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락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악락은 청나라 순치제와 강희제 시기에 활동한 황족으로, 아바타이의 아들이자 다라 요여군왕의 넷째 아들이다. 1625년 베이징에서 태어나, 삼번의 난 진압에 기여하여 정원평구대장군에 임명되었으며, 강희제 치세에 여러 관직을 역임했다. 1689년에 사망하였으며, 사후 눠니 설욕 소동으로 인해 군왕으로 강등되었다.
욜로는 1625년 10월 19일 베이징에서 아바타이의 아들로 태어났다.[3] 1646년, 호거를 따라 장헌충 토벌에 참여했다.[4][5] 1649년 ''3등급 친왕''으로 진급했고,[6] 1651년에는 아버지의 작위를 물려받아 ''2등급 안 친왕''이 되었다.[7] 순치제 통치 기간에는 외몽골 복속을 위한 군대를 지휘했으며,[13] 1655년에는 종실부 주재 관리자가 되었다.[12]
2. 생애
1671년, 강희제 통치 기간 동안, 오삼계 군대로부터 강시성 등을 회복하며 삼번의 난 진압에 공헌했다.[1] 1670년에는 옥첩 감수의 총재관에 재임명되었다.[18]
1689년 2월 훙거했다.[58] 1700년, 도르이 베일러 작위를 박탈당한 낙니의 고소로 유죄 판결을 받고 시호가 박탈, 군왕으로 강등되었다.[48][49]
『탕약망전』에 따르면, 순치제는 천연두 감염 시 안친왕 욜로에게 양위하려 신성 로마 제국 출신 선교사 탕약망에게 의견을 구했으나, 탕약망은 방계 양위의 정치적 불안정을 이유로 재고를 권했다.[56]
순치제 초기, 명나라 숭정제의 장인 주규 저택에 "명나라 황태자"[57]를 자칭하는 자가 나타났으나 도르곤에 의해 가짜로 단정, 참수되었다. 삼번의 난 발발 후, 경사에 "삼태자"를 자칭한 "주자만"(양기륭)이 "광덕"으로 개원,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했다. 욜로가 풍목령 주둔 중, 신화(현 후난성 러우디 시 신화 현) 사찰에서 숭정제의 장자 "주자찬"이 체포되었다. 그는 남명 수도 난징(현 장쑤성 난징 시)까지 도망쳤지만 홍광제에게 투옥, 석방 후 승려가 되어 영주(현 후난성 융저우 시)와 보칭(현 후난성 사오양 시) 사이를 오갔다고 한다. 욜로는 "주자찬"을 경사로 연행했지만, 강희제가 "주자만" 일당과 만나게 한 결과 서로 몰라 "주자찬"은 참수되었다.[58]
2. 1. 초기 생애 및 군사 활동
욜로는 1625년 10월 19일 베이징에서 아바타이의 아들로 태어났다.[3] 그는 어려서부터 군사적 재능을 보였으며, 1646년에는 호거를 따라 장헌충 토벌에 참여하기도 했다.[4][5]
1649년 ''3등급 친왕''으로 진급했고,[6] 1651년에는 아버지의 작위를 물려받아 ''2등급 안 친왕''이 되었다.[7] 순치제 통치 기간에는 외몽골 복속을 위해 파견된 군대를 지휘했으며,[13] 1655년에는 종실부 주재 관리자가 되었다.[12]
다음은 욜로의 초기 생애 및 군사 활동을 정리한 표이다.
