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면실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면실유는 목화 씨앗에서 추출한 식물성 기름으로, 고대부터 약이나 등유로 사용되었지만, 상업적으로는 근대에 들어 튀김용 기름 등으로 활용되기 시작했다. 19세기에는 수소화 기술을 통해 쇼트닝 제품인 크리스코의 주요 성분으로 사용되면서 식용유 사용을 대중화하는 데 기여했다. 20세기 중반 이후 콩기름에 밀려 사용량이 감소했으나, 최근 트랜스 지방 섭취를 피하려는 경향과 일부 지역의 규제 강화로 소비가 증가했다. 면실유는 식품, 농업,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특히 뇌종양 치료와 심장병 예방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면섬유 - 문익점
    문익점은 고려 말 문신으로, 원나라에서 목화씨를 들여와 전국에 보급하여 백성들의 의생활 향상에 기여했으며, 성균관 대사성을 지내고 조선 시대에 참지의정부사로 추증되었다.
  • 면섬유 - 모슬린
    모슬린은 이라크 모술에서 유래된 섬세하고 가벼운 평직 면직물로, 17세기 인도 다카에서 생산되어 유럽으로 수출되었으며, 의류, 요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된다.
  • 식물성 기름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식물성 기름 - 피마자유
    피마자유는 피마자 씨앗에서 추출한 리시놀레산이 주성분인 담황색의 점성 액체로, 완하제 및 윤활유, 코팅제, 바이오디젤 생산 원료 등 다양한 공업적 용도로 사용되지만, 독성 물질인 리신을 함유하여 식용으로는 부적합하며 과거 체벌이나 고문에도 악용되었다.
  • 식용유 - 마가린
    마가린은 식물성 또는 동물성 유지를 가공하여 만든 버터 대체품으로, 다양한 종류와 용도로 생산되며 트랜스 지방산, 포화 지방산, 콜레스테롤 함량 등 여러 측면에서 논의가 이루어진다.
  • 식용유 - 버터
    버터는 우유 지방을 분리하여 만든 유제품으로, 고대부터 사용되었으며 종교 의식에도 사용되었고, 현재는 다양한 종류로 요리, 베이킹 등에 활용되지만 건강 논란도 있다.
면실유 - [음식]에 관한 문서
일반 정보
면실유
조리법면실유
영양 정보 (100g 당)
0g
에너지3699kJ
단백질0g
지방100g
탄수화물0g
섬유질0g
설탕0g
칼슘0mg
철분0mg
마그네슘0mg
0mg
칼륨0mg
나트륨0mg
아연0mg
셀레늄0μg
비타민 C0mg
티아민0mg
리보플래빈0mg
니아신0mg
판토텐산0mg
비타민 B60mg
엽산0ug
콜린0.2mg
비타민 B120
비타민 A0ug
베타카로틴0ug
루테인0ug
비타민 E35.3mg
비타민 D0IU
비타민 K24.7ug
포화 지방25.9g
단일 불포화 지방17.8g
다중 불포화 지방51.9g

2. 역사

면실유는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 약이나 등잔기름으로 사용되었으나,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대 이후의 일이다.[39] 19세기 후반까지 면실은 면화 가공의 부산물로 거의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졌다.[10] 그러나 나폴레옹대륙봉쇄령(1806~14)에 맞선 영국의 해상봉쇄와 산업 혁명으로 인해 유럽에서 기름 부족 현상이 발생하면서 면실유의 가치가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1820년대와 1830년대, 유럽은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공업용 및 식용 기름 수요가 증가했지만,[43]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했다. 이에 따라 버려지던 면화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려는 상업적 시도가 있었으나, 면화씨 껍질을 대량으로 분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43] 이 문제는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효과적인 분쇄기를 발명하면서 해결되었다.[44][45]

1883년 미시시피 주 나체스에 면실유 제분소가 세워지는 등[39] 면실유가 대량생산되자, 상대적으로 비싼 고래 기름과 라드(돼지기름)를 대체하여 조명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6] 남북전쟁 이후에는 면실유 산업이 더욱 성장하였다.[39]

