볼로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볼로스는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의 도시로, 파가세틱 만 안쪽에 위치하며 켄타우로스의 땅인 필리오 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고대 도시 데메트리아스, 파가사에, 이올코스 지역에 건설되었으며, 비잔티움 제국, 오스만 제국 지배를 거쳐 1881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 현재 마그네시아 현의 행정 중심지이며, 산업, 항구, 관광이 발달했다. 주요 산업으로는 철강 생산과 제조업이 있으며, 볼로스 항구는 그리스에서 세 번째로 큰 화물 항구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마그네시아현 - 스포라데스 제도
 스포라데스 제도는 에게해 서부에 흩어진 섬들을 지칭하는 지리적 명칭으로, 고대에는 키클라데스 제도 외부의 섬들을 총칭했으나 현대에는 여러 군도로 나뉘며, 특히 테살리아 스포라데스 제도를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 볼로스 - 이올코스
 이올코스는 고대 그리스 테살리아 지방에 위치했던 도시로, 신화에서는 이아손이 황금 양털을 찾아 떠나는 배경이 되었으며, 역사적으로는 데메트리오스 1세에 의해 파괴되었다.
- 볼로스 - 테살리아 대학교
 테살리아 대학교는 그리스에 위치한 대학교로, 라리사 등 5개 도시에 캠퍼스를 운영하며, 8개의 학부와 다양한 시설을 갖추고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며, 상징은 케이론이다.
- 에게해의 항구 도시 - 이즈미르
 이즈미르는 에게 해 연안의 터키 대도시이자 주요 항구 도시로, 다양한 문화를 융합한 오랜 역사를 거쳐 현재 터키 제2의 항구 도시이자 경제, 문화,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 에게해의 항구 도시 - 하니아
 하니아는 크레타 섬 서부의 항구 도시로, 미노아 문명 시대부터 중요한 거점이었으며, 다양한 지배를 거쳐 베네치아와 오스만 제국의 건축물과 유적이 보존된 아름다운 항구 도시이자 관광 명소이다.
| 볼로스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 |
|  | |
|  | |
| 일반 정보 | |
| 로마자 표기 | Volos | 
| 위치 | 테살리아 | 
| 지방 | 마그네시아 현 | 
| 자치체 종류 | 자치단체 | 
| 시장 | Achilleas Beos | 
| 시장 취임 년도 | 2014년 | 
| 지리 | |
| 해발 고도 | 15m | 
| 면적 (municipality) | 385.6 km² | 
| 면적 (지역 단위) | 108.6 km² | 
| 행정 구역 | 18개 구역 | 
| 인구 통계 | |
| 인구 (municipality, 2021년) | 139,670명 | 
| 인구 (지역 단위, 2021년) | 123,587명 | 
| 인구 (2001년) | 82,439명 | 
| 인구 밀도 (2011년) | 370명/km² | 
| 행정 및 식별 코드 | |
| 우편 번호 | 38x xx | 
| 지역 번호 | 2421x | 
| 차량 번호판 | ΒΟx (종료), ΒΒx (현재 사용) | 
| 기타 정보 | |
| 웹사이트 | www.volos-city.gr | 
2. 역사
볼로스는 비잔티움 제국 멸망 이후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1881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1] 14세기 동로마 제국 역사가에 따르면, 볼로스(Βόλος)라는 명칭은 원래 미케네 시대의 이올코스(Iolkos) 마을 이름이 변형된 골로스였다고 한다.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작은 마을이었으나, 19세기 중반부터 급격히 발전했다. 근대적인 시가지는 1841년에 처음 만들어졌다. 1881년 그리스로 편입될 당시 인구는 4,900명 정도였지만, 이후 40년 동안 주변 지역에서 이주해 온 상인, 회사원, 기술자, 선원들로 인해 급성장했다. 1920년대에는 이오니아, 폰토스, 카파도키아, 동트라키아 지방에서 많은 난민들이 유입되었다.
그리스 영토가 된 후에는 공업 단지 설치, 항만 시설 확장, 켄타우루스족 케이론의 고향인 필리온 산과 마그니시아 현, 스포라데스 제도 해변 관광 등으로 더욱 발전했다.
1920년부터 1928년까지 볼로스 시의 인구 변화는 다음과 같다.
| 연도 | 인구 | 비고 | 
|---|---|---|
| 1920년 | 30,046명 | |
| 1928년 | 47,892명 | 볼로스 지구: 41,706명 (난민 6,779명, 16.25%), 네아 이오니아 지구: 6,186명 (난민 5,166명, 83.51%), 시 전체 난민: 11,945명 (25%) | 
2. 1. 고대

