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야 이리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야 이리니는 '하느님의 평화'에 헌정된 교회로, 콘스탄티노폴리스에 위치해 있다. 4세기에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건설되었으며, 337년에 완공되어 성 소피아 대성당보다 먼저 세워진 최초의 교회로 여겨진다. 니카의 반란과 지진으로 손상되었지만 재건되었으며,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무기고, 군사 박물관으로 사용되다가 1980년부터 클래식 음악 콘서트홀로 사용되고 있다. 2014년부터는 박물관으로 일반에 공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아야 이리니 | |
---|---|
기본 정보 | |
![]() | |
위치 | 이스탄불, 튀르키예 |
좌표 | 41°0′35″N 28°58′52″E |
기능적 상태 | 박물관 |
유네스코 세계유산 | 이스탄불 역사 지구 |
기준 | 문화: i, ii, iii, iv |
ID | 356 |
등재 연도 | 1985 |
하위 속성 | 예 |
건축 | |
건축 유형 | 교회 |
건축 양식 | 비잔틴 건축 |
착공 | 532년 |
재료 | 벽돌, 돌 |
명칭 | |
그리스어 | Αγία Ειρήνη |
중세 그리스어 | Ἁγία Εἰρήνη |
IPA (그리스어) | aˈʝia iˈrini |
튀르키예어 | Aya İrini |
역사 | |
개장 | 532년 |
군사 박물관으로 사용 | 19세기 |
2. 명칭
교회는 하느님의 평화에 헌정되었으며, 성 소피아 대성당(지혜), 하기아 디나미스(Hagia Dynamis)와 함께 황제들이 하느님의 속성에 헌신한 세 개의 성전 중 하나이다.[2]
4세기에 콘스탄티누스 1세가 건립하였으며, 532년 니카의 반란 때 화재로 소실되었으나 548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다.[12][13] 74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지진으로 다시 손상되자 콘스탄티누스 5세는 복원을 명하고 내부를 모자이크와 프레스코로 장식하도록 했다.[27]
3. 역사
1453년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예니체리는 1826년까지 이 교회를 무기고(Cebehane)로 사용했다.[16] 1846년 아흐메트 페티 파샤는 교회를 군사 골동품 박물관으로 만들었다.[17] 1908년부터 1978년까지 군사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터키 문화부로 이관되었다.
오늘날 아야 이리니는 주로 클래식 음악 공연을 위한 콘서트홀로 사용된다. 1980년 이후 매년 여름 이스탄불 국제 음악 축제를 비롯한 여러 음악제나 콘서트가 이곳에서 열리고 있다. 2000년에는 오트 쿠튀르 디자이너 파루크 사라치가 특별한 쇼를 열기도 했다. 몇 년 동안 콘서트나 행사 때만 공개하다가, 2014년 1월부터 박물관으로 개방되었다.[27]
3. 1. 기원
아야 이리니는 기독교 이전 시대의 사원 부지에 세워진 것으로 전해진다. 이 교회는 콘스탄티노폴리스가 그리스 무역 식민지에서 로마 제국의 동쪽 수도로 변모하는 과정에서 성 소피아 대성당보다 먼저 완공된 최초의 교회로 여겨진다. 훗날 전해지는 이야기이며 일부 학자들은 이견을 제시하지만, 로마 제국 황제 콘스탄티누스 1세는 4세기에 최초의 아야 이리니 교회를 건설하도록 지시했고, 이 교회는 그의 통치 말기(337년)에 완공되었다.[3] 콘스탄티누스가 사망했을 때, 그의 묘는 안뜰에 놓여 있던 자색 석관일 것으로 추정된다.[3] 이 교회는 성 소피아 대성당이 콘스탄티우스 2세 통치 기간인 360년에 완공되기 전까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교회로 사용되었다.[4]
3. 2. 초기 역사
