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두나익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두나익은 J. R. R. 톨킨이 창작한 언어로, 소설 속 누메노르인들이 사용했다. 힐도리엔에서 처음 발명되었으며, 누메노르 멸망 이후 중간계에 정착한 엘렌딜 백성들의 모국어였으나, 신다린을 주로 사용했다. 반지의 전쟁 시기에는 웨스트론으로 발전했다. 아두나익은 셈어적 특징을 가지도록 의도되었으며, 웨스트론의 어원이 되었다. 아두나익의 문법은 톨킨의 미완성 원고인 "로우덤의 아두나익 언어 보고서"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으며, 음운론과 명사 활용에 대한 정보가 담겨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가운데땅의 언어 - 신다린
    신다린은 J. R. R. 톨킨이 창조한 인공어로, 꿰냐와 함께 공통 요정어에서 분화되었으며 톨킨의 작품 세계관에서 사용되고 웨일스어와 유사한 언어적 특성을 가지며 굴절어의 특징을 보인다.
  • 가운데땅의 언어 - 서부어
    서부어는 J. R. R. 톨킨의 소설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가상의 언어이며, 톨킨은 웨스트론을 영어로 번역했다는 설정을 통해 등장인물들의 언어를 실제 언어에 대응시키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했다.
아두나익
언어 정보
이름아두나이크
원어 이름Adûnaic
사용 국가누메노르
사용 지역에렌나 섬
사용자불명. 제2시대에 시초하여 멸망한 나라 누메노르의 언어
언어 분류
어족인공어
세부 유형예술어
알다의 언어
특징선험어, 그러나 다른 알다의 언어와 관련됨
문자 체계
문자텡과르, 키아스
언어 코드
ISO 639-2art
글롯토로그없음
IETFart-x-adunaic
창조 정보
창조자J. R. R. 톨킨
설정판타지 세계 가운데땅

2. 설정

2. 1. 기원과 역사

아두나이어는 최초의 인간들이 힐도리엔에서 깨어났을 때 발명되었다. 이 언어는 누메노르의 언어였으며,[1] 아칼라베스에서 누메노르가 멸망한 후, 중간계 서쪽의 아르노르 왕국과 곤도르에 정착한 엘렌딜 백성들의 "모국어"였으나, 그들은 보통 신다린을 사용했다.[2] 반지의 전쟁 시기에는 아두나이어가 일반적인 언어인 웨스트론으로 발전했다.[2] 톨킨은 아두나이어를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누메노르인들의 언어"라고 불렀다.[3]

톨킨은 아두나익에서 몇 안 되는 독창적인 단어를 만들었고, 대부분 이름이었지만, 이 언어는 중간계의 공통어인 웨스트론으로, 많은 다른 종족들이 공유하는 언어라는 그의 개념에 기여한다.[3]

톨킨은 2차 세계 대전 직후, 즉 ''반지의 제왕''을 완성했지만 부록의 언어학적 배경 정보를 쓰기 전인 무렵에 누메노르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아두나익(또는 누메노르어)을 고안했다. 아두나익은 웨스트론(''아두니''라고도 함)이 파생된 언어로 의도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언어에 역사적 발전의 깊이를 더했다. 아두나익은 "희미하게 셈어적인 풍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4] 그것의 개발은 1945년 작품 ''노션 클럽 논문''으로 시작되었는데, 그곳에서 가장 광범위한 언어 샘플이 발견되었다. 그 문법은 ''사우론의 패배''에 포함된 미완성된 "로덤의 아두나어 보고서"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4]

톨킨은 누메노르의 인간들의 언어가 원래 인간의 언어(아두나익처럼)에서 파생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엘프의 놀도린"(즉, 퀘냐)에서 파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5] ''잃어버린 길과 기타 저술''에서 누메노르인들이 퀘냐를 사용했으며, 모든 엘프를 싫어하는 사우론이 누메노르인들에게 그들 자신이 잊어버린 옛 인간의 언어를 가르쳤다는 암시가 있다.[6]

2. 2. 발전 과정

아두나이어는 최초의 인간들이 힐도리엔에서 깨어났을 때 발명되었다. 이 언어는 누메노르의 언어였으며,[1] 아칼라베스에서 누메노르가 멸망한 후, 중간계 서쪽의 아르노르 왕국과 곤도르에 정착한 엘렌딜 백성들의 "모국어"였으나, 그들은 보통 신다린을 사용했다. 반지의 전쟁 시기에는 아두나이어가 일반적인 언어인 웨스트론으로 발전했다.[2] 톨킨은 아두나이어를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누메노르인들의 언어"라고 불렀다.[3]

