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에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AEG는 1883년 독일에서 설립된 전기 회사로, 토머스 에디슨의 특허를 기반으로 시작하여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했다. 20세기 초에는 제너럴 일렉트릭(GE) 및 지멘스와 카르텔을 맺고 유럽과 북미 시장을 분담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군수 물자를 생산하기도 했다. 1985년 다임러-벤츠에 인수된 후 1990년대에 해체되었으나, 현재는 일렉트로룩스가 브랜드 권리를 인수하여 다양한 제품에 라이선스하고 있다. AEG는 전기 기술, 철도 기술, 항공기, 가전 제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을 이루었으며, 현재 한국 시장에서도 다양한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독일의 없어진 기업 - 와이어카드
와이어카드는 1999년 설립된 독일의 전자 결제 서비스 제공업체였으나, 2020년 회계 부정으로 파산하고 최고운영책임자는 도주했다. - 독일의 없어진 기업 - 독일토공석공
독일토공석공(DEST)은 1938년 하인리히 힘러가 설립한 나치 친위대 산하 기업으로,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의 노예 노동력을 착취하여 채석, 벽돌 제조, 도로 건설 등의 사업을 수행하며 이익을 얻었고, 아돌프 히틀러의 건축 사업 및 군수 산업에 자재를 공급했다. - 전동 공구 제조 기업 - 파나소닉홀딩스
파나소닉홀딩스는 1918년 마쓰시타 고노스케가 설립한 마쓰시타 전기기구 제작소에서 시작되어 '내쇼날', '파나소닉', '테크닉스' 등의 브랜드로 세계 가전 시장에 영향을 미쳤으며, 2022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 후 현재 사명으로 변경, 가전제품, 주택 설비, 자동차 부품, 산업 솔루션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는 일본의 대표적인 전자 제품 제조 회사이다. - 전동 공구 제조 기업 - 보쉬 (기업)
보쉬는 1886년 독일에서 설립된 정밀 기계 및 전기 기계 제조업체로 자동차 부품에서 시작하여 가전제품, 전동 공구 등으로 사업을 확장했으며, 세계 대전 시기에는 나치당과의 협력으로 무기 생산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현재는 다양한 사업 부문을 운영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려 노력하고 있다.
아에게 - [회사]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회사 명칭 | 아에게 주식회사 (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 AG) |
종류 | 주식회사 |
산업 분야 | 전기 산업 |
창립 | 1883년, 베를린 (Deutsche Edison-Gesellschaft für angewandte Elektricität) |
창립자 | 에밀 라테나우 |
해체 | 1996년 10월 2일 |
본사 위치 | 베를린, 이후 헤센주, 프랑크푸르트암마인 |
핵심 인물 | (1996년) |
서비스 제공 지역 | 전 세계 |
모기업 | 일렉트로룩스 |
직원 수 | 11,000명 (1995년) |
홈페이지 | AEG 공식 홈페이지 |
재무 정보 | |
매출 | DM 205억 (1995년) |
제품 | |
주요 제품 | 전기 발전 및 변속기 통신 (전화 및 휴대폰) 자동화 운송 및 자동차 가전제품 개인 위생 용품 공작 기계 프로젝터 인쇄 장비 및 소모품 |
추가 정보 |
2. 역사
1883년 에밀 라테나우는 베를린에 ''Deutsche Edison-Gesellschaft für angewandte Elektrizität'' (독일 에디슨 응용 전기 회사)를 설립했다. 1888년에는 ''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 (AEG, 독일 일반 전기 회사)로 사명을 변경했다. 초기에는 전구, 모터, 발전기 등 전기 장비를 생산했지만, 곧 교류(AC) 전기 전송 시스템에도 관여하게 되었다.
19세기 말, AEG는 오스카 폰 밀러와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의 노력으로 장거리 전력 전송 기술을 발전시켜 독일 전력화에 기여했다. 20세기 초에는 텔레풍켄 합작 회사를 설립하고, 페터 베렌스를 통해 통합 기업 디자인 개념을 확립하는 등 혁신을 이어갔다.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면서 AEG는 독일 군수 산업의 주요 অংশী였으며, 나치 정권에 협력하고 강제 노동을 활용하는 등 어두운 역사를 남겼다.[25][26]
전후 AEG는 독일 동부 지역의 사업을 잃었지만, 서독에서 사업을 재개하고 마셜 플랜의 지원을 받아 재건에 성공했다. 1967년 텔레풍켄과의 합병으로 '''AEG-Telefunken'''이 되었으나, 1970년대부터 재정 위기를 겪으며 사업 부문을 매각하고 결국 다임러-벤츠에 인수되었다. 이후 회사는 해체 과정을 거쳐 1996년 상업 등기부에서 삭제되었다.
