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장왕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장왕은 고구려의 제22대 왕으로, 문자명왕의 뒤를 이어 즉위했다. 그는 중국 남북조 왕조와 외교 관계를 유지하며, 백제와 군사적 충돌을 겪었다. 520년에는 양나라로부터, 같은 해 북위로부터 책봉을 받았으며, 523년과 529년에는 백제를 공격하여 승리했다. 안장왕은 531년에 사망했으며, 일본서기에는 암살되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31년 사망 - 카바드 1세
    카바드 1세는 488년부터 496년, 498/9년부터 531년까지 사산 왕조 페르시아를 통치한 왕으로, 혼란스러운 제국을 물려받아 마즈다크교를 지지하며 사회 개혁을 시도하고 동로마 제국과의 전쟁을 통해 영토를 확장하는 등 사산 왕조의 재건에 힘썼다.
  • 531년 사망 - 게이타이 천황
    게이타이 천황은 일본의 26대 천황으로, 《고사기》와 《일본서기》의 기록에 차이가 있으며, 부레쓰 천황 사후 호족들의 추대로 즉위하여 야마토 왕권 강화와 대외 관계에 힘썼고 그의 혈통이 이후 천황 계보로 이어진다고 전해진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장수왕
    장수왕은 광개토왕의 맏아들로 즉위 후 연호를 사용하고 광개토대왕릉비 등을 건립하여 고구려의 위상을 드높였으며, 평양으로 천도하여 남진 정책을 추진하고 백제를 공격하여 한반도 중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하다가 97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 고구려의 불교도 - 영류왕
    영류왕은 고구려의 27대 왕으로 당나라와의 우호 관계를 유지하려 했으나, 연개소문의 쿠데타로 살해당하며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왕이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법왕
    법왕은 백제의 제29대 왕으로, 혜왕 또는 위덕왕의 아들이며, 재위 기간 동안 불교를 숭상하고 미륵사 건립을 추진했으며 백성들에게 고기잡이와 사냥을 금지하는 정책을 펼쳤다.
  • 6세기 한국의 군주 - 동성왕
    동성왕은 백제 제22대 왕으로 왕권 강화, 활발한 외교, 탐라 정벌 등 국력 신장에 기여했으나 말년의 폭정으로 암살당했으며, 무령왕과의 관계는 기록이 엇갈려 논쟁거리가 된다.
안장왕
기본 정보
고구려 군주 (19-24대)
고구려 군주 (19-24대)
흥안(興安), 안(安)
시호안장(安藏)
종교불교
신상 정보
출생일498년 1월 이전 (음력)
사망일531년 5월 (음력)
부친문자명왕
모친미상
배우자미상
자녀복귀군
능묘미상
왕위 정보
작위제22대 고구려 국왕
재위 시작519년
재위 종료531년 5월 (음력)
이전 국왕문자명왕
다음 국왕안원왕
태자 정보
작위고구려 태자
책봉498년 1월 (음력)
이전 태자태자 거련(장수왕)
다음 태자태자 평성(양원왕)

2. 생애

문자명왕의 뒤를 이어 왕위에 올랐다. 재위 기간 동안 중국남북조 왕조들과 외교 관계를 이어갔으며, 520년에는 남조의 양(梁)과 북조북위(北魏) 양측으로부터 책봉을 받았다.

남쪽의 백제에 대해서는 공세적인 태도를 취하여, 재위 5년인 523년과 재위 11년인 529년에 군사를 보내 백제를 공격하였다. 특히 529년 오곡(五谷) 전투에서는 백제군을 크게 물리치고 2,000여 명을 사로잡거나 목을 베는 전과를 올렸다.

삼국사기 기록에 따르면 재위 13년인 531년 음력 5월에 사망하였다고 하나, 일본서기에는 시해되었다는 기록이 남아 있어 그의 죽음을 둘러싼 다른 해석의 여지를 남긴다.

한편, 안장왕이 태자 시절 백제와의 전쟁 준비를 위한 정보 수집차 백제에 들어갔을 때 만난 한주(韓珠)라는 여인과의 사랑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15] 또한 일본서기 등 일본 측 기록에는 안장왕의 아들 복귀군(福貴君)이 일본으로 망명하여 고마씨(狛氏)의 선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전해진다.

