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예술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예술어는 인공어의 한 종류로, 특정 목적에 따라 분류되며, 주로 가상 세계의 설정, 사고 실험, 유머, 개인적인 표현 등을 위해 만들어진다. 가상 언어는 소설, 영화 등 허구의 세계에 현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작되며, 전문적인 가상 언어와 인터넷 기반 가상 언어로 나뉜다. 이 외에도 대체 역사 인공어, 초소형국가어, 개인 인공어, 실험어, 농담 언어, 어휘가 적은 언어 등이 예술어에 포함된다.

2. 분류

인공어는 사용 목적에 따라 여러 장르로 분류될 수 있으며, '예술어'는 그중 하나이다. 예술어는 철학어와 유사하게, 처음에 정의된 원칙에 따라 만들어진다.

예술어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가상 언어''': 허구 세계의 언어를 표현하기 위한 것으로, 미들 어스의 중간계 언어와 같이 책, 영화, 게임 등에 사용되는 '''전문적 가상 언어'''와 베르두리안처럼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인터넷 기반 가상 언어'''로 나뉜다.
  • '''대체 역사 인공어''': 실제 역사와 다른 가정을 바탕으로 자연어의 진화를 재구성하는 언어이다. 브리테니그는 영국에서 로마의 영향으로 켈트어가 속 라틴어로 대체되었다는 가정 하에 만들어진 로망스어이다.
  • '''초소형국가어''': 마이크로네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로, 탈로사어가 대표적이다.
  • '''개인 인공어''': 개인적인 만족을 위해 만들어지는 언어로, 일기 작성 등에 사용되기도 한다. 타네라이크어 창시자는 자신의 언어를 "세상과 내면의 세계 사이에서 협상된 사적인 협정"이라고 묘사했다.[7]
  • '''실험어''': 언어학의 특정 이론을 탐구하기 위해 설계된 언어로, 언어와 사고의 관계를 탐구하는 경우가 많다. 사피어-워프 가설을 바탕으로 한 연구가 SF 분야에서 많이 이루어졌다.
  • '''농담 언어 (Jokelangs)''': 재미나 풍자를 목적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다. 디링고는 운율이 있는 언어이며,[15] 유로판토는 유럽 언어들의 무구조적 혼합이다.
  • '''어휘가 적은 언어''': 매우 적은 구성 요소로 깊은 의미를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토키 포나는 약 120여 개의 어근 단어와 14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으며, 생각을 단순화하고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만들어졌다.[9][10][11][12]

2. 1. 가상 언어

가상 언어는 예술어 계열의 인공어 중 가장 큰 그룹으로, 허구 세계의 언어를 표현하기 위해 의도되었다. 가상 언어는 관련된 허구 세계에 깊이와 그럴듯함을 부여하고 등장인물이 이질적이고 분리된 방식으로 의사 소통하도록 설계된다. "conlang"라는 단어와 유사하게, 용어 ''conworld''는 허구의 구성된 문화가 거주하는 이러한 세계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가상 언어에는 크게 두 가지 범주가 있다. 하나는 책, 영화, 텔레비전 쇼, 비디오 게임, 만화, 장난감 및 노래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전문적인 가상 언어'''이고, 다른 하나는 인터넷에 기반한 '''인터넷 기반 가상 언어'''이다.

가공 언어는 용도와 상대적 완성도에 따라 예술 언어와 구분된다.

'''가공 통시 언어'''(fictional diachronic language)는 대어족에서 발명되어, 자손 언어로 파생되는 조어와 함께, 시간을 거쳐서 추적하는 가상의 역사를 가진 가상의 언어를 기술한다. 예를 들어, 공통 엘다린어에서 퀘냐와 신다린어가 파생되고, 신다린어의 영향을 받은 아두나익에서 반지의 제왕에서 일반 사람들이 사용하는 웨스트론어가 생겨났다는 중간계 언어의 변천사가 있다.

