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시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시그는 풋파파야, 풋구아바에 소금, 후추, 마늘, 식초를 뿌려 먹는 샐러드를 의미하거나, 돼지고기를 레몬 주스나 식초에 절여 조리하는 필리핀 요리이다. 돼지머리를 활용한 시시그는 미군 점령기 앙헬레스의 클라크 공군기지 근처에서 유래했으며,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시시그는 매년 안젤레스 시에서 축제가 열릴 정도로 필리핀에서 중요한 음식 문화로 자리 잡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귤열매 요리 - 마멀레이드
마멀레이드는 감귤류 과일 껍질로 만든 잼의 일종으로, 어원은 포르투갈어 '마르멜라다'에서 유래했으며, 영국에서 아침 식사로 즐겨 먹는 대중적인 식품이다. - 귤열매 요리 - 키라임 파이
키 라임 파이는 19세기 말 플로리다 키스에서 유래하여 키 라임, 연유, 달걀을 주재료로 사용하며 플로리다 주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2006년 플로리다 주의 공식 파이로 지정될 만큼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 필리핀 요리 - 엠파나다
엠파나다는 "빵을 입히다"라는 스페인어에서 유래한 구운 또는 튀긴 패스트리로, 기원은 불확실하지만 세계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와 맛으로 발전하여 지역 고유의 재료와 조리법을 반영하고 있다. - 필리핀 요리 - 시니강
시니강은 필리핀의 전통적인 신맛 수프로, 다양한 재료와 신맛을 내는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하며, 필리핀 요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 부속 고기 요리 - 족발 (요리)
족발은 돼지 족을 향신료와 함께 삶아 만든 한국 요리로, 장충동에서 대중화되어 쫄깃한 식감과 풍미로 대표적인 야식 및 안주가 되었다. - 부속 고기 요리 - 스말라호베
스말라호베는 노르웨이 전통 음식으로, 양의 머리를 반으로 갈라 훈제하거나 건조시켜 만들며, 광우병 발생 이후 어린 양의 머리로만 생산이 허용되고, 독특한 식재료와 조리법으로 호불호가 갈리지만, 노르웨이 보스 지역에서는 관광 상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 시시그 - [음식]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시시그 |
| 종류 | 주 요리, 간식, 샐러드 |
| 기원 | 필리핀 팜팡가 |
| 주요 재료 | 돼지고기 턱살, 귀, 때로는 뇌와 간, 양파, 고추 |
| 변형 | 닭고기 시시그 소고기 시시그 오징어 시시그 참치 또는 뱅우스 시시그 또는 기타 생선 두부 시시그 |
| 칼로리 | 403 |
| 관련 기념일 | 시시그의 날, 1월 3일 |
| 비슷한 음식 | 디낙다칸 킬라윈 톡와트 바보이 |
| 어원 및 발음 | |
| 영어 발음 | /ˈsiːsɪɡ/ |
| 기원 | |
| 최초 시시그 | 창시자 미상 |
| 현대 시시그 | 루시아 쿠난안 |
2. 역사
시시그에 대한 첫 기록은 1732년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디에고 베르가뇨가 펴낸 카팜팡안어 사전에 등장하며, "풋파파야나 풋구아바에 소금, 후추, 마늘, 식초를 뿌려 먹는 샐러드"라고 풀이되어 있다.[22]