19세기 말,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는 고온에서 유기물에 수소를 혼합하는 수소화 기법을 개발했다. 에드윈 케이서는 이 수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고체화하는 데 성공하고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였다.[48] P&G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반고체화시킨 식용 쇼트닝 크리스코(Crisco)를 개발, 1911년부터 판매를 시작했다.[49]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크리스코는 시장 공략에 성공했고, 면실유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50] 일반 가정에서도 튀김 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식용유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다양한 브랜드 이름으로 판매된 면실유 쇼트닝은 19세기 후반에 라드를 대체하는 주요 대체품으로 등장했다. (1912년 광고)


그러나 1944년에 목화씨 부족과 대두유 가격 저렴해지면서 콩기름이 식용유 시장을 점유해 나갔고,[46] 1940년대 후반에 콩기름이 면실유를 대체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 지방 섭취를 피하려는 소비자 트렌드와 트랜스 지방 의무 표시제 시행으로 면실유 소비가 다시 증가했으며,[15] 크리스코를 비롯한 여러 생산자들은 면실유를 재구성하여 트랜스 지방 함량을 줄였다.[18]

1982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참치캔 제품을 선보일 때 면실유를 사용했었다.[51]

2. 1. 고대와 근대 초기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 면실유는 약이나 등잔기름으로 이용되었지만,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대 이후의 일이다.[39] 상업적 대량생산 이전에도 소규모로 생산된 면실유는 미국 남부의 흑인 노예들이 치킨을 튀기거나,[40] 영국에서 피시앤칩스를 조리하는 데 사용되는 등 식품 조리에 사용되었다.[41][42]

나폴레옹대륙봉쇄령(1806~14)에 맞선 영국의 해상봉쇄로 인해 유럽인들은 기름 공급 부족을 겪었다. 1820년대와 1830년대에는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공업용 및 식용 기름 수요가 더욱 증가했다.[43]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자, 거의 버려지던 면화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려는 상업적 시도가 있었으나, 면화씨 껍질을 대량으로 분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43] 이 문제는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효과적인 분쇄기를 발명하면서 해결되었다.[44][45]

1883년 미시시피 주 나체스에 면실유 제분소가 세워지는 등,[39] 면화씨를 이용한 면실유가 대량생산되자 상대적으로 비싼 고래 기름과 라드(돼지기름)를 대체하여 불을 켜거나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6] 남북전쟁 이후에는 면실유 산업이 더욱 성장하였다.[39]

19세기 말,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는 고온에서 유기물에 수소를 혼합하는 수소화 기법을 개발했다.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면실유를 고형화하기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과 혼합해야 했으나,[47] 에드윈 케이서는 수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름을 고체화하는 데 성공한 후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였다.[48] 미국 기업 P&G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반고체화시킨 식용 쇼트닝 제품을 개발한 후, 1911년부터 크리스코라는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했다.[49]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 공략에 성공하자 면실유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50] 일반 가정에서도 튀김 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식용유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2. 2. 산업화와 면실유 생산 증가

나폴레옹대륙봉쇄령(1806~14)에 맞선 영국의 해상봉쇄로 유럽은 기름 공급 부족을 겪었다. 1820년대와 1830년대에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공업용과 식용 기름 수요는 더욱 증가했다.[43]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자, 거의 버려지던 면화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려는 상업적 시도가 있었으나 면화씨 껍질을 대량으로 분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43] 이 문제는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효과적인 분쇄기를 발명하면서 해결되었다.[44][45]

1883년 미시시피 주 나체스에 면실유 제분소가 세워지는 등[39] 면화씨를 이용한 면실유가 대량 생산되자, 상대적으로 비싼 고래 기름과 라드(돼지기름)를 대체하여 불을 켜거나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6] 남북전쟁 뒤에는 면실유 산업이 더욱 성장하였다.[39]

19세기 말,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가 고온에서 유기물에 수소를 혼합하는 수소화 기법을 개발했다.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면실유를 고형화하기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과 혼합해야 했으나,[47] 에드윈 케이서는 수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름을 고체화하는 데 성공한 후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였다.[48] 미국 기업 P&G가 이 방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반고체화시킨 식용 쇼트닝 제품을 개발한 후, 1911년부터 크리스코(Crisco)라는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했다.[49]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시장 공략에 성공하자 면실유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50] 일반 가정에서도 튀김 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식용유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1944년에 목화씨 부족과 콩기름 가격이 저렴해지면서 콩기름이 식용유 시장을 점유해 나갔고,[46] 1940년대 후반에 콩기름이 면실유를 대체했다.