연도 | 나이 | 사건 |
---|---|---|
1646년 | 11세 | 호거를 따라 장헌충 토벌, 사천 출정.[4][5] |
1649년 | 14세 | 도르이 베일러로 승작.[6] |
1651년 | 16세 | 군왕으로 승작, 도르이 안군왕(多羅安郡王)으로 개호.[7] |
1652년 | 17세 | 공부 사무 장악.[9] 의정 참여.[10] |
1653년 | 18세 | 내몽골 귀화성 방위, 선위대장군 취임.[11] |
1655년 | 20세 | 종인부좌종정 취임.[12] 할하부 몽골 투셰트 칸 등과 강화, 종인부에서 화의 및 서약 체결.[13] |
1657년 | 22세 | 도르이 안친왕(多羅安親王)으로 승작.[14] |
2. 2. 작위 승격 및 정치 활동
욜로는 1649년에 ''3등급 친왕''으로 진급했고, 1651년에는 아버지의 친왕 지위를 물려받아 ''2등급 안 친왕''이 되었다.[1] 순치제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외몽골을 복속시키기 위해 파견된 군대의 지휘를 맡았으며, 1655년에는 종실부의 주재 관리자가 되었다.순치 연간 | 내용 |
---|---|
6년 (1649) | 도르이 베일러로 승작.[6] |
8년 (1651) | 군왕(郡王)으로 승작하고 도르이 안군왕(多羅安郡王)으로 개호(改號).[7] |
9년 (1652) | 공부 사무 장악,[9] 의정에 참여.[10] |
10년 (1653) | 귀화성(歸化城) (현 내몽골 자치구후허하오터 시) 방위를 위해 선위대장군에 취임.[11] |
12년 (1655) | 종인부좌종정에 취임,[12] 할하(喀爾喀)부 몽골 투셰트(土謝図) 칸 등과의 강화 타진을 받아 종인부에서 화의, 서약 체결.[13] |
14년 (1657) | 도르이 안친왕(多羅安親王)으로 승작.[14] |
1671년, 강희제 통치 기간 동안, 그는 오삼계 장군의 군대로부터 강시성 및 기타 도시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며, 삼번의 난 동안 중요한 공헌을 했다.[1] 강희 9년(1670) 3월 3일, 옥첩 감수의 총재관에 재임명되었다.[18]
강희 연간 | 내용 |
---|---|
13년 (1674) | 삼번의 난 발발, 강희제는 욜로를 정원평구대장군에 임명,[20] 칙인 수여 후 서장안문에서 출발.[21] 안복(安福) (현 장시성지안시안푸 현) 회복 상소,[22] 도창(都昌) (현 장시성주장시두창 현) 회복 상소.[23] |
14년 (1675) | 호남(湖南) 이동의 칙지에 대해 강서(江西) 평정을 우선 주장,[24] 상고(上高) (현 장시성이춘시상가오 현), 신창(新昌) (현 장시성이춘시이펑 현?) 회복 상소.[25] 여간(餘干) (현 장시성상라오시위간 현) 회복 상소,[26] 동향(東郷) (현 장시성푸저우시둥샹 구) 회복 상소.[27] 건창 (현 장시성푸저우시 남동부) 회복 상소,[28] 만년(万年) (현 장시성상라오시완녠 현), 안인(安仁) (현 후난성천저우시안런?),[29] 광신 (현 장시성상라오시) 회복 상소.[30] 요주 (현 장시성상라오시) 평정 상소,[31] 부량(浮梁) (현 장시성징더전 시푸량 현), 락평(楽平) (현 장시성징더전 시러핑 시), 의황(宜黄) (현 장시성푸저우시이황 현), 숭인(崇仁) (현 장시성푸저우시충런 현), 락안(楽安) (현 장시성푸저우시러안 현) 회복 상소.[32] 정안(靖安) (현 장시성이춘시징안 현) 회복 상소,[33] 귀계(貴溪) (현 장시성잉탄시구이시 시) 공략.[34] |
15년 (1676) | 핑샹(萍郷) (현 장시성핑샹시) 회복 상소.[35] |
16년 (1677) | 류양(瀏陽) (현 후난성창사시류양 시)에서 적병 1,000여 명 격파, 핑장(平江) (현 후난성웨양시핑장) 공략. |
