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는 1585년 파리에서 태어난 프랑스의 추기경이자 정치가이다. 그는 뤼송의 주교를 거쳐 1624년 루이 13세의 국왕참사회에 참여, 1629년 수석대신(재상)이 되어 국정 전반을 책임지며 프랑스의 권력 중앙 집중화와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반대를 추진했다. 국내적으로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 확립을 위해 귀족과 지방 호족의 권력을 약화시키고, 삼부회를 소집하지 않는 등 전제군주제를 강화했으며, 라 로셸 포위전을 통해 위그노의 분파주의를 제거했다. 그는 또한 예술 후원자이자 저술가로, 프랑스 아카데미를 창설하는 등 프랑스를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존칭 | 각하 |
이름 | 아르망 장 뒤 플레시 |
출생일 | 1585년 9월 9일 |
출생지 | 프랑스 파리 |
사망일 | 1642년 12월 4일 (향년 57세) |
사망지 | 프랑스 파리 |
안장 장소 | 소르본 채플 |
국적 | 프랑스 |
모교 | 나바라 대학 |
직업 | 성직자, 정치가 |
종교 지도자 정보 | |
유형 | 추기경 |
직함 | 추기경, 뤼송 주교 |
관구 | 보르도 대교구 |
교구 | 뤼송 교구 |
착좌 | 1607년 4월 17일 |
사임 | 1624년 4월 29일 이전 |
전임 | 프랑수아 이베르 |
후임 | 에메리 드 브라젤롱뉴 |
성직 수임 | 1607년 4월 17일 |
서임자 | 안 데스카르 드 지브리 |
추기경 임명 | 1622년 9월 5일 |
임명자 | 교황 그레고리오 15세 |
계급 | 추기경 사제 |
이전 직책 | 클뤼니의 영토 수도원장 보좌 (1627–1635) 클뤼니의 영토 수도원장 (1635–1642) |
![]() | |
![]() | |
스타일 정보 | |
추기경 이름 |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 |
경칭 | 그의 위대한 각하 |
약칭 | 각하 |
![]() | |
정치 경력 | |
직책 | 프랑스 국가 수석 장관 |
군주 | 루이 13세 |
임기 시작 | 1624년 8월 12일 |
임기 종료 | 1642년 12월 4일 |
전임 | 앙크르 후작 공석 (1617–1624) |
후임 | 쥘 마자랭 추기경 |
브르타뉴 주지사 | 브르타뉴 주지사 |
군주 (브르타뉴 주지사) | 루이 13세 |
임기 시작 (브르타뉴 주지사) | 1632년 4월 17일 |
임기 종료 (브르타뉴 주지사) | 1642년 12월 4일 |
후임 (브르타뉴 주지사) | 안 왕비 |
프랑스 해군 원수 | 프랑스 항해 총책임자 |
군주 (프랑스 해군 원수) | 루이 13세 |
임기 시작 (프랑스 해군 원수) | 1626년 |
임기 종료 (프랑스 해군 원수) | 1642년 |
전임 (프랑스 해군 원수) | 몽모렌시 공작 |
후임 (프랑스 해군 원수) | 브레제 후작 |
외무 장관 | 프랑스 외무 장관 |
군주 (외무 장관) | 루이 13세 |
임기 시작 (외무 장관) | 1616년 11월 30일 |
임기 종료 (외무 장관) | 1617년 4월 24일 |
후임 (외무 장관) | 실레리 후작 |
전쟁 장관 | 프랑스 전쟁 장관 |
군주 (전쟁 장관) | 루이 13세 |
임기 시작 (전쟁 장관) | 1616년 11월 25일 |
임기 종료 (전쟁 장관) | 1617년 4월 24일 |
전임 (전쟁 장관) | Claude Mangot |
후임 (전쟁 장관) | 니콜라 브륄라르 드 실레리 |
신분 | 임시 |
2. 어린 시절
1585년 9월 9일 파리에서 아르망 장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는 다섯 자녀 중 넷째이자 세 아들 중 막내로 태어났다. 그의 가문은 프랑스 서부 푸아투 지역의 하급 귀족 가문이었다.[6] 아버지는 앙리 3세의 주요 행정관이자 리슐리외 영주였던 프랑수아 뒤 플레시였고, 어머니는 파리 고등법원 법관의 딸인 쉬잔 드 라 포르트였다.[7][8] 그는 어릴 적부터 허약하여 평생 건강 문제에 시달렸다.[6]
1606년, 국왕 측근인 형 앙리의 주선으로[112][113], 앙리 4세는 21세의 리슐리외를 뤼송 주교로 임명하였다. 그는 아직 교회법에서 정한 나이에 도달하지 못했기에, 특별 면허를 받기 위해 로마를 방문하여, 1607년 4월에 공식적으로 주교 서품을 받았다. 1608년에 주교구에 부임한 직후, 프로테스탄트가 강력한 힘을 가진 이 교구[114]에서 개혁을 공포하였다. 리슐리외는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결정된 교회 개혁을 프랑스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주교가 되었다.
