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교향곡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향곡은 '소리의 조화'를 뜻하는 그리스어에서 유래된 용어로, 여러 악기들이 함께 연주하여 만들어내는 기악곡 형식을 의미한다.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오페라 서곡인 신포니아에서 기원하여, 바로크 시대 합주 협주곡의 영향을 받아 발전했다. 고전파 시대에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에 의해 형식적 완성을 이루었으며, 낭만주의 시대를 거치며 다양한 표현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20세기 이후에는 양식과 내용에 많은 변화가 있었으며, 현대에도 다양한 형태로 작곡되고 있다. 교향곡은 작곡가에 따라 번호가 매겨지거나 부제가 붙기도 하며, 다양한 종류의 파생 형식도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교향곡 - 교향곡 3번 (슈만)
    로베르트 슈만이 라인 강변 여행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교향곡 3번은 "라인 교향곡"이라고도 불리며, 쾰른 대성당의 웅장함에서 영감을 얻은 4악장을 포함하여 총 5악장으로 구성되었다.
  • 교향곡 - 환상교향곡
    엑토르 베를리오즈가 작곡한 5악장 교향곡 환상교향곡은 짝사랑에 빠진 예술가의 고뇌와 환상을 '고정 악상'이라는 반복 선율로 연결하여 표현한 낭만주의 음악의 대표작이다.
  • 음악에 관한 - 음악가
    음악가는 작곡, 편곡, 연주, 지휘 등 음악 관련 활동을 하는 사람을 통칭하며, 작곡가, 연주자, 가수, 지휘자, 음반 프로듀서 등으로 분류된다.
  • 음악에 관한 - 합창
    합창은 여러 명이 함께 노래하는 음악 형식으로, 작곡가가 가사와 인간 목소리를 고려하여 작곡하며, 서양 음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지휘자의 지휘 아래 여러 성부로 구성되어 악기 반주 또는 아카펠라로 노래하며, 종교 음악과 세속 음악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용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공 (악기)
    공은 금속으로 제작된 타악기로, 다양한 문화권에서 의식, 신호, 음악 연주 등에 사용되며, 형태와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글로벌세계대백과를 인용한 문서/{{{분류 - 국무회의
    국무회의는 대한민국 대통령을 의장으로, 예산, 법률안, 외교, 군사 등 국정 현안을 심의하는 중요한 기관이며, 대통령, 국무총리, 국무위원으로 구성되고, 정례회의는 매주 1회, 임시회의는 필요에 따라 소집된다.
교향곡

2. 형식의 역사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오페라서곡을 신포니아라고 불렀는데, G.B. 삼마르티니가 이 서곡만을 독립시켜 연주회용으로 연주한 것이 교향곡의 기원으로 여겨진다. 바로크 시대합주 협주곡도 교향곡의 성립과 발전에 영향을 주었다. 특히 스카를라티의 이탈리아 서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부분으로 구성되었고, 이 3부분은 후에 악장으로 독립하게 된다. 이는 비발디페르골레시를 거쳐 갈루피 등에 의해 소나타 형식의 악장을 가진 악곡으로 발전했다. 만하임 악파슈타미츠와 칸나비히는 다양한 관현악 기법을 연구하고 미뉴에트 악장을 추가하여 고전파 음악으로 이어지게 했다.

고전파 시대에는 하이든과 모차르트에 의해 교향곡 형식이 확립되었다. 이들의 교향곡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4악장 구조를 가진다.



베토벤은 제3악장에 스케르초를 도입하고, 교향곡 5번에서는 피콜로, 콘트라바순, 트롬본을 사용하여 음향을 증대시켰다. 교향곡 6번에서는 5개의 악장으로 구성하고 표제를 붙였으며, 교향곡 9번에서는 독창과 합창, 타악기를 도입하는 등 혁신적인 시도를 통해 고전파 교향곡의 정점에 도달했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교향곡이 인간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여겨졌다. 슈베르트, 슈만, 멘델스존은 베토벤의 영향을 받아 형식상의 큰 발전은 없었다. 반면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에서 고정 악상을 도입하는 등 교향곡의 대규모화를 이끌었다. 브람스신고전주의적 태도를 취했지만, 제4번에서 파사칼리아를 사용하는 등 바로크 음악의 요소를 도입하기도 했다. 세자르 프랑크는 순환 형식을 사용한 교향곡을 작곡했다.

브루크너는 소나타 형식을 확대하여 제3주제를 추가하고, 바그너의 영향을 받은 금관 악기를 활용한 웅장한 오케스트라를 사용했다. 말러는 주제군, 관현악 규모 확대, 성악 도입 등 더욱 확장된 교향곡을 작곡했다. 교향곡 8번은 '천인 교향곡'이라는 별명을 가질 정도로 거대한 규모를 자랑한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교향시 형식을 응용한 가정 교향곡, 알프스 교향곡 등을 작곡했다.

국민악파 작곡가들은 후기 낭만파와 겹치는 시기에 교향곡을 중요한 표현 수단으로 삼았다. 드보르자크, 차이콥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 글라주노프, 스크랴빈, 시벨리우스, 닐센 등이 대표적인 작곡가들이다.

현대에도 교향곡은 여전히 작곡되고 있지만, 내용적으로 큰 변화를 겪었다. 신 빈 악파에서는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처럼 형식 변용이 나타나거나, 베베른의 교향곡 작품 21처럼 음렬 기법이 사용되기도 했다. 프로코피예프쇼스타코비치는 소나타 형식의 전통을 잇는 교향곡 작곡가로 평가받는다.

아이브스, 코플런드, 메시앙, 구레츠키 등의 교향곡은 낭만파 교향곡과 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의 윤이상은 5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일본에서는 야마다 고사쿠가 교향곡 "개선과 평화"를 작곡한 것이 최초이며, 2013년에는 사무라 고우치 마모루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니이가키 타카시가 작곡한 교향곡 1번 『HIROSHIMA』가 큰 인기를 얻었다.

2. 1. 어원

교향곡을 뜻하는 "Symphony"는 "소리의 조화" 혹은 "성악 또는 기악곡 연주회"를 뜻하는 그리스어 "쉼포니아"(συμφωνία|쉼포니아grc), 그리고 "조화로운"을 뜻하는 "쉼포노스"(σύμφωνος|쉼포노스grc)에서 나온 낱말이다.[43] 교향곡(交響曲)이라는 한자 단어도 'Symphony'의 뜻을 음역한 것이다.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처음으로 라틴어 낱말 "심포니아"(symphonia)를 썼는데, 북가죽이 두 개인 을 지칭하는 말이었다. 대략 1155년에서 1377년 사이에 이 말의 프랑스어 형태인 "symphonie"는 "오르가니스트룸"(organistrum), 즉 허디거디[44]의 이름이었다. 중세 후기 영국에서 "symphony"란 위에서 말한 둘 다 뜻하는 말로 쓰였으나, 16세기에는 건반악기 덜시머와 같은 뜻이 되었다. 독일에서는 16세기 말에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Symphonie"가 건반악기 스피넷과 버지널을 총칭했다.[45]

2. 2. 기원

"Symphony"를 뜻하는 "교향곡"은 그리스어 "쉼포니아"(συμφωνίαgrc), "조화로운"을 뜻하는 "쉼포노스"(σύμφωνοςgrc)에서 유래했다.[43] 세비야의 이시도르는 처음으로 라틴어 낱말 "심포니아"(symphonia)를 사용했는데, 이는 북가죽이 두 개인 을 의미했다. 대략 1155년에서 1377년 사이에 프랑스어 형태인 "symphonie"는 "오르가니스트룸"(organistrum), 즉 허디거디[44]의 이름이었다. 중세 후기 영국에서 "symphony"는 위에서 말한 둘 다를 의미했지만, 16세기에는 건반악기 덜시머와 같은 뜻이 되었다. 독일에서는 16세기 말에서 18세기에 이르기까지 "Symphonie"가 건반악기 스피넷과 버지널을 총칭했다.[45]

"함께 소리를 낸다"는 의미는 16, 17세기 작곡가들의 작품 이름에서 나타난다. 예를 들어 조반니 가브리엘리의 《사크라 심포니아》(1597)와 《심포니아 사크라, 리베 세쿤두스》(1615), 아드리아노 반키에리의 《Eclesiastiche sinfonie》(1607), 로도비코 그로시 다 비아다나의 《Sinfonie musicali》(1610), 하인리히 쉬츠의 《Symphoniae sacrae》(1629) 등이 있다.

17세기 바로크 시대에 심포니(symphony)와 신포니아(sinfonia)는 오페라, 소나타, 협주곡 같은 기악곡 등 다양한 작품에 쓰였다. 오페라 신포니아, 즉 이탈리아풍 서곡은 18세기에 빠른-느린-빠른 형식의 춤곡과 유사한 세 개의 대조되는 부분으로 구성된 표준 형태를 이루었다. 이 형식은 종종 관현악 교향곡의 직접적인 시초로 여겨진다. 18세기에는 "서곡", "심포니", "신포니아"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낱말로 널리 여겨졌다.

'리피에노 콘체르토'(ripieno concerto)는 교향곡의 주요한 기원으로, (독주 악기가 아닌) 현악기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과 유사하지만 비교적 덜 연구된 것이다. 최초로 알려진 리피에노 콘체르토는 주세페 토렐리의 작품(6개로 된 작품 중 5번, 1698년작)이다. 안토니오 비발디 또한 이런 형태의 작품을 썼다. 가장 잘 알려진 리피에노 콘체르토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일 것이다.

2. 3. 바로크 시대

바로크 시대인 17세기에 심포니(symphony)와 신포니아(sinfonia)는 오페라, 소나타, 협주곡 같은 기악곡 등 다양한 작품에 쓰이는 말이었다. 오페라 신포니아, 즉 이탈리아풍 서곡은 18세기에 세 개의 대조되는 부분(빠른-느린-빠른 형식의 춤곡과 유사하다)으로 구성된 표준 형태를 이루었다. 이 형식은 종종 관현악 교향곡의 직접적인 시초로 여겨진다.[43] 18세기에는 "서곡", "심포니", "신포니아"는 서로 바꿔 쓸 수 있는 낱말로 널리 여겨졌다.[43]

교향곡의 주요한 기원으로는 '리피에노 콘체르토'(ripieno concerto)가 있는데, 이는 (독주 악기가 아닌) 현악기통주저음을 위한 협주곡과 유사하지만 비교적 덜 연구된 것이다. 최초로 알려진 리피에노 콘체르토는 주세페 토렐리의 작품(6개로 된 작품 중 5번, 1698년작)이다. 안토니오 비발디 또한 이런 형태의 작품을 썼다. 가장 잘 알려진 리피에노 콘체르토는 요한 세바스티안 바흐의 브란덴부르크 협주곡 3번일 것이다.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오페라서곡이 '''신포니아'''라고 불렸는데, G.B. 삼마르티니가 이 서곡만을 독립시켜 연주회용으로 연주한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바로크 시대합주 협주곡 (특히 콘체르토 신포니아, 심포니 콘체르탄테)도 교향곡의 성립,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특히 스카를라티에 의한 이탈리아 서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3부분이 후에 악장으로 독립하게 된다. 이는 비발디페르골레시에게 계승되어 발전했고, 갈루피 등에 의해 소나타 형식의 악장을 가진 악곡 형식으로 발전해 갔다. 만하임 악파슈타미츠나 칸나비히에 의해 다양한 관현악 기법이 연구되어, 미뉴에트 악장이 더해지는 등 고전파 음악으로 이어졌다.

2. 4. 고전주의 시대

서곡과 '리피에노 콘체르토'와 더불어 초기 교향곡은 '빠른-느린-빠른' 구성의 세 악장으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리피에노 콘체르토와 달리, 교향곡의 최소한 첫 악장은 두 박자 형태였다. 교향곡은 이탈리아풍 서곡과도 달랐는데, 극작품의 도입곡이 아닌 그 자체로 공연용 음악이었다. 초기 교향곡의 대다수는 장조였다.