2. 1. 설립과 초기 발전 (1883-1940)
1883년 에밀 라테나우가 토머스 에디슨의 특허를 기반으로 베를린에 ''Deutsche Edison-Gesellschaft für angewandte Elektrizität'' (독일 에디슨 응용 전기 회사)를 설립했다.[9][10] 초기에는 전구, 모터, 발전기 등 전기 장비를 생산했다. 1887년 회사명을 ''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 (AEG, 독일 일반 전기 회사)로 변경했다.[13]1887년 미하일 돌리보-도브로볼스키가 수석 엔지니어로 합류하여 다상 교류 전력 시스템 연구를 이끌었다.[14] 1891년, 오스카 폰 밀러와 돌리보-도브로볼스키는 라우펜 암 네카어에서 프랑크푸르트까지 175km 떨어진 장거리 전력 전송을 시연하여 교류 전력의 유용성을 입증했다.[15] 같은 해, 할레-잘레 시에 독일 최초의 전기 트램 시스템이 개통되었다.[15]
1903년, AEG와 지멘스 & 할스케는 경쟁하던 무선 통신 기술 회사를 합병하여 텔레풍켄이라는 합작 회사를 설립했다.[17] 1907년, 페터 베렌스가 AEG의 예술 고문으로 임명되어 제품, 광고, 건축 디자인을 총괄하며 세계 최초의 통합 기업 디자인 개념을 확립했다.[18]
1900년에는 헤어드라이어를 발명했고, 1901년에는 자동차 회사인 ''알게마이네 자동차-게젤샤프트''를 인수했다.[20] 1903년 10월 27일, AEG의 실험용 삼상 철도 차량은 마리엔펠데와 조센 사이의 시험 트랙에서 210.2km/h의 속도 기록을 세웠다.[17] 1910년에는 헤니히스도르프에 공장을 설립하고 항공기 시장에 진출했다.[21] 1929년에는 최초의 압축기 구동 냉장고와 온도 조절 다리미를 생산했다.[22]
1935년, 베를린 라디오 쇼에서 세계 최초의 테이프 장치인 마그네토폰 K1을 발표했다.[23] 1920년대에 AEG는 영국령 팔레스타인의 전력화 사업에 참여하여 주요 자재와 기술진을 제공했다.[19]
회사의 활동은 전기 조명, 전력, 전기 철도, 전기 화학 공장, 증기 터빈, 자동차, 케이블 및 케이블 재료의 건설을 포함한 전기 전력 엔지니어링의 모든 분야로 확장되었으며, 베를린과 그 주변에 여러 공장을 설립했다.
- ''Maschinenfabrik Brunnenstrasse'' (증기 터빈, 발전기, 전기 모터)
- ''Apparatewerk Ackerstrasse'' (백열 전구, 탄소 필라멘트 및 금속 실 전구, 네른스트 램프, 스위치, 퓨즈, 저항기, 전기 측정 장비, 발전기, 전기 모터)
- ''Kabelwerk Oberspree'' (KWO, 케이블, 구리 및 금속 공장, 고무 제조, 절연체 제조)
- ''Transformatorenwerk Oberspree'' (TRO, 변압기)
- ''Glühlampenfabrik Moabit'' (1907–1912, 탄소 필라멘트 및 금속 실 전구, 네른스트 램프, 진공관) — 나중에 오스람의 일부가 되었으며, 1939년부터 텔레풍켄의 일부가 됨
- 터빈 공장 (1909년, 증기 터빈) — 산업 건축의 예로 유명
- ''Apparate-Werke Treptow'' (AT - 1926, 아크 램프, 스위치, 퓨즈, 제어 장치, 접촉기, 전기 측정 장비)
1915년 6월 20일, 창업자 에밀 라테나우가 7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24]
2. 2. 나치 시대와 제2차 세계 대전 (1933-1945)
AEG는 1933년 2월 20일 비밀 회의 이후 나치당에 6만 라이히스마르크를 기부하며 아돌프 히틀러를 지지했다.[25] IG 파르벤, 티센, 크루프와 같은 다른 대기업들과 함께 국방군, 루프트바페, 해군의 재무장을 지원하며 나치 정권에 협력했다.[25][26]

AEG는 전쟁 중 비인간적인 노동 조건에서 다수의 강제 노동자와 강제 수용소 수감자를 동원하여 군수 물자를 생산했다.[25][26] 특히, 아우슈비츠 강제 수용소에서 전기 장비 생산을 계약했고,[29] 리가 근처의 AEG 공장에서는 여성 노예 노동을 사용했다.[28] 모노비츠로 알려진 "Arbeitslager Blechhammer"의 36번 수용소에서 노예 노동을 사용했으며, 이들 중 대부분은 1945년 죽음의 행진과 부헨발트에서 사망했다.[30]
AEG는 폴란드에서 나치당과 광범위하게 협력하여 케이블 제조 공장인 카벨베르크 크라쿠프를 나치당에 넘겨야 했다. 이 공장은 크라쿠프-플라슈프에 위치해 있었고, 1942년부터 1944년까지 유대인 강제 노동을 사용하여 케이블을 제조했다.[27] 또한, 데비차에 있는 무장친위대 훈련 시설에 전기 및 조명 시스템을 설치하면서 푸스토우 노동 수용소에 수용된 유대인으로부터 강제 노동을 사용했다.[27]
AEG는 P38 권총의 그립의 주요 공급업체였으며, 발터 암스, 마우저뿐만 아니라 초기 전쟁 기간의 슈프레베르크 P38에도 사용되었다.[31]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대인 노예 노동을 사용한 것에 대한 유감을 표명하기 위해 AEG는 라인메탈, 지멘스, 크루프, I G 파르벤과 협력하여 을 유대인 클레임 컨퍼런스에 배상금으로 지급했다.[32]
2. 3. 전후 재건과 합병 (1945-1970)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AEG는 독일 동부 지역의 사업을 잃었다.[33] 그러나 서독 지역에서 사업을 재개했고, 마셜 플랜의 지원을 받아 재건에 힘썼다. 베를린 서부, 뉘른베르크, 슈투트가르트, 뮐하임안데어루르의 공장 생산을 재개하고, 하멜른에 전기 계량기 공장을 신설하는 등 새로운 공장들을 건설했다.[33]1948년에는 카셀에 AEG 카셀 공장을 설립하여 고전압 스위치 기어, 냉장고, 티켓 프린터, 절연 재료 등을 생산했으며, 고전압 연구소도 설립했다. 1960년대 초에는 5,000명 이상이 카셀의 AEG에서 근무했다. 1950년에는 기업 본사를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으로 이전했으며, 직원 수는 1948년 20,900명에서 1957년 55,400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같은 해 매출액이 10억 DM을 넘었지만, 회사 재건에 대한 높은 투자로 재무 부담이 컸다.