리슐리외가 다섯 살 때, 그의 아버지는 프랑스 종교 전쟁에서 열병으로 사망했고[9] 가족은 빚에 시달렸다. 그러나 왕실의 보조금[10] 덕분에 재정적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었다. 아홉 살 때, 어린 리슐리외는 파리의 나바라 콜레주에 입학하여 철학을 공부했다.[11] 그 후 그는 군 경력을 위해 수학, 펜싱, 승마, 춤, 궁정 예절, 군사 훈련을 받았다.[12][13]
앙리 3세는 종교 전쟁에서 아버지의 공헌에 대한 보상으로 리슐리외 가문에게 뤼송의 주교직을 하사했다.[15] 가족은 주교직의 수입 대부분을 사적으로 사용했지만, 교회 목적을 위해 그 기금을 원하는 성직자들에 의해 이의가 제기되었다. 리슐리외의 어머니는 중요한 수입원을 보호하기 위해 둘째 아들 알퐁스 루이 뒤 플레시 드 리슐리외를 뤼송의 주교로 삼자고 제안했다.[16] 그러나 알퐁스는 카르투시오 수도회 수도사가 되기를 원하여 주교직을 원치 않았다.[17] 따라서 어린 리슐리외가 성직에 들어갈 필요가 생겼다. 그는 강한 학문적 관심을 가지고 새로운 직책을 위해 열심히 공부했다.[18]
1606년, 앙리 4세는 리슐리외를 뤼송 주교로 임명했다.[16] 리슐리외는 아직 정식 임명에 필요한 최소 연령에 이르지 못했기 때문에 로마로 가서 교황 바오로 5세의 특별 허가를 받아야 했다. 1607년 4월, 리슐리외는 주교로 서임되었다.[19] 1608년 그의 교구로 돌아온 직후, 리슐리외는 종교 개혁가로 알려졌다. 그는 1545년부터 1563년까지 트리엔트 공의회에서 규정한 제도 개혁을 실시한 프랑스 최초의 주교였다.[20]
이 무렵 리슐리외는 후에 그의 측근이 되는 카푸친 수도회 수도사 프랑수아 르클레르 뒤 트랑블레(일명 "페르 조제프" 또는 "조제프 신부")와 친구가 되었다. 리슐리외와의 친분과 회색 수도복 때문에 조제프 신부는 "회색 추기경(L'éminence grise)"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후에 리슐리외는 외교 협상에서 그를 종종 특사로 이용했다.[21]
3. 정치 입문
이 무렵, 리슐리외는 "조제프 신부"(Père Joseph)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카푸친 프란체스코 수도회의 프랑수아 르클레르 뒤 트랑블레와 친분을 맺었고, 후에 그는 리슐리외의 심복이 되었다. 리슐리외와의 친분과 항상 회색 로브를 착용했던 것 때문에, 조제프 신부는 “''l'Éminence grise''”(회색 추기경, 흑막)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후에 리슐리외는 그를 외교 협상에 자주 이용하였다.
