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안 김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안 김씨는 신라 경순왕의 후예인 김선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김선은 고려 시대에 공을 세워 수안군에 봉해졌으며, 후손들은 수안을 본관으로 삼았다. 주요 인물로는 고려 시대의 김위, 김득남, 김선영 등이 있으며, 조선 시대에는 학천군 이징의 부인이 수안 김씨였다.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에는 독립운동가와 친일파가 모두 존재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는 인물들을 배출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수안 김씨 - 김상철 (1947년)
김상철은 대한민국의 법조인, 언론인, 교육자, 사회운동가로서 서울특별시장을 역임하고 월간 고시계 발행인, 대학교 겸임교수, 한미우호협회 회장, 탈북난민보호운동본부 총재 등으로 활동했다. - 수안 김씨 - 김동하 (1918년)
김동하는 일제강점기 만주군 장교이자 대한민국 해병대 창설에 참여한 군인, 정치인으로, 5·16 군사정변에 가담하여 국가재건최고회의 최고위원을 역임했으나 반혁명사건에 연루되었고, 만주군 복무 경력으로 친일인명사전에 등재되었다.
| 수안 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성씨 | 수안 김씨 遂安 金氏 |
| 나라 | 대한민국 |
| 관향 | 황해북도 수안군 |
| 시조 | 김선(金宣) |
| 중시조 | 김위(金爲) |
| 원시조 | 김알지(金閼智) |
| 년도 | 1985년 |
| 인구 | 4,567명 |
| 인물 | |
2. 역사
신라 경순왕 김부의 후예이자 안동 김씨 중시조 김방경의 장자인 김선(金宣)이 수안 김씨의 시조이다. 김선은 고려 때 삼별초와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보정공신에 올랐고, 전법판서, 상장군을 지냈으며 수안군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은 김선을 시조로, 수안을 관향으로 삼았다. 후손 김위는 중시조이다.
2. 1. 시조 및 본관
신라 경순왕 김부의 후예이자 안동 김씨(安東 金氏) 중시조 상락백(上洛伯) 김방경(金方慶)의 장자인 김선(金宣, 또는 김선(金愃))이 수안 김씨의 시조이다. 김선은 고려 때 삼별초와 왜구를 물리친 공으로 보정공신(保定功臣)에 올랐고, 전법판서(典法判書)를 지냈으며, 상장군(上將軍) 수안군(遂安君)에 봉해졌다. 이에 후손들이 김선을 시조로, 수안(遂安)을 관향(貫鄕)으로 삼았다. 후손 전리판서(典理判書) '''김위'''(金爲)는 중시조(中始祖)이다.[1]수안(遂安)은 황해도에 있는 지명으로, 한사군을 거쳐 고구려 시대에는 장색현(璋塞縣)이었다. 고려 초 수안(遂安), 수주(遂州) 등으로 불리다가 1417년(태종 17) 수안군(遂安郡)으로 개칭되었다.[1]
2. 2. 고려 시대
김자(金資)는 김선의 아들로 고려 도첨의사사(都僉議司事)를 지냈다.[1] 김선의 손자 김위(金爲)는 고려 전리판서를 역임했다.[1] 김선의 증손 김득남(金得男)은 황해도 수안 출신으로, 고려 전리판서를 역임했다.[1] 김선의 고손 김선영(金善英)은 북계 지방 의주 출신으로, 고려 전리판서를 역임했다.[1]2. 3. 조선 시대
태조의 이복 아우 의안군의 아들 학천군 이징(1375년 ~ 1435년 8월)의 비는 군부인 수안 김씨이다.[1] 고종의 서녀 이문용 궁주(1900년 2월 29일 ~ 1987년 3월 28일)의 부군은 김희진(1896년 2월 29일 ~ 1919년 4월 30일)이다.[2]2. 4.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대한제국 시기 김명제, 김명진은 관료 출신 독립운동가로, 김기중은 항일 의병장으로 활동하였다.[1]일제 강점기 김희중, 김은식은 독립운동가로 활동하였다.[1] 반면, 김명규는 조선총독부 부찬의를 지냈으며, 김성규는 3·1 운동 무력 진압에 참여하였다가 시위대에 살해된 주둔 일본군 헌병보조원이었다.[1]
3. 분적
사천 김씨, 서산 김씨, 해주 김씨, 배천 김씨, 염주 김씨, 철산 김씨, 야성 김씨, 청양 김씨, 제주 김씨, 용궁 김씨 등이 있다.
4. 주요 인물
수안 김씨는 고려, 조선, 대한제국, 일제 강점기, 현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 고려 시대: 김자, 김위, 김득남, 김선영 등은 전리판서 등의 관직을 역임했다.
- 조선 시대: 태조의 이복 아우 의안대군의 아들 학천군 이징의 부인이 수안 김씨였으며, 고종의 서녀 이문용 궁주의 남편은 김희진이었다.[2]
-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 김명제, 김명진, 김기중 등은 독립운동가였다. 김명규는 조선총독부 부찬의를 지냈으며, 김희중, 김은식 등도 독립운동을 했다. 김성규는 3·1 운동 진압에 참여했다가 시위대에게 살해되었다.