17년 (1678) | 오삼계 전사 소식을 접하고, 강희제가 창사 공격 지시.[37] |
18년 (1679) | 악주 (현 후난성웨양시), 창사(長沙) (현 후난성창사시) 회복 상소,[38] 샹탄(湘潭) (현 후난성샹탄시:참고마오쩌둥의 출생지) 회복 상소.[39] 형주 (현 후난성헝양시), 보칭 (현 후난성사오양시) 공략. 우강(武岡) (현 후난성사오양시우강 시), 펑무리(楓木嶺)불상 회복 상소.[40] 욜로는 귀환 명령을 받고, 우강의 유수(留守)로 임명된 장태에게 정원평구대장군의 직위와 칙인 위임.[41] 가짜 태자 주자찬을 체포했다는 욜로의 상소에 대해, 강희제는 경사(京師)로 압송 지시.[42] |
19년 (1680) | 욜로에게 개선 명령. 강희제는 "짐(朕)이 날을 세어 기다리겠다 (汝の凱旋を指折り待つ)"라는 말과 함께 낙타, 좋은 말 증여.[43] 강희제가 재경(在京)의 제왕, 베일러, 베이세, 공 및 만한 대신을 이끌고 교외의 루거우차오(蘆溝橋)에 주륜(駐輦).[44] 강희제가 루거우차오 남쪽 20리에서 욜로 일행 개선 환영.[45] |
20년 (1681) | 종인부 사무 장악.[47] |
27년 (1688) | 간친왕 야부와 함께 갈단 칸 침공 대비, 소니드(현 내몽골 자치구시린궈러 맹 소니드좌기・우기)로 진군. |
2. 3. 삼번의 난 진압
1671년, 강희제 통치 기간 동안, 악락은 오삼계 장군의 군대로부터 강시성 및 기타 도시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으며, 삼번의 난 동안 중요한 공헌을 했다.[1]강희 13년 (1674년)
- 9월 24일: 삼번의 난 발발에 따라, 강희제는 악락을 정원평구대장군에 임명.[20]
- 10월 6일: 칙인을 수여받고, 서장안문에서 출발.[21]
- 12월 20일: 안복(安福, 현 장시성지안시안푸 현) 회복을 상소.[22]
- 12월 27일: 도창(都昌, 현 장시성주장시두창 현) 회복을 상소.[23]
강희 14년 (1675년)
- 정월 29일: 호남(湖南) 이동 칙지에 대해, 강서(江西) 평정을 우선 주장.[24]
- 2월 9일: 상고(上高, 현 장시성이춘시상가오 현), 신창(新昌, 현 장시성이춘시이펑 현?) 회복을 상소.[25]
- 4월 1일: 여간(餘干, 현 장시성상라오시위간 현) 회복을 상소.[26]
- 4월 22일: 동향(東郷, 현 장시성푸저우시둥샹 구) 회복을 상소.[27]
- 5월 4일: 건창(현 장시성푸저우시 남동부) 회복을 상소.[28]
- 5월 25일: 만년(万年, 현 장시성상라오시완녠 현), 안인(安仁, 현 후난성천저우시안런?),[29] 광신(현 장시성상라오시) 회복을 상소.[30]
- 6월 7일: 요주(현 장시성상라오시) 평정을 상소.[31]
- 7월 24일: 부량(浮梁, 현 장시성징더전 시푸량 현), 락평(楽平, 현 장시성징더전 시러핑 시), 의황(宜黄, 현 장시성푸저우시이황 현), 숭인(崇仁, 현 장시성푸저우시충런 현), 락안(楽安, 현 장시성푸저우시러안 현) 회복을 상소.[32]
- 9월 9일: 정안(靖安, 현 장시성이춘시징안 현) 회복을 상소.[33]
- 11월 20일: 귀계(貴溪, 현 장시성잉탄시구이시 시)를 공략.[34]
강희 15년 (1676년)
강희 16년 (1677년)
강희 17년 (1678년)
- 9월 11일: 삼번의 난 주모자 중 한 명인 오삼계 전사 소식을 접하고, 강희제가 창사 공격을 지시.[37]
강희 18년 (1679년)
- 2월 3일: 악주(현 후난성웨양시), 창사(長沙, 현 후난성창사시) 회복을 상소.[38]
- 2월 11일: 샹탄(湘潭, 현 후난성샹탄시:참고마오쩌둥의 출생지) 회복을 상소.[39] 이어서 형주(현 후난성헝양시), 보칭(현 후난성사오양시)을 공략.