1958년에는 "Aus Erfahrung Gut" (경험을 통해 얻는 이점)이라는 슬로건을 도입했지만, 비판적인 패러디도 등장했다. 1962년에는 그룹 직원이 127,000명에 달했고, 연간 매출은 31억 DM이었다. 같은 해, 발터 브루흐는 하노버의 텔레풍켄에서 PAL 컬러 텔레비전을 개발했다.
1966년에는 유럽 최대 규모의 산업 공간을 건설하여 최대 400톤의 엔진 및 발전기를 크레인으로 건설할 수 있게 되었다. 로버트 F. 케네디가 개회식에 참석했다.
1967년 1월 1일, AEG는 텔레풍켄과 합병하여 '''AEG-Telefunken'''이 되었으며, 본사는 프랑크푸르트 암 마인에 두었다.
2. 4. 재정 위기와 해체 (1970년대 이후)
1970년, AEG-텔레풍켄은 전 세계적으로 178,000명의 직원을 고용하여 세계에서 12번째로 큰 전기 회사였다. 그러나 프랑크푸르트 공항의 자동 수하물 컨베이어 시스템 및 뷔르가센 원자력 발전소 건설과 같은 실패한 프로젝트로 인해 어려움을 겪었다. 특히 뷔르가센 원자력 발전소는 기술적 문제로 여러 해 동안 가동이 지연되어 AEG에 수억 DM의 손실을 입혔다. 그 결과, 회사는 1972년에 마지막 배당금을 지급했다.[33]하노버에 본사를 둔 엔터테인먼트 부문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은 매각되었다. 컴퓨터 메인프레임 사업 (TR 4, TR 10, TR 440)은 지멘스에 매각되었다. 공정 제어 컴퓨터 (TR 84, TR 86, AEG 60–10, AEG 80–20, AEG 80–60)는 ''Geschäftsbereich Automatisierungstechnik'' (1980년 이후 ATM Computer GmbH)로 계속 운영되었다.
1975년에는 베를린-샬로텐부르크의 Ernst-Reuter-Platz 7에 위치한 이전 텔레풍켄 본사가 매각되었다. 이 건물은 이전에 베를린 공과대학교에 임대되었다.
1976년, 감사위원회의 직원 동등 참여 요건을 회피하기 위해, Dr. Walter Cipa (Dipl.-Geol.) (1976년부터 1980년까지 AEG 사장)는 두 개의 가전 회사 외에 4개의 자회사인 주식회사를 추가로 설립했다.
1979년 ''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 AEG-Telefunken''은 1887년부터 사용된 "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을 삭제하여 ''AEG-Telefunken AG''로 사명을 변경했다. 1980년 2월, Heinz Dürr가 이사회 의장이 되었다 (1990년까지).
1982년 8월, 6억 DM의 연방 정부 보증 및 2억 7,500만 DM의 신규 은행 대출을 지원하는 구조 조정 계획이 은행 간의 첫 번째 의견 불일치로 인해 무산되었다. 은행 컨소시엄은 1983년 6월까지 AEG 그룹에 11억 DM의 관리 대출을 제공했으며, 그 중 4억 DM은 연방 정부의 보증에 의해서만 사용할 수 있었다. '''AEG-Telefunken AG'''뿐만 아니라 겔젠키르헨의 자회사인 ''Küppersbusch AG'', 튀빙겐의 ''Hermann Zank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및 브레텐의 ''Carl Neff GmbH''도 영향을 받았다.[33]
Pfullendorf의 ''Alno-Möbelwerke GmbH & Co. KG''는 소수 주주에게 인수되어 그룹에서 분리되었다.
AEG의 공급업체들이 영향을 받아 일부는 파산 신청을 했으며, 여기에는 ''Bühlertann''의 ''Becher & Co. Möbelfabriken KG''가 포함되었으며, 회사 정책의 연속성 부족이 요인이었다. 베를린의 이전 Wedding 지구에 있는 Brunnenstraße 부지도 ''AEG-Fabrik Essen''과 ''Bauknecht''와 함께 매각되었다.
