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치 비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순치 비음은 아랫입술과 윗니를 사용하여 조음하는 자음으로, 공기의 흐름을 막고 코를 통해 소리를 내는 비음의 한 종류이다. 대부분의 언어에서는 독립적인 음운으로 존재하지 않고, /m/이나 /n/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영어의 'symphony'나 스페인어의 'influencia'와 같이 'f'나 'v' 앞의 'm'이 순치 비음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으며, 쿠쿠야어에서는 독립적인 음운으로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치음 - 무성 순치 마찰음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 마찰로 나는 무성음인 무성 순치 마찰음은 영어 'f' 소리에서 볼 수 있으며, 식습관 변화와 저작력 감소가 확산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가 있다. - 순치음 - 유성 순치 마찰음
유성 순치 마찰음은 윗니와 아랫입술 사이의 마찰로 생성되는 유성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나타나지만 한국어에서는 외래어 표기 시에 주로 사용된다. - 비강음 - 양순 비음
양순 비음(/m/)은 입술을 막고 코로 공기를 내보내는 유성 비음으로, 여러 언어에서 사용되며 구개화, 연구개화, 인두화 등의 변이음이 존재한다. - 비강음 - 치경 비음
치경 비음(/n/)은 혀 앞쪽이 잇몸에 닿아 코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유성 비음으로, 혀의 접촉 위치에 따라 다양한 변종이 존재하며, 한국어를 포함한 많은 언어에서 사용된다.
순치 비음 | |
---|---|
일반 정보 | |
![]() | |
설명 | ⟨ɱ⟩는 국제 음성 기호(IPA)에서 유성 순치 비음을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기호이다. |
유니코드 | 0271 |
10진수 | 625 |
XSampa | F |
키르셴바움 | M |
점자 | 235 134 |
발음의 예 | |
예시 | 영어의 "comfort"에서 /m/이 /f/ 또는 /v/로 변하기 전에 나타나는 소리. |
언어 | 드루베아어 |
음성학적 설명 | 드루베아어에서 /m/이 /ə/ 앞에 올 때 [ɱ]으로 발음됨. |
언어 (2) | 쿠쿠야어 |
음성학적 특징 | |
발성 방법 | 비음 |
조음 위치 | 순치음 |
발성 여부 | 유성음 |
2. 특징
- 조음 방법은 조음기관 내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여 만드는 파열음이다.
- 발성 기관 속의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고, 일부를 코로 흐르게 했다가 내는 비음이다.
- 윗니와 아랫입술로 조음하는 순치음이다.
- 조음할 때 성대가 울리는 유성음이다.
- 코와 입을 통하여 공기가 빠져나가는 비강음이다.
- 기류가 혀 옆이 아니라 중앙으로 빠져나가는 중설음이다.
- 발성 방법은 인후나 입이 아니라 폐로부터 발성기관으로 공기가 빠져나가는 폐장기류음이다.
- 기류의 발생원 - 폐장 기류 기구로부터의 호기.
- 발성 - 성대의 진동을 동반하는 유성음.
- 조음
- * 조음 위치 - 아랫입술과 윗니에 의한 순치음.
- * 조음 방법
- ** 구강 내 기류 -
- ** 조음 기관의 접근 정도 - 완전한 폐쇄와 그 개방에 의한 파열음.
- ** 연구개의 위치 - 연구개를 내려 비강으로도 호기를 보낸 비음.
