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는 세포막 단백질로,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균형을 조절하는 효소이다. ACE2는 안지오텐신 II를 혈관 확장제인 안지오텐신(1-7)로 분해하여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SARS-CoV, SARS-CoV-2 등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주요 지점으로 작용한다. 재조합 인간 ACE2(rhACE2)는 급성 폐 손상 및 COVID-19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ACE 억제제, 흡연, 당뇨병, 고혈압 등이 ACE2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T세포 수용체
    T세포 수용체(TCR)는 T 세포 표면의 이량체 단백질 복합체로, MHC 분자에 결합된 펩타이드를 인식하며, CD3 분자와 복합체를 이루어 신호 전달을 매개하고, V(D)J 재조합을 통해 다양한 항원 특이성을 갖는 T 세포 생성에 기여하여, CAR-T 치료 등 면역 요법 발전에 기여했다.
  • 단일 통과 막단백질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는 면역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전자 집합체로, 항원 제시, 자가면역 반응 조절, 이식 거부 반응 등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에 관여하며, 클래스 I, II, III로 구분된다.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
일반 정보
유전자 기호ACE2
설명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2
외부 데이터베이스NCBI
상세 정보
발견 연도2000년
기능안지오텐신 I과 안지오텐신 II에 작용하는 엑소펩티데이스 효소
역할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1-7)로 전환하여 심혈관계에 영향을 미침
조직 분포인간 조직에서 ACE2 단백질 발현
기질안지오텐신 I
안지오텐신 II
피르-아펠린-13
아펠린-17
관련 질병심부전
심방세동
상호 작용SARS-CoV 수용체로 작용
조절종양 괴사 인자-α 전환 효소 (ADAM17)에 의해 조절됨
치료 표적심부전 치료 표적으로 연구됨

2. 구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는 전체 구조의 약 62%를 차지하는 20개의 알파나선 분절과 9개의 310나선, 그리고 약 3.5%의 지분을 가진 6개의 짧은 베타병풍을 포함한다.[86] 인간 ACE2의 세포외 부분은 아연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과 C 말단 콜렉트린 상동성 도메인의 두 단백질 도메인으로 구성된다.[86] 아연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은 다시 두 개의 하위 도메인(I, II)으로 나뉘며, 그 사이에 활성자리가 위치한다.[86] 하위 도메인 I은 N 말단과 아연 이온을, 하위 도메인 II는 C 말단을 포함하며, 두 하위 도메인은 알파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86]

활성자리의 아연 이온은 아미노산 잔기 His374, His378, Glu402 및 물 분자 하나와 함께 배위 결합되어 „HEXXH + E“ 모티프 (H = 히스티딘, E = 글루탐산, X = 임의의 아미노산)를 구성한다.[86] 염화 이온은 아미노산 잔기 Arg169, Trp477, Lys481에 의해 하위 도메인 II 부분에서 배위 결합된다.[86]

막 결합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2(mACE2)는 아연을 함유한 금속 효소로, 장 상피 세포, 신장 세관 세포 및 기타 세포 표면에 위치한다.[2][13] mACE2 단백질은 N-말단 펩티데이스 M2 도메인과 C-말단 콜렉트린 신장 아미노산 수송체 도메인을 포함한다.[5]

mACE2는 단일 통과 I형 막 단백질로, 효소 활성 단백질 도메인이 장 및 기타 조직의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2][3] mACE2의 세포외 도메인은 단백질 분해를 통해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는데, 이는 RAAS의 보호 단계에서 ADAM17이라는 셰다제 효소 계열의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분해된 단백질은 가용성 ACE2 (sACE2)로 혈류로 방출되며, sACE2는 과도한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전환하여 MasR 수용체에 결합, 국소 혈관 확장을 생성하고 혈압을 낮춘다. 과도한 sACE2는 소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14][15]

2. 1. 상세 구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는 전체 구조의 약 62%를 차지하는 20개의 알파나선 분절과 9개의 310나선, 그리고 약 3.5%의 지분을 가진 6개의 짧은 베타병풍을 포함한다.[86] 인간 ACE2의 세포외 부분은 아연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과 C 말단 콜렉트린 상동성 도메인의 두 단백질 도메인으로 구성된다.[86] 아연 메탈로펩티다제 도메인은 다시 두 개의 하위 도메인(I, II)으로 나뉘며, 그 사이에 활성자리가 위치한다.[86] 하위 도메인 I은 N 말단과 아연 이온을, 하위 도메인 II는 C 말단을 포함하며, 두 하위 도메인은 알파나선으로 연결되어 있다.[86]

활성자리의 아연 이온은 아미노산 잔기 His374, His378, Glu402 및 물 분자 하나와 함께 배위 결합되어 „HEXXH + E“ 모티프 (H = 히스티딘, E = 글루탐산, X = 임의의 아미노산)를 구성한다.[86] 염화 이온은 아미노산 잔기 Arg169, Trp477, Lys481에 의해 하위 도메인 II 부분에서 배위 결합된다.[86]

막 결합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2(mACE2)는 아연을 함유한 금속 효소로, 장 상피 세포, 신장 세관 세포 및 기타 세포 표면에 위치한다.[2][13] mACE2 단백질은 N-말단 펩티데이스 M2 도메인과 C-말단 콜렉트린 신장 아미노산 수송체 도메인을 포함한다.[5]

mACE2는 단일 통과 I형 막 단백질로, 효소 활성 단백질 도메인이 장 및 기타 조직의 세포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2][3] mACE2의 세포외 도메인은 단백질 분해를 통해 막횡단 도메인으로부터 분해될 수 있는데, 이는 RAAS의 보호 단계에서 ADAM17이라는 셰다제 효소 계열의 구성원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분해된 단백질은 가용성 ACE2 (sACE2)로 혈류로 방출되며, sACE2는 과도한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전환하여 MasR 수용체에 결합, 국소 혈관 확장을 생성하고 혈압을 낮춘다. 과도한 sACE2는 소변으로 배설될 수 있다.[14][15]