- 8월 18일: 우강(武岡, 현 후난성사오양시우강 시), 펑무리(楓木嶺)불상 회복을 상소.[40]
- 11월 24일: 악락은 귀환 명령을 받고, 우강 유수(留守)로 임명된 장태에게 정원평구대장군 직위와 칙인을 위임.[41]
- 12월 13일: 가짜 태자 주자찬을 체포했다는 악락의 상소에 대해, 강희제는 경사(京師)로 압송을 지시.[42]
강희 19년 (1680년)
- 정월 21일: 악락에게 개선 명령. 강희제는 "짐(朕)이 날을 세어 기다리겠다(汝の凱旋を指折り待つ)"라는 말과 함께 낙타, 좋은 말을 증여.[43]
- 3월 8일: 강희제가 재경(在京)의 제왕, 베일러, 베이세, 공 및 만한 대신을 이끌고 교외 노구교(蘆溝橋)에 주륜(駐輦).[44]
- 3월 9일: 강희제가 노구교 남쪽 20리에서 악락 일행의 개선을 환영.[45]
2. 4. 말년 및 사후
1689년 2월, 악락은 훙거(薨去)하였다.[58]1700년 12월 14일, 도르이 베일러 작위를 박탈당한 낙니가 고인이 된 악락을 고소하였고,[48] 같은 달 24일, 악락에게 유죄 판결이 내려져 시호가 박탈되고 군왕으로 강등되었다.[49]
『탕약망전』에 따르면, 순치제가 천연두에 감염되었을 때 황위를 안친왕 악락에게 양위하려 했고, 신성 로마 제국 출신 선교사 탕약망에게 의견을 구했다. 탕약망은 방계에 양위하는 것은 정치적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고 간언하며 재고를 권했다.[56]
순치제 초기, 명나라 말대 숭정제의 장인 주규의 저택에 "명나라 황태자"[57]를 자칭하는 자가 나타났다. 명나라 전 사용인들을 불러 진위를 판별하게 했으나, 도르곤에 의해 가짜로 단정되어 참수되었다 (현대에는 진짜라는 설이 유력하다). 삼번의 난 발발 후, 경사에 "주자만"이 나타나 "삼태자"를 자칭했다. 이 인물은 "광덕"으로 스스로 개원하고 반란을 일으켰지만 실패하고 도망쳤다. 체포된 "삼태자"의 본명은 양기륭이었으며, 역시 가짜였다. 악락이 풍목령에 주둔하고 있을 때, 신화(현재 후난성 러우디 시 신화 현)의 사찰에서 "주자찬"을 자칭하는 자가 체포되었다. 그는 숭정제의 장자로, 전란을 피해 남명의 수도 난징(현재 장쑤성 난징 시)까지 도망쳤지만, 홍광제에게 투옥된 후 석방되어 평민이 되었고, 중을 따라 출가하여 영주(현재 후난성 융저우 시)와 보칭(현재 후난성 사오양 시) 사이를 오갔다고 한다. 악락은 "주자찬"을 경사로 연행했지만, 강희제가 "주자만"(양기륭)의 일당과 만나게 한 결과 서로 모른다고 하여 결국 "주자찬"은 참수되었다.[58]
3. 가족 관계
악락의 가족 관계는 크게 정실 부인, 측실, 첩으로 구분된다.
'''정실 부인'''
-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족: 첫 번째 정실 부인으로, 슬하에 타타하이, 더수, 첫째 딸, 아다하이를 두었으나 모두 요절하였다.
- 나라 씨족: 두 번째 정실 부인으로, 화석유가공주를 낳았다. 화석유가공주는 겅 지주중(耿聚忠)과 혼인하여 딸 하나를 두었다.
- 허셰리 씨족: 세 번째 정실 부인으로, 소닌의 딸이다.[2] 슬하에 마니, 안친왕(安親王) 마르훈(玛尔珲), 군주, 열셋째 딸, 현주, 봉은진국공 징시, 친왕 윤단, 열여덟째 딸, 현주, 고산 베이쯔 우얼잔, 스물두 번째 딸, 잔자를 두었다. 이 중 마니, 열셋째 딸, 열여덟째 딸, 스물두 번째 딸, 잔자는 요절하였다.
