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편 1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편 1편은 의로운 자와 악인의 대조를 통해 각자의 길과 결말을 제시하는 시편이다. 이 시편은 악인의 길을 따르지 않고 하나님의 율법을 즐거워하며 묵상하는 의인의 복됨을 노래하며, 악인은 바람에 나는 겨와 같이 심판을 면치 못하고 멸망할 것이라고 묘사한다. 시편 1편은 유대교와 기독교에서 모두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다양한 문화 예술 작품의 영감이 되기도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시편 - 시편 22편
    시편 22편은 다윗의 시로, 고통 속에서 구원을 간구하는 내용과 구원 후의 감사와 찬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대교에서는 왕족 또는 이스라엘 민족의 고난을 상징하고, 기독교에서는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을 예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 예배 의식에서 사용된다.
  • 시편 - 시편 115편
    시편 115편은 하느님께 영광을 돌리고 우상 숭배의 허무함을 강조하며 하느님의 유일성과 전능하심을 선포하고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느님을 의지할 것을 촉구하는 시편이다.
시편 1편
일반 정보
1190년대 레이던 성 루이 시편의 큰 베아투스 머리글자
1190년대 레이던 성 루이 시편의 큰 베아투스 머리글자
언어히브리어 (원어)
다른 이름시편 1 (불가타)
"Beatus vir" (베아투스 비르)
성경 정보
성경시편
구약성경구약성경
히브리어 성경케투빔
케투빔 분류시프레이 에메트
시편 1장
다음 장시편 2

2. 내용

시편 1편은 복 있는 사람과 악인의 대비되는 모습을 보여준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길을 따르지 않고,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며 묵상하는 사람이다. 반면 악인은 바람에 나는 겨와 같이 덧없고, 결국 심판을 받아 멸망한다.[29][30][31]

라틴어 번역[29][30]일본어 번역[31]
1.Beatus vir qui non abiit in consilio impiorum, et in via peccatorum non stetit, et in cathedra pestilentiae non sedit;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2.Sed in lege Domini voluntas eius, et in lege eius meditabitur die ac nocte.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Et erit tamquam lignum quod plantatum est secus decursus aquarum, quod fructum suum dabit in tempore suo: et folium eius non defluet; et omnia quaecumque faciet prosperabuntur.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Non sic impii, non sic; sed tamquam pulvis quem proiicit ventus a facie terrae.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하니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Ideo non resurgent impii in iudicio, neque peccatores in concilio iustorum: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은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리로다.
6.Quoniam novit Dominus viam iustorum, et iter impiorum peribit.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2. 1. 의인의 길 (1-3절)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한다.[29][30][31]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한다.[29][30][31]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한다.[29][30][31]

2. 2. 악인의 길 (4-6절)

4절: 악인들은 그렇지 않으며, 바람에 나는 겨와 같다.[29][30][31]

5절: 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이 의인들의 모임에 들지 못한다.[29][30][31]

6절: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한다.[29][30][31]

2. 3. 히브리어 원문 및 번역

다음은 시편 1편의 히브리어 본문[4][5]과 JPS 1917 번역(퍼블릭 도메인)을 기반으로 한다.

히브리어영어 번역 (JPS 1917)한국어 번역
1style="text-align:right" |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는도다.복 있는 사람은 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는도다.
2style="text-align:right" |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style="text-align:right" |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style="text-align:right" |악인은 그렇지 아니하니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악인은 그렇지 아니함이여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style="text-align:right" |그러므로 악인이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이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리로다.그러므로 악인이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이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리로다.
6style="text-align:right" |무릇 의인의 길은 여호와께서 아시나 악인의 길은 망하리로다.무릇 의인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의 길은 망하리로다.



style="width:1em" |라틴어 번역[29][30]일본어 번역[31]
1.Beatus vir qui non abiit in consilio impiorum, et in via peccatorum non stetit, et in cathedra pestilentiae non sedit;악인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의 자리에 앉지 아니하는 자는 복이 있도다.
2.Sed in lege Domini voluntas eius, et in lege eius meditabitur die ac nocte.오직 여호와의 율법을 즐거워하여 그의 율법을 주야로 묵상하는도다.
3.Et erit tamquam lignum quod plantatum est secus decursus aquarum, quod fructum suum dabit in tempore suo: et folium eius non defluet; et omnia quaecumque faciet prosperabuntur.그는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철을 따라 열매를 맺으며 그 잎사귀가 마르지 아니함 같으니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다 형통하리로다.
4.Non sic impii, non sic; sed tamquam pulvis quem proiicit ventus a facie terrae.악인들은 그렇지 아니하니 오직 바람에 나는 겨와 같도다.
5.Ideo non resurgent impii in iudicio, neque peccatores in concilio iustorum:그러므로 악인들은 심판을 견디지 못하며 죄인들은 의인의 회중에 들지 못하리로다.
6.Quoniam novit Dominus viam iustorum, et iter impiorum peribit.무릇 의인들의 길은 여호와께서 인정하시나 악인들의 길은 망하리로다.