- 1983/84년: 가전 부문 (Telefunken television and broadcasting GmbH)이 프랑스 그룹 Thomson-Brandt에 매각되었다.[33]
- 1985년: AEG는 다임러-벤츠 AG에 인수되었다. 다임러-벤츠 임원 Edzard Reuter (1987년부터 다임러 CEO)는 두 회사가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통합 기술 그룹"을 형성해야 한다고 결정했다.[33]
- 1988년: AEG-연구소(AEG Research Institute)는 창립 60주년을 기념하여 과학/기술 논문에 대한 Carl-Ramsauer 상을 제정했다.[33]
- 1990년: AEG Westinghouse Transportation Systems GmbH가 웨스팅하우스 교통 시스템 Inc.와 제휴하여 설립되었다.[33]
- 1992년:
- 철도 사업이 Lokomotivbau Elektrotechnische Werke (LEW) in Hennigsdorf와 합병(또는 재결합)되어 ''AEG Schienenfahrzeuge GmbH''(AEG 기관차)가 설립되었다.[33]
- 스웨덴 회사 Atlas Copco가 AEG Power Tools Ltd를 인수했다. 2004년 Techtronic Industries에 매각되었다.[33]
- 1994년:
- 자동화 부문은 슈나이더 일렉트릭에 매각되었다.[55]
- ''AEG Hausgeräte AG''는 일렉트로룩스에 매각되었다.[34]
- 1995년: ''AEG Schienenfahrzeuge GmbH''는 ABB Daimler-Benz Transportation (Adtranz)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2001년 Bombardier Transportation의 일부가 되었고, 2021년 1월 29일에는 알스톰이 되었다).[33]
- 1996년:
- Juergen Schrempp가 의장을 맡은 다임러-벤츠 AG의 연례 주주 총회에서 손실을 보고 있는 그룹 해산을 결정했다.[33]
- GEC ALSTHOM이 AEG Power T&D 사업을 인수했다.[33]
- 9월: 회사는 상업 등기부에서 삭제되었다.[33]
AEG의 해체 과정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기업의 생존과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전략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3. 주요 제품 및 기술
AEG는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제품과 기술을 선보였다.
1907년 페터 베렌스가 AEG의 예술 고문으로 임명되면서, 제품 및 광고 디자인에 통일성을 부여하는 초기 기업 정체성을 확립했다.[6] 이는 AEG 제품 디자인의 중요한 특징이 되었다.
AEG는 오랫동안 일련의 필름 영사기를 생산했다.[37]
제품명 | 비고 |
---|---|
Stillstandsmaschine | 1919년, 35 mm |
Theatermaschine | 1920년, 35 mm |
Triumphator I–III | 1924–1935년, 35 mm ACR 0710 |
Successor (Lehrmeister) | 1925–1935년, 35 mm |
Kofferkino | 1927년, 내장형 영사기, 35 mm |
Lehrmeister | 1929년, 35 mm ACR 0709 (Leitz) |
Mechau 모델 4 | 1929 – 1934년, 35 mm |
Euro K | 1938–42년, 35 mm |
Euro M | 1936년, 35 mm |
Euro G | 1938년, 영사기, 35 mm, 인터록 버전 (G-MB) |
Euro M2 | 1939–1944년, 35 mm |
AEG는 1902년 퀼슈타인을 인수하여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노이에 아우토모빌 게젤샤프트''(Neue Automobil Gesellschaft, 신 자동차 회사) 부서를 설립했지만, 1908년 자동차 생산을 중단했다.[35] 생산된 모델은 다음과 같다.[36]
- AAG (1900 automobile)
- NAG Typ A
- NAG Typ B
- NAG Typ B2
원래 회사가 분할 및 해체된 후, 일렉트로룩스는 2005년에 브랜드 권리를 인수했으며, 현재 이 이름은 다양한 회사에 라이선스되고 있다.[38] AEG 브랜드는 현재 일렉트로룩스에 의해 적극적으로 홍보되고 있으며, 전력 솔루션 에너지 장치, 통신 장치, 자동화, 자동차 액세서리, 가전 제품, 전동 공구, 프로젝터, 인쇄 장비 및 소모품, 수처리 장치, 개인 관리 장치 등 다양한 제품을 포함한다.[39]
- AEG ''Hausgeräte''는 일렉트로룩스의 일부로, 백색 가전을 생산한다.
- ITM 테크놀로지 AG는 AEG 이름으로 소비자 가전 및 통신 장비를 생산한다.[40][41]
- 비나톤은 AEG 브랜드로 모바일 액세서리, 휴대폰, 유선 전화 및 양방향 라디오를 제조한다.[42]
- AEG ''Elektrowerkzeuge'' (AEG 전동 공구)는 2009년부터 테크트로닉 인더스트리 (TTI)에 라이선스되어 핸드 전동 공구를 생산한다.[43]
- AEG ''Haustechnik'' (스티벨 엘트론에 라이선스)은 가정 난방 및 공조 제품을 생산한다.[44]
- AEG 산업 엔지니어링은 전기 전력 장비를 생산한다.[45]
- AEG SVS ''Schweiss-Technik''는 저항 용접 기계 및 장비 제조업체이다.[46]
- AEG ''Gesellschaft fur moderne Informationssysteme'' mbH (AEG-MIS)는 정보 시스템용 맞춤형 LCD를 개발한다.[47]
- AEG ID는 RFID 태그 및 리더를 생산한다.[48]
- AEG 파워 솔루션 (구 Saft 파워 시스템 또는 AEG 파워 공급 시스템)은 무정전/백업/안정 전원 공급 시스템을 생산한다.[49]
- AEG 전문 인쇄 장비 및 소모품은 인쇄용 대형 프린터, 잉크 및 미디어 제품 등을 생산한다.[50]
- AViTEQ ''Vibrationstechnik'' GmbH
- ''Lloyd Dynamowerke'' GmbH & Co KG
- Lafert Group
3. 1. 전기 기술 및 장비


1920년대에 AEG는 전기 기술 및 장비의 글로벌 공급 업체가 되었다.[19] 회사의 활동은 전기 조명, 전력, 전기 철도, 전기 화학 공장, 증기 터빈, 케이블 및 케이블 재료의 건설을 포함한 전기 전력 엔지니어링의 모든 분야로 확장되었다. 초기 수십 년 동안 회사는 베를린과 그 주변에 많은 공장을 가지고 있었다.