현대 볼로스는 데메트리아스, 파가사에, 이올코스 등 고대 도시 지역에 건설되었다. 데메트리아스는 기원전 293년에 마케도니아의 왕 데메트리우스 1세 폴리오르케테스에 의해 세워졌다.[3] 이올코스는 아르고호를 타고 아르고 원정대와 함께 콜키스로 가서 황금 양털을 찾아 항해한 영웅 이아손의 고향으로 알려져 있다.[4]
볼로스 서쪽에는 신석기 시대 정착지인 디미니와 세슬로 유적이 있다. 디미니에는 기원전 4000년에서 1200년 사이에 지어진 폐허가 된 아크로폴리스, 성벽, 두 개의 벌집 모양 무덤이 있다. 세슬로에는 그리스에서 가장 오래된 아크로폴리스(기원전 6000년) 유적이 있다. 볼로스 서부의 카스트로/팔라이아 언덕은 청동기 시대 정착지 유적지로, 보존된 몇 개의 선 문자 B 점토판이 발견된 미케네 궁전 단지를 포함한다.[5][6]
2. 2. 비잔티움 제국 시대
초기 비잔티움 제국 시대에도 이올코스는 여전히 언급되지만, 중세 시대 대부분 동안 데메트리아스에 의해 가려졌다.[7] 7세기 동안 슬라브족 부족인 벨레게지테스가 이 지역에 정착했다.[8]볼로스는 1333년에 다시 나타나는데, 비잔틴 제국 장군 요안니스 모노마코스가 테살리아에서 "골로스"(Γόλος)라는 이름으로 점령한 도시 중 하나였다.[7] 이 이름은 슬라브어에서 유래되었으며, 'golo', 'golъ'는 "황폐한"을 의미한다.[9][10] 또 다른 이론에 따르면 슬라브어 'golosh'에서 유래되었으며 "행정의 자리"를 의미한다.[11] 그리스 학자 G. 하치다키스는 어부들이 그 지역에서 바다로 그물을 던졌다는 단어 βολή (던지다)와 βώλος (땅 조각)를 통해 그리스 기원을 암시하는 두 가지 다른 이론은 억지 어원이라고 여긴다.[9] 현대 형태의 이름은 1540년에 처음 증명되었다.[10]
중세 골로스의 성벽은 고대 이올코스의 요새 흔적을 따르고 있으며, 고대 도시의 많은 유물이 중세 성채에서 발견되었다.[12]
1348년 볼로스는 테살리아의 나머지 지역과 함께 세르비아 제국의 통치 하에 들어가 그레고리 프렐류브가 통치했다.[13] 프렐류브가 사망한 후 테살리아는 니케포로스 2세 오르시니의 짧은 통치를 거쳐 세르비아 통치자 시메온 우로시와 요반 우로시의 통치를 받았다. 1373년 요반 우로시가 사망한 후 테살리아는 20년 동안 비잔틴 제국 통치로 돌아갔다가 바예지드 1세 술탄 아래 오스만 제국에 정복되었다.[14]
14세기 동로마 제국 역사가에 따르면, 볼로스(Βόλος) 마을의 명칭은 원래 골로스였다. 가장 유력한 설에 따르면, 원래는 미케네 시대의 이올코스(Iolkos) 마을의 이름이 시대를 거치면서 골코스(Golkos)가 되었고, 나중에 골로스(Golos)가 되어 현재의 볼로스(Volos)가 되었다. 이 외에도, 전설에 따르면 이 지역의 부유한 영주였던 포로스라는 사람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다는 설도 있다.
2. 3. 오스만 제국 시대
비잔티움 제국 멸망 이후 오스만 튀르크의 지배를 받다가, 1881년 그리스 왕국의 판도에 들어갔다.[11]
오스만 제국의 첫 번째 지배 기간은 1393년부터 1397년까지였고, 이후 다시 지배했으나, 볼로스가 오스만 제국에 확정적으로 편입된 것은 1423년이었다.[11] 도시의 오스만식 이름은 قلز|Quluzota였다.[11] 오스만 제국은 베네치아 공화국의 공격에 대비하여 도시의 요새를 강화했고, 아나톨리아에서 온 무슬림 정착민들을 배치했다.[11] 이에 따라 지역 기독교인들은 필리온 산의 경사면으로 이주했다.[11]
16세기 말/17세기 초, 도시는 성벽 밖으로 확장되기 시작했는데, 이는 도시의 유명한 주 2회 열리는 지역 축제와 해안 항구의 첫 번째 건설 작업에 힘입어 상업이 성장하면서 일어났다.[11] 요새는 1665년 크레타 전쟁 중 프란체스코 모로시니 휘하의 베네치아인들에게 점령되었지만, 오스만 제국에 의해 다시 점령되고 재건되었다.[11]
1821년 5월, 그리스 독립 전쟁이 시작되면서, 필리온 산의 그리스 반군들은 요새를 점령하려 했지만 실패했다.[11] 1827년 4월 8일, 영국 친그리스주의자 프랭크 아브니 헤이스팅스가 지휘하는 그리스 함대는 도시의 항구에서 오스만 선박 5척을 나포하고 지역 수비대가 요새에서 철수하도록 강요했다.[11] 그리스 임시 정부는 볼로스를 그리스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했지만, 그리스 독립 국가를 수립한 콘스탄티노플 조약 (1832)은 북부 경계를 아르타에서 볼로스 남쪽으로 이어지는 선으로 정했다.[15] 볼로스는 1881년 11월 나머지 테살리아와 함께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11]
오스만 제국 시대에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한촌이었던 볼로스는 19세기 중반 급격한 발전을 이루었다. 근대적인 시가지가 처음 만들어진 것은 1841년이다. 1858년 볼로스에 있던 집은 60호였고, 그 대부분이 물가에 접해 있으며, 현재 이아소노스 거리로 알려진 곳에 세워져 있었다. 1881년 볼로스가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로 할양되었을 때, 볼로스의 인구는 4,900명 정도였지만, 그 후 40년 동안 주변 지역에서 상인, 회사원, 기술자, 선원들이 볼로스로 이주했기 때문에 도시는 급격히 성장했다. 1920년에는 이오니아 지방과 폰토스 지방, 카파도키아 지방, 동트라키아 지방에서 대량의 난민이 볼로스로 몰려들었다.
| 연도 | 인구 | 비고 | 
|---|---|---|
| 1920년 | 30,046명 | |
| 1928년 | 47,892명 | 볼로스 지구 총 인구 41,706명 (난민 6,779명, 16.25%), 네아 이오니아 지구 총 인구 6,186명 (난민 5,166명, 83.51%), 볼로스 시 전체 난민 11,945명 (시 인구의 25%) | 