돼지머리 등 부속 고기를 사용하는 것은 미군 점령기 앙헬레스의 클라크 공군기지 근처에서 유래했다. 당시 루손섬과 비사야제도 현지인들은 미군이 먹지 않는 고기 부위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었다.[23] 달군 무쇠 팬에 시시그를 올려 내는 것은 "알링 루싱"으로도 알려진 루시아 쿠나난이 개발했다.[24]
2. 1. 어원
"시시그"라는 단어는 1732년 아우구스티노회 수사인 디에고 베르가뇨가 펴낸 카팜팡안어 사전에 처음 기록되었는데, "풋파파야나 풋구아바에 소금, 후추, 마늘, 식초를 뿌려 먹는 샐러드"라고 설명되어 있다.[22] ''manisig manga''는 식초에 찍어 먹는 덜 익은 망고를 뜻하는 말로, 오늘날에도 쓰인다. 레몬 주스나 식초와 같은 시큼한 액체에 절여 소금, 후추 등으로 간을 하는 조리법을 뜻하기도 한다.[6]돼지머리 등을 사용하는 것은 미군 점령기 앙헬레스의 클라크 공군기지 근처에서 유래했다.[23] 당시 루손섬과 비사야제도 현지인들은 미군이 먹지 않는 고기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었고, 이것을 시시그에 활용했다.[23] "알링 루싱"으로 알려진 루시아 쿠나난은 달군 무쇠 팬에 시시그를 올려 내는 방식을 개발했다.[24]
2. 2. 기원과 발전
아우구스티노회 수사 디에고 베르가뇨가 1732년에 펴낸 카팜팡안어 사전에 "시시그"가 처음 기록되었으며, "풋파파야나 풋구아바에 소금, 후추, 마늘, 식초를 뿌려 먹는 샐러드"라고 설명되어 있다.[22] ''manisig manga''라는 표현은 오늘날에도 사용되는데, 식초에 찍어 먹는 덜 익은 망고를 의미한다.시시그는 생선이나 고기, 특히 돼지고기를 조리하는 방식으로도 사용되는데, 레몬 주스나 식초와 같은 신 액체에 절여 소금, 후추 등의 향신료로 간을 한다.[6]

돼지머리를 사용하는 방식은 미군 점령기 앙헬레스의 클라크 공군기지 근처에서 유래했다.[23] 당시 루손섬과 비사야제도 현지인들은 미군이 먹지 않는 돼지머리 부위를 저렴하게 구할 수 있었고, 이를 시시그에 활용했다.[7][8] "알링 루싱"으로도 알려진 루시아 쿠나난은 돼지 귀를 구워 뺨의 살을 더해 시시그를 만들었는데, 이는 크로싱의 옆 가게 주인인 리카르도 "바팡 카독" 디니오에게 배운 레시피였다.[9]
앙헬레스의 루시아 쿠나난은 돼지 귀를 굽고 뺨을 사용하여 ''시시그''를 재창조했다.[10] 필리핀 관광부는 그녀의 "알링 루싱" 식당이 1974년에 앙헬레스를 "필리핀 시시그의 수도"로 만들었다고 인정했다.[11] 쿠나난의 대표적인 ''시시그''는 1974년 중반에 개발되었으며, 구운 돼지 귀와 뺨을 식초, 칼라만시 주스, 잘게 썬 양파, 닭 간으로 양념해 뜨거운 접시에 제공했다.
이후 앙헬레스에 있는 레스토랑 수게이의 베네딕트 파민투안이 돼지 지방이 차가워져 라드가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지글거리는 철판을 서빙 용기로 사용하면서 시시그는 더욱 발전했다.[9] ''시시그''는 캄팡판간 지방에서 도시마다, 때로는 가족마다 레시피가 다르며, 여전히 많은 변형이 존재한다. 오늘날에는 ''시시그 알라 피자일로'', 돼지고기 콤비네이션, 초록 홍합 또는 ''타홍'', 해산물 모듬, 타조 ''시시그'', 악어 ''시시그'', 매운 비단뱀, 개구리 ''시시그'', 토콰'트 바보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0]
3. 조리법
시시그는 돼지머리, 삼겹살, 닭의 간 등을 물에 삶아 그릴에 구운 후 잘게 다져 만든다. 다진 양파, 고추 등과 함께 마가린을 두른 팬에 볶고, 칼라만시 즙을 뿌려 신맛을 낸다. 볶은 재료는 달군 무쇠 팬에 담아 아랫부분을 눌려 바삭하게 만든다.[12]
기본 조리법 외에도 다양한 변형이 존재한다.