콘스탄티누스 1세는 4세기에 최초의 아야 이리니 교회를 건설하도록 지시했으며, 이 교회는 그의 통치 말기(337년)에 완공되었다. 콘스탄티누스가 사망했을 때, 그의 묘는 안뜰에 놓여 있던 자색 석관일 것으로 추정된다.[3] 성 소피아 대성당이 콘스탄티우스 2세 통치 기간인 360년에 완공되기 전까지 아야 이리니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의 교회로 사용되었다.[4]
3. 3. 니카 반란과 재건
콘스탄티누스 1세에 의해 4세기에 처음 건립된 아야 이리니는 532년 니카의 반란 때 불에 타 소실되었다.[12] 반란은 유스티니아누스 1세가 종교적 통합을 추진하던 시기에 전차 경주가 끝난 후 히포드롬에서 시작되었고, 황제가 거의 폐위될 뻔했다.[11] 이 반란은 도시 전체로 빠르게 번져나가 아야 이리니를 포함한 도시의 많은 부분을 파괴했다.[12]
반란이 진압된 후,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548년에 교회를 재건하였다.[13] 재건된 아야 이리니는 제국 전역에서 진행된 유스티니아누스의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의 일환이었으며,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한 호스피스가 교회에 추가되었고, 유스티니아누스는 교회의 운영을 위해 정기적인 기금을 지원했다.[14]
3. 4. 지진 피해와 복원
740년 콘스탄티노폴리스 지진으로 아야 이리니는 다시 손상되었다. 콘스탄티누스 5세는 건물의 복원을 명하고 내부를 모자이크와 프레스코로 장식하도록 했다.[27]
3. 5.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1453년 메흐메트 2세의 콘스탄티노폴리스 함락 이후, 아야 이리니 교회는 톱카피 궁전의 성벽 안에 갇히게 되었다. 예니체리는 1826년까지 이 교회를 무기고(Cebehane)로 사용했다.[16] 터키인들이 획득한 무기와 군사 물품을 보관하는 창고로도 사용되었다.[16] 술탄 아흐메트 3세(1703–1730) 통치 기간인 1726년에는 국립 군사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16]
1846년, 제국 무기고의 원수 아흐메트 페티 파샤는 교회를 군사 골동품 박물관으로 만들었다.[17] 1908년부터 1978년까지 군사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터키 문화부로 이관되었다.
3. 6. 군사 박물관
예니체리는 1826년까지 이 교회를 무기고(Cebehane)로 사용했다.[16] 또한 터키인들이 획득한 무기와 군사 물품의 보관 창고로도 사용되었다.[16] 아흐메트 3세 통치 기간(1703~1730)인 1726년에 국립 군사 박물관으로 개조되었다.[16]
1846년, 제국 무기고의 원수 아흐메트 페티 파샤는 교회를 군사 골동품 박물관으로 만들었다.[17] 1908년부터 1978년까지 군사 박물관으로 사용되었으며, 이후 터키 문화부로 이관되었다.
3. 7. 콘서트홀로의 전환
오늘날 아야 이리니는 뛰어난 음향 특성 덕분에 주로 클래식 음악 공연을 위한 콘서트홀로 사용된다. 1980년 이후 매년 여름 이스탄불 국제 음악 축제의 많은 콘서트가 이곳에서 열렸다.
2000년에는 터키의 오트 쿠튀르 디자이너 파루크 사라치가 특별한 쇼를 열었다. 오스만 제국의 창시자인 오스만 가지부터 마지막 술탄인 메흐메트 6세에 이르기까지 36명의 술탄의 로브를 포함하여 오스만 술탄에게서 영감을 얻은 700점의 디자인 작품이 전시되었다. 쇼는 음악과 술탄의 삶에 대한 이야기, 오스만 시대의 춤 시연과 함께 진행되었다.
3. 8. 박물관 개방
오랫동안 아야 이리니는 행사나 특별 허가가 있어야만 들어갈 수 있었지만, 2014년 1월부터는 화요일을 빼고 매일 일반인에게 공개되고 있다.[18]
4. 역사적 맥락
아야 이리니는 로마 제국과 비잔틴 제국 초기에 걸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역사적 맥락 속에 건설되었다.