2. 4. 근대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다가 1881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되었다.[16] 그리스 왕국 편입 당시 볼로스 마을은 인구가 4,900명에 불과했지만, 상인, 사업가, 장인, 선원들이 주변 지역에서 몰려들면서 이후 40년 동안 급격히 성장했다. 1920년대에는 이오니아, 폰토스, 카파도키아, 동트라키아에서 많은 난민들이 유입되었다. 1920년 볼로스의 인구는 30,046명이었지만, 1928년에는 47,892명으로 증가했다. 이 중 11,945명이 난민으로, 시 인구의 25%를 차지했다.1882년 안드레아스 싱그로스는 에피로테살리아 특권 은행을 설립했으며, 이 은행은 1899년 그리스 국립 은행에 인수되었다. 볼로스는 그리스-터키 전쟁 중 1897년 5월 8일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기도 했다.[16]
20세기 초, 볼로스에는 유대인 공동체가 번성했다. 1896년 약 500명에서 1930년 약 2,000명으로 증가했지만, 테살로니키와 아테네 등 대도시로의 이주 또는 해외 이주로 인해 1940년에는 882명으로 감소했다. 그리스 축 점령 기간 동안 지역 수석 랍비 모셰 페사흐와 그리스 당국의 신속한 조치로 지역 유대인 공동체의 약 700명이 나치 학살 수용소로의 추방을 면했다.[17]
1940년 11월 이탈리아군의 공습과 1941년 독일군의 공습 이후, 많은 도시 주민들이 필리온 마을로 피난했다.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볼로스를 떠나면서, 이탈리아군은 식량, 무기, 탄약으로 가득 찬 창고를 남겨두었다. 이 물자는 필리온 철도를 이용하여 산악 마을 밀리에스로 운송되었고, ELAS의 감독하에 노새에 실려 안전한 은신처로 옮겨졌다. 독일군이 밀리에스로 향하는 부대를 출발시키자, 저항군에 의해 장교 1명과 병사 1명이 사망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43년 10월 4일 독일 점령군은 거의 모든 마을을 불태웠다. 시청의 공식 보고에 따르면 독일군은 25명의 남자를 처형했고, 3명의 주민이 집 안에서 불에 타 죽었다.[18]
그리스 영토가 된 후에는 공업 단지 설치와 항만 시설 확장, 관광업이 성장하면서 볼로스는 더욱 발전했다. 특히 켄타우루스족 케이론의 고향인 필리온 산과 마그니시아 현 및 스포라데스 제도의 아름다운 해변으로 관광객이 증가했다.
볼로스는 ''치푸로''라는 맑은 알코올 음료로 유명하다. 자매 도시인 로스토프나도누에는 "그리스 도시 볼로스 거리(Улица Греческого Города Волос)"라는 거리가 있으며, 20세기 초 건물과 특징적인 안뜰, 계단식 발코니, 열린 철 계단이 섞여 있어 지중해적 모습을 띈다.
2023년 9월 볼로스시는 폭우로 인해 침수되었다.[19]
2. 5. 현대
1881년 그리스 왕국에 편입된 후, 볼로스는 인구가 4,900명에 불과했지만, 상인, 사업가, 장인, 선원들이 주변 지역에서 몰려들면서 이후 40년 동안 급격히 성장했다. 1920년대에는 이오니아, 폰토스, 카파도키아, 동트라키아에서 많은 난민들이 유입되었다. 1882년 안드레아스 싱그로스는 에피로테살리아 특권 은행을 설립했으며, 이 은행은 1899년 그리스 국립 은행에 인수되었다. 볼로스는 그리스-터키 전쟁 중 1897년 5월 8일에 오스만 제국에 의해 점령되었다.[16]20세기 초, 볼로스에는 활발한 유대인 공동체가 있었다. 1896년 약 500명에서 1930년 약 2,000명으로 증가했지만, 테살로니키와 아테네 등 대도시로 이주하거나 해외로 이주하면서 1940년에는 882명으로 급격히 감소했다. 그리스 축 점령 기간 동안 지역 수석 랍비 모셰 페사흐와 그리스 당국의 신속한 조치로 지역 유대인 공동체의 약 700명이 나치 학살 수용소로의 추방을 면했다.[17]
1940년 11월 이탈리아군의 공습과 1941년 독일군의 공습 이후, 많은 도시 주민들이 필리온 마을로 피난했다. 1943년 9월 이탈리아가 항복한 후 볼로스를 떠나면서, 이탈리아군은 식량, 무기, 탄약으로 가득 찬 창고를 남겨두었다. 이 물자들은 필리온 철도를 이용하여 산악 마을 밀리에스로 운송되었고, ELAS의 감독하에 노새에 실려 안전한 은신처로 옮겨졌다. 독일군이 밀리에스로 향하는 부대를 출발시키자, 저항군에 의해 장교 1명과 병사 1명이 사망했다. 이에 대한 보복으로 1943년 10월 4일 독일 점령군은 거의 모든 마을을 불태웠다. 시청의 공식 보고에 따르면 독일군은 25명의 남자를 처형했고, 3명의 주민이 집 안에서 불에 타 죽었다.[18]
볼로스는 다양한 메제와 ''치푸로''로 알려진 맑은 알코올 음료로도 유명하다.
자매 도시인 로스토프나도누에는 "그리스 도시 볼로스 거리(Улица Греческого Города Волос)"라는 거리가 있으며, 20세기 초 건물과 특징적인 안뜰, 계단식 발코니, 열린 철 계단이 섞여 있어 오래된 로스토프에 지중해적 모습을 부여한다.
2023년 9월 볼로스시는 폭우로 인해 침수되었다.[19]
3. 지리
볼로스는 도시의 많은 구역이 강과 같은 자연적인 방어선을 통해 분리되어 있다. 야손이 건넜던 것으로 유명한 아나브로스 강은 네아 데메트리아다 지구를 나머지 도시 지역과 구분한다. 크라프시도나스는 도시를 통과하는 주요 강으로, 볼로스 도시화 지역의 자연적인 폐 역할을 하며, 볼로스와 네아 이오니아의 주요 시립 자치 단체 사이의 경계를 이룬다. 시리아스(Ξηριάς)는 볼로스 대도시권에서 가장 큰 급류이며 네아 이오니아 시립 지역을 통과한다. 이 세 강은 모두 해발 1610m의 봉우리를 가진 펠리온 산에서 발원하여, 도시를 가로질러 서쪽으로 흐르며 파가세틱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볼로스 지역은 생물학적으로 다양하고 환경이 보호되어 있어, 시의 서쪽 네아폴리 지구에 있는 불불리트라 늪에는 광범위한 수중 생물 생태계가 서식하고 있다. 이곳은 인구 밀집 지역에 드물게 존재하는 늪으로, 항만 시설이 있음에도 생물 다양성이 뛰어나, 100종이 넘는 종이 마그니시아의 생물 이니셔티브에 의해 설치된 관찰소에서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항만 시설의 확장으로 파가세티코스 만 북부 삼각주 지대의 지형이 바뀌고 늪의 동식물 생태계에도 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볼로스 시 경계의 남동부는 필리오 산의 봉우리 중 하나인 고리차 구릉이 되어 아그리아와의 경계가 된다. 이곳에는 구석기 시대의 거주지가 있었으며, 현재는 과외 활동 센터로 활용되고 있다.