2. 1. 치세

선대 문자명왕의 뒤를 이어 중국남북조 왕조들과 외교 관계를 지속했다. 520년 2월에는 남조의 양(梁)으로부터 영동장군 도독영평이주제군사 고구려왕(寧東將軍 都督営平二州諸軍事 高句麗王)으로 책봉받았다. 그러나 이때 양나라가 파견한 책봉사 강법성(江法盛)이 해상에서 북위 군에게 붙잡혀 낙양으로 보내지는 일이 있었다. 같은 해 9월에는 북위(北魏)로부터 안동장군 영호동이교위 요동군개국공 고구려왕(安東將軍 領護東夷校尉 遼東郡開國公 高句麗王)으로 책봉받으며, 남북조 양쪽으로부터 여전히 높은 위상을 인정받았다.[2][4]

남쪽으로는 백제, 신라와의 관계 속에서 균형을 잡으려 했으며, 특히 백제에 대해서는 공세적인 입장을 취했다. 재위 5년인 523년 음력 8월 군사를 보내 백제를 침공했으며,[5] 재위 11년인 529년 음력 10월에는 오곡(五谷, 현 황해북도 서흥군)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백제군을 크게 격파하고 2,000여 명을 사로잡거나 목을 베었다.[6]

삼국사기에 따르면 안장왕은 재위 13년인 531년 음력 5월에 사망했다. 그러나 그의 죽음에 대해서는 다른 기록들이 존재한다. 중국의 양서(梁書)에는 보통 7년인 526년에 사망하고 아들 연(延)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7] 삼국사기는 이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본다. (삼국사기는 다음 왕인 안원왕의 휘가 보연(宝延)이며 안장왕의 동생이라고 기록했다.)[11] 한편,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는 백제본기를 인용하여 안장왕이 내분 혹은 피비린내 나는 혼란 속에서 시해당했다고 기록하고 있어,[8][12] 그의 통치 말년이 불안정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9][10] 이러한 혼란은 그의 동생 안원왕의 통치 말년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고구려 귀족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2][11] 안장왕의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있지 않다.

한편, 안장왕이 태자 시절 백제와의 전쟁 준비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러 백제에 잠입했을 때 만난 한주(韓珠)라는 여인과의 사랑 이야기가 전해진다.[15] 또한 일본서기신찬성씨록, 일본 고마씨(狛氏) 족보 등에는 안장왕에게 복귀군(福貴君)이라는 아들이 있었으며, 그가 일본으로 망명하여 고마 씨의 선조가 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2. 2. 백제와의 관계

재위 5년인 523년 음력 8월에 군사를 동원하여 백제를 침공하였다.[5] 이후 재위 11년인 529년 음력 10월에는 다시 백제를 공격하여 오곡(황해북도 서흥군)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였으며, 이 전투에서 백제군 2,0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6]

한편, 안장왕이 태자였던 시절, 백제와의 전쟁 준비를 위해 정보를 수집하고자 백제에 잠입했을 때 만난 한주(韓珠)라는 여인과의 사랑 이야기가 전해지기도 한다.[15]

2. 3. 최후

531년 음력 5월에 사망하였다. 시호는 안장왕(安臧王)이다.[12]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안장왕의 사망 시기에 대해서는 기록이 다소 엇갈린다. 중국의 역사서인 양서에는 보통 7년인 526년에 안장왕이 죽고 아들 연(延)이 뒤를 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7] 하지만 삼국사기는 이 양서의 기록이 잘못되었다고 지적한다. 삼국사기는 안장왕의 뒤를 이은 안원왕이 안장왕의 동생이며 이름은 보연(寶延)이라고 기록하고 있어, 양서가 '연'을 아들이라고 한 점과 사망 시점 모두 삼국사기 기록과 차이가 있다.

