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쓰레기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쓰레기통은 강철, 플라스틱, 나무 등으로 만들어져 쓰레기를 담는 용기이다. 발판을 이용해 뚜껑을 여는 형태, 적외선 감지 센서로 자동 개폐되는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이 있으며, 설치 장소, 용도, 사용자에 따라 종류가 나뉜다. 프랑스에서는 1883년 쓰레기통 사용에 대한 법률이 제정되었고, 영국에서는 1875년 공중보건법을 통해 쓰레기 수거에 대한 규정이 처음 도입되었다. 쓰레기통은 가정, 기업, 공공장소 등에서 사용되며, 효율적인 쓰레기 관리와 재활용을 위해 분리수거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다. 쓰레기통 감소 추세와 무단 투기, 테러 위험 등의 문제로 인해 쓰레기통 관련 사회적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며, '쓰레기통'은 의사결정 모델, 컴퓨터 운영 체제, 분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은유적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쓰레기 - 산업폐기물
    산업폐기물은 산업 활동 중 발생하는 다양한 형태와 성분의 폐기물로, 적절한 처리가 필요하며, 부적절한 처리 시 심각한 환경 문제를 야기하므로, 발생량 감량과 재활용률 증대, 환경 친화적 처리 기술 개발이 중요하다.
  • 쓰레기 - 바다 쓰레기
    바다 쓰레기는 해양에 유입되어 축적되는 인공적인 폐기물로, 플라스틱을 포함한 다양한 물질로 구성되며 해양 생태계 파괴, 사회·경제적 문제 등을 야기하여 국제적 해결 노력이 진행 중이다.
  • 재활용 - 부산물
    부산물은 주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성이 낮은 생산물로, 재고 계상이나 공동비용 배분 대상이 아니며, 주생산물 생산량에 따라 시장 공급량이 변동되어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
  • 재활용 - 크러셔
    크러셔는 금속 표면을 이용하여 재료를 잘게 부수거나 압축하는 기계로, 광물 파쇄 작업에서 시작하여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분쇄 정도와 구조에 따라 여러 유형으로 나뉜다.
쓰레기통
지도 정보
기본 정보
유형용기
주요 용도쓰레기 임시 보관
명칭
영어 명칭Trash Can, Waste Container
중국어 명칭垃圾桶
일본어 명칭ごみ箱, ゴミ箱
관련 용어
다른 이름쓰레기통
휴지통
오물통
더스트빈
내부 링크쓰레기 처리
재활용
폐기물
형태 및 재질
일반적인 형태뚜껑이 있는 형태
뚜껑이 없는 형태
페달형 뚜껑
진자형 뚜껑
주요 재질금속
플라스틱
목재
종이
기타
활용가정용
공공 장소용
산업용
디자인 및 규격다양한 크기 및 디자인
재활용 분류를 위한 색상 구분
사회적 의미공공 위생 유지
환경 보호 노력의 일환

2. 디자인

쓰레기통은 일반적으로 강철이나 플라스틱(주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며, 나무나 위커(고리버들)를 사용하기도 한다.

1972년산 발판식 쓰레기통


쓰레기통 디자인은 기능성과 편의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해왔다. 대표적인 예로 발판식 쓰레기통이 있는데, 이는 산업 엔지니어 릴리언 몰러 길브레스[2]가 1920년대에 부엌 쓰레기 처리를 위해 발명한 것으로, 발판을 밟아 손을 사용하지 않고 뚜껑을 열 수 있어 위생적이다.

2010년대 이후에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자동으로 뚜껑이 열리는 방식의 쓰레기통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2. 1.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

대한민국의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


기존의 발판식 쓰레기통은 발로 페달을 밟아 뚜껑을 여는 방식으로, 산업 엔지니어이자 효율 전문가였던 릴리언 몰러 길브레스[2]가 1920년대에 음식물쓰레기 처리를 위해 발명한 것이다.

2010년대부터는 발판 대신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뚜껑이 열리는 쓰레기통이 등장했다. 이 방식은 배터리로 작동하며, 사용자가 쓰레기통에 직접 손을 댈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고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쓰레기가 뚜껑에 묻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은 주로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지며, 일부 모델에는 탈취제를 넣을 수 있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도 하다.