1614년 푸아투 성직자들의 요청으로 삼부회에 참석한 이후, 리슐리외는 섭정 마리 드 메디시스와 그녀의 총신 콘치노 콘치니의 눈에 띄게 된다.[115]
당시 궁정에서는 9세의 루이 13세가 즉위했을 때 왕비 마리 드 메디시스가 섭정이 되었고, 1614년 루이 13세가 성인이 되어 섭정이 끝난 후에도 실권을 계속 쥐고 있었다. 리슐리외는 왕비 마리의 총신이자 당시 가장 영향력 있는 대신이었던 콘치니를 섬기며 정계에 입문했다. 1616년, 국무장관이 되어 외교를 담당하며 콘치니와 함께 마리의 조언자가 되었다. 그러나 콘치니의 정책은 국내에서 인기가 없었고, 마리와 콘치니는 궁정 내 음모의 표적이 되었다. 1617년 4월, 샤를 달베르 드 뤼이네의 계략에 의해 루이 13세는 콘치니의 체포를 명령했고, 콘치니는 암살되었으며 마리 드 메디시스의 정권은 무너졌다. 리슐리외가 31세 때의 일이다.
콘치니의 시체가 파리 시민들에 의해 훼손되던 곳을 지나가던 리슐리외는 "국왕에 대한 충성이다"라고 칭찬하며 위기를 모면했다.[117]
thumb가 장악하고 있었다]]
루이 13세는 샤를 달베르 드 뤼이네를 뤼이네 공으로 임명했고, 뤼이네 공이 새로운 권력자가 되었다. 후원자의 죽음으로 권력을 잃은 리슐리외는 해임되고 궁정에서 추방되었다. 1618년, 국왕은 그를 아비뇽으로 몰아냈다. 이곳에서 리슐리외는 "''L'Instruction du chrétien프랑스어''"이라는 교리서를 저술했다.
1619년, 마리 드 메디시스는 블루아 성에서 탈출하여 귀족 반란군의 명목상 지도자가 되었다. 국왕과 뤼이네 공은 리슐리외를 소환하여 왕비를 설득하게 했다. 리슐리외는 왕비와 국왕 사이의 중재에 성공하여 앙굴렘 조약 체결을 이끌어냈다. 마리 드 메디시스는 자유를 되찾았고 국왕과 화해했다. 이 무렵 왕비 마리에게 봉사하던 그의 형 리슐리외 공작 앙리가 결투로 사망했다.[118][119]
1621년 뤼이네 공이 죽자 리슐리외는 권력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1622년, 왕비 마리의 추천으로 국무회의에 진입하려 했으나 루이 13세는 거절했다.[120] 하지만 국왕은 리슐리외를 추기경으로 임명했고, 같은 해 4월 19일 그레고리오 15세는 그에게 서품을 주었다.
프랑스는 위그노(프랑스의 개신교)의 반란 등의 위기에 처해 있었고, 리슐리외는 국왕에게 없어서는 안 될 조언자가 되어가고 있었다. 1624년 4월 국무회의 고문관에 임명되자 리슐리외는 수석 국무장관 샤를 드 라 비유빌의 실각을 도모했다. 같은 해 8월 라 비유빌 공은 부정부패 혐의로 체포되었고, 리슐리외가 그를 대신하여 수석 국무장관(총리)이 되었다. 리슐리외가 38세 때의 일이다.