이 시대의 교향곡은 공연용, 오페라곡, 교회 음악 등 연주 곡목에서 주요 작품은 아니었다. 대개 협주곡과 함께 나오거나, 다른 작품 사이에 끼워넣거나 모음곡 혹은 서곡에서 뽑아쓰기도 했다. 성악이 지배적이었으며, 교향곡은 서곡, 간주곡, 후주곡으로 사용되었다. 이 시기 교향곡은 비교적 짧아 10분에서 20분 사이 분량이었다.

오페라에서 서곡이나 간주곡으로 쓰던 "이탈리아" 양식의 교향곡은 표준적인 3형식 악곡이 되었다. 빠른 악장, 느린 악장, 또 빠른 악장이 나오는 식이다. 모차르트의 초기 교향곡도 이런 배치를 따랐다. 초기 3악장 형식 교향곡은 4악장 형식으로 대체되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까지 이어졌다. 교향곡 양식은 독일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고전 양식"이 되었다.

일반적인 4악장 형식의 교향곡 형태는 다음과 같았다.

순서악장
I시작하는 알레그로
II느린 악장
III미뉴엣 혹은 스케르초
IV알레그로나 론도



이런 배치에 변형도 흔했다. 가령 중간의 두 악장 순서를 바꾸거나 1악장 앞에 느린 서주를 넣는 식이었다. 3악장에 미뉴엣을 넣은 최초의 교향곡은 게오르크 마티아스 몬의 1740년 D장조 작품이며, 미뉴에트를 4악장 교향곡에 양식화한 첫 음악가는 요한 슈타미츠로 알려져 있다.

초기 교향곡 작곡은 만하임에 집중되었다. 빈에서 이 양식을 지지한 음악가로는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바겐자일, 벤첼 라이문트 비르크, 게오르크 몬이 있으며, 만하임 악파에는 요한 슈타미츠가 있다. 그러나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 안드레아 루체시, 안토니오 브리오쉬, 북독일의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 잘츠부르크의 레오폴트 모차르트, 파리의 프랑수아 조셉 고섹, 런던의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칼 프리드리히 아벨 등 유럽 전역에서 교향곡이 작곡되었다.

이후 중요한 빈 악파의 교향곡 작곡가로는 요한 밥티스트 반할, 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 레오폴트 호프만 등이 있다. 18세기 후반 가장 중요한 교향곡은 요제프 하이든의 것으로, 그는 36년간 최소 108개의 교향곡을 썼으며,[46]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24년 동안 최소 56개의 교향곡을 썼다.[47] 주요 작품으로는 하이든 94번 "놀람", 101번 "시계", 모차르트 40번, 41번 "주피터" 등이 있다.

18세기에는 교향곡이 매우 발전했다.[4] 특히 빈에서는 수백 개의 귀족 가문이 음악 기관을 지원했으며, 이들은 대개 빈과 제국 내 영지에서 시간을 보냈다. 당시 오케스트라 규모는 작았기 때문에, 이러한 궁정 기관 다수가 교향곡을 연주할 수 있었다. 요제프 하이든은 1757년 모르친 가문의 음악 감독으로 첫 직무를 맡았는데, 모르친 가문이 빈에 있을 때 자신의 오케스트라는 여러 귀족들이 자신의 앙상블로 콘서트를 후원하는 활기차고 경쟁적인 음악계의 일부였다.[4]

18세기에 걸쳐 교향곡 오케스트라는 점진적으로 확장되었다. 처음에는 교향곡은 현악 교향곡이었으며, 제1 바이올린, 제2 바이올린, 비올라, 그리고 베이스(베이스 라인은 첼로, 1옥타브 아래의 파트를 연주하는 더블 베이스, 그리고 아마도 바순으로 연주)의 단 네 부분으로 작곡되었다. 때때로 초기 교향곡 작곡가들은 비올라 파트를 생략하기도 했다. 바순과 쳄발로 또는 다른 화음 악기를 포함하는 통주 저음 파트도 가능했다.

이 단순한 앙상블에 처음 추가된 악기는 호른 한 쌍, 때로는 오보에 한 쌍이었으며, 이후 호른과 오보에가 모두 추가되었다. 세기가 지나면서, 다른 악기들이 고전 오케스트라에 추가되었다: 플루트(때로는 오보에를 대체), 바순, 클라리넷, 그리고 트럼펫과 팀파니를 위한 별도의 파트. 이러한 추가 악기 중 어떤 악기가 등장할지에 관해 작품은 스코어링에서 다양했다. 세기 말에 가장 대규모의 교향곡을 위해 배치된 완전한 규모의 고전 오케스트라는 위에 언급된 표준 현악 앙상블, 관악기 한 쌍(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한 쌍, 그리고 팀파니를 갖추고 있었다. 건반 통주 저음 악기(쳄발로 또는 피아노)는 선택 사항으로 남아 있었다.

오페라 하우스에서 서곡과 간주곡으로 자주 사용되는 "이탈리아" 스타일의 교향곡은 빠른 악장, 느린 악장, 그리고 또 다른 빠른 악장의 표준적인 세 악장 형식으로 자리 잡았다. 18세기에 걸쳐 네 악장으로 된 교향곡을 쓰는 것이 관례가 되었다.[5] 세 악장 교향곡은 천천히 사라졌다. 요제프 하이든의 첫 30개의 교향곡 중 약 절반이 세 악장으로 되어 있으며,[6] 젊은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에게는, 아마도 그의 친구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의 영향으로, 세 악장 교향곡이 일반적이었다.[7] 세 악장 고전 교향곡의 뛰어난 후기 예로는 1786년의 모차르트의 ''프라하 교향곡''이 있다.

이러한 발전에서 나타난 네 악장 형식은 다음과 같다.

순서악장
I개시부 소나타 또는 알레그로
II느린 악장, 예를 들어 안단테
III미뉴에트 또는 트리오가 있는 스케르초
IV알레그로, 론도, 또는 소나타



이 레이아웃의 변형, 예를 들어 중간 악장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첫 번째 악장에 느린 서주를 추가하는 것은 흔했다. 하이든, 모차르트, 그리고 그들의 동시대인들은 네 악장 형식을 오케스트라 또는 사중주와 같은 다중 악기 실내악으로 제한했지만, 베토벤 이후 솔로 소나타는 세 악장과 네 악장 모두에서 자주 작곡되었다.

초기 교향곡의 작곡은 밀라노, 빈, 그리고 만하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밀라노 악파는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를 중심으로 안토니오 브리오스키, 페르디난도 갈림베르티, 그리고 조반니 바티스타 람푸냐니가 포함되었다. 빈에서 형식의 초기 선구자로는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바겐자일, 벤젤 라이문트 비르크, 그리고 게오르크 마티아스 몬이 있었고, 이후 빈의 중요한 교향곡 작곡가로는 요한 밥티스트 반할, 카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 그리고 레오폴트 호프만이 있었다. 만하임 악파에는 요한 슈타미츠가 포함되었다.

18세기 후반의 가장 중요한 교향곡 작곡가는 요제프 하이든으로, 그는 36년 동안 최소 106개의 교향곡을 작곡했고,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24년 동안 최소 47개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2. 5. 낭만주의 시대

베토벤은 교향곡을 더욱 발전시켰다. 베토벤 교향곡 3번(영웅 ''Eroica'')은 음계와 감정의 배열이 이전 작품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교향곡 9번은 교향곡에서는 거의 최초로 성악 솔로와 합창을 4악장에 넣었다. (다니엘 슈타이벨트는 그보다 4년 전 1820년의 피아노 협주곡에 성악 합창을 넣어 작곡한 바 있다)[8]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베토벤 교향곡 9번을 "합창 교향곡"이라 처음으로 불렀으며, "극적 교향곡"인 로미오와 줄리엣에서 이 작품 총보 서문에 다섯 문단으로 자신의 의도를 설명하면서 이런 개념을 만들어냈다. 베토벤과 슈베르트는 일반적으로 쓰는 우아한 미뉴엣 대신 더 생기있는 스케르초를 쓰기도 했다.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은 표제 음악으로 마지막 악장 앞에 "폭풍" 부분을 끼워넣었다.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은 표제 음악으로 보통 4악장 구성과 달리 5악장으로 구성하여 행진곡과 왈츠 곡을 넣었다.

로베르트 슈만펠릭스 멘델스존은 교향곡에서 낭만주의 음악의 화성적 표현을 발전시킨 두 지도적인 독일 음악가였다. 프랑스의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헝가리의 프란츠 리스트처럼 매우 뚜렷한 표제 교향곡을 쓴 음악가도 있었다. 러시아에서 니콜라이 림스키 코르사코프는 이런 예를 따라 교향적 모음곡 "안타르"와 "세헤라자데"를 썼다. 요하네스 브람스슈만멘델스존을 출발점으로 삼아 대단히 높은 수준의 구조적 통일체를 이룬 교향곡을 작곡했다. 그 밖에 19세기 말 중요한 교향곡을 쓴 음악가로는 안톤 브루크너, 안토닌 드보르자크,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등이 있다.

19세기 초, 베토벤은 교향곡을 대량 생산되는 일상적인 장르에서, 작곡가들이 단 몇 개의 작품으로 음악의 최고 잠재력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최고의 형식으로 끌어올렸다.[9] 베토벤은 모차르트와 하이든을 직접 모방한 두 작품으로 시작하여, 이후 장르의 범위와 야망을 확장한 교향곡 3번 ("영웅")을 시작으로 일곱 개의 교향곡을 더 작곡했다. 그의 교향곡 5번은 아마도 가장 유명한 교향곡일 것이다. 정서적으로 폭풍우 같은 다단조의 시작 악장에서 승리의 장조 피날레로의 전환은 브람스말러와 같은 후기 교향곡 작곡가들이 채택한 모델을 제공했다. 그의 교향곡 6번은 새의 울음소리와 폭풍을 기악적으로 묘사하고, 관습에서 벗어나 다섯 개의 악장(교향곡은 보통 최대 4악장)을 특징으로 하는 표제적 작품이다. 그의 교향곡 9번은 마지막 악장에 성악 독창자와 합창단을 위한 부분을 포함하여, 이를 합창 교향곡으로 만들었다.[8]

슈베르트의 교향곡 중 두 곡은 핵심 레퍼토리 항목이며 자주 연주된다. 8번 교향곡(1822) 중 슈베르트는 처음 두 악장만 완성했다. 이 매우 낭만적인 작품은 보통 "미완성"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그의 마지막으로 완성된 교향곡인 9번 교향곡(1826)은 고전 양식의 거대한 작품이다.