3. 해석 및 의미

시편 1편은 Beatus vir로 시작하며, 불가타 성경에서 "복 있는 사람은..."이라는 뜻을 가진다.[8] 필사본 시편에서는 "Beatus"의 "B"를 큰 Beatus 시작 글자로 표시하여 시편 본문의 시작을 알렸다.

패트릭 D. 밀러는 시편 1편이 의인과 악인의 길, 그리고 그들의 운명을 규정하며, 토라를 강조하고 연구하는 것의 기쁨과 긍정적 혜택을 통해 시편의 의제를 설정한다고 말한다.[9] 스티븐 뎀스터는 시편 1편이 성문서를 소개하는 역할을 하며, 시편 1편 2-3절과 선지서의 첫 장 (1:8-9)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한다. 두 구절 모두 율법을 묵상하는 자가 번성한다고 말한다.[10]

많은 시편처럼, 시편 1편은 "로운" 사람(''tzadik'' צ디크)과 "악한" 또는 "불경한" 사람(''rasha`'' 라샤) 또는 "죄인"(''chatta' '' 하타)을 대조한다. 의인은 하나님의 율법을 알고자 노력하며 좋은 판단력을 가지고 나쁜 무리를 피한다. 그 결과 하나님의 보호를 받으며 어려운 시기를 견딘다.[11] 반면 악인은 바람에 날려가는 와 같이 재앙에 취약하다. 악인이 선택한 길은 멸망으로 인도하며, 최후의 심판에서 그들은 그 선택의 결과를 받는다.[12]

의인은 시냇가에 심어진 나무에 비유된다 (3절). 그의 수확은 풍성하고, 모든 일이 번성한다. 예레미야는 비슷한 구절을 썼는데, 주를 신뢰하는 것의 장점은 어려운 시기를 견디는 능력임을 암시했다.[11]

성서학자 알렉산더 키크패트릭은 5절의 "심판"이 "최후의 심판"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심판 행위에도 해당한다고 말한다.[1]

O. 팔머 로버트슨은 시편 1편의 율법과 시편 2편의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야)를 강조하며, 율법과 메시야의 주제적 쌍 또는 조화를 검토한다. 시편 18편과 19편, 시편 118편과 119편에서도 유사한 쌍이 관찰된다.[13]

3. 1. 신학적 해석

Beatus vir는 라틴어로 "복 있는 사람은 ..."이라는 뜻으로, 불가타 성경의 시편 1편 첫 구절이다.[8] 패트릭 D. 밀러는 시편 1편이 "의로운 자의 길과 악인의 길, 그리고 각각의 운명을 규정"하고 "토라에 대한 강조, 토라를 연구하는 기쁨과 그것이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혜택"을 통해 시편의 의제를 설정한다고 말한다.[9] 스티븐 뎀스터는 이 시편이 성문서타나크의 세 번째 부분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하며, 시편 1편 2-3절과 (선지서의 첫 번째 장)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하는데, 두 구절 모두 율법을 묵상하는 자가 번성한다고 말한다.[10]

많은 시편과 마찬가지로, "로운" 사람(''tzadik'' צ디크)과 "악한" 또는 "불경한" 사람(''rasha`'' 라샤) 또는 "죄인"(''chatta' '' 하타)을 대조한다.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의 율법을 알고자 주의하여 좋은 판단력을 가지고 나쁜 무리를 피하는 사람이다. 그 결과는 하나님의 보호를 받으며 삶의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이다.[11] 반면에 악한 사람의 행동은 마치 바람에 날려가는 와 같이 재앙에 취약하게 만든다. 악인이 선택한 길은 멸망으로 인도하며, 최후의 심판에서 그들은 그 선택의 자연스러운 결과를 받게 된다.[12]

의로운 사람은 3절에서 시냇가에 심어진 나무에 비유된다. 그의 수확은 풍성하고,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번성한다. 예레미야는 비슷한 구절을 썼는데, 주를 신뢰하는 것의 장점은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임을 암시했다.[11]