-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부상''':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재위 306-337)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콘스탄티노폴리스는 비잔틴 황제의 수도이자 권력의 중심지로 아직 인정받지 못했다.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재위 337-361) 시대에 이르러 상원 건물, 도서관, 목욕탕, 교회 등 공공 및 정치 기관을 갖추며 발전했다.[6]
- '''신학적 논쟁''': 초기 기독교 교회는 그리스도의 신성에 대한 아리우스 논쟁에 직면했다. 이 문제는 니케아 공의회에서 니케아 신경 채택으로 이어졌다.[24]
-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종교 정책''': 527년 유스티니아누스 1세 즉위 후 니케아 공의회( Νίκεια Σύνοδος|니케아 쉬노도스grc)와 그 이후 공의회에서 정의된 정통에서 벗어나는 모든 행위를 근절하려는 노력이 있었다.[7] 유대인, 이교도, "이단자"를 겨냥한 정책으로, 유대인들은 소외되었고, 이교도들에게는 사형을 포함한 가혹한 처벌이 가해졌다.[7] 529년 사마리아인 봉기는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8]
- '''교회와 황제의 관계''': 교회 지도자들은 때때로 황제에게 상당한 권력을 행사하기도 했고(예: 성 암브로시우스와 테오도시우스 1세), 때로는 우호적인 상호 작용을 하기도 했다(예: 유스티니아누스 1세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9][10]
4. 1.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부상
로마 제국 역사에서 황제들은 종종 오랜 기간 권력의 중심지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다. 그러나 서로마 제국 멸망기 말과 초기 비잔틴 시대로 접어들면서 황제들이 수도에 머무는 경향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아야 이리니가 세워질 당시 콘스탄티노폴리스는 콘스탄티누스 1세 황제(재위 306-337)의 잦은 이동으로 인해 비잔틴 황제의 수도이자 권력의 중심지로 아직 인정받지 못했다. 제국의 권력은 로마와 같은 수도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황제가 여행을 떠날 때 그를 중심으로 모였다고 여겨진다.[6] 콘스탄티누스 왕조가 전개되면서 각 황제는 이 도시를 개선하여 도시가 진정한 권력의 중심지로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는 데 기여했다. 콘스탄티우스 2세 황제(재위 337-361) 시대에 이 도시는 상원 건물, 도서관, 목욕탕, 교회 등 인상적인 수의 공공 및 정치 기관을 갖추게 되었다.[6]4. 2. 신학적 논쟁
초기 기독교 교회는 그리스도가 신성한 존재인지에 대한 아리우스 논쟁에 직면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니케아에서 공의회가 열렸고, 널리 받아들여진 니케아 신경이 채택되었다.[24]4. 3.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종교 정책
유스티니아누스가 527년 즉위하면서 니케아 공의회( Νίκεια Σύνοδος|니케아 쉬노도스grc)와 그 이후의 모든 공의회에서 정의된 정통에서 벗어나는 모든 행위를 근절하려는 노력이 집중되었다.[7] 이러한 노력은 유대인, 이교도, "이단자"를 겨냥했다.[7] 유대인들은 비잔틴 사회에서 소외되었고, 히브리어로 저술을 옮기기 시작했다.[7] 이교도들에게는 엄격한 법이 적용되었고, 이를 위반하는 경우 사형을 포함한 가혹한 처벌이 가해졌다.[7] 모든 종류의 조직적인 저항 시도는 분쇄되었다. 529년 사마리아인들이 비잔틴 제국에 대항하여 봉기했으나, 봉기가 진압되는 과정에서 거의 10만 명이 사망하는 등 무자비하게 진압되었다.[8]4. 4. 교회와 황제의 관계
정치적으로 교회와 서로마/동로마 황제는 다양한 권력 역학 관계를 보이며 서로 상호 작용했다. 한편으로 교회 지도자들은 때때로 황제에게 상당한 권력을 행사했는데, 예를 들어 성 암브로시우스는 테오도시우스 1세가 테살로니카 학살에 연루된 죄를 뉘우칠 때까지 밀라노 교회에 들어가는 것을 거부했다.[9] 그러나 다른 때에는 우호적인 상호 작용이 있었다. 유스티니아누스 1세 통치 기간 동안 하기아 소피아에서 열린 예배 의식에서 황제와 콘스탄티노폴리스 총대주교는 콘스탄티노폴리스 시민들과 떨어진 높은 곳에 있는 사적인 방에서 하느님께 기도한 후 함께 회중을 이끌었다.[10] 비잔틴 역사 전체를 통틀어 국가와 교회 사이에 이견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유스티니아누스가 종교적 일탈에 대해 취한 앞서 언급한 입장은 제국과 종교의 공통된 목표를 보여주었다.5. 구조