'''측실 및 첩'''
측실과 첩은 여러 명이 있었으며, 자녀를 낳은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부인 | 씨족 | 자녀 |
---|---|---|
측실 부인 | 울라한 저르먼 씨족 | |
측실 부인 | 우량하이 지얼모트 씨족 | |
첩 | 유 씨족 | |
첩 | 변 씨족 | |
첩 | 저우 씨족 | |
첩 | 보르진 씨족 | |
첩 | 장 씨족 | |
첩 | 나라 씨족 | |
첩 | 잔 씨족 | |
첩 | 유 씨족 | |
첩 | 장 씨족 |
요로는 아들 20명, 딸 23명을 두었으나, 성인이 된 자녀는 여섯 명뿐이었다. 이 중 다섯 명이 봉작을 받았으나, 뛰어난 군사가는 없었고, 시, 서예, 음악 등 문화 예술 분야에서 재능을 보인 인물들이 많았다.[59]
3. 1. 부모
3. 2. 정실 부인
- 정실 부인, 코르친 보르지기트 씨족(嫡福晉博爾濟吉特氏)
- * 타타하이(他塔海, 1643년 5월 13일 ~ 1651년 11월 20일), 첫째 아들 (요절)
- * 더수(德素, 1644년 5월 1일 ~ 1651년 11월 21일), 둘째 아들 (요절)
- * 첫째 딸 (1643년 11월 20일 ~ 1649년 5월, 요절)
- * 아다하이(阿达海, 1646년 4월 13일 ~ 1646년 12월 20일), 셋째 아들 (요절)
- 정실 부인, 나라 씨족(继福晋纳喇氏)
- * 화석유가공주(1652년 5월 6일 ~ 1673년 7월 12일), 둘째 딸
- ** 겅 지주중(耿聚忠)과 결혼하여 딸을 낳음
- 정실 부인, 허셰리 씨족(三继福晋赫舍里氏)[2]
- * 마니(玛尼, 1662년 9월 11일 ~ 1664년 10월 4일), 열넷째 아들 (요절)
- * 안친왕(安親王) 마르훈(玛尔珲, 1663년 11월 29일 ~ 1709년 11월 11일), 열다섯째 아들
- * 군주(郡主, 1664년 2월 12일 출생), 열한째 딸
- ** 1679년 나라 씨족의 나이거(奈格)와 결혼
- * 열셋째 딸 (1665년 12월 13일 ~ 1684년 7월 23일, 요절)
- * 현주(县主, 1667년 4월 3일 출생), 열다섯째 딸
- ** 1682년 울란간 씨족(吴喇汉氏)의 친왕 어얼더무투(额尔德穆图)와 결혼
- * 봉은진국공(奉恩镇国公) 징시(景熙, 1668년 3월 21일 ~ 1717년 8월 5일), 일품공(一品公), 열일곱째 아들
- * 친왕 윤단(蕴端, 1670년 12월 21일 ~ 1704년 3월 24일), 열여덟째 아들
- * 열여덟째 딸 (1669년 6월 22일 ~ 1671년 6월, 요절)
- * 현주(县主, 1670년 12월 21일 출생), 열아홉째 딸
- ** 1685년 나라 씨족의 신아하이(席纳海)와 결혼
- * 고산 베이쯔 우얼잔(务尔占, 1672년 9월 23일 ~ 1724년 1월 17일), 넷째 품계 친왕, 열아홉째 아들
- * 스물두 번째 딸 (1674년 11월 19일 ~ 1675년 2월, 요절)
- * 잔자(赞扎, 1673년 3월 1일 ~ 1674년 4월 4일), 스무 번째 아들 (요절)
- * 현주(县主, 1683년 6월 4일 출생), 스물세 번째 딸
- ** 1698년 과이가 씨족의 시밍(侍明)과 결혼
- 나라 씨: 두 번째 정실. 경차도위, 달이후의 딸. 자녀 없음.
- 혁세리 씨: 세 번째 정실.[60] 보정대신 공, 소닌의 딸. 자녀 여섯, 그 중 두 명이 요절.
- * 마니: 제14자. 1662년 9월 11일 출생. 1664년 10월 4일, 두 살에 요절.
- * 마르훈: 제15자. 마얼혼이라고도 함.[36] 1663년 11월 29일 출생. 강희 16년, 세자. 강희 29년 2월, 도루이안군왕. 강희 40년 정월, 종인부 사무. 1679년 11월 11일 사망, 향년 47세, 시호는 각(慤). 종실 왕공의 시를 『진악집』으로 편찬.[59] 자녀 넷.