3. 생리학적 기능

가용성 ACE2(sACE2)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 보호 단계의 일부로서,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한다.[18][19] ACE는 안지오텐신 I 호르몬을 혈관 수축을 일으키는 안지오텐신 II로 절단하며, 이는 신체의 유해한 RAAS 단계의 일부인 일련의 호르몬 반응을 일으켜 궁극적으로 신체의 혈압을 상승시킨다. ACE2는 ACE와 반대 효과를 가지며,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분해하여 혈압을 낮춘다.[18][19]

sACE2는 안지오텐신 II(Asp-Arg-Val-Tyr-Ile-His-Pro-Phe)에서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산 페닐알라닌을 절단하여 혈관 확장제인 안지오텐신 (1-7)(H-Asp-Arg-Val-Tyr-Ile-His-Pro-OH)로 가수분해하며, 이는 Mas 수용체에 결합하여 궁극적으로 혈압을 감소시킨다.[20][5] sACE2는 또한 [des-Arg9]-브래디키닌, 아펠린, 뉴로텐신, 디노르핀 A, 그리고 그렐린을 포함한 수많은 펩타이드를 절단할 수 있다.[5]

mACE2는 또한 중성 아미노산 수송체 SLC6A19의 막 수송을 조절하며, 하트냅병과 관련이 있다.[21][22][23]

생쥐 연구에 따르면 ACE2 (막 결합형인지 가용성인지 불분명함)가 혈당 조절에 관여하지만, 그 기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24][25]

ACE2는 ACE와 구조가 유사하지만 별개의 효소이며, ACE2는 주로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1-7)으로 전환하여 혈압 상승을 유발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를 억제한다[69]. ACE2는 패혈증 등과 같은 폐 손상으로부터 보호 작용을 한다[70]. 또한 ACE2는 소장 상피에서 B0AT1과 결합하여, 트립토판을 흡수하는 중성 아미노산 수송체로 작용하며, 이를 통해 항균 펩타이드가 발현되는 것으로 여겨진다[71]. ACE2 녹아웃 마우스는 장염을 유발하지만, 트립토판 또는 니코틴아미드 섭취를 통해 이러한 장염을 완화할 수 있다[71].

또한 ACE2에서 생성되는 안지오텐신-(1-7)은 심근 경색 모델 쥐 실험에서 심장 보호 작용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72]. 그러나 안지오텐신-(1-7) 투여는 좌심실 수축 능력이 악화되었다[72] (좌심실 기능 저하의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ACS)에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ARB)가 유효하다고 여겨진다[73]).

ACE2는 십이지장, 소장, 담낭, 신장, 고환에서 높게 발현되며, 부신, 결장, 직장, 정낭에서 낮게 발현된다[74].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ACE 억제제)에 의해 억제되지 않는다[69]. ACE2 활성제로는 올메사르탄이 존재한다[69].

3. 1. 심혈관계 보호

안지오텐신 II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주요 작용 물질로, 주로 안지오텐신 II 1형 수용체(AT1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성장, 증식, 이동을 유발한다.[87] 이 과정은 조절이 잘못될 경우 심장과 혈관 구조 변화에 영향을 주어 여러 심혈관계 질환의 원인이 된다.[87] 효소인 ACE2와 그 생성물인 안지오텐신(1-7) 및 안지오텐신(1-9)는 RAAS의 역조절 축을 형성하여 안지오텐신(1-7)이 Mas 수용체와 결합해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의 효과를 억제함으로써 심혈관계를 보호한다.[87]

안지오텐신(1-9)는 심장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 2형 수용체(AT2 수용체)와 결합하여 콜라겐 합성을 줄이고 심장 섬유화를 억제하며, 로키나제(Rho-Kinase) 활동성을 감소시켜 심장 비대를 억제한다.[87] 혈관에서는 일산화질소 농도 상승이나 BK2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혈관 확장을 유도한다.[87]

가용성 ACE2(s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한다.[18][19] ACE는 안지오텐신 I을 혈관 수축을 일으키는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반면, ACE2는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분해하여 혈압을 낮춘다.[18][19][20][5] sACE2는 또한 [des-Arg9]-브래디키닌, 아펠린, 뉴로텐신, 디노르핀 A, 그렐린 등 다양한 펩타이드를 절단할 수 있다.[5]

3. 2. 기타 기능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와 반대로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분해하여 혈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18][19][20][5] sACE2는 [des-Arg9]-브래디키닌, 아펠린, 뉴로텐신, 디노르핀 A, 그렐린 등 다양한 펩타이드를 절단할 수 있다.[5]

mACE2는 중성 아미노산 수송체 SLC6A19의 막 수송을 조절하며, 이는 하트냅병과 관련이 있다.[21][22][23] 또한, 생쥐 연구에서 ACE2가 혈당 조절에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만, 정확한 기전은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24][25]