초기 낭만주의 시대의 펠릭스 멘델스존 (다섯 개의 교향곡, 그리고 열세 개의 현악 교향곡)과 로베르트 슈만 (네 개)은 자신만의 음악 언어를 사용하면서도 고전적인 틀 안에서 교향곡을 계속 작곡했다. 반면, 베를리오즈는 표제적인 작품을 선호했으며, 그의 "극적인 교향곡"인 ''로미오와 줄리엣'', 비올라 교향곡 ''이탈리아의 헤롤드''와 매우 독창적인 ''환상 교향곡''을 포함한다. 환상 교향곡은 또한 표제적 작품으로, 행진곡과 왈츠가 모두 있으며, 통상적인 네 악장 대신 다섯 악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교향곡인 ''장엄하고 개선적인 대 교향곡'' (원래 제목은 ''군사 교향곡'')은 1840년에 200명 규모의 행진 군악대를 위해 야외에서 연주하도록 작곡되었으며, 밴드 교향곡의 초기 예시이다. 베를리오즈는 나중에 선택적인 현악 파트와 합창 피날레를 추가했다. 1851년, 리하르트 바그너는 베토벤 이후의 모든 교향곡들이 단지 종결부일 뿐, 실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선언했다. 실제로, 슈만의 마지막 교향곡 "라인"(1850) 이후, 20년 동안 리스트교향시가 대규모 기악 음악의 선두적인 형식으로서 교향곡을 대체한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리스트는 이 기간 동안 ''파우스트 교향곡''과 ''단테 교향곡''의 두 개의 표제적 합창 교향곡을 작곡했다. 교향곡이 그렇지 않았다면 가려졌겠지만, 1870년대와 1880년대에 브루크너, 브람스, 차이코프스키, 생상스, 보로딘, 드보르자크, 프랑크의 교향곡들을 통해 "두 번째 시대"로 부활하기까지 오래 걸리지 않았다.[9]

19세기 동안 작곡가들은 교향악단의 규모를 계속 확장했다. 세기 초 무렵, 완전한 규모의 오케스트라는 현악 섹션과 플루트, 오보에, 클라리넷, 바순, 호른, 트럼펫이 각 2개씩, 그리고 마지막으로 팀파니 세트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는 베토벤의 1번, 2번, 4번, 7번, 8번 교향곡에 사용된 편성에 해당한다. 이전에 교회 음악과 극장 음악에 국한되었던 트롬본은 베토벤의 5번, 6번, 9번 교향곡에서처럼 교향악단에 추가되었다. 18세기 작곡가들이 이른바 "터키 음악"에서 색채 효과로 사용했던 베이스 드럼, 트라이앵글, 심벌즈 (때로는 피콜로)의 조합은 19세기 후반에 장르의 암시 없이 점점 더 많이 사용되었다. 악기의 다양성이 증가함과 더불어, 19세기 교향곡은 점차 더 많은 현악 연주자와 더 많은 관악 파트가 추가되어 오케스트라가 그 자체로 규모가 커졌고, 콘서트홀 역시 커졌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교향곡이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독일 계통의 작곡가인 슈베르트, 슈만, 멘델스존의 교향곡은, 베토벤의 영향이 커서 형식상의 큰 발전은 보이지 않았다. 한편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에서 거대한 오케스트라를 상정하거나, 고정 악상 (이데 픽스)를 도입하는 등, 낭만주의에서의 교향곡의 대규모화의 발단을 만들었다. 브람스는, 엄격한 소나타 형식과 현악기를 중심으로 한 오케스트라의 울림을 중시한 "신고전주의"적인 태도를 취했지만, 그가 작곡한 교향곡에서는 4곡 모두 3박자의 스케르초가 놓이지 않았고, 제4번의 최종 악장에서는 베토벤보다 오래된 바로크파사칼리아 (샤콘느)를 사용하는 등 하고 있다. 또한 낭만주의 시대에서는, 완서 악장이 가까운 조뿐만 아니라, 더 먼 관계조가 되거나, 베토벤의 제7번에서 시도된 것처럼 스케르초 악장이 가까운 조나, 더 먼 관계조가 되는 예도 많아졌다. 이는 교향곡뿐만 아니라, 독주 소나타나 실내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세자르 프랑크는 순환 형식에 의한 견고한 구성의 교향곡을 한 곡 남겼다.

베를리오즈의 교향곡 『이탈리아의 헤롤드』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 협주곡인 작품도 있다. 라로의 『스페인 교향곡』 등은 "교향곡"이라고 이름 붙여져 있지만, 실제로는 바이올린 협주곡이며, 교향곡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브루크너에서는, 소나타 형식이 확대되어, 종래의 2개의 주제에 더하여 제3주제를 갖게 되었다 [브루크너 형식]. 관현악 기법으로는, 존경하는 바그너의 영향으로 금관 악기가 화려하게 울리는 것과 같은 거대한 오케스트라를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오르간의 주법을 응용한 대담한 유니즌과 화성적 전개를 사용했다. 빈 대학에서 그의 강의를 들었던 말러에서는 단순한 주제에서 『주제군』으로 발전하여, 관현악의 규모 확대 (4관 편성에서 5관 편성까지), 자작의 가곡집으로부터의 인용, 독창이나 합창 등의 성악을 포함한 것이 특징적이다. 또한, 최종 악장도 으뜸조가 아닌 경우가 있으며, 최종적으로는 으뜸조에 도달해서 끝나는 것 (제1번, 제6번, 제10번)도 있지만, 평행조로 끝나는 것 (제2번, 대지의 노래), 반음 위의 조로 끝나는 것 (제5번), 반음 아래의 조로 끝나는 것 (제9번) 등도 있어, 조의 취급에 대해서도 극단에까지 확대, 또는 해체되고 있다. 교향곡 8번은, 초연에서 독창자 7명과 소년 합창, 게다가 2개의 혼성 합창단을 동반한 1천 명여 명에 의해 연주되었기 때문에, 『천인의 교향곡』이라는 이명을 가진 거대한 작품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초기에 2곡의 절대 음악으로서의 교향곡을 쓰고 있지만, 그다지 주목받지 못했고, 그 후 쓰여진 『가정 교향곡』이나 『알프스 교향곡』은 초기의 교향시군을 확대시킨 표제 음악이라는 의미에서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다.

2. 6. 20세기 이후

20세기 초 구스타프 말러는 길고 규모가 큰 교향곡을 썼다. 그의 교향곡 8번은 연주자와 합창단 수가 천 명에 이르러 "천인 교향곡"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교향시 형식을 응용한 교향곡을 썼다. 20세기에는 교향곡의 양식과 내용도 많은 변화를 보였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칼 닐센 같은 음악가들은 전통적인 4악장 형식을 계승했으나, 장 시벨리우스의 마지막 교향곡 7번(악장이 단 하나이다)이나 알란 호바네스의 교향곡 9번 ''Saint Vartan''(1949–50, 악장이 24개에 이른다)처럼 다른 접근법을 취하기도 했다.

19세기 말 구스타프 말러는 20세기 초까지 작곡을 이어간 길고 대규모의 교향곡을 쓰기 시작했다. 그의 교향곡 3번은 1896년에 완성되었으며, 대부분의 연주에서 약 100분에 달하는 가장 긴 정기적으로 연주되는 교향곡 중 하나이다. 교향곡 8번은 1906년에 작곡되었으며, 연주에 필요한 많은 수의 목소리 때문에 "천인의 교향곡"이라는 별명이 붙었다.

20세기에는 작곡가들이 "교향곡"이라고 명명한 작품의 스타일과 내용에서 더 많은 다양성이 나타났다.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칼 닐센을 포함한 일부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4악장 형식을 계속해서 썼지만, 다른 작곡가들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장 시벨리우스교향곡 7번은 그의 마지막 작품으로, 단일 악장으로 되어 있고,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알프스 교향곡은 단일 악장으로 22개 부분으로 나뉘어 있으며, 산을 11시간 동안 하이킹하는 것을 자세히 묘사하고 있으며, 앨런 호바네스의 교향곡 9번, ''성 바르탄''은 원래 작품 번호 80번이었으나 작품 번호 180번으로 변경되었으며, 1949-50년에 작곡되었으며, 24악장으로 되어 있다.

전통적인 4악장 교향곡을 단일 형식 개념으로 통일하려는 관심이 19세기 말에 나타났다. 이것은 "2차원 교향곡 형식"이라고 불리며, 아르놀트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 1번 Op. 9 (1909)에서 중요한 전환점을 찾았으며, 1920년대에는 쿠르트 바일의 교향곡 1번 (1921) 등 다른 주목할 만한 단일 악장 독일 교향곡들이 이어졌다.

이러한 실험과 함께, 다른 20세기 교향곡들은 형식과 음악 스타일 측면에서 18세기 장르의 기원을 의도적으로 불러일으키려 시도했으며, 두드러진 예로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교향곡 1번 "고전" (1916-17)과 이고르 스트라빈스키의 교향곡 C장조 (1938-40)가 있다.[10]

작품을 "교향곡"으로 지정하는 것은 여전히 일정한 수준의 정교함과 목적의 진지함을 암시했다. "신포니에타"라는 단어는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관현악 신포니에타와 같이 교향곡보다 짧고, 덜 야심적이며, "가벼운" 작품을 지정하는 데 사용되었다.

20세기 전반에 걸쳐 에드워드 엘가, 구스타프 말러, 장 시벨리우스, 칼 닐센,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등 여러 작곡가들은 "범위, 풍부함, 독창성, 표현의 긴급함에서 특별한" 교향곡을 작곡했다. 교향곡의 중요성을 측정하는 척도는 그것이 창작된 시대의 시간적 형식에 대한 개념을 어느 정도 반영하는지에 달려 있다.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까지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작곡가들이 교향곡에 상당한 부분을 추가하면서 교향곡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다. 특히 영국에서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10),[11] 로빈 할로웨이 (1),[12] 데이비드 매튜스 (9),[13] 제임스 맥밀란 (5),[14] 피터 시본 (6),[15] 필립 소이어스 (6)[16] 등이 주목할 만하다. 영국의 작곡가 데릭 부르주아는 116개의 교향곡으로 하이든이 쓴 교향곡의 수를 넘어섰다.[17] 현재까지 가장 많은 수의 교향곡은 핀란드레이프 세게르스탐이 작곡했으며, 그의 작품 목록에는 371개의 교향곡이 포함되어 있다.[18]

신 빈 악파에서는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과 같은 형식의 변용이나, 베베른의 교향곡 작품 21과 같이 완전히 음렬 기법에 짜넣어진 것도 있다. 소나타 형식의 전통에 연관되는 교향곡 작가로서는, 프로코피예프쇼스타코비치가 현재로서는 마지막 쌍벽이다. 이후에도 (고전적인 의미에서의) 교향곡을 주된 표현 수단으로 하는 작곡가가 있지만, 현대 음악의 중심적인 존재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

아이브스의 6개의 교향곡 (마지막 유니버스 교향곡은 미완성), 코플런드의 4개의 교향곡, 메시앙의 투랑갈릴라 교향곡, 구레츠키의 교향곡 3번 『비가(悲歌)의 교향곡』 등의 곡은 유명하지만, 형식이나 내용은 낭만파의 교향곡과는 큰 거리가 있다. 한국의 최초의 대작곡가인 윤이상의 교향곡은 5곡이 있다.

그럼에도 현재도 교향곡이 작곡되고, 핀란드의 작곡가·지휘자인 레이프 세게르스탐은 사상 최다인 200곡의 교향곡을 양산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교향곡의 수용은, 야마다 고사쿠가 교향곡 "개선과 평화"를 작곡한 것이 처음이며, 2013년에는 사무라 고우치 마모루의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실제로는 니이가키 타카시에 의해 작곡된 교향곡 1번 『HIROSHIMA』가 CD 판매량에서 오리콘 주간 종합 차트에서 2위를 기록하여, 교향곡으로서는 이례적인 히트를 기록했다.

3. 교향곡의 번호

베토벤 이전에는 교향곡뿐만 아니라 절대 음악을 장르별로 구분하여 작곡 또는 출판 순서대로 일련번호를 부여하는 관습이 없었다. 베토벤 이후 작곡가들이 여러 교향곡을 작곡하면서 작곡가나 출판사에 의해 '교향곡 제○번'과 같이 일련번호가 붙기 시작했다. 하지만 작곡가가 습작에 일부러 번호를 부여하지 않거나, 작곡 순서와 다르게 출판하여 번호가 잘못 매겨지는 경우도 있었고, 후대 연구자들이 번호를 부여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드보르자크의 '신세계로부터'는 출판 순서에 따라 제5번으로 불렸으나, 이후 연구를 통해 작곡 순서대로 제9번으로 변경되었다. 슈베르트의 경우, '미완성' 교향곡과 E장조 미완성 원고(D 729)가 발견되기 전에는 '그레이트'가 제7번으로 알려졌다. 이후 D 729에 제7번, '미완성'에 제8번, '그레이트'에 제9번이 부여되었다. 이 번호는 어느 정도 굳어졌지만, D 729가 제외되면서 다시 7번 '미완성', 8번 '그레이트'로 변경되었다. 다만, 오랫동안 사용된 번호 탓에 7(8)번 '미완성', 8(9)번 '그레이트'로 병기되기도 한다.