3. 1. 삼부회
1614년, 푸아투의 성직자들의 요청에 따라 리슐리외는 교구 대표로 전국 삼부회에 참석했다.[115] 삼부회에서 그는 교회의 면세와 주교의 정치적 권력 신장을 주장하며 활발한 교회 대변자로 활동했다. 그는 트렌토 공의회의 포고를 실행해야 한다고 주장한 가장 두드러진 성직자였다. 평민으로 구성된 제삼부회가 그의 노력에 가장 큰 반대 세력이었다. 회의가 끝날 무렵 제일부회(성직자)는 청원서와 결정문을 낭독할 연설자로 그를 선택했다. 리슐리외의 웅변은 섭정 마리 드 메디시스(Marie de Médicis)와 그녀의 총신 콘치노 콘치니(Concino Concini)의 관심을 끌었고,[115] 삼부회 폐회 직후 리슐리외는 루이 13세의 왕비 안 도트리슈(Anne d'Autriche)의 사제로서 궁정에 봉사하게 되었다.[116]
앙리 4세가 암살당한 후 9살에 어린 루이 13세가 즉위하였고 모후 마리의 섭정이 시작되었다. 메디치 가문 출신인 마리는 정치적인 감각이 부족하여 국정을 혼란에 빠트렸다.[138] 이탈리아 출신의 관료들에 의해 국정농단이 자행되자 귀족들의 거센 압박이 이어졌고, 난국을 극복하기 위해 섭정 마리는 1614년 10월에 삼부회를 개최하였다.[139] 이 삼부회는 프랑스 대혁명을 촉발시킨 1789년 삼부회가 열리기 이전에 마지막으로 열린 삼부회였다.[140]
3. 2. 재상 등용
리슐리외는 1614년 삼부회에 성직자 대표로 참여하여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며 루이 13세의 모후 마리 드 메디시스의 눈에 띄었다.[140] 1615년, 마리 드 메디시스의 천거로 대비 안 도트리슈의 궁중 사제가 되었고,[141] 1616년에는 루이 13세의 고문관이 되면서 본격적으로 정치에 입문하였다.
1617년 4월, 루이 13세가 쿠데타를 일으켜 모후 마리 드 메디시스를 추방하고 측근들을 숙청하면서, 리슐리외 역시 아비뇽으로 쫓겨났다.[142] 아비뇽에서 그는 최초의 저서 《교리문답》을 저술하며 시간을 보냈다.[136] 이후, 리슐리외는 마리 드 메디시스와 루이 13세 사이의 중개자 역할을 맡아 정치인으로서의 수완을 인정받았다.
1624년 4월, 리슐리외는 루이 13세가 이끄는 국왕참사회에 들어가 청지인으로서 다시 활동을 시작했다.[143] 처음에는 모후의 총신으로 오해받기도 했지만, 점차 루이 13세의 신임을 얻어 1629년에는 수석대신(재상)이 되어 국정 전반을 책임지게 되었다.[144]
4. 정치 활동
리슐리외는 권력을 잡기 전부터 삼십년 전쟁에 간접적으로 개입했다. 프랑스는 스페인과 합스부르크 가문의 오스트리아에 맞서 비밀리에 적대 세력들을 지원했다. 1624년 쿠블르 후작의 파견대가 발텔리나를 해방시켰고, 1625년에는 에른스트 폰 만스펠트에게 자금을 지원했다.[127]
1629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페르디난트 2세가 독일 내 프로테스탄트 세력을 제압하자, 리슐리외는 스웨덴 개입을 촉구하며 자금을 지원했다. 북이탈리아는 합스부르크 제국과 스페인을 잇는 전략적 요충지로, 합스부르크 제국 군대의 이 지역 장악은 프랑스에 큰 위협이었다. 1630년 프랑스 대사의 스페인과의 평화 협정 체결을 리슐리외는 거부했는데, 협정에 프랑스의 독일 개입 금지 조항이 있었기 때문이다. 1631년, 프랑스는 베르발데 조약으로 스웨덴과 동맹을 맺었으나, 리슐리외는 로마 가톨릭 교회로부터 비난받았다.[127]
1635년, 프랑스는 스페인에 선전포고하여 삼십년 전쟁에 참전했다. 초기에는 프랑스가 열세였으나, 전쟁은 리슐리외 사후까지 이어졌다. 리슐리외는 앙기앙 공작(콩데 공 루이 2세)와 튀렌느를 등용하여 삼십년 전쟁에서 활약하게 했다.[127]
