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리아 속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리아 속주는 116년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가 파르티아 원정의 결과로 설치한 세 개의 속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아시리아 속주의 존재에 대한 화폐학적 증거가 부족하여 일부 학자들은 그 존재에 의문을 제기한다. 트라야누스의 후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118년에 이 속주들을 포기하고 철수했다. 이후 로마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이어갔지만,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의 철수로 로마의 영향력은 종식되었다. 아시리아 속주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하며, 티그리스 강 동쪽의 아디아베네 지역,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 지역, 또는 메소포타미아 속주의 북쪽 지역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시리아 속주 | |
---|---|
개요 | |
공식 명칭 | 아시리아 속주 (Provincia Assyria) |
위치 | 이라크, 이란, 튀르키예 일부 지역 |
존속 기간 | 116년 - 118년 |
역사 | |
성립 | 116년, 트라야누스에 의해 설치 |
소멸 | 118년, 하드리아누스에 의해 포기 및 철수 |
지도 | |
![]() | |
정치 | |
정치 체제 | 로마 제국의 속주 |
언어 | |
사용 언어 | 라틴어 (공용어) |
현재 | |
현재 국가 | 튀르키예 이라크 |
2. 역사
113년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시작하여 (제5차 파르티아 전쟁)[22] 116년 아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아르메니아 등 3개의 속주를 설치했다.[22] 에우트로피우스와 페스투스에 따르면, 트라야누스는 티그리스강을 건너 아디아베네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셀레우키아-크테시폰과 바빌론을 점령했다고 한다.[31][1]
트라야누스의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속주에 대한 화폐 증거는 존재하지만, 아시리아 속주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여, C.S. 라이트풋과 F. 밀러 등 일부 학자들은 그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32][33][34][2][3][4]
트라야누스의 원정 성공에도 불구하고, 현지인들의 반란으로 인해 속주 운영은 어려움을 겪었다. 116년, 파르티아 왕자 산트루케스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고, 로마군 지휘관이 살해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35][5][23] 트라야누스는 반란을 진압하고 셀레우키아와 에데사를 점령, 불태웠지만,[1] 117년 사망했다.[31]
트라야누스의 후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동방의 새로 획득한 영토가 제국을 과도하게 확장시켰다고 판단하여, 118년 트라야누스가 설치한 3개 속주에서 철수했다.[36][37][24][25] 그는 파르티아와의 평화 관계를 추구하며, 유프라테스 강 동쪽의 땅을 파르티아에 반환했다.[38]
2. 1. 트라야누스의 파르티아 원정과 속주 설치
113년 로마 황제 트라야누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시작하여 116년 아시리아, 메소포타미아, 아르메니아 등 3개의 속주를 설치했다.[22] 에우트로피우스와 페스투스에 따르면, 트라야누스는 티그리스강을 건너 아디아베네를 점령하고 남쪽으로 진격하여 셀레우키아-크테시폰과 바빌론을 점령했다고 한다.[31][1]트라야누스의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 속주에 대한 화폐 증거는 존재하지만, 아시리아 속주에 대한 증거는 부족하여, C.S. 라이트풋과 F. 밀러 등 일부 학자들은 그 존재에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32][33][34][2][3][4]
트라야누스의 원정 성공에도 불구하고, 현지인들의 반란으로 인해 속주 운영은 어려움을 겪었다. 116년, 파르티아 왕자 산트루케스는 무장 반란을 일으켰고, 로마군 지휘관이 살해당하는 사건도 발생했다.[35][5][23] 트라야누스는 반란을 진압하고 셀레우키아와 에데사를 점령, 불태웠지만,[1] 117년 사망했다.[31]
2. 2. 하드리아누스의 철수와 그 이후
트라야누스의 후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동방의 새로 획득한 영토가 제국을 과도하게 확장시켰다고 판단하여, 118년 트라야누스가 설치한 3개 속주에서 철수했다.[24][25] 그는 파르티아와의 평화 관계를 추구하며, 유프라테스 강 동쪽의 땅을 파르티아에 반환했다.[38]하드리아누스의 철수 이후에도 로마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군사 활동을 계속했다. 161년부터 165년까지 루키우스 베루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이끌었고,[11][28] 197년부터 198년까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다시 파르티아를 공격했다.[12][29] 세베루스는 오스로에네와 메소포타미아 속주를 설치하고,[13] 로마 군단을 배치하여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을 유지했다.[14][29] 그러나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가 사산 제국과 평화 조약을 맺고 철수하면서 이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은 종식되었다.[15][30]
3. 위치