3. 1. 위치
파가세틱 만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며, 켄타우로스의 땅인 필리오 산(펠리온)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볼로스 시는 펠리온 산 기슭의 평원에 걸쳐 있으며, 동쪽으로는 아그리아, 남서쪽으로는 네아 안키알로스와 경계를 이룬다. 볼로스 시에는 이 두 마을과 마크리니차, 포르타리아를 포함한 인근 여러 마을이 포함된다.볼로스는 에게 해에 위치한 그리스 본토의 주요 상업 항구(피레우스와 테살로니키 다음)로, 스키아토스, 스코펠로스, 알로니소스를 포함하는 인근 스포라데스 제도로 페리 및 수중익선 연결편이 있다. 렘노스, 레스보스, 키오스, 스키로스로 가는 연결편도 있다.
마그니시아 현의 현도인 볼로스는 볼로스, 네아 이오니아, 이올코스라는 세 개의 지방 자치 단체로 구성되어 있다. 위도는 북위 39도 21분 38.83초이며, 경도는 동경 22도 56분 57.26초이다. 볼로스의 시역은 대부분 강 등의 자연 경계에 의해 구분된다.
세 개의 주요 강은 모두 필리오 산에서 흘러나와 볼로스 시에 독특한 지형을 형성하며 서쪽으로 흘러 파가시티코스 만으로 흘러든다. 이아손이 건넜던 것으로 유명한 아나브로스 강은 네아 데메트리아다 지구와 볼로스 시를 구분한다. 클라우시도나스 강은 볼로스를 흐르는 것으로 특히 유명하며, 시의 중심부를 지나 각 지역을 구분하고, 볼로스 지구와 네아 이오니아 지구의 경계가 된다. 크실리아스 강은 세 강 중 가장 긴 강이며, 네아 이오니아 지구를 흐른다.
볼로스 지역은 생물학적으로 다양하고 환경이 보호되어 있어, 시의 서쪽 네아폴리 지구에 있는 불불리트라 늪에는 광범위한 수중 생물 생태계가 서식하고 있다. 이 늪은 인구 밀집 지역에 드물게 존재하며, 항만 시설이 있고, 생물 다양성이 뛰어나며, 100종이 넘는 종이 마그니시아의 생물 이니셔티브에 의해 설치된 관찰소에서 보호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항만 시설의 확장이 파가시티코스 만 북부 삼각주 지대의 지형을 바꾸고 늪의 동식물 생태계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볼로스 시 경계의 남동부는 필리오 산의 봉우리 중 하나인 고리차 구릉이 되어 아그리아와의 경계가 된다. 구석기 시대의 거주지가 현재는 과외 활동 센터가 되었다.
3. 2. 기후
볼로스는 연중 특별히 높거나 극도로 낮은 기온이 없는 온화한 여름의 지중해성 기후(''Csa'') 기후를 경험한다.[23] 기후는 습도가 상당히 낮아 모든 종류의 활동에 유리하다.[23] 펠리온산은 자체적인 미기후를 가지며 도시의 날씨에 영향을 미쳐, 북동풍에 대한 강수량 감소 역할을 하여 도시가 산의 동쪽 면에 비해 받는 강수량을 제한한다.[23] 대부분의 지역과 마찬가지로 평균 기온 값은 최근 기간에 약간 증가했다.|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
| 최고 기온 기록 (°C) | 23.0 | 24.7 | 26.0 | 34.0 | 35.2 | 45.3 | 44.2 | 39.6 | 36.8 | 30.4 | 27.2 | 24.4 | 45.3 | 
| 평균 최고 기온 (°C) | 11.3 | 12.9 | 15.0 | 19.4 | 24.0 | 28.5 | 31.0 | 30.6 | 27.0 | 21.7 | 17.3 | 13.2 | 21.0 | 
| 평균 기온 (°C) | 7.8 | 9.0 | 11.3 | 15.4 | 20.1 | 24.6 | 27.0 | 26.6 | 22.9 | 17.7 | 13.3 | 9.6 | 17.4 | 
| 평균 최저 기온 (°C) | 4.5 | 5.4 | 7.3 | 10.5 | 14.9 | 19.0 | 21.3 | 21.2 | 17.9 | 13.6 | 9.8 | 6.3 | 12.6 | 
| 최저 기온 기록 (°C) | -8.2 | -7.8 | -3.2 | 1.8 | 6.2 | 11.6 | 14.0 | 14.8 | 9.2 | 1.4 | 0.6 | -6.0 | -8.2 | 
| 강수량 (mm) | 58.4mm | 35.4mm | 40.5mm | 27.3mm | 32.5mm | 22.5mm | 15.1mm | 10.9mm | 35mm | 51.8mm | 52.2mm | 47.2mm | 428.8mm | 
| 평균 강수일수 (≥ 1mm) | 10.5 | 9.7 | 9.9 | 8.2 | 6.6 | 5.2 | 2.8 | 2.7 | 5.3 | 8.1 | 10.1 | 10.1 | 89.2 | 
| 평균 상대 습도 (%) | 72.7 | 70.0 | 69.5 | 65.7 | 65.0 | 61.2 | 58.1 | 60.1 | 65.5 | 70.4 | 74.0 | 73.7 | 67.2 | 
| 평균 일조 시간 | 104.7 | 117.8 | 157.5 | 213.8 | 266.3 | 307.2 | 337.1 | 320.1 | 247.6 | 171.8 | 126.0 | 101.0 | 2470.9 | 
4. 행정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볼로스 시는 9개의 이전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시 구역이 되었다.[20] 이 시의 면적은 385.614km2이며, 시 구역은 108.6km2이다.[21] 볼로스 현(Επαρχία Βόλου)은 마그네시아 현의 현 중 하나였으며, 2006년에 폐지되었다.[22]
4. 1. 행정 구역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볼로스 시는 다음의 9개의 이전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시 구역이 되었다.[20]- 아그리아
- 아이소니아
- 아르테미다
- 이올코스
- 마크리니차
- 네아 앙키알로스
- 네아 이오니아
- 포르타리아
- 볼로스
이 시의 면적은 385.614km2이며, 시 구역은 108.6km2이다.[21]