3. 언어별 발음 예시
순치 비음은 독립 음운으로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지만, 주로 /m/ 또는 /n/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언어 | 단어 | IPA | 뜻 | 비고 | |
---|---|---|---|---|---|
카탈루냐어 | càmf''ora|캄포라ca | 장뇌 | |||
체코어 | tramvaj|트람바cs | 노면 전차 | |||
덴마크어 | symfoni|쉼포니da | 교향곡 | |||
네덜란드어[17][18] | omvallen|옴발런nl | 떨어지다 | |||
영어 | symphony|심포니영어 | 교향곡 | |||
핀란드어 | kamferi|캄페리fi | 장뇌 | |||
그리스어[19] | έμβρυο|엠브리오el | 배 | |||
히브리어 | סימפוניה|심포니아he | 교향곡 | |||
이탈리아어[20] | invece|인베체it | '그와는 반대로' | |||
쿠쿠야어 | 테케어[21] | ɱíì|양쪽 눈kkw | 독립 음운으로써 존재 | ||
마케도니아어 | трамвај|트람바mk | 노면 전차 | |||
노르웨이어 | komfyr|콤퓌르no | 난로 | |||
폴란드어 | symfonia|심포니아pl | 교향곡 | |||
슬로베니아어 | simfonija|심포니야slv | 교향곡 | |||
스페인어[22] | influencia|인플루엔시아es | 영향 | |||
스웨덴어 | amfibie|암피비에sv | 양서류 | |||
서프리슬란트어 | ûnwis|윈비스fy | '불확실한' |
3. 1. 한국어
한국어에서 순치 비음은 독립된 음운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 시 'f' 또는 'v' 앞에 오는 'ㅁ' 받침이 ɱ으로 발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심포니'는 [siɱ.pʰo.ni]로 발음된다.3. 2. 영어
영어에서 'symphony'(symphony|심포니영어)와 같이 'm'이 'f' 또는 'v' 앞에 올 때 ɱ으로 발음된다.[17][18] 이는 음소 /m/의 이음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3. 3. 기타 언어
카탈루냐어, 체코어, 덴마크어, 네덜란드어, 핀란드어, 그리스어, 히브리어, 이탈리아어, 마케도니아어, 노르웨이어, 폴란드어, 슬로베니아어, 스페인어, 스웨덴어, 서프리슬란트어 등에서 /m/ 또는 /n/의 변이음으로 나타난다. 쿠쿠야어(테케어)에서는 독립된 음운 /ɱ/이 존재한다. (예: ɱíì|양쪽 눈kkw)언어 | 단어 | IPA | 뜻 | 비고 |
---|---|---|---|---|
카탈루냐어 | càmf''ora|캄포라ca | 장뇌 | ||
체코어 | tramvaj|트람바cs | 노면 전차 | ||
덴마크어 | symfoni|쉼포니da | 교향곡 | ||
네덜란드어[17][18] | omvallen|옴발런nl | 떨어지다 | ||
영어 | symphony|심포니영어 | 교향곡 | ||
핀란드어 | kamferi|캄페리fi | 장뇌 | ||
그리스어[19] | έμβρυο|엠브리오el | 배 | ||
히브리어 | סימפוניה|심포니아he | 교향곡 | ||
이탈리아어[20] | invece|인베체it | '그와는 반대로' | ||
마케도니아어 | трамвај|트람바mk | 노면 전차 | ||
노르웨이어 | komfyr|콤퓌르no | 난로 | ||
폴란드어 | symfonia|심포니아pl | 교향곡 | ||
슬로베니아어 | simfonija|심포니야slv | 교향곡 | ||
스페인어[22] | influencia|인플루엔시아es | 영향 | ||
스웨덴어 | amfibie|암피비에sv | 양서류 | ||
서프리슬란트어 | ûnwis|윈비스fy | '불확실한' |
참조
[1]
논문
Extensions to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for the transcription of atypical speech.
https://www.research[...]
1990
[2]
서적
1975
[3]
서적
1996
[4]
서적
1975
[5]
논문
Labiodental ɱ in Drubea
[6]
서적
Phonetic transcription in theory and practice
2013
[7]
간행물
JIPA
[8]
서적
2003
[9]
서적
2005
[10]
서적
1972
[11]
서적
2004
[12]
서적
1975
[13]
서적
1999
[14]
서적
1999
[15]
서적
2003
[16]
서적
2007
[17]
서적
2003
[18]
서적
2005
[19]
서적
1972
[20]
서적
2004
[21]
서적
1975
[22]
서적
20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