ACE2는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1-7)으로 전환하여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를 억제함으로써 혈압 상승을 막는다.[69] 또한 패혈증과 같은 폐 손상으로부터 보호 작용을 한다.[70] 소장 상피에서는 B0AT1과 결합하여 트립토판 흡수를 돕고, 항균 펩타이드 발현에 영향을 미친다.[71] ACE2 녹아웃 마우스는 장염을 유발하지만, 트립토판 또는 니코틴아미드 섭취를 통해 완화할 수 있다.[71]

안지오텐신-(1-7)은 심근 경색 모델 쥐 실험에서 심장 보호 작용을 보였으나,[72] 좌심실 수축 능력을 악화시키기도 한다.[72] 급성 관상 동맥 증후군 (ACS)에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ACE 억제제) 및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길항제 (ARB)가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73]

ACE2는 십이지장, 소장, 담낭, 신장, 고환에서 높게 발현되며, 부신, 결장, 직장, 정낭에서 낮게 발현된다.[74]

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 억제제 (ACE 억제제)에 의해 억제되지 않으며,[69] 올메사르탄이 ACE2 활성제로 알려져 있다.[69]

3. 3. 작용 기전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는 펩타이드 결합의 C-말단 부분에서 아연 이온의 도움을 받아 가수분해 반응을 촉매하는 효소이다.[86] 옥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II를 기질로 사용하면 헵타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1-7)과 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이 생성되고, 데카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 I을 기질로 사용하면 노나펩타이드인 안지오텐신(1-9)와 아미노산 류신이 생성된다.[86]

링크


반응 과정은 먼저 효소-기질 복합체 ('''1''')가 형성되고, 사면체형 중간체 ('''2''')로 전환된다.[86] 이 과정에서 아연과 결합한 물 분자가 펩타이드의 카보닐기에 친핵성 치환을 일으키며, 물 분자에서 아미노산 잔기 Glu375로 양성자가 이동하고, His505의 양성자는 분리될 질소 원자로 이동한다.[86] 이후 사면체형 중간체가 붕괴하며 펩타이드 결합이 절단되고 ('''3'''), Glu375의 양성자가 분리된 아미노산으로 이동한다 ('''4''').[86] 마지막으로 양성자가 용매와의 교환을 통해 올리고펩타이드의 카보닐기에서 His505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이동하여 생성물이 방출된다.('''5''')[86]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의 보호 단계에서, 가용성 ACE2(sACE2)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ACE)에 대한 균형추 역할을 한다.[18][19] ACE는 안지오텐신 I을 혈관 수축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II로 전환시켜 혈압을 상승시키는 반면, ACE2는 안지오텐신 II를 안지오텐신 (1-7)로 분해하여 혈압을 낮춘다.[18][19] sACE2는 안지오텐신 II(Asp-Arg-Val-Tyr-Ile-His-Pro-Phe)에서 카르복시 말단 아미노산 페닐알라닌을 절단하여 혈관 확장제인 안지오텐신 (1-7)(H-Asp-Arg-Val-Tyr-Ile-His-Pro-OH)로 가수분해하고, 이는 Mas 수용체에 결합하여 혈압 감소를 유도한다.[20][5] sACE2는 [des-Arg9]-브래디키닌, 아펠린, 뉴로텐신, 디노르핀 A, 그렐린 등 다양한 펩타이드도 절단할 수 있다.[5]

한편, 막 결합형 ACE2(mACE2)는 중성 아미노산 수송체 SLC6A19의 막 수송을 조절하며, 하트냅병과 관련이 있다.[21][22][23] 생쥐 연구에서는 ACE2가 혈당 조절에 관여하지만, 그 기전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24][25]

4. 코로나바이러스 수용체

세포막 단백질인 mACE2는 HCoV-NL63[1], SARS-CoV (SARS를 유발하는 바이러스)[26][27][28]SARS-CoV-2[29] (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30][31][32][33][34]를 포함한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주요 지점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SARS-CoV 및 SARS-CoV-2의 스파이크 S1 단백질이 세포 표면의 mACE2의 효소 도메인에 결합하면 바이러스와 효소 모두 세포 내부에 위치한 내소체로의 내세포 작용 및 단백질 이동이 발생한다.[35][36]

바이러스 표면에 위치한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은 인간 세포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부착된다.[34] ACE2는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침투하여 감염될 수 있도록 하는 세포 표면 수용체이므로 필수적이다. SARS-CoV-2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는 ACE2에 연결되어 세포 내 바이러스 침투 및 증식을 가능하게 한다.[34]

mACE2 수용체를 통해 SARS-CoV-2 바이러스가 심장 조직에 존재하면 직접적인 바이러스 손상으로 이어져 심근염을 유발할 수 있다. SARS 유행 중 수행된 연구에서, SARS로 사망한 환자의 35%의 심장 표본 부검에서 SARS 바이러스 RNA가 확인되었다.[38]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mACE2의 상호 작용은 단백질의 내재화 및 분해를 통해 세포 내 mACE2 수준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폐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42][43] 반면, sACE2는 혈관 확장제 안지오텐신 1–7의 생성을 증가시켜 바이러스 유발 폐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2]

## SARS-CoV

SARS-CoV는 바이러스 외피의 돌기단백질을 이용하여 인간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 효소에 결합한다.[88] ACE2-바이러스 복합체는 엔도솜으로 운반된 후 엔도펩티다제 카텝신 L에 의해 분해되어[89] 바이러스가 세포내이입을 통해 세포 내로 들어온다.[90] 또한, 돌기단백질을 TMPRSS2로 활성화시킨 후 막 융합을 통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들어가는 방법도 존재한다.[91]