4세기 역사가 에우트로피우스와 페스투스는 아시리아 속주가 티그리스 강 동쪽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아디아베네와 동일시된다고 주장했다.[33][3]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오늘날 이라크 중심 지역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위치는 4세기 로마 역사가 페스투스의 문서와도 일치한다.[39][9] 고고학자 앙드레 마리크/André Maricq프랑스어는 아시리아 속주가 "3세기 사푸르 비문의 아수레스탄과 설득력 있게 동일시하였다".[33][3] 그렇지만, 다른 사료들에서는 아시리아 속주가 과거에 아디아베네라 알려졌고, 신아시리아 왕국이었던 아르메니아 인근 및 티그리스강 동쪽에 있다고 하였다.[40][27] 테오도어 몸젠과 같은 역사가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메소포타미아 속주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란 북서부, 즉 아트로파테네 왕국의 영역까지 뻗어 있었다고 주장한다.[26]
3. 1. 티그리스 강 동쪽, 아디아베네 지역설
4세기 역사가 에우트로피우스와 페스투스는 아시리아 속주가 티그리스 강 동쪽에 위치하며, 일반적으로 아디아베네와 동일시된다고 주장했다.[33][3]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오늘날 이라크 중심 지역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위치는 4세기 로마 역사가 페스투스의 문서와도 일치한다.[39][9] 고고학자 앙드레 마리크/André Maricq프랑스어는 아시리아 속주가 "3세기 사푸르 비문의 아수레스탄과 설득력 있게 동일시하였다".[33][3] 그렇지만, 다른 사료들에서는 아시리아 속주가 과거에 아디아베네라 알려졌고, 신아시리아 왕국이었던 아르메니아 인근 및 티그리스강 동쪽에 있다고 하였다.[40][27] 테오도어 몸젠과 같은 역사가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메소포타미아 속주의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이란 북서부, 즉 아트로파테네 왕국의 영역까지 뻗어 있었다고 주장한다.[26]3. 2. 티그리스 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 지역설
일부 현대 학자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오늘날 이라크 중부 지역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다고 주장하는데, 이 위치는 4세기 로마 역사가 페스투스의 문서와도 일치한다.[39] 고고학자 앙드레 마리크/André Maricq프랑스어는 아시리아 속주가 "3세기 사푸르 비문의 아수레스탄과 설득력 있게 동일시하였다".[33]4세기 역사가인 에우트로피우스와 페스투스는 로마의 아시리아 속주가 "티그리스강 동쪽에 위치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아디아베네로 여겨진다"고 추정했다.[3] 그렇지만, 다른 사료들에서는 아시리아 속주가 과거에 아디아베네라 알려졌고, 신아시리아 왕국이었던 아르메니아 인근 및 티그리스강 동쪽에 있다고 하였다.[40]
3. 3. 기타 견해
테오도어 몸젠과 같은 역사가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메소포타미아 속주의 북쪽에 위치하며, 이란 북서부의 아트로파테네 왕국 영역까지 뻗어 있었다고 주장했다.[26] 다른 자료에서는 속주의 위치가 과거 아디아베네 왕국이나 신아시리아 제국이었던 아르메니아와 티그리스 강 동쪽 근처에 있었다고 언급한다.[27][40]4세기 역사가 에우트로피우스와 패스투스는 소위 아시리아 속주라는 로마 속주가 “티그리스강 동쪽에 있고 일반적으로 아디아베네와 동일시여겨졌다” 고 하였다.[33] 그러나 일부 현대 학자들은 아시리아 속주가 오늘날 이라크 중심 지역의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 사이에 있다고 주장했는데, 이 위치는 4세기 로마 역사가 페스투스의 문서와도 일치한다.[39][9] 고고학자 앙드레 마리크/André Maricq프랑스어는 아시리아 속주가 "3세기 사푸르 비문의 아수레스탄과 설득력 있게 동일시하였다".[33]
4. 이후 로마의 메소포타미아 활동
161년부터 165년까지 루키우스 베루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통해 유프라테스 강 동쪽 지역을 다시 정복했다.[41][11][28] 이는 118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철수한 이후 로마가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회복한 사건으로, 하드리아누스의 소극적인 외교 정책을 뒤집은 중요한 사건이었다.
197년부터 198년까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파르티아를 상대로 원정을 추진했다.[42][12][29] 성공적인 원정 이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메소포타미아와 오스로에네라는 새로운 속주 두 곳을 설치했다.[43][13] 에데사를 중심으로 한 오스로에네는 기원전 2세기에 세워진 왕국이었다.[43] 그는 또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처음에는 파르티아, 그 후로는 사산 제국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속주들에 군단 두 개를 배치시켰다.[44][14][29] 이 지역들에서 로마의 영향력은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가 사산 제국과 성급한 평화 조약을 맺고 자신의 정치력을 강화하고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물러난 뒤에 이곳에서 철수하면서 끝이 났다.[45][15][30]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는 사산 제국과 성급한 평화 조약을 맺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철수했다.[45][15][30] 이는 자신의 정치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45][15][30] 이로써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은 종식되었다. 이는 로마 제국의 동방 정책에 큰 타격을 준 사건으로 평가된다.