2. 1. 1. 전문적 가상 언어

가상 언어는 소설, 영화 등 허구 세계의 설정에 현실감과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한 설정으로 만들어진다. 언어창작자는 가상언어를 설정하면서 가상언어가 쓰이는 세계 설정과 가상의 문화를 아울러 설정하는 일도 흔하다. 가상언어는 만드는 이가 누구냐에 따라 언어 전문가의 손을 거쳐서 소설, 영화, 음악, 만화, 비디오 게임 등 상업적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는 전문적 가상언어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일반인이 창작하는 인터넷 기반 가상언어로 나눌 수 있다.

전문적인 허구의 언어는 책, 영화, 텔레비전 쇼, 비디오 게임, 만화, 장난감 및 노래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다. 허구의 언어가 등장하는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미들 어스, ''스타 트렉'' 유니버스, ''심즈''의 심리시, ''이코''와 ''아르 토네리코'' 시리즈''와 같은 게임, 그리고 프랑스 밴드 마그마의 노래(코바아어)가 있다.

다음은 전문적 가상 언어의 예시이다.

작품언어
미들 어스중간계 언어
1984년뉴스피크
시계태엽 오렌지나드사트
소외된 자들프라비크어
유산고대어
워터쉽 다운의 언덕래핀어
스타 트렉클링온어
스타워즈만달로리어어
왕좌의 게임도트라키어와 발리리아어군
아바타 (영화)나비어
엘더스크롤 V: 스카이림드래곤어



이러한 언어 중 일부는 현대 영어의 왜곡된 형태 또는 방언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언어학 석사 학위를 가진 데이비드 J. 피터슨은 영화 등에 사용되는 가공 언어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가공 언어는 가능한 최소한의 문법과 어휘만을 가지며, 필수적인 것을 넘어서 확장되는 경우는 드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J. R. R. 톨킨의 퀘냐와 신다린어, 스타 트렉클링온어, 스타워즈의 만달로리어어와 같이 자신의 목적을 위해 기능하고 사용 가능한 언어로 존재하는 상세한 언어를 개발한 경우도 있다.

또한 환자식 암호가 가공 언어라는 설정으로 등장하는 작품도 있으며, 『파이널 판타지 X』의 알베드어, 『테일즈 오브 이터니아』의 멜닉스어,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그론기어 등이 이에 해당한다.

2. 1. 2. 인터넷 기반 가상 언어

가상 언어는 소설, 영화 등 허구 세계의 설정에 현실감과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한 설정으로 만들어진다. 언어창작자는 가상언어를 설정하면서 가상언어가 쓰이는 세계 설정과 가상의 문화를 아울러 설정하는 일도 흔하다. 가상언어는 만드는 이가 누구냐에 따라 언어 전문가의 손을 거쳐 소설, 영화, 음악, 만화, 비디오 게임 등 상업적 목적을 위해 만들어지는 전문적 가상언어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일반인이 창작하는 인터넷 기반 가상언어로 나눌 수 있다.

'''인터넷 기반 가상언어'''는 "conworld"와 함께 인터넷에 호스팅되며, 이러한 사이트를 기반으로 사이트 방문자를 통해 세상에 알려진다. 마크 로젠펠더의 웹사이트 Zompist.com 속 허구 세계 알메아의 베르두리아어가 대표적인 예시이다.[1]

2. 2. 대체 역사 인공어

대체 역사 인공어 또는 대안어(代案語, Alternative language)는 실존하는 자연어 및 그 역사를 바탕으로 역사적 가정과 추론을 통하여 예상되는 언어의 모습을 재구성해 내는 인공어를 말한다. 예를 들어 신라가 아니라 고구려백제가 주체가 되어 삼국통일을 이루었다면 한국어는 어떤 모습일까와 같은 가정 아래에서 창작자 스스로의 상상력을 바탕으로 재구성해내는 것이다.[5]