브루크너는 제1번 교향곡 이전에 작곡된 작품에는 번호를 부여하지 않았고(습작 관례), 제1번 이후 작곡된 교향곡에 스스로 제0번을 부여했다. 현재까지 이 번호는 변경되지 않았다. 멘델스존의 교향곡처럼 작곡 순서가 아닌 출판 순서대로 번호가 굳어진 경우도 있다.

말러는 9번째 교향곡에 대한 불길함을 느껴 9번째 교향곡을 '대지의 노래'라고 명명했지만, 그 다음 교향곡은 제10번이 아닌 제9번으로 했다.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op.14a), '이탈리아의 해럴드'(op.16), '극적 교향곡 로미오와 줄리엣'(op.17), '장송과 승리의 대교향곡'(op.15) 등 4개의 표제 음악적 교향곡을 발표했다.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과 '단테 교향곡', 차이콥스키의 '만프레드 교향곡', 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가정 교향곡'(op.53)과 '알프스 교향곡'(op.64), 시벨리우스의 '쿨레르보 교향곡'[29] 등은 교향시와 교향곡의 중간 형태로, 작곡가나 출판사가 번호를 붙이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본 윌리엄스는 '바다 교향곡'(제1번), '런던 교향곡'(제2번), '전원 교향곡'(제3번), '남극 교향곡'(제7번)에 번호를 붙였지만 괄호 안에 넣어 표기했고, 번호로 불리는 것을 선호하지 않았다.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는 모차르트나 슈베르트처럼 번호 논란이 있는 교향곡을 번호 없이 조성쾨헬 번호, 도이치 번호 등의 작품 번호로만 부르기도 한다.

4. 교향곡의 부제

하이든이나 모차르트의 경우, 교향곡에 음악 외적인 부제가 미리 주어지는 경우는 일부 특수한 제작 사정을 가진 작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었다. 이는 교향곡이 절대 음악으로서 성립되었음을 나타낸다.

하이든의 45번 '고별', 94번 '놀람', 101번 '시계', 104번 '런던' 등의 이름을 가진 작품은 곡의 특징이나 초연된 장소를 애칭으로 붙인 것이며, 부제의 내용을 음악으로 표현한 것이 아니므로 절대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모차르트의 31번 '파리', 35번 '하프너', 41번 '주피터' 등도 마찬가지이다(제35번은 하프너 가문을 위해 작곡되었다). 다만, 하이든의 6번 '아침', 7번 '낮', 8번 '저녁'은, 당시 모셨던 에스테르하지 공작으로부터 제목을 받아 작곡한 것이라고 하며, 표제 음악적 측면도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8번 '저녁'의 제4악장에는 하이든에 의해 '폭풍'이라는 부제가 붙어 있다.

베토벤은, 3번 '영웅' · 6번 '전원'에서 스스로 부제를 붙이는 방식을 시작했다. 제3번은, 처음에 '보나파르트'라는 제목으로 작곡된 것으로 보아, 나폴레옹 보나파르트를 염두에 둔 표제 음악이라고도 할 수 있다. 5번 '운명', 9번 '합창(합창 포함)'은 후세 사람이 붙인 애칭이며, 표제가 아니다. 다만, 제9번은 실러의 시에 의한 「환희의 송가」를 포함하고, 그 언어에 의해 의도하고 있는 바가 명확하며, 절대 음악은 아니다.

이후 낭만주의 시대의 교향곡은, 절대 음악과 표제 음악의 사이에서 흔들리면서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에서, 한 여성의 환영에 시달린다는 줄거리를 바탕으로, 여성의 환영을 선율로 삼아, 고정 관념(이데 픽스)으로 사용했다. 5개의 악장은 '꿈과 열정', '무도회', '들판의 풍경', '단두대로의 행진', '악마의 축제와 밤의 꿈'이라는 부제를 가진다. 이 곡은, 후일 교향시의 발전을 앞당기는 계기가 되었다.

슈만, 멘델스존의 교향곡도 부제를 가진 작품이 있지만, 형식적으로는 절대 음악의 범주에 머물러 있다.

브루크너는 완고하게 절대 음악의 형식을 지켰다. 말러는 1번과 3번에서 작곡 도중에 표제를 붙였지만, 최종적으로는 표제를 삭제했다. 2번 '부활', 7번 '밤의 노래', 8번 '천인의 교향곡'은 다른 사람에 의해 붙여진 통칭이며, 6번 '비극적'도 말러 자신이 붙인 것인지 확실하지 않다. 말러 본인이 명확하게 제목을 남긴 것은 가곡집과 교향곡의 중간적인 존재인 '대지의 노래'뿐이다. 다만, 말러의 교향곡에는 성악을 포함하는 것도 많고, 의미 있는 가사를 포함하게 된 이상, 그것들은 절대 음악일 수 없다. 또한, 최종적으로 표제를 삭제한 교향곡에 대해서도, 작곡 과정에서 표제를 의식한 것이 대부분이며, 어느 교향곡도 크고 작게 표제성을 가진다.

리스트의 《파우스트 교향곡》과 《단테 교향곡》, 시벨리우스의 《쿨레르보 교향곡》, 말러의 교향곡 《대지의 노래》, 차이콥스키의 《만프레드 교향곡》 등, 번호가 붙은 작품의 계열 외에 표제를 가진 작품도 있다.

에두아르 라로의 《스페인 교향곡》(바이올린 협주곡 제2번), 뱅상 댕디의 《프랑스 산사람의 노래에 의한 교향곡》, 이후쿠베 아키라의 《피아노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풍 교향곡》 등, 실질적으로 독주 악기와 관현악을 위한 협주곡이지만 규모가 큰 작품을, 굳이 교향곡이라고 부르는 예도 있다.

5. 주요 작곡가와 작품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오페라서곡이 '''신포니아'''라고 불렸는데, G.B. 삼마르티니가 이 서곡만을 독립시켜 연주회용으로 연주한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바로크 시대합주 협주곡 (특히 콘체르토 신포니아, 심포니 콘체르탄테)도 교향곡의 성립,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스카를라티의 이탈리아 서곡은 "빠름-느림-빠름"의 3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3부분이 후에 악장으로 독립, 비발디, 페르골레시를 거쳐 갈루피 등에 의해 소나타 형식의 악장을 가진 악곡 형식으로 발전해 갔다. 만하임 악파슈타미츠, 칸나비히는 다양한 관현악 기법을 연구, 미뉴에트 악장을 더하는 등 고전파 음악으로 이어졌다.

고전파 시대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교향곡은 다음과 같은 표준적인 형태를 갖추었다.


  • 제1악장 - 소나타 형식
  • 제2악장 - 완서 악장 (변주곡 또는 복합 3부 형식), 제1악장의 가까운 조
  • 제3악장 - 미뉴에트 으뜸조 (제1악장과 같은 조)
  • 제4악장 - 소나타 형식 또는 론도 형식, 으뜸조 또는 동주조


베토벤은 제3악장의 미뉴에트를 '''스케르초'''로 바꾸고, 교향곡 5번 다단조(운명)에서 피콜로, 콘트라바순, 트롬본을 도입하여 음향을 증대, 제3악장과 제4악장을 이어서 연주하도록 했다. 교향곡 6번 바장조 "전원"에서는 악장을 5개로 하고, 제3~5악장을 연결, 각 악장에 "표제"를 붙였다. 베토벤은 풍경 묘사가 아닌 인간 내면을 표현한 것이라 말하며, 낭만주의적 경향을 강화했다. 교향곡 9번에서는 종악장에 독창과 합창, 타악기를 도입하고 완서 악장과 스케르초의 순서를 바꾸는 등 참신한 수법을 사용, 고전파 교향곡의 정점에 도달했다.

낭만주의 시대에 교향곡은 인간 내면 표현 수단이 되었다. 슈베르트, 슈만, 멘델스존은 베토벤의 영향으로 형식상 큰 발전은 없었다. 베를리오즈는 "환상 교향곡"에서 거대 오케스트라, 고정 악상(이데 픽스) 도입 등 낭만주의 교향곡 대규모화의 발단을 만들었다. 브람스는 소나타 형식과 현악기 중심 오케스트라 울림을 중시한 "신고전주의"적 태도를 취했지만, 4곡 모두 3박자 스케르초가 없고, 제4번 최종 악장에 바로크파사칼리아(샤콘느)를 사용하는 등 변화를 주었다. 완서 악장이 먼 관계조가 되거나, 베토벤 제7번처럼 스케르초 악장이 가까운 조나 먼 관계조가 되는 경우도 있었다. 세자르 프랑크는 순환 형식에 의한 견고한 구성의 교향곡을 남겼다.

베를리오즈의 교향곡 『이탈리아의 헤롤드』처럼 반 협주곡인 작품, 라로의 『스페인 교향곡』처럼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교향곡으로 간주되지 않는 작품도 있다.

브루크너는 소나타 형식을 확대, 2개 주제에 제3주제를 추가했다[브루크너 형식]. 바그너의 영향으로 금관 악기가 화려하게 울리는 거대 오케스트라를 사용, 오르간 주법을 응용한 유니즌과 화성적 전개를 사용했다. 말러는 주제를 『주제군』으로 발전, 관현악 규모 확대(4→5관 편성), 가곡집 인용, 독창/합창 등 성악 포함이 특징이다. 최종 악장이 으뜸조가 아닌 경우, 평행조/반음 위/아래 조로 끝나는 등 조 취급을 확대/해체했다. 교향곡 8번은 『천인의 교향곡』이라는 별명을 가진 거대한 작품이다. 리하르트 슈트라우스는 초기 절대 음악 교향곡 2곡을 썼지만 주목받지 못했고, 이후 『가정 교향곡』, 『알프스 교향곡』은 교향시를 확대시킨 표제 음악으로 높게 평가받았다.

국민 악파, 민족 악파는 후기 낭만파와 겹치지만, 교향곡은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다. 드보르자크, 차이콥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 글라주노프, 스크랴빈, 시벨리우스, 칼 닐센, 엘가, 본 윌리엄스, 벡스, 하차투리안, 시마노프스키, 투빈 등이 3~9곡의 교향곡을 남겼다. 미야스코프스키는 27곡, 브라이언은 교향곡 1번 "고딕"에서 8관 편성의 대규모 교향곡을 남겼다.

현대에도 교향곡은 남아 있지만, 내용적으로 큰 변모를 겪었다. 신 빈 악파에서는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처럼 형식 변용, 베베른의 교향곡 작품 21처럼 음렬 기법에 짜넣어진 것도 있다. 프로코피예프, 쇼스타코비치는 소나타 형식 전통을 잇는 마지막 쌍벽이다. 이후에도 교향곡을 쓰는 작곡가가 있지만, 현대 음악의 중심은 아니다.

아이브스의 6개 교향곡, 코플런드의 4개 교향곡, 메시앙의 『투랑갈릴라 교향곡』, 구레츠키의 교향곡 3번 『비가(悲歌)의 교향곡』 등은 유명하지만, 형식/내용은 낭만파 교향곡과 거리가 있다. 윤이상은 5개 교향곡을 썼는데, 제목 붙이기에 고민, 억지로 "교향곡"으로 했다고 밝혔다.

핀란드레이프 세게르스탐은 200곡 이상의 교향곡을 작곡했다.