전쟁 비용은 국가 재정에 큰 부담이었고, 리슐리외는 소금세(`gabelle프랑스어`)와 조세(토지세: `taille프랑스어`)를 인상했다. 성직자, 귀족, 부르주아는 면세 혜택을 받아, 세금 부담은 서민들에게 돌아갔다. 효율적인 징세와 부정부패 방지를 위해 지방 관료 대신 국왕에게 직접 복무하는 앙텐당(지방 감찰관: `intendant프랑스어`)을 파견했다. 그러나 재정 계획은 민중 폭동을 야기했고, 1636년부터 1639년까지 여러 농민 반란이 발생했으나, 리슐리외는 이를 철저히 진압했다.[127]
말년에 리슐리외는 교황 우르바노 8세와 불화를 겪었고, 교황은 리슐리외의 교황 특사 임명을 거부했다. 1641년 교황이 쥘 마자랭을 추기경으로 서임하면서 분쟁은 완화되었다. 리슐리외는 갈리카니스트들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았다.[127]
thumb]]
리슐리외는 생마르 백작을 루이 13세의 총신으로 삼아 영향력을 행사하려 했으나, 생마르 백작은 그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1641년 소아송 백작의 음모는 실패했고, 1642년 생마르 백작은 반란을 계획하고 스페인과 비밀 협약을 맺었으나, 리슐리외의 정보망에 발각되어 처형되었다.[127]
4. 1. 국내 정치
리슐리외는 왕권 강화와 중앙집권체제 확립을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145] 이를 위해 국민의 행복보다는 국가의 안정을 중요시했다. 왕권신수설을 바탕으로 전제군주제를 정당화하여 보수적인 신학을 주장했으며, 행정조직을 정비하고 삼부회는 더 이상 소집하지 않았다.[146] 위그노들의 분파주의를 제거하기 위해 라로셸을 점령하였다.[145]귀족과 지방 호족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해 그들의 근거지인 요새들을 파괴했다.[144] 또한, 지방 호족 간 결투를 금지하고 위반 시 엄격하게 처벌하여 물리력 행사나 동원을 막았다. 명예 실추 없이 지방 호족이 농업에 종사하도록 하고, 평민도 지방 호족 작위를 받을 수 있게 했다. 각 지방에 장관을 파견하여 재판, 치안, 조세, 행정을 담당하게 하고 중앙의 국무회의를 전문화하여 중앙집권적 통치를 강화했다. 이로써 지방 장관 파견제를 효율적인 행정 제도로 정착시켰다.[147]
1636년 크로캉의 농민반란과 1639년 노르망디의 뉘 피에 농민 반란 등 여러 농민 반란을 효과적으로 진압했다.[148] 1631년 창간된 프랑스 신문 '라 가제트(La Gazette)'를 통해 정부 정책을 홍보했다.[149] 1635년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창설하여 프랑스어 개량과 순화에 힘썼다. 그는 루이 13세를 도와 프랑스를 근대 국가로 발전시키는 데 크게 기여했다.[147]

리슐리외는 프랑스 내 권력 중앙 집중화[35]와 합스부르크 왕가에 대한 반대를 주요 목표로 삼았다.[36][37] 그는 가톨릭 정통주의 재건을 합스부르크와 오스트리아의 정치적 책략으로 보고 프랑스 국익에 해롭다고 여겼다.[38]

프랑스에서 권력을 공고히 하기 위해 리슐리외는 봉건 귀족의 영향력을 억압하려 했다. 1626년, 프랑스 컨스터블 직책을 폐지하고 방어에 필요한 것을 제외한 모든 요새화된 성을 허물도록 명령했다.[40] 이로써 왕자, 공작, 하급 귀족들이 반란 시 사용할 수 있었던 중요한 방어 시설을 제거하여 대부분의 귀족에게 미움을 받았다.