2. 3. 면실유의 전성기와 쇠퇴

고대 중국과 인도에서 면실유는 약이나 등잔기름으로 이용되었지만, 상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근대의 일이다.[39] 상업적 대량생산 이전에도 소규모로 생산된 면실유는 미국 남부의 흑인 노예들이 치킨을 튀기거나,[40] 영국에서 피시앤칩스를 조리하는 데 사용되었다.[41][42]

나폴레옹대륙봉쇄령(1806~14)에 맞선 영국의 해상봉쇄로 인해 유럽은 기름 공급 부족을 겪었다. 1820년대와 1830년대에는 산업화와 근대화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여 공업용과 식용 기름의 수요가 더욱 증가했다.[43]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자, 버려지던 면화씨에서 기름을 추출하려는 상업적 시도가 있었으나, 면화씨 껍질을 대량으로 분쇄하는 것은 쉽지 않았다.[43] 이 문제는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효과적인 분쇄기를 발명하면서 해결되었다.[44][45]

1883년 미시시피 주 나체스에 면실유 제분소가 세워지는 등,[39] 면실유가 대량생산되자 상대적으로 비싼 고래 기름과 라드(돼지기름)를 대체하여 조명이나 산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46] 남북전쟁 이후에는 면실유 산업이 더욱 성장하였다.[39]

19세기 말, 프랑스의 화학자 폴 사바티에는 고온에서 유기물에 수소를 혼합하는 수소화 기법을 개발했다. 상온에서 액체 상태를 유지하는 면실유를 고형화하기 위해서는 동물성 지방과 혼합해야 했으나,[47] 에드윈 케이서는 수소화 기법을 이용하여 기름을 고체화하는 데 성공한 후 미국에 특허를 출원하였다.[48] 미국 기업 P&G는 이 방법을 이용하여 면실유를 반고체화시킨 식용 쇼트닝 제품을 개발한 후, 1911년부터 크리스코(Crisco)라는 브랜드로 판매를 시작했다.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 공략에 성공하자 면실유 소비량이 크게 증가하면서,[50] 일반 가정에서도 튀김 요리를 할 수 있을 정도로 식용유 사용이 대중화되었다.

1944년에 목화씨 부족과 콩기름 가격 저렴해지면서 콩기름이 식용유 시장을 점유해 나갔고,[46] 1940년대 후반에 콩기름이 면실유를 대체했다.

1982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참치캔 제품을 선보일 때 면실유를 사용했었다.[51]

2. 4. 최근 동향

19세기 후반까지 면실은 면화 가공 과정에서 나오는 쓸모없는 부산물로 여겨졌다.[10] 1820년대와 1830년대 유럽에서는 산업 혁명으로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나폴레옹 전쟁 중 영국의 봉쇄로 인해 지방과 기름이 부족해져 가격이 크게 올랐다.[11] 이러한 상황에서 미국의 여러 기업가들은 면실에서 기름을 추출하려 했으나, 면실 껍질을 분리하는 어려움 때문에 대부분 실패했다.[11]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면실 껍질 분쇄기를 발명하면서 면실유 대량 생산이 가능해졌다.[12] 면실유는 고래 기름이나 라드를 대체하여 조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0] 그러나 1859년 석유 산업의 등장과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해 면실유 산업은 잠시 주춤했다.[10]

이후 면실유는 동물성 지방과 라드를 강화하는 데 몰래 사용되기도 했다.[10] 1884년, 미국의 Armour and Company사가 라드 시장을 장악하려다 면실유를 혼합한 사실이 밝혀져 의회 조사를 받았다.[10] 이 사건으로 면실유 혼합 제품에는 "라드 혼합물"이라는 표시를 해야 한다는 법률이 통과되었다.[11] 면실유는 올리브유와 섞어 판매되기도 했는데,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여러 국가에서 미국산 올리브유에 수입 관세를 부과하거나 수입을 금지했다.[11]