일본에서는 야마다 고사쿠의 "개선과 평화"가 최초, 모로이 사부로, 하시모토 쿠니히코가 뒤를 이었다. 카나이 키쿠코는 일본 여성 최초 교향곡 작곡, 이후쿠베 아키라, 야시로 아키오, 벳쿠 사다오, 마츠무라 테루조, 단 이쿠마, 마유즈미 토시로, 시바타 미나오, 하야시 히카루, 요시마츠 타카시, 이케베 신이치로 등이 교향곡을 작곡했다. 2013년 사무라 고우치 마모루의 아이디어로 니이가키 타카시가 작곡한 교향곡 1번 『HIROSHIMA』는 이례적인 히트를 기록했다. 21세기에는 컴퓨터로 교향곡을 작곡, 발표하는 사람도 있다.

교향곡이라는 이름을 가진 다양한 장르:

  • 합창 교향곡: 에르토르 베를리오즈의 『로미오와 줄리엣』, 베토벤 9번처럼 관현악, 합창, 독창을 동반하는 대규모 교향곡.
  • 신포니에타: 이탈리아어 "작은 교향곡". 실내 교향곡과 달리 통상적 관현악 편성이 많다. 구노의 소 교향곡처럼 원제가 ''Petite Symphonie''인 경우도 있다.
  • 실내 교향곡: 실내악, 실내 관현악을 위한 교향곡. 쇤베르크 2곡이 알려져 있다. 쇼스타코비치 "실내 교향곡"은 타인에 의한 현악 사중주곡 편곡이다.
  • 협주 교향곡: 18세기에 많이 작곡. 캄비니, 슈타미츠, 하이든, 모차르트 작품이 유명.
  • 오르간 교향곡: 샤를-마리 비도르 등 프랑스 작곡가들의 오르간 독주곡에 Symphonie pour orgue(오르간을 위한 교향곡)라고 이름 붙여진 작품. "오르간 교향곡" 또는 "상포니"로 구분. 비도르 상포니 제5번 제5악장 "토카타"는 유명, 연주 기회도 많다. 소랍지는 3개의 오르간 교향곡(2~6시간 40분 소요)이 있다.
  • 피아노 교향곡
  • 소랍지는 "피아노 교향곡"을 만들었지만, 피아노 소나타피아노 협주곡 등의 연장선상, 혹은 그 이상으로 볼 수 있다.
  • 알캉의 "단조에 의한 12개의 연습곡 op.39" 중 제4~7곡은 "교향곡"으로, 관현악적 울림 재현을 추구한다.


다음은 교향곡 작곡가와 작품 목록이다. (출생 연도순)

5. 1. 고전파까지

서곡, '리피에노 콘체르토'와 더불어 초기 교향곡은 세 악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박자는 '빠른-느린-빠른' 구성이었다. 그러나 리피에노 콘체르토와 달리, 초기 교향곡에서는 최소한 첫 악장은 두 박자 형태였다. 교향곡은 이탈리아풍 서곡과도 차이가 있었는데, 극작품의 도입곡이 아닌 그 자체로 공연용 음악이었다. 장조가 대다수였다.

이 시대의 교향곡은 공연용, 오페라곡, 교회 음악이건 간에 연주 곡목에서 주요한 작품이 아니었다. 대개 협주곡과 함께 나오며, 다른 작품 사이에 곡을 나누어서 끼워 넣거나 모음곡 혹은 서곡에 뽑아쓰기도 했다. 성악이 지배적이었으며, 교향곡은 서곡, 간주곡, 후주곡으로 쓰였다. 이 시기 교향곡은 비교적 짧아서 10분에서 20분 사이 분량이었다.

종종 오페라에서 서곡이나 간주곡으로 쓰던 "이탈리아" 양식의 교향곡은 표준적인 3형식 악곡이 되었다. 빠른 악장, 느린 악장, 또 빠른 악장이 나오는 식이다. 모차르트의 초기 교향곡도 이런 배치를 따르고 있다. 초기 3악장 형식 교향곡은 4악장 형식으로 대체되어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까지 이어졌다. 교향곡 양식은 독일식의 영향을 받았으며, 이후 하이든과 모차르트의 "고전 양식"이 되었다.

일반적인 4악장 형식의 교향곡 형태는 다음과 같았다.

# 시작하는 알레그로

# 느린 악장

# 미뉴엣 혹은 스케르초

# 알레그로나 론도

이런 배치에 변형도 흔했다. 가령 중간의 두 악장 순서를 바꾼다거나 1악장 앞에 느린 서주를 넣는 식이었다. 3악장에 미뉴엣을 넣은 최초의 교향곡은 게오르크 마티아스 몬의 1740년 D장조 작품이라고 하며, 미뉴에트를 4악장 교향곡에 양식화한 첫 음악가는 요한 슈타미츠라고 알려져 있다.

초기 교향곡 작곡은 만하임에 집중되어 있었다. 빈에서 이 양식을 지지한 음악가로는 게오르크 크리스토프 바겐자일, 벤첼 라이문트 비르크, 게오르크 몬이 있으며, 만하임 악파에는 요한 슈타미츠가 있다. 그러나 교향곡은 이탈리아의 조반니 바티스타 삼마르티니, 안드레아 루체시, 안토니오 브리오쉬, 북독일의 칼 필립 에마누엘 바흐, 잘츠부르크의 레오폴트 모차르트, 파리의 프랑수아 조셉 고섹, 런던의 요한 크리스티안 바흐칼 프리드리히 아벨 등 유럽 전역에서 교향곡이 작곡되었다.

이후 중요한 빈 악파의 교향곡 작곡가로는 요한 밥티스트 반할, 칼 디터스 폰 디터스도르프, 레오폴트 호프만 등이 있다. 18세기 후반 가장 중요한 교향곡은 요제프 하이든의 것으로, 그는 36년간 최소 108개의 교향곡을 썼으며,[46]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는 24년 동안 최소 56개의 교향곡을 썼다.[47]

주요 작품으로는 하이든 94번 "놀람", 101번 "시계", 모차르트 40번, 41번 "주피터" 등이 있다.

출생 연도작곡가국적주요 작품
1658토렐리이탈리아4성부 신포니아
1678비발디이탈리아23곡의 신포니아
1701삼마르티니이탈리아70곡 이상의 교향곡
1710보이스영국8곡의 신포니아
1714C.P.E. 바흐독일20곡의 신포니아
1715바겐자일오스트리아?
1717오스트리아16곡의 교향곡
1717J. 슈타미츠체코50곡 이상의 교향곡
1718브릭??
1725아벨독일?
1732하이든오스트리아104곡의 번호가 붙은 교향곡, 교향곡 A, B
1734고섹프랑스?
1735J.C. 바흐독일?
1737미하엘 하이든오스트리아40곡 이상의 교향곡
1739반할체코?
1739디터스도르프오스트리아100곡 이상의 교향곡
1741루케시이탈리아?
1743보케리니이탈리아27곡(?)의 교향곡
1750로세티체코?
1752클레멘티이탈리아?
1756모차르트오스트리아38곡의 번호가 붙은 교향곡, 14곡(?)의 번호 없음
1757프라이엘오스트리아41곡의 교향곡
1763메윌프랑스4곡 이상의 교향곡


5. 2. 낭만주의 - 근대

베토벤은 교향곡을 더욱 발전시켰다. 베토벤 교향곡 3번(영웅 ''Eroica'')은 음계와 감정의 배열이 이전 작품과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교향곡 9번은 교향곡에서는 거의 최초로 성악 솔로와 합창을 4악장에 넣었다. (다니엘 슈타이벨트는 그보다 4년 전 1820년의 피아노 협주곡에 성악 합창을 넣어 작곡한 바 있다)[30] 엑토르 베를리오즈는 베토벤 교향곡 9번을 "합창 교향곡"이라 처음으로 불렀으며, "극적 교향곡"인 로미오와 줄리엣의 총보 서문에 다섯 문단으로 자신의 의도를 설명하면서 이러한 개념을 만들어냈다.[30] 베토벤과 슈베르트는 일반적으로 쓰이는 우아한 미뉴엣 대신 더 생기있는 스케르초를 쓰기도 했다. 베토벤 교향곡 6번 "전원"은 표제 음악으로 마지막 악장 앞에 "폭풍" 부분을 끼워넣었다. 엑토르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은 표제 음악으로, 보통의 4악장 구성과 달리 5악장으로 구성하여 행진곡과 왈츠 곡을 넣었다.

로베르트 슈만펠릭스 멘델스존낭만주의 음악의 화성적 표현을 교향곡에서 발전시킨 두 지도적인 독일 음악가였다. 프랑스의 엑토르 베를리오즈와 헝가리의 프란츠 리스트처럼 매우 뚜렷한 표제 교향곡을 쓴 음악가도 있었다. 러시아에서는 니콜라이 림스키코르사코프가 이러한 예시를 따라 교향적 모음곡 "안타르"와 "세헤라자데"를 썼다. 요하네스 브람스슈만멘델스존을 출발점으로 삼아, 대단히 높은 수준의 구조적 통일체를 이룬 교향곡을 작곡했다. 그 밖에 19세기 말 중요한 교향곡을 쓴 음악가로는 안톤 브루크너, 안토닌 드보르자크,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등이 있다.

5. 3. 20세기 이후에 태어난 작곡가

20세기에는 작곡가들이 "교향곡"이라고 명명한 작품의 스타일과 내용에서 더 많은 다양성이 나타났다.[10]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칼 닐센 등 일부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4악장 형식을 계속해서 썼지만, 다른 작곡가들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했다. 장 시벨리우스교향곡 7번은 그의 마지막 작품으로, 단일 악장으로 되어 있고, 앨런 호바네스의 교향곡 9번 ''성 바르탄''은 1949-50년에 작곡되었으며, 24악장으로 되어 있다.[10]

작품을 "교향곡"으로 지정하는 것은 여전히 일정한 수준의 정교함과 목적의 진지함을 암시했다.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의 관현악 신포니에타와 같이 교향곡보다 짧고, 덜 야심적이며, "가벼운" 작품을 지정하는 데에는 "신포니에타"라는 단어가 사용되었다.[10]

20세기 전반에 걸쳐 에드워드 엘가, 구스타프 말러, 장 시벨리우스, 칼 닐센,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보후슬라프 마르티누, 로저 세션스, 윌리엄 월튼,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루에드 랑고르,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등은 "범위, 풍부함, 독창성, 표현의 긴급함에서 특별한" 교향곡을 작곡했다.[10]

20세기 중반부터 21세기까지 많은 포스트모더니즘 작곡가들이 교향곡에 상당한 부분을 추가하면서 교향곡에 대한 관심이 부활했다. 특히 영국에서 피터 맥스웰 데이비스 (10곡),[11] 로빈 할로웨이 (1곡),[12] 데이비드 매튜스 (9곡),[13] 제임스 맥밀란 (5곡),[14] 피터 시본 (6곡),[15] 필립 소이어스 (6곡) 등이 활동했다.[16] 영국의 작곡가 데릭 부르주아는 116개의 교향곡으로 하이든이 쓴 교향곡의 수를 넘어섰다.[17] 현재까지 가장 많은 수의 교향곡은 핀란드레이프 세게르스탐이 작곡했으며, 그의 작품 목록에는 371개의 교향곡이 포함되어 있다.[18]

20세기 이후 출생 작곡가들은 다음과 같다(괄호 안은 출생년도):