이 장르에서 가장 유명한 인공어는 브리터니그로, 영국에서 앵글로색슨족 침입 이전 라틴어가 쓰이던 시절의 언어가 계속 남아 쓰였다면 어떤 모습일까를 재구성한 것이다. 로마 제국이 오늘날의 폴란드 지역을 점령하여 라틴어가 쓰였다면 어떤 모습일까를 바탕으로 한 베네딕이라는 언어를 만든 일 베티사드도 유명하다. [5]

대체 역사 인공어는 고대어와 역사언어학 지식, 논리적 개연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은 장르에 속하며, 언어의 전반적인 모습을 살필 수 있는 언어자료가 남아 있지 않은 언어를 바탕으로 만들기는 매우 어렵다.[5]

'''대체 언어'''(Alternative languages 또는 altlangs)는 사건이 다르게 전개되었다면, 자연 언어의 어족이 어떻게 진화했을지를 추측하여 재구축하려는 시도이다. 예를 들어, 그리스 문명이 로마 제국 없이 번영을 계속했다면, 그리스어가 존속하고, 라틴어는 몇몇 현대의 자손 언어를 발전시키지 못했을 수도 있다. 진화 "했을지도 모르는" 언어는 그 진화 과정에서 단계를 거쳐 최종 형태에 이른다. 일반적으로 대체 언어는 하나의 언어의 기본 어휘와 다른 음운론에 근거한다.[5]

이 범주에서 가장 잘 알려진 언어는 브리제니그(Brithenig)로, 베네딕](Wenedyk)과 같은 대체 역사의 언어를 고안하는 인터넷의 인공 언어 애호가들의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브리제니그는 켈트어를 웨일스어의 음운론에 기반한 속 라틴어로 전환시키기에 충분했을 브리튼 섬에서의 로마의 영향으로 진화했을지도 모르는 로망스어를 확정하려 한다.[5]

필립 호세 파머의 윙키어(Winkie language)는 ''A Barnstormer in Oz''에서 오즈의 윙키가 말하는 독일어와 관련된 언어이다.[5]

2. 3. 초소형국가어

마이크로네이션에서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 마이크로네이션 건국자들은 국가 정체성 확립 및 시민권 부여 조건으로 자국 언어를 만들어 익히게 하고, 행정업무나 우표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탈로사 왕국탈로사어가 대표적이다.[1] 시민들이 언어를 배우는 것은 동전 주조, 우표 발행, 정부 참여처럼 마이크로네이션에 참여하는 중요한 부분이다.[2] 이들은 모임에 참여할 때 배운 언어로 대화하며, 필요에 따라 새로운 단어와 문법 구조를 만들어낸다.[2]

2. 4. 개인 인공어

개인이 자기 만족을 위해 스스로 언어를 만드는 것을 개인 인공어라고 한다. 개인 인공어의 창작 동기는 다양하며, 창작자는 자신의 웹사이트, 블로그, 게시판 등에 이를 공개하기도 한다. 개인 인공어는 대개 만든 사람 외에는 사용하는 사람이 없으며, 창작자 스스로도 충분히 구사할 수 있을 만큼 다듬어지지 못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드물게는 일기 기록이나 시 창작 등에 매우 오랫동안 쓰이기도 한다.[7]

'''개인 언어'''는 궁극적으로 자기 계발을 위해 만들어진다. 창작자는 다른 사람이 그 언어를 사용할 것을 기대하지 않으며, 언어는 예술 작품으로 존재한다. 개인 언어는 아름다운 언어를 갖기 위해, 자기 표현을 위해, 언어학적 원리를 이해하기 위한 연습으로, 또는 극단적인 음소 목록이나 동사 체계를 가진 언어를 만들려는 시도로 발명될 수 있다. 개인 언어는 수명이 짧은 경향이 있으며, 종종 인터넷에 게시되고 인터넷 기반 허구 언어와 마찬가지로 메시지 게시판에서 논의된다. 이러한 언어를 설계하는 사람들이 대개 많은 개인 언어를 발명한다. 그러나 몇몇 개인 언어는 창작자가 일기를 작성하는 등 광범위하고 장기간 사용하기도 한다. 타네라이크어의 창시자인 자반트 비아루지아는 자신의 개인 언어(그는 '''밀교 언어'''라고 부른다)를 "세상과 내면의 세계 사이에서 협상된 사적인 협정; 공적인 단어는 내가 추구하는 사적인 표현을 나에게 보장할 수 없었다."라고 묘사했다.[7] 작가 로버트 데세는 자신의 개인 언어 K의 기원을 "나는 현실을 묘사하는 단어를 원했다. 그래서 그것들을 만들어냈다."라고 설명한다.[8]