| 시내 (50,249) | 북부 (9,247) | 동부 (11,514) | 북서부 (33,815) | 서남부 (20,403) | 
|---|---|---|---|---|
| | | | | | | | | 
4. 2. 현
2011년 지방 정부 개혁으로 볼로스 시는 아래의 9개 지방 자치 단체가 합병되어 시 구역이 되었다.[20]| 구역 | 
|---|
| 아그리아 | 
| 아이소니아 | 
| 아르테미다 | 
| 이올코스 | 
| 마크리니차 | 
| 네아 앙키알로스 | 
| 네아 이오니아 | 
| 포르타리아 | 
| 볼로스 | 
이 시의 면적은 385.614km2이며, 시 구역은 108.6km2이다.[21]
볼로스 현(Επαρχία Βόλου)은 마그네시아 현의 현 중 하나였다. 그 영토는 현재의 볼로스, 리가스 페라이오스, 남펠리온, 자고라-무레시 자치체에 해당했다.[22] 2006년에 폐지되었다.
5. 도시 계획
볼로스는 광장과 가로를 통해 격자형으로 도시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건축물, 오래된 공장, 많은 녹지, 해안과 부두가 특징이다. 이러한 요소들은 그리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히는 볼로스의 분위기와 독창성을 만들어낸다. 현재 볼로스의 도시 계획은 1882년에 발표되었으며, 볼로스 해방 직후 신고전주의적 도시 계획 개념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이 계획에 따라 볼로스의 두 중심지인 성과 네아 마가지아가 가로로 연결되어 도시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되었다. 또한 1922년 난민 이주와 1955년 대지진은 현재 볼로스의 모습을 형성하는 데 큰 영향을 미쳤다.
5. 1. 건축
아리스토텔리스 자코스가 설계한 성 니콜라스 교회와 산책로에 있는 성 콘스탄틴과 헬렌 교회는 볼로스에서 가장 잘 알려진 교회 중 두 곳이다.[25] 볼로스는 한때 많은 오래된 저택으로 특징지어졌지만, 1955년 지진 이후 대부분 파괴되었다. 오늘날에는 일부만 보존되어 복원되었으며 주로 공공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새로운 도시의 발전은 신고전주의의 번영과 일치했다. 공공 건물은 이 스타일에 맞춰졌으며, 번성한 상인들의 개인 건물은 특히 정교했다.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 건물 | 건설 연도 | 기타 | 
|---|---|---|
| 호텔 드 프랑스 | 1894년 | 인상적인 장식 벽화가 있는 3층 건물, 이아소노스와 K. 카르탈리 거리 | 
| 옛 맛사고스 담배 공장 | 1890년 | |
| 옐로우 담배 창고 | 1926년 | |
| 국립은행 | 1895년 | 구 에피로테살리의 특권 은행 | 
| 아테네 은행 | 1903년 | 현재 테살리아 대학교 도서관 | 
| 아킬로풀레이온 병원 | 1901년 | |
| 볼로스 고고학 박물관 | 1909년 | 아타나사케이오 | 
| 농업은행 | 1909년 | 구 코스마도풀로스 은행 | 
| 시네-극장 아킬레이온 | 1925년 | |
| 에글리 호텔 | 1927년 | 카시오풀로스가 설계 | 
| 공군 고위 간부 클럽 건물 | 르 코르뷔지에가 설계한 것으로 추정, 아기오스 콘스탄티노스 공원 근처 | |
| 그리스 은행 건물 | 1935년 | |
| 볼로스 시립 음악원 | ||
| 옛 찰라파타스 공장 | ||
| 치크리키스 저택 | ||
| 키소스 마크리스의 집 | 현재 키소스 마크리스 민속 센터 | |
| 볼로스 시청 | ||
| 볼로스 기차역 | 에바리스토 데 키리코가 설계 | |
| 아베로페이안 법원 | ||
| 카르탈리스, 글라바니스, 카스테미스, 사라치스 가문의 집 | ||
| 사라포풀로스 저택 | 1927년 | 현재 볼로스 클럽 | 
| 레가스 저택 | 독특한 장식 벽화, 현재 그리스 여성 리세움 | 
볼로스의 도시 구조는 광장과 가로를 통해 격자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신고전주의 건축의 건축물, 오래된 공장, 많은 녹지, 그리고 해안과 부두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요소들이 그리스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인 볼로스의 분위기와 독창성을 만들어낸다. 현재 볼로스의 도시 계획은 1882년에 발표되었으며, 그 직후 볼로스 해방이 신고전주의적 도시 계획 개념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계획에 따라 볼로스의 두 중심지인 성과 네아 마가지아가 가로로 연결되어 볼로스 발전의 열쇠가 되었다. 또한, 1922년 난민 이주와 1955년 대지진으로 현재의 볼로스 도시가 형성되었다.
5. 2. 네아 이오니아
오스만 제국에서 그리스로 할양된 19세기 말, 볼로스는 인구 4,900명의 작은 도시였으나 이후 40년 동안 주변 지역에서 많은 사람들이 이주하면서 급격히 성장했다. 1920년에는 이오니아, 폰토스, 카파도키아, 동트라키아 지방에서 온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었다. 1920년 30,046명이던 볼로스 인구는 1928년 47,892명으로 증가했는데, 특히 네아 이오니아 지구는 인구의 83.51%인 5,166명이 난민이었다.네아 이오니아의 역사는 스미르나 함락과 인구 교환으로 200만 명의 그리스인이 소아시아에서 쫓겨난 사건과 함께 시작되었다. 1924년 2월, 크실로캄보스의 건조한 땅에 피난민 마을이 건설되기 시작했다. 1925년 여름에는 치메데니아와 페트리나 정착지가, 그리고 차마리오티카와 게르마니카 정착지가 동쪽에 완성되었다. 현재 중앙 광장 주변을 재건하려는 계획이 있다.
6. 인구
볼로스는 1881년 그리스 왕국에 병합된 이후 인구가 급증했다. 1881년 당시 4,900명 정도였던 인구는 1920년 이오니아 지방과 폰토스 지방, 카파도키아 지방, 동트라키아 지방에서 온 난민들이 대거 유입되면서 더욱 증가했다. 1920년 30,046명이었던 인구는 1928년 47,892명으로 증가했는데, 이 중 11,945명은 "소아시아의 불행"으로 인한 난민이었다. 20세기에는 인구가 더욱 증가하여 20만 명을 넘어섰다.
볼로스의 인구 변화는 다음 표와 같다.
| 연도 | 인구(명) | 증감 | 도시 인구(명) | 
|---|---|---|---|
| 1981 | 71,378 | - | 103,000 | 
| 1991 | 77,192 | +5,814/+8.14% | 120,000 | 
| 2001 | 82,439 | +5,247/+6.79% | 150,000 | 
6. 1. 인구 구성