Procter & Gamble사는 1837년 공황으로 촛불과 비누 제조 사업을 합병하면서 값싼 동물성 지방 대체재로 면실유를 선택했다.[10] 이들은 면실유 시장을 선점하고, 특허 기술을 통해 면실유를 수소화하여 라드와 유사한 물질을 개발했다.[10] 1911년, P&G는 식물성 쇼트닝 크리스코(Crisco)를 출시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쳐 큰 성공을 거두었다.[13] 크리스코는 "동물성 지방보다 건강에 좋다"는 광고 문구와 함께 무료 요리책 배포, 라디오 요리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펼쳤다.[14] 1899년에는 데이비드 웨슨(David Wesson)이 탈취된 면실유인 Wesson 식용유를 개발하여 인기를 얻었다.[11]

이후 30년 동안 면실유는 미국에서 주요 식용유로 자리 잡았다.[10]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면실유 부족과 대두유 가격 하락으로 인해 대두유가 면실유를 대체하기 시작했다.[10] 1950년에는 대두유가 쇼트닝 시장에서도 면실유를 대체했다. 면화 재배 면적이 옥수수와 대두로 대체되면서 면실 가격도 상승했다.[10]

200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 지방 섭취를 피하려는 소비자 트렌드와 트랜스 지방 의무 표시제 시행으로 면실유 소비가 다시 증가했다.[15] 크리스코를 비롯한 여러 생산자들은 면실유를 재구성하여 트랜스 지방 함량을 줄였다.[18]

1982년 한국에서 처음으로 참치캔 제품을 선보일 때 면실유를 사용했었다.[51] 1995년–1997년 전 세계 평균 면실유 생산량은 약 400만 톤이다. 일본 국내 생산량은 6000–7000톤으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을 포함해 연간 약 2만 톤이 소비되고 있다.

3. 성분 및 특성

면실유는 조제유(粗製油) 상태에서는 갈색 또는 녹갈색을 띠고, 정제유(精製油) 상태에서는 연한 노란색이나 무색을 띠며 냄새가 없다. 비누화값은 190~200, 아이오딘값은 90~120이다. 면실유를 냉각하여 고지분(固脂分: 포화산글리세리드로서 ‘스테아린’이라 한다)을 제거한 기름을 윈터오일(winter oil), 고지분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서머오일(summer oil)이라 한다.[54]

가공된 면실유는 순한 맛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맑고 옅은 황금색을 띠는데, 색상은 정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7] 튀김에 사용하기 좋은 높은 발연점을 가지는데, 다른 장쇄 지방산 오일과 마찬가지로 약 약 232.2°C의 발연점을 가진다.[5] 또한, 토코페롤이 풍부하여 안정성이 높고, 이를 함유한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려주기 때문에 제조업체들이 포장 식품에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미시시피 면실유 회사 종자 창고, 미시시피주 잭슨

3. 1. 지방산 조성

조제유(粗製油)는 갈색 또는 녹갈색이고, 정제유(精製油)는 연한 노란색 또는 무색이며, 냄새가 없다. 비누화값은 190∼200, 아이오딘값은 90∼120이다. 지방산 조성의 한 예로, 리놀레산 35~55%, 올레산 15~35%, 팔미트산 23%, 그리고 소량의 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아라키돈산 등을 함유한다.[54]

일반적으로 면실유는 불포화 지방산이 70%(단일 불포화 지방산 18%, 다중 불포화 지방산 52%)를 차지하며, 포화 지방산은 26%를 차지한다.[3] α-리놀렌산은 비교적 적게 함유되어있다. 정제 면실유는 아이오딘값 102–120의 반건성유이다.

면실유의 지방산 조성[38]
지방산비율(%)
리놀레산50–60
팔미트산20–30
올레산약 20
스테아르산미리스트산몇 %


3. 2. 물리적 특성

조제유(粗製油)는 갈색 또는 녹갈색이고, 정제유(精製油)는 연한 노란색 또는 무색이며, 냄새가 없다. 비누화값은 190∼200, 아이오딘값은 90∼120이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 35~55%, 올레산 15~35%, 팔미트산 23%, 그리고 소량의 미리스트산·스테아르산·아라키돈산 등을 함유한다. 면실유를 냉각하여 고지분(固脂分: 포화산글리세리드로서 ‘스테아린’이라 한다)을 제거한 기름을 윈터오일(winter oil), 고지분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서머오일(summer oil)이라 한다.[54]