2. 5. 실험어

어떤 인공어들은 특정한 사고 실험을 위하여 만들어진다. 대표적인 경우로, 사피어-워프 가설의 실현을 목적으로 만든 로지반이나, 인간 사고의 명료화를 목적으로 만든 보아보무 등이 있다.

실험 언어는 인공어의 한 종류로, 언어학의 특정 이론을 탐구할 목적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언어의 대부분은 언어와 사고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지만, 언어의 다른 측면을 탐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도 있다. SF 분야에서는 널리 알려진 사피어-워프 가설을 바탕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유형의 예술어는 설계 언어와 중복되는 부분이 있다.

인공 언어 작가 중 일부는 라단(페미니즘)이나 토키포나(최소 혼성어)와 같이 철학이나 실험에 기반한 언어를 설계했다. 이들은 종종 서로 다른 언어의 기능에 따라 사람이 다르게 생각하거나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고 보는 사피어-워프 가설에 기반한 생각이다.

2. 6. 농담 언어 (Jokelangs)

조크랭(Jokelang)은 농담으로 만들어진 인공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이러한 언어들은 주로 재미있는 소리를 내도록 의도된 디링고와 같은 언어이거나, 어떤 종류의 풍자를 위한 언어일 수 있으며, 종종 인공어의 어떤 측면에 대한 풍자이기도 하다.[15]

전형적인 조크랭은 다음과 같다.

언어설명
유로판토유럽 언어들의 무구조적 혼합
트랜스피란토오해의 소지가 있고 모호함을 개선하기 위해, 스웨덴어 전문 용어처럼 들리도록 국제적인 단어들로 구성됨
Oou의도적으로 모호하고 다의어적인 언어로, 표기 체계는 전체적으로 구두점으로 이루어져 있고, 음소 목록은 전체적으로 모음으로 구성됨
디링고운율이 있는 언어[15]
굴레바체아르헨티나의 코미디-뮤지컬 그룹 레 루티에르가 오페라 카르도소 엔 굴레반디아를 위해 만든 허구의 조크 로망스어
언와이즈코미디언 스탠리 언윈이 사용한, 무의미하지만 구조화된 대안 영어로, 엉터리로도 알려져 있지만 제작자인 Basic Engly Twentyfimode에 의해 명명됨
인플레이션어코미디언 빅터 보르게가 발명했으며, 단어에 숫자를 삽입함. (예: 크레닌("창조하다"), 일레베니스("테니스"))


2. 7. 어휘가 적은 언어

이러한 언어의 목표는 매우 적은 구성 요소로 깊은 의미를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토키 포나는 일반적으로 약 120개,[9] 123개,[10] 또는 125개의[11] 어근 단어와[12] 14개의 음소를 가지고 있다고 한다. 토키 포나는 생각을 단순화하고 의사소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캐나다의 언어학자이자 번역가인 손자 랑[13]에 의해 만들어졌다.[14]

3. 한국어와 인공어

이전 단계에서 원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빈 텍스트가 출력되었습니다. 따라서 수정할 내용이 없습니다.