권력 집중화의 또 다른 장애물은 종교 분열이었다. 위그노들은 상당한 군사력을 통제하며 반란을 일으켰고,[41] 찰스 1세는 위그노를 돕기 위해 프랑스에 선전포고를 했다. 1627년, 리슐리외는 군대에 위그노 거점인 라 로셸 포위를 명령하고 직접 지휘했다.[42] 버킹엄 공작 휘하 영국군은 라 로셸 시민들을 도우려 했으나 실패했고, 도시는 1628년 항복했다.
위그노들은 라 로셸에서 패배했지만, 앙리 드 로앙 지휘 아래 계속 싸웠다. 그러나 1629년 패배하고 알레 강화 조건에 따랐다.[43] 낭트 칙령에 의해 허용되었던 프로테스탄트에 대한 종교적 관용은 유지되었지만, 추기경은 그들의 정치적 권리와 보호를 폐지했다.[43] 로앙은 처형되지 않고 나중에 프랑스 군대 지휘관이 되었다.

1634년, 리슐리외는 위르뱅 그랑디에를 화형으로 처형했다. (루동 사건) 이러한 조치들은 적들을 위협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는 프랑스와 유럽 국가들에 광범위한 스파이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정치적 안보를 확보했다.
4. 2. 암살 음모
리슐리외가 루이 13세에 의해 중용되자, 그를 정치에 입문시켜준 옛 은인 마리 드 메디시스와의 사이가 멀어졌다. 마리는 왕의 동생인 가스통과 마리약 형제 등 화평파 고문관과 함께 리슐리외와 대립하였다. 황족·구귀족들은 모후인 마리 편을 들었다.[150] 1630년 11월, 이들은 리슐리외를 제거하려는 계획을 꾸몄는데, 어느 정도 성공하는 듯했다. 루이 13세가 애매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인데, 그러나 곧 왕에 의해 이들은 숙청되었다. 이것을 ‘뒤프(속은 사람들)의 날’이라고 한다.[151][152] 이 사건에서 중심적 역할을 한 모후는 벨기에로 망명했다. 그 후 리슐리외의 권력은 절대적인 것이 되었고, 그는 왕으로부터 거듭 신임을 받아 책임 관료제를 수립하고, 절대왕정의 기초를 닦아갔다.[150] 이 밖에도 리슐리외를 제거하려는 음모는 평생 끊임없이 지속되었으며, 그는 경찰과 밀정을 풀어서 이를 적발하거나 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대처했다.[148]
이후 생마르 백작을 루이 13세에게 소개시켜 국왕의 총신으로 삼아, 리슐리외가 국왕의 결정에 대해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하려 하였다. 그러나 1639년에 국왕의 총신이 된 생마르 백작은 리슐리외의 계획과 달리 그의 뜻대로 되지 않았다. 1641년, 그는 소아송 백작의 리슐리외 실각 음모에 가담했으나 실패하고 연루 사실도 드러나지 않았다. 1642년, 생마르 백작은 왕의 동생인 오를레앙 공작을 포함한 귀족들과 함께 반란을 계획하고 스페인 왕과 비밀 협약을 맺었으나, 리슐리외의 정보망이 이를 알아채고 생마르 백작은 체포, 처형되었다.
참조
[1]
웹사이트
Richelieu
https://www.collinsd[...]
HarperCollins
2019-07-29
[2]
사전
Richelieu, Duc de
https://web.archive.[...]
Oxford University Press
2022-03-20
[3]
웹사이트
Richelieu, Cardinal
https://www.ldoceonl[...]
Longman
2019-10-06
[4]
사전
Richelieu
American Heritage Dictionary
2019-07-29
[5]
사전
Richelieu
Merriam-Webster
2019-07-29
[6]
서적
[7]
서적
[8]
서적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Cardinal Richelieu and the Development of Absolutism
St. Martin's Press
1972
[13]
서적
Cardinal Richelieu and the Making of France
Constable
2000
[14]
서적
[15]
서적
[16]
서적
[17]
서적
[18]
서적
Richelieu
Haskell House Publishers
1928
[19]
서적
[20]
서적
[21]
서적
[22]
서적
[23]
서적
[24]
서적
[25]
서적
[26]
서적
[27]
서적
[28]
서적
[29]
서적
1984
[30]
서적
[31]
서적
1984
[32]
서적
Richelieu
https://books.google[...]