볼로스는 비교적 새로운 도시로, 그리스 왕국에 병합된 1881년부터 실질 인구가 증가했다. 당시 인구는 4,000명이었으며, 대부분 성 지역(현재의 팔라이아 지구)에 거주했다. 20세기에 들어서면서 인구가 급증하여 200,000명을 넘어섰다.
1924년에 건설된 지역에 거주하는 피난민이 볼로스 인구의 34%를 차지한다. 1890년에 시작되어 1970년대에 정점을 찍은 테살리아 지방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30%를 차지한다. 나머지 인구는 피리오, 알미로스 및 기타 그리스 지역에서 이주해 왔으며, 유럽의 다른 지역에서 온 이주자도 많다.
볼로스는 현재 그리스 도시 중에서 가장 도시화된 도시의 모습을 보인다. 제1차 산업 인구는 6%, 제2차 산업 인구는 42%, 제3차 산업 인구는 52%이다. 마그니시아 현 인구의 65% 이상이 볼로스에 거주하고 있다.
7. 경제
볼로스는 1955년 지진으로 큰 피해를 입었지만 재건되어 현대적인 건물이 많은 도시이다. 네아 이오니아와 이올코스가 볼로스 교외에 위치해 있다. 도시 경제는 공장, 무역, 서비스업, 관광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테살리아 대학교 본부가 있어 교육, 문화, 스포츠 행사가 활발하게 열린다. 볼로스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 도시였으며,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등 국제 스포츠 대회를 개최했고, 2013년 지중해 경기 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7. 1. 산업
볼로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방 도시 중 하나이며, 이는 그리스 최대 인구 밀집 지역(아테네 – 테살로니키)과 항구 사이의 전략적 위치 때문이다. 산업은 철강 생산 및 제조에 집중되어 있다. 3대 철강 생산업체(METKA, SIDENOR 및 헬레닉 철강 산업(Ελληνική Χαλυβουργία))가 볼로스와 인근 알미로스의 산업 지역에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다.[26]AGET 헤라클레스는 라파르지 그룹의 일원으로, 자체 전용 항구를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시멘트 시설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다(용량 700만ton 초과).[26] 볼로스는 또한 연구 부문에서도 활발하며, 헬라스 연구 기술 센터(CERTH)의 5개 연구소 중 하나인 바이오경제 및 농업 기술 연구소(iBO)를 유치하고 있다.[27]
볼로스는 파가세티코스 만 최심부에 위치하고 켄타우로스의 땅인 필리오 산 기슭에 있는 테살리아 지방에서 바다로 향하는 유일한 출구이다. 볼로스 항은 그리스 국내 3번째로 큰 상업항으로, 페리와 수중익선으로 인근의 스포라데스 제도를 연결할 뿐만 아니라, 유럽, 중동, 아시아와의 가교 역할도 한다. 또한 림노스 섬, 레스보스 섬, 키오스 섬과도 항로로 연결되어 있다.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볼로스의 공장과 담배 도매상은 볼로스 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을 보여주는 건축물이다. 이들 대부분은 철도변이나 항구 부근에 위치하지만, 볼로스 시가지 안에도 산재해 있다. 또한, 많은 수가 유럽의 저명한 건축가나 기술자가 설계하고 장식한 것이다. 현재는 많은 이러한 건물들이 복원되거나 기능을 바꿔가며 존속하고 있다.
| 건축물 | 건설 연도 | 현재 | 
|---|---|---|
| 스타마토풀로스 기계 공장 | 1883 | - | 
| 그라바니 카자지 공장 | 1896 | - | 
| 파파기오르기우 직물 공장 | 1905 | - | 
| 몰토스쿠 직물 공장 | 1908 | - | 
| 아다모풀로스 면직물 공장 | 1908 | 체육관 | 
| 파파기아노풀로스 제철소 | 1909 | - | 
| 볼로스 전기 회사 | 1911년까지 사용 | 볼로스 음악 극장 | 
| 차라파타스 벽돌 공장 | 1925년까지 사용 | 국립 산업 고고학 박물관 | 
| 에토메크초르 양잠장 | 1926 | 비단 박물관 | 
| 스피렐 담배 도매상 | 1926 | 돌리 대학교 본부 | 
7. 2. 항구
볼로스 항구는 고대 테살리아 정착지인 이올코스에 있다. 그리스 신화에 따르면, 이곳은 영웅 이아손이 삼단 노선 아르고를 건조하고, 그의 노잡이들과 함께 콜키스로 향해 여사제 메데이아를 데려와 결혼한 곳이다.1893년에 설립된 새로운 항구는 이 지역 산업 발전의 가장 중요한 요소였다. 오늘날 볼로스는 그리스에서 피레우스, 테살로니키 다음으로 세 번째로 큰 화물 항구로, 농업 및 산업 제품을 운송한다. 과거에는 시리아 타르투스와의 해상 연결 거점이었다.
페리와 플라잉 돌고래가 매일 운항하여 볼로스를 스포라데스의 마그네시아 섬(스키아토스, 스코펠로스, 알로니소스)과 연결한다. 또한 많은 크루즈선이 볼로스 항구를 목적지로 이용한다. 2015년과 2016년 여름 동안 100척 이상의 크루즈선이 볼로스에 도착하여 1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수송했다.[28]
볼로스는 항만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그리스의 2대 중심 도시인 아테네와 테살로니키 중간 지점에 위치하는 전략적 중요성 때문에 그리스에서 가장 산업화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산업은 철 생산과 제조업에 특화되어 있으며, METKA는 볼로스의 공업 지역에 두 개의 큰 공장을, 제철 회사인 SIDENOR는 볼로스 근교의 알미로스에 큰 공장을 각각 소유하고 있다. 또한 그리스 제철 산업(Ελληνική Χαλυβουργία)은 볼로스에 생산 시설을 소유하고 있으며, Lafarge 그룹의 하나인 AGET-Hraklis는 볼로스 시 근교에 사유 항만을 갖춘 거대한 시멘트 공장(수용량은 700만ton 초과)을 운영하고 있다.
7. 3. 연구
볼로스는 그리스에서 가장 산업화된 지방 도시 중 하나이며, 이는 그리스 최대 인구 밀집 지역(아테네 – 테살로니키)과 항구 사이의 전략적 위치 때문이다. 산업은 철강 생산 및 제조에 집중되어 있다. 3대 철강 생산업체(METKA, SIDENOR 및 헬레닉 철강 산업(Ελληνική Χαλυβουργία))가 볼로스와 인근 알미로스의 산업 지역에 생산 시설을 갖추고 있다.[26]AGET 헤라클레스는 라파르지 그룹의 일원으로, 자체 전용 항구를 갖춘 세계 최대 규모의 시멘트 시설 중 하나를 운영하고 있다(용량 700만ton 초과).[26] 볼로스는 또한 연구 부문에서도 활발하며, 헬라스 연구 기술 센터(CERTH)의 5개 연구소 중 하나인 바이오경제 및 농업 기술 연구소(iBO)를 유치하고 있다.[27]
8. 국제 관계
볼로스는 테살리아와 중앙 그리스 지역의 금융, 경제, 상업 및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해왔다. 이는 아테네와 테살로니키 사이에 있는 항구의 전략적 위치 덕분이다. 파가세티코스 만 최심부에 위치한 볼로스는 테살리아 지방에서 바다로 향하는 유일한 출구이며, 켄타우로스 신화의 배경인 필리오 산 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볼로스 항은 그리스에서 세 번째로 큰 상업 항구이며, 페리와 수중익선으로 인근 스포라데스 제도를 연결하고 유럽, 중동, 아시아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한다. 또한 림노스 섬, 레스보스 섬, 키오스 섬과도 연결된다.
1955년 지진 이후 재건된 볼로스는 현대적인 건물이 많은 도시이며, 네아 이오니아와 이올코스가 교외에 위치해 있다. 도시 경제는 공장, 무역, 서비스업, 관광을 기반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테살리아 대학교 본부가 위치해 있다.
볼로스는 2004년 아테네 올림픽에 참여했으며, 유럽 육상 선수권 대회 등 여러 스포츠 대회를 개최했다. 2013년 지중해 경기 대회 개최 예정이었다.
이러한 지리적 이점과 경제적 중요성으로 인해, 여러 국가들이 볼로스에 영사관을 설치하여 투자를 지원하고 있다.
8. 1. 영사관
볼로스는 아테네와 테살로니키 사이의 전략적 위치에 있는 항구도시로, 테살리아와 중앙 그리스 지역의 금융, 경제, 상업,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한다.볼로스에는 다음과 같은 여러 유럽 국가의 영사관이 있다.
8. 2. 자매 도시
볼로스는 다음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29]
9. 문화