공장 이름 | 주요 생산 품목 |
---|---|
Maschinenfabrik Brunnenstrasse | 증기 터빈, 다이나모, 전기 모터 |
Apparatewerk Ackerstrasse | 백열 전구, 탄소 필라멘트 및 금속 실 전구, 네른스트 램프, 스위치, 퓨즈, 저항기, 전기 측정 장비, 다이나모, 전기 모터 |
Kabelwerk Oberspree (KWO) | 케이블, 구리 및 금속 공장, 고무 제조, 절연체 제조 |
Transformatorenwerk Oberspree (TRO) | 변압기 |
Glühlampenfabrik Moabit | 탄소 필라멘트 및 금속 실 전구, 네른스트 램프, 진공관 (1939년부터 텔레풍켄의 일부) |
터빈 공장 (1909년) | 증기 터빈 (산업 건축의 예로 유명) |
Apparate-Werke Treptow (AT) | 아크 램프, 스위치, 퓨즈, 제어 장치, 접촉기, 전기 측정 장비 |
AEG의 전기 기술은 한국의 산업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전력 시스템 구축과 공장 자동화에 AEG의 기술이 도입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3. 2. 철도 기술
AEG는 독일 철도 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거의 모든 독일 전기 기관차 시리즈의 전기 부품을 개발하고 제조했으며, 독일 철도에 전력을 도입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33]AEG는 보르지히를 인수하여 기관차 생산을 AEG-보르지히 공장으로 이전하기도 했다. 1948년 이 공장은 VEB ''로코모티브바우 엘렉트로테크니셰 베르케''가 되었으며, DR을 위해 많은 전기 기관차를 생산했다. 1954년까지 증기 기관차 생산도 계속되었다.[33]
독일 연방 공화국이 교류 추진 시스템을 도입하면서 AEG는 브라운, 보베리 & 시와 경쟁했다. 프로토타입 DB 320형은 크루프와 함께 이중 전압(15kV 및 25kV 교류) 테스트 기계로 제작되었으며, 이 기술은 DB 120형 및 ICE 1과 같은 기관차로 이어졌다.[33]
독일 재통일 이후, AEG는 헤니히스도르프의 LEW 공장을 인수하여 기관차 제조에 다시 참여했지만, 이는 잠시였다. "AEG 로코모티브 GmbH"는 ABB 다임러-벤츠 교통(나중에는 AD트랜스)의 일부가 되었고, 과거 AEG가 개발했던 기술은 알스톰의 트랙스 기관차 시리즈 제작에 기여하고 있다.
AEG는 1989년부터 1996년까지 헬레닉 철도 TRAINOSE 520급 520 DMU도 제작했다.
1887년, AEG는 독일 에디슨 회사가 설립한 베를린 전력 회사(현 바텐폴)의 업무를 인계받았다.[56][57] 1903년 우니온사 인수는 AEG의 철도사이기도 하다.[56][57]
AEG의 헤니히스도르프 공장은 동독 측에 속했기 때문에, 사명을 기관차 제조 전기 기술 공장(Lokomotivbau Elektrotechnische Werke, LEW)으로 변경했다. LEW사는 독일 재통일 이후 서독 측의 AEG사에 흡수되었다. AEG사의 철도 차량 제조 부문은 헨셸과의 합병, 아드란츠로의 흡수 등을 거쳐 봄바르디아 운송의 일부가 되었다. 그 후 봄바르디아 운송도 알스톰에 인수되면서 같은 회사의 일부가 되었다.
한국과의 관련성:일제강점기 경성전기주식회사(현 한국전력)의 전차 운영에 AEG의 기술이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3. 3. 항공기
AEG는 1912년부터 1918년까지 다양한 항공기를 생산했다. 1912년에 제작된 첫 번째 항공기는 목재 구조로 라이트 형제의 복엽기를 모델로 했다. 이 항공기는 17.5m의 날개 길이를 가졌고, 75마력을 내는 8기통 엔진으로 구동되었으며, 공허 중량은 850kg이었고, 65km/h의 속도를 낼 수 있었다. 1912년부터 항공기 제작은 목재와 강철 튜브를 혼합하여 제작하고 천으로 덮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1]R.I는 ''Riesenflugzeug'' ("거대한 항공기")로 설계 및 제작되었다. 이 항공기는 네 개의 260hp Mercedes D.IVa 엔진으로 구동되었으며, 가죽 원뿔과 도그 클러치의 조합으로 연결되었다. 첫 비행 테스트는 만족스러웠지만, 1918년 9월 3일 R.I는 공중에서 파괴되어 탑승한 7명의 승무원이 사망했다.