3. 기원

현대적인 쓰레기통의 등장은 19세기 후반 공중 보건과 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시작되었다. 영국에서는 1875년 공중보건법을 통해 관련 법률이 처음 마련되었으나[4], 쓰레기통 사용을 의무화하지는 않았다. 프랑스에서는 1883년 외젠 푸벨(Eugène Poubelle)이 파리 가정에 쓰레기통 비치를 의무화하는 법령을 시행했으며, 그의 이름은 프랑스어로 쓰레기통을 뜻하는 '푸벨'(poubelle)의 어원이 되었다.[3] 이러한 초기 법률 제정은 이후 체계적인 폐기물 관리 시스템 발전의 기초가 되었다.

3. 1. 프랑스

쓰레기 용기와 관련된 법률은 1883년 외젠 푸벨(Eugène Poubelle)이 서명한 지방령을 통해 프랑스에서 처음 도입되었다. 프랑스어로 쓰레기 용기를 뜻하는 단어 '푸벨'(Poubelle)은 그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이 법령은 파리의 각 가정에 쓰레기통을 의무적으로 비치하고 수거하도록 규정했다. 당시 규정된 쓰레기통은 용량이 80L~120L이고 손잡이와 뚜껑이 있어야 했다. 또한, 각 가정에는 종이와 천 같은 재활용 가능한 섬유, 그리고 도자기, 유리, 굴 껍질 등 기타 재활용 가능한 재료를 분리하여 버릴 수 있도록 세 개의 쓰레기통이 배정되었다.[3]

3. 2. 영국

영국 지방 당국이 "먼지, 재 및 쓰레기의 일시적 보관 및 수거를 위한 용기"(receptacles for the temporary deposit and collection of dust ashes and rubbisheng)를 제공하고 수거할 책임을 명시한 법률은 1875년 공중보건법에서 처음으로 규정되었다.[4] 그러나 이 법은 해당 용기의 사용을 의무화하지 않았으며, 서비스 제공 여부에 대한 결정은 지방 정부에 맡겼다.

4. 종류 및 사용

쓰레기통은 주로 강철이나 플라스틱(특히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며, 나무나 위커 재질도 있다. 쓰레기통은 그대로 사용하거나 내부에 쓰레기 봉투[10]를 씌워 사용하는데, 봉투를 사용하면 내용물 처리가 편리하고 위생적이지만 분리수거 내용 확인은 어려울 수 있다.

설치 장소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된다. 투입구가 넓거나, 특정 쓰레기만 버리도록 유도하는 어포던스 디자인[11]을 적용하기도 한다. 냄새나 해충을 막기 위해 뚜껑이 달린 경우[12]가 많으며, 뚜껑 종류에는 스윙식, 발 페달로 여는 페달식(1920년대 릴리언 몰러 길브레스[2]가 발명), 적외선 센서로 자동 개폐되는 방식 등이 있다.

최근에는 재활용을 위한 분리수거가 중요해지면서 여러 칸으로 나뉜 쓰레기통 사용이 늘고 있다.

도로변이나 대규모 쓰레기 수거에는 덤스터, 스킵, 롤오프 덤스터와 같은 대형 금속 용기가 사용된다.[6]

쓰레기통이 가득 찼을 때 내용물을 눌러 압축하면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으나, 이 과정에서 손발이 더러워지거나 다칠 수 있고, 봉투가 찢어지거나 먼지, 액체가 튈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4. 1. 가정용 쓰레기통

가정에서는 휴대가 가능한 쓰레기통이 많이 사용되며, 주로 소용량·경량의 플라스틱(특히 폴리에틸렌)이나 주석판,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일부는 나무나 위커로 만들기도 한다.

실내용 쓰레기통의 예


발판식 쓰레기통은 발판으로 작동되는 뚜껑이 있는 형태로, 산업 엔지니어이자 효율 전문가였던 릴리언 몰러 길브레스[2]가 1920년대에 부엌 쓰레기 처리를 위해 발명했다. 발판을 사용하면 손으로 뚜껑을 만지지 않고 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010년대부터는 일부 쓰레기통에 배터리로 작동되는 적외선 감지 장치가 부착되어, 손을 대지 않고도 자동으로 뚜껑이 열리는 기능이 추가되기 시작했다. 이는 사용자가 쓰레기통을 만지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위생적이며, 쓰레기로 인해 뚜껑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자동 개폐식 쓰레기통은 대부분 스테인리스강으로 만들어진다. 일부 모델에는 탈취제를 넣을 수 있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있기도 하다.