4. 인공어의 활용

인공어는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특히 예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4. 1. 대중문화 콘텐츠

예술어 계열의 인공어가 가장 많이 속하는 그룹은 가상 언어이다. 가상 언어는 소설, 영화 등 허구 세계의 설정에 현실감과 생동감을 불어넣기 위해 만들어진다. 언어창작자는 가상언어를 설정하면서 가상언어가 쓰이는 세계 설정과 가상의 문화를 함께 설정하기도 한다. 가상언어는 만드는 사람에 따라 언어 전문가가 소설, 영화, 음악, 만화, 비디오 게임 등 상업적 목적을 위해 만드는 전문적 가상언어와, 인터넷을 기반으로 일반인이 창작하는 인터넷 기반 가상언어로 나눌 수 있다. 인터넷 기반 가상언어의 예로는 마크 로젠펠더의 웹사이트 Zompist.com 속 허구 세계 알메아에서 쓰이는 베르두리아어가 있다.

허구의 언어에는 두 가지 주요 범주가 있다.[1]

  • '''전문적인 허구의 언어:''' 책, 영화, 텔레비전 쇼, 비디오 게임, 만화, 장난감 및 노래에 사용하기 위해 만들어진 언어이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미들 어스, ''스타 트렉'' 유니버스, ''심즈''의 심리시, ''이코''와 ''아르 토네리코'' 시리즈''와 같은 게임, 그리고 프랑스 밴드 마그마의 노래(코바아어)가 있다.[1]
  • '''인터넷 기반 허구의 언어:''' "conworld"와 함께 인터넷에 호스팅되며, 이러한 사이트를 기반으로 사이트 방문자를 통해 세상에 알려진다. 마크 로젠펠더의 알메아 행성의 베르두리안이 대표적인 예이다.[1]


가공 언어의 예시는 다음과 같다.[2]

이러한 언어 중 일부는 현대 영어의 왜곡된 형태 또는 방언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언어학 석사 학위를 가진 데이비드 J. 피터슨은 영화 등에 사용되는 가공 언어 제작을 담당하고 있다.[2]

일부 가공 언어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 기능하고 사용 가능한 언어로 존재한다. J. R. R. 톨킨의 퀘냐와 신다린어, 스타 트렉클링온어, 스타워즈의 만달로리어어가 그 예시이다.[3]

환자식 암호가 가공 언어라는 설정으로 등장하는 작품도 있다. 『파이널 판타지 X』의 알베드어, 『테일즈 오브 이터니아』의 멜닉스어, 『가면라이더 쿠우가』의 그론기어 등이 이에 해당한다.[3]

참조

[1] 웹사이트 Proposal: new language-type name (fwd) https://groups.googl[...] 2015-05-13
[2] 웹사이트 Help with phonological transcription https://groups.googl[...] Usenet 2015-05-13
[3] 웹사이트 Question about LSD https://groups.googl[...] Usenet 2015-05-13
[4] 간행물 "De (on)macht van taal. Over Patrick Keulemans" http://bamart.be/nl/[...] kunstenaar 2014-08-20
[5] 웹사이트 Far Cry Primal Developers Talk About Uncovering History http://www.gamespot.[...] 2016-02-08
[6] 잡지 It's Good to Be King https://www.wired.co[...] 2022-11-22
[7] 웹사이트 Taneraic on the Web http://www.phreacs.c[...]
[8] 뉴스 "The Language of K" http://www.abc.net.a[...] Lingua Franca 1998-12-19
[9] 뉴스 What happened when I tried to learn Toki Pona in 48 hours using memes https://www.theguard[...] 2019-01-07
[10] 뉴스 Podcast of the week: The smallest language in the world https://www.irishtim[...] 2019-01-07
[11] 학술지 Still Hoping: The Relation of International Auxiliary Languages to Worldview and Perception https://osf.io/prepr[...] 2018
[12] 문서
[13] 뉴스 Canadian has people talking about lingo she created https://www.theglobe[...] 2017-03-10
[14] 웹사이트 How to Say Everything in a Hundred-Word Language https://www.theatlan[...] 2022-08-10
[15] 웹사이트 DiLingo - official website http://www.diling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