AEG 항공기 설계 중 생산량 측면에서 가장 성공적인 기종은 G.IV ''Grossflugzeuge'' ("대형 항공기") 중전술 폭격기였다. 320대가 제작되었으며, 이 중 1대가 제1차 세계 대전 독일의 유일한 다발 엔진 폭격기로 남아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AEG는 정찰 목적으로 AC 모터로 구동되는 헬리콥터 플랫폼을 포함한 기계를 생산했다. 이것은 자유롭게 비행할 수 없는 묶인 형태의 항공기였으며, 전원은 지상에서 세 개의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었다. 이 기계는 300m의 고도에 도달했다.
3. 4. 가전 제품
AEG는 초기에 전구, 모터, 발전기 등 전기 장비를 생산했으며, 곧 교류(AC) 전기 전송 시스템에도 진출했다. 1983년 가전 부문인 ''Telefunken Fernseh und Rundfunk GmbH''가 매각되었고, 1985년 다임러-벤츠에 인수되었다. 1994년 가전 자회사인 AEG Hausgeräte GmbH를 인수한 일렉트로룩스가 현재 AEG 브랜드 사용 및 라이선스 권한을 소유하고 있다.[33]1948년 카셀 공장이 설립되어 고전압 스위치 기어, 냉장고, 티켓 프린터, 절연 재료 등을 생산했으며, 1960년대 초에는 5,000명 이상이 근무했다.[33] 1958년에는 "Aus Erfahrung Gut" (경험을 통해 얻는 이점)이라는 슬로건이 도입되었으나, "Auspacken, Einschalten, Geht nicht" (포장 해제, 전원 켜기, 작동하지 않음)과 같은 비판적인 패러디도 등장했다.[33] 1962년에는 스프링에에 유체 제어 장치 생산을 위한 새로운 공장이 설립되었다.[33]
AEG의 가전 제품은 한국의 가전 산업 발전에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한국전쟁 이후 한국 기업들이 AEG의 기술을 벤치마킹하여 가전 제품을 생산했을 가능성이 있다.
3. 5. 기타 제품
AEG는 초기에 전구, 모터, 발전기 등 전기 장비를 생산했지만, 자동차 및 항공기 시장에도 진출했다. 또한 철도용 전기 장비도 생산하여 독일 철도에 전기 장비를 공급하는 오랜 역사를 시작했다. 1933년에는 AEG의 기술자인 에두아르트 쉴러가 테이프 레코더용 자기 헤드를 개발했다.[64] 1935년에는 "마그네토폰(Magnetophon)"이라는 이름으로 테이프 레코더를 출시했지만, 당시에는 음질이 좋지 않았다. 1940년 발터 비벨과 한스-요아힘 폰 브라운뮐이 고주파 바이어스 방식을 발명하면서 음질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제품들은 나치 독일의 미디어 전략에 활용되었고, AEG는 이를 통해 이윤을 얻었다.[64]4. 리더십
이름 | 기간 | 종료 |
---|---|---|
에밀 라테나우 | 1887 | 1915 |
펠릭스 도이치 | 1915 | 1928 |
Hermann Bücher|헤르만 뷔허de | 1928 | 1946년 1월 |
발터 베른하르트 | 1946년 1월 | 1947년 5월 |
Friedrich Spennrath|프리드리히 슈펜라트de | 1947년 5월 | 1955년 12월 |
Hans Constantin Boden|한스 콘스탄틴 보덴de | 1956년 1월 | 1961년 2월 |
후고 바울레 | 1961년 3월 | 1962년 1월 |
한스 C. 보덴 | 1962년 2월 | 1962년 9월 |
Hans Heyne|한스 하이네de | 1962년 10월 | 1964년 12월 |
베르톨트 가머 | 1965년 1월 | 1965년 12월 |
한스 뷜러 | 1966년 1월 | 1970년 6월 |
한스 그뢰베 | 1970년 6월 | 1976년 7월 |
발터 치파 | 1976년 7월 | 1980년 1월 |
하인츠 뒤르 | 1980년 2월 | 1990년 12월 |
Ernst Stöckl|에른스트 슈퇴클de | 1991년 1월 | 1996년 9월 |
5. AEG 브랜드의 현재
일렉트로룩스는 2005년에 AEG의 브랜드 권리를 인수하여 현재 AEG 브랜드를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38] AEG 브랜드는 과거에 생산했던 다양한 제품군에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는 전력 솔루션 에너지 장치, 통신 장치(전화 및 휴대폰), 자동화, 자동차 액세서리, 가전 제품, 전동 공구, 프로젝터, 인쇄 장비 및 소모품, 수처리 장치, 개인 관리 장치 등이 포함된다.[39]
AEG 브랜드로 제품을 생산하는 주요 회사들은 다음과 같다.