532년 니카의 반란으로 파괴된 아야 이리니는 유스티니아누스 1세에 의해 재건되었다.[12] 재건된 교회는 당시 표준화되고 있던 "중앙 집중식" 교회 설계를 기반으로 하였으며,[13]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한 호스피스가 추가되었다.[14]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교회의 운영을 위해 정기적인 기금을 지원했다.[14]
내부에는 비잔틴 성상 파괴 운동 예술의 흔적이 남아 있다. 앱스 세미돔과 비마 아치는 모자이크로 덮여 있으며, 남쪽 측면 통로에는 프레스코화가 있다.[18]
5. 1. 교회 건축
532년 니카의 반란은 콘스탄티노폴리스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사건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아야 이리니가 파괴되었다.[12] 이 반란은 전차 경주가 끝난 후 히포드롬에서 시작되어 도시 전체로 번졌고, 황제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거의 폐위될 뻔했다.[12] 반란으로 도시의 대부분이 파괴되었으며, 하기아 이리니도 이때 소실되었다.[12]반란 이후,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제국 전역에 걸쳐 대규모 건축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재건된 아야 이리니도 이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13] 재건된 교회의 설계는 당시 표준화되고 있던 새로운 "중앙 집중식" 교회 설계를 기반으로 했다.[13] 또한,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한 호스피스가 교회에 추가되었고, 유스티니아누스 1세는 교회의 운영을 위해 정기적인 기금을 지원했다.[14]
5. 2. 내부 예술
비잔틴 전통에 따라 이 교회 내부에는 비잔틴 성상 파괴 운동 예술의 독특한 흔적이 남아 있다. 앱스 세미돔과 비마 아치는 모자이크로 덮여 있으며, 남쪽 측면 통로에는 프레스코화도 있다.[18]6. 역사학
(섹션 제목 '역사학'에 대한 내용은 원본 소스에 존재하지 않으므로, 출력하지 않습니다.)
6. 1. 교회 활용에 대한 학술적 논쟁
하기아 이리니에 대한 학술 연구는 주로 건축적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비잔틴 사회에서 종교 및 세속 건축에 대한 다양한 학문적 해석을 통해 당시 교회와 국가의 역학 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특히 기독교가 국교로 확립된 이후, 교회를 "제국 선전"으로 활용한 정도에 대해 학자들 간의 논쟁이 존재한다. 로마가 통일 제국이었던 시절, 건축은 국가 권력의 표상으로 널리 사용되었으며, 이는 로마가 큰 승리를 거둔 지역에 세워진 개선문을 통해 주로 확인할 수 있다.[24] 옐레나 보그다노비치(Jelena Bogdanovic)는 콘스탄티노플의 관계적 영적 지정학에 대한 논문에서 이러한 전통과의 연속성을 강조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헬리오스 복장을 한 자신의 자색암 조각상을 세웠는데, 이 조각상의 기둥에는 진실의 십자가 조각과 노아가 방주를 짓는 데 사용한 도끼 조각이 삽입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로마의 전통적인 이교 종교에서 기독교가 최종적인 국교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25] 피터 사리스(Peter Sarris)는 유스티니아누스 치세 동안의 비잔틴 제국 발전을 연구하며, 유스티니아누스가 비잔틴 국가의 거의 모든 측면이 기독교를 반영하기를 원했다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유스티니아누스가 콘스탄티노플을 재건한 것에 대한 역사학자 애버릴 캐머런(Averil Cameron)의 묘사를 정치적, 종교적 의례의 통일로 재해석한다.[11]다른 학자들의 연구도 연속성의 개념과 일치하지만, 일부 내용은 "개인적" 선전의 과시가 억제되어야 했음을 시사한다. 