톨킨은 아두나익에서 몇 안 되는 독창적인 단어를 만들었고, 대부분 이름이었지만, 이 언어는 중간계의 공통어인 웨스트론으로, 많은 다른 종족들이 공유하는 언어라는 그의 개념에 기여한다.[3]

톨킨은 2차 세계 대전 직후, 즉 ''반지의 제왕''을 완성했지만 부록의 언어학적 배경 정보를 쓰기 전인 무렵에 누메노르에서 사용되는 언어인 아두나익(또는 누메노르어)을 고안했다. 아두나익은 웨스트론(''아두니''라고도 함)이 파생된 언어로 의도되었다.

이것은 인간의 언어에 역사적 발전의 깊이를 더했다. 아두나익은 "희미하게 셈어적인 풍미"를 갖도록 의도되었다.[4] 그것의 개발은 1945년 작품 ''노션 클럽 논문''으로 시작되었다. 그곳에서 가장 광범위한 언어 샘플이 발견되었는데, (현대의) 주인공 중 한 명인 로덤에게 아틀란티스의 환상적인 꿈 속에서 드러난다. 그 문법은 ''사우론의 패배''에 포함된 미완성된 "로덤의 아두나어 보고서"에 간략하게 설명되어 있다.[4]

톨킨은 누메노르의 인간들의 언어가 원래 인간의 언어(아두나익처럼)에서 파생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엘프의 놀도린"(즉, 퀘냐)에서 파생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결정을 내리지 못했다.[5] ''잃어버린 길과 기타 저술''에서 누메노르인들이 퀘냐를 사용했으며, 모든 엘프를 싫어하는 사우론이 누메노르인들에게 그들 자신이 잊어버린 옛 인간의 언어를 가르쳤다는 암시가 있다.[6]

2. 3. 쇠퇴와 웨스트론으로의 변화

아두나이어는 최초의 인간들이 힐도리엔에서 깨어났을 때 발명되었다. 이 언어는 누메노르의 언어였다.[1] 아칼라베스에서 누메노르가 멸망한 후, 중간계 서쪽의 아르노르 왕국과 곤도르에 정착한 엘렌딜 백성들의 "모국어"였으나, 그들은 보통 신다린을 사용했다.[2] 반지의 전쟁 시기에는 아두나이어가 일반적인 언어인 웨스트론으로 발전했다.[2] 톨킨은 아두나이어를 "문화적, 정치적으로 영향력 있는 누메노르인들의 언어"라고 불렀다.[3]

3. 언어학적 특징

3. 1. 음운론

아두나익의 음운은 다음과 같다.[4]



전설 모음후설 모음
고모음i iːu uː
중고모음11
개모음a aː

1아두나익은 기본적으로 세 개의 모음과 길이 구분을 갖는 언어이다. 긴 eː와 oː는 이중 모음 aj와 aw에서 파생되었으며, 이는 히브리어와 대부분의 아랍어 방언의 경우와 유사하다. 이는 아두나익과 이에 영향을 준 쿠즈둘 모두에 대해 톨킨이 의도한 셈족적 특징과 일치한다.

3. 2. 문법

아두나익 문법에 대한 대부분의 정보는 톨킨이 "노션 클럽 논문"을 위해 작성한 미완성 타입 원고인 "로우덤의 아두나익 언어 보고서"에서 비롯되었다.[4] 이 보고서는 음운론과 형태론적 과정에 대해 자세히 논하고 명사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지만, 동사, 기타 품사 또는 전체 문법에 대해 많은 내용을 다루기 전에 중단된다. 톨킨은 이 보고서 부분을 작성한 후 이 언어에 대한 작업을 포기했고, 다시는 돌아오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4]

대부분의 아두나익 명사는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명사도 있다. 명사는 강 I, 강 II, 약으로 불리는 세 가지 활용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개의 강한 활용은 영어의 'man/men'과 유사하게 마지막 모음을 수정하여 다양한 격을 형성한다. 약한 활용은 접미사를 추가하여 격을 형성한다.[4]