회사명 | 제품 종류 |
---|---|
AEG Hausgeräte (일렉트로룩스의 일부) | 백색 가전 (세탁기, 식기세척기, 오븐, 냉장고 등) |
ITM 테크놀로지 AG | 소비자 가전 및 통신 장비 (휴대폰, 가정용 전화 등)[40][41] |
비나톤 | 모바일 액세서리, 휴대폰, 유선 전화 및 양방향 라디오[42] |
AEG Elektrowerkzeuge (테크트로닉 인더스트리 (TTI)에 라이선스) | 핸드 전동 공구[43] |
AEG Haustechnik (스티벨 엘트론에 라이선스) | 가정 난방 및 공조 (가습기, 에어컨) 제품[44] |
AEG 산업 엔지니어링 | 전기 전력 장비 (최대 55MW의 발전기, 제어 장치 및 개폐 장치, 전기 모터, 변압기, 산업용 고전력 인버터 및 DC 전원 등)[45] |
AEG SVS Schweiss-Technik | 저항 용접 기계 및 장비[46] |
AEG Gesellschaft fur moderne Informationssysteme mbH (AEG-MIS) | 정보 시스템용 맞춤형 LCD[47] |
AEG ID | RFID 태그 및 리더[48] |
AEG 파워 솔루션 | 무정전/백업/안정 전원 공급 시스템 (컴퓨터 등 전기 공급에 민감한 장비용)[49] |
AEG 전문 인쇄 장비 및 소모품 | 인쇄용 대형 프린터, 잉크 및 미디어 제품, 인쇄 응용 분야 (레이저 프린터/복사기 등)용 광전도 드럼 및 토너[50] |
AViTEQ Vibrationstechnik GmbH | |
Lloyd Dynamowerke GmbH & Co KG | |
Lafert Group |
6. AEG와 한국의 관계 (별도 섹션 추가)
AEG는 한국과 깊은 역사적, 경제적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AEG의 기술과 자본은 한국 사회에 다양한 영향을 미쳤다.
일제강점기1887년, 조선 왕실은 경복궁 내에 전기 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에디슨 전기회사와 계약을 체결했다.[10] 이 회사는 1883년 에밀 라테나우가 설립한 독일 에디슨 응용 전기 회사(Deutsche Edison-Gesellschaft für angewandte Elektricität)였으며, 1888년 AEG(Allgemeine Elektricitäts-Gesellschaft)로 사명을 변경했다.
AEG는 경성전기주식회사(경성전기)를 통해 조선의 전기 및 철도 시스템 구축에 참여했다. 경성전기는 1898년 설립된 한국 최초의 전력 회사로, AEG는 이 회사의 기술 파트너로서 전차, 전등, 전화 사업 등에 필요한 기술과 장비를 제공했다. 특히, 1899년 개통된 서울의 전차는 AEG의 기술력으로 건설되었으며, 이는 한국 대중교통 발전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었다.[15]
한국전쟁 이후한국전쟁 이후, 한국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추진하며 산업화를 가속화했다. 이 과정에서 AEG는 독일 차관을 통해 한국에 기술과 자본을 제공하며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특히, AEG의 발전 설비 및 중전기 기술은 한국의 전력 생산 능력 확충과 중화학 공업 발전에 크게 기여했다.
현재현재 AEG 브랜드는 일렉트로룩스에 인수되어 다양한 가전제품으로 한국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다. AEG는 세탁기, 건조기, 식기세척기, 냉장고, 오븐 등 다양한 백색 가전을 통해 한국 소비자들에게 친숙한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34]
더불어민주당 관점더불어민주당은 AEG의 과거사, 특히 나치 협력과 강제 노동에 대한 비판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다. AEG는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나치 정권을 지원하고 강제 수용소 수감자들을 강제 노동에 동원하여 이익을 얻었다.[8] 이러한 역사적 사실은 더불어민주당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윤리 경영을 강조하는 근거로 작용한다. 더불어민주당은 AEG가 과거사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강제 노동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과 역사적 진실 규명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촉구한다.
참조
[1]
웹사이트
One of the OGs
https://www.undercon[...]
[2]
웹사이트
Aktien und Historische Wertpapiere Geschichte der AEG
http://www.dm-aktie.[...]
[3]
웹사이트
Emil Rathenau and the German Electrical Industry
http://scihi.org/emi[...]
2023-07-03
[4]
웹사이트
AEG's journey from global electrics giant to major appliance brand
https://www.electrol[...]
2023-07-03
[5]
뉴스
Company Linked to Nazi Slave Labor Pays $2 Million
https://www.nytimes.[...]
2020-11-29
[6]
웹사이트
The Father of Industrial Design
http://www.aeg.com/n[...]
[7]
encyclopedia
Allgemeine-Elektizitäts-Gesellschaft
1930
[8]
문서
The Mazal Library: NMT, Volume VII, pp. 557 Archived 13 February 2012 at the Wayback Machine (Document D-203 pages 557–562), The Farben Case Archived 1 June 2013 at the Wayback Machine
[9]
문서
Timeline 1882
[10]
문서
Timeline 1883
[11]
문서
After 1887 called the Berliner Elektricitäts-Werke (BEW)
[12]
문서
Timeline 1884
[13]
문서
Timeline 1885–1887
[14]
문서
Timeline 1888–1889
[15]
문서
Timeline 1890–1891
[16]
서적
The Practical Engineer
Technical Publishing Co Ltd
1899
[17]
문서
Timeline 1903
[18]
문서
Timeline 1904–1907
[19]
서적
Current Flow: The Electrification of Palestine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3
[20]
문서
Timeline 1900–1901
[21]
문서
Timeline 1910–1911
[22]
문서
Timeline 1926–1930
[23]
문서
Timeline 1931–1935
[24]
문서
Timeline 1915–1916
[25]
웹사이트
NMT, Volume VII, pp. 567
http://www.mazal.org[...]