조셉 알케르메스(Joseph Alchermes)는 케임브리지 유스티니아누스 시대 개요(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Justinian)에서 하기아 소피아와 같은 대형 교회의 후원이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정치적 암투에 어떻게 사용되었는지 논한다. 하기아 이리니처럼 유스티니아누스 1세 황제는 니카의 반란 동안 파괴된 후 하기아 소피아를 재건했다. 유스티니아누스와 하기아 폴리옥토스 교회의 후원자였던 귀부인 안키니아 율리아나(Ancinia Juliana) 사이에는 뚜렷한 경쟁 관계가 있었다.[26] 하기아 폴리옥토스 교회는 하기아 소피아 재건 이전 비잔틴 제국에서 가장 화려한 교회 중 하나였으며, 유스티니아누스에게 도전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문구가 새겨진 기념패를 자랑하기도 했다. 유스티니아누스는 처음 교회에 들어섰을 때 폴리옥토스 교회의 기념패에 적힌 텍스트의 일부를 언급하며 솔로몬을 능가했다고 자랑했다.[26]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른 학자들은 예배 장소로서의 교회의 기능에 초점을 맞추었다. 앨런 도이그(Allan Doig)는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에 나타난 중앙 집중식 교회와 같은 독특한 교회 건축이 방문객들이 교회의 건축, 예배 의식 및 성경 자체를 숙고함으로써 하느님을 이해하도록 장려함으로써 교회의 전례 과정을 개선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언급한다.[5]
6. 2. 제국 선전으로서의 교회
기독교가 국교로 확립된 이후, 교회를 "제국 선전"으로 사용한 정도에 대해 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있다. 콘스탄티누스 황제는 헬리오스 복장을 한 자신의 자색암 조각상을 세웠는데, 이 조각상의 기둥에는 진실의 십자가 조각과 노아가 방주를 짓는 데 사용한 도끼 조각이 삽입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로마의 전통적인 이교 종교에서 기독교가 최종적인 국교로 전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25]7. 갤러리
8. 참고 문헌
- Aya Sofya: Akşit Kültür ve Turizm Yayıncılık|아야 소피아: 악쉬트 퀼튀르 베 투르즘 야이진클릭tr Akşit|악쉬트tr, I. (2005). Akşit Kültür ve Turizm Yayıncılık|악쉬트 퀼튀르 베 투르즘 야이진클릭tr.
- 보그다노비치, 옐레나 (2018). 〈콘스탄티노폴리스, 비잔틴 제국의 수도의 관계적 영적 지정학〉. 옐레나 보그다노비치, 제시카 조이스 크리스티, 에울로지오 구즈만. 《정치적 수도 경관에서》. 볼더: 콜로라도 대학교 출판부. 106쪽.
- 보그다노비치 옐레나 (2008). 〈성 이레네 교회〉. 《헬레니즘 세계 백과사전, 콘스탄티노폴리스》.
- The Topkapi Palace in Istanbul|이스탄불의 톱카피 궁전영어 Davis|데이비스영어, 패니 (1970). 뉴욕, 스크리브너.
- 데스테펀, 실뱅 (2019). 〈이동식 중심지에서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덤바턴 오크스 논문》 1-4.
- 도이그, 앨런 (2008). 《초기 교회부터 중세 시대까지의 전례와 건축》. 올더샷: 애쉬게이트 출판.
- 에반스, J.A.S. (1996). 《유스티니아누스 시대: 제국의 권력 상황》. 뉴욕: 루틀리지.
- 프리리, 존; 차크마크, 아멧 (2004). 《이스탄불의 비잔틴 기념물》.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36–143쪽.
- 하우스러, 랄프 (1999). 〈건축, 공연 및 의례: 로마 제국의 국가 건축의 역할〉. 《이론적 로마 고고학 저널》 3-4.
- [http://www.oxfordreference.com/view/10.1093/acref/9780195046526.001.0001/acref-9780195046526-e-2506?rskey=EB8DuA&result=4 〈성 이레네 교회 – 옥스포드 참고〉]. doi:10.1093/acref/9780195046526.001.0001/acref-9780195046526-e-2506.
- Janin|자닌프랑스어, 레이먼드 (1953). 〈콘스탄티노폴리스 공방전과 에큐메니컬 총대주교청〉. 《비잔틴 제국의 교회 지리학》 3권: 교회와 수도원 (1부). 파리: 프랑스 비잔틴 연구소.