가공된 면실유는 순한 맛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맑고 옅은 황금색을 띤다. 색상은 정제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7] 밀도는 0.917g/cm3에서 0.933g/cm3 범위이다.[8] 다른 장쇄 지방산 오일과 마찬가지로 면실유는 약 약 232.2°C의 발연점을 가지며,[5] 토코페롤이 풍부하여 안정성에 기여한다. 이는 면실유를 함유한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려준다.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 50%–60%, 팔미트산 20%–30%, 올레산 약 20% 외에 스테아린산 및 미리스틴산이 몇 %[38] 함유되어 있다. α-리놀렌산은 비교적 적다. 정제 면실유는 요오드값 102–120의 반건성유로, 발연점은 233°C, 인화점은 315°C이다. CAS 등록 번호는 [8001-29-4], 검화값은 190–197, 비중은 0.916–0.922이다.

식물성 기름의 성분
유형가공포화지방산단일불포화지방산고도불포화지방산발연점
전체올레전체α-리놀렌리놀레ω-6:3
면실유25.917.81951.915454:1216°C


3. 3. 유해 성분: 고시폴

조제유(粗製油)는 갈색 또는 녹갈색이고, 정제유(精製油)는 연한 노란색 또는 무색이며, 냄새가 없다. 고시폴은 목화오크라와 같은 아욱과 식물에서 생산되는 독성 노란색 폴리페놀 화합물이다.[5] 이 자연 발생 색소 화합물은 목화 식물의 씨앗, 잎, 줄기, 뿌리 껍질 및 뿌리의 작은 분비샘에서 발견된다. 이 화합물의 적응 기능은 자연적인 곤충 저항을 돕는다.

정제, 표백, 탈취와 같은 세 가지 주요 단계를 거쳐 완제품 오일을 생산하는데, 이러한 단계는 고시폴 수준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염화 철은 면실유의 탈색에 자주 사용된다.[6]

4. 생산

1941년, 루이지애나주 슈리브포트의 면실유 공장


면실유 생산은 19세기에 미국 및 유럽에서 시작되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두유 생산량 증가로 감소했다. 1995년–1997년 전 세계 평균 생산량은 약 400만 톤이다. 일본 국내 생산량은 6000–7000톤으로,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을 포함해 연간 약 2만 톤이 소비되고 있다. 가열 시 비교적 산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과자튀김 등 튀김 요리와 참치 통조림의 기름 절임용으로도 사용된다. 쇼트닝이나 식물성 크림 등의 가공 유지 원료로는 가격이 비싸 사용이 감소했으며, 1996년에는 약 7000톤이 소비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는 오사카부 가시와라시의 오카무라 제유(岡村製油)가 유일하게 제조·판매하고 있다.[9]

4. 1. 생산 방식

면실유는 다른 식물성 기름과 마찬가지로 식물의 씨앗에서 추출되며, 압착이나 프레스와 같은 기계적 과정[22] 또는 용매 추출과 같은 화학적 과정을 통해 추출된다.[23] 면실유는 상업적으로 용매 추출을 통해 가장 일반적으로 추출된다.[24]

면실유 가공 단계

4. 2. 주요 생산 국가

면실유 생산량 (2019년)[9]
국가백만 톤
중국1.28
인도1.20
파키스탄0.32
브라질0.28
미국0.22
터키0.21
전 세계4.45



2019년 세계 면실유 생산량은 총 445만 톤이었으며, 중국인도가 전체 생산량의 56%를 차지하며 선두를 달렸다.[9]

5. 용도

면실유는 가열해도 산화되기 어려운 특성이 있어 과자, 튀김 등 튀김 요리와 참치 통조림의 기름 절임용으로 사용된다. 쇼트닝이나 식물성 크림 등의 가공 유지 원료로는 가격이 비싸 사용이 감소했다. 일본에서는 오사카부 가시와라시의 오카무라 제유(岡村製油)가 유일하게 제조·판매하고 있다.[10]

5. 1. 식품



면실유는 면화 가공의 부산물인 면실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19세기 후반까지는 거의 쓸모없는 것으로 여겨졌다.[10] 1820년대와 1830년대 유럽에서는 산업 혁명으로 인한 인구 증가와 나폴레옹 전쟁의 여파로 지방과 기름이 부족해져 가격이 급등했다.[11] 이에 따라 많은 미국 기업가들은 면실에서 기름을 추출하여 유럽의 수요를 충족시키려 했으나, 씨앗 껍질 분리의 어려움으로 인해 대부분 실패했다.[11]