SARS-CoV의 돌기단백질은 두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S1 서브유닛은 ACE2와 결합하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을 포함한다. RBD가 ACE2와 결합하면 S2 서브유닛의 형태가 변화하여 바이러스 외피와 세포막의 융합이 용이해진다.[92] RBD의 아미노산 잔기 424-494는 수용체 결합 모티프를 형성하며, 이 중 14개 잔기는 ACE2 인식에 관여하는 티로신 잔기이고, 여러 시스테인 잔기는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통해 같은 역할을 한다. RBD의 Asn479와 Thr487는 사스의 질병과정과 SARS-CoV 향성(tropism)에 영향을 미친다.[93][94]

흰코사향고양이에 의한 SARS-CoV 인수공통감염에서 RBD의 479번 위치는 라이신 잔기인데, 이는 ACE2의 N-말단 나선과의 입체장애 및 정전기적 간섭을 유발한다. Lys479→Asn479 점 돌연변이는 N-말단 나선과의 방해를 줄이고, RBD와 ACE2 사이의 친화도를 높여 인수공통감염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환경에서 형성된 인간 ACE2의 Lys31과 Glu35 사이의 이온 결합은 결합에너지를 방출하여 바이러스와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Thr487은 Lys353의 곁사슬이 Asp38과 염다리를 형성하도록 돕고, 이는 RBD와 ACE2 사이의 친화도를 높여 인간 간 전파에 영향을 줄 수 있다.[84][95][96]

## SARS-CoV-2 (COVID-19)

SARS-CoV-2 감염은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이 ACE2와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세린 프로테아제인 TMPRSS2의 조력이 필요하다.[97] SARS-CoV-2는 주로 폐포세포에 침입하며 이로 인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한다.

ACE2와 그 생성물인 안지오텐신(1-7) 및 안지오텐신(1-9)에 의해 형성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 역조절 축은 심혈관계 질환을 방비하는 효과가 있다.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 수용체 차단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의 레벨을 낮추어 역조절 축을 활성화할 수 있는데, 이는 ACE2 레벨의 상승으로 인해 평형이 역조절 축 쪽으로 이동하여 항염증, 항산화 효과에 의해 심장과 폐를 보호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98] 그 외에도 ACE2를 통한 SARS-CoV-2 감염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T1수용체 축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이토카인 방출에 의해 염증을 강화시키며, 따라서 인터루킨 6-STAT3 축을 통한 치료 타겟이 될 수가 있다.[99]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 억제제를 통한 치료는 감염의 규모와 상관이 있으며,[100] 이들은 ACE2 레벨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 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투여받은 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쥐들보다 ACE2-전령 RNA 레벨이 높았다.[101] 캡토프릴을 통한 치료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에 시달리는 쥐 체내의 ACE2 발현을 크게 늘릴 수 있다.[102]

COVID-19 치료를 위해 RAAS 억제제와 스타틴을 통해 ACE2를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는 임상적 우려가 있다.[109][110][111]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고혈압을 가진 COVID-19 환자에서 ACE 억제제 또는 ARB 치료 중단을 옹호하거나 반대해 왔다.[49] 그러나 여러 전문 학회 및 규제 기관은 표준 ACE 억제제 및 ARB 요법을 지속할 것을 권장했다.[50][51][52] 2020년 4월 중국 후베이성에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ACE 억제제 또는 ARB를 복용한 고혈압 환자의 사망률은 3.7%로 나타났다.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고혈압 입원 환자의 사망률은 9.8%로, ACE 억제제와 ARB가 해롭지 않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48]

혈장 ACE2 수치는 입원 환자의 COVID-19 결과를 예측하며, 혈장 수치가 높을수록 질병 결과가 악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53]

SARS-CoV-2 침투 수용체로서의 역할을 고려할 때, ACE2의 개체 간 변이가 COVID-19에 대한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54][55]

4. 1. SARS-CoV

SARS-CoV는 바이러스 외피의 돌기단백질을 이용하여 인간의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CE2) 효소에 결합한다.[88] ACE2-바이러스 복합체는 엔도솜으로 운반된 후 엔도펩티다제 카텝신 L에 의해 분해되어[89] 바이러스가 세포내이입을 통해 세포 내로 들어온다.[90] 또한, 돌기단백질을 TMPRSS2로 활성화시킨 후 막 융합을 통해 바이러스가 세포 내로 들어가는 방법도 존재한다.[91]

SARS-CoV의 돌기단백질은 두개의 서브유닛으로 구성되며, S1 서브유닛은 ACE2와 결합하는 수용체 결합 도메인(RBD)을 포함한다. RBD가 ACE2와 결합하면 S2 서브유닛의 형태가 변화하여 바이러스 외피와 세포막의 융합이 용이해진다.[92] RBD의 아미노산 잔기 424-494는 수용체 결합 모티프를 형성하며, 이 중 14개 잔기는 ACE2 인식에 관여하는 티로신 잔기이고, 여러 시스테인 잔기는 다이설파이드 결합을 통해 같은 역할을 한다. RBD의 Asn479와 Thr487는 사스의 질병과정과 SARS-CoV 향성(tropism)에 영향을 미친다.[93][94]

흰코사향고양이에 의한 SARS-CoV 인수공통감염에서 RBD의 479번 위치는 라이신 잔기인데, 이는 ACE2의 N-말단 나선과의 입체장애 및 정전기적 간섭을 유발한다. Lys479→Asn479 점 돌연변이는 N-말단 나선과의 방해를 줄이고, RBD와 ACE2 사이의 친화도를 높여 인수공통감염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소수성 환경에서 형성된 인간 ACE2의 Lys31과 Glu35 사이의 이온 결합은 결합에너지를 방출하여 바이러스와 수용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한다. Thr487은 Lys353의 곁사슬이 Asp38과 염다리를 형성하도록 돕고, 이는 RBD와 ACE2 사이의 친화도를 높여 인간 간 전파에 영향을 줄 수 있다.[84][95][96]