- ** 손자 화기: 1684년 11월 20일 출생. 어머니는 계복진(계실)·동가 씨: 내대신·동국강의 딸(동국위의 조카). 1710년 2월, 도루이안군왕. 1719년 9월 8일 사망, 향년 35세, 시호는 절(節). 자녀 둘. 안군왕의 작위는 그 후, 상속권이 부활되지 못했으나, 옹정 12년에 세습이 중단.[59][61]
증손: 불상.
* 현손 기곤: 건륭 43년, 아바타이, 요로의 공적을 평가하여 보국공에 책봉. 세습 부활.[61]
- * 딸: 제11녀. 1665년 2월 12일 출생. 1680년 10월,[46] 군주에 책봉. 사위는 산기시랑의 나라 씨 내격.
- * 경희: 제17자. 경희, 악희라고도 함. 1668년 3월 21일 출생. 1682년 정월, 도루이희군왕. 1700년 8월, 아버지 요로의 죄로 인해 진국공으로 강등, 작위 세습권도 박탈. 1715년 10월, 도통. 1716년 11월, 종인부 우종정. 1717년 8월 5일 몰, 향년 49세. 자녀 여섯.[61]
- * 온서: 제18자. 원단, 악단이라고도 함. 1671년 12월 21일 출생. 1684년 정월, 도루이근군왕. 1690년 2월, 구사이·베이세로 강등. 1698년 4월, 구사이·베이세 박탈. 1704년 3월 4일 몰, 향년 35세. 자는 겸산 또는 정문, 호는 홍란실 주인, 옥지생, 동풍거사, 장백 18랑(제18자에 기인) 등.[59] 시에 뛰어났다.[59] 자녀 하나.
- * 무이점: 제19자. 오이점, 오이점이라고도 함. 1672년 9월 23일 출생. 1723년 3월, 죄를 받아 자손과 함께 종적 박탈, 성경(현 랴오닝성선양시)에 유배. 1724년 정월 17일 몰, 향년 53세. 건륭 원년 3월, 아이신 교로의 혈맥임을 기록에 남기기 위해, 홍대자를 주고 옥첩의 말미에 추가. 자녀 둘.
- * 찬찰: 제20자. 1673년 2월 1일 출생. 1675년 4월 4일, 세 살에 요절.
3. 3. 측실 및 첩
부인 | 씨족 | 비고 | 자녀 |
---|---|---|---|
측실 부인 | 울라한 저르먼 씨족 | ||
측실 부인 | 우량하이 지얼모트 씨족 | ||
첩 | 유 씨족 | ||
첩 | 변 씨족 | ||
첩 | 저우 씨족 | ||
첩 | 보르진 씨족 | ||
첩 | 장 씨족 | ||
첩 | 나라 씨족 | ||
첩 | 잔 씨족 | ||
첩 | 유 씨족 | ||
첩 | 장 씨족 |
4. 눠니 설욕 소동
누르하치의 손자이자 다이샨의 증손자인 눠니는 요로의 종질손(사촌의 손자)에 해당하며, 요로가 군왕에서 친왕으로 승격되기 1년 전인 순치 13년(1656)에 드로이 베일러에 책봉되었다.[50] 그러나 강희 4년(1665)[51], 당시 종인부 좌종정이었던 요로(30세)가 하라친부 타이치 빌라쉬[52] (순치 3년에 사망)의 아내의 말만 믿고 공정성을 잃은 심판을 내린 탓에,[49] 눠니와 그의 어머니(도통 퉁양싱의 딸[51])는 억울한 누명을 쓰게 되었고, 눠니는 드로이 베일러 작위를 박탈당했다.[48]
빌라쉬의 아내는 위에투오의 둘째 딸로, 우라나라 씨아바이의 딸을 어머니로 두었으며, 현주에 책봉되어 있었다(강희 17년 사망). 위에투오는 다이샨의 아들로, 눠니의 할아버지에 해당한다. 눠니의 아버지 로로홍은 위에투오와 하다 마지막 국주 울구다이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빌라쉬의 아내와 눠니의 아버지 로로홍은 공통의 아버지 위에투오를 둔 이복 남매이다. 눠니의 적처는 이 현주인 숙모와 하라친부 타이치 빌라쉬 사이에 태어난 딸이었고, 눠니의 사촌 여동생에 해당한다.[53]
억울한 누명을 쓴 지 35년 후, 즉 요로가 죽은 지 11년이 지난 강희 39년(1700), 눠니는 종인부를 상대로 당시의 심판에 대한 불복을 제기했다. 강희 4년은 수크사하, 소닌, 오보이, 에빌룬 네 대신이 어린 황제의 섭정으로 국가를 운영하던 시대이다. 친정을 시작한 지 이미 30년 이상 지난 강희제는 사정을 듣고 눠니에게 무죄를 선고하고 드로이 베일러에 복위시키는 한편, 이미 사망했지만, 무고한 사람에게 누명을 씌워 명예를 훼손했다는 이유로 요로를 군왕으로 강등시켰다.[54]
강희제는 더 나아가 요로의 제17자 경희의 희군왕 작위와 제19자 무얼잔의 구사이 베이세 작위를 각각 박탈하고, 모두 진국공으로 강등시켰다. 제15자 말얼훈이 승습한 안군왕 작위와 제16자 새이부리의 보국장군 작위 및 부도통 직위, 팔자 새릉어의 아들 색헌도의 봉국장군 작위는 박탈을 면했다.[55]
5. 평가
자오얼쉰 등이 편찬한 청사고는 청나라의 역사를 기록한 사서이다. 악락에 대한 평가는 이 책에 기록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지만, 주어진 자료에는 청사고의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아, 악락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는 알 수 없다.
참조
[1]
Wikisource
Eminent Chinese of the Ch'ing Period/Yolo
https://en.m.wikisou[...]
[2]
웹사이트
The characteristics of Shunzhi harem, . China Cultural Center website
http://cn.cccweb.org[...]
[3]
웹사이트
(愛新覺羅)岳樂
https://newarchive.i[...]
中央研究院歷史語言研究所
2024-01-03
[4]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5]
위키백과
岳乐
https://zh.wikipedia[...]