과거에는 방 구석에 작은 쓰레기통을 눈에 띄지 않게 두는 경우가 많았지만, 최근에는 디자이너 등이 디자인한 세련된 쓰레기통을 인테리어의 일부로 활용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부엌에서는 주로 음식물쓰레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냄새와 벌레를 막기 위해 뚜껑이 달린 밀폐형 쓰레기통[14]이 선호된다. 다른 방에서 나온 쓰레기를 모으는 용도로 플라스틱 양동이와 같은 대용량 쓰레기통이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대한민국에서는 분리수거를 위해 여러 칸으로 나누어진 쓰레기통이 널리 사용되며, 이는 재활용률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일부 가정에서는 분리수거를 위해 골판지로 쓰레기통을 직접 만들기도 하며, 시중에는 여러 종류의 쓰레기를 한 번에 분리할 수 있는 수직형 쓰레기통도 판매된다. 쓰레기통 대신 쓰레기 봉투를 직접 걸어 사용하는 쓰레기 봉투 스탠드도 있다.

음식물 쓰레기를 가정 텃밭의 비료로 재활용하거나 처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 처리기를 사용하는 가정도 늘고 있다.

4. 2. 기업용 쓰레기통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기업에서는 쓰레기를 세분화하여 재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에서는 많은 양의 쓰레기가 발생하기 때문에, 가정용에 비해 용량이 크고 튼튼한 재질로 만들어진 쓰레기통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쓰레기를 일시적으로 모아두기 위한 실내 또는 야외의 보관 장소가 마련되는 경우가 많다.[15] 또한, 사무실에서는 기밀성이 높은 문서를 폐기하기 위한 잠금장치가 있는 전용 수거함이 사용되기도 하며, 조리 시설에서는 물 빠짐 기능이 있는 쓰레기통, 화학 약품을 취급하는 공장 등에서는 내화성이 있는 쓰레기통, 의료·복지 시설에서는 악취가 나기 쉬운 기저귀 전용 쓰레기통 등 업무 내용에 맞춰 전용 쓰레기통이 설치되기도 한다.

4. 3. 공공장소 쓰레기통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말고 쓰레기통에 버리라는 의미의 국제적인 "Tidyman" 기호


공원과 같은 공공장소에는 쓰레기 무단 투기를 막고 사회 환경을 개선하기 위해 쓰레기통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쓰레기통은 도난을 방지하고 파손을 줄이며 미관을 개선하기 위해 바닥이나 벽에 고정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때로는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예술적이거나 독특한 디자인으로 제작되기도 한다.[7][8] 대만의 국립중정기념당 광장에 설치된 쓰레기통처럼, 장소의 특성을 반영한 디자인을 찾아볼 수 있다. 밀집된 도시 지역에서는 미관과 공간 효율성을 위해 쓰레기를 용기 아래 지하에 저장하는 시스템을 사용하기도 한다.[9]

많은 공공장소 쓰레기통은 내부에 비닐이나 종이 쓰레기 봉투를 씌워 사용한다.[10] 이는 액체가 포함된 쓰레기를 처리하기 쉽고 쓰레기통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지만, 봉투 때문에 내용물의 분리수거 여부를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다.

쓰레기통의 형태와 크기는 설치 장소, 예상 이용자(특정 다수 또는 불특정 다수), 담을 쓰레기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된다. 예를 들어, 쓰레기를 쉽게 버릴 수 있도록 투입구가 큰 형태, 특정 종류의 쓰레기만 버리도록 유도하는 어포던스 디자인[11], 냄새나 해충을 막기 위한 뚜껑이 있는 형태[12] 등이 있다.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 중에는 중앙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스윙식, 발로 페달을 밟아 여는 페달식 등이 있으며, 공공 화장실의 위생용품 수거함처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 손을 가까이 대면 자동으로 뚜껑이 열리는 위생적인 방식도 사용된다.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편의점, 철도역, 공원 등의 쓰레기통은 분리수거를 위해 종류별로 나뉘어 설치되는 경우가 많으며, 각 쓰레기통에는 버려야 할 쓰레기의 종류가 표시되어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분리수거 정책이 강화되면서 가정용 쓰레기통 역시 분리수거를 위한 여러 칸으로 나뉜 제품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장소의 쓰레기통은 관리의 어려움이 따른다. 쓰레기통 주변이 더러워지기 쉽고, 분리수거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쓰레기통을 설치하고 관리해야 하는 비용 부담이 있다. 또한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다 보니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많다. 분리되지 않은 쓰레기는 처리 비용이 더 많이 들기 때문에, 행정기관이나 민간 기업 모두 공공장소 쓰레기통 설치를 줄이거나 철거하는 경향이 있다. 쓰레기통 수가 줄어들면서 남아있는 쓰레기통에 쓰레기가 집중되어 넘쳐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는 주변의 무단 투기를 유발하여 다시 쓰레기통 철거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나타나기도 한다.