세포막 단백질인 mACE2는 HCoV-NL63[1], SARS-CoV (SARS를 유발하는 바이러스)[26][27][28]SARS-CoV-2[29] (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30][31][32][33][34]를 포함한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주요 지점 역할을 한다. SARS-CoV 및 SARS-CoV-2의 스파이크 S1 단백질이 mACE2의 효소 도메인에 결합하면 바이러스와 효소 모두 내세포 작용 및 단백질 이동을 통해 세포 내부에 위치한 내소체로 들어간다.[35][36]

바이러스 표면의 스파이크 단백질의 RBD는 ACE2에 연결되어 세포 내 바이러스 침투 및 증식을 가능하게 한다.[34] SP-A 및 SP-D 잔기가 ACE2에 부착되면 스파이크 단백질과 ACE2 간의 상호 작용 강도가 감소할 수 있다.[34]

mACE2 수용체를 통해 SARS-CoV-2 바이러스가 심장 조직에 존재하면 직접적인 바이러스 손상으로 심근염을 유발할 수 있다. SARS로 사망한 환자의 35%의 심장 표본 부검에서 SARS 바이러스 RNA가 확인되었다.[38]

4. 2. SARS-CoV-2 (COVID-19)

SARS-CoV-2 감염은 바이러스의 돌기단백질이 ACE2와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에서 세린 프로테아제인 TMPRSS2의 조력이 필요하다.[97] SARS-CoV-2는 주로 폐포세포에 침입하며 이로 인해 호흡기 증상을 유발한다. 이 증상들은 심혈관계 질환을 가진 환자들에게서 더 위중하게 나타나는데, 이는 아마도 이들 체내의 ACE2의 발현이 건강한 사람들에 비해 높기 때문이다.[39] ACE2와 그 생성물인 안지오텐신(1-7) 및 안지오텐신(1-9)에 의해 형성되는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 역조절 축은 심혈관계 질환을 방비하는 효과가 있다. ACE 억제제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 수용체 차단제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의 레벨을 낮추어 역조절 축을 활성화할 수 있는데, 이는 ACE2 레벨의 상승으로 인해 평형이 역조절 축 쪽으로 이동하여 항염증, 항산화 효과에 의해 심장과 폐를 보호하는 결과를 낳기 때문이다.[98] 그 외에도 ACE2를 통한 SARS-CoV-2 감염은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2-AT1수용체 축을 따라 이루어지는 사이토카인 방출에 의해 염증을 강화시키며, 따라서 인터루킨 6-STAT3 축을 통한 치료 타겟이 될 수가 있다.[99]

세포막 단백질인 mACE2는 HCoV-NL63[1], SARS-CoV (SARS를 유발하는 바이러스)[26][27][28]SARS-CoV-2[29] (COVID-19를 유발하는 바이러스)[30][31][32][33][34]를 포함한 일부 코로나바이러스의 세포 침투 주요 지점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SARS-CoV 및 SARS-CoV-2의 스파이크 S1 단백질이 세포 표면의 mACE2의 효소 도메인에 결합하면 바이러스와 효소 모두 세포 내부에 위치한 내소체로의 내세포 작용 및 단백질 이동이 발생한다.[35][36] mACE2 수용체를 통해 SARS-CoV-2 바이러스가 심장 조직에 존재하면 직접적인 바이러스 손상으로 이어져 심근염을 유발할 수 있다. SARS 유행 중 수행된 연구에서, SARS로 사망한 환자의 35%의 심장 표본 부검에서 SARS 바이러스 RNA가 확인되었다.[38]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코로나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과 mACE2의 상호 작용은 단백질의 내재화 및 분해를 통해 세포 내 mACE2 수준을 감소시키고, 따라서 폐 손상에 기여할 수 있다.[42][43] 반면, sACE2는 혈관 확장제 안지오텐신 1–7의 생성을 증가시켜 바이러스 유발 폐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42]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계(RAAS) 억제제를 통한 치료는 감염의 규모와 상관이 있으며,[100] 이들은 ACE2 레벨에 각기 다른 영향을 준다. ACE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를 투여받은 쥐들은 위약을 투여받은 쥐들보다 ACE2-전령 RNA 레벨이 높았다.[101] 캡토프릴을 통한 치료는 급성호흡곤란증후군(ARDS)에 시달리는 쥐 체내의 ACE2 발현을 크게 늘릴 수 있다.[102]

COVID-19 치료를 위해 RAAS 억제제와 스타틴을 통해 ACE2를 조절하는 것에 대해서는 임상적 우려가 있다.[109][110][111] 결정적인 증거가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일부는 고혈압을 가진 COVID-19 환자에서 ACE 억제제 또는 ARB 치료 중단을 옹호하거나 반대해 왔다.[49] 그러나 여러 전문 학회 및 규제 기관은 표준 ACE 억제제 및 ARB 요법을 지속할 것을 권장했다.[50][51][52] 2020년 4월 중국 후베이성에서 입원한 환자에 대한 연구에서, ACE 억제제 또는 ARB를 복용한 고혈압 환자의 사망률은 3.7%로 나타났다.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지 않은 고혈압 입원 환자의 사망률은 9.8%로, ACE 억제제와 ARB가 해롭지 않고 코로나바이러스에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48]

