국으로 들어가면 비자 발급이 어려웠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즈는 1970년이 되어서야 묘소를 방문했다고 한다. 그녀는 목포 삼학도에 있는 이난영 공원에 묻혔다.[10]

2. 2. 1. 데뷔 (1933)

1932년 가을 무렵, 이난영은 태양극장에 가입해 막간가수로 서기 시작한다. 이때 태양극장의 극단장이었던 박승희가 이난영이라는 예명을 지어주었다. 오사카의 이마자토에서 공연을 하다가 불경기로 인해 극단이 해산되자, 어떤 흥업사에 발탁돼 연명했다. 오사카에서 이난영의 소문을 듣고 이난영을 찾고 있었던 오케레코드 사장 이철에게 스카웃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당시 태평레코드 전속작곡가였던 김준영은 다른 주장을 한다. 김준영은 태평레코드에서 춘향전 전집을 취입하기 위해 오사카에서 공연 중이던 태양극장의 박승희에게 허락을 받고 이난영과 태평레코드가 계약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어느 날 이봉룡이 나타나 오케레코드와 계약이 되었으니 이난영을 내놓으라고 했고, 이 문제로 언쟁이 일어났으나 미성년자와의 계약이라는 이유로 태평레코드와 해약되었다고 한다.

실제로 이난영의 데뷔곡은 태평레코드의 9월 신보로 발표되었던 〈시드는 청춘〉과 〈지나간 옛 꿈〉이었다. 오케레코드에서의 데뷔곡은 1933년 10월에 발표되었던 〈향수〉였다. 이난영의 아버지 이남순은 1933년 8월, 데뷔곡이 나오기 직전에 사망했다.

2. 2. 2. 목포의 눈물 (1934 ~ 1935)

오케레코드와의 전속 계약이 체결된 후 1933년 11월 〈불사조〉로 첫 히트를 치게 되었고, 1934년 2월에 취입한 〈봄맞이〉까지 히트가 되며 슬슬 유명해지기 시작한다. 그해 가을에는 도쿄 히비야 공회당에서 열렸던 전국 명가수 음악대회 유일한 한국인 가수로 혼자 출전하기까지 하였다. 1935년 초에는 오케레코드조선일보가 협업하여 제 1회 향토노래 현상(조선 10대도시경성, 평양, 개성, 부산, 대구, 목포, 군산, 원산, 함흥, 청진]찬가)을 모집해 3000대 1의 확률로 목포에 거주하고 있던 문일석(文一石)이라는 필명을 쓴 사람이 1등으로 당선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당선된 가사가 〈목포의 눈물〉과 〈부산 노래〉, 〈평양 행진곡〉이었고, 목포의 눈물의 당시 제목은 〈목포의 사랑〉이었으며, 후에 이철이 〈목포의 눈물〉로 이름을 고치게 된다. 여기에다 원래 고복수가 취입하려 작곡가 손목인이 만들어 놓았던 〈갈매기 우는 항구〉라는 멜로디에 〈목포의 눈물〉 가사를 넣게 되고, 손목인이 목포에 관한 노래이니 목포 출신 가수가 불러주었음 좋겠다 해서 가수가 이난영으로 바뀌게 된다. 〈목포의 눈물〉은 노래 녹음까지 순탄하게 흘러갔으나 2절의 첫 부분이었던 '삼백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라는 가사가 검열에 걸려서 '삼백련(三栢淵) 원안풍(願安風)은 노적봉 밑에'로 개사하고, 녹음은 개사 전 그대로 한체 1935년 9월 신보로 발표하게 된다. 목포의 눈물은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노래를 발표한지 한달 정도 된 1935년 10월 「삼천리」에서 조사한 10대 가수에 3위로 이름을 올리고, 5만장에 판매고 기록과 일본에서까지도 큰 반응을 얻게 된다. 이난영은 "목포의 눈물"의 원곡 가수였다.[8]

2. 2. 3. 목포의 눈물 이후 (1936 ~ 1938)