3. 1. 기본 조리법
돼지머리나 삼겹살, 닭의 간 등을 물에 삶은 다음 그릴에 굽는다. 잘 구워지면 잘게 다지고, 다진 양파, 고추 등과 함께 마가린을 두른 팬에 볶는다. 볶을 때 칼라만시 즙을 뿌려 신맛을 내며, 볶은 다음 달군 무쇠 팬에 담아 아랫부분을 눌려 바삭바삭하게 만든다.[12] 꾸나난의 조리법에 따르면, ''시시그''를 준비하는 과정은 삶기, 굽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굽기의 세 단계로 나뉜다.[12] 돼지 머리는 먼저 털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삶는다. 그 다음에는 이를 잘게 썰어 굽거나 굽는다. 마지막으로 굵게 썬 양파를 넣고 지글거리는 철판에 담아낸다.''시시그''의 변형으로는 돼지 또는 닭 간과 다음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계란, 소의 뇌, ''치차론''(돼지 껍질 튀김), 그리고 마요네즈. 이러한 추가 재료들은 요즘 흔하게 사용되지만, 오리지널 ''시시그''의 정체성에서 벗어난다고 하여 팜팡가 전통 요리사들은 이를 좋지 않게 생각한다. 최근에는 현지 요리사들이 돼지 외에도 닭고기, 오징어, 참치, 그리고 두부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실험하고 있다.[13]
시시그는 또한 샐러드, 타코 속, 닭고기 속, 까르보나라 고기 등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요리로 발전했다.[14]
3. 2. 다양한 변형
돼지머리나 삼겹살, 닭의 간 등을 물에 삶은 다음 그릴에 굽는다. 잘 구워지면 잘게 다지고, 다진 양파, 고추 등과 함께 마가린을 두른 팬에 볶는다. 볶을 때 칼라만시 즙을 뿌려 신맛을 내며, 볶은 다음 달군 무쇠 팬에 담아 아랫부분을 눌려 바삭바삭하게 만든다.[10]Aling Lucing영어으로도 알려진 앙헬레스의 루시아 쿠냐난은 돼지 귀를 굽고, 뺨을 사용하여 ''시시그''를 재창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0] 필리핀 관광부는 그녀의 "알링 루싱" 식당이 1974년에 앙헬레스를 "필리핀 시시그의 수도"로 만들었다고 인정했다.[11] 쿠냐난의 대표적인 ''시시그''는 1974년 중반에 개발되었으며, 식초, 칼라만시 주스, 잘게 썬 양파, 닭 간으로 양념한 구운 돼지 귀와 뺨을 섞어 뜨거운 접시에 제공했다.
쿠냐난의 조리법에 따르면, ''시시그''를 준비하는 과정은 삶기, 굽기, 그리고 마지막으로 굽기의 세 단계로 나뉜다.[12] 돼지 머리는 먼저 털을 제거하고 부드럽게 만들기 위해 삶는다. 그 다음에는 이를 잘게 썰어 굽거나 굽는다. 마지막으로 굵게 썬 양파를 넣고 지글거리는 철판에 담아낸다.
''시시그''의 변형으로는 돼지 또는 닭 간과 다음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계란, 소의 뇌, ''치차론''(돼지 껍질 튀김), 그리고 마요네즈. 이러한 추가 재료들은 요즘 흔하게 사용되지만, 오리지널 ''시시그''의 정체성에서 벗어난다고 하여 팜팡가 전통 요리사들은 이를 좋지 않게 생각한다. 최근에는 현지 요리사들이 돼지 외에도 닭고기, 오징어, 참치, 그리고 두부와 같은 재료를 사용하여 실험하고 있다.[13]
오늘날에는 ''시시그 알라 피자일로'', 돼지고기 콤비네이션, 초록 홍합 또는 ''타홍'', 해산물 모듬, 타조 ''시시그'', 악어 ''시시그'', 매운 비단뱀, 개구리 ''시시그'', 그리고 ''토콰'트 바보이''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10] 시시그는 또한 샐러드, 타코 속, 닭고기 속, 까르보나라 고기 등으로 변형되어 다양한 요리로 발전했다.[14]
4. 시시그 축제
Sadsaran Qng Angeles영어라고도 불리는 연례 "시시그 축제"는 매년 12월 필리핀 팜팡가주 안젤레스시에서 열리며, ''캄팡판간'' 요리를 기념한다. 이 축제는 2003년에 시작되었으며, 2004년 12월 카멜로 라자틴 시장에 의해 도시의 요리 실력을 홍보하기 위한 연례 축제로 지정되었다.[15] 이 축제는 또한 요리사들이 주로 ''시시그''를 만드는 경연 대회를 특징으로 한다. 콩고 그릴은 이 나라의 레스토랑 체인으로, 2006년에 우승했다.[16][17][18]
2008년에는 알링 루싱의 사망 이후 축제가 중단되었다. 2014년에는 아얄라 몰의 마퀴 몰이 매년 10월 또는 11월에 열리는 연례 빅 바이트! 북부 음식 축제에 축제를 포함시켜 통합했다.