테러에 대한 우려 역시 공공장소 쓰레기통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 1995년 파리 폭탄 테러 이후 프랑스에서는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쓰레기통을 사용하게 되었고, 일본에서는 지하철 사린 사건 이후 도쿄 메트로가 승강장의 쓰레기통을 모두 철거하고 개찰구 부근에만 제한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JR 그룹과 같은 다른 철도 사업자들도 한때 쓰레기통을 철거했다가, 투명한 재질로 만들어 내용물 확인이 쉽고 역 직원의 감시가 용이한 장소에 재설치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또한, 천황·황후의 행차나 해외 요인 방문 시에는 안전을 위해 코인 로커와 함께 쓰레기통 사용이 일시적으로 금지되거나 봉인되기도 한다.[17]

쓰레기통 설치는 국가별 법률로 규정되기도 하지만, 실제로는 편의점이나 철도 사업자 등 민간 기업, 또는 지역 청소 활동을 하는 비영리법인(NPO) 등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페트병 등을 직접 수거하지 않고,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에 설치된 전용 수거함 이용을 권장하기도 한다. 이처럼 기업이 설치한 쓰레기통이 공공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일부 역할을 담당하게 되면서, 쓰레기 처리 비용 부담 주체에 대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일회용품 사용으로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 비용을 상품 가격에 반영하거나, 생산 기업 또는 소비자가 부담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대한민국의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 개정 논의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강화 운동으로 이어지고 있다.

4. 3. 1. 음료 용기 수거용 쓰레기통

캔·병·페트병 수거용 쓰레기통


음료 용기는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자판기 옆이나 편의점, 철도 등에는 음료 용기만을 수거하기 위한 전용 쓰레기통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음료 용기 전용 쓰레기통에 일반 쓰레기를 버리거나, 신문이나 잡지 등을 쓰레기통 주변에 무단으로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 때문에 쓰레기통 설치를 꺼리는 사업주도 있다. 일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사단법인 전국청량음료연합회가 음료 용기를 아래에서 투입하고 눈에 띄는 주황색으로 도색한 "자판기 옆 신기능 재활용 박스"를 업계 통일 규격으로 정하여 이물질 혼입을 줄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16]

개별 용기 수거용 쓰레기통은 주로 다음과 같은 종류로 나뉜다.

  • 페트병 - 페트병 뚜껑을 따로 버리는 구멍이 마련된 경우도 있다.
  • 종이팩, 종이컵 - 빨대를 버리는 전용 칸이 함께 있는 경우도 있다.

5. 사회적 문제와 해결 노력

공공장소의 쓰레기통은 관리의 어려움, 비용 부담, 분리수거 미흡 등의 이유로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감소는 쓰레기통 부족으로 인한 무단 투기 증가, 남은 쓰레기통의 과부하 등 새로운 사회적 문제를 낳고 있다.[7][8] 또한, 테러에 대한 우려 역시 공공 쓰레기통 설치와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 되었다.[17]

이러한 문제들에 대응하기 위해,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 쓰레기통 도입이나 설치 장소 제한 등 안전을 고려한 조치가 시도되고 있다.[17] 현실적으로 행정력만으로는 관리에 한계가 있어 편의점, 철도 사업자, 비영리법인 등 민간 부문과의 협력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더 나아가 쓰레기 처리 비용 부담 주체를 명확히 하고, 상품 생산자나 소비자의 책임을 강화해야 한다는 사회적 논의와 함께 관련 법 개정[17]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강조하는 움직임도 나타나고 있다.