1857년 윌리엄 피(William Fee)가 씨앗 껍질 분리기를 특허받으면서 면실유는 고래 기름과 라드를 대체하여 램프 조명용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12] 그러나 1859년 석유 산업의 등장과 미국 남북 전쟁으로 인한 면화 산업 혼란으로 이러한 사용은 중단되었다.[10] 이후 면실유는 동물성 지방과 라드를 강화하는 데 불법적으로 사용되다가 1884년에 밝혀졌고, '라드 혼합물'로 표시해야 한다는 법률이 통과되었다.[11]

Procter & Gamble은 면실유 가격 하락을 기회로 삼아 촛불 및 비누 제조에 사용했다.[11] 이후 특허 기술을 통해 면실유를 수소화하여 라드와 유사한 식물성 쇼트닝 Crisco를 개발했다.[10] 1911년, Crisco는 "소화가 쉽고, 건강하며, 경제적"이라는 광고와 함께 대대적인 마케팅 캠페인을 통해 라드의 대체품으로 홍보되었다.[13][14] 1899년에는 데이비드 웨슨(David Wesson)이 탈취된 면실유인 Wesson 식용유를 개발하여 역시 큰 인기를 얻었다.[11]

그 후 30년 동안 면실유는 미국의 주요 식용유가 되었으나,[1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대두유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면실유 생산량은 감소했다.[10] 1950년까지 대두유는 쇼트닝에서 면실유를 대체했고, 면실 가격도 상승했다.[10]

2000년대 중반 이후 트랜스 지방 기피 현상으로 면실유 소비가 다시 증가했으며,[15] 일부 건강 전문가들은 면실유를 건강한 오일로 권장하기도 한다.[16] 그러나 일각에서는 면실유의 고도 불포화 지방 비율과 가공 특성 때문에 건강에 해롭다고 주장한다.[19]

면실유는 전통적으로 감자 칩과 같은 식품에 사용되었고, 한때 쇼트닝 제품인 크리스코의 주요 성분이었으나, 현재 크리스코는 주로 대두유와 팜유로 만들어진다.[25] 올리브 오일이나 카놀라유보다 저렴한 면실유는 레스토랑 및 스낵 식품 제조업체에서 인기 있는 튀김 기름이었다.[26]

식용유, 샐러드유, 마가린 및 쇼트닝 생산에 사용된 면실유는, 미국에서 프록터 앤드 갬블의 올레스트라 및 올레인 제품에 사용되어 튀김 음식의 크리미한 질감과 풍부한 풍미를 내는 소화 불가능한 지방 대체재였다.[27]

2015년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부분 경화 면실유를 포함한 부분 경화유 (PHOs)가 일반적으로 안전하다고 인정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28] 이후 2023년 12월 22일, FDA는 식품에서 PHOs 사용 폐지에 대한 최종 행정 조치를 완료하여, 2021년 1월 1일부로 부분 경화 면실유의 GRAS 지위는 사실상 상실되었다.[29][30][31]

일본에서는 면실유가 가열 시 산화되기 어렵기 때문에 과자튀김 등 튀김 요리와 참치 통조림의 기름 절임용으로 사용된다. 쇼트닝이나 식물성 크림 등의 가공 유지 원료로는 가격이 비싸 사용이 감소했다. 일본 내에서는 오사카부 가시와라시의 오카무라 제유(岡村製油)가 유일하게 제조·판매하고 있다.

5. 2. 비식품

농업 분야에서 면실유는 일반적으로 모든 식물성 기름 중에서 가장 강력한 살충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2] 과수에서 치료하기 어려운 해충 문제를 해결하는 데 효과적이어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다. 면실유는 또한 더 넓은 범위의 해충을 방제하고 통제력을 높이기 위해 다른 살충제와 혼합될 수 있다. 잎응애, 흰파리 및 어린 깍지벌레는 면실유를 사용하여 방제할 수 있는 일반적인 해충이다.[32]