단수, 복수, 이중수의 세 가지 수가 있다. 이중수는 눈과 신발과 같은 "자연 쌍"에 주로 사용된다. 정격, 주격, 목적격의 세 가지 격이 있다. 주격은 동사의 주어로 사용된다. 목적격은 복합 표현에만 사용되며 단수형으로만 나타난다. 정격은 동사의 목적어와 같이 다른 모든 상황에서 사용된다.[4]

활용 예시:

강 I강 II
의미바다
단수 정격zadanazraabār
단수 주격zadānazrāabārā
단수 목적격zadunazruabāru
이중수 정격zadnatazrāt, azratabārat
이중수 주격zadnātazrātabārāt
복수 정격zadīnazrīabārī
복수 주격zadīnaazrīyaabārīya



아두나익은 명사 클래스, 별명 「문법적 성」을 가지는 톨킨 언어 속에서 지극히 드문 언어의 하나인 것 같다.

3. 2. 1. 명사

대부분의 아두나익 명사는 세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져 있지만, 두 개의 자음으로 이루어진 명사도 있다. 명사는 강 I, 강 II, 약으로 불리는 세 가지 활용으로 나눌 수 있다. 두 개의 강한 활용은 영어의 'man/men'과 유사하게 마지막 모음을 수정하여 다양한 격을 형성한다. 약한 활용은 접미사를 추가하여 격을 형성한다.[4]

단수, 복수, 이중수의 세 가지 수가 있다. 이중수는 눈과 신발과 같은 "자연 쌍"에 주로 사용된다. 정격, 주격, 목적격의 세 가지 격이 있다. 주격은 동사의 주어로 사용된다. 목적격은 복합 표현에만 사용되며 단수형으로만 나타난다. 정격은 동사의 목적어와 같이 다른 모든 상황에서 사용된다.[4]

활용 예시:

강 I강 II
의미바다
단수 정격zadanazraabār
단수 주격zadānazrāabārā
단수 목적격zadunazruabāru
이중수 정격zadnatazrāt, azratabārat
이중수 주격zadnātazrātabārāt
복수 정격zadīnazrīabārī
복수 주격zadīnaazrīyaabārīya


3. 2. 2. 트리비아

아두나익은 명사 클래스, 별명 「문법적 성」을 가지는 톨킨 언어 속에서 지극히 드문 언어의 하나인 것 같다.

4. 샘플 텍스트

이 아두나익 텍스트는 누메노르의 몰락에 대한 이야기의 일부로, ''노션 클럽 논문''에 등장한다. 이 텍스트는 톨킨의 액자식 이야기 등장인물 로덤이 꿈속에서 본 것이며, 그가 언어를 알지 못했기 때문에 부분적으로만 번역되었다. 굵은 글씨로 표시된 단어는 텍스트에서 처음 번역이 제공되는 시점에는 번역되지 않았지만, 이야기의 나중에 번역이 제공된다.[4]

Kadō zigūrun zabathān unakkha ... ēruhīnim

{그리고} '''사우론''' 굴복시켰다 그는-왔다 ... {'''신의 아이들'''}

dubdam ugru-dalad ... ar-pharazōnun azaggara

넘어졌다 그림자-아래 ... '''아르-파라존''' {싸웠다}

avalōiyada ... bārim an-adūn yurahtam dāira

{권력에 대항하여} ... 서쪽의 군주 부쉈다 땅

sāibēth-mā ēruvō ... azrīya du-phursā akhāsada

동의-함께 '''신'''-으로부터 ... 바다 그래서-넘쳐흐르도록 {구렁으로}

... anadūnē zīrān hikallaba ... bawība dulgī

... 누메노르 사랑받는 {그녀는-떨어졌다} ... 바람 검은

... balīk hazad an-nimruzīr azūlada

... 배 일곱 엘렌딜의 동쪽으로

Agannālō burōda nēnud ... zāira nēnud

죽음-그림자 무겁다 우리에게 ... 갈망 우리에게

... adūn izindi batān tāidō ayadda: īdō kātha batīna lōkhī

... 서쪽 곧은 길 한때 갔었다 이제 모든 길 구부러졌다

Ēphalak īdō Yōzāyan

{멀리} {이제 (이다)} 선물-의-땅

Ēphal ēphalak īdō hi-Akallabēth

멀리 {아주 멀리} {이제 (이다)} 그녀-그녀가-떨어진

참조

[1] 간행물 Silm
[2] 간행물 RC
[3] 간행물 Solopova
[4] 간행물 Sauron Defeated
[5] 간행물 Peoples
[6] 간행물 LRO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