성서학자 알렉산더 키크패트릭은 5절에서 언급된 "심판"이 "최후의 심판"뿐 아니라 "타르굼과 많은 해석자들이 이해하는 바와 같이" 모든 하나님의 심판 행위에도 해당한다고 말한다.[1]

O. 팔머 로버트슨은 시편 1편에서 율법과 시편 2편에서 기름 부음 받은 자, 즉 메시야를 강조하면서, 율법과 메시야의 주제적 쌍 또는 조화를 검토한다. 시편 18편과 19편, 시편 118편과 119편에서도 유사한 의도적 쌍이 관찰된다.[13]

3. 2. 윤리적, 사회적 해석

패트릭 D. 밀러는 시편 1편이 "의로운 자의 길과 악인의 길, 그리고 각각의 운명을 규정"하고 "토라에 대한 강조, 토라를 연구하는 기쁨과 그것이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혜택"을 통해 시편의 의제를 설정한다고 말한다.[9]

많은 시편과 마찬가지로, 시편 1편은 "로운" 사람(''צדי크'')과 "악한" 또는 "불경한" 사람(''rasha`'' 라샤) 또는 "죄인"(''chatta' '' 하타)을 대조한다.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의 율법을 알고자 주의하여 좋은 판단력을 가지고 나쁜 무리를 피하는 사람이다. 그 결과는 하나님의 보호를 받으며 삶의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이다.[11] 반면에, 악한 사람의 행동은 마치 바람에 날려가는 와 같이 재앙에 취약하게 만든다. 악인이 선택한 길은 멸망으로 인도하며, 심판에서 그들은 그 선택의 자연스러운 결과를 받게 된다.[12]

의로운 사람은 3절에서 시냇가에 심어진 나무에 비유된다. 그의 수확은 풍성하고,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번성한다. 예레미야는 비슷한 구절을 썼는데, 주를 신뢰하는 사람은 시냇가에 심겨 뿌리를 뻗는 나무와 같아 더위에도 잎이 푸르고 가뭄에도 결실을 맺는다고 하였다. 예레미야는 주를 신뢰하는 것의 장점은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임을 암시했다.[11]

성서학자 알렉산더 키크패트릭은 5절에서 언급된 "심판"이 "최후의 심판"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심판 행위에도 해당한다고 말한다.[1]

3. 3. 한국적 맥락에서의 해석

시편 1편은 "의로운 자의 길과 악인의 길, 그리고 각각의 운명을 규정"하고 "토라에 대한 강조, 토라를 연구하는 기쁨과 그것이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혜택"을 통해 시편 전체의 주제를 설정한다고 평가받는다.[9]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의 율법을 알고자 주의하여 좋은 판단력을 가지고 나쁜 무리를 피하는 사람으로 묘사된다. 그 결과 하나님의 보호를 받으며 삶의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게 된다.[11] 반면, 악한 사람은 바람에 날려가는 와 같이 재앙에 취약하며, 그들이 선택한 길은 멸망으로 이어진다.[12]

시편 1편은 성문서타나크의 세 번째 부분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고도 평가받는다. 시편 1편 2-3절과 선지서의 첫 번째 장 사이의 유사성이 지적되는데, 두 구절 모두 율법을 묵상하는 자가 번성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10]

의로운 사람은 3절에서 시냇가에 심어진 나무에 비유된다. 그의 수확은 풍성하고,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번성한다. 예레미야는 비슷한 구절을 통해 주를 신뢰하는 것의 장점이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임을 암시했다.[11]

5절에서 언급된 "심판"은 "최후의 심판"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심판 행위를 포함한다고 해석된다.[1]

O. 팔머 로버트슨은 시편 1편에서 율법을, 시편 2편에서 기름 부음 받은 자, 즉 메시야를 강조하며, 율법과 메시야의 주제적 쌍 또는 조화를 언급한다. 이러한 의도적 쌍은 시편 18편과 19편, 시편 118편과 119편에서도 나타난다.[13]

4. 문화적 영향

시편 1편은 종교 및 문화적으로 다양한 영향을 끼쳤다.