[26]
웹사이트
NMT, Volume VII, pp. 557
http://www.mazal.org[...]
[27]
encyclopedia
The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Encyclopedia of Camps and Ghettos, 1933–1945: Volume I: Early Camps, Youth Camps, and Concentration Camps and Subcamps under the SS-Business Administration Main Office (WVHA)
Indiana University Press
2009
[28]
웹사이트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 My great grandmother
http://www.theverylo[...]
[29]
웹사이트
Holocaust survivors – encyclopedia: Auschwitz
http://www.holocaust[...]
[30]
웹사이트
Slave Labor in the Auschwitz Region. Blechhammer: Sub-camp of Auschwitz III – Monowitz
http://www.jewishgen[...]
[31]
웹사이트
P.38 Grips
http://www.pistole38[...]
2014-08-25
[32]
뉴스
German firms count cost of slave labour
https://www.independ[...]
2018-05-04
[33]
웹사이트
Firmengeschichte der AEG 1941/50
http://www.gerdflaig[...]
[34]
뉴스
AEG Sets Job Cuts And Sale Of Unit
https://www.nytimes.[...]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 The New York Times
1993-12-09
[35]
서적
NAG
Orbis Publishing Ltd
1974
[36]
서적
A.A.G.
E.P. Dutton and Co.
[37]
서적
100 years German film projectors
Manuscript printing, Berlin
[38]
웹사이트
AEG Licensee Products
http://www.aeg.com/n[...]
2009-03-21
[39]
웹사이트
AEG - AG Products
http://www.aeg.com/e[...]
2012-10-26
[40]
웹사이트
ITM Technology AG : About us
http://www.aeg-itm.d[...]
2009-04-26
[41]
웹사이트
Willkommen auf der Corporate Website der ITM Technology AG
http://www.itm-techn[...]
2009-04-12
[42]
뉴스
Binatone Ushers in a New Era of Wireless Connected Devices with VerveLife from Motorola
https://www.prnewswi[...]
2016-06-14
[43]
웹사이트
AEG Elektrowerkzeuge
http://www.aeg-pt.co[...]
2009-03-18
[44]
웹사이트
AEG Haustechnik
http://www.aeg-haust[...]
[45]
웹사이트
AEG Industrial engineering
http://aeg-ie.com/
[46]
웹사이트
AEG SVS Schweiss-Technik
http://www.aeg-svs-s[...]
[47]
웹사이트
AEG-MIS
http://www.aegmis.de[...]
2012-07-21
[48]
웹사이트
AEG ID
http://www.aegid.de
[49]
웹사이트
AEG Power Solutions
http://www.aegps.com
[50]
웹사이트
AEG Professional Printing Equipment and Supplies
http://www.aeg-profe[...]
[51]
문서
1917年、ドイッチェ・ルフトレーデライ社(Deutsche Luft-Reederei, DLR)を設立した。[[ヴェルサイユ条約]]によって飛行機製造をあきらめたが、しかし航空会社は[[ルフトハンザドイツ航空]]に統合されるまで経営が続いた。
[52]
문서
フランス・エジソン社はドイツ・エジソン社に買収された。
[53]
문서
Deutsche Allgemeine Zeitung Potsdam, RWiM, Bd. 17564(Reform des Aktienrechts), Bl. 100; Frankfurter Zeitung Nr. 572, v. 3. 8. 1929.
[54]
문서
Adressbuch der Direktoren und Aufsichtsräte der Aktiengesellschaften, 2/1933, S.72; Eberhard Koebel-Tusk, AEG Energie Profit Verbrechen, Berlin 1958, S.114.
[55]
문서
以来、「AEG」はエレクトロラックスの高級家電ブランドの名称となる。2005年よりブランド名を AEG-Electrolux へと変更し、本格的世界進出を図った。
[56]
문서
1899年、ベルリン電力会社がベルリン市との契約で市街電車へ[[公共料金|低廉な電力]]を独占供給することになった。
[57]
서적
電力の歴史
平凡社
[58]
문서
このときまでに電力会社は1889年で約定された半径30キロ圏内の電力をすべて供給できるまでに技術向上と規模拡大が進んでおり、AEG に満足できる配当をもたらしていた。会社の売却価格は1億3240万マルクであった。
[59]
문서
ドイツ・オーストリア・ロシア・オランダ・デンマーク・スイス・トルコ・バルカン
[60]
문서
英語版が1923年からとしているが、誤り。
[61]
문서
戦争資材会社はニッケル・アルミニウム等の金属資源を侵略地域と中立諸国から徴発したが、特に銅はシーメンスとAEGが戦前も戦中も捨て値で確保することができた。
[62]
간행물
西ドイツにおけるAEGコンツェルンの復活と発展
1964-07
[63]
서적
ウォーバーグ ユダヤ財閥の興亡(上)
日本経済新聞社
[64]
웹사이트
Magnetophon
http://www.radiobook[...]
[65]
서적
ドイツ資本主義とエネルギー産業
東京大学出版会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