[6]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7]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8]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9]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0]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1]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2]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3]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4]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6]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7]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8]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1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0]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1]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2]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3]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4]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6]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7]
서적
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8]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2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0]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1]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2]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3]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4]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불詳
[36]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7]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8]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3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0]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83
[41]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2]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3]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4]
서적
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6]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7]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8]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49]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0]
서적
世祖章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1]
서적
愛新覺羅宗譜
http://www.axjlzp.co[...]
不詳
[52]
문서
参考:『清史稿』巻229では「弼喇什」としている。
[53]
서적
愛新覺羅宗譜
http://www.axjlzp.co[...]
不詳
[54]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5]
서적
聖祖仁皇帝實錄
https://hanchi.ihp.s[...]
不詳
[56]
서적
《湯若望傳》
https://books.google[...]
東方出版社
2021-06-22
[57]
문서
注意:「明(朝)(皇)太子」の意。「[[めんたいこ]]」に非ず。
[58]
서적
清史稿
https://zh.wikisourc[...]
清史館
[59]
간행물
清代满人的姓与名
[60]
문서
参考:『愛新覺羅宗譜』によればヨロの一人目の嫡妻・ボルジギン氏は順治12年に三人目の子が生後間も無く夭逝して以降、分娩記録がない。二人目・ナラ氏にはそもそも子がない。三人目の嫡妻・ヘシェリ氏が康熙元年に一人目を分娩している為、順治末年か遅くとも康熙元年には、一人目と二人目の嫡妻がともに死去し、ヘシェリ氏が継妻となっていたものと思われる。尚、『聖祖仁皇帝實錄』卷235 (康熙47年10月4日/段21379) に「其妃係索額圖之妹、世祖皇帝時記名之女子。其子・馬爾渾、景熙、吳爾占等、俱係允禩妻之母舅。」とあることから、ヘシェリ氏は元々順治帝のお妃候補の一人であった。
[61]
서적
嘯亭雜錄
https://zh.wikisourc[...]
不詳
[62]
문서
参考:『八旗滿洲氏族通譜』巻68に「'''烏亮海'''係隸滿洲旗分之[[蒙古]]一姓。其氏族世居[[ハラチン|喀拉沁]]ハラチン及兀魯特地方」という記載がみえる。「烏梁海」や「兀良哈」などと表記される蒙古種[[ウリャンカイ]]との関聯は不明。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