볼로스 주변 지역에서는 신석기 시대부터 문화의 흔적이 발견된다. 세스클로와 디미니 마을에서는 유럽 최초의 신석기 문화 유적이 발견되었으며, 디미트리아스 극장을 포함한 고대 도시 유적도 보존되어 있다.[30]
1894년 시립 극장이 설립되고, 1908년에는 그리스 최초의 노동 조합이 볼로스에서 결성되는 등, 산업 및 금융 발전과 더불어 문화 및 사회 발전도 이루어졌다. 1922년 소아시아 대재앙 이후에는 피난민들을 수용하면서 이들의 문화가 도시의 음식, 음악, 스포츠 등에 영향을 미쳤다.[30]
볼로스는 파가세틱 만과 펠리온 산을 낀 자연 환경 덕분에 그리스에서 가장 매력적인 관광 도시 중 하나로 손꼽힌다. 2021년에는 유럽 문화 수도 후보 도시로 선정되기도 했다.[30]
9. 1. 박물관 및 미술관
- 볼로스 고고학 박물관[31]
- 볼로스 자연사 박물관
- 볼로스 시 현대사 박물관[32][33]
- 조르지오 데 키리코 미술관
- 테살리아 철도 박물관, 볼로스 기차역
- N. & S. Tsalapatas 지붕 타일 및 벽돌 공장 박물관, 국립 산업 역사 박물관[34]
- 볼로스 곤충학 박물관[35]
- 아나카시아에 있는 테오필로스 박물관 (화가 테오필로스 하치미카일의 작품)[36]
9. 2. 스포츠
볼로스는 해안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여 조정과 요트 분야에서 그리스 스포츠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또한 이 도시는 수영과 수구에서 오랜 역사를 가진 실내 수영장 2개와 야외 수영장 1개를 보유하고 있다. 이 외에도 볼로스는 축구, 농구, 배구, 테니스, 승마를 포함한 여러 스포츠 클럽과 시설을 갖추고 있다. 도시의 스포츠 및 문화 역사에 크게 기여하고 축구에서 큰 성공을 거둔 가장 인기 있는 클럽은 올림피아코스 볼루와 니키 볼루이다. 볼로스의 주요 클럽은 다음과 같다.| 클럽 | 설립 | 스포츠 | 주요 성과 | 
|---|---|---|---|
| 니키 볼루 | 1924 | 축구, 농구 및 기타 스포츠 | A 에트니키 축구 참가 | 
| N.C. 볼로스-아르고나우테스 | 1932 | 수구 | A1 에트니키 여자부 참가 | 
| 올림피아코스 볼루 | 1937 | 축구, 농구 및 기타 스포츠 | 유로파 리그 참가, 이전 A 에트니키 축구 참가, 여자 농구 전국 타이틀 획득 | 
| 히포티스 승마 클럽 | 2002 | 승마 | 전국 대회 참가 | 
| 볼로스 2004 | 2004 | 축구 | A 에트니키 여자부 참가 | 
| 볼로스 F.C. | 2017 | 축구 | A 에트니키 축구 참가 | 
스포츠 전통을 가진 볼로스는 2004년 하계 올림픽을 개최한 5개 도시 중 하나였다.
2004년 이후, 볼로스의 시설에서는 2006년 제27회 유럽 기계 체조 선수권 대회, 그리스가 금메달을 획득한 FIBA 유럽 유스 선수권 대회(2015), 2007년과 2017년 그리스 축구 컵 결승전과 같은 주요 스포츠 행사를 개최했다.
9. 3. 음식
볼로스의 주요 특징이자 가장 널리 알려진 특산품 중 하나는 전통 음료인 치푸로와 이 음료와 함께 제공되는 해산물이다.현지 특산품은 다음과 같다.
- ''부바리''
- ''스페초파이''
- ''멜라크리니''(디저트)
- 스푼 스위트
- 치푸로(음료)
10. 교통
볼로스 항구는 그리스에서 세 번째로 큰 화물 항구로, 농업 및 산업 제품을 운송하며, 과거에는 시리아 타르투스와의 해상 연결 거점이었다.[28] 페리와 플라잉 돌고래로 볼로스를 스포라데스의 마그네시아 섬(스키아토스, 스코펠로스, 알로니소스)과 연결하며, 많은 크루즈선이 볼로스 항구를 이용한다.[28] 2015년과 2016년 여름 동안 100척 이상의 크루즈선이 볼로스에 도착하여 1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수송했다.[28] 또한 림노스 섬, 레스보스 섬, 키오스 섬과도 항로로 연결되어 있다.
육상 교통은 모두 볼로스를 통과하며, 네아 안키알로스에 있는 중앙 그리스 국제공항을 통해 국제선이 운행된다. 해상으로는 볼로스 항구와 스포라데스 제도 및 필리오 산 사이에서 운항이 이루어진다.
10. 1. 도로
볼로스는 그리스의 E75 고속도로 축(일반적으로 PATHE)을 통해 그리스 북부 및 남부와 연결된다.[1] 이 외에도 E65 고속도로 축이 완성되면 테살리아 내륙 평원을 거쳐 서부 그리스와 이구메니차 항구로 연결되는 관문이 될 것이다.[1]10. 2. 공항
네아 안키알로스에 있는 중앙 그리스 국제공항은 볼로스를 국제 목적지로 연결한다.[28] 이 공항은 엘레프테리오스 베니젤로스 다음으로 그리스에서 두 번째로 긴 상업 활주로를 가지고 있으며, 시간당 1,500명의 여행객과 100대의 항공기를 수용할 수 있다.10. 3. 철도
볼로스 철도역은 중앙 그리스 병합 직후 에바리스토 데 키리코에 의해 건설되었다. 현재 역사의 일부는 1884년에 지어진 아름다운 건물로, 위엄 있는 분위기를 자아낸다. 1900년부터 1903년에는 테살리아 철도 주식회사의 경영 이사로 파견된 에바리스토 데 키리코가 역사 옆에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의 건물을 건설했다.[28]오늘날 볼로스는 그리스의 다른 지역과 철도로 직접 연결되며, 철도 시설에는 열차 유지 보수 시설도 갖추어져 있다. 볼로스는 아테네와 하루에 한 번, 테살로니키와 하루에 두 번, 라리사와 하루에 15번 직접 연결된다. 과거에는 볼로스가 세 가지 다른 궤도의 철도 노선 (테살리아 철도의 미터 궤 노선은 칼람바카까지, 표준 궤 노선은 라리사까지, 600mm|600mm영어 궤도 노선은 펠리온까지)으로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펠리온 철도 노선만이 관광 목적으로 운행된다. 이 노선은 매년 4월 중순부터 10월 말까지 매주 토요일, 일요일 및 공휴일에 운행되며, 7월과 8월에는 매일 운행된다. 역 근처에는 복합 궤도 노선의 흔적이 남아있다.
11. 유명 인물
- 펠레우스 (신화의 영웅)
- 테오필로스 하치미하일 (1871-1934, 화가)
- 조르조 데 키리코 (1888-1978, 화가, 조각가)
- 소피아 벰보 (1910-1978, 가수)
- 요안니스 아르기리스 (1913-2004, 건축가)
- 페돈 키지키스 (1917-1999, 그리스군 사령관, 대통령)
- 반젤리스 (1943-2022, 음악가)
- 요르고스 무치아라스 (1976-, 오케스트라 지휘자)
- 요르고스 후도리스 (1964-, 음악가)
- 파라스케비 치아미타 (1972-, 육상 선수)
- 올가 바르데키 (1973-, 육상 선수)
- 바실리오스 폴리메로스 (1976-, 보트 선수, 메달리스트)
- 니콜라오스 스키아티티스 (1981-, 보트 선수, 메달리스트)
- 엘레니 파파리주 (1982-, 가수)
11. 1. 신화 속 인물
현대 볼로스 시는 고대 데메트리아스, 파가사이, 이올코스 위에 세워졌다. 이올코스는 아르고나우타이와 함께 아르고호를 타고 콜키스로 황금 양털을 찾아 항해한 신화 속 영웅 이아손의 고향이다.11. 2. 근현대 인물
| 이름 | 출생-사망 | 직업 | 비고 | 
|---|---|---|---|
| 조르조 데 키리코 | 1888–1978 | 화가, 조각가 | |
| 반젤리스 | 1943–2022 | 작곡가 | |
| 존 아르기리스 | 1913–2004 | 공학자 |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및 슈투트가르트 대학교 교수 | 
| 포티스 쿠벨리스 | 정치인 | 민주 좌파 지도자 | |
| 디미트리오스 트리코풀로스 | 의사 | 하버드 공중보건대학원 교수 | |
| 게오르기오스 카르탈리스 | 1908–1957 | 정치인 | |
| 요르고스 푸둘리스 | 1964 | 음악가, 작곡가 | |
| 모세 페사흐 | 랍비 | 볼로스 및 그리스 수석 랍비 | |
| 라브렌티스 마하이리차스 | 1956-2019 | 음악가, 작곡가 | |
| 아르테미스 알렉시아두 | 1969 | 언어학자 | |
| 아포스톨리아 조이 | 1980 | 가수 | |
| 안드로마케(메리) 마브로예니 파파니콜라 | 1890-1982 | 의사 | 조지 N. 파파니콜라우의 아내이자 최초의 세포 기술자 | 
| 바실리오스 폴리메로스 | 1976 | 조정 선수 | 올림픽 메달리스트 | 
| 니콜라오스 스키아티티스 | 1981 | 조정 선수 | 올림픽 메달리스트 | 
| 올가 바스데키 | 1973 | 멀리뛰기 선수 | |
| 스피리돈 바스데키스 | 1970 | 멀리뛰기 선수 | |
| 파라스케비 치아미타 | 1972 | 세단뛰기, 멀리뛰기 선수 | |
| 니코스 부두리스 | 1971 | 농구 선수 | |
| 파나기오티스 리아델리스 | 1974 | 농구 선수 | |
| 아타나시오스 코스툴라스 | 1976 | 축구 선수 | |
| 에프탈리아 쿠트루마니두 | 1982 | 비치 발리볼 선수 | |
| 에반시아 마크리야니 | 1986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선수 | |
| 크리스토스 볼리카키스 | 1988 | 사이클 선수 | |
| 아담 차네토풀로스 | 1995 | 축구 선수 | |
| 테오필로스 하치미하일 | 1871-1934 | 화가 | |
| 소피아 벰보 | 1910-1978 | 가수 | |
| 요안니스 아르기리스 | 1913-2004 | 건축가 | |
| 페돈 키지키스 | 1917-1999 | 군인, 정치인 | 그리스군 사령관, 대통령 | 
| 요르고스 무치아라스 | 1976 | 오케스트라 지휘자 | |
| 엘레니 파파리주 | 1982 | 가수 | 
참조
[1] 
웹사이트
 
