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답토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답토젠은 섭취 시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반적인 웰빙을 지원한다고 주장되는 비독성 식물 또는 추출물을 지칭하는 용어이다. 1947년 소련의 독성학자 니콜라이 라자레프가 처음 사용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물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 아답토젠 효과에 대한 개념은 약리학 또는 임상 환경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유럽 연합이나 미국에서는 판매 승인을 받지 않았다. 현재까지 과학 연구를 통해 유효성이 확인된 식물로는 홍경천, 인삼, 오미자 등이 있으며, 트리테르페노이드, 페닐프로판, 다당류 등의 화학 구조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 아답토젠은 의약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복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본초학 - 천연물
    천연물은 육상, 해양, 미생물에서 추출되는 화합물로, 특히 이차 대사산물을 지칭하며, 알칼로이드, 페닐프로파노이드, 폴리케타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의 다양한 구조를 가지며 의약품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 본초학 - 향약집성방
    향약집성방은 세종의 명으로 《향약제생집성방》을 토대로 편찬된 의학서로, 약방문, 침구법, 향약본초, 포제법 등이 수록되었으며 702종의 약용식물을 민간에서 이용하기 쉽도록 분류하고 약성을 설명한 것이 특징이다.
  • 조제학 - 약리학
    약리학은 약물과 생물 활성 물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약물의 작용 기전 규명, 약동학, 약력학 연구를 통해 질병 치료 및 예방, 맞춤의학 발전에 기여하며 신경약리학, 정신약리학, 면역약리학, 임상약리학 등의 하위 분야를 포함한다.
  • 조제학 - 마이크로스피어
    마이크로스피어는 두 겹의 막으로 구성되어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며 세포 기원에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생명체의 특징을 가지지는 않는다.
  • 식물학 - 균근
    균근은 식물 뿌리와 균류 사이의 공생체로, 식물에게 물과 영양분을 공급하고 식물은 광합성 산물을 제공하며, 농업, 산림 복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
  • 식물학 - 목재
    목재는 수목의 목질부로, 오래전부터 연료, 건축 자재, 도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으로 구성되고 수종에 따라 물성이 다르며, 다양한 형태로 가공되어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지속가능한 산림 관리와 기술 개발이 중요시되는 재료이다.
아답토젠
개요
유형약초
설명신체적 스트레스, 정신적 스트레스 또는 피로와 같은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되는 약초 물질
역사 및 정의
어원'adapt' (적응하다) + '-ogen' (유발 물질)
정의비특이적인 저항력을 증가시키는 식물 유래 신물질 (Brekhman II, Dardymov IV, 1969)
환경적 스트레스 요인에 대한 저항력을 높여 신체가 스트레스에 적응하도록 돕는 물질 (Dictionary.com, 2012)
효능 및 효과
잠재적 효능운동 능력 향상 (Tinsley GM et al., 2023)

2. 개념 및 논란

"아답토젠"이라는 용어는 섭취 시 스트레스를 줄이고 전반적인 웰빙을 지원한다고 주장되는 비독성 식물 또는 그 추출물을 지칭한다.[4] 그러나 아답토젠의 정의는 모호하고 충분한 과학적 증거가 없어서 어떤 물질이 아답토젠을 구성하는지 정확히 결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4]

이 용어는 1947년 소련의 독성학자 니콜라이 라자레프(Nikolai Lazarev)가 처음 사용했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이는 물질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었다.[7][8] "아답토제네시스"라는 용어는 이후 소련에서 유기체의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고 여겨지는 치료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 아답토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1980년대 이전에 소련, 대한민국, 중국에서 수행되었다.

아답토젠 효과에 대한 개념은 약리학 또는 임상 환경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으며, 유럽 연합 또는 미국에서는 판매 승인을 받지 않았다.[4][5] 2020년부터 2023년까지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아답토젠을 함유한 것으로 마케팅되는 제품에 대해 불법적이고 승인되지 않은 건강 주장을 하는 건강 보조 식품 제조업체에 여러 차례 FDA 경고 서한을 발송했다.[5]