이난영은 〈목포의 눈물〉을 부른 이후 스타덤에 오르게 된다. 우리나라 최초의 음악 영화인 〈노래 조선〉을 촬영하였고, 1936년 4월에 개봉하게 된다. 그 사이에 같은 가수였던 김해송과의 로맨스에, 결혼도 하기전에 임신을 하게 되었다. 이철은 서둘러 둘의 결혼을 진행하게 되었고, 1936년 12월 24일 오후 네시에 경성의 요릿집이었던 식도원(食道園)에서 결혼식을 올리게 된다. 당시 주례는 연극인 이기세(李基世)였다. 이난영은 영화를 촬영하고 결혼을 준비하는 새에도 노래를 많이 취입하였는데, 1936년 초에 아버지를 그리워하는 마음을 담아서 〈아버지는 어데로〉를 취입하였다. 아버지가 아프면서도 궁핍한 처지에 약 한 번 주지 못하고 떠나간 것을 괴로워하던 이난영은 고향인 목포유달산을 언급하여 그 뜻을 전했다. 한편 〈목포의 눈물〉의 여파로 이난영은 오카 란코(岡 蘭子)라는 이름으로 1938년까지 일본에서의 활동을 보였다. 일본에서 낸 작품은 〈別れの船歌(목포의 눈물)〉, 〈アリランの唄(아리랑)〉, 〈春の歡喜(봄맞이)〉, 〈海のふるさと(봄강)〉 등이 있다. 1937년에는 오빠인 이봉룡과 같이 〈고향은 부른다〉를 불렀는데, 남편인 김해송이 작곡을 하였다. 김해송은 처남인 이봉룡에게 작곡을 알려주기도 하였다. 또한 1937년 12월 즈음에 〈해조곡〉을 취입하여 다시 한 번 히트를 하게 된다. 1938년에는 오케레코드에서 〈이난영걸작집〉이 발매되기도 하였는데, 곡이 끝날 적마다 배우 심영이 노래의 해설을 하는 형식으로 되어있다.

2. 2. 4. 조선악극단 (1939 ~ 1945)

1937년부터 2년간 콜럼비아레코드에 있었던 김해송은 1939년 다시 오케레코드로 복귀하면서 이난영을 위한 〈다방의 푸른 꿈〉을 작곡하였고, 〈다방의 푸른 꿈〉은 우리나라의 최초의 블루스 곡이라 불리며 큰 인기를 얻게 된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난영은 이봉룡이 작곡한 〈목포는 항구다〉를 42년에 불러서 히트를 했지만, 〈항구의 붉은 소매〉나 〈바다의 꿈〉 등 점점 미국의 창법(블루스, 재즈 등)을 사용한 노래가 많아질 때 즈음, 미국이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게 되며 일본은 미국의 창법을 노래하는 것을 금지시켰을 뿐더러, SP 레코드를 만드는 주 재료인 셸락이 군수물자로 지정되어 이난영 뿐만 아니라 레코드 사 전체에 침체기가 오게 된다.[4] 그래서 대부분의 가수들은 노래를 취입하는 것보단 연극 등을 하며 순회를 하며 돈을 벌게 된다. 오케레코드는 당시 '오케그랜드쇼단'이라는 공연단이 있었는데 1939년 3월에 일본의 순회 공연을 체결케 되고, 이난영도 그곳에 오르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오케그랜드쇼단'이라는 이름도 '조선악극단'으로 변경이 되었다. 또한 순회 공연을 하면서도, 일본 영화인 『사려 깊은 부인(思いつき夫人)』에 출연하기도 하였다. 이후 1943년 말부터 이난영은 김해송과 함께 약초(若草)가극단에 들어가 활동을 하게 되고, 광복 직전인 1945년 8월에는 만타 악극단에서 활동을 하기도 했다.[5]

2. 2. 5. 광복과 KPK 악극단 ~ 6.25 (1945 ~ 1953)