- 현대: 김명학, 김명진 등은 독립운동가였고, 김홍은 영화감독 겸 영화평론가였다. 김백일과 김동하는 각각 육군과 해병대 중장을 지냈고, 김종문은 시인이자 육군 소장 출신, 김태영은 유도인 출신 조직폭력배이자 사회 운동가였다. 김창룡은 육군 중장, 김종명은 첼리스트이자 대학 교수, 김성주는 한국 전쟁 참전 용사, 김국주는 대한광복군 출신 독립운동가, 김왕호는 한국 전쟁 중 전사, 김경오는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비행사 중 한 명, 김희갑은 재즈 록 기타리스트이자 작곡가였다. 김덕홍[1]과 김재현[2]은 탈북 귀순자, 김영애는 프리랜서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김상철은 서울특별시장을 지냈고, 김호영은 외교통상부 제2차관을 역임했다. 김주성[3]은 탈북귀순자 출신 작가, 김알음은 배우, 가수, 미술가 등 다방면에서 활동하고 있다.
4. 1. 고려 인물
- 김자: 김선의 아들로 고려 도첨의사사를 지냈다.[1]
- 김위: 김선의 손자로 고려 전리판서를 역임했다.[1]
- 김득남: 김선의 증손자로 고려 황해도 수안 출신으로 고려 전리판서를 역임했다.[1]
- 김선영: 김선의 고손자로 고려 북계 지방 의주 출신으로 고려 전리판서를 지냈다.[1]
4. 2. 조선 시대 인물
- 학천군 이징 (鶴川君 李澄, 1375년 ~ 1435년 8월, 태조의 이복 아우 의안군의 아들)의 부인은 군부인 수안 김씨이다.[1]
- 이문용 궁주 (李文鎔 宮主, 1900년 2월 29일 ~ 1987년 3월 28일, 고종의 서녀)의 남편이자 고종의 부마는 김희진(金熙晉, 1896년 2월 29일 ~ 1919년 4월 30일)이다.[2]
4. 3. 대한제국 및 일제 강점기 인물
- 김명제는 대한제국 시대 관료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 김명진은 대한제국 시대 관료 출신 독립운동가이다.
- 김기중은 대한제국 시대 항일 의병장이다.
- 김명규는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 부찬의를 지냈다.
- 김희중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다.
- 김은식은 일제 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며 예비역 대한독립군 중위였다.
- 김성규는 3·1 운동 무력 진압에 참여하였다가 시위대에게 살해된 일제 강점기 조선 주둔 일본군 헌병보조원이었다.
4. 4. 현대 인물
- 김명학 (대한민국 관료, 정치가)
- 김명진 (대한민국 독립운동가)
- 김홍 (대한민국 영화감독 겸 영화평론가)
- 김백일 (대한민국 육군 중장)
- 김동하 (예비역 대한민국 해병 중장)
- 김종문 (시문학가 및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장)
- 김태영 (유도인 출신이자 대한민국의 사회 운동가 겸 조직폭력배)
- 김창룡 (대한민국 육군 중장)
- 김종명 (대한민국의 첼리스트, 대학 교수)
- 김성주 (한국 전쟁 참전 전력이 있는 예비역 대한민국 육군 소령)
- 김국주 (대한광복군 중사 출신의 독립운동가 겸 군인)
- 김왕호 (한국 전쟁 참전 중 전사한 대한민국 육군 소령)
- 김경오 (대한민국 여성 비행사 1세대 가운데 일원, 예비역 대한민국 공군 장교 여군 대위)
- 김희갑 (대한민국 재즈 록 기타리스트 겸 작사가, 작곡가)
- 김덕홍[1] (前 대한민국 탈북자 동지회 회장이며 예비역 조선인민군 지상군 중사 출신 탈북귀순자)
- 김재현[2] (서울 성락교회 목사이며 예비역 조선인민군 지상군 소위 출신 탈북귀순자)
- 김영애 (프리 랜서 아나운서 출신의 방송인)
- 김상철 (문민 정부 관선 시절 前 제26대 서울특별시 시장 직을 지낸 前 숭실대학교 법학과 겸임교수)
- 김호영 (예비역 대한민국 해군 하사 출신인 前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제2차관)
- 김주성[3] (탈북귀순자 출신이며 前 대한탈북망명작가센터 부이사장 겸 이사장 직무대리)
- 김알음 (연극배우, 뮤지컬배우, 텔레비전 연기자, 가수, 작사가, 미술가)
참조
[1]
문서
북조선 이탈자 출신으로 대한민국 귀순자
[2]
문서
개명 전 김신조, 북조선 이탈자 출신으로 대한민국 귀순자
[3]
문서
북조선 이탈자 출신으로 대한민국 귀순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