유대교에서는 욤 키푸르 밤에 마아리브 후에 2편, 3편, 4편과 함께 시편 1편을 낭송한다.[14] 미쉬나의 피르케이 아보트에는 토라의 말씀을 나누지 않는 사람들을 이 시편의 "조롱하는 자들의 모임"의 예시로 설명하는 내용이 있다. 시편 1편은 유산을 방지하기 위해 낭송되기도 한다.[15] 탈무드에는 다윗이 "복되다"라는 단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시편 1편과 시편 2편을 하나의 작품으로 여겼다는 언급이 있다.[16]

기독교 문화에서는 영국 성공회의 ''공동 기도서''에 시편 1편이 매월 1일 아침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3] 존 밀턴은 1653년에 시편 1편을 영어 시로 번역했고, 로버트 번스는 이를 의역했다.[17] 1650년의 장로교 스코틀랜드 시편은 이 시편을 공통 운율에 맞춰 부를 수 있는 운율 형태로 재작성했다.[18]

1628년 시편 1편의 운율 버전. 멜로디는 자연 단음계의 으뜸음에서 시작한다.

4. 1. 문학

''Beatus vir''는 라틴어로 "복 있는 사람은 ..."이라는 뜻으로, 불가타 성경의 시편 1편과 시편 112(111)의 첫 구절이다.[8] 필사본 시편에서는 시편 본문의 시작을 "Beatus"의 "B"를 위한 큰 Beatus 시작 글자로 표시했으며, 이들은 종종 한 페이지 전체를 차지한다. Beatus 시작 글자는 필사본 그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

패트릭 D. 밀러는 시편 1편이 "의로운 자의 길과 악인의 길, 그리고 각각의 운명을 규정"하고 "토라에 대한 강조, 토라를 연구하는 기쁨과 그것이 따르는 사람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혜택"을 통해 시편의 의제를 설정한다고 말한다.[9] 스티븐 뎀스터는 이 시편이 성문서타나크의 세 번째 부분을 소개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하며, 시편 1편 2-3절과 선지서의 첫 번째 장 사이의 유사점을 지적한다.[10]

많은 시편과 마찬가지로, "로운" 사람(''tzadik'' צ디크)과 "악한" 또는 "불경한" 사람(''rasha`'' 라샤) 또는 "죄인"(''chatta' '' 하타)을 대조한다. 의로운 사람은 하나님의 율법을 알고자 주의하여 좋은 판단력을 가지고 나쁜 무리를 피하는 사람이며, 그 결과 하나님의 보호를 받으며 삶의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다.[11] 반면에 악한 사람의 행동은 마치 바람에 날려가는 와 같이 재앙에 취약하게 만든다. 악인이 선택한 길은 멸망으로 인도하며, 최후의 심판에서 그들은 그 선택의 자연스러운 결과를 받게 된다.[12]

의로운 사람은 3절에서 시냇가에 심어진 나무에 비유된다. 그의 수확은 풍성하고, 그가 하는 모든 일이 번성한다. 예레미야는 비슷한 구절을 썼는데, 주를 신뢰하는 것의 장점은 어려운 시기를 견딜 수 있는 능력임을 암시했다.[11]

알렉산더 키크패트릭은 5절에서 언급된 "심판"이 "최후의 심판"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심판 행위에도 해당한다고 말한다.[1]

O. 팔머 로버트슨은 시편 1편에서 율법을, 시편 2편에서 기름 부음 받은 자, 즉 메시야를 강조하면서, 율법과 메시야의 주제적 쌍 또는 조화를 검토한다.[13]

4. 2. 기독교 문화

영국 성공회의 ''공동 기도서''에는 시편 1편이 매월 1일 아침에 읽도록 지정되어 있다.[3]

존 밀턴은 1653년에 시편 1편을 영어 시로 번역했고, 스코틀랜드의 시인 로버트 번스는 이를 의역했다.[17] 1650년의 장로교 스코틀랜드 시편은 이 시편을 공통 운율에 맞춰 부를 수 있는 운율 형태로 재작성했다.[18]

시편 1편과 2편, 18편19편, 118편과 119편에서 율법과 메시야의 사역이 나란히 놓여 있다고 보는 이들도 있다. 이들은 시편을 펴는 율법과 메시야를 본다.[19][20]

시편 1권은 '복 있는 사람'으로 시작하고 끝난다. 시편 1편–2편이 시작되고,[21] 시편 40편–41편이 끝난다.[22] 신학자 한스 보에르마는 "아름답게 구성된 이 첫 번째 책은 시작과 동시에 결론을 내린다"고 언급한다.[23] 많은 이들이 '복 있는 사람'을 예수로 본다.[24]