처리되지 않은 면실유의 독성은 농업적 맥락에서 유익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식물성 기름을 포함한 오일은 수세기 동안 곤충 및 진드기 해충을 방제하는 데 사용되어 왔다.[33] 최근에는 면실유가 사과나무의 줄기를 사과유리나방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사용되었는데, 이 나방은 나무 껍질 속으로 파고 들어가 잠재적으로 나무를 죽일 수 있다.[34] 면실유는 일반적으로 식물성 기름 중에서 가장 살충력이 강한 것으로 간주된다.[33]

6. 치료 효과 (연구 중)

앨라배마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면실유에서 추출한 치료제를 실험적으로 사용해본 결과 다형성 교모세포종을 치료하는데 현저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목화씨에 함유된 유효한 성분으로 만든 알약인 AT-101을 이용해서 제2상 임상실험을 한 결과, 악성세포가 제멋대로 성장하는 것을 억제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성분으로 치료받은 56명의 환자 중 많은 사람들이 뇌종양의 진행이 멈추었다.[52]

미시간대학에서 동물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면실유에서 추출한 성분이 전립선암 치료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밝혀졌고, 다른 암 치료 효과도 높여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53] 텍사스 의료센터의 연구 결과 면실유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고 자연적으로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면실유를 복용하면 심장병 치료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한다.[52]

7. 규제

캐나다에서 면실유는 목화(`Gossypium`) 씨앗에서 압착해야 한다. 단일 공급원 식물성 기름으로서, 100% 면실유는 판매되는 모든 제품의 라벨에 "면실유"로 표시되어야 한다.[20]

식용 제품으로 판매되는 면실유는 고시폴과 같이 식품 안전 위험을 나타낼 수 있는 특정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 가공 및 정제되어야 한다. 고시폴은 인간에게 독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남성의 불임을 유발할 수 있다.[21]