혈장 ACE2 수치는 입원 환자의 COVID-19 결과를 예측하며, 혈장 수치가 높을수록 질병 결과가 악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다.[53]

SARS-CoV-2 침투 수용체로서의 역할을 고려할 때, ACE2의 개체 간 변이가 COVID-19에 대한 개인의 유전적 감수성에 기여할 수 있다는 가설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54][55]

5. 재조합 인간 ACE2 (rhACE2)

재조합 인간 ACE2(rhACE2)는 급성 폐 손상 치료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ARDS) 동물 모델에서 혈역학 및 산소 포화도를 개선하는 효과를 보였다.[62] 사람에서 rhACE2의 반감기는 약 10시간이며, 작용 시작 시간은 30분이고 효과 지속 시간은 24시간이다.[62] rhACE2는 고전적인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 억제제(RAS 억제제)에 대한 내성이 있거나 순환 안지오텐신 II가 증가된 질병을 가진 사람들에게 유망한 약물이 될 수 있다.[62]

임상 등급의 인간 재조합 가용성 ACE2(hrsACE2)는 시험관 내 연구에서 베로 세포로부터 SARS-CoV-2 회수를 1,000–5,000배 감소시켰다.[63] 이는 rhsACE2가 레닌-안지오텐신 시스템의 균형을 회복시킬 뿐만 아니라, 바이러스 감염을 직접적으로 늦춘다는 것을 시사한다.[63] ACE2 돌연변이는 SARS-CoV-2 Spike에 대해 훨씬 더 높은 친화성을 갖도록 설계되었으며 ''생체 외''에서 바이러스를 효과적으로 중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4] Spike에 나노몰 결합을 나타내는 ACE2 삼중 돌연변이체(sACE2.v2.4)는 인간 폐 세포주에서 의사 바이러스 세포 진입을 차단하고, ACE2 인간화 마우스 모델에서 SARS-CoV-2로 유도된 ARDS를 예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65]

rhACE2는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 (ARDS) 치료를 위한 임상 시험에서 평가되었다.[66] rhACE2는 중증 COVID-19에 대한 2상 임상 시험 중이다.[67]