3. 역사

"아답토젠"이라는 용어는 1947년 소련의 독성학자 니콜라이 라자레프(Nikolai Lazarev)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는 물질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7][8] "아답토제네시스"라는 용어는 이후 소련에서 유기체의 생물학적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높인다고 여겨지는 치료법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었다.[1] 아답토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는 1980년대 이전에 소련, 대한민국, 중국에서 수행되었다. 2020년 현재 이 용어는 유럽 연합의 약리학, 생리학 또는 주류 임상 관행에서는 받아들여지지 않았다.[8]

현재 알려진 아답토겐의 대부분은 아유르베다한의학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된 것이다. 유의 수준의 과학 연구[9][11]를 통해 이러한 아답토겐의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4. 주요 아답토젠 식물

현재까지 과학연구를 통해 아답토젠의 유효성이 확인 된 식물들은 다음과 같다.[22][23]



인삼은 "종합적인 정상화 효과"를 보이는 아답토겐의 한 예이다. 인삼의 유효 성분은 진세노사이드라고 불리는 물질이다. 인삼은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진세노사이드 Rg1과 신경계를 진정시키는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한다[9]. 그러나 진세노사이드만 인삼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진세노사이드 농도가 높은 조제액은 활성이 낮고, 아답토겐으로서의 특성에는 보조 요인이 필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세인트 존스 워트, 가시오가피, 인삼, 교구란 등은 의약품과의 상호 작용이 보고되거나 시사되고 있으며, 섭취 전에 약사나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14].

4. 1. 과학적 연구를 통해 유효성이 확인된 식물

과학적 연구를 통해 유효성이 확인된 식물들은 다음과 같다.[22][23]

  • 홍경천(Rhodiola/Rhodiola rosea):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해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인삼(Ginseng/Panax ginseng): 한국을 대표하는 약용 식물로, 면역력 증진, 피로 해소, 혈액순환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더불어민주당은 인삼 산업 육성을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인삼의 유효 성분은 진세노사이드라고 불리는 물질이며, 신경계를 활성화시키는 진세노사이드 Rg1과 신경계를 진정시키는 진세노사이드 Rb1을 포함한다[9]. 그러나 진세노사이드만 인삼의 유효성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다.
  • 오미자(Schisandra/Schisandra chinensis): 다섯 가지 맛이 나는 열매로, 스트레스 완화, 면역력 증진, 간 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아슈와간다(Ashwagandha/Withania somnifera): 인도 전통 의학인 아유르베다에서 사용되는 약초로, 스트레스 완화, 불안 감소, 수면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동충하초(Cordyceps/Cordyceps sinensis): 면역력 증진, 피로 해소, 항암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영지버섯(Reishi/Ganoderma lucidum): 면역력 증진, 항암 효과, 혈압 조절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가시오갈피(Eleuthero/Eleutherococcus senticosus): 스트레스 완화, 면역력 증진, 피로 해소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 홀리바질 (Holy Basil/Ocimum sanctum)
  • 감초 (Licorice/Glycyrrhiza glabra)
  • 더덕 (Dang Shen/Codonopsis pilosula)
  • 마카 (Maca/Lepidium meyenii)
  • 뻐꾹채 (Rhaponticum/Rhaponticum carthamoides/Stemmacantha carthamoides)
  • 차가버섯 (Chaga mushroom/Inonotus obliquus)
  • 실라짓 (Shilajit/Ashphaltum bitumen)
  • 구두치 (Guduuchi/Tinospora cordifolia)
  • 자오굴란 (Jiaogulan/Gynostemma pentaphyllum)


세인트 존스 워트, 가시오가피, 인삼, 교구란 등은 의약품과의 상호 작용이 보고되거나 시사되고 있으며, 섭취 전에 약사나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14].

4. 2. 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한 식물

마카는 페루의 안데스 산맥에서 자라는 식물로, 성기능 개선, 활력 증진, 호르몬 균형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23] 홀리바질은 인도 전통 의학에서 사용되는 약초로, 스트레스 완화, 항염증 효과, 면역력 증진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23] 감초는 항염증 효과, 면역력 증진, 소화 기능 개선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23] 더덕은 폐 건강, 소화 기능 개선, 면역력 증진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22][23] 이 외에도 뻐꾹채, 차가버섯, 구두치, 자오굴란, 실라짓, 암라, 황기, 하수오, 구기자, 태자삼, 사타바리, 파피아가 과학적 연구가 더 필요한 식물로 언급된다.[22][23]