- 칼델리스, 앤서니 (2023). 《새로운 로마 제국: 비잔틴 역사》. 뉴욕: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 카즈단, 알렉산더, 편집. (1991). 《옥스포드 비잔틴 사전》. 3권 중 2권. 옥스포드 대학교 출판부. 〈성 이레네 교회 s.v.Irene〉. 1008–1009쪽.
- 크라우트하이머, 리차드 (1984). 《초기 기독교와 비잔틴 건축》. 뉴헤이븐, CT: 예일 대학교 출판부.
- 마스, 마이클 (2005). 《케임브리지 유스티니아누스 시대 동반자》. 뉴욕: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밀링겐, 알렉산더 반; 트라퀘어, 램지; 조지, 월터 S.; 헨더슨, 아서 E. (1912). 《콘스탄티노폴리스의 비잔틴 교회: 그 역사와 건축》. 런던: 맥밀란 앤드 코., 리미티드.
- 무실렉, 요셉; 포돌카, 루보스; 카르코바, 모니카 (2016). 〈비잔틴 건축 교육을 위한 이스탄불의 성 이레네 교회의 독특한 건축〉. 《가격 엔지니어링》 161: 1745–750.
- 네치포글루, 귈루 (1991). 《건축, 의식, 그리고 권력: 15세기와 16세기의 톱카피 궁전》. 캠브리지, 매사추세츠: MIT 출판부.
- 페슐로우, 우르스 (1977). 《이스탄불의 이레네 교회. 건축 연구》. 튀빙겐: 바스무스.
- 프로코피우스. 《유스티니아누스의 건축물》. 오브리 스튜어트 번역. 런던: n.p, 1888.
- 피르, 스튜어트 (1989). 〈제국 오스만 무기고에서 나온 유럽 갑옷〉. 《메트로폴리탄 박물관 저널》 24: 85–116.
- 사리스, 피터 (2006). 《유스티니아누스 시대의 경제 사회》. 뉴욕: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소크라테스 스콜라스티쿠스. 《교회사》. A.C 제노스 번역. 버팔로, 뉴욕: 기독교 문학 출판사, 1890.
참조
[1]
웹사이트
History
https://web.archive.[...]
Askeri Müze ve Kültür Sitesi Komutanlığı
2019-11-23
[2]
문서
Janin, pg. 106
[3]
서적
The New Roman Empire
http://dx.doi.org/10[...]
Oxford University PressNew York
2024
[4]
문서
Constantine and the Christian Empire
Routledge
2010
[5]
문서
Liturgy and Architecture: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Middle Ages
Ashgate Publishing
2008
[6]
서적
From Mobile Center to Constantinople
Dumbarton Oaks
[7]
서적
The Age of Justinian: Circumstances of Imperial Power
Routledge
[8]
서적
Age of Justinian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12]
서적
[13]
서적
[14]
서적
Buildings of Justinian
[15]
서적
The New Roman Empire: A History of Byzantium
Oxford University Press
[16]
간행물
European Armor from the Imperial Ottoman Arsenal
[17]
간행물
Museums and Narratives of Display from the late Ottoman Empire to the Turkish Republic
Brill
2007
[18]
웹사이트
Hagia Irene Museum Opened
https://web.archive.[...]
Topkapi Palace Museum
2014-01-06
[19]
서적
Byzantine Monuments of Istanbul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
서적
Monogrammkapitelle. Die justinianische Bauskulptur Konstantinopels als Textträger
Reichert
[21]
서적
Irene, Church of Saint – Oxford Reference
http://www.oxfordref[...]
[22]
웹사이트
Great Online Encyclopaedia of Constantinople
http://constantinopl[...]
2017-03-14
[23]
서적
Monogrammkapitelle. Die justinianische Bauskulptur Konstantinopels als Textträger
Reichert
[24]
간행물
Architecture, Performance and Ritual: The Role of State Architecture in the Roman Empire
1999
[25]
간행물
The Relational Spiritual Geopolitics of Constantinople, the Capital of the Byzantine Empire
https://www.jstor.or[...]
University Press of Colorado
2023-12-13
[26]
서적
The Cambridge Companion to the Age of Justinian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웹인용
Hagia Irene Museum Opened
http://topkapisarayi[...]
Topkapi Palace Museum
2014-01-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