Routledge
2014
[33]
서적
1903
[34]
서적
1861
[35]
서적
[36]
서적
Wedgwood
[37]
웹사이트
Richelieu, Armand Jean du Plessis de
https://www.encyclop[...]
2023-07-15
[38]
서적
Kissinger
[39]
서적
Wedgwood
[40]
서적
Collins
[41]
서적
Zagorin
[42]
서적
Zagorin
[43]
서적
Zagorin
[44]
서적
Pardoe
[45]
서적
Munck
[46]
서적
Wedgwood
[47]
웹사이트
Armand Jean du Plessis de Richelieu
https://www.encyclop[...]
2023-07-15
[48]
서적
The Life of Cardinal Richelieu
A. L. Burt Company
1903
[49]
서적
Louis XIII, the Just
2022-08-00
[50]
서적
Moote
[51]
서적
Wedgwood
[52]
서적
Parker
1984
[53]
서적
Collins
[54]
서적
Collins
[55]
서적
Munck
[56]
서적
Zagorin
[57]
웹사이트
Amsterdam City Archive
https://archief.amst[...]
[58]
서적
Wedgwood
[59]
서적
Political Testament of Cardinal Richelieu
[60]
서적
Cardinal Richelieu: Power and the Pursuit of Wealth
Yale University Press
1985
[61]
서적
Wedgwood
[62]
웹사이트
Cercle Richelieu Senghor de Paris – Tribune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ttp://www.cercle-ri[...]
2014-09-10
[63]
웹사이트
Cercle Richelieu Senghor de Paris – Tribune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http://www.cercle-ri[...]
[64]
서적
The Embattled Northeast: The Elusive Ideal of Alliance in Abenaki-Euramerican Relations
https://archive.org/[...]
1984
[65]
서적
Indians in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A Comparative History
https://books.google[...]
1999
[66]
웹사이트
Acte pour l'établissement de la Compagnie des Cent Associés pour le commerce du Canada
http://notrehistoire[...]
[67]
웹사이트
Statistics for the 1666 Census
http://amicus.collec[...]
Library and Archives Canada
2010-06-24
[68]
서적
Perkins
[69]
서적
Phillips
[70]
서적
Perkins
[71]
서적
[72]
서적
[73]
서적
[74]
서적
[75]
서적
Le Medecin de Richelieu
[76]
서적
[77]
서적
The Life of Cardinal Richelieu
A. L. Burt Company
1903
[78]
서적
L'Odyssée d'un Crane
[79]
논문
A Photograph of the Head of Cardinal Richelieu Taken Two Hundred and Fifty Years After Death
[80]
서적
Routledge's Every Boy's Annual
[81]
서적
Chess and Chess-players: Consisting of Original Stories and Sketches
C.J. Skeet
1850
[82]
서적
Great Moments in Chess
Pitman
1963
[83]
서적
[84]
서적
[85]
서적
[86]
서적
[87]
서적
[88]
서적
[89]
서적
[90]
문서
The young Jean-Auguste Dominique Ingres made a careful drawing of it.
[91]
서적
[92]
서적
[93]
서적
[94]
서적
[95]
웹사이트
Louvre Museum
http://cartelen.louv[...]
Cartelen.louvre.fr
2010-10-14
[96]
서적
[97]
웹사이트
Armand-Jean du Plessis, cardinal et duc de Richelieu French Statesman, Cardinal & Politician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023-07-15
[98]
서적
[99]
서적
A Taste of Paris: A History of the Parisian Love Affair with Food
https://books.google[...]
St. Martin's Press
2023-06-23
[100]
잡지
May 13, 1637: Cardinal Richelieu Makes His Point
https://www.wired.co[...]