작곡가국적교향곡 수
에드먼드 러브라(1901)영국11곡
빅터 헬리-허친슨(1901)남아프리카캐롤 교향곡, 외 소관현악을 위한 교향곡
윌리엄 월튼(1902)영국1번, 2번
비사리온 셰발린(1902)러시아5곡 + 극적 교향곡 "레닌", 신포니에타
아람 하차투리안(1903)아르메니아1번, 2번, 3번(교향시곡)
모로이 사부로 (1903)일본2번, 3번 등 6곡, 어린이를 위한 소교향곡
하시모토 구니히코 (1904)일본1번 "다조", 2번 "축전 교향곡(바조)"
가브릴 포포프(1904)러시아1번, 3번, 6번
윌리엄 올윈(1905)잉글랜드5곡
마이클 티핏(1905)영국1번, 2번, 3번, 4번
에두아르드 투빈(1905)에스토니아10곡 + 미완 1곡
카를 아마데우스 하르트만(1905)독일8곡[36]
벤자민 프랭클(1906)영국8곡
카나이 키쿠코 (1906)일본1곡 + 미완 1곡
안탈 도라티(1906)헝가리2번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러시아1번, 2번 "10월 혁명에 바침", 3번 "메이 데이", 4번, 5번, 6번, 7번 "레닌그라드", 8번, 9번, 10번, 11번 "1905년", 12번 "1917년", 13번 "바비 야르", 14번 "죽은 자의 노래", 15번
오사와 히사히토 (1906)일본2번, 3번
보리스 코제브니코프(1906)러시아5곡(1, 2 "승리", 3 "슬라브 얀스 카야", 4, 5 "밤 철도 건설 노동자에게 헌정")
아흐메트 아드난 사이군(1907)터키5곡
올리비에 메시앙(1908)프랑스투랑갈릴라 교향곡
판 홀름보(1909)덴마크13곡
기시 고이치 (1909)일본붓다 (교향곡)
장 마르티농(1910)프랑스4번 "지고"
사무엘 바버(1910)미국1번, 2번
윌리엄 슈만(1910)미국3번, 현을 위한 교향곡 등 8곡
알란 호바네스(1911)미국1번 "추방", 2번 "신비의 산", 3번, 4번, 6번 "천국의 문", 22번 "빛의 도시", 50번 "세인트 헬렌스 산" 등 67곡
버나드 허먼(1911)미국1곡
아베 사치아키 (1911)일본1번 등 2곡
알란 페테르손(1911)스웨덴17곡
니노 로타(1911)이탈리아1곡
오다카 나오타다 (1911)일본미완성 1곡
딩 산더(1911)중국교향곡 "장정"
이치카와 도시하루 (1912)일본일본 선법을 기초로 한 교향곡
세르주 첼리비다케(1912)루마니아3곡
마 쓰총(1912)중국2곡
돈 질리스(1912)미국교향곡 51/2번 등 10곡
조지 로이드(1913)영국12곡
벤자민 브리튼(1913)영국신포니에타, 심플 심포니, 신포니아 다 레퀴엠, 봄 교향곡
비톨트 루토스와프스키(1913)폴란드4곡[37]
이후쿠베 아키라 (1914)일본신포니아 타푸카라
안제이 파누프니크(1914)폴란드5 "공간 교향곡", 6 "신비의 교향곡", 8 "평화 교향곡", 9 "희망의 교향곡" 등 10곡
데이비드 다이아몬드(1915)미국11곡
험프리 서얼(1915)잉글랜드5곡
빈센트 퍼시케티(1915)미국1, 2, 3, 4, 5, 6번, 7번 "전례풍", 8, 9 "야니쿨룸"
오구라 아키라 (1916)일본1곡[38]
아이나르 엥글룬(1916)핀란드7곡
앙리 뒤티외(1916)프랑스1번, 2번 "르 두블"
시바타 미나오 (1916)일본신포니아, "가는 강물은 끊이지 않고"
루 해리슨(1917)미국4곡
미하일 골드스타인 (1917)러시아 → 독일?
윤이상(1917)한국1번, 4번 "어둠 속에서 노래하다" 등 5곡
고트프리트 폰 아이넴(1918)오스트리아필라델피아 교향곡
레너드 번스타인(1918)미국1번 "예레미야", 2번 "불안의 시대", 3번 "카디쉬"
알프레드 리드(1919)미국금관 악기와 타악기를 위한 교향곡(1), 2, 3, 4, 5 "벚꽃"
모이세이 바인베르크(1919)폴란드 → 러시아4번, 10번 등 번호가 붙은 19곡, 교향곡 "카디쉬", 신포니에타 2곡, 실내 교향곡 4곡
술탄 가지베코프(1919)아제르바이잔2곡
갈리나 우스트볼스카야(1919)러시아5곡
말콤 아놀드(1921)영국1번, 2, 3, 4, 5, 6, 7, 8, 9, 현악을 위한 교향곡, 금관 악기를 위한 교향곡
로버트 심프슨(1921)영국11곡
카렐 후사(1921)체코 - 미국2 "리플렉션스"
베츠미야 사다오 (1922)일본1번, 2번, 3, 4, 5 "인간"
루카스 포스(1922)독일 - 미국4곡
마쓰시타 신이치 (1922)일본7곡[39]
피터 메닌(1923)미국9곡
단 이쿠마 (1924)일본1번, 2번, 3번, 4번, 5번, 6번 "HIROSHIMA", 부르레스크풍 교향곡, 미완 1곡
오타르 타크타키쉬빌리(1924)러시아2번
미하일 노스노레프(1924)러시아4곡
안드레이 에슈파이(1925)러시아9곡
아쿠타가와 야스시 (1925)일본1번, 엘로라 교향곡
보리스 차이콥스키(1925)러시아4곡
한스 베르너 헨체(1926)독일1번, 2번, 3번, 4번, 5번[40], 6번, 7번, 8번, 9번, 10번
타데우시 바이르트(1928)폴란드3곡[41]
에브게니 스베틀라노프(1928)러시아1곡
에이노유하니 라우타바라(1928)핀란드1, 2 "신포니아 인티마", 3, 4 "아라베스카타", 5, 6 "빈센티아나", 7 "빛의 천사", 8 "여행"
마유즈미 도시로 (1929)일본열반 교향곡, 만다라 교향곡
야시로 아키오 (1929)일본1곡
마쓰무라 데이조 (1929)일본1번, 2번
아베트 테르테리안(1929)아제르바이잔3번 등 8곡, 미완 9번
소피아 구바이다리나(1931)러시아소리…침묵…
하야시 히카리 (1931)일본어린이 교향곡, 1, 2, 3
존 윌리엄스(1932)미국1곡
클로드 토머스 스미스(1932)미국1곡
도미타 이사오 (1932)일본이하토브 교향곡 등 3곡
존 번스 찬스(1932)미국2곡
이치야나기 도시 (1933)일본11곡
이다 고트코프스키(1933)프랑스봄 교향곡, 현악과 타악기를 위한 교향곡, 25관악기를 위한 교향곡, 눈부신 교향곡, 황금 교향곡(15개의 색소폰을 위한), 젊은 교향곡
헨리크 고레츠키(1933)폴란드1 "1959년", 2번 "코페르니쿠스 당", 3번 "비가(悲歌)의 심포니", 4 "탄스만의 에피소드"
크시슈토프 펜데레츠키(1933)폴란드1번, 2번, 3번, 7 "예루살렘의 일곱 개의 문"
알프레트 슈니트케(1934)러시아0번, 1번, 2 "성 플로리안", 3, 4, 5 "콘체르토 그로소 4번", 5, 6, 7, 8, 9 (미완성, 보필 완성판 있음)
알렘다르 카라마노프(1934)러시아24곡
아르보 패르트(1935)에스토니아4곡
헬무트 랴헨만(1935)독일교향곡 마단조(15세 때의 습작)
기야 칸첼리(1935)그루지야1, 2 "노래", 3, 4 "미켈란젤로의 추억에", 5 "나의 부모님의 추억에", 6, 7 "에필로그"
필립 글래스(1937)미국12곡
존 코릴리아노(1937)미국1, 2, 3번 "키르쿠스 막시무스"
발렌틴 실베스트로프(1937)우크라이나7곡
로리스 체크나보리안(1937)이란?
찰스 워리넨(1938)미국8곡
보리스 티시첸코(1939)러시아7곡
로버트 예거(1939)미국1번, 2번 "세 법인", 3 "신의 빛"
노다 테루유키 (1940)일본2곡[42], 코랄 교향곡
데릭 부르주아(1941)영국6번 "코츠월드" 등 116곡
이케베 신이치로 (1943)일본10곡
데이비드 마슬란카(1943)미국1, 2, 3, 4, 5, 6 "지구는 살아있다", 7, 8, 9, 소교향곡 1곡("오늘의 양식을 주시옵소서"), "소교향곡 - 바니 차일즈의 이름을 따서"(솔로 클라리넷을 위한 작품) 제외
레이프 세게르스탐(1944)핀란드2008년 9월 현재 215곡
존 쿨리지 아담스(1947)미국실내 교향곡, 교향곡 "원폭 박사"
카레비 아호(1949)핀란드14곡
번스(1949)미국1, 2, 3번, 4 "옐로스톤 초상화", 5 "피닉스", 6, 교향적 장송곡(7), 8, 9
레포 스메라(1950)에스토니아6곡
나카무라 시게노부 (1950)일본5곡
히사이시 조 (1950)일본2곡의 교향곡, 2곡의 실내 교향곡, 미완 1곡, "THE EAST LAND SYMPHONY", "ASIAN SYMPHONY"
필립 스파크(1951)영국1 "대지, 물, 태양, 바람", 2 "사바나 심포니", 3 "컬러 심포니", 피츠버그 교향곡
요한 데 메이(1953)네덜란드1번 "반지의 제왕", 2번 "빅 애플", 3번 "플래닛 어스", 4번 "진포니 데어 리더", 5 "리턴 투 미들 어스"
요시마츠 타카시 (1953)일본카무이치카프 교향곡(1), 2 "지구(테라)에서", 3, 4번, 5번, 6 "새와 천사들"
니시무라 아키라 (1953)일본3곡의 교향곡, 3곡의 실내 교향곡
얀 판 데르 로스트(1956)벨기에심포니아 훙가리카, 심포니아, 신포니에타 1곡
올리버 나센(1953)영국3곡
탄둔(1957)중국교향곡 1997 "천, 지, 인", 2000 투데이~월드 심포니 포 더 밀레니엄, 인터넷 교향곡
아마노 마사미치일본1 "그라르"
로버트 W. 스미스(1958)미국교향곡 1번 "신곡", 교향곡 2번 "오디세이", 교향곡 3번 "돈키호테"
엘리키-스벤 퇴루(1959)에스토니아교향곡 4번 "마그마" 등 8곡
캄란 인세(1960)터키교향곡 2번 "콘스탄티노플 함락", 교향곡 3번 "빈 포위", 교향곡 4번 "사르디스" 등 5곡
이토 야스히데 (1960)일본교향곡, 주빌리 심포니(축제 교향곡), 싱가포르 심포니
센주 아키라 (1960)일본1곡
오시마 미치루 (1961)일본2곡
나가세 쥰 (1964)일본취주악 5곡
페레르 페란(1966)스페인1 "사막의 폭풍", 2번 "그리스도의 수난", 3 "위대한 정신", 4 "거인", 소교향곡 1곡("산의 부름")
니이하리 다카시 (1970)일본("HIROSHIMA", "HARIKOMI", "연도")
베르트 아펠몽(1973)벨기에1번 등 2곡
스카노 유고 (1977)일본2곡
아카타 즈벨(1978)폴란드2곡
제이 그린버그(1991)미국6곡


6. 다양한 교향곡

17세기 이탈리아에서 오페라서곡이 '''신포니아'''라고 불렸는데, G.B. 삼마르티니가 이 서곡만을 독립시켜 연주회용으로 연주한 것이 기원이라고 여겨진다. 또한, 바로크 시대합주 협주곡 (특히 콘체르토 신포니아, 심포니 콘체르탄테)도 교향곡의 성립,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된다.