''Beatus vir''는 라틴어로 "복 있는 사람은 ..."이라는 뜻으로, 불가타 성경의 시편 1편과 시편 112(111)의 첫 구절이다. 필사본 시편에서는 시편 본문의 시작을 전통적으로 "Beatus"의 "B"를 위한 큰 Beatus 시작 글자로 표시했으며, 두 개의 시작 단어는 종종 나머지 텍스트보다 훨씬 더 크다. 이들은 종종 한 페이지 전체를 차지한다. Beatus 시작 글자는 필사본 그림의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8]

4. 3. 유대교

유대교에서 시편 1편은 욤 키푸르 밤에 ''마아리브'' 후에 2편, 3편, 4편과 함께 낭송된다.[14] 미쉬나의 피르케이 아보트 (3:2)에는 하닌나 벤 테라디온이 토라의 말씀을 나누지 않는 사람들의 무리는 이 시편의 "조롱하는 자들의 모임"의 예시라고 설명하는 내용이 인용되어 있다.

시편 1편은 유산을 방지하기 위해 낭송되기도 한다.[15] 탈무드 (브라코트 10a)에는 시편 1편과 시편 2편이 하나의 작품으로 여겨졌으며, 다윗이 시편 1편의 시작 구절 (''ashrei ha′ish'')과 시편 2편의 마지막 구절 (''ashrei kol choso vo'')에서 "''ashrei''" ("복되다")라는 단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그가 가장 좋아했다고 언급되어 있다.[16]

참조

[1] 간행물 Cambridge Bible for Schools and Colleges on Psalm 1 https://biblehub.com[...] 1906
[2] 웹사이트 Parallel Latin/English Psalter / Psalmus 1 http://medievalist.n[...] 2016-11-11
[3] 서적 Book of Common Prayer: The Psalter https://www.churchof[...] John Baskerville 1762
[4] 웹사이트 Psalms – Chapter 1 https://mechon-mamre[...] Mechon Mamre
[5] 웹사이트 Psalms 1 - JPS 1917 https://www.sefaria.[...] Sefaria.org
[6] 서적 The New Oxford Annotated Bible: New Revised Standard Version, With The Apocrypha: Fully Revised Fourth Edition: College Ed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10
[7] 서적 The One Volume Bible Commentary Macmillan Company 1936
[8] 서적 Book Illumination in the Middle Ages Harvey Miller Publishers, London 1986
[9] 서적 Shape and Shaping of the Psalter
[10] 간행물 The Prophets, the Canon and a Canonical Approach
[11] 간행물 Commentary on Jeremiah 17:8 Beacon Hill Press 1967
[12] 웹사이트 Commentary on Psalm 1:6 http://www.ccel.org/[...] 1706-1721
[13] 서적 The Flow of the Psalms P&R Publishing 2015
[14] 웹사이트 Shimush Pesukim: Comprehensive Index to Liturgical and Ceremonial Uses of Biblical Verses and Passages https://www.halakhah[...]
[15] 웹사이트 Birth http://www.dailytehi[...] 2019-01-26
[16] 웹사이트 Psalm 1 in Hebrew (Mizmor Aleph) with English commentary. http://www.hebrew4ch[...] 2020-07-30
[17] 웹사이트 Psalm 1 – A Paraphrase by Robert Burns http://www.scotlands[...] 2016-08-02
[18] 웹사이트 Psalm 1, Scottish Psalter http://www.cgmusic.o[...]
[19] 웹사이트 The Messianic Nature of Psalm 118 https://journal.rts.[...]
[20] 서적 The King as Exemplar: The Function of Deuteronomy’s Kingship Law in the Shaping of the Book of Psalms Society of Biblical Literature 2004
[21] 문서 Psalm 1:1
[22] 문서 Psalm 40:4
[23] 서적 Sacramental Preaching: Sermons on the Hidden Presence of Christ https://books.google[...]
[24] 웹사이트 The Blessed Man of Psalm One http://www.reformati[...] 2008-02-16
[25] 웹사이트 Tallis First Tune https://www.cpdl.org[...] 2021-09-11
[26] 웹사이트 Music https://thepsalmspro[...] 2020-06-12
[27] 웹사이트 Jason Silver - Worship Songs https://jasonsilver.[...] 2024-10-28
[28] 웹사이트 Jason Silver - Worship Songs https://jasonsilver.[...] 2024-10-28
[29] 웹사이트 Psalms https://www.fourmila[...] 2023-01-22
[30] 위키문헌 시クストゥス・クレメンス版ウルガタ訳聖書
[31] 위키문헌 詩篇(口語訳)#第1篇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