광복이 되던 날, 박시춘은 그날 밤에 무료 공연을 하였고, 금지됐던 재즈를 연주하였다고 한다. 이때 김해송은 KPK 악극단을 조직하게 된다. 이철이 1944년 사망하면서 흐지부지된 '조선악극단'을 이어가게 되는 것이다. KPK의 이름 뜻은 김해송, 백은선, 김정환(김정항)의 이니셜을 따 만들어진 것으로, 미군들의 위문공연을 자처하여 큰 인기를 끌었다. 주요 단원에는 이난영, 장세정, 심연옥, 신카나리아, 윤부길, 백설희, 계수남, 홍청자 등 유명인사들이 대거 출연하기도 했다. 대표 공연으로는 《로미오와 줄리엣》, 《칼멘 환상곡》, 《천리춘색》, 《천국과 지옥》 등이 있었다. 이 중 이난영은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로미오 역을 맡았고, 그 역할을 수행키 위해 머리카락을 짧게 자르기까지 하였으며, 《칼멘 환상곡》에서는 돈 호세 역을 맡기도 하였다. 한편 1947년 이난영은 남인수, 심연옥, 노명애, 계수남과 함께 해방 이후 최초로 나온 음반으로 알려져 있는 〈흘러온 남매〉를 고려레코드롤 통하여 취입하게 된다. 이 노래를 취입한 인물들은 모두 KPK 소속으로 이 곡이 《남남북녀》 라는 KPK 악극단의 주제곡이 아닐까라는 말이 있으나, 확실치는 않다.

K.P.K 악극단이 《로미오와 줄리엣》과 《칼멘 환상곡》을 마친지 얼마 지나지 않아서 한국 전쟁이 터지게 된다. 이때 미처 남쪽으로 피난을 하지 못했던 김해송이 납북이 된다. KPK 소속의 한 후배가 좌파사상을 가지고 있었는데, 미군의 위문 공연을 한 이유로 이를 바로 고발하였다. 이후 이난영은 서대문형무소에서 김해송을 만나기 위해 계속 빙빙 돌았으나, 결국 김해송을 만나지 못한 채 강제로 헤어지게 된다. 후에 북한에선 50년대 중반에 결핵으로 사망했다고 알려지기도 했다. 김해송을 만나지 못한 채 아이들을 데리고 부산으로 간 이난영은 미군의 위문공연을 다니면서 자녀들을 혹독하게 교육시키기 시작했다. KPK악극단은 이름을 이난영악단으로 바꾸었으나, 1년을 넘기지 못한 채 파산에 이르게 되었다.

2. 2. 6.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즈의 미국과 남인수 (1953 ~ 1962)



김시스터즈의 데뷔 무대는 1953년 미 8군 부대에서 이루어졌다. 원래 멤버는 이난영의 세 자녀인 영자와 애자, 숙자로 결성되려 하였으나, 데뷔하는 과정에서 맏언니였던 영자가 빠지고 조카인 민자가 들어오게 된다. 그렇게 세 명은 1959년 미국에까지 진출하게 된다. 그렇게 미국에서 성공해 설리번 쇼에도 22번 출연하고, 라스베이거스에서 많은 돈을 벌면서 생활하는 김시스터즈에 이어, 1961년에는 맏아들 영조를 제외한 영일, 상호, 태성이 각각 영일, 영호, 영성이라는 예명으로 김보이즈라는 그룹으로 활동하게 되어 미국으로 가게 된다.[1]

이난영은 남편인 김해송을 잃었고, 자녀들도 미국으로 가 외로움과 쓸쓸함은 배가 된다. 그런 이난영은 명동에서 신카나리아가 운영하고 있었던 카나리아다방을 자주 가게 된다. 옛 동료들이 늘 있었기 때문인데, 그녀의 유일한 즐거움은 이곳에서 나왔다. 1957년에는 동료 가수였던 고복수의 은퇴 공연이 성대하게 치루어지면서 이난영도 그곳에서 목포의 눈물을 부르게 된다. 이난영은 그날 목포의 눈물 1절과 3절을 불렀는데, 3절에 와서는 그동안의 설움이 터지며 눈물을 흘리면서 노래를 하게 되고, 그 때 부른 목포의 눈물은 이난영의 목포의 눈물 중 최고의 절창으로 뽑히고 있다.