6. ACE/ACE2 발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니코틴은 단기적으로 ACE의 발현 또는 활성을 증가시키는 반면, ACE2의 발현 또는 활성을 감소시켜[78] 혈압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흡연자 및 전 흡연자는 ACE2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79], 중심 수축기 혈압이 높다는 보고도 있다[80]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II 수용체 차단제, 스타틴 등은 ACE2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 질환 등은 ACE2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Gene: ACE2,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2 https://www.ncbi.nlm[...]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 2020-02-28
[2] 논문 The protein expression profile of ACE2 in human tissues 2020-07
[3] 논문 Tissue distribution of ACE2 protein, the functional receptor for SARS coronavirus. A first step in understanding SARS pathogenesis 2004-06
[4] 논문 A novel angiotensin-converting enzyme-related carboxypeptidase (ACE2) converts angiotensin I to angiotensin 1-9 2000-09
[5] 논문 Tumor Necrosis Factor-α Convertase (ADAM17) Mediates Regulated Ectodomain Shedding of the Severe-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SARS-CoV) Receptor, Angiotensin-converting Enzyme-2 (ACE2) 2005-08
[6] 논문 ACE2 of the heart: From angiotensin I to angiotensin (1-7) 2007-02
[7]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Metabolizes and Partially Inactivates Pyr-Apelin-13 and Apelin-17: Physiological Effects in the Cardiovascular System 2016-08
[8]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s a therapeutic target for heart failur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4-03
[9]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s a therapeutic target for heart failure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14-03
[10] 논문 Angiotensin II and angiotensin 1-7: which is their role in atrial fibrillation? http://openaccess.sg[...] Springer Science and Business Media LLC 2020-03
[11] 논문 SARS-CoV-2 Spike Protein Impairs Endothelial Function via Downregulation of ACE 2 2021-04
[12] 서적 Emerging and Reemerging Viral Pathogens: Fundamental and Basic Virology Aspects of Human, Animal and Plant Pathogens Elsevier 2019
[13] 서적 The Protective Arm of the Renin Angiotensin System (RAS): Functional Aspect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Academic Press 2015
[14] 논문 Tumor necrosis factor-alpha convertase (ADAM17) mediates regulated ectodomain shedding of the severe-acute respiratory syndrome-coronavirus (SARS-CoV) receptor, angiotensin-converting enzyme-2 (ACE2) 2005-08
[15] 논문 Angiotensin II induced proteolytic cleavage of myocardial ACE2 is mediated by TACE/ADAM-17: a positive feedback mechanism in the RAS 2014-01
[16] 웹사이트 ACE2 protein expression summary https://www.proteina[...] 2021-05-12
[17] 논문 Mechanisms of SARS-CoV-2 entry into cells 2022-01
[18] 논문 Regulation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 Potential Target to Prevent COVID-19? 2021
[19]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s a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for COVID-19: A review 2021-12
[20] 논문 Angiotensin-(1-7) is an endogenous ligand for the G protein-coupled receptor Mas 2003-07
[21] 논문 A protein complex in the brush-border membrane explains a Hartnup disorder allele 2008-08
[22] 논문 Molecular basis for the interaction of the mammalian amino acid transporters B0AT1 and B0AT3 with their ancillary protein collectrin 2015-10
[23] 논문 Structural basis for the recognition of SARS-CoV-2 by full-length human ACE2 2020-03
[24] 논문 Loss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leads to impaired glucose homeostasis in mice 2008
[25] 논문 The renin-angiotensin system: a target of and contributor to dyslipidemias, altered glucose homeostasis, and hypertension of the metabolic syndrome 2012-03
[26] 서적 Coronaviruses Springer New York
[27] 논문 Receptor recognition and cross-species infections of SARS coronavirus 2013-10
[28] 논문 A crucial role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 in SARS coronavirus-induced lung injury 2005-08
[29] 웹사이트 What are the official names of the disease and the virus that causes it? https://www.who.int/[...] World Health Organization 2020-02-22
[30] 논문 A pneumonia outbreak associated with a new coronavirus of probable bat origin 2020-03
[31] 논문 Evolution of the novel coronavirus from the ongoing Wuhan outbreak and modeling of its spike protein for risk of human transmission 2020-03
[32] 웹사이트 COVID-19 Vaccine Will Close in on the Spikes https://blogs.plos.o[...] Public Library of Science 2020-02-20
[33] 논문 ACE2/ADAM17/TMPRSS2 Interplay May Be the Main Risk Factor for COVID-19 2020
[34] 논문 Structural insights into ACE2 interactions and immune activation of SARS-CoV-2 and its variants: an in-silico study https://www.tandfonl[...] 2023-11-20
[35] 논문 SARS coronavirus entry into host cells through a novel clathrin- and caveolae-independent endocytic pathway 2008-02
[36] 논문 Physiological and molecular triggers for SARS-CoV membrane fusion and entry into host cells 2018-04-01
[37] 논문 Getting in on the action: New tools to see SARS-CoV-2 infect a cell 2023-03-01
[38] 논문 SARS-coronavirus modulation of myocardial ACE2 expression and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SARS 2009-07-01
[39] 논문 Myocarditis associated with Covid-19 disease: A systematic review of published case reports and case series 2021-11-01
[40] 논문 COVID-19 and the Heart 2020-05-01
[41] 웹사이트 Understanding Glycans in COVID-19 Drug Design https://www.genengne[...] 2020-05-18
[42] 논문 The discovery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nd its role in acute lung injury in mice 2008-05-01
[43] 논문 Pulmonary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and Inflammatory Lung Disease 2016-09-01
[44] 논문 Mechanisms of SARS-CoV-2 Transmission and Pathogenesis 2020-12-01
[45] 논문 Good ACE, bad ACE do battle in lung injury, SARS 2005-08-01
[46] 논문 Hypothesi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may increase the risk of severe COVID-19 2020-05-01
[47] 논문 Risk of pneumonia associated with use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2012-07-01
[48] 논문 Association of Inpatient Use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With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Hypertension Hospitalized With COVID-19 2020-06-01
[49] 논문 COVID-19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What Is the Evidence? 2020-05-01
[50] 웹사이트 Position Statement of the ESC Council on Hypertension on ACE-Inhibitors and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https://www.escardio[...] 2020-03-13
[51] 웹사이트 EMA advises continued use of medicines for hypertension, heart or kidney disease during COVID-19 pandemic https://www.ema.euro[...] 2020-03-27
[52] 웹사이트 HFSA/ACC/AHA Statement Addresses Concerns Re: Using RAAS Antagonists in COVID-19 https://www.acc.org/[...] 2020-03-27
[53] 논문 Plasma ACE2 predicts outcome of COVID-19 in hospitalized patients 2021-01-01
[54] 논문 Comparative genetic analysis of the novel coronavirus (2019-nCoV/SARS-CoV-2) receptor ACE2 in different populations 2020-02-24