한편, 일본의 역사서인 일본서기백제의 기록인 백제본기를 인용하여 안장왕이 531년에 사망했다고 기록하면서, 그가 피비린내 나는 혼란 속에서 시해(弑害)당했다고 전한다.[8][12] 이는 그의 통치 말년이 상당히 불안정했음을 보여준다.[9][10] 이러한 혼란은 그의 뒤를 이은 동생 안원왕의 통치 말년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당시 고구려 귀족들 사이에서 왕위 계승을 둘러싼 갈등이 이미 심화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된다.[2][11]

3. 가족 관계


  • '''할아버지''' : 조다(助多)
  • '''아버지''' : 문자명왕(文咨明王, ?~519) - 제21대 국왕
  • '''어머니''' : 미상
  • '''왕비''' : 미상[16]
  • * '''아들''' : 복귀군(福貴君) -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에만 기록된 인물로, 일본 여인과 결혼하여 아들 고부련(高夫連)을 낳았다고 전해진다.
  • ** '''손자''' : 고부련(高夫連)

4. 안장왕이 등장한 작품

5. 연표

안장왕원년2년3년4년5년6년7년8년9년10년11년12년13년
서력519년520년521년522년523년524년525년526년527년528년529년530년531년
단기2852년2853년2854년2855년2856년2857년2858년2859년2860년2861년2862년2863년2864년
간지기해경자신축임인계묘갑진을사병오정미무신기유경술신해


  • '''519년''': 왕위에 올랐다.
  • '''520년''': 선대 문자명왕에 이어 위진남북조 시대 중국의 남북조와 모두 외교 관계를 유지하는 양면 외교 정책을 지속했다.[2][4]
  • * 2월: 양으로부터 '녕동장군·도독영평이주제군사·고구려왕'으로 책봉되었다. 그러나 양에서 파견한 책봉사 강법성이 해상에서 북위 병사에게 붙잡혀 낙양으로 압송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 * 9월: 북위로부터 '안동장군·령호동이교위·요동군개국공·고구려왕'으로 책봉되었다. 이를 통해 고구려는 남북조 양쪽으로부터 높은 위상을 인정받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523년''': 백제를 공격했다.[5]
  • '''526년''': 중국 역사서 양서에는 안장왕이 이 해(보통 7년)에 사망하고 아들 연(延)이 왕위를 계승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삼국사기는 이 기록을 오류로 보고 있으며[7], 실제 사망 시기는 531년으로 추정된다.
  • '''529년''': 다시 백제를 공격하여 오곡(황해북도 서흥군) 전투에서 크게 승리하고, 2,000여 명의 백제군 목을 베었다.[6]
  • '''531년''' 5월: 사망하여 '안장왕'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매장지에 대한 기록은 없다.
  • *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기록이 엇갈린다. 일본 역사서 일본서기백제본기를 인용하여 안장왕이 피비린내 나는 혼란 속에서 살해되었다고 기록하고 있다.[8][12] 이는 그의 통치 말년이 불안정했음을 시사하며[9][10], 이러한 혼란은 그의 동생이자 후계자인 안원왕 통치 말년에도 이어져 당시 고구려 귀족 간 왕위 계승 갈등이 심화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2][11] 반면, 삼국사기에는 사망 원인에 대한 자세한 언급이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King Anjang https://web.archive.[...] Korean Broadcasting System 2015-06-15
[2] 서적 The history of Goguryeo (고구려의 역사) https://books.google[...] Kimyŏngsa 2005
[3] 웹사이트 Samguk Sagi http://db.history.go[...]
[4] 서적 The International Relations of Korea as a Small State 1990
[5] 서적 Samguk sagi 1145
[6] 서적 Samguk sagi 1145
[7] 서적 梁書 (Book of Liang)
[8] 서적 日本書紀 (Nihon Shoki)
[9] 서적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0] 서적 The methodology of Goguryeo's division ruling https://books.google[...] Mosinŭn Saramdŭl 2005
[11] 서적 https://books.google[...] 2014
[12] 서적 日本書紀 (Nihon Shoki)
[13] 문서 일본서기와 신찬성씨록
[14] 문서 위서, 양서, 일본서기
[15] 웹사이트 안장왕과 한주 미녀의 사랑 이야기 https://terms.naver.[...]
[16] 문서 조선상고사에 기록된 안장왕과 한주(韓珠)의 이야기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