낭만주의 시대에는 교향곡이 인간의 내면을 표현하는 수단이 되었다. 베를리오즈의 교향곡 『이탈리아의 헤롤드』와 같이 실질적으로 반 협주곡인 작품도 있다. 라로의 『스페인 교향곡』 등은 "교향곡"이라고 이름 붙여져 있지만, 실제로는 바이올린 협주곡이며, 교향곡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브루크너에서는 소나타 형식이 확대되어, 종래의 2개의 주제에 더하여 제3주제를 갖게 되었다 [브루크너 형식]. 말러에서는 단순한 주제에서 『주제군』으로 발전하여, 관현악의 규모 확대 (4관 편성에서 5관 편성까지), 자작의 가곡집으로부터의 인용, 독창이나 합창 등의 성악을 포함한 것이 특징적이다. 교향곡 8번은 초연에서 독창자 7명과 소년 합창, 게다가 2개의 혼성 합창단을 동반한 1천 명여 명에 의해 연주되었기 때문에, 『천인의 교향곡』이라는 이명을 가진 거대한 작품이다.

국민 악파, 민족 악파로 분류되는 작곡가는 후기 낭만파와 시대가 겹치지만 (넓은 의미에서의 낭만파이기도 하다), 교향곡은 그들에게도 중요한 표현 수단이었다. 드보르자크, 차이콥스키, 보로딘, 림스키코르사코프, 글라주노프 등이 교향곡을 작곡하였다.

현대에도 교향곡이라는 장르는 남아 있지만, 내용적으로 큰 변모를 이룬 것도 포함되어 있다. 신 빈 악파에서는 쇤베르크의 실내 교향곡과 같은 형식의 변용이나, 베베른의 교향곡 작품 21과 같이 완전히 음렬 기법에 짜넣어진 것도 있다. 소나타 형식의 전통에 연관되는 교향곡 작가로서는 프로코피예프쇼스타코비치가 현재로서는 마지막 쌍벽이다.

아이브스의 6개의 교향곡 (마지막 유니버스 교향곡은 미완성), 코플런드의 4개의 교향곡, 메시앙의 『투랑갈릴라 교향곡』, 구레츠키의 교향곡 3번 『비가(悲歌)의 교향곡』 등의 곡은 유명하지만, 형식이나 내용은 낭만파의 교향곡과는 큰 거리가 있다. 한국의 최초의 대작곡가인 윤이상의 교향곡은 5곡이 있다.

그럼에도 현재도 교향곡이 작곡되고, 핀란드의 작곡가·지휘자인 레이프 세게르스탐은 사상 최다인 200곡의 교향곡을 양산하고 있다.

일본에서의 교향곡의 수용은 야마다 고사쿠가 교향곡 "개선과 평화"를 작곡한 것이 처음이며, 모로이 사부로, 하시모토 쿠니히코가 뒤를 이었다. 카나이 키쿠코는 일본 여성 작곡가로서는 처음으로 교향곡을 작곡했으며, 이후쿠베 아키라, 야시로 아키오, 벳쿠 사다오 등도 교향곡을 작곡했다.

7. 유사한 형식을 가진 곡

} || 1847년 || 독일 || 6곡

|-

| 패리 || 1848년 || 영국 || 5곡

|-

| 피비흐 || 1850년 || 체코 || 3곡

|-

| 댕디 || 1851년 || 프랑스 || 3곡 + 1곡(프랑스 산인의 노래에 의한 교향곡)

|-

| 후버 || 1852년 || 스위스 || 8곡

|-

| 스탠퍼드 || 1852년 || 영국 || 7곡

|-

| 쇼송 || 1855년 || 프랑스 || 1곡 + 미완성 1곡

|-

| 마르투치 || 1856년 || 이탈리아 || 2곡

|-

| 신딩 || 1856년 || 노르웨이 || 4곡

|-

| 타네예프 || 1856년 || 러시아 || 4곡

|-

| 엘가 || 1857년 || 영국 || 2곡 + 미완성 1곡

|-

| 로트 || 1858년 || 오스트리아 || 1곡

|-

| 포르스터 || 1859년 || 체코 || 5곡

|-

| 랴푸노프 || 1859년 || 러시아 || 2곡

|-

| 이폴리토프-이바노프 || 1859년 || 러시아 || 2곡(1, 2「카렐리아」)

|-

| 레즈니체크 || 1860년 || 오스트리아 || 5곡

|-

| 말러 || 1860년 || 오스트리아 || 번호가 매겨진 9곡(1번「거인」, 8번「천인」) + 대지의 노래 + 미완성 1곡

|-

| 파데레프스키 || 1860년 || || 교향곡「폴란드」

|-

| 드뷔시 || 1862년 || 프랑스 || 1곡(피아노 연탄악보만)

|-

| 바인가르트너 || 1863년 || 오스트리아 || 7곡

|-

| 할보르센 || 1864년 || 노르웨이 || 3곡

|-

| R.슈트라우스 || 1864년 || 독일 || 2곡 + 가정 교향곡, 알프스 교향곡

|-

| 로파르츠 || 1864년 || 프랑스 || 5곡

|-

| 루이 글라스 || 1864년 || 덴마크 || 6곡

|-

| 시벨리우스 || 1865년 || 핀란드 || 7곡 + 쿨레르보 교향곡 + 미완성 1곡

|-

| 닐센 || 1865년 || 덴마크 || 6곡

|-

| 글라주노프 || 1865년 || 러시아 || 8곡 + 미완성 1곡

|-

| 뒤카 || 1865년 || 프랑스 || 1곡

|-

| 마냐르 || 1865년 || 프랑스 || 4곡

|-

| 칼리니코프 || 1866년 || 러시아 || 2곡

|-

| 비치 || 1867년 || 미국 || 교향곡「게일풍」

|-

| 루셀 || 1869년 || 프랑스 || 4곡

|-

| 플로랑 슈미트 || 1870년 || 프랑스 || 2곡

|-

| 투르느미르 || 1870년 || 프랑스 || 8곡

|-

| 젬린스키 || 1871년 || 오스트리아 || 3곡(서정 교향곡), 신포니에타

|-

| 스텐하마르 || 1871년 || 스웨덴 || 2곡

|-

| 스크랴빈 || 1872년 || 러시아 || 5곡

|-

| 알벤 || 1872년 || 스웨덴 || 5곡

|-

| 본 윌리엄스 || 1872년 || 영국 || 9곡(바다 교향곡(1), 런던 교향곡(2), 전원 교향곡(3))

|-

| 라흐마니노프 || 1873년 || 러시아 || 3곡의 번호가 매겨진 교향곡 + 청춘 교향곡, 합창 교향곡「종」

|-

| 아이브스 || 1874년 || 미국 || 4곡과 교향곡「축일」, 우주 교향곡(미완성)

|-

| 프란츠 슈미트 || 1874년 || 오스트리아 || 4곡

|-

| 수크 || 1874년 || 체코 || 2곡(교향곡 E장조, 아스라엘 교향곡)

|-

| 쇤베르크 || 1874년 || 오스트리아 || 실내 교향곡

|-

| 글리에르 || 1875년 || 우크라이나 || 3곡(3「일리야 무로메츠」)

|-

| 베츠 || 1875년 || 독일 || 3곡

|-

| 라벨 || 1875년 || 프랑스 || 1곡(스케치만)

|-

| 볼프-페라리 || 1876년 || 이탈리아 || 실내 교향곡 1곡

|-

| 브라이언 || 1876년 || 영국 || 32곡

|-

| 도흐나니 || 1877년 || 헝가리 || 2곡

|-

| 슈레커 || 1878년 || 오스트리아 || 실내 교향곡 1곡

|-

| 오스트르칠 || 1879년 || 체코 || 1곡(교향곡 A장조) + 신포니에타

|-

| 레스피기 || 1879년 || 이탈리아 || 2곡(교향곡 G장조, 극적 교향곡)

|-

| 하티 || 1879년 || 아일랜드 || 아일랜드 교향곡

|-

| 올손 || 1879년 || 스웨덴 || 1곡

|-

| 블로흐 || 1880년 || 스위스-미국 || 4곡

|-

| 피체티 || 1880년 || 이탈리아 || 1곡

|-

| 바이글 || 1881년 || 오스트리아 || 6곡

|-

| 미야스코프스키 || 1881년 || 러시아 || 27곡

|-

| 에네스쿠 || 1881년 || 루마니아 || 3곡

|-

| 스트라빈스키 || 1882년 || 러시아 || 4곡(시편 교향곡, ※관악기 신포니는 특수한 사례로 제외)

|-

| 시마노프스키 || 1882년 || 폴란드 || 4곡

|-

| 코다이 || 1882년 || 헝가리 || 1곡

|-

| 말리피에로 || 1882년 || 이탈리아 || 17곡

|-

| 투리나 || 1882년 || 스페인 || 세비야 교향곡[30]

|-

| 베베른 || 1883년 || 오스트리아 || 1곡

|-

| 카셀라 || 1883년 || 이탈리아 || 3곡

|-

| 박스 || 1883년 || 영국 || 7곡 + 신포니에타

|-

| 랑스트룀 || 1884년 || 스웨덴 || 4곡

|-

| 클렘페러 || 1885년 || 독일 || 6곡

|-

| 벨레스 || 1885년 || 오스트리아 || 9곡

|-

| 푸르트벵글러 || 1886년 || 독일 || 3곡

|-

| 야마다 고사쿠 || 1886년 || 일본 || 「승전과 평화」, 「메이지 송가」, 「쇼와 송가」, 무도 교향곡 「막달라의 마리아」, 나가우타 교향곡

|-

| 구리디 || 1886년 || 스페인 || 피레네 교향곡

|-

| 빌라로보스 || 1887년 || 브라질 || 12곡

|-

| 토흐 || 1887년 || 오스트리아 || 7곡 + 실내 교향곡, 피아노와 오케스트라를 위한 교

|-

| 러브라 || 1901년 || 영국 || 11곡

|-

| 헬리-허친슨 || 1901년 || 남아프리카 || 캐롤 교향곡, 외 소관현악을 위한 교향곡

|-

| 월튼 || 1902년 || 영국 || 2곡

|-

| 셰발린 || 1902년 || 러시아 || 5곡 + 극적 교향곡 "레닌", 신포니에타

|-

| 하차투리안 || 1903년 || 아르메니아 || 3곡

|-

| 모로이 사부로 || 1903년 || 일본 || 6곡?(어린이를 위한 소교향곡)

|-

| 하시모토 구니히코 || 1904년 || 일본 || 2곡

|-

| 포포프 || 1904년 || 러시아 || 6곡

|-

| 올윈 || 1905년 || 잉글랜드 || 5곡

|-

| 티핏 || 1905년 || 영국 || 4곡

|-

| 투빈 || 1905년 || 에스토니아 || 10곡 + 미완 1곡

|-

| 하르트만 || 1905년 || 독일 || 8곡[36]

|-

| 프랭클 || 1906년 || 영국 || 8곡

|-

| 카나이 키쿠코 || 1906년 || 일본 || 1곡 + 미완 1곡

|-

| 도라티 || 1906년 || 헝가리 || 2곡

|-

| 쇼스타코비치 || 1906년 || 러시아 || 15곡

|-

| 오사와 히사히토 || 1906년 || 일본 || 3곡

|-

| 코제브니코프 || 1906년 || 러시아 || 5곡

|-

| 사이군 || 1907년 || 터키 || 5곡

|-

| 메시앙 || 1908년 || 프랑스 || 투랑갈릴라 교향곡

|-

| 홀름보 || 1909년 || 덴마크 || 13곡

|-

| 기시 고이치 || 1909년 || 일본 || 붓다 (교향곡)

|-

| 마르티농 || 1910년 || 프랑스 || 4곡

|-

| 바버 || 1910년 || 미국 || 2곡

|-

| 슈만 || 1910년 || 미국 || 8곡

|-

| 호바네스 || 1911년 || 미국 || 67곡

|-

| 허먼 || 1911년 || 미국 || 1곡

|-

| 아베 사치아키 || 1911년 || 일본 || 2곡

|-

| 페테르손 || 1911년 || 스웨덴 || 17곡

|-

| 로타 || 1911년 || 이탈리아 || 1곡

|-

| 오다카 나오타다 || 1911년 || 일본 || 미완성 1곡

|-

| 딩 산더 || 1911년 || 중국 || 1곡(교향곡 "장정")

|-

| 이치카와 도시하루 || 1912년 || 일본 || 일본 선법을 기초로 한 교향곡

|-

| 첼리비다케 || 1912년 || 루마니아 || 3곡

|-

| 마 쓰총 || 1912년 || 중국 || 2곡?