참조

[1] 웹사이트 Texas is Cotton Country http://cotton.tamu.e[...] 2013-10-23
[2] 웹사이트 Twenty Facts About Cottonseed Oil from cotton plant http://www.cottonsee[...] National Cottonseed Products Association
[3] 웹사이트 Basic Report: 04502, Oil, cottonseed, salad or cooking http://ndb.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4] 웹사이트 Nutrient data for 04702, Oil, industrial, cottonseed, fully hydrogenated http://ndb.nal.usda.[...]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2-02-13
[5] 서적 Bailey's Industrial Oil and Fat Products, Edible Oil and Fat Products: Oils and Oilseeds Wiley
[6] 논문 Research abstract: Southern Regional Research Laboratory
[7] 웹사이트 Cottonseed oil http://www.cottonsee[...] National Cottonseed Products Association 2010-11-29
[8] 웹사이트 Cottonseed oil http://www.tis-gdv.d[...] Transport Information Service, Gesamtverband der Deutschen Versicherungswirtschaft e.V. 2012-08-06
[9] 웹사이트 Cottonseed oil production in 2019, Crops/Regions/World list/Production Quantity (pick lists) https://www.fao.org/[...] UN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Corporate Statistical Database ([[FAOSTAT]]) 2022-01-01
[10] 문서 Cottonseed oil. https://doi.org/10.1[...]
[11] 논문 The Rise of the American Cottonseed Oil Industry
[12] 특허 US patent 17961A
[13] 뉴스 How Vegetable Oils Replaced Animals Fats in the American Diet.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4-26
[14] 웹사이트 Crisco Corporate Historical Timeline http://www.crisco.co[...] J.M. Smucker Co
[15] 뉴스 Cottonseed Oil Production, Consumption On The Rise - Crushers expect over 100 million pound increase. http://www.cotton247[...] 2009-09-12
[16] 서적 Eat, Drink, and Be Healthy: The Harvard Medical School Guide to Healthy Eating Free Press
[17] 웹사이트 Health Bulletin: Healthy Heart - Eat Less Trans Fat http://www.nyc.gov/h[...] 2005-03-01
[18] 뉴스 Crisco drops trans fats from shortening formula https://web.archive.[...] 2007-01-25
[19] 웹사이트 3 Best and Worst Oils For Your Health http://www.bonappeti[...] Bon Appetit Magazine 2012-01-27
[20] 웹사이트 Labelling Requirements for Fats and Oils https://inspection.c[...] 2014-02-18
[21] 웹사이트 Cottonseed Oil and Food Safety https://www.cfs.gov.[...] 2018-08-07
[22] 웹사이트 Cottonseed Oil Extraction https://www.oilexpel[...] 2019-04-18
[23] 논문 Physical refining of edible oils 2000-08-01
[24] 논문 Comparative Extraction of Cottonseed Oil by n-Hexane and Ethanol http://www.arpnjourn[...] 2011-01-01
[25] 웹사이트 All-Vegetable Shortening - Crisco - Vegetable Shortening https://crisco.com/p[...]
[26] 웹사이트 Cottonseed oil use on the rise http://www.cotton247[...] cotton 247.com
[27] 서적 Vegetable Oils in Food Technology Wiley 2011-04-01
[28] 문서 Final Determination Regarding Partially Hydrogenated Oils. https://www.fda.gov/[...]
[29] 문서 FDA Completes Final Administrative Actions on PHOs. https://www.fda.gov/[...]
[30] 문서 Code of Federal Regulations Title 21 - accessdata.fda.gov. https://www.accessda[...]
[31] 문서 FINISHED PRODUCT SAFETY DATA SHEET (SDS) - Ventura Foods. https://www.venturaf[...]
[32] 뉴스 Insect Control: Horticultural Oils - 5.569 - Extension https://extension.co[...] 2018-08-07
[33] 문서 Insect Control: Horticultural Oils https://extension.co[...] 2013-04-19
[34] 논문 Efficacy of tree trunk coating materials in the control of the apple clearwing, Synanthedon myopaeformis 2010-01-01
[35] 문서 USDA National Nutrient Database - Standard Reference, Legacy Release https://data.nal.usd[...]
[36] 뉴스 大阪・柏原は奈良・橿原ではない→まちおこしへ揚げ物に合うワイン 市内2企業タッグ https://www.sankei.c[...] 2017-06-23
[37] 웹사이트 岡村製油株式会社が紀北橋本エコヒルズ「紀ノ光台」へ進出決定 http://www.city.hash[...] 橋本市 2012-03-26
[38] 서적 15710の化学商品 화학공업일보사 2010
[39] 웹사이트 "[다음백과] 면실유 cottonseed oil , 棉實油" https://100.daum.net[...]
[40] 뉴스 "[세계일보 유레카] 치킨컵 승리의 힘, 투갈전도 “대~한민국!”" https://www.hani.co.[...] 유선희
[41] 뉴스 백승종 [신동아 2019년 10얼호] 대영제국 ‘심장부’ 영국 런던 2019-10-14. https://shindonga.do[...] 백승종 2019-10-14
[42] 뉴스 강헌 [조선일보] [119] 피시앤드칩스(fish and chips).. https://www.chosun.c[...] 강헌 2022-07-04
[43] 논문 The Rise of the American Cottonseed Oil Industry https://www.jstor.or[...] 1930
[44] 웹사이트 Cotton seed hulling machines https://apps.chpl.or[...] 미국 오하이오주 신시내티 공공 도서관 홈페이지
[45] 특허
[46] 서적 “Cottonseed oil.” John Wiley and Sons, Inc 2005
[47] 뉴스 식물성 기름은 정말로 동물성 기름보다 좋은 걸까? 2021/08/29 https://www.breaknew[...] 박광균 의학박사 [Break News] 2021-08-29
[48] 간행물 "Giants of the Past: The Battle Over Hydrogenation (1903–1920)" http://www.ars.usda.[...] 2007
[49] 웹사이트 How Vegetable Oils Replaced Animals Fats in the American Diet. https://www.theatlan[...] The Atlantic 2012-04-26
[50] 웹인용 Crisco Corporate Historical Timeline http://www.crisco.co[...] J.M. Smucker Co
[51] 뉴스 '참치캔' 속 기름, 건강에 해로울까 https://www.inews24.[...] 장유미 [아이뉴스24]
[52] 뉴스 면실유 추출물이 뇌종양 치료에 도움된다 2009년 11월 16일 http://www.cancerlin[...] 고정혁 [월간 암] 2009-11-16
[53] 뉴스 몸에 좋은 11가지 식물성 기름 속 별별 건강 https://health.chosu[...] 문은정 기자 [헬스 조선]
[54] 웹사이트 면실유 [cotton seed oil, 綿實油]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https://terms.naver.[...] 네이버 지식백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