안젤레스시 관광청은 2017년 4월 29일에 축제를 조직했다. 이 축제의 부활은 필리핀 관광부의 필리핀의 맛 캠페인과 일치했다. 현재 "시시그 피에스타"라고 불리는 이 축제는 알링 루싱이 이 요리를 재창조한 발데스 스트리트, 안젤레스(과거 철도 트랙이었기 때문에 "크로싱"이라고도 함)에서 열렸다. 새롭게 부활한 시시그 피에스타는 ''시시그'' 샘플 뷔페, ''시시그''와 BBQ 판매대, 유명 셰프의 요리 시연, 그리고 대회를 통해 안젤레뇨 요리 재능을 선보이는 하루 행사였다.
참조
[1]
웹사이트
Sisig Recipe - Calorie Count
http://caloriecount.[...]
2009-10-06
[2]
웹사이트
Definition of Sisig by Oxford Dictionary
https://www.lexico.c[...]
2020-12-15
[3]
문서
Angeles Ordinance No. 405, Series of 2017 “An ordinance declaring Sizzling Sisig Babi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Angeles, and establishing systems and policies in safeguarding the original recipe of Sizzling Sisig, providing mechanisms of implementation, and for other related purposes”)
[4]
서적
Vocabulary of the Kapampangan Language in Spanish and Dictionary of the Spanish Language in Kapampangan
Holy Angel University Press
[5]
서적
Bocabulario de pampango en romance, y diccionario de romance en pampango
Impresso en El Convento de Nuestra Señora de los Angeles
[6]
웹사이트
The Pilgrim's Pots and Pans
http://karen.mychron[...]
2007-07-10
[7]
웹사이트
Sisig: The Tragic History Behind Our Favorite Pulutan
http://www.pepper.ph[...]
2016-09-21
[8]
웹사이트
Filipino cuisine on US television
http://services.inqu[...]
Inquirer Company
2011-06-18
[9]
웹사이트
Sisig: A Cultural Heritage of Pampanga
https://www.sinupan.[...]
2019-01-19
[10]
뉴스
RP's sisig queen found dead in Pampanga home
http://www.gmanews.t[...]
GMANews.TV
2008-04-16
[11]
웹사이트
Festivals and Events: Pampanga
http://www.visitmyph[...]
Department of Tourism
2008-04-16
[12]
서적
A Culinary Life: Personal Recipe Collection
https://books.google[...]
Anvil Publishing
1992
[13]
웹사이트
Sisig with egg and mayo? Thanks, but Kapampangans aren't having any of that
https://www.gmanetwo[...]
GMA Network
2019-07-30
[14]
웹사이트
sisig-recipes-filipino-sisig-a00261-20181026-lfrm
https://www.yummy.ph[...]
[15]
뉴스
Sisig Fest eyed as annual tourism event
http://www.sunstar.c[...]
Sun.Star Pampanga
2008-04-12
[16]
웹사이트
Kapampangans show cooking skills at Sisig festival
http://www.sunstar.c[...]
Sun.Star Pampanga
2009-02-22
[17]
뉴스
Sizzling Pork Sisig Recipe by Recipe ni Juan
https://recipenijuan[...]
[18]
뉴스
Food of the Philippines: Sizzling Pork Sisig
http://philippinesli[...]
[19]
뉴스
"[ESC] 3일간의 세계 통조림 여행…신세계를 만났네!"
https://www.hani.co.[...]
한겨레
2022-09-07
[20]
뉴스
"세부, 보라카이 말고..." 대사도 반한 진짜 필리핀 명소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2-09-07
[21]
뉴스
"[사적인 리뷰] 이 시국 한국인들이 필리핀 여행 그리워하는 이유"
https://www.mk.co.kr[...]
매일경제
2022-09-07
[22]
서적
Bocabulario de Pampango en romance, y diccionario de romance en Pampango
Convento de Nuestra Señora de los Ángeles
[23]
뉴스
Filipino food is finally having its moment in Regina
https://www.cbc.ca/n[...]
CBC News
2022-09-08
[24]
뉴스
Sinful, savory, satisfying: A mouthwatering guide to Pampanga’s sisig
https://www.rappler.[...]
Rappler
2022-09-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