|-

| 질리스 || 1912년 || 미국 || 10곡(교향곡 51/2번)

|-

| 로이드 || 1913년 || 영국 || 12곡

|-

| 브리튼 || 1913년 || 영국 || 신포니에타, 심플 심포니, 신포니아 다 레퀴엠, 봄 교향곡

|-

| 루토스와프스키 || 1913년 || 폴란드 || 4곡[37]

|-

| 이후쿠베 아키라 || 1914년 || 일본 || 신포니아 타푸카라

|-

| 파누프니크 || 1914년 || 폴란드 || 10곡

|-

| 다이아몬드 || 1915년 || 미국 || 11곡

|-

| 서얼 || 1915년 || 잉글랜드 || 5곡

|-

| 퍼시케티 || 1915년 || 미국 || 9곡

|-

| 오구라 아키라 || 1916년 || 일본 || 1곡[38]

|-

| 엥글룬 || 1916년 || 핀란드 || 7곡

|-

| 뒤티외 || 1916년 || 프랑스 || 2곡

|-

| 시바타 미나오 || 1916년 || 일본 || 2곡(신포니아, "가는 강물은 끊이지 않고")

|-

| 해리슨 || 1917년 || 미국 || 4곡

|-

| 미하일 골드스타인 || 1917년 || 러시아 → 독일 ||

|-

| 윤이상 || 1917년 || 한국 || 5곡

|-

| 아이넴 || 1918년 || 오스트리아 || 필라델피아 교향곡

|-

| 번스타인 || 1918년 || 미국 || 3곡

|-

| 리드 || 1919년 || 미국 || 5곡

|-

| 바인베르크 || 1919년 || 폴란드 → 러시아 || 번호가 붙은 19곡 + 교향곡 "카디쉬", 신포니에타 2곡, 실내 교향곡 4곡

|-

| 가지베코프 || 1919년 || 아제르바이잔 || 2곡?

|-

| 우스트볼스카야 || 1919년 || 러시아 || 5곡

|-

| 아놀드 || 1921년 || 영국 || 11곡

|-

| 심프슨 || 1921년 || 영국 || 11곡

|-

| 후사 || 1921년 || 체코 - 미국 || 현시점 2곡

|-

| 베츠미야 사다오 || 1922년 || 일본 || 5곡

|-

| 포스 || 1922년 || 독일 - 미국 || 4곡

|}

참조

[1] 웹사이트 Oxford English Dictionary http://www.oed.com/v[...]
[2] 문서 Brown
[3] 서적 The Etymologies of Isidore of Seville https://books.googl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6-06-08
[4] 서적 Le Haydine, ovvero Lettere su la vita e le opere del celebre maestro Giuseppe Haydn
[5] 서적 Elements of Sonata Theory : Norms, Types, and Deformations in the Late-Eighteenth-Century Sonata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6] 서적 Nietzsche's Thus Spoke Zarathustra: Before Sunrise https://books.google[...] Bloomsbury Publishing
[7] 서적 John Christian Bach: Mozart's Friend and Mentor https://books.google[...] Hal Leonard Corporation
[8] 문서 LaRue, Bonds, Walsh, and Wilson
[9] 문서 Dahlhaus
[10] 간행물 Stravinsky's Symphony in C (1940) http://dx.doi.org/10[...] 1941
[11] 웹사이트 Contemporary Composer – Sir Peter Maxwell Davies https://www.gramopho[...] 2020-07-12
[12] 웹사이트 Prom 27: Robin Holloway, Strauss & Brahms https://www.bbc.co.u[...] BBC 2020-07-12
[13] 웹사이트 Natural selection https://www.spectato[...] 2020-07-12
[14] 웹사이트 BBCSSO/Runnicles review – MacMillan premiere and the raw power of Mahler https://www.theguard[...] 2020-07-12
[15] 웹사이트 Peter Seabourne's Symphony of Roses is given a triumphant world premiere by the Biel Solothurn Theatre Orchestra, Switzerland conducted by Kaspar Zehnder http://theclassicalr[...] The Classical Reviewer 2020-07-12
[16] 웹사이트 Sawyers Symphony No 3. Songs of Loss and Regret https://www.gramopho[...] 2020-07-12
[17] 웹사이트 Catalogue https://www.derekbou[...] 2023-10-27
[18] 웹사이트 The (Mis)numbering of symphonies https://www.sco.org.[...]
[19] 웹사이트 Commemoration Symphony (Reicha) https://www.windrep.[...]
[20] 문서 List of compositions by Alan Hovhaness
[21] 웹사이트 Suspending Time and Figuring Out the Impossible—Remembering David Maslanka (1943-2017) https://nmbx.newmusi[...] 2017-08-31
[22] 웹사이트 Julie Giroux: A Wind Band is a Box of 168 Crayons https://nmbx.newmusi[...] 2020-12-16
[23] 웹사이트 Denis Levaillant – Pachamama Symphony https://vagnethierry[...] 2020-12-15
[24] 웹사이트 James Stephenson Wins 2017 NBA Revelli Award https://nmbx.newmusi[...] 2018-01-04
[25] 웹사이트 2018 Sousa-ABA-Ostwald Award Winner http://www.americanb[...] 2018-12-20
[26] 서적 Jazz
[27] 문서 교향악
[28] 웹사이트 삼도부상시, 최고위대폭갱신~사무라코우치마모루가 이례의 롱세일즈 http://biz-m.oricon.[...] 오리콘・리서치 2013-05-06
[29] 문서 다다시, 작곡자지신하코노쿄쿠오코우쿄우쿄쿠토하메이다웃테이나이。
[30]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보권1 교향곡・관현악곡・협주곡 음악지우사
[31]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3 교향곡Ⅲ 음악지우사
[32]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3 교향곡Ⅲ 음악지우사
[33]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3 교향곡Ⅲ 음악지우사
[34]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3 교향곡Ⅲ 음악지우사
[35] 문서 최신명곡해설전집보권1 교향곡・관현악곡・협주곡 음악지우사
[36]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補巻1 交響曲・管弦楽曲・協奏曲 음악之友社
[37]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38]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39]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40]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41]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42] 서적 最新名曲解説全集3 交響曲Ⅲ 음악之友社
[43] 사전 옥스포드 영어 사전
[44] 문서 hurdy-gurdy, 오르간의 일종
[45] 논문 Marcuse 1975, 501
[46] 논문 Webster and Feder, 2001
[47] 논문 Eisen and Sadie, 20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작곡가출생년도국적작품 수 및 주요 작품
토렐리1658년이탈리아4성부 신포니아에서 교향곡의 원형 제시
비발디1678년이탈리아23곡의 신포니아
삼마르티니1701년이탈리아70곡 이상의 교향곡 (교향곡의 시조)
보이스1710년영국8곡의 신포니아
C.P.E. 바흐1714년독일20곡의 신포니아
바겐자일1715년오스트리아
1717년오스트리아16곡의 교향곡 (최초로 제3악장에 미뉴에트 도입)
J. 슈타미츠1717년체코50곡 이상의 교향곡 (제3악장에 항상 미뉴에트 배치)
브릭1718년
아벨1725년독일
하이든1732년오스트리아104곡의 번호가 붙은 교향곡(6번 "아침", 45번 "고별", 94번 "놀람", 101번 "시계" 등) + 교향곡 A, B
고섹1734년프랑스
J.C. 바흐1735년독일
미하엘 하이든1737년오스트리아40곡 이상의 교향곡
반할1739년체코
디터스도르프1739년오스트리아100곡 이상의 교향곡
루케시1741년이탈리아
보케리니1743년이탈리아27곡(?)의 교향곡
로세티1750년체코
클레멘티1752년이탈리아
모차르트1756년오스트리아38곡의 번호가 붙은 교향곡(25번, 35번 "하프너", 41번 "주피터" 등) + 14곡(?)의 번호 없음
프라이엘1757년오스트리아41곡의 교향곡
메윌1763년프랑스4곡 이상의 교향곡
베토벤1770년독일9곡의 교향곡(3번 "영웅", 5번 "운명", 9번 "합창") + 웰링턴의 승리 + 스케치만 남아있는 10번
옹슬로1784년프랑스4곡
슈포어1784년독일9곡(4번「음의 정화」, 7번「인생의 세속과 신성」, 9번「사계」) + 미완성 1곡
베버1786년독일2곡
로시니1792년이탈리아1곡
베르발트1796년스웨덴번호가 매겨진 4곡 + 1곡의 습작
슈베르트1797년오스트리아7곡 + 미완성 6곡(7번「미완성」, 8번「그레이트」)
베를리오즈1803년프랑스4곡(환상 교향곡, 이탈리아의 해럴드, 로미오와 줄리엣, 장송과 승리의 대교향곡)
라흐너1803년독일8곡
아리아가1806년스페인1곡[30]
멘델스존1809년독일5곡(3번「스코틀랜드」, 4번「이탈리아」, 5번「종교개혁」) + 13곡의 현악 교향곡
슈만1810년독일번호가 매겨진 4곡(1번「봄」, 3번「라인」) + 번호 없음 1곡 + 미완성 1곡(츠비카우 교향곡)
리스트1811년헝가리2곡(파우스트 교향곡, 단테 교향곡)
바그너1813년독일교향곡 다장조 + 미완성 E장조 + 미완성 1곡
폴크만1815년독일2곡
가데1817년덴마크8곡
구노1818년프랑스2곡 + 소교향곡
프랑크1822년벨기에1곡(교향곡 라단조)
라프1822년독일11곡(3번「숲 속에서」, 5번「레오노레」) + 대교향곡 가단조
라로1823년프랑스1곡
라이네케1824년독일3곡
브루크너1824년오스트리아번호가 매겨진 9곡(4번「낭만적」, 7번, 9번(미완성)) + 2곡의 습작
스메타나1824년체코1곡(축전 교향곡)
루빈스타인1829년러시아6곡
골드마르크1830년헝가리교향곡 1번「시골 결혼」
브람스1833년독일4곡
보로딘1833년러시아2곡 + 미완성 1곡
드레제케1835년독일4곡
생상스1835년프랑스번호가 매겨진 3곡(3번「오르간 포함」), 번호 없음 2곡
발라키레프1837년러시아2곡
비제1838년프랑스교향곡, 교향곡「로마」
브루흐1838년독일3곡
차이콥스키1840년러시아번호가 매겨진 6곡(1번「겨울날의 환상」, 6번「비창」) + 1곡(만프레드 교향곡), 미완성 1곡
스벤센1840년노르웨이2곡
드보르자크1841년체코9곡(9번「신세계로부터」)
즈감바티1841년이탈리아2곡
설리번1842년영국(아일랜드풍의) 교향곡
그리그1843년노르웨이1곡
비도르1844년프랑스3곡
림스키코르사코프1844년러시아3곡(2「안타르」)
{{lang|en|August Klughardt|아우구스트 클루크하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