2022-04-14
[101]
Youtube
Monty Python – Court Scene
https://www.youtube.[...]
2006-12-22
[102]
서적
Political testament
http://archive.org/d[...]
Madison :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1961
[103]
서적
The principall points of the faith of the Catholike Church: Defended against a writing sent to the king by the 4. ministers of Charenton. By the most eminent. Armand Ihon de Plessis Cardinal Duke de Richelieu. Englished by M.C. confessor to the English nuns at Paris.
https://openlibrary.[...]
By Sebastien Cramoisy, printer to the king
1635
[104]
서적
Mémoires du cardinal de Richelieu, sur le règne de Louis XIII
Paris : Foucault
1823
[105]
서적
Richelieu and His Age
[106]
웹사이트
Officer Cadet Division – Faculty and Staff – Royal Military College Saint-Jean
https://www.cmrsj-rm[...]
2015-05-27
[107]
웹사이트
https://www.richelie[...]
[108]
웹사이트
Richelieu Work
https://www.trc-leid[...]
2019-10-14
[109]
웹사이트
Armand-Jean du Plessis, cardinal et duc de Richelieu French cardinal and statesman
https://www.britanni[...]
Britannica
2024-12-04
[110]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11]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12]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13]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14]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15]
서적
ラルース図説 世界史人物百科〈2〉
[116]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17]
서적
世界の歴史8 絶対君主と人民
[118]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19]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20]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21]
서적
世界の歴史8 絶対君主と人民
[122]
서적
世界の歴史17 ヨーロッパ近世の開花
[123]
서적
聖なる王権ブルボン家
[124]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25]
서적
世界の歴史9 絶対主義の盛衰
[126]
서적
世界の歴史8 絶対君主と人民
[127]
서적
世界の歴史8 絶対君主と人民
[128]
서적
世界の歴史9 絶対主義の盛衰
[129]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30]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31]
서적
宰相リシュリュー
[132]
서적
一年有半・続一年有半
[133]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34]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35]
서적
リシュリューとオリバーレス
[136]
웹사이트
아르망 리슐리외
https://terms.naver.[...]
[137]
웹사이트
http://www.gcatholic[...]
[138]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39]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40]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41]
웹사이트
리슐리외 [Armand Jean du Plessis Duc de Richelieu]
https://terms.naver.[...]
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2-01-10
[142]
웹사이트
두 번째 왕비 마리 드 메디치
https://terms.naver.[...]
김복래
2006-08-10
[143]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44]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45]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146]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47]
웹사이트
쌍두 왕정
김복래, 위키미디어 커먼즈
2005-08-01
[148]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49]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50]
웹사이트
아르망 리슐리외
https://terms.naver.[...]
두산백과
[151]
웹사이트
쌍두 왕정
https://terms.naver.[...]
김복래, 위키미디어 커먼즈
2005-08-01
[152]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53]
문서
잉글랜드 성공회가 국가교회가 된 개신교 국가
[154]
문서
라로셀의 위그로 지원
[155]
서적
베니스의 개성상인
[156]
논문
루이 13세의 라 로셸(La Rochelle) 점령과 위그노의 약화
서양사학연구
[157]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58]
웹사이트
드디어 프랑스가 움직이다 - 30년 전쟁
함규진
[159]
서적
프랑스의 역사
까치글방
2013-03-11
[160]
웹사이트
30년전쟁 [Thirty Years' War, 三十年戰爭]
두산백과
[161]
서적
스페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05-14
[162]
문서
포르투갈 반란
[163]
서적
스페인 역사 100장면
가람기획
2003-05-14
[164]
서적
유럽의 첫 번째 태양 스페인
을류문화사
2015
[165]
서적
Spain 1474 - 1700
Heinemann
2002
[166]
웹사이트
쌍두 왕정
https://terms.naver.[...]
김복래, 위키미디어 커먼즈
2005-08-01
[167]
서적
이야기 프랑스사
청아출판사
2005-12-10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