한편 이난영은 술과 아편 등에 절어 피폐한 삶을 보내는 와중에 남인수와 사랑이 싹트게 된다. 가끔씩 남인수의 병수발을 들러 오던 이난영이 눈에 맞게 된 것인데, 남인수와의 사랑은 남인수의 심각한 결핵으로 인해 오래 가지 못하였다. 비록 짧은 세월이었지만, 이난영과 남인수는 크게 사랑 하였고, 남인수는 병상에 있는 채로 〈눈 감아 드리오리〉를 취입하게 된다. 반야월 작사에 이봉룡 작곡으로, 둘의 사랑을 알고 있는 반야월과 이봉룡이 노래를 만들어 준 것이다. 결국 남인수는 이난영의 무릎을 벤 채로 사망하게 되며, 이난영은 더욱 심한 우울증으로 고생을 하게 된다.

2. 2. 7. 말년과 사망 (1962 ~ 1965)

남인수가 사망하고, 자녀들의 계속된 요청에 따라 1962년 12월 22일 서울을 떠났다. 이난영은 김시스터즈와 함께 미국 TV쇼에 출연하기도 하고, 하와이에서 목포의 눈물을 부르기도 하였으나, 미국의 음식에 적응하지 못한 김시스터즈를 위해 김밥을 만들어 주는 등 뒷바라지를 하다가 1963년 8월 24일에 다시 귀국했다. 그 후 이난영은 몇몇 행사에 참여했으나, 예전에 비해 활동이 크게 줄었고, 1965년 3.1절 기념 가요 40년제에 출연한 것을 마지막으로 더 이상 출연하지 않다가 1965년 4월 11일 새벽 6시 서울 회현동 자택에서 사망하였다. 사인은 알코올 중독으로 인한 심장마비 혹은 자살로 추정되며, 영결식은 4월 15일 한국 연예인협회장으로 치러졌다.[1] 영결식에는 수많은 가수들이 참석해 슬퍼하였고, 한 달이 지난 5월에는 광복 후에 북으로 건너갔던 가수 왕수복판문점을 찾았고, 이난영을 자신과 같은 또래인데 작고하였다니 안타깝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이때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즈는 공연이 잡혀있기도 했고, 한국으로 들어가면 비자 발급이 어려웠기 때문에 참석하지 못하였다고 한다. 김시스터즈와 김보이즈는 1970년이 되어서야 묘소를 방문했다고 한다. 그녀는 목포 삼학도에 있는 이난영 공원에 묻혔다.[10]

3. 이난영이 부른 노래

이난영은 데뷔를 한 1933년 하반기부터 태평양 전쟁의 군수 물자로 인해 광복 전까지 음반을 내지 못했던 1944년과 1945년을 제외하고는 거의 매달 한두 개의 음반을 발매하였다. 이난영은 총 200개가 넘는 곡을 부르게 되어 일제강점기 때 가장 많은 음반을 낸 가수가 되었다.

4. 친일 논란

이난영이 부른 군국가요는 현재까지 두 곡이 발견되었다. 1943년 11월에 발매된 〈이천오백만 감격〉과 1942년 1월에 오케레코드에서 발매한 군국가요 모음집 「오케- 가요극장」의 〈신춘엽서〉이다. 민족문제연구소친일인명사전 등재 기준으로 적극성, 반복성, 중복성, 지속성을 고려했는데, 이난영은 조선 징병제 시행 기념곡 〈이천오백만 감격〉에서 후렴구만 불렀고, 독창곡 〈신춘엽서〉를 포함해도 두 곡에 불과하여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지 않았다.