5. 1. 쓰레기통 감소 추세와 문제점

공공장소에 설치된 쓰레기통은 관리의 어려움과 비용 문제 등으로 인해 점차 감소하는 추세에 있다. 옥외 쓰레기통은 주변을 더럽히기 쉽고, 분리수거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쓰레기통을 설치해야 하지만 공간 확보와 관리 비용 부담이 크다. 특히 불특정 다수가 이용하는 과정에서 분리수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분리되지 않은 쓰레기는 처리 비용이 더 높기 때문에 행정 기관이나 민간 기업 모두 쓰레기통 설치를 꺼리고 기존의 것마저 철거하는 경향을 보인다.[7][8] 재활용 쓰레기와 분리되지 않으면 쓰레기 총량 자체가 늘어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쓰레기통 감소는 여러 문제를 낳고 있다. 수가 줄어들면서 남아있는 쓰레기통에 쓰레기가 집중되어 넘쳐나는 경우가 빈번해지고, 쓰레기통 주변에 무단 투기가 증가하는 악순환이 발생한다. 결국 관리가 어려워진 쓰레기통마저 철거되면서 감소 추세는 더욱 심화된다.

테러에 대한 우려 역시 쓰레기통 감소를 부추기는 요인이다. 프랑스에서는 1995년 폭탄 테러 이후 내용물이 보이는 투명한 형태의 쓰레기통을 사용하게 되었다. -- 일본의 경우, 철도 사업자들이 플랫폼 위의 쓰레기통을 철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JR 등 일부 회사는 투명하고 내용물을 확인하기 쉬운 쓰레기통을 개발하여 역 직원의 감시가 용이한 곳에 재설치하기도 하지만,[17] 도쿄 메트로는 지하철 사린 사건을 계기로 승강장의 쓰레기통을 완전히 없애고 개찰구 부근에만 제한적으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천황이나 해외 요인 방문 시에는 안전을 위해 코인로커와 함께 쓰레기통 사용을 일시적으로 금지하기도 한다.[17] --

쓰레기통 설치 및 관리에 드는 비용 부담 문제도 존재한다. 법적으로 설치 의무가 규정된 경우도 있지만, 실제로는 편의점이나 철도 사업자 등 민간 기업, 또는 비영리법인의 청소 활동에 시정촌이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자체는 페트병과 같은 특정 품목의 수거를 편의점이나 슈퍼마켓 등에 설치된 회수용 쓰레기통에 의존하기도 해, 기업이 설치한 쓰레기통이 공공 행정 시스템의 일부 역할을 떠맡는 상황이다. 일회용 용기 사용이 계속되는 한 야외에서 쓰레기를 버리려는 시민들의 요구는 존재하지만, 현재 그 처리 비용은 쓰레기통 설치자나 무단 투기된 쓰레기를 치우는 주체가 부담하고 있다. 이는 결국 쓰레기 처리 비용이 다른 주체에게 전가되는 문제로 이어지며,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는 시민이 세금을 통해 처리 비용을 부담하게 된다는 비판도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상품을 생산·판매하는 기업이나 이를 이용하는 소비자가 처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으며, 용기포장 재활용법 개정 운동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나고 있다.

5. 2. 해결 노력과 대안

쓰레기통 감소 추세와 그로 인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테러 위협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공공장소의 쓰레기통 관리는 더욱 복잡한 문제가 되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일부 철도 사업자는 안전과 편의성을 고려한 새로운 형태의 쓰레기통을 도입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JR은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투명 쓰레기통을 개발하여, 역 직원의 시야가 확보되는 범위 내에서 제한적으로 재설치하는 방식을 시도하고 있다. 반면, 도쿄 메트로는 지하철 사린 사건의 경험을 바탕으로 승강장에서 쓰레기통을 완전히 철거하고, 대신 개찰구 부근에만 설치하여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안전성을 높였다. 또한, 천황이나 황후의 행차, 해외 요인 방문 등 특별한 상황에서는 안전 확보를 위해 기존에 설치된 쓰레기통마저 일시적으로 사용을 금지하는 조치를 취하기도 한다.[17]