[55] 논문 Polymorphisms and mutations of ACE2 and TMPRSS2 genes are associated with COVID-19: a systematic review 2022-02-01
[56] 논문 Human ACE2 receptor polymorphisms and altered susceptibility to SARS-CoV-2 2021-04-01
[57] 논문 Human variation in the protein receptor ACE2 affects its binding affinity to SARS-CoV-2 in a variant-dependent manner 2022-02-01
[58] 논문 Missense variants in human ACE2 strongly affect binding to SARS-CoV-2 Spike providing a mechanism for ACE2 mediated genetic risk in Covid-19: A case study in affinity predictions of interface variants 2022-03-01
[59] 논문 Mutants of human ACE2 differentially promote SARS-CoV and SARS-CoV-2 spike mediated infection 2021-07-01
[60]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at the heart of the COVID-19 pandemic 2023-03-01
[61] 논문 The human genetic epidemiology of COVID-19 2022-09-01
[62] 서적 Encyclopedia of Endocrine Diseases Elsevier
[63] 논문 Inhibition of SARS-CoV-2 Infections in Engineered Human Tissues Using Clinical-Grade Soluble Human ACE2 2020-05-01
[64] 논문 Engineering human ACE2 to optimize binding to the spike protein of SARS coronavirus 2 2020-09-01
[65] 논문 Engineered ACE2 decoy mitigates lung injury and death induced by SARS-CoV-2 variants 2022-03-01
[66] 논문 A pilot clinical trial of recombinant huma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in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2017-09-01
[67] 뉴스 Apeiron Biologics moves forward with APN01 for treatment of COVID-19 https://www.thepharm[...] 2020-04-03
[68] 논문 腎内アンジオテンシンⅡ産生機構 https://www.jsn.or.j[...] 2010-01-01
[69] 논문 アンジオテンシン変換酵素2 https://doi.org/10.1[...] "[[日本薬理学会]]" 2016-01-01
[70]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protects from severe acute lung failure https://www.nature.c[...] 2005-01-01
[71] 논문 ACE2 links amino acid malnutrition to microbial ecology and intestinal inflammation https://www.nature.c[...] 2020-04-01
[72] 뉴스 アンジオテンシン-(1-7)の心保護作用、動物実験で示唆 https://medical.nikk[...] 日経メディカル 2002-04-08
[73] 간행물 急性冠症候群ガイドライン(2018年改訂版) http://www.j-circ.or[...] 日本循環器学会 2018
[74] 웹사이트 Tissue expression of ACE2 https://www.proteina[...]
[75] 논문 A crucial role of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2 (ACE2) in SARS coronavirus–induced lung injury https://www.nature.c[...] 2020-04-01
[76] 뉴스 新型コロナ対策に新酵素‐医薬基盤研が発見 https://www.yakuji.c[...] 薬事日報 2020-03-03
[77] 간행물 新型コロナウイルス受容体ACE2と同じ機能を持つ微生物酵素B38-CAPを発見 https://www.nibiohn.[...] 医薬基盤・健康・栄養研究所 2020-02-27
[78] 논문 Nicotine and the renin-angiotensin system https://journals.phy[...] American Physiological Society 2020-04-10
[79] 간행물 Tobacco-Use Disparity in Gene Expression of ACE2, the Receptor of 2019-nCov https://www.preprint[...] Preprint 2020
[80] 논문 Association of Smoking With Aortic Wave Reflection and Central Systolic Pressure and Metabolic Syndrome in Normotensive Japanese Men https://academic.oup[...] Oxford Academic 2020-04-10
[81]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Is a Key Modulator of the Renin Angiotensin System in Health and Disease. 2012
[82] 웹인용 ACE-2: The SARS Receptor Identified https://www.rndsyste[...] 2020-05-15
[83]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is a functional receptor for the SARS coronavirus. 2003-11
[84] 논문 Receptor Recognition by the Novel Coronavirus from Wuhan: an Analysis Based on Decade-Long Structural Studies of SARS Coronavirus
[85] 논문 Human coronavirus NL63 employs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receptor for cellular entry. 2005-05
[86] 논문 ACE2 X-ray structures reveal a large hinge-bending motion important for inhibitor binding and catalysis. 2004-04
[87] 논문 Angiotensin-(1-7) and angiotensin-(1-9): function in cardiac and vascular remodelling. 2014-06
[88] 논문 Clathrin-dependent entry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into target cells expressing ACE2 with the cytoplasmic tail deleted. 2007-08
[89] 논문 Inhibitors of cathepsin L prevent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entry. 2005-08
[90] 논문 SARS coronavirus entry into host cells through a novel clathrin- and caveolae-independent endocytic pathway. 2008-02
[91] 논문 Efficient activation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spike protein by the transmembrane protease TMPRSS2. 2010-12
[92] 논문 A 193-amino acid fragment of the SARS coronavirus S protein efficiently bind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2004-01
[93] 논문 The spike protein of SARS-CoV–a target for vaccine and therapeutic development. 2009-03
[94] 논문 Structure of SARS coronavirus spike receptor-binding domain complexed with receptor. 2005-09
[95] 논문 Structural analysis of major species barriers between humans and palm civets for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infections. 2008-07
[96] 논문 Interactions between SARS coronavirus and its receptor. 2006
[97] 논문 SARS-CoV-2 Cell Entry Depends on ACE2 and TMPRSS2 and Is Blocked by a Clinically Proven Protease Inhibitor. 2020-03
[98] 논문 Reply to: ‘Interaction between RAAS inhibitors and ACE2 in the context of COVID-19’. 2020-03-30
[99] 논문 COVID-19: A New Virus, but a Familiar Receptor and Cytokine Release Syndrome. 2020-04
[100] 논문 COVID-19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2020-03-05
[101] 논문 Effect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on cardiac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2005-05
[102] 논문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ion attenuates lipopolysaccharide-induced lung injury by regulating the balance between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and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nd inhibiting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2015-04
[103] 논문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leads to reduced ratio of ACE/ACE2 activities and is prevented by angiotensin-(1-7) or an angiotensin II receptor antagonist. 2011-12
[104] 논문 Mineralocorticoid receptor blocker increases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tivity in congestive heart failure patients. 2005-10
[105] 논문 Telmisartan attenuates aortic hypertrophy in hypertensive rats by the modulation of ACE2 and profilin-1 expression. 2011-01
[106] 논문 'A human homolog of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Cloning and functional expression as a captopril-insensitive carboxypeptidase.' 2000-10
[107] 논문 '[Aliskiren inhibits angiotensin II/angiotensin 1-7(Ang II/Ang1-7) signal pathway in rats with diabetic nephropathy].' 2018-10
[108] 논문 'Transplantation of ACE2- Mesenchymal Stem Cells Improves the Outcome of Patients with COVID-19 Pneumonia.' 2020-03-09
[109] 논문 'COVID-19, ACE2 and the Cardiovascular Consequences.' 2020-03-31
[110] 웹인용 ESH UPDATE ON COVID-19 https://web.archiv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20-05-15
[111] 논문 '2018 ESC/ESH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The Task Force for the management of arterial hypertension of the European Society of Cardiology and the European Society of Hypertension.' 2018-10
[112] 웹인용 Coronavirus SARS-CoV-2 https://www.bfarm.de[...] Bundesinstitut für Arzneimittel und Medizinprodukte 2020-05-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