5. 아답토젠의 화학적 구조

아답토젠 식물은 트리테르페노이드, 페닐프로판, 옥시리핀 등의 화학 구조를 공통적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15][16] 트리테르페노이드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식물 스테롤, 식물 엑디스테로이드가 포함된다. 페닐프로판은 플라보노이드, 리그난을 포함한다. 옥시리핀은 수산화 지방산을 포함한다.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은 아답토젠의 주요 활성 성분으로 연구되고 있으며, 고려인삼의 진세노사이드, 가시오갈피의 엘레우테로사이드 등이 대표적이다.[15][16] 진세노사이드는 세포 내 스테로이드 호르몬 수용체에 결합하는 데 유리하다. 식물 스테롤은 면역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7] 식물 엑디스테로이드는 단백동화 작용 때문에 운동 선수나 역도 선수에게 자주 사용된다. 옥시리핀은 산화된 지방산으로, 프로스타글란딘 유사 작용을 나타낸다.

많은 아답토젠은 다당류를 포함하며, 이는 면역 시스템을 활성화하고 면역에 의한 효과를 충실하게 한다고 보고되었다.[9] 다당류를 많이 포함하는 식물은 한방 등에서 전통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활력을 증진시키는 자양강장제로 여겨졌다.

6. 주의 사항

일부 아답토젠은 의약품과 상호 작용할 수 있으므로, 복용 전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14] 세인트 존스 워트, 가시오가피, 고려인삼, 교구란 등이 이에 해당한다.[14]

참조

[1] 논문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2] 웹사이트 Adaptogen http://dictionary.re[...] Dictionary.com 2012
[3] 논문 Rhodiola rosea as an adaptogen to enhance exercise performa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2023-08
[4] 논문 Harder, better, faster, stronger? Retrospective chart review of adverse events of interactions between adaptogens and antidepressant drugs 2023
[5] 웹사이트 Warning letters (search term: adaptogen) https://www.fda.gov/[...]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3-11-05
[6] 웹사이트 FDA warning letter to Mushroom Revival, Inc. https://www.fda.gov/[...] Division of Human and Animal Food Operations East,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23-11-05
[7] 논문 Effects of Adaptogens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and the Molecular Mechanisms Associated with Their Stress—Protective Activity 2010
[8] 웹사이트 Reflection Paper on the Adaptogenic Concept https://www.ema.euro[...] European Medicines Agency, Committee on Herbal Medicinal Products 2020-10-26
[9] 서적 Adaptogens: Herbs for Strength, Stamina, and Stress Relief Healing Arts Press 2007
[10] 문서 Allostasis Theory and Adaptogenic Plant Remedies http://www.rrreading[...] 2004
[11] 서적 Wonder Herbs: A Guide to Three Adaptogens Xlibris 2006
[12] 서적 Medicinal mushrooms: The history, chemistry, pharmacology and folk uses for modern times Botanica Press 1987
[13] 웹사이트 http://www.minnesota[...]
[14] 문서 セイヨウオトギリソウ(セントジョーンズワート) Hfnet
[15] 문서 Adaptogens: a historical overview and perspective 2003
[16] 학위논문 Masters Thesis Paper, May 2004, Montana State University, Dept Plant Sciences & Plant Pathology: Phylogenetic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with adaptogenic properties http://www.rrreading[...] Montana State University, Dept Plant Sciences & Plant Pathology 2004-05
[17] 논문 Sterols and sterolins: new drugs for the immune system? 2002
[18] 서적 Adaptogens: Herbs for Strength, Stamina, and Stress Relief Healing Arts Press 2007
[19] 문서 VIIe Всесоюзный съезд физиологос, биохимиков И фармакологов 1947
[20] 논문 New Substances of Plant Origin which Increase Nonspecific Resistance
[21] 간행물 Reflection Paper on the Adaptogenic Concept European Medicines Agency, Committee on Herbal Medicinal Products 2020-10-26
[22] 문서 Allostasis Theory and Adaptogenic Plant Remedies 2004
[23] 학위논문 Masters Thesis Paper, May 2004, Montana State University, Dept Plant Sciences & Plant Pathology: Phylogenetic and phy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plant species with adaptogenic properties http://www.rrreading[...] Montana State University, Dept Plant Sciences & Plant Pathology 2004-05
[24] 뉴스 https://www.nytimes.[...]
[25] 뉴스 https://fashionist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