Municipality of Volos, Municipal elections – October 2023
 
https://ekloges.ypes[...] 
Ministry of Interior
 
[2] 
웹사이트
 
7th International Olympiad on Astronomy and Astrophysics official website
 
http://www.ioaa2013.[...] 
[3] 
백과사전
 
Demetria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1
 
[4] 
백과사전
 
Jason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1
 
[5] 
백과사전
 
Iolcus (mod. Volos)
 
https://www.oxfordre[...] 
Oxford University Press
 
2020-06-11
 
[6] 
학술지
 
Kastro Palaia settlement, Volos, Greece: a diachronical technological approach to bronze metalwork
 
2017
 
[7] 
Tabula Imperii Byzantini
 
[8] 
Tabula Imperii Byzantini
 
[9] 
학술지
 
Γόλος–Βόλος
 
[10] 
서적
 
Die Slawen in Griechenland
 
http://macedonia.kro[...] 
Verlag der Akademie der Wissenschaften
 
[11] 
백과사전
 
Ḳuluz
 
https://doi.org/10.1[...] 
[12] 
Tabula Imperii Byzantini
 
[13] 
서적
 
The Serbs and Byzantium during the reign of Emperor Stephen Dušan (1331–1355) and his successors
 
Dumbarton Oaks
 
[14] 
Tabula Imperii Byzantini
 
[15] 
서적
 
History of the Greek Revolution
 
https://archive.org/[...] 
W. W. Reed & co.
 
[16] 
서적
 
Knossos and the Prophets of Modernism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7] 
백과사전
 
Volos
 
https://books.google[...] 
New York University Press
 
[18] 
서적
 
Milies: A Village on Mount Pelion
 
[19] 
웹사이트
 
Greece: Skiathos and Volos hit by flash floods
 
https://www.bbc.com/[...] 
2023-09-06
 
[20] 
웹사이트
 
ΦΕΚ A 87/2010, Kallikratis reform law text
 
http://www.et.gr/ido[...] 
Government Gazette
 
[21] 
웹사이트
 
Population & housing census 2001 (incl. area and average elevation)
 
http://dlib.statisti[...] 
National Statistical Service of Greece
 
[22] 
웹사이트
 
Detailed census results 1991
 
http://dlib.statisti[...] 
[23] 
웹사이트
 
Νομός Μαγνησίας
 
http://diocles.civil[...] 
2023-06-19
 
[24] 
웹사이트
 
Volos Climate Normals 1958–2020
 
http://meteovolos.gr[...] 
Hellenic National Meteorology Service
 
2014-06-18
 
[25] 
웹사이트
 
Η αρχιτεκτονική μεταρρύθμιση του Αριστοτέλη Ζάχου, 1908-1937
 
https://www.archaiol[...] 
2024-01-13
 
[26] 
웹사이트
 
AGET Hraklis Facilities
 
http://www.aget.gr/a[...] 
AGET
 
[27] 
웹사이트
 
Home
 
http://ibo.certh.gr/ 
[28] 
웹사이트
 
Home
 
http://www.port-volo[...] 
[29] 
웹사이트
 
Ξεχάσαμε τα… αδέρφια μας ~ Αδελφοποιήσεις Δήμων που έμειναν τυπικές
 
https://www.taxydrom[...] 
Taxydromos
 
2014-11-17
 
[30] 
웹사이트
 
Volos 2021
 
http://www.volos2021[...] 
[31] 
웹사이트
 
Archaeological Museum of Volos
 
http://www.travelinf[...] 
Travelinfo.gr
 
[32] 
웹사이트
 
Μουσείο της Πόλης του Βόλου :: Εισαγωγή
 
http://www.diki.gr/m[...] 
[33] 
웹사이트
 
ΜΟΥΣΕΙΟ ΠΟΛΗΣ – Σχεδιασμός
 
http://www.i-politis[...] 
www.i-politismos.gr
 
[34] 
웹사이트
 
Piraeus Bank Group Cultural Foundation
 
http://www.piop.gr/e[...] 
Piop.gr
 
[35] 
웹사이트
 
Home
 
http://www.entomolog[...] 
[36] 
웹사이트
 
Theophilos Museum in Northwest Pelion
 
https://www.lonelypl[...] 
[37] 
웹인용
 
Volos Climate Normals 1958–1983
 
http://meteovolos.gr[...] 
Hellenic National Meteorology Service
 
2014-06-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