118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철수 이후, 아시리아 속주가 다시 설치되었다는 기록은 없다.[46]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2세기 말 오스로에네와 메소포타미아 속주를 설치했을 때도 아시리아 속주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46]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아디아베네 지역이 과거 아시리아로 불렸다고 언급했지만, 이곳이 로마의 속주였다는 암시는 하지 않았다.[46][16]
4. 1.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
161년부터 165년까지 루키우스 베루스는 파르티아 원정을 통해 유프라테스 강 동쪽 지역을 다시 정복했다.[41][11][28] 이는 118년 하드리아누스 황제가 메소포타미아에서 철수한 이후 로마가 이 지역에 대한 지배력을 회복한 사건이었다.4. 2. 셉티미우스 세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
197년부터 198년까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황제는 파르티아를 상대로 원정을 추진했다.[42][12][29] 성공적인 원정 이후,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는 메소포타미아와 오스로에네라는 새로운 속주 두 곳을 설치했다.[43][13] 에데사를 중심으로 한 오스로에네는 기원전 2세기에 세워진 왕국이었다.[43] 그는 또한 안정성을 보장하고 처음에는 파르티아, 그 후로는 사산 제국의 침입을 막기 위해 이 속주들에 군단 두 개를 배치시켰다.[44][14][29] 이 지역들에서 로마의 영향력은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가 사산 제국과 성급한 평화 조약을 맺고 자신의 정치력을 강화하고자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물러난 뒤에 이곳에서 철수하면서 끝이 났다.[45][15][30]4. 3. 요비아누스 황제의 철수
363년, 요비아누스 황제는 사산 제국과 성급한 평화 조약을 맺고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철수했다.[45][15][30] 이는 자신의 정치력을 강화하기 위한 조치였다.[45][15][30] 이로써 메소포타미아 지역에 대한 로마의 영향력은 종식되었다.[45]118년 하드리아누스 황제의 철수 이후, 아시리아 속주가 다시 설치되었다는 기록은 없다.[46] 셉티미우스 세베루스가 2세기 말 오스로에네와 메소포타미아 속주를 설치했을 때도 아시리아 속주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46] 로마 역사가 암미아누스 마르켈리누스는 아디아베네 지역이 과거 아시리아로 불렸다고 언급했지만, 이곳이 로마의 속주였다는 암시는 하지 않았다.[46][16]
5. 아시리아 속주에 대한 후대의 기록
참조
[1]
서적
Römische Geschichte
https://archive.org/[...]
Berlin
1885
[2]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https://www.cambridg[...]
1990
[3]
간행물
"Trajan"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04
[4]
논문
"Another look at the Breviarium of Festus"
https://www.cambridg[...]
2011-12
[5]
서적
Roman Rule in Asia Minor to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After Chri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0
[6]
서적
The World of the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X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8]
서적
Römische Geschichte
https://archive.org/[...]
Berlin
1885
[9]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1990
[10]
문서
[11]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12]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Neighbors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13]
서적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14]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Neighbors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15]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354-378) ''A shameful peace concluded by Jovian''
Penguin Classics
1986
[16]
웹사이트
Rerum gestarum libri
http://www.tertullia[...]
[17]
문서
[18]
문서
[19]
문서
[20]
문서
[21]
논문
2世紀ローマ帝国の東方支配
https://hdl.handle.n[...]
[22]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23]
서적
Roman Rule in Asia Minor to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After Chri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0
[24]
서적
The World of the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25]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X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26]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1990
[27]
문서
[28]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29]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Neighbors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30]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354-378) ''A shameful peace concluded by Jovian''
Penguin Classics
1986
[31]
서적
Römische Geschichte
https://archive.org/[...]
Berlin
1885
[32]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https://www.cambridg[...]
1990
[33]
간행물
"Trajan"
http://www.iranicaon[...]
Encyclopædia Iranica
2004
[34]
논문
"Another look at the Breviarium of Festus"
https://www.cambridg[...]
2011-12
[35]
서적
Roman Rule in Asia Minor to the End of the Third Century After Chri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50
[36]
서적
The World of the Romans
Oxford University Press
1993
[37]
서적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XI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0
[38]
서적
Römische Geschichte
https://archive.org/[...]
1885
[39]
논문
"Trajan's Parthian War and the Fourth-Century Perspective"
1990
[40]
문서
Lightfoot p. 121; Magie p. 608
[41]
문서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p. 640
[42]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Neighbors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43]
서적
A Dictionary of the Roman Empire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1995
[44]
서적
The Roman Empire and its Neighbors
Weidenfeld and Nicolson
1967
[45]
서적
The Later Roman Empire (354-378)
Penguin Classics
1986
[46]
웹사이트
Rerum gestarum libri
http://www.tertullia[...]
[47]
문서
Ammianus 23.6.14−15
[48]
문서
Ammianus, 23.6.23
[49]
문서
Ammianus 23.2.6
[50]
문서
Ammianus 23.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