이난영 기념 사업회는 목포에서 시민 토론회를 열어 이난영의 행적을 대중음악적, 사회와 역사적 관점에서 평가하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한편, 남편 김해송남인수, 오빠 이봉룡을 비롯하여, 장세정, 이철, 반야월, 박시춘, 이재호 등 많은 동료 음악인들이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5. 가족 관계

이난영의 아버지는 이남순(李南順)이고, 어머니는 박소아(朴小兒)이다.[1] 오빠는 이봉룡(李鳳龍)이며, 조카는 이민자(李民子)이다.[1]

1937년 가수이자 작곡가, 지휘자였던 金海松/김해송한국어과 결혼했다.[1] 김시스터즈의 김숙자와 김애자를 포함하여 슬하에 7명의 자녀를 두었다.[1] 한국 전쟁 중 남편 김해송(金海松)은 북한군에게 체포되어 사망했다.[9] 이후 이난영은 자녀들과 함께 미군 앞에서 노래를 부르며 돈을 벌었고, 큰딸 영자, 숙자와 함께 부산 나이트클럽에서 공연하기도 했다.[9]

6. 대중문화 속 이난영


  • 2016년 영화 해어화에서 차지연이 이난영을 연기했다.

7. 기타

1941년 오케레코드 주최로 이난영의 가수 생활 10년 기념 표창장과 공연이 열렸다. 1958년에는 독고성, 전옥, 최봉, 황해 주연의 영화 『목포의 눈물』이 방영되었다. 1964년에는 이난영의 일대기를 담은 김진규, 남궁원, 최은희 주연의 영화 『님은 가시고 노래만 남어』가 방영되었다.

1968년 제1회 난영가요제가 개최되었다. 주최자는 호남매일신문사였으나 후에 목포문화방송으로 바뀌었다. 1969년 유달산목포의 눈물 노래비가 건립되었다. 목포시 대안동에서 악기점을 하던 박오주가 600만원을 기증하여 세워진 노래비로, 국내 최초의 대중가요 노래비였다. 같은 해 이난영과 남인수를 주제로 한 영화 『이 강산 낙화유수』가 개봉되었으며, 김진규, 문정숙, 최성호, 박암이 주연을 맡았다.

1986년, 이난영은 사후 21년 만에 목포시 시민의 상(교육문화부분)을 수상하였다. 1991년에는 폐지되었던 난영가요제가 다시 개최되었다. 2003년 목포 양동 이난영 생가에 소공원이 조성되었고, 소공원에는 이난영의 흉상이 있다. 2005년에는 이난영 기념사업회가 발족되었다. 2006년 경기도 파주에 있던 이난영 묘지를 삼학도 난영공원으로 이전하고, 난영공원에 〈목포는 항구다〉 노래비가 건립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Hallyu in the Sixties https://www.koreatim[...] 2013-10-06
[2] 웹사이트 Origins of Korean pop http://koreajoongang[...] 2016-02-05
[3] 웹사이트 Roots of K-pop http://www.koreatime[...] 2013-10-31
[4] 웹사이트 항구의 딸로 목포에서 태어나다 http://www.ohmynews.[...] 2006-03-30
[5] 웹사이트 From Seoul to Las Vegas: story of the Kim Sisters https://www.koreatim[...] 2011-09-21
[6] 웹사이트 Girl Groups in Korean Pop Music History http://world.kbs.co.[...] KBS World Radio 2012-05-29
[7] 웹사이트 History of K-pop girl bands (from 1930s to present) http://www.koreatime[...] 2016-03-24
[8] 서적 Hearts of Pine: Songs in the Lives of Three Korean Survivors of the Japanese "Comfort Women"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9] 잡지 Before K-pop Hit U.S. Shores, The Kim Sisters Were An American Musical Sensation https://charactermed[...] 2014-06-16
[10] 웹사이트 Embracing pain, looking ahead in Mokpo http://www.koreahera[...] 2010-03-3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