현실적으로 공공 쓰레기 관리는 행정력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편의점, 슈퍼마켓, 철도 사업자 등 민간 기업이나 비영리법인(NPO)의 협조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지방자치단체에서는 페트병 등의 재활용품 수거를 위해 민간 시설에 설치된 회수용 쓰레기통 이용을 권장하기도 하는데, 이는 민간 영역이 공공 쓰레기 처리 시스템의 일부 기능을 분담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쓰레기 처리 비용 부담의 문제를 야기한다. 일회용 용기를 사용한 상품에서 발생하는 쓰레기의 처리 비용이 결국 상품을 이용하지 않는 시민에게 세금 등을 통해 전가될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이에 따라 쓰레기 발생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생산 기업이나 소비자가 처리 비용을 부담해야 한다는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일본에서는 容器包装に係る分別収集及び再商品化の促進等に関する法律|용기포장 분별수집 및 재상품화 촉진 등에 관한 법률일본어(통칭: 용기포장 재활용법) 개정 운동이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강화를 요구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쓰레기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제도적, 사회적 대안 모색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6. 쓰레기통 관련 은유

"쓰레기통"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분야에서 은유적으로 사용된다.

쓰레기통 모델은 매우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의사결정을 다루는 모델이다. 이 모델은 겉보기에는 비이성적으로 보일 수 있는 결정이 실제로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컴퓨터 데스크톱 환경에서는 파일을 삭제하기 위해 임시로 보관하는 장소를 "휴지통"이라는 은유적 표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직장 환경에서는 쓰레기통을 "서류 파쇄기", "원형 파쇄기", "청소부 파일" 등으로 완곡하게 표현하기도 한다. 이는 중요한 문서는 사각형 모양의 서류 캐비닛에 보관하는 반면, 정크 메일처럼 가치 없는 것들은 둥근 쓰레기통에 버려진다는 일반적인 인식과 관련이 있다.

분류학에서는 공식적인 분류 체계에 포함시키기 어렵거나 문제를 일으키는 생물 그룹(종종 측계통군)을 비공식적으로 "쓰레기통 분류군"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과거 제안되었던 식충목은 다른 분류군에 명확히 속하지 않는 작은 포유류들을 모아놓았다는 점에서 "쓰레기통 분류군"으로 간주되었다. 언어학에서도 비슷한 용례가 있는데, 니로-사하라어족은 언어학자 조셉 그린버그가 아프리카의 주요 어족(아프로아시아어족, 니제르-콩고어족, 코이산어족) 어디에도 속하지 않는 언어들을 모아 분류했기 때문에 "그린버그의 쓰레기통"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7. 갤러리

쓰레기통에 그려진 예술 작품


입이 개구부인 동물 모양 쓰레기통

참조

[1] 웹사이트 Civil Service Bureau https://www.csb.gov.[...]
[2] 서적 Encyclopedia of Kitchen History Taylor & Francis
[3] 웹사이트 Waste Management in France: A History of the "Poubelle" https://www.parisupd[...] 2010-11-09
[4] 웹사이트 Public Health Act 1875, Section 45 (as enacted) https://www.legislat[...]
[5] 웹사이트 Rubbish and recycling https://www.ccc.govt[...]
[6] 서적 Solid Waste Management: Principles and Practice https://books.google[...] Springer Berlin Heidelberg
[7] Youtube Advertising On Trash Cans, Waste Receptacles, Recycle Bine - Custom trash cans with logos - YouTube https://www.youtube.[...] 2014-01-22
[8] 웹사이트 trash can advertising recycle bins advertising solutions https://trash-cans.c[...]
[9] 뉴스 Could NYC solve its trash problem with underground trash cans? https://qz.com/13291[...] 2018-08-05
[10] 웹사이트 비닐봉투와 종이봉투
[11] 웹사이트 청량음료 캔, 페트병 등
[12] 웹사이트 냄새가 나는 것, 바람이 강한 곳에 효과적임
[13] 웹사이트 특정 이용자의 합의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임
[14] 웹사이트 페달식으로 뚜껑이 개폐되는 것도 있음
[15] 웹사이트 더스트 카트 등
[16] 웹사이트 자판기 옆 재활용 박스, 이물질 감소 효과가 높은 새로운 기능 사양으로 http://www.j-sda.or.[...] 2022-09-29
[17] 웹사이트 특히 미국 대통령 방일시
[18] 뉴스 후추시는 어떻게 될까 (상) 쓰레기 문제 https://web.archive.[...] 讀賣新聞社 2008-01-17
[19] 웹사이트 쓰레기 수거 방법 재검토에 관하여 http://www.city.fuch[...] 후추시 2009-07-23
[20] 웹사이트 대형 쓰레기통 등
[21] 웹인용 Civil Service Bureau https://www.csb.gov.[...]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